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사회에 형성된 집단의식에 대한 사진표현 : 김영석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김영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95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 내제되어 있는 의식구조를 사진으로 표현해 보려는 시도였다. 한국인들의 의식에 형성한 여러 가지 요인들 중에 집단주의에 대해서 표현한 것이다. 한국에 집단의식의 뿌리는 동양사상에서 찾아야 하는데, 동양사상 중에서도 집단의식의 형성에 크게 기여한 것은 유교사상이라 할 수 있다. 한국에 유교사상이 전래된 시기는 문헌자료의 부족으로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BC 3세기 무렵 위만조선(衛滿朝鮮)으로부터 한사군(漢四郡)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유교사상이 부분적으로 전래되었고, 삼국시대에 이르러 공자의 경학사상이 본격적으로 받아들여지고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유교의 창시자인 공자는 무엇보다도 인(忍)을 강조했다. 그 이유는 개인의 인격을 완성시키고자 하는 데도 있었지만 보다 더 궁극적인 이유는 인의 실천을 통하여 사회를 조화롭게 만들고자 하는 데 있었다. 즉, 인을 실천하는 것만이 개인의 사사로움을 줄이고 전체의 행복을 추구할 수 있는 길이라 보았던 것이다. 따라서 유교가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한 것은 사사로움이 없는 개인들 간의 조화로운 공동체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의 뒷받침은 개개인의 개성과 자유로움을 숨기고 공동체간의 조화와 협력을 중요시하게 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집단에 대한 애착은 집단옹호라는 이기주의를 부추기게 되었으며, 점차 복잡해지는 사회에서 보다 쪼개지고 작아지는 집단의 구성력은 한국사회에서의 고질병인 학연, 지연, 혈연 등의 새로운 기의를 만들어왔다. 이번 김영석프로젝트는 이러한 집단주의라는 기의를 기표화하는 작업 이다.

      • Antiproton in duzierte Splaltung ron 238U : 김영석

        김영석 Technische Univ. Berlin 1992 해외박사

        RANK : 247647

        반양성자소멸은 원자핵을 운동량 혹은 각 운동량의 커다란 전이 없이도 수백 MeV로 가열할 수 있는 특별한 반응이다. 핵분열현상을 측정하면 반양성자소멸로 유기된핵의 고도로 여기된 상태의그 감쇄현상을 연구할 수 있다. 특히 감쇄현상의 시간적 경과에 따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지돔봉米括曠�핵분열 조각의 측정을 위하여 양수분광기를 제작하였다. 이 분광기는 하나의Microchate와 2개의 12X12 PIN diode 행렬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이용하여 두 핵분열조각으로 부터 비행슬뵀㈀�및 그들간의 각도를측정하였다. 반도체검출기교정을 위하여 펄스크기결함을 보정하는 새레萱뺐낱峠臼눼� 핵분열조각의 질량합계분포로부터 반양성자소멸이 우라늄 표적에26±2개의 핵자유발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여기에서지220±20 MeV에도 해당한다. 질량결손에 따른 품♣�질량분포변화로 부터두가지 즉 비대칭 및 대칭 핵분열 모드를 확인하였다. 질량합계와 운동합계의 상관관계로부터 핵분열이전의 핵자방출갯수의 총핵자방출갯수에 대한 비를구하였다. 그 �. 40±0. 05는 중이온실험결과들 보다는 작지만 통계모델의예상치보다는 큰 값이다. 이 결과는 높에너지와 작은 각운동량에서의핵분열의 경우 핵내의 마찰력이 작용함을 가르킨다. 무거운 조각과조각의운동량의 비로부터 최소한 두가지의 핵분열과 유사한 반응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그중 한반양성자소멸 이후 Fireball이 여러개의 핵자들을 특정방향으로밀어낸후 열평행과정을 겪지 않고두개의 조각으로 갈라지는 과정으로 추측되었다. 핵분열을 일으키는 핵의 운동량분포는 핵내부사의 계산결과와 잘일치하였다. 일반적으로 핵내부사태 모델은 반양성자와 핵과의 반응을 잘 묘사퓐�나타났다.

      • VLC-TDOA 기법을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김영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Visible light communication refers to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the visible light as a medium that can be seen by eye. This means convergenc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igital lighting. In the development of LED technology as the next generation of lighting technology, market is huge and expanding gradually. It is possible to develop a fusion techniques through the standard of wireless communication call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he initial set point becomes infinite LED market. By utilizing this characteristic,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VLC-TODA positioning system with implementation. We see the details as follow. In this paper, by applying the TDoA positioning technique to the environment of the one-way visible ligh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has been studied, and the performance was evaluated through experimentation and implementation of VLC-TDOA system allow development of a positioning system without another device. Further, this paper proposed a recognition method of pilot signal of the terminal and control procedures of the panel of LED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positioning system. Then, Rising Time Deviation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 and the sampling errors that can occur in the actual performance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positioning error, we have proposed a compensation associated therewith. 가시광 무선통신(VLC : Visible Light Communications)은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을 무선통신의 매개체로 사용하는 통신기술을 말한다. 이는 디지털 조명과 무선통신 기술의 융합을 뜻한다. 차세대 조명으로 각광받는 LED 기술의 발달로 시장은 점차 확대되고 거대해지고 있다. 가시광 무선통신이라는 조명과 무선통신의 표준화를 통하여 융합기술을 개발하고 LED 시장의 무한 시발점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VLC-TDOA 측위 기법을 구현하였으며,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하고 있었던 단방향 가시광 무선통신 시스템의 환경에 TDoA 측위 기법을 적용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 측위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VLC-TDoA 시스템에 구현과 실험을 통하여 성능평가를 하였다. 또한 측위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LED 패널 제어 절차 및 단말기의 파일럿 신호 인식 방법을 제안하고, 실제 성능평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샘플링 오차에 및 소자의 특성중 하나인 Rising Time Deviation이 측위 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보상 기법을 제안하였다.

      • 밸브면에 분사되는 보조공기 인젝터의 분무 특성

        김영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에너지 소비 절감에 대한 노력과 환경 오염 물질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가솔린 기관 개발의 핵심적 과제도 저연비, 고출력화 및 공해 물질 배출 저감화에 큰 비중을 두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연료 분사식 가솔린 기관에서 분무 액적의 미립화 및 공기와의 혼합상태는 연소 개선과 기관 성능에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유해 가스 배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연료의 무화를 촉진하고 연료·공기와의 혼합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실용화되어 기관 성능이나 연비면에서 많은 향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MPI엔진에서 많아 적용되는 상용의 2hole-2spray 인젝터를 사용하여 분무 공간의 공기온도와 보조공기의 공급압력에 따른 가솔린 연료의 미립화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초기온도 제어가 가능한 제한된 체적 내의 용기 내에 연료와 보조공기를 분사하여 분무각, 분무도달거리 등의 거시적 거동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입자운동 해석장치(particle motion analysis system unit; PMAS)를 사용하여 인젝터의 분무 방향을 중심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수평면에 대한 29개의 측정점을 선정하였다. 각 측정점에서 CCD카메라로 취득한 원시화상을 비교, 분석하여 분무의 분열과정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원시화상을 화상처리(image processing)하여 분무 입자의 평균 입경과 분무 거동을 관찰하였다. 이로써 분무에 미치는 분무장의 온도 및 보조공기의 공급의 영향을 거시적 촬영과 PMAS에 의한 측정결과 전반적으로 용기의 온도와 보조공기의 공급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입경 감소가 현저하였다. 특히, 보조공기의 공급이 있는 경우가 보다 미립화되며 분무 입경의 변동 폭이 줄어드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The fuel injection type, in the gasoline engines of atomization of fuel droplet and its distribution hae influenced directly on the decision of engine performance and harmful emission. In this paper, atomization characteristics of fuel spray is investigated with microscopic visualization system. Particle motion analysis system is used to measure the SMD from fuel spray of air-assisted injector by initi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of ambient air and air-assisted pressure. As air-assist pressure and ambientair temperature increase, the SMD is decreased, and its variation is more stable. Therefo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established. a) It was found that from spray angle at the two-hole injector had measured 20±4 degree the result of photographs by shadow graphy. b) The atomization was improved by the air delivery from the air-assistance unit. The tip velocity under 60kPa of air-assistance delivery pressure was about 33.3m/s by measuring the time for the tip of spray reaches 25mm point from the injector. This is 1.5 times faster than the tip velocity of no air-assistance injector. c) The mean diameter of sprays decreased and the of droplet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temperature in the spray fields by the results of PMAS measurement.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prays became finer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spray fields about 373K without the delivery of air assistance. d) The mean diameter of spray remarkab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an air chamber and the air-assistance delivery pressure E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delivery of air-assistance, the atomization became finer and the variation of the mean diameter became more stable by shadow graphy and PMAS.

      • 적응순항제어시스템의 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김영석 國民大學校 自動車工學 專門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통신 기술 및 전자제어시스템의 발달은 차량을 단순한 운송수단에서 이동하는 사무실, 편리하며 쾌적한 거주공간의 개념으로 바꾸어가고 있다. 이러한 전자제어기술의 발달은 엔진제어를 통한 고연비 실현, 차량 거동제어를 통한 자세제어뿐 아니라, 운전자의 차량 운전에 있어 편안함과 편리, 안전성을 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세계 각국의 자동차 제조회사와 여러 자동차 부품 회사들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적응순항제어시스템(Adaptive Cruise Control : ACC), 차선유지 시스템, 충돌경고시스템 등의 첨단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일부 고급형 세단에는 이미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첨단 기술 중 하나인, 적응순항제어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안전성향상을 위해 적응순항제어시스템의 작동 상태 및 주변 차량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해 주기 위한 시각정보 전달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시각 정보 전달장치를 통해, Headway-time 을 선행차량과의 차간거리로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하였고, 음성정보전달장치를 제작하여 선행차량과의 근접거리 경보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운전자가 적응순항제어시스템을 사용하여 운전하는 경우, 시각 및 음성정보전달장치의 유무에 따른 차량 조작과 차량 운전 성향 및 특성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정보전달장치를 통한 안전성 향상에 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운전자에게 정보전달장치를 통해 정보가 제공되었을 경우, 운전자는 차량의 운전 및 적응순항제어시스템 사용에 있어 편안함을 느낄 수 있었고, 선행차량과의 차간거리를 보다 넓게 설정하여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보전달장치를 통한 정보 수집이 차량 운행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보전달장치를 통한 정보전달은 운전자에게 적응순항제어시스템에 대한 편의성 및 효율성, 안전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더불어, 적응순항제어시스템의 제어 범위를 넘어서는 상황에서 운전자의 적극적 운전 개입을 유도하기 위한 적응순항제어시스템의 인수시점에 관한 전략 및 그 방법을 제시하였다. Advancement of electronic control technology offers new safety, comfort and environment friendly solutions, as evidenced by intelligent vehicles. Various driver support systems, including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s, lane keeping systems and collision warning systems, have been researched by automotive companies either individually or as a consortium, and some of them have already been implemente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safety of the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A visual and audio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thus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a driver with information about operation status of the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and surrounding vehicles. The visual device displays on/off status of the system, setting distance and current distance from a preceding vehicle, and acceleration/deceleration status. The audio device provides audio messages and warnings about on/off status of the system, current distance from a preceding vehicle, and too short distance. A driving simulator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driving characteristics and driver distraction, with and without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under adaptive cruise control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drivers felt more comfortable with the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and also maintained longer headway -time, when the information is provided, and thus improving safety. Also,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device did not deteriorate driver's ability to control their cars. As another safety improvement measure, a take-over strategy and method has been proposed to help the drivers intervene the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safely and effectively when critical situations, beyond the system control range, have occurred.

      • 교육환경평가제도 평가기준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김영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학교설립의 초기단계부터 적절한 위치에 학교용지가 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도 「학교보건법」을 개정하여 2008년부터 학교용지 선정시 교육환경평가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환경평가의 평가대상별 평가기준의 객관성과 평가방법의 명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개선방향을 모색하여 동제도가 실효적으로 역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범위는 「학교보건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교육환경평가대상별 평가기준 중 평가속성이 상대평가에 해당하는 항목 중에서 학교의 위치선정과 직접 관련되는 9개 항목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여 항목별로 기본적인 분석요소와 분석기준을 마련하고, 이렇게 검토한 이론적 지식을 기반으로 대구·경북지역의 2개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내 초등학교 9개소에 대해 학교용지선정자가 시행한 학교환경평가 자료를 분석해서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강구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교육환경평가제도는 제도시행의 역사가 일천하고 평가항목이 백화점식으로 나열되어 구체적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렵도록 되어 있는데다가 항목별 평가기준이 계량화 되어 있지 못해 아직까지는 학교입지선정의 기본적 척도로 역할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실은 이러하지만 앞으로 교육환경평가제도가 보다 정밀하게 다듬어지고 보다 충실하게 운영되어 교육시설 입지선정의 표준으로 기능하게 되리라는 기대를 하면서 본 논문에서 검토한 내용을 토대로 개선방향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항목들을 학교입지선정에 필수불가결한 내용을 중심으로 단순하면서도 명쾌하게 정리하기 위해 현재 6개의 대분류 항목을 위치, 크기 및 외형, 기타 등 3개 항목으로 크게 묶을 필요가 있다. 둘째, 평가항목별로 내용이 중복되는 것은 과감하게 통합하고 평가자체가 현실적으로 타당성을 결하는 항목은 폐지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가 단위생활권의 중심에 위치하는지 여부가 교육환경평가의 선결조건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학교가 단위생활권의 중심에 위치하면 학생의 통학범위, 통학환경, 도로접근성, 학습환경 등과 같은 내용들이 기본적으로 좋아지기 때문이다. 넷째, 교육환경평가의 평가항목들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건축법」,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등 도시계획 관련 법령에서 학교와 관련하여 정하고 있는 규정들과 연계해서 평가되어야 한다. 끝으로, 타 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들을 교육환경평가제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학교시설에서 요구하는 최소한의 기준을 따로 정해 정리할 필요가 있다. 학교주변에 위치한 도서관이나 공원 등과 같은 공공시설을 교육과정에 유용한 시설로 인정해 교육환경평가상 높은 점수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규모의 시설이 학교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고 접근경로는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평가기준이 「도서관법」,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등을 참조하여 따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환경평가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교육환경평가제도가 객관적이고 공정하며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준에 의한 평가를 통해 신뢰성과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적인 교육환경평가기관을 신설하거나 한국교육환경연구원과 같은 기존기관에 위탁하여 이곳에서 학교용지에 대한 적부를 심사하고 인증해 주는 형식으로 가칭 ‘교육환경평가인증제’ 시행을 제안한다. 둘째, 교육환경평가제도 시행에 대한 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가칭 「교육환경평가제도 시행에 관한 법률」의 제정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주변 공동주택 등 민간건물이나 도서관 등 공공시설의 건축시에도 학교환경평가를 시행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학교환경에 대한 평가 필요성은 동제도의 시행 이전에 설립된 기설학교에 더 크다고 볼 수 있으므로 평가대상을 기설학교까지 점차 확대해 나갈 것도 제안한다. 기설학교에 대해서는 학습환경을 저해하는 요소들을 객관적 기준에 따라 도출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학교환경을 개선해 나갈 기초자료로 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가 단위생활권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학교환경평가의 궁극적인 목표로 설정한 바 있는데 이를 위해 학교시설 중 도서관, 체육시설, 강의실 등을 지역주민들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교가 지역문화의 중심지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학교 신설시 학교기능 복합화를 고려한 건축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교육환경평가대상별 34개 평가기준 중 평가속성이 상대평가에 해당하는 9개 항목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였기 때문에 교육환경평가 기준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되지 못하였고, 고안된 평가기준을 적용한 사례분석이 대구·경북지역의 대규모 택지개발지구 2개소에 입지하게 될 초등학교 9개교 부지에 대해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중·고등학교를 포함한 전체 학교급별로 적용하여 전국적 기준으로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 저열팽창 특성을 갖는 탄소섬유 강화 알루미늄 복합재료의 제조 및 접합특성

        김영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탄소섬유 강화 알루미늄 복합재료는 강화재인 탄소섬유의 우수한 특성인 내열성, 고온에서의 강도 유지, 내열충격성, 내약품성 및 화학적 불활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전도성, 높은 열전도도 낮은 열팽창계수 및 비강도와 비강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복합재료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액상제조법(liquid-phase fabrication method)을 사용하지만 알루미늄과 탄소섬유의 반응으로 기계적 및 열적 물성을 저하시키는 알루미늄카바이드(Aluminum carbide, Al4C3)가 생성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금속간화합물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탄소섬유 표면에 금속코팅을 실시하거나 소결법에 의해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탄소섬유강화 알루미늄 복합재료는 전자회로 기판 및 LED 등의 방열재료로서 적용되고 있으나 고온환경에 노출되는 부품에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반도체공정 중 웨이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서셉터 부품은 최근 반도체 공정의 생산효율 증가 및 웨이퍼 면적 증가로 인하여 열전도성, 저열팽창특성 및 고온강도 특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재료로서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가 적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반도체용 히팅부품인 서셉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복합재료 제조시 금속간 화합물의 생성을 억제할 필요가 있으며, 공정온도인 500℃ 구간에서 금속간 화합물의 생성 및 성장을 억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 강화 알루미늄 기지 복합재료의 제조하여 제조공정 및 고온환경 하에서 노출시켜 금속간 화합물의 생성 및 성장을 확인함으로서 반도체 공정용 히팅부품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복합재료의 제조를 위하여 기지재로는 Al 1050분말을, 강화재로는 chopped carbon fiber를 선정하여 분말야금법을 이용하여 제조직 후 및 열노출에 따른 미세조직 분석 및 금속간 화합물의 생성여부를 관찰하였다. 미세조직 분석 결과 균일한 분산을 확인하였고 99%이상의 치밀한 소결체를 얻었다. XRD, SAD패턴 결과 알루미늄카바이드는 생성되지 않았으며, 240시간 열 노출 후에도 관찰 되지 않았다. 고온강도의 경우 450℃이상에서 30MPa이상의 강도 값을 보였으며, Al-40vol%CF의 경우 10.1ppm의 CTE값을 보여 알루미나 세라믹과 유사한 낮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서셉터 부품제조를 위한 복합재료/복합재료, 복합재료/금속전극, 복합재료/세라믹 body의 접합실험을 통해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접합부에는 기공, 결함이 없는 매우 우수한 접합특성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연구를 통하여 Φ331mm x 40mmt의 복합재료를 제조한 후 Φ300mm 웨이터를 대응할 수 있는 heating unit을 제조한 후 히팅시험 및 SiO2 산화막 증착공정을 수행한 결과 기존의 Al6061 재질의 heating unit에 비해 150%이상의 증착률을 확인하였다. Aluminium matrix composites reinforced carbon fibers are widely used and studied due to the high specific strength, specific modulus, high thermal, electric conductivity and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The conventional casting method(liquid-phase fabrication method) is applicable to fabricate the Al-CF composite. The carbides such as aluminium carbide(Al4C3) are formed between metals and carbon fibers by the chemical reaction. It has harmful influences on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Recently some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metal coating on carbon fibers and solid-phase sintering fabrication method for suppressing these defects. Aluminium matrix composites reinforced carbon fibers are usually used to heat sink materials in the substrate of electric circuit and LED but not used to high-temperature components because of the aluminium carbide. Meanwhile, the susceptor that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wafer on semiconductor process is needed to have some features such as high thermal conductivity,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nd high-temperature strength due to increase of production efficiency and size of the wafer. It is expected to apply carbon fibers reinforced aluminium matrix composites as susceptor components. To apply susceptors using semiconductor heating unit, it is necessary to prohibit formation and growth of the aluminium carbides when making the composite and processing in 500℃ range. In this study carbon fibers reinforced aluminium matrix composites are fabricated by using the sintering method and we are analyzed existence and growth of Al4C3 after heat treatment. We investigate the possibility as heating unit components of semiconductor process. We have prepared Al 1050 powder as base materials and milled carbon fiber as reinforcement materials for fabricating the composite and analyzed microstructure and checked whether Al4C3 is created or not. The composite has uniform dispersion of carbon fiber in the Al base metal and high density over 99%. As a result of XRD and SAD patterns, Al4C3 is not observed in the composite and also after 240hour heat treatment. In case of high temperature strength, the strength of composite have about 30MPa pressure over 450℃.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composite have 10.1ppm that is similar to ceramic such as Al2O3 and AlN. Also, we consider properties of brazed joint of composite/composite, composite/metal heater and composite/ceramic body for component fabrication of the susceptor. As the results, we have found excellent joining characteristic without voids and defections between joint areas. (From this research we can manufacture Φ330mm heating unit with Φ331mm x 40mmt composite. As a result of heating test and SiO2 oxidation film evaporation process, we identify it has over 150% evaporation rates in comparison with Al6061 heating un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