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설 『銃口』에 투영된 三浦綾子의 시대정신

        김영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三浦綾子(미우라아야코)의 소설 『銃口』(총구)는 “쇼와 (昭和)를 배경으로 해서 하나님과 인간에 대해서 써 주기를 바란다.”는 소학관 출판사의 요청에 의해 만들어진 작품이다. 본 논문은 황국사관 하에서 교육받은 인물들의 행동양식을 보고 일본인들은 그 교육을 어떻게 받아들였으며, 어떤 태도를 취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 속에 투영된 작가 미우라 아야코의 시대를 바라보는 시선을 탐구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군국주의 하에서 교원생활로 학생들을 가르쳤었던 미우라 아야코가 일본의 패전으로 기존과는 다른 방향으로 교육하게 된 상황 속에서 혼란을 겪고 결국에는 퇴직과 방황의 길을 걸었던 심경과 이후 신앙인들과 그리스도와의 만남으로 새로운 인식을 갖고 새로운 삶을 살게 된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소설 『총구』를 주인공 류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소학교 시절부터 지속적으로 교육받은 내용과 교육하는 사람들은 어떠한 가치관을 갖고 행동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황국사관 하에서 교육 받은 류타가 현실에서 만나게 되는 사건들과 교육의 내용과의 차이점에 의문을 갖고 형성되는 류타의 사고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류타 속에 투영된 미우라 아야코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 쇼와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모습을 살펴본다. 4장에서는 시대 속에서 상실을 경험한 개인이 그 현실에 주저앉지 않고,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살아가는 모습과 참혹함이 있었을지도 타인의 아픔을 헤아려 서로가 서로에게 존중과 용서 그리고 화해의 손길을 내밀어 평화를 이루자는 작가의 소망을 보게 된다. 시대의 과오를 인식하고 살펴, 시대에 빠지지 말고 의식만이라도 시대를 뛰어 넘을 수 있기를 『총구』를 통해 전하고 있다.

      •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강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 선문대학교 상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강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 임상심리치료전공 선문대학교 상담대학원 지도교수 이모영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강도와 아동 자아강도 하위 요인(유능성, 주도성, 탄력성,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자아강도 하위요인에 관한 효과성의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강원도 W지역의 지역아동센터 내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연령으로 아동자아강도 검사(ESCT-C) 총130점에서 100점미만의 점수를 받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주 1회 6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아동 자아강도 (ESCT-C)검사와 동적 집-나무-사람(K-HTP)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강도를 향상시키는데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에 비해 실시 후의 아동 자아강도 총점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질적 분석을 위한 K-HTP 검사에서의 아동 자아강도 척도로 볼 수 있는 집의 구성 벽과 나무의 기둥, 사람의 몸통의 크기가 적당한 크기로 변화 한 것으로 보아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강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강도 하위 요인인 (유능성, 주도성, 탄력성)을 향상시키는데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에 비해 실시 후의 아동자아강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질적 분석을 위한 K-HTP 검사에서 사전검사 그림에서 보인 기둥의 옹이그림이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사후검사 그림에는 소멸되는 변화를 보인 것은 자아의 탄력성의 향상으로 자아의 상처의 회복을 의미한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결론은 집단 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에게 미술매체를 통하여 안전한 환경 속에서 내면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함으로써 자기 이해와 타인 이해를 경험 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긍정적 자아상을 확립하여 자아의 힘을 강화 해 가는데 영향이 미친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추후 여러 지역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대상으로 자아강도 향상을 위한 심리․정서적 지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서 활용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치료적 의의를 가진다. 주제어:아동 자아강도, 지역아동센터, 집단미술치료, 유능성, 주도성, 탄력성

      • 알칼리 이온수의 의치 미생물에 대한 세정효과에 관한 연구

        김영미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알칼리 이온수 e-WASH의 의치에 부착된 미생물 의 세정 효과에 대해 위상차현미경을 이용한 미생물 관찰법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군 41개, 대조군 26개의 의치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험군에서는 알칼리 이온수 e-WASH로, 대조군에서는 수돗물에 5분간 침지 전,후 의치 내면의 치면세균막을 채취하였다. 위상차현미경으로 구강미생물의 형태적, 종류별 양과 운동성에 대해서 세정 전,후별 구강미생물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1. 알칼리 이온수 e-WASH로 의치를 세정한 실험군에서는 세정 전보다 세정 후 구균의 양, 간균의 양, 간균의 운동성, 실사균의 양, 실사균의 운동성, 콤마/나선균의 양, 콤마/나선균의 운동성 등 모든 조사항목에서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대조군에서는 구균의 양은 감소하였으나(p<0.05), 다른 조사항목에서는 모두 세정 전,후 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알칼리 이온수 e-WASH로 의치를 세정한 실험군에서는 구균의 양, 간균의 양, 간균의 운동성, 실사균의 양, 실사균의 운동성, 콤마/나선균의 양, 콤마/나선균의 운동성 등 모든 조사항목에서 수돗물로 의치를 세정한 대조군보다 각 구강미생물의 양과 운동성이 적게 나타났다(p<0.05). 위의 결과를 통해 알칼리 이온수 e-WASH가 의치표면의 각 종 미생물의 양과 운동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므로 의치세정제로 추천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eansing effect of recently developed alkaline ionized water, e-WASH, on microorganisms of the denture surface. Materials and Methods: Removable partial and complete denture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41 dentures, and the control group of 26. The denture was immersed in the e-WASH solution(experimental group), or tap water(control group) for 5 minutes. The plaque was collected from the denture surface before and after immersion, and smeared on the slide glass. Amount and motility of microorganism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morphology and strain of microorganisms, using the phase contrast microscope. Statistical analysis was accomplished with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at 95% confidence level(P<.05). Results: 1. The amount of cocci, bacilli, filamentous, spiral/comma, and the motility of bacilli, filamentous, and spiral/comma were decreased after denture cleansing with the alkaline ionized water, e-WASH(P<.05).But in the control group, only the amount of cocci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5), but no difference from the other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ther analysis. 2.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mount of cocci, bacilli, filamentous, spiral/comma, and the motility of bacilli, filamentous, and spiral/comma were smaller and more inactiv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5).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lkaline ionized water, e-WASH could effectively reduce the amount and motility of the experimented microorganisms on the denture surface, and that e-WASH could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denture cleanser.

      •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임상간호인성,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임상간호인성,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 지도교수 : 송지은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임상간호인성, 회복탄력성, 간호근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복지부로부터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으로 지정받은 전국 88개의 기관 중 20개 기관의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자료 수집은 G 광역시 보훈병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9월 19일부터 10월 14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총 217명 중 여성이 203명(93.5%) 이었다. 연령은 30세 이상 ∼ 40세 미만이 63명(29.1%), 30세미만이 58명(26.7%), 50세 이상이 51명(23.5%), 40세 이상 ∼ 50세 미만이 45명(20.7%) 이었다. 미혼이 121명(55.8%)이었고 종교가 있는 대상자는 118명(54.4%) 이었다. 학력은 4년제 졸업이 132명(60.8%), 3년제 졸업이 49명(22.6%), 석사 재학 이상이 36명(16.6%) 이었다.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183명(84.3%)이었고 근무형태는 3교대 근무자가 180명(82.9%) 이었다. 총 임상경력은 10년 이상이 94명(43.3%)으로 가장 많았고 5년 미만은 67명(30.9%), 5년 이상 ∼ 10년 미만은 56명(25.8%) 이었다. 호스피스경력은 1년 이상 ∼ 5년 미만이 102명(47.0%)으로 가장 많았고 1년 미만이 59명(27.2%), 5년 이상이 56명(25.8%) 이었다. 최근 6개월 이내의 호스피스교육 받은 횟수는 1회가 118명(54.4%)으로 가장 많았고 2회 이상이 53명(24.4%), 한 번도 없는 대상자가 46명(21.2%) 이었다. 2. 대상자의 임상간호인성의 평균점수는 5점 만점 중 3.96±0.38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 중 3.59±0.51점, 간호근무환경은 4점 만점 중 2.90±0.44점, 소진은 5점 만점 중 2.90±0.44점 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는 연령(F = 16.02, p < .001), 결혼상태(t = 4.50, p < .001), 종교(t = 3.09, p = .002), 학력(F = 8.59, p < .001), 직위(t = 2.85, p = .005), 3교대 유무(t = 2.54, p = .012), 총 임상경력(F = 14.14, p < .001), 호스피스경력(F = 3.83, p = .02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4. 임상간호인성(r = -.35, p < .001), 회복탄력성(r = -.42, p < .001), 간호근무환경(r = -.53, p < .001)은 소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간호인성은 회복탄력성(r = .64, p < .001)과 간호근무환경(r = .41, p < .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은 간호근무환경(r = .38, p < .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소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근무환경(β = -0.43, p < .001), 회복탄력성(β = -0.25, p = .001), 연령 30세 ∼ 40세 미만(β = 0.29, p = .001), 총 임상경력 5년 미만(β = 0.20, p = .035)으로 나타났다.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은 수록 소진이 낮아졌으며, 50대 이상보다 30대 간호사의 소진정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총 임상경력이 10년 이상인 간호사보다 5년 미만인 간호사의 소진이 심한 것으로 타났다. 모형의 설명력은 43.6%로 나타났다(F = 11.43, p < .001). 본 연구 결과,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근무환경이었고 회복탄력성, 연령과 호스피스경력도 소진 영향요인으로 확인 되었다.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간호근무환경 개선과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병원 조직 차원의 배려와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호스피스경력 1년 이상 ∼ 5년 미만인 간호사와 연령이 30세 이상 ∼ 40세 미만의 간호사를 위한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수학적 태도에 따른 수학 문항의 성취도 분석 : 문자와 식 단원의 성취도 분석

        김영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we performed researches about the difference of scholastic achievement with each mathematical attitude and mathematical unit based on the mathematical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 and about the relationship of scholastic achievement with each grade of a midterm examination. We had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or the purpose of giving the basic data to understand and test of researches. 1) Is there the difference of scholastic achievement with each mathematical attitude and mathematical unit according to the mathematic attitude? 2) Is there the difference of achievement with each mathematical attitude and mathematical unit according to each grade of a midterm examin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 The difference of a scholastic achievement with each mathematical attitude and unit according to the mathematical attitude First, we verified that two data groups which are high grade group and low grade group had no problem as the verification samples by the equal variance verification. We examined the t-test which is the normal difference test method on condition that two groups have the same dispersion. We had the result which has difference of the achievement average between low grade group and high grade group. We know that two groups have the difference of the achievement in all units of mathematics. Second, in the analysis of achievement by the test of mathematical interest and attitude, the area of a sense of purpose and a loss of sense of purpose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low area. The area of a sense of superiority-a sense of inferiority showed the biggest score in an error ratio area of the report and the area of a confidence-a loss of confidence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in an average value of the report. Third, we analyzed the achievement difference of 20 members from each high grade group and low grade group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core of each high grade area. In all high grade areas, there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which has p<0.05 significance. In other words, there showed the difference of an achievement average in all high area of high grade group and low grade group. 2) The difference of scholastic achievement with each mathematic attitude and each unit according to each grade group of the midterm examination. First, we examined the difference of a scholastic achievement between high grade group and midterm examination group and fou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ea about selfperception of the class and the grade of midterm examination. Also, the study habit of the class ha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ther words, the student has higher study habit of the class, the better grade ha has. However, We knew that the area of the attitude to the class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t means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 the class and the grade of a midterm examination. Second, after analyzing the relation among each achievement, there is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grade of a midterm examination and areas of a sense of superiority-a sense of inferiority, a confidence-a loss of confidence and a self access study (an active study). However, we analyzed that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ade of a midterm examination and areas of an interest-a loss of interest, a sense of purpose and a loss of sense of purpose, a concentration of an attention and the appliance of study method (effective study) by giving P>0.05 significance.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experiment in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 For the generalization of the effect, we will have to extend the number of sample groups and to develop detailed and standardized method and to need to perform the research by departmentalizing the sample groups with each region and each grade.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 있어서 수학 태도· 영역별로 학업 성취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 중간고사 성적별로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를 밝혀서 이를 이해하고 평가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수학적 태도에 있어서 수학 태도?영역별 학업 성취도의 차이가 있는가? 2) 중간고사 성적별 그룹과 수학 태도·영역별 학업 성취도의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수학적 태도에 있어서 수학 태도·영역별 학업 성취도의 차이 첫째, 등분산 검정을 통하여 모든 영역이 하집단과 상집단의 두 집단은 검증의 표본으로서 문제가 되지 않음을 확인했다. 두 집단의 분산이 모두 동질하다는 조건하에 두 집단에 대한 평균차이검정방법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하집단과 상집단의 성취도의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두 집단은 모든 영역에서 수학 성취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수학 흥미·태도 검사지를 통한 성취도 분석에서 하위 영역 중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목적의식-목적의식 상실 영역으로 나타났다. 활동지의 오류발생비율영역에서는 우월감-열등감 영역으로 활동지 평균의 큰 차이를 보이는 영역은 자신감-자신감 상실 영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상위 영역 중 성취도 점수를 나열했을 때, 상집단과 하집단의 20명씩 뽑은 인원별 성취도간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상위 영역 모두 유의도 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상집단과 하집단 모두 상위 영역에서의 성취도의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2) 중간고사 성적별 그룹과 수학 태도?영역별 학업 성취도의 차이 첫째, 상위영역과 중간고사 그룹간의 학업 성취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영역과 중간고사 점수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 교과에 대한 학습 습관 역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 즉, 교과에 대한 학습 습관이 높을수록 중간고사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즉, 교과에 대한 태도와 중간고사 점수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의미한다. 둘째, 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중간고사 점수와는 우월감-열등감, 자신감-자신감 상실, 성취동기-성취동기 상실, 자율학습(능동적 학습)의 영역과는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반면 흥미-흥미 상실, 목적의식-목적의식 상실, 주의집중, 학습기술적용(능률적 학습)의 영역의 유의도 P>0.05로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없다고 분석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춘천시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기에 그 효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움이 있다. 효과를 일반화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의 확대와 세분화되고 표준화된 도구가 개발 되어야 하며, 표집 대상을 지역별, 학년별로 세분화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 현장방염처리 개선에 관한 연구

        김영미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만 유일하게 인정되는 현장방염처리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처리물품으로 방염필증과 난연필증을 획득한 편백루바 2가지, 수성방염도료를 각각 2회와 3회 칠한 후처리물품 편백루바 2가지 총 4가지의 동일한 조건 시료 5개씩 총 20개의 시료를 45〬 연소시험기로 시험한 후 탄화면적, 탄화길이, 잔염시간, 잔신시간에 대한 방염성능기준을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 국내 응급환자 헬리콥터 이송 현황 및 개선방안

        김영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응급의료체계는 응급처치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신속하고 효율적인 이송과 진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취약지역을 갖고 있는 국내 응급의료체계에서는 심&#8228;뇌혈관 질환이나 중증 외상환자처럼 전문적인 치료를 위해 장거리 이송이 필요한 경우 헬리콥터를 이용한 환자 이송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대상 환자의 적응증과 탑재되어야 할 장비 및 탑승 인력에 대한 기준이 없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우리나라의 응급환자 헬리콥터 이송 현황을 조사하고 전문가설문을 통하여 효율적인 응급환자 헬리콥터 이송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하여 국내 응급환자 헬리콥터 이송 현황을 조사하였고, 소방항공대를 대상으로 탑승 인력과 탑재 장비 및 의약품의 현황을 조사하고, 응급의료 지도의사협의회 회원을 대상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응급환자의 헬리콥터 이송은 중앙 119구조대 항공팀과 지방자치단체의 소방항공대가 수행하고 있다. 소방 기관에서는 총 26대의 헬리콥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인명 구조 및 화재 진압, 응급환자의 이송, 항공기 수색 및 구조 활동, 이식 장기의 이송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소방항공대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헬리콥터에는 1급 또는 2급 응급구조사와 조종사, 항공기 정비사로 구성되어 총 4~5명이 탑승하고 있었다. 헬리콥터에 탑승하는 인력 중 구조 및 구급대원의 76.92%가 헬리콥터 이송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고, 교육을 받은 내용은 항공법과 안전관리, 항공구조 현지훈련으로 조사되었다. 헬리콥터에 탑재되어 있는 장비는 구인두기도기, 백밸브마스크, 포켓마스크, 혈압계, 경추보호대 등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탑재되어 있는 의약품은 흡입용 기관지확장제와 수액공급용 포도당과 생리식염수가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문가집단의 설문조사 결과는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헬리콥터에는 1급 응급구조사, 의사 및 응급간호사의 전문응급의료인력 중 한명을 포함하여 3명이 탑승하여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헬리콥터에 탑승하는 인력의 교육은 93.10%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헬리콥터 안전교육, 전문심폐소생술, 헬리콥터내 처치법을 70시간 정도로 실시하여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헬리콥터에 탑재하여야 할 장비는 흡인기, 구인두기도기, 후두마스크 등의 기도유지 장비와 산소 실린더, 수동식 인공호흡기, 비강캐뉼러, 안면마스크 등의 환기장비, 정맥로 유지와 카테터 등의 순환장비, 맥박산소측정기, 심전도 모니터와 제세동기 등의 환자 감시 장비, 고정 장비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헬리콥터에 탑재하여야 할 의약품은 에피네프린, 아트로핀, 기관지 확장제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응급환자 중 헬리콥터를 이용하여야 하는 이송순위는 외상 중증도, 환자의 질병, 이송거리, 이식 장기이송 순으로 조사되었다. 선진국과 같이 응급환자를 이송하기 위한 전용 헬리콥터의 도입이 필요하며, 이송 대상 환자의 적응증을 정립하고, 전문인력을 개발하고 육성하여 효율적인 응급환자 헬리콥터 이송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EMSS) provides fast and efficient transportation and treatment to those who need timely aid. In Korea, because there are rural areas in terms of emergency medical treatment, long-distance transportation of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cerebrovascular diseases or sever trauma should be carried out by helicopters. But there are no regulations of helicopter emergency medical service(HEMS) system concerning such medicine and instruments to be equipped and the level of manpower. It is inevitable that the HEMS is very inefficient. The author studied HEMS of urgent patients to provied a basis on its systemic regulations through references and the surveys of fire department and experts. Currently, HEMS is majority in charge of the central 119 rescue team and local government, managing 26 units of helicopters. They are performing various rescue activities including transporting urgent patients, extinguishing fire, searching for the rescue. They are consisted of first-degree or second-degre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EMT), pilots and aviation mechanic, 76.92% of who have been educated, though the courses were mainly comprised of subjects like aeronautics law, safety control, and field training of aeronautical rescue. Furthermore there as no special guidelines regarding on-board instruments and medical supplies. There are no indications of HEMS activation but the patient request it. Group of experts to survey HEMS first-degree EMT, emergency physicians and nurses including one of the crew of the 3 should be investigated. The personnel aboard the helicopter, 93.10% of the training was needed, and helicopter safety training,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ACLS) should be carried out in 70 hours was investigated enoug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helicopters for transportation of emergency patients only, proper management of on-board treatment and education of specialists in order to structure HEMS in Korea.

      •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

        김영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치료기관에서 발달지체유아와 그 가족 구성원들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애인 복지관, 의료기관, 사설기관, 재활원 등에서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치료지원을 실시하고 있는 언어치료사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본 결과 가족지원을 실시하고 있는 치료기관이 실시하고 있지 않은 치료기관보다 더 많았다. 실시하고 있는 가족지원의 방법으로는 개별상담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부모의 치료계획 참여, 참관, 강연회, 가정통신문, 학부모소모임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원을 실시하기 어려운 이유는 지원시설 또는 장소의 부족, 치료사의 시간 부족, 발달지체유아 가족의 관심과 이해 부족, 기관장의 지식과 이해 부족, 치료사의 지식과 이해 부족 순이다. 둘째,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 실시방법 및 내용에 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발달지체유아 및 그 가족에게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가족지원의 방법으로는 1순위에서는 개별상담, 2순위에서는 부모의 치료계획 참여, 3순위에서는 참관 및 참여수업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치료를 위한 장․단기 목표를 세울 때 부모참여 여부 결과는 부모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았다. 부모참여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부모의 시간 부족, 부모의 관심 부족, 치료사의 시간 부족, 치료사의 협력 촉진 기술 부족, 치료사의 이해 및 노력 부족 순이다. 언어치료사와 특수교사 간⋅언어치료사와 부모 간의 협력체제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의 언어치료사들이 꼭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부모교육의 내용은 1순위에서는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및 언어발달 현행수준에 대한 교육, 2순위에서는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적인 의도 이해 교육, 3순위에서는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을 촉진할 수 있는 상호작용 방법 교육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부모교육 지원, 가족상담 지원, 비장애 형제 지원, 지역사회 연계 지원은 전체 문항이 3점에서 4점 이상의 점수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발달지체유아 담당 언어치료사의 가족지원에 관한 효율적인 지원방안을 알아본 결과 협력체계의 어려움에는 언어치료사와 부모 간⋅언어치료사와 특수교사 간의 협력 방법에 대한 어려움, 부모의 이해 부족 및 참여 부족에 따른 어려움, 언어치료사의 시간 부족에 따른 어려움을 들었다. 행정적 지원에는 부모 참여 지원, 치료사의 시간 부족문제 지원, 장소 지원, 경제적 지원, 협력체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재정적 지원에는 고용문제 지원과 가족지원에 대한 보수교육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