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방폭형 전기 라디에이터 발열체의 배열 방법에 따른 표면온도 변화
본 연구에서는 인화성 가스가 존재하는 위험지역(Hazardous Area)에서 사용되는 방폭형 전기 라디에이터(Explosion-proof electric radiator)의 유동해석과 전기 라디에이터의 발열체인 히트봉 제작을 통한 성능시험 결과 분석을 통해 최적 설계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세부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유동해석에 있어서 상용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기 라디에이터에 의한 Room 내부 온도 변화에 대해서 3차원 비정상상태 수치해석 연구를 선행적으로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표인 발열체의 배열 방법에 대한 표면온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2가지 대표적인 배열방법에 대한 2차원 정상상태 해석을 수행하였다. 발열체 제작 및 실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도출된 배열 방법 및 발열체 별 부하밀도를 달리한 최적 설계방안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성능시험에 있어서 본 연구대상이 방폭구역에 적용되는 제품이므로 모든 인화성 가스에 대한 안전조건을 만족하는 T4 (135℃ 이하) 등급을 만족하면서 220V 5kW 단상 전기 라디에이터를 대상으로 발열체를 설계하였다. 히터의 표면온도는 부하밀도(Watt density)에 따라 표면온도가 비례하기 때문에 히터 형상에 맞는 부하밀도별 표면온도 관계식을 찾는 시험을 선행하였다. 선행연구를 위한 부하밀도별 표면온도 시험은 히트봉에 열전대(Thermocouple)를 설치하고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변화시켜가며 발열온도를 측정하였다. 선행연구를 결과를 통해 135℃ 이하에서의 적정 부하밀도를 선정하여 연구대상인 5kW 에 대한 샘플 설계 및 제작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히트봉의 배열 방법에 따라 히트봉 주위 공기의 유속이 달라지며 히트봉 표면의 온도가 변하게 되므로, 동일 용량의 다른 히트봉 배열을 가진 두 가지 모델에 대해 수치해석과 성능시험을 시행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수치해석 결과가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개선된 최적 설계방안 도출을 위해 히터 상부쪽에 열이 집중되어 발생하는 과열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체 히터 용량은 동일하지만 구성하고 있는 히트봉의 열량을 변화시킨 모델의 수치해석을 수행하였고 표면온도 분포가 평준화됨을 확인하였다.
배전설비 최적 유지보수 비용에 관한 정량적 연구 한국전력의 사례를 중심으로
배전설비 최적 유지보수 비용에 관한 정량적 연구 : 한국전력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근 경제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전력회사의 배전계통 신뢰도 향상을 위한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산업 부하종류를 세분화하여 경제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투자 우선순위에 관한 제언이 있 었으나, 전기 사용 용도별 경제성 분석으로 다소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 는 한국의 산업 업종별로 세분화된 경제성 평가를 통해 배전분야 신뢰도 향상을 위한 효율적 투자 방향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 전기전자, 석유화학, 음식료품, 자동차 산업이 투자 우선순 위를 가지며, 특정 산업 부하 밀집 지역에 대한 투자가 경제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산업은 정전 발생 시 경제적 파급이 크 기 때문에 중요한 투자 대상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전력회사의 배전 운영 정책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통한 고객 서비스의 품질 향상과 재무 적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만, 전력 서비스의 차등화라는 주제는 윤리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경제적 효용성과 사회적 형평성 사이에서 최적의 균형 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전력산업 뿐만 아니라 다른 유틸리티 기업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재무 건전성 회복을 위한 중요한 역할 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 다양한 데이터들을 취합 하여 심도 있는 경제성 평가를 통해 효율적인 투자 방향을 모색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 Quantitative Study on the Optimal Maintenance Cost of Distribution Facilities :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IM, YOUNG-GUN Department of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conomic viability of investment priorities for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power distribution systems by disaggregating industrial load types. While previous research has provided suggestions on investment priorities, it has been somewhat limited in its analysis of economic viability by electricity usage type. This study provides a direction for efficient investment in power distribution reliability enhancement through a detailed economic evaluation of industries in Ko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lectronics, petrochemical, food, and automotive industries hold investment priorities, highlighting the economic value of investing in specific industrial load-dense areas due to their significant economic implications in the event of power outages. These findings could serve as crucial reference material for the operational policies of power distribution companies, offering opportunities to pursue both improved customer service quality through stable power supply and financial stability simultaneously. However, the theme of differential electricity services may raise ethical and social concerns. Nonetheless, finding the optimal balance between economic efficiency and social equity is cruci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cable not only to the power industry but also to other utility companie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ensuring stable power supply and financial soundness recovery. Future research could explore more diverse data to conduct in-depth economic evaluations and seek efficient investment directions.
의료영상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보안 모듈 설계 및 검증
각종 첨단 전자분야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의료분야에 있어서도 이러한 기술들을 활용한 원격진료 및 치료와 원격 처방, 휴대용 진료장비 등에 대한 기술 역시 발전하였다. 하지만,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각종 의료정보의 보호 및 개인 Privacy 보호에 관한 기술들이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의료 시스템에서의 활용을 위한 표준에 따른 정보 보호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의료영상 전송 표준인 DICOM Standard Final Draft 내 15번째 문서인 ‘Part 15. Security and System Management Profiles'에는 보안성의 향상을 위해 새로이 AES 기반의 Secure Transport Connection Profile을 추가하였다. TLS는 정보보호 분야에서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보안 프로토콜이다. DICOM Security Profile에서는 Data의 무결성을 보존하기 위해 기본으로 Triple-DES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더욱 강화된 보안을 위해 AES_CBC 알고리즘으로 대체한 'The AES TLS Secure Transport Connection Profile'이 새로이 추가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의료영상 시스템의 플랫폼 기반 SoC 설계를 위해 DICOM 의료영상 전송 표준의 TLS(Transport Layer Security)에 추가된 AES TLS Secure Transport Connection Profile인 TLS_RSA_WITH_AES_ 128_CBC_SHA 중 AES_CBC와 SHA 보안 알고리즘을 각각의 보안 IP 구현 후통합 보안 IP로 구현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대칭키 알고리즘인 AES_CBC와 해쉬함수인 SHA를 SIPAC Coding Guidelines에 따른 재설계를 통해 재사용 가능한 IP로 구현하였다. 구현된 각 IP는 FPGA에서의 검증 후 하나의 IP로 통합하기 위해 Register, Control, Top Module 등의 설계 및 각 입, 출력 비트의 AMBA Bus와의 Interface를 위한 Interface Module 설계를 통해 하나의 IP로 구현하였고, ARM9 프로세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SoC 플랫폼 장비인 EntryⅡ 장비의 ALTERA ARM9 기반 FPGA EPXA4F672C1 칩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반려동물 양육가구의 온라인 구매 만족도가 브랜드 신뢰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근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이 연구는 대한민국의 반려동물 양육가구를 대상으로 온라인 구매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그리고 재구매 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23년 10월 23일부터 11월 3일까지 웹 기반 인프라를 활용하여 실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18세 이상의 반려동물 양육가구 478곳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문답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반려동물 제품 시장에서 소비자 행동의 핵심 동인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개발을 위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도구는 Data coding 및 Data cleaning을 실행한 후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네 가지 주요 가설이 검증되었다. 고객 만족도가 브랜드 신뢰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H1을 지지하였다. H2는 브랜드 신뢰도는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H3는 온라인 구매 만족도가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H4는 브랜드 신뢰도가 온라인 구매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 사이에서 중요한 중재 소임을 수행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은 이 네 가지 가설 모두가 확인되었고, 온라인 구매 만족도와 브랜드 신뢰도(β = .432, p < .001), 브랜드 신뢰도와 재구매 의도(β = .351, p < .001), 온라인 구매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β = .284, p < .001) 사이에 유의미한 긍정적 관계가 관찰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반려동물 제품 시장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며, 고객 만족도와 브랜드 신뢰도를 향상하는 전략이 고객의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객 충성도 및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 고객 만족도와 브랜드 신뢰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의 전략적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이 연구는 반려동물 제품 시장에서의 소비자 행동에 대한 더 깊은 이해에 이바지하며, 향후 마케팅 및 소비자 행동 연구 분야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 반려동물 양육가구, 온라인 구매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재구매 의도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purchase satisfaction, brand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among pet-owning households in South Korea. Conducted from October 23 to November 3, 2023, utilizing web-based infrastructure, it surveyed 478 pet-owning households with individuals aged 18 and above. The main objective was to understand the key drivers of consumer behavior in the pet product market and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he research tools included data coding and cleaning, followed by comprehensive analysis using SPSS 25.0. Four principal hypotheses were tested: H1 posit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s brand trust; H2 indicated that brand trust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s repurchase intention; H3 suggested that online purchase satisfac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mpacts repurchase intention; and H4 proposed that brand trust plays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between online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ed all four hypotheses, revealing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online purchase satisfaction and brand trust (β = .432, p < .001), brand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β = .351, p < .001), and online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β = .284, p < .001). Th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to the pet product market, demonstrating that strategies enhanc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trust positively influence customers' repurchase intentions.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strategic importance of focusing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trust to achieve customer loyalty and sustainable business success. Additionall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in the pet product market and is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future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studies. * Keywords : Pet-owning Households, Online Purchase Satisfaction, Brand Trust, Repurchase Intention, 반려동물 양육가구, 온라인 구매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재구매 의도
1.1.1.1. 국 문 요 지 1.1.1.1.1.1. 영어 관계대명사에 관한 연구 김영근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지도교수 나병모) 본 논문은 현 고등학교 학생들이 학습하고 있는 영어교과서 내에서의 영어 관 계대명사에 관해 분석해보고, 영어 관계대명사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정리해 보았다. 2장에서는 영어의 일반 관계대명사에는 ‘who’ , ‘whose’ , ‘whose’ , ‘which’ , ‘that’ , ‘what’ 등이 있고, 관계대명사와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의사관계 대명사인 ‘as’ , than’ 이 있으며, ‘who’ , ‘which’ , ‘what’ 등에 -(so)ever이 붙 는 복합관계대명사의 형태가 있으며, 이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먼저 여러 문법요소들이 그러하듯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며, 먼저 여러 학자들이 내린 관계대명사의 정의와 발달 과정을 살펴보고, 관계대명사의 대명사로서의 기능, 연결어로서의 기능에 대해 살펴본다. 3장에서는 관계대명사의 종류와 그 용법에 관해 여러 학자들의 연구들을 토대로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서술함으로써 관계대명사의 쓰임에 대해 제시해 보았다. 4장에서는 관계대명사가 문장 속에서 나타나지 않고 생략되어도 그 의미가 통한 경우인 관계대명사의 생략에 대해 제시해 보았다. 마지막 5장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중 (주) 능률교육의 ‘High school English I’(이찬승 외 5인 2009 계정판) 와 ’ High School English II’(이찬승 외 5인 2009 계정판) 의 본문에서 나타난 관계대명사 구문을 발췌하여 정리하여 현행 고등고교서의 본문에서의 관계대명사 구문의 유형별 사용빈도에 대해 정리하여 보았다. 먼저 제한절과 비제한절로 나누어 나타내 보았으며, 제한절의 사용빈도가 비제한절의 사용빈도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다음으로 관계대명 사의 기능에 따라 분류를 해보았을 때, 주격관계대명사의 사용빈도가 다른 격의 관계대명사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비제 한적 용법을 제외와 관계대명사가 앞에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앞에 오는 경우를 제외하고 생략이 가능하여 본문 속 목적격관계대명사의 생략이 자주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교과서의 분석의 결과로 볼 때, 현 고등 영어교과서에서 다루어진 영어 관계대명사구문의 사용빈도로 볼 때, 본문 내에서 쓰인 주격,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Which가 제한절에서 이를 대신하여 관계대명사 that의 사용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복합관계대명사의 쓰임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계대명사의 생략의 빈도가 높아 그 점에 유념하여 지도해야 한다 생각된다. 따라서 영어 학습자들에게 관계대명사에 대한 학습 지도 시 관계대명사의 사용 빈도가 높은 관계대명사구문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지도하되,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빈도가 낮은 관계대명사의 구문에 대해서도 유념하여 지도함이 필수적이라 생각된다. 또한, 영어 관계대명사에 대해 지도함에 있어 학생들에게 관계대명 사에 대한 충분한 설명 후에 많은 예문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충분한 연습을 도움으로써 관계대명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된다. 1.1.1. Abstract 1.1.1.1.1. A Study on English Relatives Young-Geun Kim Major in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jin University Supervised by Byoung-Mo Rha Ph.D. In this study, relative pronouns in English are analyzed within the content of English language textbooks that current senior high school students are learning, and arranged through a comprehensive review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relative pronouns in the English language. In Chapter 2, suggestion was made on the development of relative pronouns after identifying definitions of relative pronouns that many previous scholars had made as many grammatical elements have shown, in order to clarify those relative pronouns including general relative pronouns like “who”, “whose”, “which”, “that” and “what”, quasi relative pronouns like “as” and “than”, and form of compound relative pronouns like “who”, “which” and “what” added with suffix -(so)ever. In Chapter 3, suggestion was made on the function of relative pronouns as pronouns and as connective words, and in Chapter 4, usages of relative pro- nouns are described through comprehensive check based on studies by many scholars on kinds and usages of relative pronouns. In Chapter 5, omission of relative pronouns was checked as a case that meaning is understood despite relative pronoun being omitted without appearing within a sentence. In Chapter 6, arrangement was taken on the frequency of use by types of relative pronoun phrases in main texts of textbooks presently being used at se- nior high schools through extraction of relative pronoun phrases appearing in main sentences of “High School English I (Lee Chan-seung et al 2009, revised edition) of Neungyule Education, Inc. and “High School English II” (Lee Chan- seung et al 2009, revised edition) among current English textbooks for senior high schools. In the first place, division was taken into restrictive clause and non-restrictive one, and use frequency of restrictive clauses appearing higher than that of non-restrictive one, and next, classifying functions of relative pro- nouns, use frequency of subjective relative pronoun showed higher than other types of relative pronouns, and in addition, accusative relative pronouns can be omitted except the cases of non-restrictive usage and of preposition coming ahead of relative pronoun, which shows frequent occurrence of omission of accusative relative pronouns in main texts. In view of results from analysis of English textbooks, in the light of use fre- quency of relative pronoun phrases of English that are dealt with at current English language textbooks for senior high schools, high use frequency was found of relative pronouns “that” replacing subjective and accusative pro- nouns “who(m)” and “which” used in main texts, and of almost no use of compound relative pronouns.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teaching should be done in consideration of high frequency of omission of relative pronouns. Therefore, when guiding learners’ study of English, guide should be focused on phrases of relative pronouns with high use frequency, and essential guide should also be considered on relative pronouns with relatively low frequency of use. Furthermore, in guiding on relative pronouns of English, it is important to enhance understanding levels of relative pronouns through helping students take sufficient practice suggesting many example sentences after giving suffi- cient explanations on relative pronouns to students.
중공 강재 베이스플레이트가 부착된 PC기둥을 활용한 기초의 뚫림전단강도에 관한 연구
김영근 금오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Since the 1980s with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iques over 100 floors above 50 floors of the skyscraper was in progress. The advent of high-rise buildings due to an increase in foundation thickness was inevitable. Some columns of the local stress concentration will increase the overall mat thickness. New problems were due to increased thickness. Technology which is used to solve this new problem by reducing the foundation thickness should be studied. Foundation increased weight due to the increase in thickness. These issues are many problems during the construction.( 1 days concrete casting limits due to the inevitable occurrence of the joints construction and the excess of the minimum reinforced, hydration emerging issues, including the difficulty rock. etc ) Therefore, foundation reducing the thickness of one days concrete casting as a construction area due to expansion joints to minimize, reduce excavation, concrete and reinforced reduction, hydration, such as reduced construction period and economic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is research i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unching shear of foundation-column connections using precast concrete column with steel base plate for thickness reduction of foundation. 1980년대 이후 건축기술의 발달과 함께 50층을 넘어 100층 이상의 초고층건물 시대로 진행되었다. 초고층건물의 등장으로 이에 따른 기초두께의 증가가 불가피 하게 되었다. 일부 기둥의 국부적인 응력집중으로 전체 매트두께가 증가하고 이런 두께 증가로 인해 새로운 문제점이 나타나 기초두께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초 두께 증가에 따른 문제점으로는 1일 타설량 한계로 인한 불가피한 시공 조인트의 발생과 과도한 최소철근, 수화열 문제 대두, 암반일 경우 등 어려움이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초 두께를 감소시켜 나감으로서 1일 콘크리트 타설 면적 확대로 인한 시공 조인트 최소화, 터파기량 감소, 콘크리트 및 철근량 감소, 수화열 감소 등의 공기 및 경제성이 향상되어 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C기둥-기초 접합부분을 중공-확장형 강재 베이스 플레이트로 보강한 실험체에 대한 축력 재하 실험을 실시하여, PC기둥에 부착된 강재 베이스플레이트의 기초판 뚫림전단에 대한 보강효과를 정량화 하기위한 기초적 실험 연구를 수행한다.
Fuzzy-AHP-TOPSIS를 활용한 자동차 공장의 조달물류 평가에 관한 연구
김영근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19 국내석사
자동차 산업은 서비스, 소재, 부품 등 다양한 산업이 연관되어 있어 국가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간산업이다. 또한 우리나라에 자동차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있어 대한민국 경제에서 자동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하지만 2018년 한미 FTA 재협상뿐만 아니라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으로 빚어진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면서 자동차 수출시장이 어려워지게 되었고 내수경제 또한 침체되며 위기를 겪고 있다. 이러한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완화와 더불어 정책적인 지원도 필요하지만 회사를 경영하는데 있어 수익개선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수익개선을 위해선 인건비 절감, 광고비 절감뿐만 아니라 HRV(Hours Per Vehicle) 지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HPV지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근로여건 개선, 생산라인 개선, 조달물류 개선 등의 방법이 있다. 근로여건 개선과 생산라인의 개선 방안을 통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소요된다. 그러나 조달물류 개선의 경우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이룰 수 있어 경영측면이나 공장 체질개선에는 필수항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공장의 조달물류 효율성 향상과 작업 안전성을 위해 G사에서 도입중인 SPQRC 모델을 기초로 In-depth인터뷰를 통해 요인을 도출하여 평가모델을 만들고 Fuzzy-AHP-TOPSIS모형을 토대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장기품질문제 해결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자재 결품 정지시간 최소화와 장비사고 방지, 단기품질문제 해결 순으로 나타났다. G사의 공장 평가결과 B공장의 Fci값이 0.577로 조달물류 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공장의 경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 자동차회사에서 사용 중인 분석요인들을 통하여 조달물류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제시했을 뿐 아니라 이 모델을 통해 주기적으로 공장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여 이윤극대화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회사와 직원 간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어 자동차 산업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조달물류 특성상 공장과 협력업체 구분 없이 평가를 진행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자동차 공장과 협력업체 간 구분하여 공장 별 전문가의 인식 차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컴퓨터동화를 이용한 마인드 맵 활동이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 the effect of mind map activity using computer fairy tale to vocabulary improvement of language delayed children. Subjects of the study are four-to-six-year-old children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language delayed children having experience of under six-month speech therapy without medication treatment, who don't have double disability. The study progressed for three months divided twelve terms. The computer fairy tales as the study tool used twelve selected stories that four-to-six-year-old children could understand. Experiment method was made use of pre-and post test design between subjects. As an examination tool, "Preschooler's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Scale(PRES)" were used to examine recept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The study result was showed with a chart and a graph. The study went according to the progress that the children and therapist watch the computer fairy tale in the introduction phase and develop the several mind map activities after selecting the keyword, afterward, they watch that again and talk about the keyword seeing mind map in the last pha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o see the improvement in the receptive vocabulary, each children's receptive language age was improved eight-month, six-month and six-month for three month of the study. Second, to see the improvement in expressive vocabulary, each children's expressive language age was improved seven-month, seven-month and six-month. for three month of th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동화를 이용한 마인드맵 활동이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4∼6세, 병원에서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진단을 받고 언어치료 경험이 6개월 미만이며 약물 치료는 하지 않으며 중복 장애가 없는 아동으로 연구기간은 총 12회기로 나누어 3개월간 진행되었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컴퓨터동화는 만 4∼6세가 이해 가능한 총 15편 중 12편을 선택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은 사전-사후 설계 법을 활용하였으며 검사도구는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를 사용하여 수용언어능력과 표현언어능력을 검사하였고 결과 처리는 표와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연구 절차는 도입단계에서는 아동과 치료사가 컴퓨터동화를 시청하고 전개단계에서는 핵심주제어를 선택한 후 다양한 마인드 맵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후 다시 컴퓨터동화를 시청하고 마무리단계에서는 마인드 맵을 보면 핵심 주제어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자유롭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상 아동 3명에게서 수용언어능력 및 표현언어능력이 모두 향상되었다. 수용언어능력 증가에 대해 살펴보면 본 연구가 3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대상 아동의 수용언어연령은 각각 8개월, 6개월, 6개월의 향상을 보였다. 표현언어능력의 증가에 대해 살펴보면 3개월 동안 진행된 연구에서 대상 아동들은 표현언어연령이 각각 7개월, 7개월, 6개월 향상되었다. 이로 인해 컴퓨터동화를 이용한 마인드 맵 활동이 언어발달지체 아동들의 언어능력 향상을 돕는 유용한 하나의 방법임을 알았다.
근린생활공간 활성화를 통한 도새재생 계획안 : 송파구 삼전초등학교 일대를 중심으로
김영근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Old and backward neighborhood spaces are exist with being spread out in most cities. But contemporary urban plans have focused on only huge development. Moreover, the many plans include that destroying all environment of existing neighborhood spaces before a construction of a brand new city. But existing neighborhood spaces have some resource that made by resident's daily life. Although even residents don't know existence of the resources, but that are very important as potential of reactivation of neighborhood spaces. Because of the resources will be optimized neighborhood identity that could distinguish each neighborhoods. For this, I studied C.A Perry's thesis and comparatively analysed existing neighborhood spaces in Seoul. And I extracted some strategics about especially situations of Korean neighborhoods. I planed 4 step principles and then, I applied to the site. The plan consist of total environment design for 30 years that contents public facilities, residential, commercial, street-scape and even urban regeneration. 근린생활공간의 중요성이 과소평가되면서 살던 동네를 전면 철거후 재개발하는 방식이 도시재생의 주요기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비록 낙후된 근린생활 공간이라 하더라도 오랜 시간 축적되어온 거주민들의 삶과 이야기가 녹아있으며, 이런 무형의 자원을 그 마을이 지니는 고유의 개성으로 인정하고 이를 발전·개발 시킬 수 있는 도시재생기법이 필요하다. 구도심이거나 오래된 신도시에서 관찰할 수 있는 낙후된 근린생활공간은 우리나라 전역에 비슷한 경관으로 존재한다. 이런 곳에서는 차도와 인도가 복잡하게 얽혀있거나, 너무 좁은 도로망으로 구획되어있다거나, 근린공간에 활력이 될 만한 요소가 없는 등의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낙후된 근린생활공간이더라도 페리의 근린주구이론에서 발전된 시설입지 조건으로 따져 보자면, 대부분 적당한 거리에 적당한 시설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론적 시설 입지조건을 만족하는 근린공간이 왜 낙후되었는가를 선행 연구고찰과 실제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활성화된 근린공간으로 꼽을 수 있는 곳을 분석하여 밝히고자 했다. 또한, 그렇게 도출된 결론을 실제 대상지에 적용하여 낙후된 근린생활공간을 안전하며, 활기차게 만들 수 있도록 장기적인 계획으로써의 마스터플랜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