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우조선해양 사태에 대한 연구 : 회계처리를 중심으로

        김연하 嶺南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대우조선해양의 사례를 통해 수익과 비용을 인식할 때 조선업에서 사용하는 진행기준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회계의 목적은 기업실체와 관련된 유용한 경제적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은 이를 이용하여, 특히 수익 정보를 통해 기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판단하여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따라서, 회계기준에서는 기업이 가장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회계처리방식을 정하여 이렇게 생성된 회계정보가 이해관계자들이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회계처리방식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기업의 재량이 포함될 수 있다면 이는 정보의 비대칭이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기업의 이해관계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회계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투자를 한 투자자에게는 큰 손실을 발생시킬 가능성까지 존재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이러한 수익과 비용의 인식을 함에 있어서 이익을 부풀리는 방식을 통해 기업이해관계자에게 보여 지는 정보를 왜곡하였다고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 중인 조선업의 진행기준 처리에서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제도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제도의 도입과 경영자의 재량을 줄일 수 있는 우수한 내부회계제도(사외이사제도와 감사위원회)의 도입이 동시에 진행되어야만 조선업에서 행해지는 진행기준 수익인식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효과적인 방법일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DSME issues focused on accounting methods. The objective of accounting is for shareholders to decide right judgment in the future. So firms should decide accounting methods provided useful information. However,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ccounting methods, if discretion of CEO can be included, this may lead to an asymmetry in the information. This would not only be unable to achieve the purpose of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shareholders, but it could also lead to potential losses to investors. In the case of DSME, they distorted the information by inflating profits through the process of realizing profits and expenses. The cause of this problem is accounting system of progress in shipbuilding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problems of the accounting system of progress in shipbuilding industry, learned how to reduce discretion of CEO. The study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way by excellent internal accounting system by outside the Board of Directors and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firm. Also, this study showed that it would be most effective to control the discretion of CEO with independence and expertise of outside the Board of Directors and the Board of Audit.

      • 소설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 연구

        김연하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어 교육에서는 학습자의 학습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서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읽기와 쓰기 기능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읽기와 쓰기는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에서 경제적 활동과 대학을 진학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기능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읽기와 쓰기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읽기와 쓰기를 개별적으로 교육하는 것보다는 통합하여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재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언어 숙달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읽기 텍스트에 대한 요구가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텍스트로 문학 작품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학습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적으로 수업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학습 수준이 다른 학습자들이 하나의 집단 구성원이 되어서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고 주어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협동 학습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협동 학습의 모형 중에서 학습자의 읽기와 쓰기 능력을 향상하고자 고안된 CIRC (Cooperative Integrated Reading and Composition) 프로그램이 있다. 그러나 이는 읽기·쓰기 교육의 효과적인 협동 학습 모형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교육에서 이 모형을 활용하고자 하는 논의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학을 진학하기 위한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협동 학습의 모형을 적용해 소설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 모색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를 통해 연구에 임하였다. 첫째로 협동 학습과 소설 작품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에 대한 내용을 살펴본 후, 한국어 교육에서 논의되고 있는 협동 학습, 읽기·쓰기 통합 교육, 문학 작품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협동 학습과 관련된 논의와 소설 작품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가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협동 학습을 통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읽기·쓰기의 통합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협동 학습과 CIRC 프로그램의 개념과 정의, 수업 절차를 살펴보았다. 셋째로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소설 작품의 현황과 읽기·쓰기 활동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소설 작품의 경우 각 읽기와 쓰기 단계에 따른 활동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넷째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토대로 읽기·쓰기 모형은 CIRC 프로그램과 소설 교육 모형을 검토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소설 작품 ‘사랑손님과 어머니’를 선정하여 교육 방안 실제를 마련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협동 학습의 모형으로 고안된 CIR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소설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쓰기 통합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협동 학습을 통해 상호보완적으로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소설 교육에 대해 흥미를 가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learners' needs become more diverse, they have come to recognize the need for reading and writing functions that have been overlooked. Reading and writing are considered essential functions for Korean learners to pursue economic opportunities and college in Korea.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teach reading and writing, it is best to teach reading and writing together rather than individually. In addition, as the language proficiency of Korean learners increases, the demand for reading texts is diversifying. Therefore, we looked at literary works with text that could meet these needs. Among the models of cooperative learning, there is the CIRC (Cooperative Integrated Reading and Composition) program designed to improve learners' reading and writing skills. CIRC is an effective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however, due to insufficient discussion about it, CIRC is not being adequately util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find an integrated education plan for Korean reading and writing using novels by applying the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to advanced Korean learner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the contents of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reading/writing integrated education method using novel works, and the previous studies on cooperative learning, reading/writing integrated education, and literary works discussed in Korean education were review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discussions related to coope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s on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using novel works were insufficient. Second, to prepar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the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in reading and writing was considered, and the concepts, definitions, and teaching procedure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CIRC programs were examined. Third, the current status of the novel work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and the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were examined and problems were discussed.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the novel works in Korean textbooks lacked activities appropriate to each reading and writing stage. Fourth, based on the problem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the CIRC program and novel education model were reviewed, and a model intended to be used in Korean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was suggested. Based on this, the novel “Love Guest and Mother” was selected to prepare an educational pla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ecause it proposed a method for integrating Korean reading and writing using novels by utilizing the CIRC program designed as a model for cooperative lear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is, I hope that learners of Korean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language skill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nd become interested in novel education.

      • 패션샵 실내조명환경에 관한 연구

        김연하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양한 형태의 패션샵이 나타나고, 기업간의 경쟁과 판매전략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을 매장안으로 유도하여 상품을 돋보이게 하므로 해서 구매욕을 갖도록 하고, 다양한 패션샵을 표현하고 공간을 연출하는 역할로써 조명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단지 실내를 밝히는 일차원적인 측면이 아니라 조명 방법을 어떻게 적절하게 나누어 사용하느냐, 사용용도, 목적에서 전체의 분위기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를 정하고, 그 효과를 빛내기 위해서는 어떠한 광원을 어떻게 설치하여 디자인할 지를 생각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조명이 갖는 의미를 생각하고, 패션샵에서의 조명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조명의 연출방식과 특성을 이론적으로 올바로 정립하고자 한다. 또한 광원의 특성과 조명기구의 사용의 목적과 형태를 알아보고, 조명에 방법에 따른 적정한 조도를 구하고자 한다. 또한 패션샵의 조명환경을 제시하면서 공간별 조명연출에 대한 이해와 조명환경에 나타나는 반응에 대해 색채, 내장재, 패브릭이 조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이것이 패션샵의 이미지를 표현하여 조명방법에 따라 구매심리와의 상관성을 알고자 하였다. 또한 이론을 바탕으로 현 패션매장의 공간의 연출방법과 조도를 측정하여 적절한 조도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매장의 조명 연출 방법을 조사한 결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은 할로겐 스포트라이트의 기법으로 디스플레이된 옷을 비춰주는 용도로 사용하였고, 전반조명은 간접조명 기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이 디스플레이를 위한 조명으로 되어 있었으며, 베이스 조명은 신경을 쓰지 않아 매장이 어두운 경우도 있었다. 그러므로 인해 매장전체가 고객으로 하여금 쾌적한 조명환경을 인상을 주지 못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적절한 조명과 다양한 조명연출을 통해 즐겁고, 쾌적한 조명의 연출이 요구되어져야 한다. 2. 매장의 공간별 조도를 측정하였는데, 쇼윈도우, 디스플레이 공간, 베이스 조명, 캐쉬 포인트, 탈의실 순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쇼윈도의 공간은 대부분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른 공간에 비해 높은 조도를 표현하였으나. 내부의 조도는 그렇지 못하였다. 일반적으로, 큰 문제점으로 나타난 것은 디스플레이 공간과 베이스조명의 조도였는데, 디스플레이 공간은 베이스 조명에 비해 2배 이상의 조도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 매장에 나타난 것은 그렇지 못하였다. 두 공간이 같은 조도를 이루고 있거나, 오히려 베이스 조명이 높은 곳도 있었다. 3. 매장에 사용하고 있는 내장재로 인한 글레어가 발생하는 것이다. 쇼케이스나 쇼윈도우에 사용되는 유리나, 매장에 사용하는 여러 내장재에 의한 반사로 인해 나타나는 글레어 현상인데, 이 현상을 줄이기 위해 시선내에 빛이 직접적으로 들어오지 않게 해야 한다. 그리고 쇼케이스나 선반의 경우 직접적으로 천장에서 바로 비추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럴 경우 케이스나 선반에 빛이 반사되어 상품을 제대로 보이지 않은 현상이 일어난다. 그렇기 때문에 글레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명디자인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현 매장이 이용되고 있는 조명연출방법과 조도를 알 수 있었는데, 매장이 나타내고 있는 조명환경은 개선해야 할 사항들이 나타났고, 조명에 대해 잘못 인식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예전에 비해 조명의 중요성의 인식하고 적절한 조도를 유지하는 매장도 있었으나 아직은 조명디자인에 대해 미흡한 것은 사실이다. 쾌적한 조명환경을 만들어 고객으로 하여금 구매욕을 일으키고, 즐거운 조명환경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조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문지식과 전문디자이너가 필요하다. 그러고 현 매장의 조명 디자인을 건축이나 인테리어측면에서 실시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한다면 이 분야에 디자이너에 대해서도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 하고 앞으로 많은 연구와 발전이 요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It is important to think about how to apply lighting methods to their respective proper purposes, not a one-dimensional aspect of lighting up the interior of a room, to decide what is needed for the whole atmosphere regarding their uses and purposes, and to consider how to install and design what kind of a light source in order to produce the effect.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ink of the meaning of lighting and establish a theoretical idea for lighting production methods and its characteristics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lighting. It was also aimed at getting a proper intensity of illumin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light source, the purposes and forms of using a lighting appliance and a lighting method. And it sought to understand the lighting production for each space in fashion shops' lighting environments and how responses and colors that appear in the lighting environments, interior materials and fabrics affect lighting and to see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and the buying psychology according to how the fashion shops expressed their images. Also, the study made a measurement of present fashion shops' space production methods and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for each space on the basis of the theory to see whether they were using a proper intensity of illumination. Thus,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t was found in the investigation of fashion shops' lighting productions that the most often used method was a halogen spotlight method, which was used to shine on the displayed clothes, and an indirect lighting method was used for the overall lighting. But most lighting units were intended for the sake of display, and some fashion shops were partly dark because they paid little attention to base lighting. 2. The measurement of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in each space in fashion shops found that the space in almost every show window showed a relatively high intensity of illumination while the intensities of illumination in most other spaces weren't very high. In general,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in the display space and that in the base lighting were the biggest problems. They usually showed the same level of intensity of illumination, but sometimes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in the base lighting was higher than that in the display space in some fashion shops. 3. Glare is produced due to interior materials used in fashion shops. Such glare phenomena appear due to the reflection of several interior materials used in the shops such as show cases, show windows or glass. In case of show cases or shelves, lights were shone on many of them directly from ceilings, and in such case, the light reflects on a show case or a shelf, making it difficult to see the products on it and blocking customers' intere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glare and consider it when designing a lighting.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lighting production methods and intensities of illumination used by present fashion shops were understood. Some things were found to require improvement in their lighting environments, and lighting was, in some cases, misunderstood. But although some fashion shops were foun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lighting and keep a proper intensity of illumination, most of the fashion shops showed their lighting designs were not satisfactory. Arousing customers' interest and buying desire by creating a pleasant lighting environment requires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lighting, some expertise of lighting and a specialist lighting designer.

      • 임상 간호사의 근골격계 불편감과 유해요인 정도에 관한 연구

        김연하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지 임상 간호사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불편감을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요인 실천정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하는 3개 대학병원의 임상 간호사 22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사용한 도구는 8명의 임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하여 만들어진 50문항의 5점 척도 설문지였다. 분석은 PASW 19.0을 사용하였다. 팔/팔꿈치를 제외한 모든 신체부위별 근골격계에서 초과근무시간이 간호환경요인, 직무스트레스요인, 인체공학적 작업공간요인과 밀접한 상호관계가 있었다.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어깨 근골격계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초과근무시간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다리/발 근골격게 불편감에서 밤번일수가 조직체계요인, 사회심리부족요인과 서로 밀접한 상호관계를 이루었다. 상지 근골격계 불편감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시 초과시간을 포함한 효율적인 일정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하지 근골격게 불편감 관리 프로그램 개발 시 밤번 근무를 하는 간호사에게서 조직체계와 사회적 지지를 강화할 것을 권장한다. 핵심단어: 임상 간호사, 근골격계 불편감, 유해요인

      • 재가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 생태학 이론을 바탕으로

        김연하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Belsky(1980)의 생태학 모델을 기반으로 재가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죽음불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한 경로모형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주는 개인유기체 요인은 우울, 자아통합감, 영적안녕감으로 설정하였으며, 미시체계 요인은 가족지지로, 외체계 요인으로는 사회적연락망, 노인차별경험, 가족주의가치관으로 설정하여 경로모형의 적합도와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9월 19일부터 10월 19일까지 B 광역시에 소재하는 10개구의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은 65세부터 85세 미만의 노인 189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가설모형의 값은 2.77 (p=.429)로‘이론적 모형과 수집된 자료에 의한 모형이 같다’는 귀무가설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모형의 적합지수는 /df=.92, GFI=.99, AGFI=.95, RMR=.01, RMSEA=<.01, NFI=.98, TLI=1.01, CFI=1.00로 나타나 권장수준을 충족하여 가설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2)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가족지지, 사회적연락망, 가족주의가치관으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2%이었다. 죽음불안은 우울과 가족주의가치관이 높을수록, 사회적 연락망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의 지지정도가 낮을수록 죽음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적안녕감과 노인차별경험은 우울을 매개로 죽음불안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죽음불안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이며, 가족지지, 사회적연락망, 가족주의가치관은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의 죽음불안을 경감시키기 위해 우울을 감소시키는 중재를 제공하는 것 뿐 만 아니라 노인이 속한 환경, 즉 가족 및 친구 등과의 관계 개선, 그리고 지역사회 지지체계 기반확충 등이 필요하다.

      • 해체주의에 기반한 패션 리디자인 개발

        김연하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심각한 기후 변화에 의한 자연과 인간의 삶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은 패션 산업이 기존의 비즈니스 방식을 고수할 수 없다는 전반적인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재료와 제품 생산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제품을 끝까지 활용하고 한 단계 더 나아가 재사용의 가치를 강조하는 순환 경제를 실천하는 리디자인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소유자가 버리거나 버릴 의도가 있거나 버려야 하는 의류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제품 수명 연장을 통해 순환 경제를 실천하는 효율적인 리디자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폐기된 정장류의 아이템 아홉 개를 해체하고 기존 의류가 가지고 있는 디자인 요소를 최대한 활용하여 순환 경제를 실천하는 리디자인 원리 10R 중 재사용, 재제조, 재창출과 해체주의의 전파, 탈구성, 탈중심, 불연속의 조형적 특성을 살린 드레이핑에 의한 재구성을 통해 “흔적”을 주제로 두 개의 아이템을 한 벌로 총 네 벌로 구성된 리디자인 패션 컬렉션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폐기된 의류가 재활용을 통해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미적 가치가 재발견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의류 폐기물이 리디자인 과정을 거쳐 의류 수명이 연장되어 천연자원에 대한 의존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폐기된 의류의 해체와 드레이핑에 의한 재구성을 통해 효율적인 리디자인 패션이 구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향후 지속가능한 패션을 위해 창의적이고 상업적으로 가치 있는 리디자인 테크닉과 디자인 개발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간호사의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조직몰입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연하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조직몰입과 재직의도를 조사하고,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재직의도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였다. 자료는 J도에 소재한 2개의 병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중 설문에 동의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1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230부가 자료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구대상자는 모두 여성이었으며, 연령은 29세 이하가 47.8%로 가장 많았다. 결혼 여부는 미혼이 63.9%로 많았으며,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70.0%로 가장 많았다. 임상경력은 10년 이상이 32.6%로 가장 많았고, 현 부서 근무기간은 1∼3년 미만이 49.1%로 가장 많았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90.4%로 많았고, 근무부서는 병동이 65.2%로 가장 많았으며, 근무형태는 3교대 근무가 84.8%로 가장 많았다. 둘째, 대상자의 폭력경험은 평균 15.16±13.44점이었고, 하위영역은 언어적 폭력 5.32±4.37점, 신체적 위협 4.73±4.94점, 신체적 폭력은 5.11±6.80점이었다. 회복탄력성은 평균 3.29±0.51점이었고, 하위영역은 강인성 3.11±0.61점, 지속성 3.42±0.54점, 낙관성 3.26±0.69점, 지지력 4.02±0.61점, 영성 2.85±0.74점이었다. 조직몰입은 평균 2.91±0.55점이었고, 하위영역은 사명감 3.03±0.62점, 자긍심 2.88±0.69점, 재직욕구 2.75±0.73점이었다. 재직의도는 평균 5.17±1.34점이었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폭력경험의 차이는 결혼여부(p=.033), 임상경력(p=.001), 현 부서 근무기간(p<.001), 직위(p=.014), 근무부서( p=.005), 근무형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는 현 부서 근무기간( p=.024), 직위(p=.003), 근무형태(p=.02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의 차이는 연령(p=.002), 결혼여부(p=.003), 임상경력(p<.001), 현 부서 근무기간(p=.005), 직위( p<.001), 근무형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의 차이는 연령(p=.002), 결혼여부(p<.001), 학력(p=.007), 임상경력(p=.026), 직위(p=.001), 근무형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곱째, 대상자의 폭력경험, 회복탄력성, 조직몰입, 재직의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재직의도는 폭력경험(r=-.16, p=.014)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회복탄력성(r=.40, p<.001), 조직몰입(r=.49,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덟째, 대상자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변수들의 재직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39.4%로 나타났다. 학력(β=0.14, p=.014), 근무형태(β=0.14, p=.041)와 회복탄력성(β=0.17, p=.005), 조직몰입(β=0.40, p<.001)이 재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은 학력, 근무형태, 회복탄력성, 조직몰입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재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규명이 되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멘토링 및 코칭프로그램, 회복탄력성 강화교육의 제공, 상사의 지지, 간호인력관리 및 역량강화교육 등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is purposed to investigate the violence experience, resilience, organization commitment, and intention to stay at work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improve nurses' intention to stay at work by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ir intention to stay at work.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the institution to which the researcher belongs. For the dat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2021 to August 31, 2021 for those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one year at two hospitals located in J‐province, who agreed to the questionnaire, 230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ver. 25.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ll subjects were female, and the age of the subjects was 29 years or younger, which consist of 47.8%, the most. As for marital status, 63.9% were single, and as for education, university graduates accounted for the most at 70.0%.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as the most at 32.6%, and those who worked in the current department for less than 1 to 3 years accounted for the most at 49.1%. As for the position, the majority was general nurses (90.4%), and in terms of work department, the ward accounted for the most at 65.2%, and as for the type of work, three‐shift work was the most common at 84.8%. Second, the subjects’ violence experience averaged 15.16±13.44 points, and the sub‐domains were verbal violence 5.32±4.37 points, physical threat 4.73±4.94 points, and physical violence 5.11±6.80 points. The average resilience score was 3.29±0.51 points, and the sub‐domains were tenacity 3.11±0.61 points, persistence 3.42±0.54 points, optimism 3.26±0.69 points, support 4.02±0.61 points, and spirituality 2.85±0.74 points. The average organization commitment score was 2.91±0.55 points, and the sub‐domains were a sense of mission 3.03±0.62 points, self‐esteem 2.88±0.69 points, and desire to work 2.75±0.73 points. The average score fo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was 5.17±1.34 points. Third, as for the differences in violence experi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p=.033), clinical experience (p=.001), current department working period (p<.001), position (p=.014), and working department. (p=.005), and work type (p<.001). Fourth, as for the differences in resilience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urrent department working period (p=.024), position (p=.003), and work type (p=.025). Fifth, as for the differences in organization commit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002), marital status (p=.003), clinical experience (p<.001), current department working period (p=.005), position (p<.001), and work type (p<.001). Sixth, as for the differences in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002), marital status (p<.001), education (p=.007), clinical experience (p=.026), position (p=.001) and work type (p<.001). Seventh,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violence experience, resilience, organization commitment, and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the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violence experience (r= ‐.16, p=.014),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r=.40, p<.001) and organization commitment(r=.49, p<.001). Eighth,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intention to stay at work, the explanatory power of all variables fo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was found to be 39.4%. It was found that education (β=0.14, p=.014), work type (β=0.14, p=.041) and resilience (β=0.17, p=.005), and organization commitment (β=0.40, p<.001)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Conclusio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dictive variables affecting nurses’ intention to stay at work were found to be education, work type, resilience, and organization commitment. In particular, it was identified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and the organization commitment, the higher the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o stay at work. Therefore, to increase nurse's intention to stay at work, it is necessary to have mentoring, coaching program, provision of resilience strengthening education, supervisor's support, nursing manpower management and competency strengthen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