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터드커넥터의 사용성 한계상태에 관한 적용성

        김연태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47

        합성보는 특성이 다른 구조재료를 전단연결재 등을 사용하여 일체화하여 합성거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합성거동에 따른 높은 강성을 확보하고 경제성을 추구하는 구조시스템이다. 따라서 합성보는 단면성능의 향상으로 휨내력의 증진과 강성 증진에 의한 지진 등의 진동에 대한 저항성 및 수평강성 증대 등의 장점을 갖고 있으며 하중지지력도 증가하여 강재보의 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합성보에서 콘크리트와 강재보 사이의 접합에 사용되는 전단 연결재는 일반적인 경우 콘크리트-강재보 접합면의 이격 현상이나 슬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합성구조의 구조적인 메카니즘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단 연결재가 부착된 전단 접합부 주변의 거동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강재보가 매입철판과 같은 지지물의 하중을 슬래브에 절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강재보에 부착되는 각종 지지물의 전달하중에 대한 스터드커넥터의 부착하중 전달성능에 대해 검증하고 이를 위한 설계기준의 내력식의 타당성을 실험을 통하여 입증하고자 하였다. 합성보의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ub-Beam의 인장하중 실험결과 실험체의 최대내력은 공칭전단강도와 설계강도를 상회하며 설계강도에 상응하는 스터드커넥터의 최대변형도는 설계하중에서 하중전달거동에 이상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2) Sub-Beam의 면내모멘트 실험결과 실험체의 최대내력은 공칭전단강도와 설계강도를 상회하며 설계강도에 상응하는 스터드커넥터의 최대변형도는 설계하중에서 하중전달거동에 이상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3) Sub-Beam의 면외모멘트 실험결과 실험체의 최대내력은 설계하중를 상회하며 설계하중에 상응하는 스터드 커넥터의 변형도는 설계하중에서 하중전달 거동에 이상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4) Sub-Beam의 조합하중 전달성능 실험결과 스터드 커넥터의 변형도는 스터드커넥터가 가력점의 직상부에 위치할 때 가장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920mm 간격으로 2개 지점에서 동시에 인장하중을 받을 때 설계하중 25 tf 범위내에서는 하중전달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920 mm 간격으로 인장하중과 면내모멘트를 받을 때, 인장하중과 면외모멘트를 받을 때에도 설계하중 범위 에서는 하중전달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 이상의 실험으로 ACI 349 CCD방법에 의해 결정한 인장 및 모멘트에 대한 설계내력은 스터드의 탄성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방법에 의한 설계방법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composite beam is the structure system that used different material for high strength and economical efficiency. Such composite beam, stud connectors are used between reinforced concrete and steel member in order to composite effect. The stud connectors prevent concrete separating from steel member and transmit load of steel member to concrete by shear mechanism. However, there is no study about the load transfer mechanism of stud connector when a steel beam transmits a load of a support such as insert plate to concrete slab. So the capacity of stud connection under tensile force, in-plane moment and out-plane moment were investigated by experimental approach. Five test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The first test was to evaluate the tensile force transfer mechanism of stud connectors between reinforced concrete slab and steel beam. Composite beams, which had different size of H-section beam, were tested to verify the tensile behavior of the connection. The second one is to evaluate the in plane moment transfer mechanism of stud connectors. The third one is to evaluate the out of plane moment transfer mechanism of stud connectors. The last is to evaluate composite loads transfer mechanism of stud connector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ollowing these. (1) The results of first, second, and third tests are shown that the load transfer mechanism of stud connectors between reinforced concrete slab and steel beam has no problem. (2) The results of the last test, which the specimen has two loading points, are shown that the load transfer mechanism of stud connectors has no problem. (3) From the experiment results, the procedure of ACI 349 CCD method for the composite beam is identified rational.

      • 대나무기름의 항산화력과 항균력에 관한연구

        김연태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나무 줄기의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전자공여능 및 항산화력, 아질산염소거능, 항균력 그리고 최소저해농도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자공여능은 대조구인 BHA가 90%, Vit 93%였으며, 대나무줄기 추출물인 B.O은 85%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B/A와 B/W는 각각 63, 55%로 B.O보다 비교적 낮게 나타내었다. 2. 지질과산화물 생성억제와 malonaldehyde 생성억제 효과는 B.O > B/A > B/W의 순으로 B.O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3. 아질산염소거능은 B.O이 51%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B/A와 B/W는 각각 16%, 10%로 매우 낮게 나타내었다. 4. S. mutans, S. mitis, S. gordonii, S. sanguinis, S. ratti S. criceti S. aureus 균주들에대한 각 시료들의 항균력은 H > B.O, B.O/A, > B/A > B/W > G 순으로 나타내었다. 5. E. coli에 대한 각 시료들의 항균력은 B.O > B.O/A, > B/A > B/W > H, G 순으로 나타내었다. 6. C. albicans에 대한 각 시료들의 항균력은 B.O, H > B.O/A > B/A > B/W > G 순으로 나타내었다. 7. B.O의 경우 S. sanguinis와 S. ratti는 2%이상, S. mutans, S. mitis, S. gordonii, C. albicans, S. epidermidis들은 1%이상, S. criceti와 S. aureus는 0.5%이상, E. coli는 0.25%이상에서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내었다. 8. H(0.2%-chlorohexidine)의 경우 C. albicans는 2%이상, S. ratti와 S. criceti는 1%이상, S. mutans, S. mitis, S. aureus들은 0.5%이상, S. gordonii와 S. sanguinis는 0.25%이상에서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내었다. Effficacy of Antioxidation and Antimicrobial of Bamboo (Phyllosr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alcohol extracts of bamboo stalks and water extracts of bamboo stalks was investigate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extract from bamboo stalks 85% in Bamboo(Phyllosr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while that of alcohol extracts of bamboo stalks and water extracts of bamboo stalks showed low level. In each an extract from bamboo stalks, inhibition activities against lipid peroxide and malonaldehyde formation were Bamboo(Phyllosr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 alcohol extracts of bamboo stalks and water extracts of bamboo stalks. Nitrite-Scavenging activity of extrac from bamboo stalks 51% in Bamboo(Phyllosr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while that of alcohol extracts of bamboo stalks and water extracts of bamboo stalks showed very low level.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mitis, Streptococcus gordonii, Streptococcus sanguis, Streptococcus ratti, Streptococcus criceti and Staphylococcus. aureus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effect on 0.2%-chlorohexidine > 100%-bamboo oil, 1:1-bamboo oil/alcohol > alcohol extracts of bamboo stalks > water extracts of bamboo stalks > gagrin. Escherichia coli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effect on 100%-bamboo oil, 1:1-bamboo oil/alcohol > alcohol extracts of bamboo stalks > water extracts of bamboo stalks > 0.2%-chlorohexidine, gagrin. Candida albicans 0.2%-chlorohexidine, 100%-bamboo oil, 1:1-bamboo oil/alcohol > alcohol extracts of bamboo stalks > water extracts of bamboo stalks > gagrin.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he Bamboo(Phyllosr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mitis, Streptococcus gordonii, Streptococcus sanguinis, Streptococcus ratti, Streptococcus criceti, Candida albican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were 1%, 1%, 1%, 2%, 2%, 0.5%, 1%, 0.5%, 1% and 0.25%, respectivel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he 0.2%-chlorohexidine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mitis, Streptococcus gordonii, Streptococcus sanguinis, Streptococcus ratti, Streptococcus criceti, Candida albicans, Staphylococcus aureus were 0.5%, 0.5%, 0.25%, 0.25%, 1%, 1%, 2% and 0.5%, respectively.

      • 메타지노믹스 분석을 통한 정상인과 치주질환자 간 구강내 미생물 비교

        김연태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지노믹스 분석을 통하여 정상인과 치주질환 이환군에 대한 구강 내 타액, 치은연상 치태 그리고 치은연하 치태로부터 미생물 유전체를 추출하고, 각 군별 샘플 내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치은연하 치태와 비교하여 타액과 치은연상 치태의 미생물 군집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Materials and methods: 총 20명(정상군 10명, 치주질환 이환군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정상군과 치주질환 이환군 모두에서 타액, 치은연상 치태 샘플을 채취하였으며, 추가로 치주질환 이환군에서는 가장 깊은 깊이를 보이는 치주낭에서 치은연하 치태 샘플을 채취하였다. 각 샘플에서 DNA 추출 후, 16S rRNA 유전자 상의 V3-V4 초가변영역을 대상으로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증폭 및 정제하고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장비를 이용해 메타지놈 시퀀싱 및 생물정보학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Results: 구강내 미생물의 알파 다양성 비교에서 정상과 치주질환 이환군을 비교하였을 때, 치은연상 치태 샘플과 타액 샘플 모두 풍요도(richness)와 균등도(evenness)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타액 샘플에서 차이가 나는 경향을 보였다. 채취 위치에 따른 분석에서는 치은연상 치태 샘플에 비해 타액 샘플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베타 다양성 분석에서는 치은연하 샘플이 치주질환 이환군의 클러스터링 양상과 유사함을 보였다. 상대적 미생물 풍부도 분석(bacterial relative abundance analysis)에서 치주질환 이환군에 비해 정상군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특정 병원성 균주(Porphyromonas gingivalis, Treponema denticola,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해 치은연상 치태 샘플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타액 샘플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또한 타액 샘플은 치은연하 치태 샘플과 유사한 분석 양상을 보였다. Conclusion: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치주질환 이환군은 정상군에 비해 높은 알파 다양성 추정치를 보였고, 베타 다양성 분석에서는 치은연하 샘플이 치주질환 이환군의 클러스터링 추정 양상과 유사함을 보였다. 또한 상대적 미생물 풍부도 분석에서 샘플 채취 위치에 따른 문(phylum) 수준 및 특정 병원성 균주의 변화 양상을 비교하였을 때, 치은연상 치태 샘플에 비해 타액 샘플이 치은연하 샘플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microbial communities through the metagenomic analysis via microbial genome extraction from the saliva, supra-gingival plaque, and sub-gingival plaque of both healthy and periodontal disease group.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0 subjects (healthy subjects: 10 and periodontitis subjects: 10) were recruited. In both healthy and periodontitis groups, samples of saliva and supra-gingival plaque were collected, and in the group with periodontal disease. Additionally, in the periodontitis group, subgingival plaqu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deepest periodontal pocket. After DNA extraction from each sampl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was performed on the V3-V4 hypervariable region on the 16S rRNA gene, followed by metagenome sequencing and bioinformatics analysis. Results: When comparing the group with healthy group and periodontal disease group of the alpha-diversity, saliva samples demonstrated comparably larger difference of bacterial diversity than supra-gingival plaque samples, even though both supra-gingival plaque and saliva sampl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richness and evenness of bacterial communities. According to sampling sites, we observe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in saliva sample than in supra-gingival plaque sample. In our beta-diversity analysis, subgingival plaque sample exhibited clustering pattern that is similar to that of periodontitis group. Bacterial richness analysis in species level indicated relatively lower richness of bacteria in healthy group than in periodontitis group. Especially, for specific pathogenic species (Porphyromonas gingivalis, Treponema denticola, Prevotella intermedi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acterial richness was observed in saliva samples, whereas supra-gingival calculus samples yielded no meaningful difference. Moreover, saliva exhibited similar relativistic richness of bacterial communities as that of subgingival calculus samples.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periodontitis group demonstrated increased richness and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ies compared to healthy group. Comparison of variation of Phylum level species and specific pathogenic bacterial specie showed that saliva samples better represent tendency observed in sub-gingival plaque samples than supra-gingival plaque samples.

      • 아동들의 태권도수련이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연태 경희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들의 태권도수련이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7년 현재 서울·경기지역의 초등학생 중 태권도 도장에서 수련중인 유품자 120명과 유급자 120명, 비수련자 120명 총 360명을 유층집락무선표집법(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는 330명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는 Furman(1985)가 제작한 NRI(Network of Relationship Inventory)를 구창모(2000)가 번안한 내용과 김은지(1996)가 표준화한 또래관계 측정 설문 문항을 토대로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을 묻는 문항은 오창길(2002), 임현철(2002), 박종필(2002)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학교생활적응검사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 사용된 구체적인 통계방법은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아동들의 태권도수련이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는 집단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아동들의 태권도 수련에 따른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는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태권도 수련에 참가하는 아동들의 또래관계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들 중 공통점을 찾아보면 또래관계의 지도성, 자신감, 적대감, 경쟁성 변인 중 지도성과 자신감이 높고, 적대감과 경쟁성 변인이 낮은 아동들이 학교생활적응에서 전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은 우리나라 아동들이 가장 많이 활동하고 있는 신체활동 중 또래집단과 함께 어울려 수련하고 있는 태권도 수련활동을 통해서 자신감 함양과 강자로서 약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태권도의 정신 교육 및 인성교육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hildren's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during taekwondo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360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participants of taekwondo activity programs in the Seoul and Kuyng-gi area by using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Out of the 360 questionnaires responded to, only 330 were used for data analyses because 30 were responded to incompletely or incorrectly. The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was a questionnaire in which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consisted of items identified by Gu(2000) and Oh(2002), respectively.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e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both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differ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according to both socio-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both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differ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according to both Taekwondo practice. Third, peer relationship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 미국의 정보통신 자유화와 규제완화에 대한 우리의 대응방안

        김연태 가톨릭대학교 국제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1996년 2월에 있었던 미국 통신법의 전면적 개정이 미국의 대내 �외 정보통신 정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며 특히, 연구의 초점을 통신법 개정으로 야기된 미국의 정보통신 산업정책의 변화가 한국의 정보통신산업에 미친 영향과 이에 맞추어 한국정부가 강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국내 �외 경쟁력 강화 정책을 도출하는데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는 두 가지의 큰 틀을 수립하였는데 첫째는 미국의 통신법 개정이 미국내 통신정책과 통신산업 그리고 개별기업들에게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며 둘레는 이러한 미국내 통신산업의 변화가 대외적으로 특히, 한국의 통신정책과 통신산업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크게 세 가지의 연구방향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첫째는 1996년 2월 단행되었던 미국의 통신법 개정이 갖는 대변화의 의의를 고찰해 보기 위하여 미국 통신정책의 변천에 대한 역사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역사적 연구를 통해 대규모 규제완화 조치를 통해 자연독점 체제를 유지해오던 미국 정보통신업계의 시장구도를 자유경쟁 시장체제로 전환해 놓은 1996년 통신법 개정의 규모를 측정해보고 이를 토대로 미정부의 통신정책의 변화 기조를 파악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둘째는 통신법의 전면적 개정으로 나타났던 미국내 통신정책의 변화가 미국통신산업과 업계에 미친 내용을 파악하여 이것들이 미국 정부와 통신 기업의 대외 시장전략에 미친 영향과 그 범위를 설명하였다. 특히 미국 정부의 Information Superhighway 계획과 맞물려 진행된 대규모 규제완화 조치는 업체간 경쟁을 촉진시키고 동시에 자유시장 원리에 기초를 둔 대규모 전략적 제휴를 유발하며 다국적 기업을 형성시켰고 이것이 세계통신 시장의 판도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통신법 개정과 통신정책의 변화가 한국의 통신산업과 통신정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정부차원에서 어떠한 경쟁력 강화 정책을 수립할 것인지에 대한 대안을 제기하였다. 이에 대한 정책으로 첫째는 우리 통신시장의 자유화 및 규제완화의 문제점 및 해소방안으로 시장 진입규제의 철폐, 유선방송 사업을 중심으로 지방 통신시장의 경쟁력 제고, 경쟁력을 제고하는 정책적 조치, 정부부처의 재조정, 외국사업자에 대한 국내 통신시장 개방 그리고 한국통신의 경쟁력 제고를 해야 한다. 둘째는 치열한 국가간 기술개발 경쟁시대에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 사이에서는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R&D투자의 우선 순위를 재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통신산업의 경쟁력 확보가 어려우므로 기술개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투자의 우선 순위의 설정이 필요해졌다. 기술개발 투자의 우선 순위 설정을 하는데 고려할 사항으로는 목적별 우선 순위 설정, 단계별 우선 순위 설정, 수단별 우선 순위 설정 그리고 연구주체별 우선 순위 설정을 한 다음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를 하는 것이 효율성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보통신산업 해외진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우리 통신시장의 자유화 및 규제완화의 문제점을 정부의 각 부처 협조아래 종합적으로 보완하고 외국의 관런 주체틀과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기술개발 투자의 효율화를 촉진시키는 것이아말로 해외진출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purports to analyse the impact of the major amendment of U.S. Telecommunication Acts, in the February of 1996, on the domestic and foreign telecommunication policies of United States. In particular, the research put a focus on examining the influence of changing telecommunication policy of United States, due to the 1996 amendments, to the telecommunication industry of Korea and suggesting the effective telecommunication policy alternatives of Korean government to come up with It. In the bottom-line, this research establish two stages analytical frameworks. First, it analyzes the domestic impacts of the 1996 amendments on telecommunication policles, industry, and individual firms within United States. Second, it investigates multiplier effects of 1996 amendments to foreign countries, expecially, to Korea. Thus, it appraises tile spiral impact of 1996 amendments on the telecommunication policy and industry of Korea. This research has proceeded with the three major directions. First, it carries out historical studies about the transformation of the U.S. telecommunication policy in order to benchmark the historical meaning of 1996 amendment. Particularly, throughout the historical studies, it measures the 1996 amendment scale of U.S. Telecommunication Acts which convert the telecommunication market structure from monopoly to, relatively, perfect competition. In advance, it focuses on evaluating the changing pivots of U.S. telecommunication policy. Second, it figures out the influence contexts of 1996 major amendment on U.S. domestic telecommunication policy and, in advance, policy impact on U.S. telecommunication industry. Eventually, this kind of research chain explain the changing market strategy of American telecommunication firms in foreign telecommunication market. The large scale deregulation in telecommunication sector with 'Superhighway Plan' of American government encourage more market competition among U.S. telecommunication firms and simultaneously promote large scale M&A on the basis of free market principle. In addition, it gives strong incentive of horning many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perfectly change the international market structure of telecommunication industry. Third, this research analyze the changing U.S. telecommunication policy impact, which is sparked by the 1996 amendment, on Korean telecommunication policy and industry. Furthermore, it puts a stress on bringing effective strategic reponses of Korean government and telecommunication firm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ides three categories of major policy suggestions. First, it recommends to abolish entry barriers, promote local competition and CATV, implement pro-competitive policy measures, enhance foreign market access, restructure the regulatory body, and finally harness the competitiveness of Korea Telecommunication. Second, it put the top priority on R&D investment and 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 because major foreign countries including United States tend to put the top priority on R&D investment to strength the competitiveness of telecommunication industry. The major contents of the priority relating to technological investment are followed as setting priority by purpose, by stages, by methods, and by researcher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echnological investment. Finally, the cooperation among regulatory bodies is necessary to resolve all emerging problems from the global trend of deregulation and liberalization and further, need to cooperate with foreign firms and countri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 효율적인 딥러닝을 위한 다양한 활성화 함수 적용 연구

        김연태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효율적인 딥러닝을 위한 다양한 활성화 함수 적용 연구 본 연구는 인공 신경망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인 활성화 함수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였습니다. 인공신경망에서 활성화 함수의 역할과 중요성을 감안하여, 다양한 활성화 함 수들의 성능 비교 및 혼합 사용에 대한 효과를 탐구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MLP와 CNN 의 두가지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특히 주기함수인 Sine 함수와 전 통적인 활성화 함수들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Sine 함수는 기존의 활성화 함수들과 비교하여 일관되게 높은 성능을 보였 으며, 이는 신경망이 주기적인 신호를 효과적으로 포착하고 일반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 음을 보였습니다. 또한, 다양한 활성화 함수의 혼합 사용은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접근법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혼합 활성화 함수를 사용한 실험들은 각각의 함수가 가지는 장점을 적절히 조합하여 신경망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보 여주었습니다.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activation functions, a key component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Considering the role and importance of activation functions in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e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various activation functions and their combined u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ased on MLP and CNN architectur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periodic functions like the Sine function with traditional activation fun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ne function consistently outperformed the traditional activation functions, suggesting its potential to effectively capture and generalize periodic signals in neural networks. Furthermore, the use of a mix of different activation functions proved to be a useful approach to enhance network performance. These experiments with mixed activation functions demonstrated that appropriately combining the strengths of each function can maximize the performance of neural networks.

      • Double Duals in Tandem 기어 하중에 의한 공항 콘크리트 포장 응력의 해석

        김연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항 콘크리트 포장 파손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인자는 환경하중과 교통하중이다. 최근의 포장 설계는 기존 현장 실험을 바탕으로 한 경험적 설계 방법에서 환경하중과 교통하중에 의한 포장 거동을 해석하고 잔존 수명을 예측하는 역학적-경험적 설계 방법으로 전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 별 환경특성에 따른 등가온도차이와 대형항공기에 해당하는 Double Duals in Tandem의 기어하중, 포장구조, 재료물성 등의 인자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여 슬래브에 발생하는 응력에 영향이 큰 변수를 찾고자 하였다. 이 때 국내외 공항 설계 시 사용되는 기준으로 입력 변수의 범위를 정하였고, 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FAA에서 제공하는 FEAFAA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통해 산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작용하는 하중 별 최대인장응력 발생위치와 응력크기를 Tecplot 3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파악된 응력을 바탕으로 회귀분석 프로그램 SPSS를 사용하여 하중 별 응력회귀식을 산출하였다. 응력 회귀식에 환경 인자와 교통 인자를 대입하여 얻은 응력과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에 인자를 입력하여 산출된 응력을 비교하여 상관성 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