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의 공급실태와 주거비 부담능력에 관한 연구 : 청년주택은 청년이 부담 가능한가?

        김애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interest in stable housing is growing more than ever, especially in the metropolitan area due to the rise in housing prices and the shortage of Jeonse (lump-sum deposit on a yearly lease) and monthly rents.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im of promoting housing stability for young people whose burden of housing cost has increased relative to their income. This study starts from the question “Does the ‘youth housing in railway station sphere’ of Seoul City provide affordable housing for young people?” where special urban planning is appli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upply status and usage upward change of youth housing in the station sphere and to calculate the housing cost burden for residents.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living conditions by deriv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housing cost burden of the residents of youth housing near the station and the housing satisfaction. The scope of the study is divided into two. First, to analyze the supply for upward use,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n 188 current project sites (as of September 2021) and surveyed 15 sites where residents moved in for housing burden affordability.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83 out of 188 project sites (97.3%) are upgraded and maintained above quasi-residential areas, implying high-density development around the station sphere. Second, the RIR of youth rental housing residents is 0.391, and 57 households (28.3%) not meeting the non-residential cost standards show that young people feel the burden of housing cost. Here, the average RIR of young people in the 2020 Housing Survey was 0.168, which was strikingly different from 0.201 in the metropolitan area, confirming the heavy cost burden of youth housing on young people. Lastly, the significant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implies young people’s willingness to pay if the housing is of good quality, and that only young people with a considerable level of income are moving into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ffordable youth rental housing considering young people’s housing preference factors, in addition to the housing in railway station sphere with high rental price and eligibility for occupancy according to income standard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the first empirical analysis with the lack of study that identified the housing affordability of youth rental housing and that it found the factors affecting the housing cost burde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et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youth rental housing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과 전·월세 부족 현상에 안정적인 주거에 대한 관심이 여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특히 소득대비 주거비 부담이 증가한 청년 주거에 관한 논의는 꾸준히 진행해왔으며 서울시는 지속적으로 청년을 대상으로 한 임대주택 정책을 추진해왔다. 그 일환으로 중앙정부와 연계하여 ‘서울시 공적임대주택 5개년(18~22) 공급 계획’에서 2022년까지 역세권 청년주택 8만 호를 포함한 임대주택 24만 호를 공급할 계획으로 발표했다. 하지만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해 공공이 용도 지역 상향과 용적률 완화 등 한시적으로 도시 계획적 특례를 제공해 민간사업자에 혜택을 주고 투자 활성화를 유도해 역세권 주변을 고밀 개발하려는 입법 취지를 지녔다. 따라서 이 연구는 도시 계획적 특례가 적용된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은 청년에게 부담 가능한 주거를 제공하고 있는가? 라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이에 역세권 청년 주택의 운영조례 및 용도 지역 상향에 관한 공급실태를 분석하고, 거주자 대상으로 주거비 부담능력을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하여 역세권 청년 주택 거주자 주거비 부담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주거 만족 등 거주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용도 상향에 대한 공급 분석을 위해 현재(2021년 9월 기준) 사업대상지인 188개소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주거비 부담능력에 관한 내용은 입주 완료된 15개소를 중심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대상지인 188개소 중 183개소(97.3%)가 준주거지역 이상으로 용도 상향 및 유지되고 있어 역세권을 중심으로 고밀 개발이 예측된다. 둘째, 청년주택 거주자 평균 월 소득은 234만 원, 월 주거 지출비 67.9만 원, 보증금 6,756만 원으로 도출되었다. RIR은 0.391이며 비주거비 기준 미달 가구는 57가구(28.3%)로 청년들이 상당한 수준으로 주거비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2020 주거실태조사 청년의 평균 RIR은 0.168, 수도권 청년 0.201과 비교했을 때도 확연하게 차이나 역세권 청년주택의 청년의 주거비 부담이 과중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민간임대와 공공임대 거주자 간의 주거비 부담능력과 주거 만족이 유의미한 차이가 도출되며 민간임대 거주자의 주거비 부담수준이 더 높고 공공임대 거주자의 주거 만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월 소득은 민간이 더 높으나 임대료의 차이에서 나타난 결과이며 RIR이 낮을수록 주거 만족도가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주거비 부담능력과 주거 만족이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질 좋은 주거라면 청년이 부담 가능한 의사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대로 현재 역세권 청년주택 거주자는 높은 임대료를 지불 가능한 능력이 있는 일정 부분 상당한 소득이 있는 청년들이 입주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민간임대 유형도 소득 기준에 따른 입주자격을 갖추는 것과 임대료가 높은 역세권 지역 이외에 청년의 주거 선호요인을 고려한 부담 가능한 청년주택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안정적인 주거 수요가 높아진 사회적 흐름 가운데 주거비 부담이 증가한 청년을 대상으로 주거비 부담수준을 측정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청년주택의 거주자 주거 부담능력을 파악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최초로 실증분석했다는 점과 주거비 부담능력과 주거 만족의 영향 관계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해당 연구 결과는 추후 청년주택의 운영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Q방법론을 활용한 아동복지의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김애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아동복지 분야에서 무상급식, 무상보육, 아동수당과 같은 보편적 복지가 크게 대두되면서 아동복지에 관한 관심의 증가와 동시에 이를 둘러싼 책임 주체, 재원, 사회적 형평성 등 쟁점 또한 확대가 일어나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즉, 사회구성원들의 아동복지에 관한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는 사회적 필요성에 따라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복지에 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더불어 아동복지 인식에 관한 정책의 제공자와 수혜자 등 다양한 주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대상을 아동복지현장 전문가, 학계전문가, 일반인으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1. 아동복지에 관한 인식 유형은 어떠한가? 연구 2. 아동복지에 관한 인식 유형별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방법 및 절차의 첫 번째는 Q모집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문헌연구, 질문지, 포커스그룹 인터뷰,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는 Q샘플을 선정하기 위해 4차에 걸쳐 타당도를 받았으며, 사전검사와 신뢰도 검사를 통해 최종 Q샘플을 선정하였다. 세 번째는 P표본을 선정하기 위해 일반인 31명, 현장 및 학계 전문가 33명으로 선정하였다. 네 번째는 Q카드와 분포도를 만들어서 Q샘플을 분류하였으며, 분포도의 양극단에 분류한 진술문에 대해서는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다섯 번째는 취합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QUANL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유형에 대한 해석과 명명은 동료 검토법을 활용하여 워크숍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일반인은 총 4개의 유형이 추출되었으며 아동복지 전문가는 총 2개의 유형이 추출되었다. 일반인은 아동복지의 방향에 대해서는 보편적 복지로 나아 되 이를 위한 주체적 역할은 부모라는 인식을 나타낸 가치혼돈 보편주의형, 아동복지에 있어서 효율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는 효율중심 선별주의형, 보편적 복지로 아동복지가 확대 투자 되어야 한다는 믿음 아래 국가의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국가중심 이상추구형, 아동복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보편적 복지인데 현재 아동복지는 저소득 다문화 등 요보호 아동을 중심으로 실천되고 있음을 비판하는 내실중심 현실비판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는 두 그룹으로 형성되었다. 아동복지의 방향을 보편적 복지로 추구하고, 아동복지의 대상은 아동과 가족으로 인식하지만, 현재 아동에게 주어지는 급여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인식을 지니고있는 국가책임 보편주의형과 현재 도움이 필요한 아동들에게도 적절한 실천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도움이 필요한 아동에게 먼저 복지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요보호 집중 추구형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아동복지의 복지인식에 관한 주관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방법론적으로는 아동복지 학계 전문가, 현장전문가, 일반인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고 유형에 대한 해석 및 명명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동료 검토법을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아동복지 관련 정책과 실천에 적용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함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결과가 아동복지에 대한 연구와 실천현장 적용에 확산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growing interest in the welfare of children, as well as the issues of responsibility, resources, and social equity as the universal welfare such as free meals, free childcare, and child allowances in the field of child welfare has increased. It was. In other words, social members began to respond to social necessity to confirm welfare awareness of child welfare. In this study, Q-methodology was applied to examine the welfare cognition of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various subjectivity of child welfare cognition,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child welfare specialists, practitioners, and the general public. Therefor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types of recognitions about child welfare?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recognition type about child welfare? The first part of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consists of the Q population. The statements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studies, questionnaires,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Next, we received four rounds of validity to select a Q sample. The final Q sample was selected through preliminary and reliability tests. Third, 31 public and 33 field and academic experts were selected to select P-samples. Fourth, Q samples were classified by making a Q card and a distribution map, and an interview was conducted on statements classified at both ends of the distribution map. Fifth, the QUAN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interpretation and naming of types were conducted in a workshop using peer re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four types were extracted from the general public and two types were extracted from the child welfare specialist. The general public is better at universal welfare for the direction of children's welfare, but the value-based chaotic universalism that recognizes that the main role is the parents, the efficiency-centered selectiveism that recognizes the efficiency in children's welfare. Under the belief that children's welfare should be expanded and invested in universal welfare, there was a state-centered ideal pursuit tha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tate responsibility.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welfare for children is universal welfare, but the reality is that the child welfare is a reality-critical reality criticism that criticizes that children's welfare is centered around low-income multicultural children. Experts were formed into two groups. The first type was the universally responsible type of national responsibility, which pursues the direction of child welfare as universal welfare, and recognizes the target of child welfare as children and families, but that the social provisions given to children are not diverse. The second type is focused on urgent care, recognizing that welfare is first to be done for children who need help, and that children need help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subjectivity of the welfare perception of child welfare, and the methodologically reflects the various opinions of child welfare academia experts, field practitioners, and the general public, interprets and names the types. It is significant that the peer review method was used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ere are implication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policies and practices related to child welfa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pread the research on child welfare and the application of practice fields.

      • 유산 여성의 유산스트레스와 우울 및 PTSD 증상의 관계에서 대처유연성의 조절효과

        김애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을 경험한 여성들이 지각한 유산스트레스가 우울 및 PTSD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처유연성이 이를 완화시켜 주는지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유산 후 6개월 이상 2년 이내의 여성 113명이 조사에 참여하였고, 조사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32.97(SD = 3.88)세, 평균 유산 후 경과 기간은 13.17(SD = 5.19)개월이었다. 연구는 출산 및 육아와 관련한 카페를 통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산스트레스와 우울 및 PTSD 증상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대처유연성의 경우 우울 증상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PTSD와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유산스트레스가 우울 및 PTSD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처유연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산으로 인하여 여성들이 심각한 정도의 우울 및 PTSD 증상들을 경험하고 있으며, 대처유연성이 이러한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in relationship between miscarriage stress and depression & PTSD symptoms in women who experienced miscarriage. A total 113 women who experienced duration miscarriage between 6 months and 2 yea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32.97(SD = 3.88) and the mean duration of after miscarriage was 13.17(SD = 5.19)month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online questionnaires through online cafes related to childbirth and childcare.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iscarriage stress and depression and PTSD symptoms. Coping flexibility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ymptoms,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TS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rating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scarriage stress and depression & PTSD symptoms was significant. This study suggested that women were experiencing severe depression and PTSD symptoms due to miscarriage, and coping flexibility can help alleviate these symptoms.

      • 작도·합동단원의 교수학적 변환 분석

        김애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2009개정 수학교육과정의 기하영역부분 중 작도와 합동의 단원에서 ‘결정조건’ 용어가 삭제되었다. 결정조건이 삭제되어도 되는 것인가? 하는 의문점과 함께 작도와 합동단원에서의 교수학적 문제들을 알아보고 알아야할 학문적 지식을 살펴봄으로써 교과지식에 제공한다. 또한, 작도와 합동단원의 우리나라 천재교육 교과서와 《Geometry, Wright Group, McGraw-Hill》와 《Geometry, Glencoe, McGraw-Hill 비교 분석하였다.

      • 야요이 쿠사마에 있어서 자기소멸 이미지의 해석

        김애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nterpreting the Self-Obliteration Image in the Works of Yayoi Kusama in light of feminity an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For this, A different point of view is needed to make up for the existing viewpoints which confront with each other and to give salience to her uniqueness and distinctiveness. In this respect, I brought up the psychoanalysis as the methodology for this study. Formalists included her works in the various trends such as Abstract Expressionism of New York School, Pop art, Zero group or Monochrome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ist critics including Greenberg. On the other hand, advocates who focused on pathological aspect of Kusama's psychological and sexual obsessions belittle her works as symptomatic results of mental disorder. However, these two points of view are contradictory and they couldn't show the difference of Kusama as a asian woman artist who had mental disorder. Kusama has asserted that her works are a kind of self-therapy but follow of the trend at that time. But considering the fact that an artist also is a social individual a self-reflexive and socialized presence and the various strategies strategy that she work out for her succes in the art world of New York, we can find out there is a critical gap between these two positions. In addition, on the matter of difference, formalists fail to show the differences in the context surrounding her while the the pathological interpretation eliminates her difference because it makes Kusama as a mysterious artist who is isolated from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day. In this regard, I suggest a new critical angle to bridge these gaps in the interpretation. While accepting her mental disorder, we also need to find a way to express it strategically in the trend of art world. Therefore, it was necessary for me to read this Self-obliteration Image in relation to the specific situation she was placed in. For this, I adopted Bracha Lichtenberg Ettinger's Matrixial Gaze theory to show the feminine character belong to Self-obliteration Image. Also I brought the masquerade concept from Mimicry as for Mimicry with play and the specific feminine case for a social and cultural analysis of Self-obliteration Image. The notion of Matrixial gaze connotes the original feminine subjectivity, so it provided a proper position to her in the male-dominated society. After Kusama used the word "Self-Obliteration," the word became a necessary concept in discussing her works. Her consistent assertion about Self-Obliteration has been expressed in the works of Kusama's whole life time. Self-obliteration Image has been shown in her work as she experienced hallucination when she was young. The trauma caused by her mother's strict training was led to hallucination. Disadvantagious position as an Asian woman with mantal disorder in the male-dominated New York art society and the situation of her mother country which was during the war at that time gave her more traumas. After all, her first trauma linked to social traumas and these social traumas were caused by controling power of phallus. At that time, her works were expressed in the form of Over-exposure, and the result of Over-exposure came back to trauma that was created by the from the phallic point of view. Her way of expression is not only for the extinction of herself but also contrarily shows the strong existence of feminine subjectivity. As well, the Self-obliteration Image in the Infinity Net series interpretated as the 'art-works-as-symptom' which shows feminine subjectivity related Ettinger's Matrixial gaze bring about the discussions on how she relates her Infinity Net painting and herself. There are Matrixial space, and Kusama shows original feminine subjectivity by marking and touching Net painting constantly. 본 연구는 쿠사마의 자기소멸이미지를 여성적 특수성과 사회 문화적 맥락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대립되는 해석적 관점을 보완하고, 특수성과 차이를 부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비평적 시각과 관점이 필요했다. 연구자는 이런 필요에 따라 정신분석학을 본 연구의 이론적인 방법론으로 삼았다. 형식주의 비평가들은 그린버그로 대표되는 모더니즘 비평의 관점에서 쿠사마의 작업을 뉴욕스쿨의 추상 표현주의, 팝아트, 제로그룹, 모노크롬 등 당시의 다양한 미술 사조들에 편입시켰다. 한편, 작가의 정신적 장애, 즉 강박증적 편집증이나 환각 증세와 같은 병리학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 관점을 가진 논자들은 그녀의 작업을 이러한 정신적 장애의 징후적 결과물로 치부해 버렸다. 문제는 이 두 가지 관점이 서로 대립된다는 것이며, 동시에 쿠사마가 가진 차이(즉 정신적 장애가 있는 아시아 여성 미술가라는 차이)를 드러내지 못한다는 점이다. 작가 자신은 스스로의 작업에 대해서 어떤 형식적인 추종도 없다고 말하며, 자신의 작업은 병에 대한 자가 치료와 같은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예술가 역시 사회라는 장에서 상징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사회적인 개인이라는 점과 쿠사마가 뉴욕 미술계에서 성공하기 위해 취했던 다양한 전략들을 상기해 본다면, 이 두 가지의 견해 사이에는 해석적 간극이 생겨난다. 또한 차이의 문제에 있어서도 형식주의적 견해는 그 특성상 쿠사마를 둘러싼 맥락적 차이를 드러낼 수 없으며, 장애의 관점 역시 쿠사마를 사회적, 문화적 맥락과는 동떨어져 고립된 신비한 예술가쯤으로 만들어 버려서, 결국 차이를 무화시켜 버리는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이런 해석적 간극을 메우는 지점에서 새로운 비평의 관점과 틀이 제기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정신적 장애를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어떻게 미술계의 흐름 속에서 전략적으로 표출될 수 있는가의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 자기소멸이미지를 그녀가 처한 특수한 상황과 맥락을 고려한 읽기를 시도했다. 이를 위해 자기소멸이미지가 가진 여성적 특수성을 드러내 주기 위해 대안적 방법론으로서 브라하 리히텐베르크 에팅어(Bracha Lichtenberg Ettinger)의 매트릭스적인 응시의 개념(The Matrixial gaze)을 가져 왔다. 또한 자기소멸이미지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해석하기 위해, 놀이로서의 미미크리(mimicry)와 그 특수한 여성적 사례로서의 가장(masquerade)개념을 가져 왔다. 매트릭스적인 응시의 개념은, 고유한 여성적 주체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서, 남성 중심적인 사회에서 여성 미술가로서의 그녀의 적당한 위치를 자리매김할 수 있는 해석적 단초를 제공해 주었다. ‘자기 소멸‘이라는 단어는 쿠사마 자신이 최초에 사용한 이후로, 그녀의 작업에 대해 이야기할 때에 빼 놓을 수 없는 개념이 되었다. 이 ‘자기소멸’에 관한 쿠사마의 일관된 주장은 그녀의 전 생애에 걸친 작품에서 꾸준히 드러나고 있다. 자기 소멸 이미지는 그녀가 유년 시절에 환각을 경험하면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는 어머니의 혹독한 훈육으로 인한 트라우마에 의한 것이었다. 또한 그녀에게 트라우마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전쟁 중이었던 당시 일본의 사회적 배경과, 그녀가 백인 남성 중심의 뉴욕 미술계에서 겪어야 했던 질병이 있는 동양인 여성으로서의 불리한 위치에 이르기까지 계속되었다. 결국 쿠사마를 유년시절부터 전 생애에 걸쳐 억눌러 왔던 유년기의 트라우마는 사회적인 트라우마로 연결되며, 이 사회적인 트라우마는 그녀가 처해졌던 상황 속에서 남근적인 지배 권력에 의한 것이었다. 이때에 나타나는 그녀의 작업들은 여성적인 과잉노출의 한 형태로 드러났으며, 이러한 과잉노출의 결과는 다시금 남근적인 시선에 의한 트라우마로 되돌아 왔다. 이것은 자기소멸이라는 그녀의 표현방식이 단순히 쿠사마라는 주체가 소멸된다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여성적 주체로서의 현존을 강력하게 표명하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무한망 시리즈에서의 자기소멸이미지는 에팅어가 말한 매트릭스적인 응시와 관련된 여성적 주체성을 드러내 주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매트릭스적인 응시는 쿠사마의 무한망 작업과 쿠사마 자신이 어떻게 관계 맺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이끌어냈는데, 무한망 회화와 작가 사이에는 매트릭스적인 공간이 존재하고, 이 공간에서 쿠사마는 작품과 끊임없이 접촉하는 제작방식으로, 그 흔적을 남김으로써 고유한 여성적 주체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 A two-step quantitative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based on capillary electrophoresis-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coupled with multiplex PCR and its application in food system

        김애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식중독균의 빠른 검출이 식품 안전에 있어 중요한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외식과 급식 산업의 증가 등의 이유로 식중독 발생 사례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기존 전통적인 배양방식에 근거한 식중독균 검출방법은 최종 결과를 얻기까지 며칠의 시간이 소요되며, 분리 배양 및 생화학적 검사 등을 거쳐 정확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소요되고 있는 것에 비해 낮은 민감도와 정확성을 보여, 정밀하고 빠른 식중독균 진단법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DNA를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기법들이 선보이고 있다. 이 중 다중 증폭 기술 (multiplex PCR)은 다양한 식중독균의 동시적인 분석이 가능케 하며, 각 유전자의 유전적 변이에 따른 2차 구조 차이에 근거한 분리 기술인 단일쇄 형태변환 다형성 (SSCP)를 통해 모세관 전기영동 (CE)에서 이동 속도 차이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요 식중독균 8 종 Salmonella typhimurium, Clostridium perfringen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Campylobacter jejuni, Vibrio parahaemolyticus, Yersinia enterocolitica 그리고 Escherichia coli O157의 16s rRNA gene 및 장출혈성 대장균의 rfbE gene을 대상으로 하는 특이적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모세관 전기영동 상에서 동시적 분석하였으며, 생물계통적 게놈 (genomic DNA)과 피크 넓이 간의 높은 선형성을 보이는 상관관계를 그려내 정량분석의 지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식품에서 식중독균의 검출법 확립을 위해 멸균된 밥에 인위적으로 접종한 주요 식중독균 7 종 Salmonella typhimurium, Clostridium perfringen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Yersinia enterocolitica 그리고 Escherichia coli O157이 별다른 증균 과정 없이 모두 10³ CFU/ml 정도의 양이 존재할 시 동시적 검출이 가능함을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식품 샘플부터 최종 결과 확인까지 5 시간 미만이 걸리며, 이는 현존하는 다른 분자생물학적 기법들과 비교 시 빠르고 정밀한 분석법이라는 점에서 매우 큰 장점을 가진다. 모세관 전기영동은 높은 분석능과 재현성을 가지고 있으며, 민감하고 정밀한 동시적이고 정량적인 분석을 가능케 하여 전통적인 분석법이 가진 한계를 대신할 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실험의 분석방법은 식품에서 매우 적은 양의 식중독균이 존재할 시에도 증균 과정 없이 동시적인 분석이 가능함을 보여줘 다양한 식중독균의 분석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apid and effectiv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food-borne pathogens is important not only in controlling and investigating food-borne diseases but also for improving food safety and management in the food industry. A parallel analysis method using capillary electrophoresis-based 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CE-SSCP) combined with specific PCR was developed for detection of multiple pathogens associated with food poisoning. A novel two-step technique involving multiplex PCR and CE-SSCP analysis for identification of pathogens followed by singleplex PCR quantification was also performed. The important eight food-borne pathogens, including Salmonella enterica, Clostridium perfringen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Campylobacter jejuni, Yersinia enterocolitica, Vibrio parahaemolyticus, and Escherichia coli O157 were analyzed and simultaneously identified by CE-SSCP coupled with multiplex PCR. Subsequently, the identified pathogens were quantified using singleplex PCR with specific primer. The specific primers were targeted to lipopolysaccharide O-antibody (rfbE) gene in Escherichia coli O157 and 16S rRNA genes in other seven pathogens. These primers showed high sensitivity, which can detect small amounts of target DNA (0.2 - 24 pg per μL). This method was applied to food system, cooked rice. A mixture set of grown seven microbe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O157, Vibrio parahaemolyticus, Yersinia enterocolitica,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Clostrdium perfringens was serially diluted in buffered peptone water (BPW) to having different concentrations, ranging 10³ to 10^(6) CFU per ml of pathogens. They were inoculated into cooked rice sample which was then homogenized with BPW. The genomic DNA of pathogen mixture in the sample was extracted for subsequent analysis with the developed method, CE-SSCP based on multiplex PCR. The detection limit of cell number was 10³ CFU per ml in cooked rice sample. This method only takes less than 5 h to perform, so can be used for rapid investigation of causative agents of food poisoning. Its simplicity and high sensitivity may lead to improved management of food safety.

      • 경북지역 중학생의 우유 및 유제품 섭취 실태

        김애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청소년기는 전체 골격 성장의 45%가 이루어지는 시기로 유년기나 성인기에 비해 칼슘 필요량이 매우 높은 시기이다(최혜미 등 2009). 특히 청소년기에는 체내에 칼슘이 급속도로 보유되는데 여자에서는 13세, 남자에서는 14.5세에 그 보유 속도가 최대치에 이른다(이연숙 등 2008). 초경 이후 칼슘 보유 속도는 빠르게 감소하는데, 그 원인은 섭취량의 차이보다는 흡수효율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성장기 동안에는 연령보다는 성적인 성숙도가 칼슘 보유량을 예측하는 더 좋은 인자이다(한국영양학회 2005). 이 시기에 칼슘 섭취가 부족하면 골격의 석회화가 불충분해지고 성장이 지연될 뿐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도 골다공증 발생과 깊은 관련이 된다고 보고하였다(한지숙 등 2002). 역학조사에 의하면 칼슘 섭취량은 아동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성숙되는 시기의 최대 골질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뼈의 밀도는 30세 경에 최대 골질량에 도달한 후에 서서히 감소한다. 특히 여성에서 폐경 이후에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부족으로 인하여 골밀도는 급격히 감소한다(김숙희 등 2006). 그렇기 때문에 골 형성이 진행되고 있는 시기에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량은 골밀도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으며 동시에 영양섭취 상태를 개선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우유 및 유제품 섭취량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골밀도 및 골 건강 상태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다(이정숙 등 2006). 또한 20대 이전의 우유 및 유제품 섭취 경험이 나이가 어릴수록, 섭취 경험기간이 길수록 골밀도에 유의하다는 보고도 있다(강은주 1998). 이러한 보고로 볼 때 청소년기의 우유 및 유제품 섭취는 성장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칼슘대사의 불균형으로 인한 대표적인 질환인 골다공증의 예방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칼슘의 급원식품 중에서 체내 이용률이 가장 높은 것은 칼슘 함량이 높으면서 칼슘의 흡수를 촉진시키는 유당을 함유하고 있는 우유 및 유제품이다(장유경 등 2006). 그리고 멸치, 뱅어포 등의 뼈째 먹는 생선도 좋은 급원이다. 또한 짙은 녹색 채소류, 두류, 곡류, 해조류 등도 칼슘을 공급한다. 그러나 식물성 식품 중에는 칼슘의 흡수를 방해하는 식이섬유, 수산, 피틴산 등이 들어 있기 때문에 체내 이용률이 매우 낮다. 일반적으로 동물성 식품의 칼슘 흡수율이 25%인 반면, 식물성 식품의 칼슘 흡수율은 5% 미만에 불과하다(장유경 등 2007). 지난 10여 년간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칼슘 섭취량은 권장량의 80% 내외에 머물러 있었다(장유경 등 2007).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의하면 국민 1일 1인당 평균 칼슘 섭취량은 475.8mg으로 권장섭취량의 65.4%로 매우 낮은 편이며, 특히 13~19세 청소년은 1일 칼슘 섭취량이 평균 455.1mg으로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율은 50% 수준에 불과하였다. 또한 칼슘 영양섭취기준 미만을 섭취하는 비율이 72.2% 이었으며, 연령과 상관없이 모든 군에서 평균필요량 미만을 섭취하는 비율이 50% 이상이었다(보건복지가족부&#8228;질병관리본부 2008).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도 60% 가량이 체내 이용률이 좋지 않은 채소류, 두류, 곡류, 해조류 등의 식물성 식품으로부터 칼슘을 주로 섭취하고 있어 칼슘 부족이 더욱 우려되는 실정이다(장유경 등 2007). 2008년 국민건강통계에서도 칼슘은 채소류로 섭취하는 양이 가장 많았고 유류, 어패류, 두류가 그 다음으로 중요한 식품군이었다(보건복지가족부&#8228;질병관리본부 2008).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는 체내 칼슘 보유량에 중점을 두고 13~19세의 칼슘 권장섭취량을 남녀 각각 1,000mg, 900mg으로 설정하였다(한국영양학회 2005). 지금까지 국민영양건강조사 결과, 칼슘 섭취수준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권장섭취량을 상향 조정한 것은 청소년기는 급성장기로서 골질량이 최대로 축적되는 시기인 점과 식생활 개선을 통하여 칼슘의 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기인 점을 고려하여 칼슘 영양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칼슘의 주요 급원식품인 우유에 대한 우리나라 청소년의 섭취 실태를 살펴보면 13~19세의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가 봄, 여름, 가을의 1일 평균 섭취량이 132.2~153.6g으로 우유 섭취 권장량인 400g에 훨씬 못 미치는 양이다(한국영양학회 2005). 이렇듯 청소년의 낮은 칼슘 섭취 실태를 고려해 볼 때, 급성장기인 청소년의 현재와 미래의 건강상태가 더욱 심각하게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우유 및 유제품에 대한 섭취실태를 파악한 후에 우유 및 유제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우유 및 유제품의 기호도, 섭취실태와 영양지식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우유 섭취 증진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pattern of milk and dairy products that are the main source of calcium,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Kyongbuk provinc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participants are 590 junior-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Kyongbuk province. Out of the participants, 53.7% lived in urban areas whereas 46.3% lived in rural areas. The boys were 49.3% of the participants and girls were 50.7%, showing relatively even ratio. To the question ‘beverage I drink the most’, 30.6% of the students answered ‘milk or dairy products’, which marked the highest. 2. Students who said they like milk were 55.8% of the participants whereas 10.1% said they do not. 30.1% chose ‘because it’s good for health’ as the reason why they like milk and 37.0% chose ‘the unique smell from dairy products’ as the reason why they do not like milk. The preferences for milk and dairy products appeared in following order; ice-cream, pureed-type yogurt, processed milk, liquid-type yogurt, white milk, fortified milk, low-fat milk, cheese, butter, powdered milk. Boys showed more preference for milk and dairy products than girl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p<0.05). 3. Daily milk consumption level showed following results; 60.2% answered ‘one cup (200ml)’, 25.6% answered ‘two cups(400ml)’, 22.4% answered ‘irregular’, 14.9% answered ‘nearly none’ and 10.9% answered ‘3 cups or more(600ml)’. Generally, boys consumed more milk than girls (p<0.001). 52.4% of the participants chose one cup when asked the volume of milk consumed per intake, and students in urban area drank more volume of milk per consumption(p<0.05). 24.9% of the students said they show some kind of milk intolerance, in the forms of ‘stomachache’ 56.0%, ‘diarrhea’ 30.7% and ‘nausea’ 9.3%. 4. Students who were being provided with milk by the school were 58,9% of the participants but 41.1% said they were not provided milk by their school, and there was also a notably higher rate of milk provision in schools in urban area(p<0.001). Students whose schools do not provide milk were found to be purchasing less milk to drink than students whose schools do provide milk during breaks(p<0.05). 5. White milk was most often consumed dairy product, consumed three to four times per week. Boys had significantly higher consumption rate for all milk and dairy products than girls (p<0.001). 6. Knowledge level for milk and dairy products averaged 5.09points out of ten full points, which shows that the knowledge level was low but students do recognize that milk is good for health. 7. Some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the higher the practice level of proper dietary habits, the more often the intake of white milk, fortified milk, low-fat milk and pureed-type yogurt, and the more regular the meal intakes, the more frequent the consumption of white milk. The intake frequency of processed milk, yogurt, cheese,, butter and ice cream rose with the rise in frequency of a student eating snacks between meals. As the knowledge level of milk and dairy products increased, consumption level of white milk and fortified milk increased and consumption level of processed milk decreased. Finally, participants with higher preference for milk and dairy products consumed considerably more (p<0.001). This investigation concludes that more participants had preferences for milk than had not, and that there is a general understanding that milk is good for health and should be drank regularly but the actual consumption level was lower than the recommended level. To increase consumption of milk and dairy products, it is recommended that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consume the product they have a preference for, extensively provide milk at schools and develop a program that aims to improve preference for dairy products. In addition, structured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which emphasizes the nutritional value of dairy products from a scientific approach. Milk consumption should be encouraged as part of daily dietary requirement as suggested, which will effectively further the adolescents’ calcium intak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