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 이야기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듣기 교육 연구 : '이야기를 담은 이야기'를 중심으로

        김안나 건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used the traditional story culture as a plan to form the dynamic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while providing abundant and diverse 'Korean speaking and listening' activitie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ite. Hereupon, in chapter 2, the entire interaction aspect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narrator, listener, story, and story board on the basis of the Shuram's communication model with 'Story containing story' in order to extract the interaction aspect of the traditional story culture. As a result, the narrator used the story to persuade the listeners effectively and listeners interpreted the story according to their situational context. It was confirmed the story exchanged by the narrator and listeners contained the joy and information element, the rigorous atmosphere could be converted through the joy elements of the story and the sympathy could be formed by sharing the sympathy the narrator felt with others. Also, when the knowledge was structured into the story to deliver, the narrator was interested in that knowledge and a firm belief of having a value was delivered together, the listeners were influenced by him. The motive that listeners acquired the knowledge was arranged through the story that personalized the information element. Finally, the story board which was an entire frame of the interaction was examined intensively. The process aspect of the group intelligence formation could be confirmed. In chapter 3, the utility to apply the interactivity of the traditional story culture to the Korean languag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was discussed based on the chapter 2's analysis. Three types of utility could be deducted: first, utility as the material of the Korean language speaking and listening activity, second, utility as the teacher's conversational method, third, the utility from the learner-oriented teaching method. First, the utility as the material of the Korean language speaking and listening activity could provide the in-depth and practical Korean language speaking and listening activity, second, the utility as the teacher's conversational method could contrive the teacher's conversational method who could attract the classroom atmosphere that the sympathy was formed and could let learners feel interest in learning and participate in it autonomously. Finally, the utility from the learner-oriented teaching method provided the learner-oriented education model that learners could exchang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establish the collective intelligence by forming the learning community to share their stories. In chapter 4, the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was suggested as a case to use the three utilities practicall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ite. Adult learners possessing the Korean language skill level 4~6 were selected as ideal learning targets based on the basis of the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 criterion' at the Korean language examination test, and three types of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s were suggested each according to three utilities, and the teaching-learning plan was presented more concretely. In chapter 4, the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was suggested as a case to use the three utilities practicall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ite. Adult learners possessing the Korean language skill level 4~6 were selected as ideal learning targets based on the basis of the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 criterion' at the Korean language examination test, and three types of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s were suggested each according to three utilities, and the teaching-learning plan was presented more concretely. The traditional story culture was a place where th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narrators and listeners was done through the media of story. They exchanged their stories, enjoyed and accepted the knowledge, information, wisdom, and joy that those stories implied to make their life smoother. Engrafting the attribute of this traditional story culture in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ite will secure abundant oral statements, provide new speaking and listening activities, arouse the learners' interest and motive, and let learners participate in learning voluntarily and actively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level. In addition, this story-utilizing education is expected to be a good lubricant to the learners' life as the value of story and the narrative power of the story will affect the learners. 본고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풍부하고 다양한 ‘한국어 말하기·듣기’ 활동을 제공하는 한편, 교실 안에서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형성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전통 이야기문화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2장에서는 전통 이야기문화의 상호작용 양상을 추출하기 위하여 ‘이야기를 담은 이야기’를 슈람의 의사소통 모델을 토대로 화자, 청자, 이야기 그리고 이야기판에 각각 초점을 두고 전체적인 상호작용 양상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화자는 청자를 효과적으로 설득하기 위하여 이야기를 활용하였고, 청자는 이야기를 자기의 상황적 맥락에 따라 해석하여 자득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화자와 청자가 교환하는 이야기에는 재미와 정보 요소를 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이야기의 재미 요소를 통하여 엄중한 분위기를 전환할 수 있었으며, 화자 자신이 느끼는 공감을 타인에게 공유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지식을 이야기로 구조화하여 전달하였을 때, 그 지식에 대해 흥미를 느끼고, 가치가 있다는 확고한 화자의 신념이 함께 전달되면서 청자가 그에 감화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정보 요소를 인격화한 화자의 이야기를 통하여 청자가 지식을 습득하는 동기를 제공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의 전체 틀이라고 할 수 있는 이야기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집단지성 형성의 과정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2장의 분석을 바탕으로 전통 이야기문화의 상호작용성을 한국어 말하기·듣기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효용성에 대하여 논의해 보았다. 이에 첫 번째, ‘한국어 말하기·듣기 활동의 제재로서의 효용성’, 두 번째, ‘교사 화법의 유용한 모델로서의 가치’, 세 번째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서의 교육적 의의’로 세 가지의 교육적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한국어 말하기·듣기 활동의 제재로서의 효용성’에는 심층적이고 실제적인 한국어 말하기·듣기 활동을 제공할 수 있었으며, 두 번째, ‘교사 화법의 유용한 모델로서의 가치’는 공감대가 형성되는 교실 분위기를 이끌어 내며,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사의 화법을 고안해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서의 효용성’은 학습자들이 학습 공동체를 형성하여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지식과 정보를 교환하고 집단지성을 정립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 교육의 모형을 제공하였다. 4장에서는 세 효용성을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지도안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한국어 검정 시험에서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척도’를 기준으로 한국어 능력 4-6급을 소지한 성인 학습자를 이상적인 학습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세 효용적 의미에 따라 세 유형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각각 제시하여 더욱 더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전통 이야기문화는 이야기를 매개로 하여 화자와 청자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장이었다. 이야기를 교환하면서 이야기가 내포하고 있는 지식과 정보 그리고 지혜, 재미 등을 함께 향유하고 수용하면서 자기의 삶을 더욱 더 윤택하게 하였다. 이러한 전통 이야기문화의 속성을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접목한다면 풍부한 구술성 확보는 물론, 새로운 말하기·듣기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 및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로서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여 한국어 수준 향상에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렇듯 이야기를 활용한 교육은 이야기의 가치, 이야기가 가진 서사의 힘이 학습자에게 작용하여 학습자의 삶에 좋은 윤활유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 21세기 한국교회 예배음악의 방향 연구

        김안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1세기 한국교회 예배음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하여, 한국교회 과거와 현재의 예배음악에 관하여 살펴보고, 신학생들의 예배음악관 설문조사를 토대로 문제점들과 해결 방법들을 제시하고자 연구하였다. 따라서 한국교회 초기(1900년대)의 예배음악부터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복음송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또한 신학생들의 예배음악관 설문조사를 통하여 예비 목회자들의 예배음악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 및 설명하였다. 설문조사의 영역은 한국교회 전체 개신교의 약 65%를 차지하는 장로교단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논문은 모두 4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절과 2절로 구성된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동기, 목적 그리고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크게 3절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제1절에서는 예배와 예배음악의 정의와 기능 및 성경에 비추어 본 예배음악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제2절에서는 한국교회 예배음악의 성장과정에 관하여 1. 찬송가의 유입, 2. 찬송가의 정착단계, 3. 성가대의 초기 정착단계, 4. 성가곡의 유입, 5. 찬송가와 성가곡의 정착단계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그리고 제3절에서는 현재의 예배음악에서 사용되고 있는 1. 경배와찬양, 2. CCM, 3. 뉴에이지 음악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신학생들의 예배음악관 설문조사 결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결론 및 신학생들의 예배음악관 설문조사 내용을 토대로 앞으로 지켜나가야 할 방향들을 제시하였다. For the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church service music in the 21st century this thesis goes over Korean church service music from the past all the way to the present, and surveyed seminary students about their views on service music to research and show problems that surrounds service music and to try to find a solution. Therefore, this thesis goes over the tendency from the early Korean church service music(1900's) to the gospel song that being used in these days, also this thesis analyzedand explained preliminary pastors understanding for the service music by the survey from the seminary students on their views on service music. The survey was based and focused on the presbyterian religious body that consists of 65% of all the new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This thesis consists of 4chapters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The 1st chapter which is the introductory chapter, consists of two sections that deals with the motive and the purpose for the research, and also the range and the means in which the research covers. The 2rd chapter consists of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explains the definition and the function of service and service music, and the way bible reflects on service music. For the early Korean church service music the second section explains 1. inflow of the hymn, 2. settlement phase of the hymn, 3. early settlement phase of the church chior, 4. inflow of the sacred song, and 5. the settlement phase of sacred song and the hymn separately. The third section deals with the use of 1. worship and praise, 2. CCM, and 3. new age music in churches today. The 3th chapter introduces the results on the survey that was done on seminary students views on service music. Finally in the 4th chapter, a proposal is suggested on what direction church service music need to be followed based on the survey from the seminary students on their views on service music a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 의미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한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김안나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be needed for preparation in the future society by teachers.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young children's competencies needed in the era of future education, educational content needed for preschoolers, and teacher's role for their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addres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re competencies of early childre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econd, what are the educational contents to be taught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ag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rd, what is th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op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o explo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structure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ut of a total of 110 responses, 105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a refinement process of word correction, control, and removal before coding. The “NetMiner” program was used for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22, 17, and 19 keywords with a frequency of 3 or more were extracted.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s,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were examine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creativity', 'self-initiative', 'problem-solving ability', 'playfulness', 'adaptability', and 'personality' as the core competencies of young children requir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creativity development', 'self-directed learning', 'play-centered education', and 'living together' should be taught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ag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inducers of divergent/creative thinking’, ‘play participants/supporters’, ‘coaching’, and ‘emotional supporters’ as ‘th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has the research significance of exploring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prepar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providing basic ideas to guide 'educational direction in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flecting the opinions. Accordingly, this study provide the basic data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empirically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r practical implication to find specific practical methods to perform the teachers’ roles. 본 연구는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비하여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들의 교육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미래교육 시대에 필요한 유아의 역량과 이를 위한 교육내용, 그리고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루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인식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유아의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교사가 인식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유아교육 단계에서 가르칠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셋째, 교사가 인식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유아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유아교육 및 보육 관련 기관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배포 및 수집하였다. 총 110건의 답변 중 응답이 미흡하거나 적절하지 않은 자료를 제외하고 105건의 설문을 자료로 활용하였다. 각 연구 문제에 따라 수집 자료는 코딩 전 단어 교정 과정, 통제 과정, 제거 과정의 정제 과정을 거쳤다. 의미연결망 분석을 위해 ‘NetMiner’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수 3회 이상인 키워드를 각각 22, 17, 19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키워드를 바탕으로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 근접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매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아이겐벡터중심성(eigenvector centrality)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유아의 핵심 역량’을 ‘창의성’, ‘자기 주도력’, ‘문제해결능력’, ‘놀이성’, ‘적응력’, ‘인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유아교육 단계에서 가르칠 교육내용’에 대하여 ‘창의력 키우기’, ‘자기주도적 학습’, ‘놀이중심 교육’, ‘더불어 살아가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확산적/창의적 사고 유도자’, ‘놀이참여자/지원자’, ‘코칭’, ‘정서적 지원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유아교육’ 대한 인식을 파악하며 유아교육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미래 유아교육에서 교육 방향’을 안내하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를 갖는다. 이에 따라,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나 해당 역할들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실천 방법들을 찾아가는 실행 연구를 실증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지역아동센터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대한 심층면접조사 - 강릉지역을 중심으로 -

        김안나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대하여 심층면접으로 알아보고 종사자가 생각하는 지역아동센터의 바람직한 역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릉지역 내 있는 20개 지역아동센터 중 7개 지역아동센터를 선정하여 2010년 09월 28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센터에 방문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느끼는 직무만족 수준은 어떠한가? 두 번째 직무환경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세 번째 종사자가 생각하는 지역아동센터의 바람직한 역할은 무엇인가?

      • 토론학습에 대한 학교 밖 교사의 인식 연구

        김안나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에는 다양한 생각과 행동 양식들이 공존하고, 치열한 경쟁 속에서 서로의 이익을 위해 갈등과 반목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갈등과 반목을 해소하고 원만하고 협동적인 사회가 되기 위해서 개인 간, 집단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역량이 바로 의사소통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이며, 이 능력을 함께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것이 토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학교 밖에서 독서토론논술만을 전문으로 지도하고 있는 학교 밖 교사들은 토론 학습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어떤 형태로 가르치고 있는지, 그리고 학생들이 더 나은 의사소통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토론학습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의사소통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 역량이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에 비해 교육과정에서 토론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교과서에서는 협동학습을 통해 토론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학습 내용에 변화를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학교 안 교사들 또한 토론학습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생각이 높아지고 학교에서는 교내 토론대회를 활성화 하여, 학생들의 토론 능력을 키우고자 하고 있다. 다만 여러 가지 현실적인 여건으로 인하여 예전보다 많이 나아지기는 했지만 아직까지도 토론학습이 학교 안 수업에서 실질적으로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학교 안에서 부족한 토론학습이 학교 밖 교사들에 의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이 토론학습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양하고 많은 학습 내용을 30명 이상의 학생들에게 한꺼번에 전달해야 하는 학교 안 교사들과 달리 학교 밖에서는 소그룹으로 논술 수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토론학습을 진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수업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에 학교 안과 밖을 공교육과 사교육으로 나누어 사교육의 폐해를 논하기 보다는 학생들에게 토론학습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 해 주어야 할 것이다. 학교 안 교사와 학교 밖 교사가 협력하여 교과와 관련된 내용을 주제로 방과 후 활동에서 토론학습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그 결과를 수행평가와 연동 될 수 있도록 시스템화 한다면 학생들의 방과 후 수업 참여율도 높아지고 토론학습의 기회도 자연스럽게 많아질 것이다. 그러면서 학교 안 교사들은 토론학습을 수업에 접목하지 못하고 있다는 불편함에서 보다 자유로워 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토론은 일반 영어나 수학과 같은 사교육과는 다르다. 영어와 수학은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의 선행을 통해 학교 수업의 참여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나 토론은 과목이 아니고, 모든 과목과 학습, 인간관계에 꼭 필요한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므로 교육부에서는 독서토론논술 관련 사교육을 영어나, 수학과 같은 과목과는 다른 시각으로 보아 할 것이며 그 일환으로 학교 안 교사들이 이용하는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학교 밖 교사들도 저렴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여 교육의 혜택을 받고 보다 질 높은 교육을 학생들에게 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도 필요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교 안에서는 학생들이 토론에 관심을 갖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교내에서 정기적으로 토론대회를 개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회를 통해 학생들이 얻는 것도 많겠지만 대회를 준비하면서, 또 대회가 정례화 된다면 자연스럽게 학교 수업도 토론을 배제하지 않고 진행할 것이라 생각한다. 이제는 어떻게 해서라도 대학만 합격 하는 교육이 아닌 사회에 나와서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여 미래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가 될 수 있는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 서 있는 토론 교육을 보다 체계적이고 보편화 시켜 우리 사회에 토론 문화를 정착시켜야 할 것이다. Various thoughts and behavioral patterns coexist in modern society, and there exists conflict and hostility among people for their own interests in tough competition,. To resolve this conflict and hostility, and make an amicable and cooperative society, it is essential to have a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or groups. Therefore, modern people must have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solving capability, and these skills can be improved through discussion learning. This research was done through survey for off-school teachers who specialize in reading discussion learning to investigate what their opinions are on discussion learning, how the classes are managed, and what needs to be changed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solving capability. The above mentioned skills are now essential rather than optional. This results in changes in the curriculum so that the importance of the discussion learning is more emphasized, and that textbooks are composed of contents that encourage discussion learning through cooperation. School teachers als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discussion learning, and schools actively hold discussion contests to improve the students’ discussion skills. Although the situation has become better than before, the discussion learning in school still lacks quality class hours. Students can experience more discussion learning thanks to the off-school teachers who actively make up for the short discussion learning classes While school teachers nee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about 30 students simultaneously. off-school teachers can have a small group discussion class, leading to a better education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discussion learning. It is therefore desirable to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opportunities of discussion learning, rather than argue with the drawbacks of private education by differentiating off-school private education from on-school public education.

      • 교육방송 영어 드라마 시청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영어 듣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안나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it is essential that they be exposed to authentic English as much as possible to ensure their successful learning of spoken English language. The presentation of quality audiovisual materials is likely to stir up their interest and to attract attention. Those materials should be appropriate for children's cognitive,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stages. However, some teaching practices that tend to present limited and artificial situations without offering any background knowledge may lack effectiveness in understanding of learners and/or attracting their interest. Under these circumstances, classroom activity of viewing EBS English dramas is designed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exposure to authentic Eng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ifth-grade English dramas produced by EBS and pre- and post-viewing activities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on the imporvement of students' listening ability.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rama viewing activities depending on students'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and their learning attitudes. Previous related studies on viewing activities of EBS English dramas were reviewed to shed light on the roles of the educational broadcasting medium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dramas and effective ways of listening guidanc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tudents from two different classes in Y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Ulsan that turned out equivalent when they were tested. After they took more tests on basic English skill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learning attitude,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scores. Fifth-grade English textbooks were examined to find out what words and communicative sentences were included, and lesson plans were prepared to capitalize on the EBS dramas in class in consideration of the textbook contents. Only the experimental class was engaged in a variety of pre-, main, post-activities for about 10 minutes in every class during a 14-week period of time by applying the prepared lesson plans. In the main activities, they watched EBS English dramas, and mind-map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the final fourth sessions by offering key words in each unit and having them write down words or sentences that came into their mind. The activitie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m to organize what they learned, to compare themselves with one another, to look back on themselves and to find out their own academic deficiencies. The students and their teachers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output of the activities. The data on pre-listening comprehension, post-listening comprehension and learning attitude were analyzed by SPSS 15.0 for Window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BS drama viewing activities allowed the students to get much better scores in listening comprehension than regular English instruction. Specifically, the low-class students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t indicated that the EBS drama viewing activities were effective at boosting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f the students, and that the activities exerted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the low-class students when different level-based learner groups were compared. Second, the EBS drama viewing activities enabled them to get far better scores in learning attitude than regular English instruction. When the experimental class was surveyed, they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lass participation, learning efforts and confidence, and they sco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interest, though the intergroup gap was not significant in that regard. In conclusion, the fifth-grade EBS drama view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listening comprehension and learning attitude of the fifth graders. But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EBS dramas requires a close analysis of textbooks, selection of the right instructional model and reorganization of the textbook. Those tasks put heavy pressure on elementary teachers who teach different subjects. Therefore, teachers should be more enthusiastic in every class on one hand, and more in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developing drama-based instructional models from diverse angles on the other. If extensive research is implemented to apply drama-based instructional models to the other three areas as well as listen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may be effectively developed. 초등학교 영어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있어서 음성언어 중심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영어에 많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인지적, 신체적, 정서적 발달단계에 알맞은 흥미와 집중력을 유지시키려면 적절한 시청각 자료의 활용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제한적이고 배경 지식이 없는 상황 제시만으로는 의미를 이해하거나 흥미를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지속적인 흥미를 갖고 일상생활 영어에 대한 노출량을 늘일 수 있는 방안으로 교육방송 영어 드라마 시청활동을 도입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방송에서 제작한 초등학교 5학년 과정을 다룬 드라마 자료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시청 전후 활동들이 학생들의 듣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학생의 영어능력 수준이 다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영어 학습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방송 드라마와 관련된 문헌연구를 토대로 교육방송 매체가 초등영어수업에 미치는 역할, 드라마의 교육적 활용과 듣기지도의 효과적인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실험연구에서는 동질성 검사를 거친 울산시 소재 Y초등학교 두 개반에 대하여 기초 실태 조사와 사전듣기 평가, 그리고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를 토대로 상, 중, 하위의 성적 그룹별로 나누었고 초등학교 5학년 영어 교과서의 어휘와 의사소통 기능문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교육방송 드라마를 교과서 내용과 연계하여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차시별 수업안을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재구성한 수업안으로 14주 동안 실험반에만 매 차시 10여분동안 교육방송 영어 드라마를 시청하며 다양한 시청 전·중·후 활동을 전개하였다. 마지막 4차시에는 그 단원의 핵심 낱말을 제시해 주고 연상되는 단어나 문장을 적게 하는 마인드 맵 활동을 하였다. 그것을 통해 배운 것을 스스로 정리하고 익히며 남과 비교하는 기회가 되고 자신의 부족한 점을 반성할 수 있어 학생과 교사의 평가 자료로 삼았다. 사전·사후 듣기평가와 영어 학습 태도에 대한 조사결과를 SPSS 15.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방송 TV드라마를 통한 시청활동은 일반 영어 수업보다 듣기평가에서 매우 향상된 평균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서 유의미한 점수 향상 폭을 보였다. 이것은 교육방송 TV드라마를 통한 시청활동이 듣기능력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를 주었으며 영어능력 수준이 다른 집단 중에서는 하위 집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방송 TV드라마를 통한 시청활동은 일반 영어 수업보다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에서 점수 향상폭이 크게 나타났다. 실험반의 사후 설문 분석 결과 참여도, 노력, 자신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흥미도에서도 유의미한 점수는 아니었지만 비교반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 5학년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던 교육방송 TV드라마를 통한 시청활동은 듣기능력 향상과 영어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교육방송 TV드라마를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드라마 구성을 철저히 분석하고 적절한 수업 모형을 선택하여야 하며 교재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이것은 여러 과목을 다루어야 하는 초등교사에게 많은 부담이 된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매 시간마다 교사의 열정이 수반되어야 하나 장기적으로는 드라마 활용 수업 모형의 연구가 더욱 구체적이고 다양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방송 TV드라마 시청활동과 관련하여 듣기뿐만 아니라 다른 세 영역에서도 다양한 방법적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일상생활 장면을 소재로 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저소득 가정 아동의 성인 아이 성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안나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learn how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influences on self-esteem. Therefore, the primary purpose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viewing what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influences on self-esteem. The secondary purpose is to arrange a opportunity that can be the integrated and multidimensional support through the network of home-school-community according the influence of the adult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on self-esteem. First, this study, through a preceding study review for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describes the theoretical basis how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influences on self-esteem. In order to measure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surveyed. In order to provide the implications about the influence of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n self-esteem, research ab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lf-esteem was conducted by using significant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Sample is chosen as children of low-income families among five elementary schools’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in Seoul city.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one month in September 2012, and the participants in the survey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were a total of 172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method of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child's level of self-esteem in low-income families showed more than average. Among sub-factors of self-esteem (self-esteem collectively, socially, at home, in school), self-esteem in the home was the highest. In contrast, self-esteem at the school was the lowest. A big difference, however, did not appear.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self-esteem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for example, gender, grade, family member type, quality of life, the time with caregiver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idn’t affect the self-esteem. Due to one year difference on grade, it is expected there would not be big difference on them. Unlike in the past, according the family types such as the parents of recent dual-earner families, single parent, custodial family,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the time of parenting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expected. Thir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levance and the degree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self-esteem and the overall independent variables, it can be seen that higher social support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higher parenting the children perceive led to high self-esteem. In addition, in consequence of analyzing sub-factor for adult child propensity,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dependent relationship-oriented, the lower self-esteem, and the higher excessive responsibility and protection-oriented, the higher self-esteem. Emotional instabi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is needed about excessive responsibility and guardians’ role for the children of low-income families. From the preceding study, excessive responsibility and protection-oriented factors appeared highly toward in youth from in childhood, and highly emotional instability appeared when becoming an adult. So,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in grown children during the developmental period is healed psychologically and is solved to some extent. Above all, the support is needed to grow through adolescence into adulthood. Second, the multidimensional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children with adult children propensity in low-income families. The most significant thing in this study are the socially support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arenting attitudes child perceived. Accordingly, it means that they are the being in human environment in the social welfare and should be supported multi-dimensionally. Specially, being network in and out of school and avoiding the dual support, the support to fit into the desired subject should be done. Social skills promotion programs are also needed for the fifth or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the transition to adolescence from childhood. In the propensity of adult children, emotional instability and increasingly dependent relationship-oriented factors in youth and adults increased psycho-social behavioral problems, which are part of childhood-dependent desires has not been satisfied from the guardians. Accordingly, by improving relationship formation and supporting social skills promotion programs that can fill the needs dependent, self-esteem should be elevated.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 아동의 성인 아이 성향이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저소득 가정 아동 성인 아이 성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이며, 이차적인 목적은 저소득 가정 아동의 성인 아이 성향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따라 가정-학교-지역사회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통합적·다차원적 지원이 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있다. 먼저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 아동 성인 아이 성향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저소득 가정 아동 성인 아이 성향이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이론적인 근거를 기술하였으며, 저소득 가정 아동 성인 아이 성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울시 내 초등학교 5,6학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그리고 저소득 가정 아동 성인 아이 성향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함의를 마련하기 위하여, 이에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유의미한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서울시 내 5개 초등학교 5,6학년 중 저소득 가정 아동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2년 9월 한 달 동안 실시되었고, 최종적인 분석에 포함된 조사대상자들은 총 17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인(총체적, 사회적, 가정에서,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중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년, 동거 가족 유형, 체감하는 생활수준, 보호자와 있는 시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일반적 특성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학년이 1년 차이로 큰 차이가 없었을 것으로 예상되며,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맞벌이 가정으로 양친부모, 한부모, 조손가정 등의 가족 형태에 따라 자녀 양육하는데 있어서 투여되는 시간에 큰 차이가 없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자아존중감과 전체 독립변수들 간 관련성 여부 및 그 정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심리사회적 특성인 사회적지지와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인 아이 성향의 하위 요인 분석 결과 의존적 관계지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으며, 과도한 책임 및 보호 지향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서적 불안정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 가정 아동의 과도한 책임감과 보호자 역할에 대한 심리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아동기에서 청소년으로 갈수록 과도한 책임과 보호지향의 요인이 높게 나타나며, 성인이 되었을 때에는 정서적 불안정성을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는 성인화된 아동이 아동 발달기 동안 성인 아이 성향이 심리적으로 치유되어 어느 정도 해결되고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저소득 가정 성인 아이 성향이 있는 아동에게 다차원적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가장 큰 유의미하게 나타난 것이 심리사회적 특성으로 사회적지지와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 양육태도이다. 이는 곧 사회복지적으로 환경 속의 인간을 의미하며 이에 따른 다차원적인 지원을 해야 하며, 특히 학교 안과 밖으로 함께 네트워크하여 이중적 지원을 피하고 실제적으로 대상자가 원하는 욕구에 맞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인 초등학교 5,6학년 아동들에 대한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성인 아이 성향 중 정서적 불안정성과 의존적 관계지향 요인이 청소년과 성인으로 갈수록 높아져 심리사회적 문제행동이 발생하는데 이는 어린 시절 의존적 욕구가 보호자로부터 채워지지 못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관계형성을 높여주어 의존적 욕구를 채울 수 있는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이 지원되어 자아존중감을 높여야 한다. 주요어 : 저소득 가정 아동, 성인 아이, 자아존중감, 인구사회학적 특성, 심리사회적 특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