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FD를 이용한 단일건물 옥상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확산 모의

        김아라 경기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오늘날 도시 환경에서 배출구 설계나 대기오염 피해 원인 파악을 위해 오염물질의 확산 예측은 중요하다. 대기오염물질 확산 예측을 위해 전산유체역학은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고있다. 본 연구는 CFD를 이용하여 단일건물 옥상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확산을 모의하였다. 확산 모의를 위하여 상용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인 Fluent SST k-ω 모델을 사용하였다. CFD를 이용한 예측은 현장 또는 풍동실험 결과를 토대로 모델의 적용성 검증을 해야한다. SST k-ω 모델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얻기 위하여 유동장 분석과 난류 슈미트 수에 따른 결과 비교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난류슈미트수 0.1일 때 풍동실험 결과를 잘 모의 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정육면체 모양의 단일건물에서 배출운동량비 1부터 5까지 변화에 따른 실험과 Pasquill 대기 안정도 등급 A(불안정)부터 F(안정)까지 6개 등급에 대한 변화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출운동량비 변화에 따른 확산을 예측한 결과 배출운동량비가 클수록 길고 높은 플륨이 생성되었다. 하지만 ASHRAE에 따르면 15m/s에서 20m/s의 배출속도는 소음, 진동 그리고 높은 에너지비용이 발생한다고 언급하였다. Pasquill 대기안정도에 대한 건물 주변에서의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변화를 예측한 결과 풍하측에서는 안정상태일때 황화수소 무차원농도가 중립상태보다 높고 불안정상태일때는 중립상태보다 낮게 계산되었다. 풍상측에서는 반대로 불안정, 중립, 안정 순서로 높은 농도가 형성 되었다. The prediction of pollutant dispersion is important to design vents and identify the causes of air pollution in urban environment.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is a useful tool for the prediction of air pollutant dispersion. We studied the dispersion of pollutant from cubic isolated building rooftop emissions using CFD. The CFD simulations are performed with the Fluent SST k-ω model. CFD simulations should be validated base on wind tunnel experiments. To assess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SST k-ω model, flow field analysis and simulation by changing turbulent Schmidt number (Sct) is performed. Consequently, performing with Sct 0.1 has a good agreement with a wind tunnel experiment. This paper also has been studied two different cases involving cubic isolated building for exhaust momentum ratio ranging from 1 to 3 and Pasquill’s stability classes from A to F. The bigger exhaust momentum ratio performed, the longer and higher plume produced. However, ASHRAE showed above 15 to 20m/s emission velocity can cause noise, vibration and more energy costs. The effect of stability in near field building is to increase dimensionless concentration of H2S under stable conditions and decrease it under unstable condition on the leeward. But on the windward occurs the opposite.

      • 노스탤지어 자극을 통한 캠핑활동 참여자의 감정반응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아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Compared to the past when tent was essential for most of tourism activities due to a lack of accommodations, a variety of camping activitie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such as glamping and caravan. The new types of camping activities would remind those who enjoyed camping using the tent in the past of their past camping experiences. It would be a very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if the marketers in the camping industry find out what people would miss for their past camping activities that differ individually. This study looks into the effects of the stimulation of nostalgia on the emotional re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camping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reaction and behavior. To fulfill the goals of the study, the population for empirical analysis were those who have done camping at least once and the sampling was condu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the camping sites around Seoul and Gyeonggi area. The analysis of frequency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samples from empirical survey to find out demographic properti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camping activiti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asurement items. The factor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see if the measured variables are abridged into the components conceptualized in the documentary research.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stimuli factors of nostalgia(remembrance, event, environment, sensual experience) on the emotional reaction(sensible emotional reaction, pleasant emotional reaction) drawn from the factor analysis, and the parameter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understand whether the emotional reaction played a role as parameter between the stimulation of nostalgia and behavior. In addition, th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differences in general properties of the stimulation of nostalgia and participants in the camping activities by dividing the stimulation of nostalgia into 3 categories and conducting the cluster-tabulation.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two elements of stimuli factors of nostalgia, environment and sensual experience, affected the emotional reaction of people in the camping site, and remembrance factor only affected pleasant emotional reac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reaction of camp participants and their behavior, the study revealed that both of the two factors in the emotional reaction affected the behavior.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stimuli factor of nostalgia applicable to tourism activities by establishing concrete concepts of the variables, and the stimuli factors of nostalgia are expected to provide various marketing implications if the marketers in the camping industry find out and apply the stimuli factors of nostalgia that can draw positive reactions from the camping participants.

      • 국내 그린케어농업 운영실태 심층 분석

        김아라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Green care that combines agricultural sector with social care sector creates mutual synergistic effects such as improvement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social integration by education and employment, and the diversification of agricultural activities, and now is situated as a significant agricultural activity field. Being spurred by recent rapid development of green care in the European Union member states, Korean government is planning to promote the state-funded project. However because green care in Korea is in an early stage, its present condition has never been grasped adequately until now.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sic operational situations and business characteristics of green care case farms in Korea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on care farmers, and then draws its policy implications and development directions. Considering benchmarking points of the case studies,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earnest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government`s green care promotion project. This study is composed of 3 stages. In stage 1, the concepts, purposes, values, benefits, outcomes and domestic and foreign present situation in respect to green care are analysed. In stage 2, the field survey/in-depth interview and analysis on representative cases of green care in Korea are carried out. In stage 3, after integrating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and something significant regarding operation of green care are drawn and development directions are suggested. Main findings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ccess of representative cases of green care in Korea is caused by the operators’ sincere attitude and serviceabilities, strong activation, efforts for obtaining the sectoral specialities, and good natural environment in-and-around farm. 3 main reasons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operators of green care build a strong bond with users through the careful concerns respecting needs of clients, continuous interest, creating atmosphere of communication and freedom, etc. Second, operators of green care are possessing the active mind and entrepreneurial spirit for success of green care project. Especially, they are concentrating efforts to obtain the specialities of care service field by using networks with experts or getting certificates related care field. Third, case farms are commonly located in places having clean natural environment and regard soil as an important theme. Particularly, operators put emphasis on the contact with natural environment and have the opinion that steps on soil show therapeutic effects. Based on success factors confirmed by this study,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green care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as operators of green care are farmers fundamentally, the basic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care, therapy, treatment and social welfare sectors have to be arranged to develop business abilities of green care. Second, to supplement the speciality in the care field, utilization of diverse manpower pool is necessary by constructing networks and partnership with specialized institutions. Third, because farms have fundamental risk elements such as domestic animal diseases, agricultural machinery accidents, they have to pay attention to creation of safe environment. Fourth, the measures to raise social awareness of green care service and care for socially vulnerable group and supporting policies to establish green care have to be prepared in the near future. Now, rural tourism field is coming to the stage of maturity and sixth industrialization in agriculture is proceeding firmly in Korea. Also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green care is sufficient, for example the Korean oriental medicine and informal folk treatment which have focus on the natural reparative power through the long traditional history. In this respect, if the care field is effectively combined with the existing rural tourism field and sixth industrialization in agriculture, green care looks forward to function as the important growth engine for rural development in the future. 그린케어는 농업 부문과 사회보호 부문이 상호 보완적으로 결합되어, 신체 및 정신 건강 증진, 교육 및 고용에 의한 사회통합, 농업활동의 다각화 등 다양한 상생 효과를 거두며 중요한 농업활동 영역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최근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급속한 그린케어농업 발전에 영향을 받아 우리 정부도 정책사업으로의 추진을 검토하고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의 그린케어 부문은 걸음마 단계로서 운영실태 마저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국내의 그린케어 서비스업체를 대상으로 운영 현황 및 특성을 조사ㆍ분석하고 시사점 및 발전방향을 도출하여, 향후 국내 그린케어 부문의 본격적인 도입 및 정책사업 추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본목적이 있다. 이 논문은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에서는 그린케어의 개념과 목적, 가치, 편익, 성과와 국내외 현황을 분석하였다. 2단계에서는 대표적인 국내 그린케어 운영사례에 대한 조사ㆍ분석을 실시하였다. 3단계에서는 사례업체의 그린케어 운영상 특이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의 그린케어 농업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었던 것은 운영주체들의 성실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자세, 강력한 사업추진 의지 및 전문성 확보노력, 양호한 주변 자연환경 등의 요인이 맞물려 작용했기 때문으로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그린케어 운영주체들은 대상자의 니즈를 존중하는 세심한 배려, 지속적 관심, 소통 분위기 조장, 자유로운 분위기 조성 등을 통해 대상자와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였다. 둘째, 운영주체들은 적극적인 사업추진 의지와 기업가 정신으로 무장하고 있었으며, 특히 치유 관련 자격증을 보유하거나, 전문가와의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여 치유 분야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셋째, 사례농장들은 공통적으로 청정한 자연환경을 보유한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모두 ‘흙’이라는 공통 소재를 중시하고 있었다. 특히 자연환경과 접촉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는데, 운영주체들은 ‘흙’을 밟는 것으로부터 치유효과가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이 연구에서 확인된 성공요인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그린케어 농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면, 첫째, 운영주체들은 기본적으로 농업인이므로, 그린케어 농업경영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보호, 치료, 치유, 사회복지 등의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교육훈련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보호 실무부문의 전문성을 보완하기 위해 전문기관과의 네트워크 및 파트너쉽을 구축함으로서, 다양한 인력풀을 활용하여야 한다. 셋째, 농장은 기본적으로 가축질병, 농기계 이용사고 등, 위험요소를 지니고 있으므로 안전한 서비스 환경 조성에 유의해야 한다. 넷째, 그린케어 서비스와 사회 취약층 보호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방안과 함께, 빠른 기간 내에 그린케어 부문이 정착할 수 있도록 획기적인 정책적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농촌관광 부분이 정착발전단계에 이르고 있고, 농업의 6차 산업화도 강력히 추진되고 있다. 또한 자연의 치유력을 중시하는 전통의학 및 민간요법을 다수 보유하고 있어 독자적인 그린케어 발전 잠재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 농촌관광 부문과 농업 6차산업화 부문에 치유기능을 효과적으로 접목한다면, 우리나라의 그린케어 부문은 미래농촌 발전을 위한 중요한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페인트로 은폐한 혈액을 증강할 때 페인트의 색상이 미치는 영향

        김아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페인트로 은폐한 혈액을 증강하여 관찰하는 방법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는 페인트의 색상과 화학 성분이 페인트별로 은폐한 혈액을 증강하여 관찰할 때 결과의 차이가 나는 원인이라 주장하지만, 이를 증명하기 위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페인트의 색상에 따른 명도, 흡광도, 원소의 비율을 측정하여 이러한 특성이 페인트로 은폐한 혈액을 증강할 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로 명도가 유사하지만, 색상이 다른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페인트와 서로 명도는 다르지만, 색상이 비슷한 빨간색, 다홍색, 주황색 페인트, 총 6가지 색상의 페인트를 선정하였다. 빨간색, 다홍색, 주황색은 본 실험에서 사용한 Bluestar®가 혈액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화학발광의 파장(420-440 nm)과 보색 관계에 있다. 이렇게 선정한 페인트의 명도, 흡광도, 원소의 비율을 측정하고 각 페인트가 칠해진 석고보드 위에 동일한 양의 혈액을 유류한 후 기존 색상과 같은 페인트를 최대 6회까지 도포한 뒤 Bluestar®를 적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발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페인트 색상의 명도가 낮을수록, 흡광도가 높을수록, 금속 원소의 비율이 높을수록 페인트를 도포한 횟수가 증가할 때마다 Bluestar®가 방출하는 화학발광의 세기가 낮아졌다. There are various studies on how to enhance and observe blood concealed with paints, and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 color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aints may be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but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ove it ye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ightness, absorbance, and the atomic ratio of paints according to the paint colors were measured to find out how these characteristics affect the enhancement of blood concealed with paints. A total of six paints were selected: blue, green, and red paint with similar lightness but different colors, and red, scarlet, and orange paint with different lightness but similar colors. Red, scarlet, and orange are complementary colors to the wavelength (420-440 nm) of chemiluminescence emitted by the reaction of Bluestar® used in this study with blood. The lightness, absorbance, and the atomic ratio of the selected paint were measured, the same amount of blood was dropped on each piece of plasterboard coated with the paint, and the same paint was painted on the blooded plasterboard up to six layers. After that, Bluestar® was applied and took a picture and took a picture and the luminosity was measured. As a result, as the paints with lower lightness, higher absorbance, higher metal atom ratio, and the number of paint layers that conceal blood, the intensity of chemiluminescence emitted by Bluestar® decreases.

      • 초등학교 미술 현장학습과 연계한 경북대학교 박물관 셀프가이드 연구

        김아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A museum can be said to be a treasure house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a field of history and culture class to awaken a viewer's intelligence and emotion and enhance the level of culture an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exhibition, a collection of art works and relics. Recently,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tends to get bigger and the museum gets its function emphasized as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cultural institution for all walks of people, and especially becomes a place of field study connected to school education. The strongest merit of museum field study lies in that students can see the works directly instead of seeing them only through subject illustrations, and the museum presents the environment of appreciation to understand the arts in a big context through ‥exhibition…. Therefore, the museum needs to grope for positive and diverse methods to reflect students' tastes and dispositions and induce their interest in developing the appreci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material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What is most important for the activa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museum is to prepare and use the educational materials to induce an active participation in 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Hence the museum requires 'a Self-guide' fitted for the students' eye level as an educational means placed in the museum for the service. The Self-guide plays the role to help the students themselves to become the study subjects, learn to be fitted for their own level and necessity and make a meaningful view in their field trips. The field trips using a Self-guide will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museum themselves and also make out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This student's problem awareness starts from here. Usually schools make field trips of the museum to get over the limitation of the appreciation activities in the school classrooms, but the museum and the schools have neglected the efforts for the systematic appreciative education. This student hereby intended to personally develop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for the students to express and criticize the reason of their favorite works through a field study and approach them closely. The Self-guid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 students learn the museum and understand the appreciation widely and draw students' originative and creative ideas, and focus on their diverse activities with an active attitude to express ?E appreciate the works fully and evaluate themselves together with aesthetic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elf-guide aimed at analyzing the self-guide previously developed by the art gallery and the museum at diverse angles, complementing and differentiating insufficient parts in the museum appreciation activities, first of all, developing an integrating class to induce a creative idea and thinking as well as history study based on objective fact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rgue the necessity of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to heighten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field trips and the appreciation effects thereon, design ?E develop the Self-guide of the museum of Kungpook National University with a high educational value as a district museum and find out a method of the use of the Self-guide. In addition, it intend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elf-guide of the existing art gallery and museum and seek for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the self-guide to be developed in future. It also attempted to contribute to arousing viewers' interest and lifting the efficiency of the appreciative education of the museum through a fresh self-guide development needed in inducing a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museum field trips.

      • Ischemia-reperfusion(IR)에 의한 kidney injury에서 CD137/CD137L의 역할

        김아라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Ischemia-reperfusion renal injury(IRI)는 일반적으로 급성신부전증을 야기시킨다. Renal IRI tissue injury는 신장에 침윤하는 호중구에 의해 야기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granulocyte는 CD137을 통해 활성화된다. 본 연구는 IRI에서 CD137/CD137L의 역할을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Wild-type 또는 CD137-deficient mouse의 양쪽 신장을 30분 동안 clamping한 후 24시간 동안 재관류 시켰다. 신장손상은 혈청 BUN (blood urea nitrogen), 조직학검사와 RT-PCR에 의해 측정하였다. 생쥐의 신장 내에 호중구 침윤은 유세포 분석기에 의해 측정하였다. WT생쥐는 IRI유도 후 24시간에 현저한 신장손상 증상을 보였다. 그에 비해, CD137-deficient mouse는 매우 약한 IRI정도를 보여주었다. 골수재구성실험에서 CD137-deficient mouse가 IRI에 저항성을 가지는 원인은 조혈세포에 기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CD137/CD137L가 호중구나 대식세포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직업관의 상관관계

        김아라 대구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초등과학 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직업관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과학영재교육 내 진로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의 진로를 찾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영재의 진로개발역량이 일반학생보다 높았다. 10가지 하위영역에서는 자기주도성과 진로인식에서 초등과학영재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직업관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다만 9가지 하위영역에서는 주체성과 지도성에서 초등과학영재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직업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개발역량과 직업관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초등과학영재의 상관관계가 일반학생보다 더 높았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초등과학영재교육 내 진로교육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초등과학영재의 진로 인식 시기가 이르므로 조기에 진로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한다. 또한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학생을 위해 학부모에게 진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초등과학영재는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받아들이며 진로와 직업에 대해 이해하는 능력이 높으므로 진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흥미와 재능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재교육 내에서의 진로교육은 거의 이뤄지지 않으므로 지식과 기능 위주의 프로그램 뿐 아니라 실질적인 진로 지도 또한 이뤄져야 한다. 초등과학영재의 진로개발역량과 직업관의 상관관계가 더 높으므로 초등과학영재에게 수준 높은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