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udy of the Inhibitory Action Mechanism of Herbal Mixtures, ZoaGumHwan and HMC05, on Vascular Inflammation : Herbal 혼합물인 ZoaGumHwan과 HMC05의 혈관 염증 억제 기전에 관한 연구

        김아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855

        Oxidized low-density lipoprotein (oxLDL) is the most characterized humoral factor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therosclerosis. Angiotensin-II (Ang-II), a potent vasoconstrictor, has also been implicated in the progress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and arteriosclerosis through the activ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Vascular inflammation is implicated in the progress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TNF-) can be stimulated by various pathophysiological phenomena including modified low-density lipoprotein (LDL), hemodynamic stress, and hypertension. In the present study, water extract of herbal mixtures, ZoaGumHwan (ZGH) and HMC05, dose-dependently inhibited tumor necrosis factor- (TNF-)-induced adhesion of monocytes to endothelial cells. Such inhibitory effects of the mixtures correlated with suppressed expression of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CC chemokine receptor-2 (CCR-2),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CAM-1), and intercell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CAM-1). Furthermore, the mixtures significantly inhibited TNF--induced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nuclear factor-κB (NF-κB).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mixtures (1-10 g/ml) on TNF--induced inflammatory events were comparable to that exerted by berberine (1-10 M) which is a major component of the mixtures. Berberine is also a herbal compound that has previously displayed vasorelaxant and lipid-lowering properties. However, berberine significantly reduced the viability of HUVECs in a time- an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contrast, water extract of the herbal mixtures did not affect cell viability for up to 48 h of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rbal mixtures may be a safe and valuable formula against vascular inflammation, and that its action may be attributable to the inhibition of ROS- and NF-κB-dependent expression of adhesion molecules and chemokines. 산화저밀도지단백 (oxLDL)은 죽상경화증의 진행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체액성 인자이다. 강력한 혈관수축인자인 Angiotensin-II (Ang-II)는 염증 반응의 활성화를 통하여 심장혈관계 질병과 죽상경화증의 진행에 원인이 된다. 종양괴사인자 (TNF-)와 같은 전구염증사이토카인의 생성은 변형된 저밀도 지방, 혈역학적 부하, 고혈압 등의 다양한 병리 생리학적 현상에 의해 자극될 수 있다. 이 연구는 herbal mixtures의 물추출물인 ZoaGumHwan (ZGH) 과 HMC05이 TNF-α로 유도된 혈관내피 세포와 U937 세포의 부착능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CC chemokine receptor-2 (CCR-2),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CAM-1), and intercell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CAM-1)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또한, herbal mixtures의 물추출물은 TNF-α로 유도된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과 nuclear factor-κB (NF-κB)의 활성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 TNF-α로 유도된 염증반응에서 herbal mixtures 물추출물 (1-10 g/ml)의 효과는 그것의 주요 구성성분인 berberine (1-10 M)에 준하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Berberine은 혈관긴장을 완하시키고 지질농도를 낮추는 작용을 하는 herbal compound이다. 그러나 berberine은 혈관내피세포 (HUVEC)에 시간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 반면 herbal mixtures의 물추출물은 48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herbal mixtures의 물추출물은 혈관 염증에서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ROS와 NF-κB에 의존적인 세포유착분자와 chemokine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 CFD를 이용한 단일건물 옥상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확산 모의

        김아라 경기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오늘날 도시 환경에서 배출구 설계나 대기오염 피해 원인 파악을 위해 오염물질의 확산 예측은 중요하다. 대기오염물질 확산 예측을 위해 전산유체역학은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고있다. 본 연구는 CFD를 이용하여 단일건물 옥상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확산을 모의하였다. 확산 모의를 위하여 상용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인 Fluent SST k-ω 모델을 사용하였다. CFD를 이용한 예측은 현장 또는 풍동실험 결과를 토대로 모델의 적용성 검증을 해야한다. SST k-ω 모델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얻기 위하여 유동장 분석과 난류 슈미트 수에 따른 결과 비교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난류슈미트수 0.1일 때 풍동실험 결과를 잘 모의 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정육면체 모양의 단일건물에서 배출운동량비 1부터 5까지 변화에 따른 실험과 Pasquill 대기 안정도 등급 A(불안정)부터 F(안정)까지 6개 등급에 대한 변화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출운동량비 변화에 따른 확산을 예측한 결과 배출운동량비가 클수록 길고 높은 플륨이 생성되었다. 하지만 ASHRAE에 따르면 15m/s에서 20m/s의 배출속도는 소음, 진동 그리고 높은 에너지비용이 발생한다고 언급하였다. Pasquill 대기안정도에 대한 건물 주변에서의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변화를 예측한 결과 풍하측에서는 안정상태일때 황화수소 무차원농도가 중립상태보다 높고 불안정상태일때는 중립상태보다 낮게 계산되었다. 풍상측에서는 반대로 불안정, 중립, 안정 순서로 높은 농도가 형성 되었다. The prediction of pollutant dispersion is important to design vents and identify the causes of air pollution in urban environment.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is a useful tool for the prediction of air pollutant dispersion. We studied the dispersion of pollutant from cubic isolated building rooftop emissions using CFD. The CFD simulations are performed with the Fluent SST k-ω model. CFD simulations should be validated base on wind tunnel experiments. To assess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SST k-ω model, flow field analysis and simulation by changing turbulent Schmidt number (Sct) is performed. Consequently, performing with Sct 0.1 has a good agreement with a wind tunnel experiment. This paper also has been studied two different cases involving cubic isolated building for exhaust momentum ratio ranging from 1 to 3 and Pasquill’s stability classes from A to F. The bigger exhaust momentum ratio performed, the longer and higher plume produced. However, ASHRAE showed above 15 to 20m/s emission velocity can cause noise, vibration and more energy costs. The effect of stability in near field building is to increase dimensionless concentration of H2S under stable conditions and decrease it under unstable condition on the leeward. But on the windward occurs the opposite.

      • L.V. Beethoven의 <Ah! perfido, spergiuro op. 65>의 작품 연구

        김아라 목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루트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Concerto Aria <Ah! Perfido, spergiuro Op.65>에 대한 작품 연구이다. 먼저 <Ah! Perfido, spergiuro Op.65>를 작곡한 베토벤이 활동했던 고전시대의 시대적 변화와 고전주의 음악이 생겨나게 된 배경, 당시 음악계의 수요층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베토벤의 유년시절부터 노년기까지의 삶을 요약하였다. 또한 베토벤이 작곡한 성악음악 작품의 특징들을 세 부분의 창작 시기로 나누어 대표작과 함께 정리했으며 <Ah! Perfido, spergiuro Op.65>의 장르인 Concerto Aria의 정의에 대해 서술하고 장르의 유래, Concerto Aria의 용도, 17세기 Concerto Aria 대표작 등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Ah! Perfido, spergiuro Op.65>에 나타나는 분위기의 변화요소들을 이론적인 악곡 분석과 가사 해석을 바탕으로 실제 연주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연주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곡 전체의 조성 및 박자의 변화를 표로 제시하였고 노래 속 화자의 감정 변화에 따른 빠르기와 화성의 변화를 서술함으로써 더욱 자세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베토벤이 활동하던 고전시대는 계몽주의와 산업혁명으로 인해 중산층의 세력이 커지며 수직적 계층구조가 수평적 계층구조로 바뀌기 시작했다. 음악의 주 수요층이 귀족에서 중산층으로 변화하며 그들은 보다 쉽고 재밌는 음악을 원했고 이로 인해 고전주의 음악이 시작되었다. 베토벤의 작품은 작곡 시기별로 초기, 중기, 말기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초기 작품은 당시 사사했던 하이든, 살리에리 등이 추구하던 고전주의 양식을 따라 이해하기 쉽고 간결한 음악을 작곡하였다. 중기로 넘어가며 다른 작곡가들에 비해 불협화음의 해결을 늦게 하는 그만의 독특한 작곡 방법으로 대중의 전폭적인 인기를 얻기 시작한다. 베토벤의 대부분의 작품들이 이 시기에 쓰였으며 창작활동이 가장 활발했다. 이후 말기로 넘어가며 그의 청력은 거의 상실한 상태였지만 외부와의 완벽한 단절로 인해 완벽한 자신의 독창적인 음악을 구축해나가며 낭만음악과의 연결고리가 되었다. Concerto Aria란 18세기 칸타타(Cantata)등 종교음악에서 유래된 한 장르로써 오케스트라 반주와 독창으로 이루어져있다. 이탈리아어 ‘concertare (동의하다, 함께하다)에서 유래되었다. <Ah! Perfido, spergiuro Op.65>는 베토벤의 초기 작곡 시기의 작품 중 하나이며 당시 유행하던 이탈리아 아리아적 요소를 담고 있다. 가사는 당시 저명한 극작가였던 피에트로 메스타시오의 작품을 사용했으며, 내용은 사랑하는 이에게 배신당한 한 여자의 좌절과 그에 대한 증오, 그에 대한 회유의 마음이 표현되어 있다. 곡은 크게 Scena와 Aria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주인공의 심리적 변화에 따라 조성과 템포, 반주가 자주 바뀌는 것이 특징이다. Allegro con brio의 빠른 템포로 시작하는 Scena는 Aria 전 레치타티보적인 역할을 하며 Aria에 대한 화자의 심적 배경을 나타내고 있다. 이 Scena의 가사는 당시 유명한 극작가였던 피에트로 메스타시오의 시를 이용하였다. 총 7번의 템포 변화와 18번의 잦은 조성 변화마다 가사 속 화자의 혼란스러운 심경을 매우 극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혼란한 마음이 해결되지 않은 채로 Adagio의 Aria가 시작된다. 매우 여유 있는 템포의 Aria는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화자의 회유가 시작된다. 5번의 템포변화 후 다시 Tempo Ⅰ으로 돌아가 ‘non son degna di pieta(이 괴로움은 결국 자비를 허락하지 않군요)’라는 한탄과 함께 빠른 템포로 마무리된다. 베토벤은 피에트로 메스타시오의 시와 당시 유행하던 이탈리아 아리아적 음악요소를 그 만의 방법으로 결합함으로써 자신만의 유일무이한 음악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베토벤의 <Ah! Perfido, spergiuro Op.65>을 잘 연주하기 위해서는 Scena의 격정적인 감정적 변화를 대비시키며 강렬한 소리와 가사전달에 중점을 두고 연주해야한다. Aria는 악상의 뚜렷한 대비와 도약의 반복과 순차하행진행과 같은 성악적 기교가 전체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두성에 의한 폭 넓은 소리로 간절한 화자의 마음을 표현해야 한다.

      •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이용한 개인의 정보 관리 행태 연구 : 개인 정보 관리 및 그룹 정보 관리 중심으로

        김아라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개인의 정보 데이터를 저장소나 물리적 공간이라는 제약을 벗어나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가 등장하며, 개인의 디지털 정보 관리 행태들이 변화하고 있다. 기존에 로컬에서의 관리로 대변되던 파일 형태의 개인 정보 관리는, 로컬을 넘어 클라우드 스토리지 내에서의 정보 관리 형태로 점차 다양화 되었고, 이것은 하나의 기기가 아닌 여러 기기를 넘나들며 개인 정보뿐만 아니라 공유 정보의 관리까지로 새로운 형태의 파일 관리 행태를 나오게 하였다. 파일 동기화를 제공하며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웹 기반의 대표적 파일 공유 서비스인 드랍박스(Dropbox)는 2008년부터 시작하여 현재 이용자가 3억 명을 돌파하였고(2014. 5), 최근 6개월 동안 1억 명의 이용자 증가 폭을 보이며 굉장히 빠른 속도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렇게 음악이나 사진, 동영상뿐만 아니라 문서 편집 등 이용자들의 다양한 콘텐츠를 여러 디바이스에서 이용하게끔 해주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점차 개인 작업 환경에서의 도입기를 넘어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클라우드 기반 스토리지는 파일을 공유하거나 동기화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의 근간이 되고 있고, 드랍박스나 구글 드라이브 등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람들이 다수의 컴퓨팅 기기들에 걸쳐서, 그리고 또는 서버의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편집하거나 공유할 수 있게 한다(Marshall & Tang, 2012). 이렇게 안전하고 접근이 쉬운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도입은 특히 개인과 협업이 섞인 상태에서, 개인은 개인 폴더와 로컬 폴더의 정보 관리에 있어 여러 가지 전략을 사용하거나, 우회 전략을 사용하는 등의 다양한 정보 관리 현상들이 벌어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클라우드를 이용한 개인 정보 관리가, 최종 사용자들에게 더 많은, 그리고 더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는 가정하에, 개인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사용 행태에 대해 개인정보 관리와 공유 정보 관리의 활용에 있어 혼합된 사용상을 파악하고자 정성적 인터뷰와 정량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개인 정보와 개인 정보 관리 프레임워크, 클라우드 컴퓨팅과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에서부터 시작하였다. 실제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정보를 관리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목적에 따른 이용 행태적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이용에 대한 연구 방법과 문제를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사용의 구체적 맥락을 풍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정성적 인터뷰 방법과 최근 1달간의 실제 사용 이벤트를 받아 로그를 분석하는 방법과 추가 인터뷰를 진행하는 정량적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사람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다섯 가지 행태로 나누어질 수 있었다. 1) 다른 기기로 파일을 옮기기 위해 사용하는 “파일 옮기기”, 2) 파일 아카이빙을 위해 의지적으로 사용하는 “파일 아카이빙”, 3) 파일의 자동 백업을 위해 사용하는 “자동 백업”, 4) 다수의 기기 간 싱크를 위해 사용하는 “기기 간 싱크”, 5) 다른 사람과 공유를 위해 사용하는 “공유” 등의 다섯 가지 사용 요인을 밝힐 수 있었다. 사용 로그 기반의 분석과 추가 인터뷰에서는 로컬 형태로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개인이 개인 정보와 공유 정보에 있어 개인 정보 관리 전략인 추가, 조직화 삭제를 어떻게 실제로 사용하는지에 대해 로그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개인 폴더와 공유 폴더에 파일 추가하는 것에 관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추가하는 주체적 추가와 시스템 등이 자동으로 클라우드 내의 폴더로 파일을 추가하는 자동 추가의 두 가지 전략이 있었다. 두 폴더 모두 극소수의 액션을 제외하고는 모두 업무 목적 파일에 관한 액션이었고, 개인 폴더와 공유 폴더 모두 문서와 이미지 파일이 추가되는 파일 대다수를 차지했다. 또한, 용량이 큰 파일을 올리기 위한 심리적인 제약이 존재하였고, 공유 폴더에서는 용량이 큰 동영상을 올리는 대신 URL로 올리는 우회 전략이 발생하였다. 또한 모바일 사진 자동 동기화, 논문 프로그램 서비스 연동, 워크스페이스로 사용 등 자동으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내에 파일이 추가되는 다양한 전략이 있었다. 조직화에서는 사용자들이 개인 폴더는 개인만의 규칙을 가지고 관리를 한다면, 공유 폴더에는 공유 폴더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암묵적인 전략과 명시적인 전략이 나타났다. 암묵적인 전략으로는 이해도 높은 폴더명을 프로젝트 매니저격의 사람이 대표로 과업과 파일 타입을 중심으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있었고, 공유 폴더 내에서 다른 사람 혹은 지난 과거의 파일 및 폴더의 이름 짓기 전략에서 학습된 암묵적 규칙을 따르는 형태로 파일을 추가하는 전략이 있었다. 명시적인 전략으로는 폴더를 만든 다음 폴더를 사용하는 규칙을 사전에 공유하는 것, 폴더나 파일명에 이름과 같은 표식을 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파일명에 전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구어체로 작성하는 것, 그리고 모바일 메신저인 “카카오톡"과 같은 다른 추가적 커뮤니케이션을 생성하여 공유 폴더와 함께 사용하는 전략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모든 전략이 공유 폴더에서의 이해도를 위해 벌어지는 일들이었다. 개인 폴더와 공유 폴더의 삭제 전략에서는 개인 폴더와 공유 폴더 모두 삭제에 비적극적인 특징이 있었다. 특히 공유 폴더에서의 삭제는 모두 자신이 올린 것만을 삭제하였는데, 만약 다른 사람의 파일을 지우게 될 때는 미리 공유 폴더를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과 합의되어 있는 상태일 때 삭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피실험자 전체의 공유 폴더 45개 중 공유 프로젝트 자체가 끝났으나 계속해서 공유하고 있는 것이 49%에 달했다. 공유 프로젝트가 끝나더라도 바로 공유를 끊거나 폴더를 정리하지 않고, 대체로 꽤 오랜 시간 동안 그대로 두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정리하는 경향을 인터뷰를 통해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에 있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관한 연구는 대체로 사용자들이 클라우드를 어떻게 인식하고 유용하게 느끼는지를 기술수용모델을 통해 규명하는 식의 초기적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어떻게 클라우드를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그것을 사용하게 되는 구체적 선택 동기와 함께 어떤 식으로 자신의 개인정보와 그룹정보를 관리하며 정보를 공유하는가를 정성적, 정량적 분석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인정보 관리와 그룹정보관리, 그리고 여러 디바이스를 통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에 대한 가이드 및 잠재적 인사이트를 줄 수 있는 의의가 있다. A Cloud Storage that can manage personal information data away from the constraints of storage and physical space has been introduced and the method of managing personal digital information is changing.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which used to be a file form managed in the existing local, is gradually diversifying into an information management form inside local computers as well as the Cloud Storage. Furthermore, this encompasses multiple equipment rather just one, producing a new method of file management that manages not only private information but also shared information. Dropbox, which provides file synchronization and is the representative web-based file sharing service that uses cloud computing, launched in 2008 and currently has over 3 hundred million users (2014.5). In the last 6 months, the number of users has increased by one hundred million, substantiating an exponentially fast as well as constant pace of growth. Thus cloud service, which allows the usage on multiple devices of music, photos, videos and document editing, is gradually passing over the introductory stage of the private work environment. Cloud-based storage is becoming the foundation of diverse services for file storage, sharing and synchronization, whilst cloud services such as Dropbox and Google Drive allow people to edit or share files through multiple computing equipment and/or server networks(Marshall & Tang, 2012). Such safe and easy to reach cloud storage introduction, especially at the state where the private and collaborate is fused, produces a diverse information management phenomenon such as the individual using various strategie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the private local folder as well as a workaround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and qualitatively interview the fused usage regarding an individual’s cloud storage usage behavior of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shared information management. It is based on the condition that there is a need to more closely examine the interaction of cloud users and to provide more and better services to final users. In order to verify this problem, we started with the preceding research verification concern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ramework along with the cloud computing and cloud storage. A research method and problem regarding usage was planned in order to examine usage behavioral characteristic according to purpose, which has for its target people who genuinely use cloud storage to manage information. Finally, a qualitative interview method that can surely grasp the precise context at which the cloud storage is being used and analyze the log of the actual usage event for the past 1 month, was used with the quantitative method of an additional interview. The interview was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people are using cloud storage for diverse reasons and this can be divided into five reasons: 1) ‘Transferring files’ to other devices 2) ‘File archiving’ to depend on file archiving 3) ‘Automatic backup’ for a file’s automatic backup 4) ‘Synchronization between devices’ for synchroniza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5) ‘Sharing’ to share with others. In the analysis based on usage log and additional interview, how an individual using cloud storage in the local form, regarding private information and shared information actually use the private information management strategy of additional and systematic deletion, can be grasped through the log. Both folders, apart from very little action, were actions to do with work-related file and on both the private and shared folders, documents and images were predominantly added. Moreover, there was a psychological constraint concerning the uploading of a big capacity file and in the shared folder, instead of uploading a high capacity video, detour of uploading the URLs had to take place. Furthermore, there are diverse strategies to automatically add a file to cloud storage such as automatic mobile photo synchronization, dissertation program service interlock and usage as work space. If in systemization users manage private folders with their own rules, there have arisen tacit and explicit strategies in the shared folders in order to increase its degree of understanding. For a tacit strategy, a folder name with a high degree of understanding is used. A project manager carries this out, using it around the file type. There was a strategy of adding files with tacit rules, which were learnt from the strategy of creating names of someone else’s folder or past folder within the shared folder. As for the explicit strategy, it involves sharing the rules of using the next folder after creating a folder, creating a sign such as a name on the folder or the file name, writing on the file name what one wants to convey using colloquial language and creating additional communications such as the mobile messenger ‘kakaotalk’ and using it with the shared folder. All such strategies happen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shared folders. Regarding the delete strategy of the private and shared folder, both weren’t enthusiastic about deleting.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shared folder, only those that one uploaded was deleted, yet when having to delete another person’s file, they showed a tendency to delete when it was agreed with the person sharing the folder. In addition, out of the whole 45 shared folders of the test group, 49% were those that were still being shared even though the shared project had finished. It was further found through the interview that although the shared project had finished, the sharing was not immediately disconnected nor the folder deleted and in general, they were left for a long time before being deleted at once. The existing research regarding cloud storage usually involved preliminary research using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how users viewed cloud and whether they found it useful. Yet this research examined not only how users found cloud, but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why they specifically decided to use it and how they managed and shared private and group information. Through this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guide and potential insight regarding private and group information management as well as what direction the service of cloud storage that involves multiple devices would go to, was discovered.

      • (The) Development of preferential dual cancer-therapeutic cassettes against prostate solid tumor model

        김아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In nature, living organisms constantly respond to stimulus in the environment. The impetus may be necessary to find some food, attract mates, and evade predators1,2. Cancer may be a principal toxin that may be harmful to the organism in atmosphere. To protect itself, synthetic therapeutics has been purposely considered. However, traditional cancer therapeutics may have been suffering from several bottlenecks including (1) leaky blood vessels and poor lymphatic drainage, (2) intrinsic tumor heterogeneity/surveillance and (3) generic physiochemical disorder of drug molecules. By now, a variety of therapeutic medications have been attempted but failed to surrender it under control. New rational design concepts have been on demand. In immunology, complement systems triggering against environmental toxins may be much interesting to be deserved as new drug design strategies3. They are generally made up of several functional protein fragments, which clear pathogens from organism once stimulated4,5. Similarly for tumor therapeutic design impacts, it might be necessary to think of each functional module and simultaneously compose their combinations for mimicking immune complement system. Here, we ought to report a novel, potential and multi-modular therapeutic platform with higher drug loading efficiency, tunable and sustained release profiles and intrinsic serum stability. It composed two distinct compartments that contain the combined nanostructures of (1) DNA and RNA as both anticancer container and target ligand enabling to increase antibiofouling properties for systemic stability (eg., drug retention inside nucleotides for drug encapsulation and drug releasing control) and (2) gold nanocrystal as a localized heat inducer. It contained 4000-5000 doxorubicin (DOX) per one gold nanorod, which is in less 10 magnitude relative to the conventional system. It also exerted powerful killing effect over conventional dox-based therapy. Such dual therapeutic cassettes including chemotherapy and hyperthermal ablation are engaged together against solid tumors. Its synergic therapeutic effects were effectively proven to regress prostate cancers in both in vitro and in vivo. Inspired by the design strategies of natural complement systems, it preferentially suggests simple medicinal cassettes but very effective therapeutics. It is highly speculated with this system, that there is no more obligation to deliberate cancer biological barriers or complicate immune-defense mechanisms while new drugs like this are designed innear future.

      • 女性 短時間勤勞의 實態와 法的保護에 관한 硏究

        김아라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우리나라는 경제위기와 세계화를 경험하면서 기업들의 구조조정과 고용형태의 다양화 등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가속화되었다. 최근 비정규직의 뚜렷한 증가가 확인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1997년 IMF 구제금융의 경제위기 이후 단시간근로가 크게 증가하였다. 단시간근로자 비중의 증가와 함께 이들 집단을 둘러싸고 두 가지의 논의가 제기되고 있는데 하나는 단시간근로자의 고용불안정과 고용보호와 관련된 문제이며, 다른 하나는 단시간근로자의 대부분이 여성에게 집중되어 있다는 문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단시간근로자의 2/3정도가 여성인데 이는 여성을 빼놓고는 단시간근로의 문제를 이야기 할 수 없음을 보여 준다. 단시간근로의 고용형태는 노동시장의 유연성의 확보에 기여하고 여성근로자에게 있어 육아와 가사로 인하여 경력단절이 생기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고용기회가 확대된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시간근로는 저학력․저소득층의 여성 근로자가 임금 및 근로조건에서 상대적 불이익을 받는 불안정한 고용형태로 규정되며, 정규근로로 편입될 수 없는 경우에 택하는 불완전 취업의 형태로 여겨지고 있다. 단시간근로는 고용불안과 저임금, 차별, 노동 강도의 심화 등 열악한 작업환경과 차별적인 처우를 감내해야 하는 실정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여성단시간근로의 차별실태에 대한 이상적인 해결방향은 모든 여성단시간근로자를 통상근로자와 같이 보호하여 여성단시간근로의 차별 자체를 없애는 것이다. 그러나 지나친 법적 보호만을 강조한다면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에서는 또 다른 형태의 비정규 근로를 양산해 낼 여지가 생긴다. 결국 사회·경제적 부작용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여성단시간근로자의 특성과 차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열악한 지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법적 보호의 미비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하여 주요 외국의 입법 규정을 비교·검토해보고 차별 시정 방법을 모색하였다. 해결방안으로 여성단시간근로자의 처우에 관한 기본원칙을 균등대우원칙으로 하고, 동일가치의 근로, 즉 직종, 작업내용, 기능, 책임, 노동밀도, 능률 등의 점에서 동등한 노무를 제공하고 있는 한 동등한, 근로조건으로 보장할 것을 제시하였다. 한편 각종 수당에 있어 근로시간에 비례하여 지급하는 등 단시간근로의 취지를 잃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효율적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여성단시간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찾고 더 나아가 노동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accompanied with the financial crisis, the labor market of Korea has been enforced to be more flexible. Article 31 of the Labor Standard Act was so revised in 1998 that the 'urgent economic reason' for termination of employment includes the "mergers, acquisitions and transfer of undertakings in order to avoid worsening business." The revision of the LSA proved as a shock, because the courts have established the principle of succession of employment in case of transfer of undertakings. The government explained that the revision was inevitable, as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sked the government for more flexible labor market in return for the financial assistance to overcome the crisis. Ever since the labor market has been flexiblized through restructuring of businesses and diversifying of the forms of employment. One of the consequences of the flexiblized labor market is the increased number of non-regular workers. Among the non-regular workers is the number of part-time workers not to be ignored. With the part-time workers, there are two main issues to be discussed. One is the problem of job security of the part-timers, the other is the fact that about two thirds of part-timers are female workers. The part-time work has so positive aspect 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women's career interrupted by child care and housekeeping giving them chance of employment. To the contrary, the part-time work is easily regarded as an employment disadvantageous in payment and working conditions. In other words, the part-time workers are confronted with the insecurity of the job itself and the discriminative treatment compared with the regular workers. Although the ideal solution will be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through implementation of equal treatment law, we should also consider the side effects of such measures in social and economic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female part-time workers in order to suggest the ways to overcome the inferior status of women in labor market. In order to make up for a deficiency in legal protection, I tried to examine and compare the legislations of advanced countries. As a result, I suggested the principle of equal remuneration for work of equal value. The equal value is to tested by the skill, efforts, responsibilities and work conditions.

      • 초등학교 미술 현장학습과 연계한 경북대학교 박물관 셀프가이드 연구

        김아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A museum can be said to be a treasure house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a field of history and culture class to awaken a viewer's intelligence and emotion and enhance the level of culture an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exhibition, a collection of art works and relics. Recently,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tends to get bigger and the museum gets its function emphasized as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cultural institution for all walks of people, and especially becomes a place of field study connected to school education. The strongest merit of museum field study lies in that students can see the works directly instead of seeing them only through subject illustrations, and the museum presents the environment of appreciation to understand the arts in a big context through ‥exhibition…. Therefore, the museum needs to grope for positive and diverse methods to reflect students' tastes and dispositions and induce their interest in developing the appreci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material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What is most important for the activa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museum is to prepare and use the educational materials to induce an active participation in 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Hence the museum requires 'a Self-guide' fitted for the students' eye level as an educational means placed in the museum for the service. The Self-guide plays the role to help the students themselves to become the study subjects, learn to be fitted for their own level and necessity and make a meaningful view in their field trips. The field trips using a Self-guide will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museum themselves and also make out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This student's problem awareness starts from here. Usually schools make field trips of the museum to get over the limitation of the appreciation activities in the school classrooms, but the museum and the schools have neglected the efforts for the systematic appreciative education. This student hereby intended to personally develop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for the students to express and criticize the reason of their favorite works through a field study and approach them closely. The Self-guid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 students learn the museum and understand the appreciation widely and draw students' originative and creative ideas, and focus on their diverse activities with an active attitude to express ?E appreciate the works fully and evaluate themselves together with aesthetic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elf-guide aimed at analyzing the self-guide previously developed by the art gallery and the museum at diverse angles, complementing and differentiating insufficient parts in the museum appreciation activities, first of all, developing an integrating class to induce a creative idea and thinking as well as history study based on objective fact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rgue the necessity of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to heighten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field trips and the appreciation effects thereon, design ?E develop the Self-guide of the museum of Kungpook National University with a high educational value as a district museum and find out a method of the use of the Self-guide. In addition, it intend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elf-guide of the existing art gallery and museum and seek for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the self-guide to be developed in future. It also attempted to contribute to arousing viewers' interest and lifting the efficiency of the appreciative education of the museum through a fresh self-guide development needed in inducing a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museum field trips.

      • 국내 그린케어농업 운영실태 심층 분석

        김아라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Green care that combines agricultural sector with social care sector creates mutual synergistic effects such as improvement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social integration by education and employment, and the diversification of agricultural activities, and now is situated as a significant agricultural activity field. Being spurred by recent rapid development of green care in the European Union member states, Korean government is planning to promote the state-funded project. However because green care in Korea is in an early stage, its present condition has never been grasped adequately until now.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sic operational situations and business characteristics of green care case farms in Korea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on care farmers, and then draws its policy implications and development directions. Considering benchmarking points of the case studies,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earnest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government`s green care promotion project. This study is composed of 3 stages. In stage 1, the concepts, purposes, values, benefits, outcomes and domestic and foreign present situation in respect to green care are analysed. In stage 2, the field survey/in-depth interview and analysis on representative cases of green care in Korea are carried out. In stage 3, after integrating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and something significant regarding operation of green care are drawn and development directions are suggested. Main findings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ccess of representative cases of green care in Korea is caused by the operators’ sincere attitude and serviceabilities, strong activation, efforts for obtaining the sectoral specialities, and good natural environment in-and-around farm. 3 main reasons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operators of green care build a strong bond with users through the careful concerns respecting needs of clients, continuous interest, creating atmosphere of communication and freedom, etc. Second, operators of green care are possessing the active mind and entrepreneurial spirit for success of green care project. Especially, they are concentrating efforts to obtain the specialities of care service field by using networks with experts or getting certificates related care field. Third, case farms are commonly located in places having clean natural environment and regard soil as an important theme. Particularly, operators put emphasis on the contact with natural environment and have the opinion that steps on soil show therapeutic effects. Based on success factors confirmed by this study,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green care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as operators of green care are farmers fundamentally, the basic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care, therapy, treatment and social welfare sectors have to be arranged to develop business abilities of green care. Second, to supplement the speciality in the care field, utilization of diverse manpower pool is necessary by constructing networks and partnership with specialized institutions. Third, because farms have fundamental risk elements such as domestic animal diseases, agricultural machinery accidents, they have to pay attention to creation of safe environment. Fourth, the measures to raise social awareness of green care service and care for socially vulnerable group and supporting policies to establish green care have to be prepared in the near future. Now, rural tourism field is coming to the stage of maturity and sixth industrialization in agriculture is proceeding firmly in Korea. Also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green care is sufficient, for example the Korean oriental medicine and informal folk treatment which have focus on the natural reparative power through the long traditional history. In this respect, if the care field is effectively combined with the existing rural tourism field and sixth industrialization in agriculture, green care looks forward to function as the important growth engine for rural development in the future. 그린케어는 농업 부문과 사회보호 부문이 상호 보완적으로 결합되어, 신체 및 정신 건강 증진, 교육 및 고용에 의한 사회통합, 농업활동의 다각화 등 다양한 상생 효과를 거두며 중요한 농업활동 영역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최근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급속한 그린케어농업 발전에 영향을 받아 우리 정부도 정책사업으로의 추진을 검토하고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의 그린케어 부문은 걸음마 단계로서 운영실태 마저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국내의 그린케어 서비스업체를 대상으로 운영 현황 및 특성을 조사ㆍ분석하고 시사점 및 발전방향을 도출하여, 향후 국내 그린케어 부문의 본격적인 도입 및 정책사업 추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본목적이 있다. 이 논문은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에서는 그린케어의 개념과 목적, 가치, 편익, 성과와 국내외 현황을 분석하였다. 2단계에서는 대표적인 국내 그린케어 운영사례에 대한 조사ㆍ분석을 실시하였다. 3단계에서는 사례업체의 그린케어 운영상 특이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의 그린케어 농업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었던 것은 운영주체들의 성실한 서비스 제공 방법과 자세, 강력한 사업추진 의지 및 전문성 확보노력, 양호한 주변 자연환경 등의 요인이 맞물려 작용했기 때문으로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그린케어 운영주체들은 대상자의 니즈를 존중하는 세심한 배려, 지속적 관심, 소통 분위기 조장, 자유로운 분위기 조성 등을 통해 대상자와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였다. 둘째, 운영주체들은 적극적인 사업추진 의지와 기업가 정신으로 무장하고 있었으며, 특히 치유 관련 자격증을 보유하거나, 전문가와의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여 치유 분야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셋째, 사례농장들은 공통적으로 청정한 자연환경을 보유한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모두 ‘흙’이라는 공통 소재를 중시하고 있었다. 특히 자연환경과 접촉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는데, 운영주체들은 ‘흙’을 밟는 것으로부터 치유효과가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이 연구에서 확인된 성공요인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그린케어 농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면, 첫째, 운영주체들은 기본적으로 농업인이므로, 그린케어 농업경영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보호, 치료, 치유, 사회복지 등의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교육훈련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보호 실무부문의 전문성을 보완하기 위해 전문기관과의 네트워크 및 파트너쉽을 구축함으로서, 다양한 인력풀을 활용하여야 한다. 셋째, 농장은 기본적으로 가축질병, 농기계 이용사고 등, 위험요소를 지니고 있으므로 안전한 서비스 환경 조성에 유의해야 한다. 넷째, 그린케어 서비스와 사회 취약층 보호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방안과 함께, 빠른 기간 내에 그린케어 부문이 정착할 수 있도록 획기적인 정책적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농촌관광 부분이 정착발전단계에 이르고 있고, 농업의 6차 산업화도 강력히 추진되고 있다. 또한 자연의 치유력을 중시하는 전통의학 및 민간요법을 다수 보유하고 있어 독자적인 그린케어 발전 잠재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 농촌관광 부문과 농업 6차산업화 부문에 치유기능을 효과적으로 접목한다면, 우리나라의 그린케어 부문은 미래농촌 발전을 위한 중요한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그림책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이 유아의 기후행동 및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아라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활동을 구성하여 실행 함으로써 그림책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이 유아의 기후행동 및 환경보전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기후변화 그림책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이 유아의 기후행동과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G시에 위치한 J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10명(남아 5명, 여아 5명)을 실험집단, P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10명(남아 4명, 여아 6명)을 비교 집단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실험집단에는 약 9주간 18차시의 그림책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활동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유아의 기후행동 및 환경보전태도의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하였다. 둘째, 비교집단에는 실험집단과 같은 기후변화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반면 교육부(유아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교사용 자료집)와 환경부(놀이중심의 유아 환경교육 프로 그램 교사용 지도서) 자료에서 적합한 교육활동을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이후 유아의 기후행동 및 환경보전태도의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적 t-검증을 실시하기 위해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은 실험집단 유아들의 기후행동 및 환경보전태도 전체 총점의 점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그림책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이 유아의 기후행동 및 환경보전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둘째, 실험집단 유아들의 사전·사후검사 점수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을 받은 후 비교집단보다 기후행동의 4가지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학습행동’과 ‘자원절약’의 경우 통계적 유의미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 유아들의 사전·사후검사 점수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을 받은 후 비교집단보다 환경보전태도의 3가지 하위요인에 서 점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2가지 하위요인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현재 전 세계는 심각한 기후변화 문제를 겪고 있다. 이에 유아기부터의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기후변화 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그림책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의 효과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유아가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실천적인 기후행동 및 환경보전태도를 기르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