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전도 에너지 저장 장치용 3상 사이리스터 브리지의 비대칭 제어에 관한 연구
김승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일반적으로 3상 사이리스터 브리지 회로는 AC-DC 변환장치, 대형 모터의 가역속도 조정, 에너지 저장 장치 등 전압, 전류 제어의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여러 가지 대용량 에너지 저장 장치들 중 초전도 에너지 저장 장치 (Superconducting Magnet Energy Storage, SMES)는 상대적으로 에너지 저장용량이 크고 응답속도가 빨라서 오랜 시간동안 잦은 충·방전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적합하고 사이리스터 브리지를 대칭 제어하는 대신에 비대칭 제어를 하면 상대적으로 평균 출력전압은 감소하지만 유효전력을 최대화하면서 무효전력을 최소화하여 역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SMES용 3상 사이리스터 브리지 회로에서 사이리스터가 점호되는 각을 대칭 또는 비대칭 제어함으로써 특징을 분석하였고 에너지를 SMES에 저장하고 회생 시에는 저장된 에너지를 입력 전원 측에 공급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SMES에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전력변환기인 3상 사이리스터에서 비대칭 제어를 함으로써 무효전력을 최소화 시켜 역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KEY WORD: 초전도 에너지 저장 장치(Superconducting Magnet Energy Storage, SMES), 3상 사이리스터 브리지, 대칭 제어, 비대칭 제어 In this paper, in general three-phase thyristor bridge circuits are used in various fields of voltage and current control such as AC-DC converter, reversible speed adjustment of large motors, and energy storage devices. Among the various energy storage devices developed so far, superconducting energy storage devices have a relatively large energy storage capacity and high response speed, which is suitable for a system requiring frequent charge and discharge of a long time. In the SMES three-phase thyristor bridge circuit, energy is stored in the SMES by symmetrical or asymmetrical control of the alpha angles at which thyristors are turned on, and reverse voltage is generated during regeneration period in which to regenerate energy is supplied on the power supply side. This paper describes the control characteristics of power converters for SMES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a method to increase the power factor by minimizing reactive power by asymmetric control in a 3-phase thyristor, which is a power converter for storing energy in SMES. KEY WORD: Superconducting Magnet Energy Storage (SMES), 3-phase thyristor bridge, Symmetrical control, Asymmetrical control
하둡에서 태그를 이용한 빅데이터의 동적 분류에 관한 연구
In last years, Hadoop has become a basic data processing infrastructure in the field of Big data processing. Due to design limitations of Hadoop,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classify for real-time processing and identify information of data. File in HDFS modification is not possible due to a feature of WORM-based. Also a very large block size is inefficient to process a small file. MapReduce to perform parallel analysis on a cluster is not suitable for real-time processing because the analysis proceeds around the batch processing. In this paper, we proposes a method of real-time processing and dynamic classification of Big data using tags. The tagged data can be used to the real-time processing. In addition, it can assist batch processing of MapReduce. The proposed method to lower memory usage of Hadoop name node, and when performed MapReduce, it was effective to reducing the number of mappers generat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ags that are useful for real-time processing and dynamic classification.
소셜네트워크 공간빅데이터를 이용한 활동기반 교통모형 분석자료 구축에 관한 연구
오늘날 인터넷 사용의 급격한 증가, 스마트폰 보급,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활성화 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모바일 기기의 보급 등으로 인해 우리 주변에는 규모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정보와 데이터가 생산되는 ‘빅데이터(Big Data)’의 시대가 도래 했으며,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교통분야에서는 오랜시간동안 우세를 점하고 있었고 도시교통개발에 효과적인 추정 방법으로 여겨졌던 전통적인 통행기반교통모형(Trip-Based Model)인 4단계 교통수요추정법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으며, 최근의 컴퓨터 기술의 빠른 성장에 힘입어 활동기반교통모형(Activity-Based Model)을 이용한 수요 추정 방법이 교통계획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교통은 사람이나 물류의 공간상의 시간적 이동을 의미한다고 봤을 때 공간데이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공간빅데이터(Spatial Big Data)와 접목될 수 있는 분야이다. 따라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상의 공간빅데이터를 추출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행기반교통모형(Trip-Based Model)의 특성과 비교․분석하고 나아가 활동기반교통모형(Activity-Based Model)의 분석자료를 구축하여 공간빅데이터와 활동기반교통모형을 접목시킨다면 매우 큰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공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SNS를 대상으로 시계열적 공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행기반교통모형(Trip-Based Model)의 OD와 비교․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활동기반교통모형(Activity-Based Model)의 분석자료를 구축하여 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제도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활동기반 교통모형 분석자료를 구축할 수 있었고, 교통수요추정 시뮬레이터인 MATSim을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로 인해 교통분야에 있어 빅데이터 활용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었다. The era of Big Data has come with the internet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smart phone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SNS). Also, the importance of Big Data has been rapidly growing. The Four-Step Travel Demand Model(FSTDM), a traditional Trip-Based Model(TBM) for effective urban transportation development in the field of transportation planning, reaches its limit. In recent years, a traffic demand forecasting method using the Activity-Based Model(ABM) emerged as a new paradigm with the rapid growth of new computer technologies. As a result, many researchers are studying on it. Given that transportation means the spatial movement of people and goods in a certain period of time, transportation could be very closely associated with spatial data. Thus, if transportation planning can be linked to Spatial Big Data, which has grown rapidly in these days, that would be very valuable data. In order to connect these two, first, I mined Spatial Big Data from SNS, such as Twitter. Next, I analyzed these data and the attributes of TBM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data from SNS. After that, I built a database from SNS to manipulate an ABM simulator. During the research, there were institutional constraints on policies, such as th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limit policy. However, through this research, I was successfully able to create a spatial database from SNS to control an ABM simulator, Multi-Agent Transport Simulation(MATSim). Through this research, I found possibilities to overcome technical limitations on using Spatial Big Data in the transportation planning process,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seek ways of further research development.
Heterotrimeric GTP binding proteins (G proteins) transduce signals initiated by a variety of hormones and neurotransmitters. Among G proteins, Go is one of the most abundant G proteins expressed in the brain and is classified as a member of the Gi/Go family due to its sequence homology to Gi proteins. To determine the function of the alpha subunit of Go in brain, We searched for Goα-interacting partners from human fetal cDNA library using yeast two hybrid screening. We identified a cDNA encoding 219 amino acids of Ras like protein in all tissue (Rit). We confirmed Goα::Rit interaction employing several biochemical analysis. Rit also preferentially bind the GoαQ205L, constitutively active form of Goα than wild type Goα.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oα::Rit interaction on neuronal differentiation, we transfected expression vector for Goα or/and RitDN, dominant negative form of Rit. While the expression of GoαQ205L alone induced neurite outgrowth, coexpression of GoαQ205L and RitDN did not show such effect. To investigate the downstream signaling of Rit in neuronal differentiation, we search Ral-stat3 and ERK pathway. As results, Rit could not activate Ral-stat3 pathway and rather stimulated ERK phosphorylation. ERK phospholyrlation was increased by expression of GoαQ205L but decreased by coexpression of GoαQ205L and RitD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ctivation of Goα increase the function by Rit as a ERK-dependent neuronal differentiation inducer.
한국의 經濟成長은 세계가 주목할 만한 놀라운 성장을 해 왔다. 그러나 경제성장에 비하여 국민의 福祉水準은 後進性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경제성장과 함께 전반적인 국민의 生活水準은 향상되었으나 사회적으로 누려야될 복지수준은 미약하기만 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의 복지정책이 지역사회 발전에 미치는 影響에 대하여 硏究함으로 교회가 지역사회에 체계적인 福祉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目的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一般服地 理論과 敎會福祉 理論을 분식하여 일반복지에서 다루는 人間尊重의 原理와 교회복지의 밑바탕을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근거로 福祉理論을 정립하였다. 第 3章 現況과 役割에서는 우리나라의 복지현황과 교회복지 정책이 지역사회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있다. 現況에 있어서는 최근자료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福祉施設의 實態와 교회복지 프로그램의 실천여부를 조사해 현재 지역사회에 제공되는 복지프로그램의 종류와 活潑性을 제시하였다. 役割 부분에 있어서는 교회복지 프로그램이 지역사회발전에 미치는 影響을 硏究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地域社會 복지에 미치는 교회복지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교회복지 프로그램으로는 복지활동을 통한 奉事, 醫療活動을 통한 奉事, 相談을 통한 奉事, 敎育을 통한 奉事 등이 있다. 둘째, 지역사회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지역사회 개발과 교회의 관계는 同伴的인 관계이다. 지역사회개발을 교회가 독자적으로 추진할 수 없으며 지역사회 일원으로 함께 수행해야 된다. 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사업으로는 兒童福祉事業, 敎育事業, 社會事業, 地域發展을 위한 세미나와 켐페인을 전개할 수 있다. 셋째, 교회가 지역사회 文化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향락문화에 병들어가는 지역사회에 건전한 놀이문화와 정서적 안정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第 4章 바람직한 교회복지 정책에서는 복지정책의 問題點과 改選方案을 제시하였다. 문제점으로 첫째, 이념상의 문제를 통하여 교회에서의 사회복지 사업에 대한 불합리적인 認識問題와 교리적인 문제를 다루었다. 둘째, 복지시설 분영의 문제에 있어서는 복지자원(인적자원, 물적자원, 시설자원, 조직자원 등) 활용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비 전문화로 인한 복지 서비스의 부재현상을 제시하였다. 셋째, 복지정책의 과제에 있어서 아동복지정책, 청소년복지정책, 노인, 장애인, 지역주민 복지정책으로 나누어 정책상 잘못된 점과 미비점을 제시하였다. 改選方案에 있어서 첫째, 이념의 전환에서는 교회복지 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볼 수 있는 사회복지 사업과 신앙과의 관계를 聖書를 통하여 명확하게 제시함으로 사회참여에 있어서의 걸림돌을 제거하였으며 교회의 바른 이해를 통하여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유도하였다. 둘째, 복지설 운영방안에 있어서 자원동원의 방법과 자원확보 방안을 제시함으로 시설운영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복지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셋째, 복지정책의 현실화에 있어서 바람직한 정책을 제시함으로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우리나라의 복지정책은 서구 先進國에 비하면 복지수준이 매우 낮은 편이다. 짧은 시간안에 복지수준을 높이기는 어렵지만 긴 안목을 가지고 일괄성 있는 복지정책을 통하여 점차적으로 복지선진국으로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국가는 非營利 사회복지 단체들과 連繫하여 적은 財源으로도 높은 효율성을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硏究하여 실행하여야 할 것이다. Korea economy has grown remarkably deserving to world's attention. However, considering the growth, national welfare level remains undeveloped. Overall national life level has improved, but welfare level people should have is still low. In addition, welfare benefit for relatively poor class is a pressing question. Under such circums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hurch to offer systematic welfare to local communities by studying an influence of church welfare policy on local commuty development. In this study, general welfare and church welfare theory were analyzed, and welfare theory was set up based on Jesus's love underlying the theory of respecting man's life and dignity dealed with general and church welfare. Chapter 3, the present condition and service show the: influence of the current Korea welfare condition and church welfare policy on local community development. As for the current condition, the realities of welfare facilities and practice of church welfare program were inquired, and the activity and kinds of welfare program offered to local communities were presented. As for service, the influence of church welfare program on local community development was studied. First, church welfare program influencing on local community welfare was presented. There are services by welfare activities, medical treatment, counselling, education, etc in church welfare program. Second, the influence of church on local community development was presented. Local community development is accompanied with church. Church can't carry forward the scheme of local community development individually, but carries it out together as a member of a community. There are juvenile welfare, education, social work and a seminar or campaign. Third, the influence of church on local community culture was studied. The program which offers healthy recreations and emotional stability to local communities which go wrong by pleasure-seeking culture was presented. Chapter 4, desirable church welfare policy presents the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in welfare policy. The following is the problems. First, the problem of irrational understanding and doctrines about social welfare work in church through ideological problems was studied. Second, as for the operation of welfare facilities, the problem of utilizing welfare resources (men-power, material, facility, organization resources, etc.) and the absence of welfare service due to non-specilization were presented. Third, as for welfare policy problems, they were divided into juvenile, the old, disabled people and local people welfare policy, and wrong and deficient things in them were presented. The following is the improvement plans. First, as for the conversion of ideology, by presenting the biggest problem of the church welfare polic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elfare work and religion clearly, obstacles against participation in public affairs was removed, and positive participation through right understanding of church was induced. Second, as for the way of operating welfare facilities, the way of mobilizing and securing resources was presented to ensure necessary resources for operating facilities. In addition, effective utilizing of welfare resources was induced. Third, as for actualization of welfare policy, desirable policies were presented, and drastic solving ways of the problems were studied. The Korea welfare level is very low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level in a short time, but with a long eye we should make Korea a welfare state step by step by consistent welfare policy. Government should connect with nonprofit organizations, and study ways to create high effectiveness even with a small revenue resource.
고 프루드수 선박의 자세 및 저항추정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20세기 CFD의 출범 이후 지속적인 컴퓨터기술의 발달로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CFD를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다. 조선분야의 경우, 새로운 선박을 설계할 때 모형시험 대신 많은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고, 유동현상의 세밀한 관찰 및 분석이 가능한 CFD를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치해석 기법의 발달로 인해 그 신뢰성이 확보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저 프루드수, 고 레이놀즈수를 갖는 대형 상선에 해당하며 최근에는 고 프루드수 선박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신뢰성 있는 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고 프루드수 선박의 경우 활주 상태에 따라 저항성능이 크게 변하므로, 항주 자세 예측이 매우 중요하다. 활주 상태의 선박은 자세에 따라 선저 바닥면에서 나타나는 압력변화에 따른 동적 부양력 변화가 크기 때문에 자세 추정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항계산과 동시에 자세 추정이 가능한 STAR-CCM+의 DFBI(Dynamic fluid body interaction) 기능을 사용하여 고 프루드수 선박에 대한 저항성능 평가 및 자세추정에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수치해석 기법을 찾고, 모형시험 결과 및 시운전 결과와 비교하여 실제 선박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지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Since the launch of the 20th Centry CFD, CFD has been actively used in various fields due to continuous computer development. In the case of shipbuilding, CFD is used to design a new vessel, which saves much time and cost in comparison to model test and allows detailed observation and analysis of fluid flow. Recently, the reliability of numerical analysis has been secured. However, this is equivalent to a large merchant ship with a low-Froude number and high-Reynolds number. Recently, research on high-Froude number vessel has begun, but reliable results are still lacking. In addition, the resistance performance of a high-Froude number vessel depend on running posture, so the prediction of the running posture is very important. It is very difficult to estimate the posture due to large change of dynamic lifting force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on the bottom of the ship depending on the posture. Therefore, in the this study, we used to dynamic fluid body interaction(DFBI) function of STAR-CCM+, which is able to estimate posture simultaneously with resistance calculation, and find useful numerical analysis techniques that can be used for resistance evaluation and posture estimation for high Froude-number vessel and considered whether it can be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e actual vessel.
국내대학의 이러닝(e-Learning) 활성화 방안 연구 :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김승현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The recent advances in scientific and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propelled Korean society's growth from an industrial to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Changes have occurred in virtually every sector including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livery of education.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e-Learning systems by domestic colleges is rather low when compared with the wide-spread use by private persons,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o investigate the practicality of future changes to and the extent of current e-Learning systems by colleges in the Chungcheong area, this study surveyed the program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formed reliability tests, factorial analyses, and feasibility tests using SPSSWIN 10.0. Factors and problems that hinder the revitalization of e-Learningby colleges in the Chungcheong area were deduced through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alyses and the e-Learning revitalization program was examin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data reveals that to revitalize e-Learning in colleges throughout the Chungcheong area, it is necessary to devise a program capable of quickly responding to problems during this study, improving follow-up action with respect to the study, and enhancing the consciousness of and participation by learners. There needs to be a greater investment in e-Learning and support policies that meet the operation requirements to increase the supply rate of e-Learning. Since the revelation that phased learning by grade matching the competence of learners is difficult, it is necessary to develop grade-appropriate content for the learners.
소비자 요구의 다양화, 다변화에 따라 제품 사이클은 단축되고, 제품의 디자인적 요구사항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신제품의 개발기간을 단축해야할 필요성을 증대시켰고 개발단계에서 제품을 양산하기 전에 시제품을 제작하고 실제 눈으로 확인하는 과정은 반드시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쾌속조형을 이용한 시제품 제작 등의 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며 플라스틱 수지의 시제품으로 금속시제품에 비하여 복잡한 형상의 경우 가공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대량생산에 어려움이 있어 진공주형 등의 금형을 이용한 시제품 제작기술도 활용되고 있다. 현재 플라스틱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제품 재료 중의 하나이며 전자 산업, 자동차 산업 및 항공 산업 등에서 경량화의 요구가 더해지면서 가볍고 강도가 높은 우수한 많은 종류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개발에 힘입어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제품은 약 1/3 정도가 사출 성형법에 의해 생산되고 있다. 사출 성형기는 열가소성 수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유동상태로 만든 것을 폐쇄된 금형 내에 고속․고압으로 유입시킨 후 고화시켜서 성형품을 생산하는 기계이다. 진공주형기는 진공상태에서 실리콘 간이형에 상온의 액상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탈형하여 성형품을 생산하는 기계로 일반 사출성형으로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할 때 공정에 따라 다양한 불량현상과 금형비용의 감소가 가능하다. 일반적인 제품 제작 방법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사출에 의한 제품 생산이다. 또한 최근 빠른 시작품 제작을 위한 방법으로 진공주형이 활용되고 있다. 본 과제에서는 이러한 두 방법의 장점을 결합하여 제품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사출성형기는 대량 생산에 용이하고 형상의 제한이 적으며, 재료를 인서트할 수 있고 보강재의 혼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고온의 용융된 수지의 사용과 고압의 밀폐장치를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성형 작업 중 다양한 불량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사출성형은 금형과 부대 장치가 고가이며 사출성형 과정을 제어하기 힘든 단점 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을 개선한 새로운 사출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진공주형기는 설비비용이 저렴하고 비교적 저압으로 제품 성형이 가능하므로 사출 성형기에 사용되는 부수적인 기구부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금형소재가 다양하여 빠른 시간에 시제품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품의 표면이 깨끗하고 얇은 두께의 제품성형이 가능하고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사출 금형에 비해 정밀도 낮으며, 액상 수지의 사용으로 강도가 다소 낮고 소량의 시제품 제작에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출성형기와 진공주형기의 장점을 결합하여 생산성이 빠르고 안전하며, 금형의 가격을 줄일 수 있는 저압용 진공사출기를 개발하고 핵심부품인 실린더부의 최적화된 설계를 바탕으로 우수한 성능의 진공사출기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개발목표를 바탕으로 실린더의 사출방식 선정과 실린더 노즐부의 형상에 따른 유동해석을 수행하여 저압용 진공사출기의 실린더부를 설계하였다. 1. 실린더부의 피스톤, 노즐에 대한 설계값을 CFX를 이용한 유동해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실린더는 기존 스크류를 이용한 방식에서 피스톤을 이용한 방식으로 단순화 하고 최대 350℃까지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 실린더는 내부 직경 60mm, 외부 직경 99mm, 전체길이 250mm로 설계하였고 사출재료 투입의 용이성을 위해 상부에 15°의 테이퍼를 만들었다. 노즐의 출구형상은 3가지(U, V, T) 형태로 나뉘며 각 형태별 유동해석을 통해 노즐부의 형상에 따른 최적의 노즐 직경을 찾아내었다. 3. ANSYS의 CF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동해석을 수행하였고, 사출 재료로는 가전제품 등에 자주 쓰이는 Noryl ppx7110 수지로 이 재료는 285℃일 때 점성계수가 0.2 Pa․s이다. 해석조건은 출구형상과 노즐직경에 따라 선정하였고 출구형상을 제외한 나머지 인자들은 모두 동일하게 지정하였다. 유동흐름과 출구유속을 고려하여 V형의 노즐직경 6mm일 때 가장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nufacturing industry has changed from mass production to mass customization. And many products has been produced to satisfy the consumer by this trend, products life cycle are more shorter, and the reduction of products lead time are more important. So consumer survey and market research have more weight in products lead time. The change ,like this, demand more complex prototyping by the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system. It is Vacuum Casting that more representative than other prototyping manufacture method. Vacuum casting have many strength. For example it have many manufacturing material, its process is very speedy, its processing cost are very chip like that. But its precision is a bit low. In this study, productivity fast and safe combining advantage of Injection Molding and Vacuum Casting, and wished to estimate Low Pressure Vacuum Injection Molding's correction of deformities manufacture performance that can cut down Mold's price. Achieved Injection analysis using CFX that is Flow analysis program with these project and Optimized Design of Low Pressure Vacuum Injection Molding Cylinder. Results of research performed, the following conclusions obtained. 1. Part of the cylinder piston, the nozzle design for the flow with CFX values were derived through analysis. Using the existing screws of the cylinder with a piston swap to simplify the way up was configured to allow heat to 350 ℃. 2. The inner cylinder diameter 60mm, external diameter of 99mm, overall length 250mm was designed for ease of injection material put at the top of taper made of 15 °. Three kinds of shape of the nozzle exit (U, V, T) to perform flow analysis on the optimal shape of the nozzle part of the nozzle diameter was found. 3. Use of ANSYS CFX program flow analysis was performed, and frequently used consumer products include injection material Noryl ppx7110 resin material, the viscosity coefficient is 0.2 Pa․s when 285 ℃. Depending on the shape and diameter of the exit nozzle exit geometry was chosen to analysis conditions, except specify the arguments were all the same. Consider the fluid flow and exit velocity, when the V-shaped 6mm diameter of the nozzle according to the most stable.
창의·융합형 역량을 위한 연극교육 교수법 연구 : 고등학교 연극 동아리를 중심으로
‘연극’이란 장르는 배우가 무대 위에서 인간의 말과 행동으로 표현한 이야기를 관객과 공유할 때 완성되는 소통의 예술이다. 그러나 연극이 반드시 대본이나 대화를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즉, 연극예술은 많은 예술가들의 협력으로 이루어지며, 장치, 조명, 의상 등 다양한 디자이너와 배우, 극작가 등 각각의 독립 예술가들이 헌신적으로 상호 협조하여 새로운 제 3의 예술형태를 창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극’은 공연을 만들어 감에 있어 다양한 예술가들이 함께 논의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협동의 예술이며, 여러 장르의 예술적 요소들을 모아 하나의 작품 만드는 융・복합 예술인 것이다. 이러한 연극은 단순히 예술분야로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적인 분야로도 그 활용이 가능하다. 오스카 G. 브로케트는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연극은 보다 전통적인 다른 과목들과 함께 대학 교과과정의 합법적인 학문 분야로서 인정되었다.” 라며 연극이 교육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학문분야로서도 그 가치가 있음을 말하고 있다. 이처럼 연극은 다양한 형태로 소통을 하고, 창조적이며, 융·복합 예술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교육 현장에서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춰 본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의 연극 동아리 학생에게 필요성이 증대되는 연극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말하는 창의・융합형 인재상과 핵심 역량에 대해 알아보고, 개정 교육과정 속 연극의 성격과 목표를 통해 창의・융합형 인재상을 위한 교육에 연극이 적합하다는 전제를 세운 후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창의・융합형 인재상을 위해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교수법 연구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수법을 직접 실연하여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작성된 설문지 분석 연구를 통해 창의·융합형 역량에 연극이 적합하며,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안이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효과적인 교수법 연구 파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우구스또 보알의 서책을 토대로 연극놀이 연구 및 황헌중 연구자의 ‘교육연극 교수학습지도안 모형연구’를 토대로 연극놀이 교수법 연구 둘째, 즉흥연기에 관련된 논문과 서책을 통해 즉흥연기 연구 및 본 연구자의 실제적 즉흥연기 교안을 제시하고 설문지를 통한 피드백 연구 셋째, 극 만들기의 방법론 및 메이킹 북을 통한 제작방법 제시 이상의 연구들은 현재 이 시대와 앞으로 다가올 미래사회에 창의·융합형 인재상 육성을 위해 연극이라는 장르와 연극을 토대로 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하며, 연극 교육을 하고자하는 이들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다. 다만 본 연구의 적은표본과 적은 표본, 기존 교수법을 토대로 한 새로운 교수법의 부재 등의 한계점으로 인해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genre of 'play' is an art of communication that is completed when an actor shares a story expressed by human words and actions on the stage with the audience. In other words, theater art consists of the cooperation of many artists, and each independent artist, including various designers, actors and playwrights such as devices, lighting, and costumes, is devotedly cooperating with each other to create a new third art form. Thus, 'play' is an art of cooperation in creating a performance by various artists (each part expert or participant) who discuss and solve the problem together, and it is a fusion and composite art in which various genres of artistic elements are collected and produced. Such plays can be used not only in the art field, but also in the educational field. Brockett, Oscar G. said, "In the 20th century, plays were recognized as legitimate disciplines of the university curriculum with other more traditional courses," the play has an educational effect and is worthy of the academic discipline. As such, theater communicates in various forms, is recognized as a creative, fusion and complex art, and demands the necessity in the education field. In line with this demand, the study focused on theater education for theater club students in ordinary high schools. This research will first look into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talent awards and core competences mention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stablish the premise that plays are suitable for education for creative and fusion talent awards through the characters and goals of plays in the revised curriculum. It also conducts effective and practical teaching methods research for creative and fusion-type talent awards. Finally,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analysis study prepared for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by demonstrating the teaching method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to b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s study that plays are suitable for creative and fusion capabilities and that the teaching method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ffective. The following are the composition of effective teaching method research parts. First, a study of theater play based on the book of Augusto Boal, and a study of theater play teaching methods based on Hwang Heon-joong's model of teaching guide for educational play. Second, the study of improvisation through the thesis and book related to impromptu acting, and the study of feedback through questionnaire presented by the researcher on impromptu acting Third, the method of making a theatrical performance and the method of making through making book The above studies make us aware that education based on genre and play is necessary to foster creative and fusion talent awards in this era and the future society,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ose who want to provide theater education. However, due to limitations such as the small sample of this study and the absence of new teaching methods based on existing teaching methods,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