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자를 첨가한 학생 간식용 시폰 케이크 개발

        김순영 순천대학교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chiffon cake prepared with yuza powder, and to determine optimal ratio of the powder. The chiffon cake wa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yuza powder(5, 10, 15 and 20%),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he specific gravity of chiffon cake batter, the control sample was 0.51 g/mL, and this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yuza powder, the viscosity data showed similar pattern effects. The pH of chiffon cake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yuza powder. The moisture content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yuza powder. The water activity of control sample was 0.896(Aw), which value was higher than the other samples. The height of control sample was the highest by 6.47 cm. In texture, the hardness fracturability, adhesiveness, and gummines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yuza powder. Total polyphenolic content in the sample of 5% substitutes was 32.81 ug/mL and its values increased with higher substituting ratio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yuza powders. In sensory evaluation, the color preference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control and 5% sample were higher by 6.63, 6.26, respectively. These acceptability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ratio of yuza powder.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e optimum addition level of yuza powder for chiffon cake would be suggested to be 5-10%.

      • 세분화 기법을 이용한 데이터 통합에 관한 연구

        김순영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paper deals with data fusion, one of th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data, which is the source of information. Former studies on data fusion techniques have used the measure of similarity such as the distance between units.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ordinary data used not only in data mining but also in reality are large capacity ones, data fusion bears the burden that the amount of calculation(numbers of units, numbers of fusion variables) will be increased geometrically as the amount of data is increased.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Kim Soon-young and others(2005) suggested the clustering fusion technique. However, information available in this method will be limited, because it uses only the information of the continuous common variables in the clustering process. Therefore, the data fusion algorithm, which uses segmentation method as an alternative, is suggested in this paper. The data fusion algorithm, using the segmentation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a wa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usion by making up for the shortcomings of previous methods, in which the amount of calculation and time increase when the researchers perform data fusion using large-capacity data. The units are segmented into groups of similar units, and then each segmented group performs the process of fusion. During this segmentation process, researchers can make segmentation groups using the variables which are shared in each file in order to minimize the uncertainty of fusion variables. When this method is used, it is possible to use all the information of common variables during the data segmentation process regardless of the metric of common variables. Researchers can not only choose and use common variables which play significant roles to the variables which are going to be fused, but also use the information of the unique variables that is supposed to be fused in order to minimize the uncertainty of fusion variables. To get this result, split algorithm, which is verified in the decision tree, was used to segment data. If the most similar, one unit is used in the fusion process, other similar units can be ignored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accuracy of data fusion can be doubted. Therefore, several similar units, rather than the most similar one were used to perform data fusion.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paper can not only reduce the amount of calculation and processing time for data fusion, but also lessen the loss of information of the respective, similar units. Therefore, i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data fusion compared to the previous fusion algorithm.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he suggested segmentation technique with the previous one, an experiment was made with the real data. The suggested algorithm reduced the amount of calculations and time. It also improved the efficiency of data fusion in the respects of predicting power and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fusion files.

      • 상사의 코칭이 직원의 인사평가 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 부하직원의 상사에 대한 수직적 신뢰 관점에서 -

        김순영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성과관리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상사의 코칭이 직원의 인사평가 공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하직원의 상사에 대한 수직적 신뢰관점으로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변수인 상사의 코칭에는 Heslin 등에 의해 개발된 안내, 촉진, 감화를 하위변인으로 측정하였으며, 종속변수인 공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Colquitt에 의해 개발된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분배공정성을 하위변인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준정부기관인 K공단의 승인을 얻어 정규직원을 대상으로 무기명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표본 493부 중 총 440부의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상사의 코칭은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분배공정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코칭의 하위 변인인 ?안내?감화?는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촉진?은 상호작용공정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직원의 인사평가 공정성 지각을 위해 상사의 코칭에 대해 중요성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상사의 코칭과 직원의 인사평가 공정성 지각의 관계를 부하직원의 상사에 대한 수직적 신뢰관점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으며, 공공기관 종사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effect of a team leader?s coaching, which is given during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on the team member?s perception on the 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vertical trust of subordinates in their supervisor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is research, I analyzed the independent variable ? team leader?s coaching using such sub-variables as guidance, promotion and inspiration, which were developed by other researchers including Heslin and the dependent variable ? fairness based on such sub-variables as the procedural fairness, reciprocal fairness and distributive fairness. For the research, an online anonymous survey of regular employees of K Corporation that was a quasi-government body was conducted after acquiring permission from the company. 440 samples among total 493 cases that have been collected were used for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team leader?s coaching affected the perception of procedural fairness, reciprocal fairness and distributive fairness. In addition, the sub-variables of coaching - ?guidance and inspiration? influenced procedural fairness and reciprocal fairness while reciprocal fairness was affected by other sub-variable - ?promotion?.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pointed out the significance of team leader?s coaching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subordinates? perception of the 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thesis is significant and differs from previous works in that it has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coaching and the team member?s perception of the fair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selected those who worked for a public institution as a the subject of the study.

      • 簡牘文字의 書體硏究 : 隸變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순영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春秋戰國時代(춘추전국시대)로부터 漢代(한대)에 이르기까지 민간 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던 簡牘文字(간독문자)를 통해 문자 발전사에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의 형태를 만드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한 획을 그었던 隸變(예변)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간독문자의 발굴기원 및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 고, 春秋戰國時期춘추전국시기), 秦時期(진시기), 漢時期(한시기)의 각 시기별 로 지금까지 발굴 발표되어진 간독 가운데 수량 · 내용 · 字迹 등 연구의 가치 가 높은 것으로 선정하여 그 書體(서체)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시대에 따라 어떠한 演變(연변)의 과정을 거쳐서 발전되었는지 살펴보고, 시 기에 따른 서체의 특징과 변화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예변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필연성과 예변의 규율을 도출해내어 간독과 예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춘추전국시기로부터 진 한 대에 이르는 간독문자의 서체를 통해 隸書(예서) 와 章草(장초)의 생성 및 완성 뿐 아니라 동시에 行書(행서) 및 楷書(해서)까 지도 싹트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것은 古文字(고문자)체계의 篆書體(전서체)가 古隸로 변화되는 과정 을 거쳐 今文字(금문자)체계인 예서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이 곧 예변이다. 이 예변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일 어났던 것으로, 예변은 여러 가지 규율을 가지고 있다. 규범화된 문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인간의 심미추구라는 본성과 어우러져 八 分書體(팔분서체)를 탄생하게 하였다. 또한 한자의 자형은 타원형에서 偏方形 (편방형)으로, 다시 方塊(방괴)형태로 변화 발전한 것이다. 이렇게 중요한 예변의 기간은 춘추전국에서 한대에 이르기까지의 대략 500 여 년간이다. 이 오랜 기간 동안 예변을 가능하게 했던 핵심적인 요인이 간독 이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이러한 점이 이 논문에서 밝히고자한 내용 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Gan-Dok characters which were widely used in the private community from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s to the Han dynasty, to find its relationship with Ye-Beon, which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type of Chinese characters used today. To do so, I first studied the original excav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Gan-Dok characters and of the excavated and reported Gan-Dok characters of each period of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s, the Qin, and the Han dynasties, I selected those of high academic value in terms of quantity · contents · characters's trace and so on,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lligraphic style. I investigated the process of changes involved in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 characters and organized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each period. As a result, I found out why Ye-Beon was necessary and the regulations of Ye-Beon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Gan-Dok and Ye-Beon. I also knew that, through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Gan-Dok characters from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s to the Qin and Han dynasties, not only was lishu(隸書) and zhangcao(章草) formed and completed, but even xingshu(行書) and kaishu(楷書) sprouted from this. As this signifies that zhuanshu(篆書) of ancient character system goes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into guli(古隸) and gives birth to the modern character system of lishu, this process is in fact called Ye-Beon. This Ye-Beon took place inevitably due to may complex factors and has many rules. As time passed, regulated calligraphy was combined with the human instinct of aesthetic pursuit to give birth to bafen(八分). Also, the character form of Chinese characters changed from oval through flat to square form. Ye-Beon, which was so important, took place over six hundred years from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s to the Han dynasty. There is no doubt that Gan-Dok characters were what made Ye-Beon possible over such a long period of time. This is what this study wished to uncover.

      •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김순영 慶尙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on of antioxidation effect and general composition of Sargassum thunbergii for its application to functional food. The antioxidation effect study was carried out by measuring reducing power with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superoxide dismutase(SOD), nitrite-scavenging activity,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peroxid value(POV) and β-carotene-linoleate system. The general composition was analyzed by measuring contents of moisture, crude lipid, crude protein, mineral, amino acids and free sugars. 1. The Sargassum thunbergii was generally composed of 11.5% moisture, 0.7%crude lipid, 15.7% crude protein and 58.2% total sugar. The sugars was major component of Sargassum thunbergii. The mineral composition of Sarga-ssum thunbergii was following as (per 100g of dried sample weight) : Ca, 2,288㎎ ; Mg, 1,217㎎ ; Na, 811㎎ ; K, 759㎎ ; Fe, 483㎎. 2. Total content of composition amino acids was 5,635㎎% consisting of 1,017㎎% glutamic acid, 645㎎% aspartic acid, 470㎎% phenylalanine, 410㎎% alanine and 338㎎% leucine. Total content of free sugars was 99.7㎎% consisting of40.2㎎% galactose, 22.3㎎% mannose, 16.5㎎% maltose, 12.1 ㎎% sucrose and 8.6㎎% xylose. 3. Phenolic compounds contents of Sargassum thunbergii in extraction phases of chloroform and methanol were 22.5㎎ and 20.1㎎ per 100㎖ extraction solvent, respectively. Hydrogen donating activities were proportionaly increased with 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of Sargassum thunbergii obtained with extraction of solvents except hexane. The hydrogen-donating activities were 70% and 63% with extracts of methanol and water, respectively at concentration of 1000㎍/㎖,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ctivities obtained with other extracts. Nitrite-scavenging activity was measured at pH 2.5, 4.2 and 6.0 among which the highest activity was observed at pH 2.5. The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bserved with extracts of methanol, chloroform, butanol and hexane at pH 2.5 were 90%, 88%, 85%, and 82%, respectively. It means that Sargassum thunbergii contains lots of substances showing high nitrite-scavenging activity. 4. SOD like ability of chloroform extract was stronger than other extracts. TBARS of chloroform extract was 1.5 MDA/L which was measured in addition of H2O2 oxygen species, 2.8 MDA/L in FeCl_(2) oxygen species, and 0.9 MDA/L in CuSO4 oxygen species. 5. All extracts of Sargassum thunbergii showed lower POV than a well-known natural antioxidant, ascorbic acid with which 18 meq/㎏ of POV was observed at 12 hours. Especially, chloroform extract among the extracts showed the strongest antioxidation activity of 4 meq/㎏ POV at 12 hours which was similar to POV of BHT, a well-known chemical antioxidant. 6. Antioxidant activities measured with β-carotene-linoleate system were 78% in methanol extract, 62% in chloroform extract, 51% in water extract and 43% in hexane extract. The antioxidation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72% BHA.

      • Pu-238 첨가 핵연료를 이용한 무붕산 가압경수로의 반응도 제어 연구

        김순영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A new concept of Pu-238 added fuel is introduced to control the reactivity and power distribution in soluble boron free (SBF) pressurized water reactor (PWR) core. Though excessive use of burnable poison and control rods is inevitable for reactivity suppression in SBF core, it causes the core power distribution control to be so difficult that a practical SBF operation is far distant. In this work, it is confirmed that the excess reactivity can be greatly suppressed by introducing the Pu-238 added fuel. As a result of the conceptual core design of the 600MWe SBF PWR using Pu-238 added fuel, the core reactivity is well controlled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arlier 600MWe SBF core design works. Especially, the axial power shape control is performed successfully with the aid of simple axial zoning scheme, developed in this study, by using Pu-238 enrichment zoning. The Pu-238 added fuel is also tested for 1300MWe SBF PWR core design, in which the power distribution control can be more difficult than that of smaller plants if soluble boron control is not available. The results show that the core excess reactivity and the power distribution can be well controlled without using soluble boron even in a large-sized PWR. Hence, one of the difficult control problems arising in SBF core design can be greatly mitigated by introducing the new fuel concept. It is further expected that the Pu-238 added fuel, the simple axial zoning scheme, and the control bank operation strategy introduced in this study are directly applicable to practical SBF core design.

      • 염불의례의 포교효과성 연구

        김순영 중앙승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불교는 신라시대부터 염불 중심의 신행활동이 지속되어 왔다. 원효대 사가 활동하던 신라시대는 삼국통일기에 전쟁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 과 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치는 고통이 지속되었다. 고통 받는 사람들 을 구제하기 위해서 원효대사는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의 염불법을 확 산시켜다. 그리고 그 전통이 현대 한국불교까지 이어지고 있다. 재의식을 봉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염불법이 활용되었다. 재의식은 주로 천도의식을 중심으로 하면서 영산재, 수륙재, 생전예수재 등이 봉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정근 칭명염불이 여러 가지 소리 형태로 발전하여 오늘에 이 르고 있다. 염불은 초기불교부터 수행의 한 방법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염불의식은 수행보다는 기복적인 신행방법으로 활용되면서 본래 의 의미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들어 종교성이 약화되면서 신앙 중심의 염불에 대한 젊은 불자들의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때문에 전통적인 염불의식이 신도들에게 얼마나 수 용되고 있는지 조사해볼 필요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가불자 들이 염불의식을 얼마나 참여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재의식 염불은 한자 게송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참여자들이 내용을 이해 하기 어렵다. 때문에 불자들은 한글로 번역된 염불의식이 확산되기를 기대 하고 있다. 염불중에서는 부처님의 명호를 부르는 칭명염불법이 매우 중요 하다. 불자들은 대부분 칭명염불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으나 그 효과 성은 상활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신도들에게 감화를 주는 칭명염불은 스님의 소리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염불하는 스님이 얼마나 수행력을 갖추고 신도들을 위해서 성심으로 기도를 이끌어 주느냐에 따라 신도들의 참여가 달라진다. 신도들 중에서는 스님들의 염불소리를 지속적으로 듣고 싶어서 녹음된 자료를 구 입하는 사례들도 있다. 그것은 신도들이 좋아하는 염불소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염불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종책이 필요하다. 첫째 종단 차원에서 염불치유명상 프로그램을 만들어 적극 보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염불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염불 지도자를 육성해서 전국적으로 활동 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염불을 쉽게 보급하기 위해서 의 궤의 한글화와 쉬운 음악적 요소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여러 상황에서 응용할 수 있는 염불의례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구본사와 단 위사찰에서는 염불대회 개최, 염불 수행법의 실천, 염불 봉사단 및 결사단 체 결성 등의 활동이 필요하다.

      • 무등산 유산기 연구

        김순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등산은 호남의 진산으로 예로부터 신성한 산으로 사람들에게 인식되어 왔다. 무등산에 오른 많은 이들이 이곳을 유람하고 그 내용을 기록으로 남겼는데, 이것이 바로 유산기이다. 무등산 유산기는 후대에 이것을 본 사람들로 하여금 무등산의 옛 모습을 기억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것이 무등산 유산기가 갖는 가장 큰 의미일 것이다.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산수 유람에는 분명한 목적과 이유가 있었다. 단순히 보고 즐기는 탐승의 대상으로만 산수를 대하지 않았다. 무등산 유산기의 작자들도 무등산 유람을 단순히 산수를 노닐며 풍류를 즐기는 공간으로만 인식하지 않았다. 무등산을 현실의 고통을 해소하고, 문학과 풍류를 즐기며, 道를 구하는 특별한 공간으로 이해했다. 유산기는 작자가 직접 체험한 것을 바탕으로 썼기에 작품의 내용이 매우 사실적이고, 구체적이다. 따라서 산수 유람을 통해 드러난 작자의 사상이나 세계관을 살피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작품군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무등산 유산기 작품은 모두 19편이다. 본고에서는 이 19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무등산 유산기의 내용을 분석하고, 무등산 유산기에 나타난 산수 인식을 통하여 작자의 사상 및 세계관을 알아보았다. 또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무등산 유산기가 갖는 유기문학사적 의의를 밝혀보았다. 먼저, Ⅰ장에서는 연구목적과 범위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 제기를 하였다. 작품은 무등산 관련 유산기 작품 중에서 작자가 직접 산을 유람하고, 遊~山記, 遊~記, ~山遊記, 遊~山, ~山記, 遊~山錄, 遊~錄, ~山遊覽記 등으로 제명한 작품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무등산 유산기에 대한 자료적 검토와 정리는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이다. 그러나 산수유기로서 무등산 유산기에 나타난 작자의 사상이나 세계관, 그리고 무등산 공간에 대한 인식을 다룬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장에서는 무등산 유산기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유산기 연구에 대한 전체적인 상황을 대략적으로 정리하고, 무등산 유산기 연구가 갖는 의의를 설명하였다. 이어서 Ⅱ장에서는 무등산 유산기의 전체적인 성립 배경을 살펴보고, 유산기 창작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19세기를 전후로 19편의 작품을 개관하였다. 뒤에 지어진 무등산 유산기는 16세기에 지어진 고경명의 <유서석록>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데, 이는 무등산 유산기 성립에 아주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Ⅲ장 본론에서는 무등산 유산기에 나타난 산수 인식을 작자의 사상에 따라 유가적, 도가적, 불가적, 무속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무등산 유산기는 무엇보다 무등산 산수를 대하는 작자의 태도가 중요한데, 이는 작자의 사상이나 세계관과 관련이 깊기 때문이다. 무등산 유산기의 작자들은 모두 유학적 사상을 이어 받은 유학자들로 산수를 대하는 이들의 태도 역시 유학자적 시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무등산 유산기에 드러난 유가적 사상은 크게 尊賢과 人事 한탄으로 볼 수 있다. 불가적 사상은 탈속과 俗僧 비판, 도가적 사상은 仙遊와 仙界 체험, 무속적 성격은 신앙과 神山 인식이다. 이 장에서는 무등산 산수를 통해 드러난 작자들의 이러한 사상적 지향과 공간 인식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Ⅱ, Ⅲ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무등산 유산기의 유기문학사적 의의를 알아보았다. 무등산 유산기는 16세기에 처음 등장하여, 17, 18세기에는 거의 모습을 보이지 않다가, 19세기에 들어서 활발한 창작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무등산 유산기에는 무등산을 배경으로 활동한 호남의 다양한 인물과 역사, 그리고 무등산에 대한 많은 정보가 담겨있다. 19세기 이후에 무등산 유산기가 활발하게 지어진 배경으로는 외세의 침략을 많이 받던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들 수 있는데, 이때 무등산 유산기에 많이 나타난 것이 바로 호남의 절의정신이다. 무등산 유산기의 작자들은 대부분 호남 출신의 문인으로 무등산을 ??節義??의 상징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호남의 정신사를 연구하는데 무등산 유산기가 자료학적으로 큰 가치가 있음을 말해준다. 또 무등산 유산기 작자들은 무등산 유람을 통해 遠遊의 이상을 실현하고, 유불선의 조화를 추구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것들이 유기문학으로서 무등산 유산기가 갖는 큰 의의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Ⅴ장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짚어보며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 Reproductive defect and glucose metabolic abnormality in genetic deficiency of Stabilin receptors and Gulp1 adaptor : Stabilin 수용체 및 Gulp1 어댑터의 유전적 결핍으로 인한 생식 결함 및 포도당 대사 이상

        김순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Gulp1은 어댑터 단백질로써 수용체와 세포 내 단백질 사이의 주요 매개체로 기능을 하며, 사멸세포의 제거, 엔도좀 트래피킹, 세포 신호 전달에 관여한다. Gulp1은 다양한 세포 유형과 조직에서 발현되며, Gulp1의 유전자 발현이 니만 픽 병 (리소좀 효소 결함), 제 2형 당뇨병, 암 등 지속적으로 다양한 질병들과 관련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세포 유형과 조직 특이성을 고려한 Gulp1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Gulp1은 세포질에서 작용하는 어댑터 단백질이기 때문에 Gulp1과 함께 그 세포에서 작용하는 수용체를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Stabilin-1 (Stab1)과 Stabilin-2 (Stab2)는 Gulp1의 결합수용체로서 사멸세포의 제거에 관여한다. Stab1과 Stab2는 55%의 구조적 동일성을 공유하며 동일한 세포 유형에서 발현된다. 이들은 서로 다른 리간드를 가지고, 같은 리간드에 대해 다른 세포 내 이입 효율을 가지며, 동시에 세포에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는 Stab1과 Stab2가 서로에 대한 보상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들 연구에 있어서는 Stab1과 Stab2를 동시에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 내에서의 Stab1 및 Stab2의 기능을 연구하기 위해 Stab1과 Stab2 이중 결핍 (Stab1/2 dKO) 마우스를 확립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Stab1/2 dKO 암컷 마우스에서 관찰한 임신 중 생식 및 태반의 결함에 대한 설명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Stab1/2 dKO 암컷 마우스는 WT 마우스와 다르게 임신 중 자궁뿔에 피가 고이는 현상이 나타나며 또한 태 반의 출혈과 글라이코겐 대사의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Stab1과 Stab2가 높게 발현한다고 알려진 간과 비교하여 태반에서 Stab1과 Stab2의 mRNA 발현 양을 상대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태반에서의 Stab1과 Stab2의 연구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며 또한 관련 연구들을 촉발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Gulp1 결핍 (Gulp1 KO) 마우스와 Gulp1 결핍 세포주를 이용하여 Gulp1 발현이 높다고 알려진 지방조직과 지방세포에서의 Gulp1 기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식이에 따른 Gulp1 결핍시 지질대사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WT과 Gulp1 KO 마우스를 정상 식이 또는 고지방 식이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정상 식이를 먹인 Gulp1 KO 마우스의 경우 WT 마우스와차이가 없었다. 고지방 식이 조건에서는 WT 마우스에 비해 Gulp1 KO 마우스에서 혈청 콜레스테롤과 저밀도 지단백질의 양만 감소하였다. 하지만 Gulp1 결핍이 엔도좀 트래피킹에 관여하여 지방세포의 분화와 기능을 저해하였고 포도당 불내성의 병태가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병태의 원인중 하나가 아디포넥틴에 의한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제2형 당뇨병과 같은 Gulp1 발현과 관련있다고 보고된 질병들과 Gulp1의 관련성을 설명하는데 기여하고, 관련 질환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