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성역할 및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관계

        김수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한국의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중년기 위기감과 성역할 태도 및 자기수용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자기통합이라는 발달적 과업을 이루어야 하는 중년 시기에 경험하는 심리적 위기감과 관련있는 심리적 변인들을 밝힘으로써 중년 남성들의 위기에 대한 상담 및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인천에 거주하고 있는 40세에서 60세의 중년 남성 23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는 한국형 남성 성역할 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중년기 위기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한국형 남성 성역할 척도는 성취 지향성, 남성간 의리, 과제 지향성, 주도성, 가정에 대한 책임의 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년기 위기감 척도는 정서적 위기감, 개별화 과정, 활력의 상실감, 직업 불만족도, 결혼 불만족도, 자녀관계의 6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상관분석을 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변인 들간에 서로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중년 남성의 성역할 태도와 중년기 위기감, 무조건적 자기수용 사이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는 남성적인 성역할 태도가 강할수록 자기수용의 정도도 높아지며 동시에 자기수용의 정도가 높을수록 중년기 위기감을 크게 느낀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성역할 태도 가운데 가정에 대한 책임과 성취지향성이 중년기 위기감과 주요한 관련을 보였다. 이는 한국 중년 남성들의 성역할 태도의 상당부분은 가정경제에 관련된 과업지향적인 모습이며 따라서 성역할 태도가 강하게 내면화된 사람일수록 일에 몰두할 가능성이 있고, 이를 통해 또다시 성역할 태도가 강화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셋째, 성역할 태도와 자기수용이 중년기 위기감을 설명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사용한 결과, 성역할 태도는 중년기 위기감에 대한 설명력을 갖고 있으나 자기수용은 그렇지 못하였다. 이는 한국의 중년 남성의 경우 외부의 가치기준인 성역할이 강하게 내면화되어 있으며 자신도 자각하지 못하는 가운데 성역할 태도 및 자기수용의 기준을 사회적 바람직성에 맞추고, 위기감 역시 쉽게 느끼거나 표현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 남성의 남성적인 성역할 태도가 강할수록 중년기 위기감이 높아질 수 있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중년 남성에게 심리내적인 성찰의 여유가 없을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정도를 탐색하여 심리적인 안녕감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상담 장면에서 중년 남성의 심리적 갈등과 감정의 자각 및 표현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다양한 개입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dealed with two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First,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men’s gender role and their mid-life crisis and then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e gender role and the mid-life crisis. In the present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middle-aged men would find out some other internal inclinations that they had not known in the course of their mid-life development. Also, this research seek some variables that would lower the level of conflict of the middle-aged men’s psychological crisis due to their rigid gender role when they should otherwise manage their integrated self-adjustment calmly. In this study, all the questionnaires were self-report format. A packet of questionnaire was given to middle-aged men living in Seoul, in Incheon and in the Province of Gyeonggi-do. This survey began with measuring the middle-aged men’s gender role attitude by means of the typical Korean men’s gender role criteria. The criteria included five categories: achievement-orientation, the initiative, task-orientation, responsibility for family and friendship with male friends. To check the “self-acceptance”, I used the method originally developed by Chamberlain and Haaga (2001), later modified by H.S. Kim (2005) and finally adapted by myself to fit the adults of the present research. For “mid-life crisis”, I used the one developed and later revised by Kim (1991). It was divided in 6 categories: emotional crisis, individuation, loss of will for life, dissatisfaction with work, unhappy marriage and children’s problem.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technical statistical values of the main measuring variants were derived and then the distribu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the collective difference of the demographic variations of the participant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nts, Pearson’s method of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llowed them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cceptance, the gender role attitude and the mid-life cri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middle-aged men’s attitude toward their gender role, the mid-life crisis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has prov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attitude to the gender role, the higher the level of self-acceptance. At the same time, the higher the level of self-acceptance was, the higher the mid-life crisis they have felt. Secondly, two categories of the gender role attitudes, namely, family responsibility and achievement-oriented categories, has shown an important relationship with the mid-life crisis. This proves that a large part of the gender role attitude of the Korean middle-aged men derives from the task-oriented nature closely related to the family finance. It can be deduced, therefore, that a more strongly internalized man in gender role can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satisfactory performance, which in turn will strengthen his attitude toward the gender role. Thirdly, the self-acceptance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 on the mid-life crisis. We can posit, therefore, that in the case of the Korean middle-aged men, they internalize the external values without being aware of them but adapt their gender role attitude and the level of the self-acceptance to the societal expectation. Accordingly, they did not take the mid-life crisis too seriously nor express themselves to that effect. After all,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 stronger the gender role attitude is, the higher the mid-life crisis can be as they have no time to spare for an in-depth self-examination. The present research seek its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it has made an attempt to find a factor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fear resulting from their mid-life crisis. Consequently, many different ways of intervention would be needed in the future in the field of counseling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psychological conflict, emotional consciousness and difficulty of expression on the part of the middle-aged men.

      • 유전체로 막힌 사각 개구와 내부에 PCB를 갖는 함체 차폐효과의 슬롯라인 모델 해석

        김수한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new analytical method is presented for the shielding effectiveness (SE) of an enclosure with a dielectric-backed aperture.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cannot consider the effect of the dielectric material on the aperture. The comparisons among our method, previous method, and commercial programs give good correspondence. The method is used to calculate SE with varying permittivity and thickness of dielectric sheet, probe position, width and height of aperture. Additionally, the effects of loading the enclosure with a PCB aligned parallel with the aperture within the enclosure was analyzed by Galerkin's method.

      • 반도체 배관용 튜브 전해연마액 수명연장을 위한 공정 최적화

        김수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반도체 및 LCD 제조 공정에 사용하는 고순도 가스 및 화학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스테인레스 스틸 튜브 및 파이프의 전해연마액 품질 유지는 제품의 품질 유지를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전해연마액의 수명연장은 비용과 공정 시간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경제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해연마 장치의 부스바 개선 및 전극봉 변경을 통하여 반도체 배관용 튜브 전해연마액의 수명을 연장하고자 하였다. 전기 저항 감소, 전류효율 및 전해효율 향상으로 전해연마 시 최소 전기량을 요구하는 공정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주요 제어인자로 전류밀도, 전해액 온도, 전해연마 시간, 유량 등으로 하고 다구찌 기법과 직교배열표를 이용하여 전해연마액 수명연장을 위한 최적 공정조건을 도출하였다. 반구형 부스바 사용 시 전해연마액 수명연장을 위한 최적 공정조건은 전류밀도 45 A/dm2, 전해액 온도 70 ℃, 연마 시간 6 min, 유량 11 L/min이었다. 이 조건에서 전해연마에 필요한 전기량은 18.18% 감소했다. 구형 부스바 사용 시 전해연마액 수명연장을 위한 최적 공정조건은 전류밀도 45 A/dm2, 전해액 온도 65 ℃, 연마 시간 4 min, 유량 7 L/min이었다. 이 조건에서 전해연마에 필요한 전기량은 45.45% 감소했다. 전극봉 직경 변경 시 전해연마액 수명연장을 위한 최적 공정조건은 전극봉 직경 5 mm, 전류밀도 45 A/dm2, 전해액 온도 65 ℃, 연마 시간 6 min, 유량 7 L/min이었다. 이 조건에서는 전해연마에 필요한 전기량은 감소하지 않았으나, 품질 손실 비용은 감소했다. 전극봉 가이드 간격 변경 시 전해연마액 수명연장을 위한 최적 공정조건은 전류밀도 35 A/dm2, 전해액 온도 70 ℃, 연마 시간 6 min, 유량 7 L/min이었다. 이 조건에서 전해연마에 필요한 전기량은 22.22% 감소했다. 본 연구에서 반도체 배관용 STS 튜브 전해연마 시 전해연마 장치의 부스바 개선이나 전극봉 변경, 다구찌 기법을 통하여 전해연마액 수명연장을 위한 최적 공정조건을 구할 수 있었다. 그리고 SN비 분산분석과 추정을 통하여 품질 손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Quality control of the electropolishing solution for electropolishing of stainless steel tubes and pipes, which are used for transfer of high-purity gases and chemicals in the semiconductor and LCD manufacturing processes, is important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Life extension of electropolishing solution can facilitate the improvement of economics and productivity through the reduction of cost and process time. We carried out the study to extend the life of the electropolishing solu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bus bar and the change of electrode of the electropolishing apparatus. We intended to obtain the optimum conditions for requiring minimum electricity through the reduction of electric resistance, the improvement of current and electrolysis efficiency. The optimum process conditions for life extension of electropolishing solution were obtained by the Taguchi method and orthogonal array. Current density, electrolytic temperature, electropolishing time and flow rate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factors in the electropolishing process. The optimum process conditions for life extension of electropolishing solution by the half round bus bar were 45 A/dm2 of current density, 70 ℃ of electrolyte temperature, 6 min of polishing time and 11 L/min of flow rate. In this condition, the electricity for electropolishing was reduced by 18.18%. The optimum process conditions for life extension of electropolishing solution by the round bus bar were 45 A/dm2 of current density, 65 ℃ of electrolyte temperature, 4 min of polishing time and 7 L/min of flow rate. In this condition, the electricity for electropolishing was reduced by 45.45%. The optimum process conditions for life extension of electropolishing solution by the electrode diameter changing were 5 mm of electrode diameter, 45 A/dm2 of current density, 65 ℃ of electrolyte temperature, 6 min of polishing time and 7 L/min of flow rate. In this condition, the electricity for electropolishing was not reduced, but the cost of quality loss was reduced. The optimum process conditions for life extension of electropolishing solution by the electrode guide gap changing were 45 A/dm2 of current density, 65 ℃ of electrolyte temperature, 6 min of polishing time and 7 L/min of flow rate. In this condition, the electricity was reduced by 22.22%. In this study, we were able to derive the optimum process conditions that can be extend the life of the electropolishing solution through the bus bar improving or electrode changing of the electropolishing apparatus and Taguchi method when the STS tube for semiconductor piping was electropolished. And the SN ratio ANOVA and the estimation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quality loss.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가 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 또래 유능성의 매개효과

        김수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 창의적 인성,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학급풍토, 또래 유능성, 창의적 인성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에서 또래 유능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중 무작위로 4곳을 선정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인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하는 학급풍토를 측정하기 위해 Anderson과 Walberg(1974)가 제작한 학습 환경 검사(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 LEI), Rentoul과 Fraser(1979)가 제작한 개인학습풍토검사(Individualized Classroom Environment Questionnaire; ICEQ), Moos와 Trickett(1974)가 제작한 학급 환경 검사(Classroom Environment Scale; CES) 중에서 발췌·수정·보완하여 전문가의 안면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한 후 사용한 김현정(1998)의 ‘학급풍토 질문지’ 33문항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또래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 유능성 척도를 윤승이(2007)가 초등학생에게 적합하도록 15문항으로 재구성한 도구를 활용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창의적 인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주현, 유경재, 한윤영(2011)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KEDI 3종 창의적 인성검사 중 초등학생용 27문항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또한 검사도구마다의 서로 다른 척도로 인한 학생들의 혼선을 막고자, 본 연구에서는 모두 5점 Likert 방식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예비조사 24명, 본 조사 4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과 AMO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처리를 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변인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둘째,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측정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연구모형이 수용되는지를 보기 위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잠재변인 간 경로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구조모형 분석은 2단계 접근법에 따라 검증하였다. 다섯째, 매개변인으로 선정된 또래 유능성의 유의도를 확인하기 위해 Shrout와 Bolger(2002)의 제안에 따라 부트스트랩 절차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또래 유능성, 학생들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창의적 인성, 그리고 또래 유능성과 창의적 인성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는 창의적 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또래 유능성은 이 두 변인 사이의 효과에 대해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하는 학급풍토가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미치며 또래 유능성이 이를 매개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의 창의적 인성 함양을 위하여 학급풍토를 개선함과 함께, 학생으로 하여금 또래 유능성을 키우기 위한 다양한 교육활동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같은 학급풍토 속에서 생활하더라도, 또래 유능성의 정도에 따라 창의적 인성이 보다 효율적으로 함양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 which relationship there are between Classroom Climate, Creative Personality, and Peer Competence which the 5th and the 6th grades of elementary students perceive,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assroom Climate on Creative Personality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Competence between Classroom Climate and Creative Personality. In this sens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below. Research question 1. Which relationship are there between Classroom Climate, Creative Personality, and Peer Competence which the upp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perceive?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mediated effect of Peer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Climate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research subjects were 5th and 6th grad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the four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The Classroom Climate Questionnaire, which had been manufactured by Anderson and Walberg (1974), revised by Kim (1998). In order to measure out Creative Personality, the Creative Personality Scale, which had been manufactured by KEDI and revised by Ha, You and Han (2011) was used. In order to calibrate the Peer Competence, the Peer Competence Scale, which had been manufactured by Park and Lee (2001) and revised by Yoon (2007) to the situation of elementary school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an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s to estimate frequency, percentag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Cronbach's α and validity. Furthermore, goodness-of-fit of model test was conducted and path coefficient were calculated between latent variables. And also,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level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bootstrap was utilized.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Classroom Climate, Creative Personality and Peer Competence; second, Classroom Climat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e Personali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In particular, Peer Competence had a partial mediation for the effects between Classroom Climate and Creative Personality. To put these results together,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Classroom Climate perceived by upper grade students affects Creative Personality and that Children’s peer competence is mediated. Therefore, the Classroom Climate should be improved to foster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arry out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Peer Competence. Even if students active in the same Classroom Climate, Creative Personailty can be nurtured more efficient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Peer Competence.

      • 노니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김수한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니는 남태평양군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인도 등 열대성 기후에 주로 자생하며 하와이, 타이티, 말레이시아, 중국 등에서 영양보충제, 기력보강제, 민간요법제로 널리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니의 활용을 확대시키고자 소비자가 보편적으로 손쉽게 취급할 수 있고 단맛이 있는 쿠키를 이용하여 노니분말 첨가 쿠키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반죽의 pH와 밀도측정, 쿠키의 수분함량, 쿠키의 퍼짐성, 쿠키의 색도, 쿠키의 경도측정, 관능검사 등을 실험하여 노니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노니분말 첨가 쿠키 반죽의 pH를 측정한 결과 6.89~6.49로 대조군에 노니분말을 첨가한 경우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밀도는 1.07~1.23(g/ml)로 노니분말 0~6%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며 6~12%까지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노니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수분함량은 노니분말 0∼12%까지 첨가함에 따라 8.84∼9.21%로 나타났으며, 노니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수준 5%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니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퍼짐성은 첨가량에 따라 직경의 크기가 6.69~6cm로 유의적으로 작아졌으며 두께는 1.26~1.5cm로 유의적으로 두꺼워지는 차이를 보였다. 색도의 경우 L 값은 대조군의 경우가 72.48±0.09로 가장 밝게 나타났고, 노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L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 b 값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a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b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경도(hardness)는 대조군이 가장 단단하게 나타났으며 노니분말 3%를 첨가한 쿠키의 경우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3% 첨가군과 6% 첨가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에서는 노니분말을 첨가한 쿠키는 색을 제외하고 맛, 향기,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를 살펴보았을 때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는 노니분말 6%를 첨가한 경우의 쿠키가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만성폐쇄성폐질환 급성악화 진단을 위한 혈액 바이오마커 발굴 – 프로테오믹스 기반 연구

        김수한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서론: 만성폐쇄성폐질환 급성악화는 환자의 기본적인 호흡기 증상이 매일-매일 변동범위를 넘어서 치료약제의 변경이 필요할 정도로 급격히 악화된 상태로 정의한다. 이는 환자의 삶의 질 저하, 폐기능 저하, 입원빈도 증가, 그리고 사망률의 유의한 증가를 야기하여, 환자의 임상 경과 및 경제적 측면에 큰 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아직까지 만성폐쇄성폐질환 급성악화를 진단하는 객관적인 진단 기준이 없으며, 임상적 판단에 따라 진단을 내리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혈액을 이용한 프로테오믹스 기반 연구를 통해, 만성폐쇄성폐질환 급성악화 진단 바이오마커를 규명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단일기관 파일럿 연구로, 서울아산병원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2015-2017년 급성악화로 외래 또는 응급실로 내원한 병력과 회복 후 안정 상태에서 외래 추적 방문한 병력이 있는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각 환자별로 급성악화 치료 전 및 안정 상태 모두에서 혈액 검체를 채취하였으며, sequential window acquisition of all theoretical fragmentation spectra mass spectrometry (SWATH-MS) 프로테오믹스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 집단의 중앙 나이는 68세 (IQR 63-73)였으며, 남성이 우세하였다 (n=12, 92.3%). BMI 중앙값은 23.8 (IQR 21.95-27.71)였으며, FEV1 중앙값은 1.42L (IQR 1.09-1.90) 및 47% (IQR 41-63.5)였다. 총 226개의 혈장 단백질이 Spectronaut을 통해 먼저 검출되었다. Volcano plot은 fold change >1.1과 false discovery rate corrected p-value <0.05를 나타내는 급성악화에서 상향된 31개 단백질과, 하향된 43개의 단백질을 제시하였다. Fold change를 >1.3으로 조정한 경우에는, 급성악화에서 상향된 단백질은 14개, 하향된 단백질은 19개였다. 검증은 fold change >1.3을 나타내는 급성악화에서 상향된 4가지 단백질로 진행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CRP (C-reactive protein), LBP (Lipopolysaccharide-binding protein), ORM2 (Alpha-1-acid glycoprotein 2), and SERPINA3 (Alpha-1-antichymotrypsin). CRP (p=0.039)와 SERPINA3 (p=0.006) 단백질은 혈장 검체로 검증하였을 때 안정상태와 비교하여 급성악화상태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혈청 검체로 검증하였을 때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CRP: p=0.084/ SERPINA3: p=0.055). ORM2 단백질은 혈장 검체로 검증하였을 때 안정상태와 비교하여 급성악화 상태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p=0.064), 혈청 샘플로 검증하였을 때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552). 결론: 본 연구는 첫번째로 SWATH-MS 프로테오믹스 방법으로 만성폐쇄성폐질환 급성악화 바이오마커 를 탐색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CRP, SERPINA3 및 ORM2 단백질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급성악화 조기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유용한 바이오마커가 될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하였다. Background Acute exacerbations of COPD (AECOPD) is defined as an acute worsening of respiratory symptoms that results in additional therapy. AECOPD have important clinical and economic consequences. However, there is still no definite, objective diagnostic tool for definite diagnosis of AECOPD. Thus, we aim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blood biomarker by proteomics-based study, to identify a biomarker that has high predictivity of identifying a forthcoming AECOPD.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ingle center pilot study, which enrolled 13 COPD patients who came to Asan medical center, South Korea via outpatient clinic or emergency department due to AECOPD and followed up after treatment to outpatient clinic at stable state between 2015 and 2017. Paired blood samples during both treatment naïve AECOPD and stable COPD state were retrieved from each patient. We have performed sequential window acquisition of all theoretical fragmentation spectra mass spectrometry (SWATH-MS) proteomics of 13 COPD patients with paired samples in both states. Result The median age for the study population was 68 (interquartile range (IQR) 63-73), with male predominance (n=12, 92.3%). The median BMI was 23.8 [interquartile range (IQR) 21.95-27.71], whereas FEV1 showed median value of 1.42L (IQR 1.09-1.90) and 47% (IQR 41-63.5). A total of 226 plasma proteins in either states were first identified by Spectronaut. Volcano plot showed 31 up-regulated proteins and 43 down-regulated in AECOPD with fold change >1.1, and false discovery rate corrected p value < 0.05. When fold change >1.3 was adjusted, 14 up-regulated proteins and 19 down-regulated proteins in AECOPD were identified. Validation was performed with 4 up-regulated proteins with fold change >1.3 in AECOPD, which were CRP (C-reactive protein), LBP (Lipopolysaccharide-binding protein), ORM2 (Alpha-1-acid glycoprotein 2), and SERPINA3 (Alpha-1-antichymotrypsin). CRP (p=0.039) and SERPINA3 (p=0.006) proteins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AECOPD compared with stable COPD when validated with plasma sample, although no significant change was seen when validated with serum sample (CRP: p=0.084/ SERPINA 3: p=0.055). ORM 2 protein showed up-regulation in AECOPD with little significance when validated with plasma sample (p=0.064), and no significance when validated with serum sample (p=0.552). Conclusion This study first explored the AECOPD biomarker by SWATH-MS proteomics method, and provided evidence that CRP, SERPINA3, and ORM2 proteins could be promising diagnostic biomarkers for AECOPD in COPD patients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 약물 용출 스텐트 삽입 시술 후 hs-CRP 수치 변화의 위험인자

        김수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isk factors which can change plasma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hs-CRP) level after drug-eluting stent(DES) insertion in stable angina pectoris. Methods Seventy one patients with stable angina pectoris who underwent successful coronary artery stent implantation on a single vessel lesion were prospectively studied. The plasma hs-CRP level was measured at baseline, 48 hours, 72 hours and 1 week after the procedure. The change in plasma hs-CRP level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nd the basal plasma hs-CRP level during follow-up perio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nge in plasma hs-CRP level after the procedure and the presence of conventional risk factors of poor clinical and angiographic outcomes after stent implantation. Results Overall, the plasma hs-CRP levels were high after the procedure. The patients who had diabetes, non-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non-LAD) lesion, reference vessel diameter(RD) <3.0mm, lesion length ≥20mm, C type lesion and Taxus stent implantation tended to show greater change in plasma hs-CRP level(≥0.30mg/dl) compared with the patients without those risk factors despit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Conclusion Diabetes, non-LAD lesion, RD <3.0mm, lesion length ≥20mm, C type lesion and Taxus stent implantation seem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 of plasma hs-CRP level after DES implantation in stable angina pector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