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흐름에서 흡인체, 연쇄 회귀성 그리고 Morse 분해 : 김송이

        김송이 호서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47

        이 논문에서 컴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에서 개피복을 이용하여 극한집합, 흡인체, 연쇄 회귀성, 범용성, Morse 분해, 여과등의 위상적 성질을 연구한다. 1장에서는 극한집합과 흡인체에 관련된 성질을 증명한다. 2장에서는 개피복을 이용하여 연쇄 회귀성과 범용성의 성질을 특성화한다. 3장에서는 Morse 분해와 여과에 대하여 관련된 성질을 증명한다.

      • 외식창업요인이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송이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restaurant industry grows,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restaurant business. Today, the restaurant industry in Korea is in an age of over-competition, but restaurant customers’ population is gradually declining. In addition, since the cost of starting a restaurant is constantly increasing, planning must be made thoroughly before starting a restaurant business. This study therefore analyzes the impact of the restaurant start-up factors on the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to help prospective restaurant start-ups. We selected survey subjects using judgment sampling, which is a method of non-probability sampling,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founders operating restaurants in Seoul. Before we began the survey, we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urvey to the participants and obtained their consent. The survey was then conducted by the respondents filling in their responses. We personally visited the subjects and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which was collected immediately after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collection took place over about 15 days from September 5, 2019 to September 20, 2019. During this period, a total of 650 copies were distributed, all of which were recovered. However, 42 questionnaires containing no response were excluded, and a total of 608 copie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survey data, we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25.0 and AMOS 24.0. The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s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Hypothesis 1, “Restaurant start-up factors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partially adopted. Among the restaurant start-up factors, the kitchen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the other factors did not. Second, the result of Hypothesis 2, “Restaurant start-up factors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customer satisfaction)” is partially adopted. Among restaurant start-up factors, loc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but other factors did not. Third,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key points of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restaurant start-up factors, the 'kitchen environment'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ich is a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prepare the kitchen equipment, the flow of human traffic, environ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employees in the organization.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among non-financial management results is greatly influenced by 'location' among restaurant start-up factors. Most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loc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the location that suits the type of business and the type of business by conducting on-the-spot and theoretical research on the location from the preparation stage of the establishment of a restaurant. Thir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When employees are satisfied with their organization and achieve results, customers can feel satisfied, too. Only by thoroughly analyzing and planning various factors in the restaurant preparation stage can the restaurant survive in the age of over-competition and reduce the possibility of going out of business. 외식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외식사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외식시장은 과잉경쟁시대지만, 외식소비인구는 점차 줄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창업비용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철저하게 창업 준비를 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식업 창업주를 대상으로 외식창업요인이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예비외식창업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조사 대상자는 비확률 표본추출의 한 방법인 판단표본추출을 이용하여 서울지역의 외식업체를 운영 중인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위해서 조사 대상자에게 연구 조사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조사 대상자가 직접 작성하는 자기기입법으로 작성하여 수집하였다. 설문지의 배포는 직접 방문하여 배포하였으며 설문을 진행 후 바로 회수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9월 5일부터 9월 20일까지 약 15일간 진행하여 총 650부를 배포하였고. 650부 전부 회수하였으나, 이 중 무응답이 있는 설문지 42부를 제외하고 총 608부를 실증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은 SPSS 25.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타당성 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구조방적식 모델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요인은 비재무적 경영성과(조직성과)에 유의한 정(+)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의 결과는 부분 채택되었다. 창업요인 중 주방환경이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나, 다른 요인들은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요인은 비재무적 경영성과(고객만족)에 유의한 정(+)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의 결과는 부분 채택되었다. 창업요인 중 입지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나, 다른 요인들은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재무적 경영성과 내 조직성과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정(+)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채택되어, 조직성과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의 핵심을 말하자면, 첫째, 외식창업요인 중 ‘주방환경’은 비재무적 경영성과인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써, 창업 준비 시 주방설비, 동선, 환경 등을 철저히 준비하고 적용시켜야 조직 내 종사원들의 만족과 성과를 이끌어 올 릴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비재무적 경영성과 중 ‘고객만족’은 외식창업요인 중 ‘입지’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도 살펴 볼 수 있듯이 ‘입지’에 따라 고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외식창업 준비단계에서부터 입지에 대한 현장 조사와 더불어 이론적 조사를 진행하여 업종, 업태에 맞는 입지를 찾아 창업 준비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셋째, 조직성과는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직원들이 조직에 만족하며 성과를 이루게 되면 고객들 또한 만족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외식업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다양한 창업요인들을 분석하여 철저하게 준비를 해야만 외식과잉경쟁시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며, 폐업의 가능성 또한 낮출 수 있을 것이다.

      • ZnS:Mn 양자점의 다양한 표면조작에 따른 광학적 특성 및 생물학적 응용

        김송이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Water-dispersible ZnS:Mn nanocrystals were synthesized by capping the nanocrystals' surfaces with MAA (mercaptoacetic acid), amino acids, PEG (polyethylene glycol). ZnS is an important Ⅱ-Ⅵ group semiconductor because of its direct and wide band gap. In addition the Mn+2 ion doped ZnS nanocrystals showed an orange emission caused by a 4T1-6A1 transition of the dopant ion. In this dissertation several surface modified ZnS:Mn nanocrystals were synthesized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effects were studied. In chapter Ⅰ, ZnS:Mn nanocrystal was capped with MAA (mercaptoacetic acid) molecule, which has two different functional groups, thiol and carboxylic acid, in the same molecule, And then, series of transition metal ions were coordinated to the surface capping ligand MAA molecules. The resulting nanocrystal 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XRD, HR-TEM, and EDXS. The PL spectra of ZnS: Mn-MAA showed peaks of excitation at 307 nm and emission at 595 nm, respectively. The ZnS: Mn-MAA nanocrystals have the Wurtzite lattice structure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were about 4 nm. When the ZnS:Mn-MAA was coordinated by several transition metal ions, we were able to observe that the photoluminescence by the ZnS:Mn nanocrystal was quenched, except for the cases of coordination by Zn2+ and Mn2+ ions. In chapter Ⅱ, ZnS:Mn nanocrystals were capped with some conventional amino acids; cysteine, histidine, serine, and methionine. ZnS:Mn-amino acid nanocrystals showed PL emission peaks at 603nm and their quantum yields were in the range from 3.4 to 15.4%. Among the capping ligands, methionine yielded the best luminescence property for the ZnS:Mn nanocrystal. The average particle sizes were about 3 nm and the nanocrystals have the crystal structures of Wurtzite. The biological effects of the aminoacids capped ZnS:Mn nanocrystals were studied. As a result, the Cysteine capped ZnS:Mn nanocrystal showed the least cytotoxicity on the growth of E. coli and mammalian cells. In chapter Ⅲ, ZnS:Mn nanocrystals were synthesized by capping the nanocrystals' surfaces with PEG (polyethylene glycol) molecules of different molecular weights (g/mol): 1,500: 4,000: 10,000: 35,000: 100,000: and 200,000. The optical properties of colloidal ZnS:Mn-PEG nanocrystals were measured by UV/Vis and solution photoluminescence (PL) spectroscopies. The solution PL spectra showed broad emission peaks around at 600nm with PL efficiencies in the range of 1.8 to 5.9%. Among the capping ligands, PEG-35,000 yielded the best luminescence property for the ZnS:Mn nanocrystals. The x-ray diffraction (XRD)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nanocrystals have the wurtzite crystal lattices. Finally, particle sizes for the PEG capped nanocrystals measured from the HR-TEM images were in the range of 2.9 to 3.4 nm. The PEG capped ZnS:Mn nanocrystals were also examined their biological effects. We have concluded that when the molecular weight of PEG increases, the nanocrystal shows a higher cytotoxicity on mammalian cells. 본 논문에서는 주황색 영역에서 발광하는 ZnS:Mn을 모체로 하여 다양한 표면조작에 따른 나노입자의 광학적 특성 및 생물학적 응용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ZnS:Mn은 높은 발광효율과 광안정성, 가시영역에서 빛을 낼 수 있는 Ⅱ-Ⅵ족 반도체로 현재까지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Mn2+가 도핑된 ZnS은 도핑된 Mn2+의 4T1에서 6A1으로의 전이에 의해 Stoke 이동이 일어나 형광이 나타나게 된다. Chapter Ⅰ에서는 ZnS:Mn에 나노입자의 표면과 결합할 수 있는 thiol과 carboxylic acid의 2가지 작용기를 가지고 있는 mercaptoacetic acid를 capping하였다. 이 나노입자에 1주기 전이금속(이온들)을 배위시켜 광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ZnS:Mn-MAA는 595 nm에서 발광하였고 307 nm에서 흡수하였다. 1주기 전이금속을 배위시켰을 경우 Zn2+, Mn2+을 제외한 금속은 모두 형광이 quenching되었다. Zn2+, Mn2+을 배위시킨 나노입자는 형광이 증가하였다가 점점 quenching되었다. Wurtzite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평균 입자크기는 약 4 nm이다. Chapter Ⅱ에서는 ZnS:Mn에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기본 단위인 아미노산을 capping하여 생물학적으로 응용하고자 하였다. 아미노산은 cysteine, histidine, serine, methionine을 사용하였다. ZnS:Mn-amino acid는 603 nm에서 발광하였으며 형광효율은 3.4%에서 15.4%로 나타났다. methionine을 capping한 나노입자가 형광효율이 가장 컸다. 나노입자의 크기는 약 3 nm였으며 wurtzite구조로 합성이 된 것을 확인하였다. E. coli와 mammalian cell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을 경우 ZnS:Mn-cysteine이 독성이 가장 적었으며 ZnS:Mn-histidine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Chapter Ⅲ에서는 ZnS:Mn에 생체 내에서 분해되어 인체에 해가 없고 효소에 의한 분해를 저해하는 polyethylene glycol을 capping ligand로 사용하였다. Polyethylene glycol은 분자량별로 capping하여 변화를 살펴보았다. 사용한 PEG의 분자량은 1500, 4000, 10000, 35000, 100000, 200000이다. 이들의 평균적인 발광파장은 약 600 nm였으며 형광효율은 1.8%에서 5.3%로 나타났다. XRD로 ZnS 나노입자의 결정구조를 확인한 결과 wurtzite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나노입자의 크기는 2.9 nm에서 3.4 nm로 나타났다. mammalian cell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나노입자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capping한 PEG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독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명료화 요구 유형에 따른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 양상과 마음이론 및 실행기능 간의 상관관계

        김송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others from various backgrounds, language, as means of communication must be used effectively for each situation and context. This ability is called pragmatical language ability(Geurts & Embrecht, 2008), which is one of the basic abilities in building relationship with others(Russell, 2007). Communication breakdown occurs inevitably due to the speaker’s phonology, vocabulary, and syntax errors and socio-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Listener who participates in discourse can attempt to restore conversation through clarification requests, such as neutral/nonspecific request, request for confirmation and request for repetition of a specific constituent(Gallagher, 1981). In response to these requests, the speaker can attempt to maintain conversation using communication repair strategies, such as repetition, revision, addition, and by giving cues(Barstein et al., 2018). In order for the speaker to successfully respond to the listener's clarification request, the speaker should not only identify where the listener has lost his or her track, which ability in need is called referential communication skill, but also needs to consider context(e.g. listener's social status, state of mind, interest, etc.) (Volden, 2004). Communication can be restored only when all of the process above is made accurately in a short amount of time considering how dynamic can a conversation can be. Execution functions, which includes working memory, inhibition, and shifting are to be used in solving problems(Blair, Zelazo, & Greenberg, 2005) like thi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which is the ability to infer an individual's behavior based on his of her inner beliefs, emotions and thoughts, is essential(Saban-Bezalel et al., 2019) in the process that requires perspective-taking like repairing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joint attention, imitation, and ability to use symbols in early childhood are the basis of acknowledging other people’s intentions and monitoring social techniques later on(Carpenter & Tomasello, 2000). However,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w developmental deficits in these areas early on, resulting in pragmatic language problems even when their speech-language and cognitive skills are relatively intact(Baron-Chen, 1988; Rubin & Lennon, 2004). As they show atypical development in social skills, it is necessary to grasp their characteristics in pragmatic language. In this study, therefore, focuses on how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repair conversation by using communication repair strategies in response to a series of clarification requests made by researcher. In addition, their performance on executive functions(working memory, verbal and non-verbal inhibition, and shifting) were compared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is study also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verbal and non-verbal repair frequency, theory of mind, and execution functions and language ability. A total of 21 children(7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14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from 4-7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language ability and non-verbal intelligence were assessed as for the screening test and later executive function task, first and second order false-belief tasks and picture description(which were used to make communication breakdown intentionally) were conducted to those who passed screening criteria. A three-way 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using repair strategies in response to three different clarification requests between two groups. Also,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s and ToM task resul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see if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verbal and non-verbal repair frequency, theory of mind, and execution function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no significant group effects in using communication repair strategies, but TD children showed less inappropriate responses than ASD group. Main effects were found in different clarification requests and types of repair strategies. Secondary inter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type of clarification request and repair strategy. There also were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ory of mind, and execution function tasks, besides ASD group showing significantly high performance on working memory than TD.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appeared different in each group. The total frequency of communication repair strategy in TD group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cond-order false-belief task, whereas ASD group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verbal inhibition. Subsequent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cond-order false-belief task and the frequency of repair strategy in all participants toge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with ASD, if their language ability and non-verbal intelligence are controlled, can repair communication by utilizing executive functions and put themselves in other person’s shoe, to the point where TD children can.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is group to be integrated into this society successfully. However, inappropriate responses were observed more compare to TD group at almost in significant level which means their strategies are somewhat qualitatively damaged. Therefore, a qualitative and detailed analysis of repair strategies in this group is needed in the future and their detailed traits in repairing communic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pragmatic intervention.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의사소통하고 상호작용하기 위해서는 언어라는 수단을 각 상황과 맥락에 맞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능력을 화용언어능력이라 하는데(Geurts & Embrechts, 2008), 이는 타인과 관계 형성 시에 기본이 되는 능력 중 하나이다(Russell, 2007). 이러한 능력을 기반으로 타인과 의사소통 시에는 사회 문화적 차이, 음운, 어휘, 구문 오류 등으로 인해 의사소통 실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의사소통 실패 상황에서 청자는 일반적 요구, 확인을 위한 요구, 특정 부분 반복 요구와 같은 ‘명료화 요구’를 통하여 대화를 회복하려 할 수 있으며(Gallagher, 1981), 화자는 스스로의 발화를 반복, 수정, 첨가, 그리고 추가적인 단서를 추가하는 것과 같은 ‘의사소통 회복 전략’을 사용하여 대화를 유지할 수 있다(Barstein, Martin, Lee & Losh, 2018). 화자가 청자의 명료화 요구를 듣고, 청자가 어떠한 부분에서 본인과 공통된 합의점에 다다르지 못하였는지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전략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참조적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더불어 맥락(청자의 사회적 지위, 마음 상태, 흥미 등)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기에, 사회-인지적 기술이 필요하다(Eigsti et al., 2011; Volden, 2004). 담화 내 화자와 청자의 역할은 역동성을 띄며 계속적으로 뒤바뀌게 되기 때문에 위와 같은 판단을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해야 성공적인 소통의 회복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작업기억, 억제, 전환 등으로 대표되는 실행기능이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관여하게 된다(Blair, Zelazo, & Greenberg, 2005). 그 뿐 아니라 개인의 행동을 내적인 믿음, 감정, 생각 등에 기초하여 추론하고, 타인의 관점에서 마음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인 마음이론 발달 또한 필수적이다(Saban-Bezalel et al., 2019). 한편, 공동주의, 모방, 상징 사용 능력은 향후 사회적인 모니터링 기술 및 타인의 의도를 파악하는 능력에 중요한 기반이 되는데(Carpenter & Tomasello, 2000),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영유아기부터 이와 같은 영역에서 발달상 결함을 보이기에 정상 수준의 언어 및 인지 수준을 보임에도 화용 언어능력에서 결함을 보인다(Baron-Cohen, 1988; Rubin & Lennon, 2004). 이들은 언어 및 인지영역에서와 다르게 사회성 영역에서 전형적인 발달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 특징을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료화 요구 유형에 따른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알반 아동의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 양상 및 실행기능(작업기억, 구어 및 비구어 억제 능력, 전환 능력)을 비교하고, 각 집단 내외로 의사소통 회복 빈도, 마음이론, 실행기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4-7세의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7명과 일반아동 14명이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언어(어휘, 구문의미이해력) 및 비언어성 지능검사를 선별검사로 실시하였으며, 선별 기준에 충족된 아동들에 한하여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을 요하는 그림설명 과제, 마음이론 과제 그리고 실행기능 과제를 실시하였다. 이후 명료화 요구 유형에 따른 집단 간 유의한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삼원혼합분산분석(three-way mixed ANOVA)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행기능의 하위 과제인 작업기억 과제, 구어 및 비구어 억제 과제, 전환 과제와 마음이론 과제(일차순위 및 이차순위 틀린믿음 과제)에서 집단 간 수행력의 차이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각각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이후, 각 집단에서 언어 능력, 마음이론 과제,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 빈도 및 실행기능 능력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및 Spearman 등위상관계수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의사소통 회복 과제 및 마음이론, 실행기능 과제에서 집단 간 주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일반 아동이 의사소통 회복 전략 과제에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 비해 더 많은 의사소통 회복 빈도를 보이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더 많은 부적절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집단 내 요인인 명료화 요구 유형 및 의사소통 회복 전략에 있어 주효과 및 이차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네 가지 실행기능 과제 및 마음이론 과제에서 대체로 집단 간 수행력의 차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작업기억 과제에서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유의하게 높은 수행을 보였다. 각 집단에서 언어 능력, 마음이론,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 빈도 및 실행기능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반아동의 의사소통 회복 전략 빈도d와 이차순위 틀린믿음 과제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어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 집단에서는 의사소통 회복 전략 사용 총 빈도는 구어 억제 능력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어 두 집단을 합하여 상관을 살펴본 결과, 이차순위 틀린믿음 과제 점수와 구어 의사소통 회복 빈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경우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의사소통 회복 능력이 어느 수준 이상 보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마음이론 수행 및 실행기능 과제에서도 큰 어려움을 보이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능력들 간의 관계가 각 집단별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라 하더라도 언어 및 인지기능을 통제하였을 시, 화용언어에서의 수행 차가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이들의 화용론적 능력이 일정 수준 보존되어 있다는 것으로, 이들이 보다 원활하게 사회에 통합되어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 집단의 경우 유의한 수준 정도로 부적절 반응이 일반 아동에 비해 많이 관찰되었고, 그 전략 사용에 있어 질적으로 손상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의사소통 실패 상황에서본 집단의 이들의 회복 전략에 대한 질적이고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들 집단의 특성을 세심하게 고려한 화용론적 개입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또래 지위와 친구 관계에 따른 아동의 또래 갈등 분석

        김송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들간에 발생하는 또래 갈등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얻는 것에 1차적인 연구 목적을 두고, 갈등 쟁점, 갈등 해결 방식, 갈등 결과, 갈등 정서의 단계별로 또래 갈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또래 갈등의 과정이 아동의 성, 또래 지위, 친구 관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또래 지위와 친구 관계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2차적인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초등학교 두 곳에서 148쌍의 4학년 아동을 선정하여 성, 또래 지위, 친구 관계에 따라 짝을 지워 관찰 단위를 구성하였다. 짝지워진 두 명의 아동이 제한된 공간에서 도미노를 구성하는 동안 발생한 갈등을 관찰하는 실험실 관찰법을 사용하여 또래 갈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두 아동간의 상호작용은 비디오 카메라로 녹화하고, 이들의 언어와 행동을 전사한 후, 관찰 범주에 따라 기록하였다. 기록된 자료를 기초로 또래 갈등 과정의 전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점수를 비율 점수로 전환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또래 갈등의 각 과정이 아동의 성, 또래 지위, 친구 관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연구 문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갈등은 친구나 급우간의 상호작용에서 비교적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갈등발생 빈도는 아동의 또래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인기-보통아쌍보다 거부-보통아쌍에서 갈등이 더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갈등 발생 빈도와 갈등 지속시간은 아동의 성과 친구 관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여아의 경우 급우쌍보다 친구쌍에서 갈등이 더 많이 발생하였고 더 빨리 종결되었다. 반면 남아의 경우에는 친구쌍과 급우쌍간에 갈등 발생 빈도는 비슷하였지만, 급우간의 갈등보다 친구간의 갈등이 더 오래 지속되었다. 둘째, 또래쌍에서 발생한 갈등의 주된 쟁점은 생각·사실·정보에 대한 불일치와 제안이나 도움 거부였다. 갈등 쟁점은 아동의 또래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인기-보통아쌍보다 거부-보통아쌍에서 권리 주장하기로 인한 갈등이 더 많이 발생하였다. 셋째, 아동들은 또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로 이유를 설명하거나 자기 의견을 계속 고수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갈등 해결 방식은 아동의 또래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어, 거부된 아동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자기 의견 고수하기, 무시하기, 주의 돌리기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한 반면, 인기있는 아동은 이유 설명하기와 또래의 의견에 경청하는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또한 공격적인 행동하기는 아동의 성과 또래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인기있는 아동이 거부된 아동보다 공격적인 행동을 사용하여 갈등을 해결하는 경향이 더 높았지만, 거부-남아가 거부-여아보다 공격적인 행동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또래쌍에서 발생한 갈등의 절반 이상은 두 아동이 만족할만한 평등한 결과로 종결되었다. 갈등 결과는 아동의 성, 또래 지위, 친구 관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여아쌍과 인기-보통아쌍에서 발생한 갈등은 평등하게 해결된 경우가 더 많은 반면, 급우쌍에서 발생한 갈등은 해결되지 않고 종결된 경우가 더 많았다. 그리고 거부-보통아쌍에서 발생한 갈등은 인기-보통아쌍보다 승/패로 종결된 경우가 더 많았다. 또한 갈등이 해결되지 않고 종결된 경우는 아동의 성과 또래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인기-보통아쌍보다 거부-보통아쌍에서 갈등이 해결되지 않고 종결되는 경향이 높았지만, 거부-여아쌍보다 거부-남아쌍에서 갈등이 해결되지 않고 종결되는 경향이 더 높았다. 다섯째, 또래 갈등을 경험하는 동안 아동들은 대체로 중립적 정서를 표현하였다. 갈등 상황에서의 정서 표현은 아동의 또래 지위, 친구 관계에 따라 차이가 있어, 급우와 짝을 이룬 아동과 거부된 아동에 비해 친구와 짝을 이룬 아동과 인기있는 아동이 긍정적인 정서를 더 많이 표현한 반면, 중립적 정서는 더 적게 표현하였다. 그리고 거부된 아동은 인기있는 아동보다 부정적 정서를 더 많이 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또래 갈등은 학령기 아동들간에 비교적 자주 발생하는 사건으로, 아동의 성, 또래 지위, 친구 관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친구 관계보다는 또래 지위가 또래 갈등의 과정과 더 많은 관련이 있으며, 거부된 아동, 특히 거부된 남아가 갈등 발생 빈도가 높고, 공격적인 갈등 해결 방식을 사용하며, 갈등을 해결하지 않고 종결시키거나, 갈등 상황에서 부정적 정서를 표현하는 경향이 더 높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eer conflicts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er conflicts according to children's sex, peer status, and friendship. One hundred and forty eight dyads in 4th grade were selected by child's sex, peer status, and friendship. The dyads were placed in a small laboratory and given a Domino game to play with. The dyads' interactions were videotaped and analyzed to identify issues, strategies, outcomes, and emotions of peer conflict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rovided and three-way ANOVAs(sex×peer status×friendship)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Peer conflicts occurred frequently in dyad interactions between school-aged children. The frequency of conflicts was different by peer status. Conflict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rejected-average pairs than popular-average pairs.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conflicts were different by dyad' s sex and friendship. In girls, conflicts occurred more frequently and ended more quickly with friends than with classmates. However, in boys, conflicts occurred with friends lasted longer than with classmates, though the frequency of conflicts with classmates was similar to those with friends. Conflicts occurred when two children disagreed about thoughts, facts, and informations and when children rejected suggestions of the other children. Conflict issues were different by peer status. Rejected-average pairs had more conflicts due to the assertion of rights than popular-average pairs. Children used reasons and insistences mostly in order to resolve conflict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ere different by peer status. Rejected children employed standing firm, behaving aggressively, ignoring, and withdrawing more frequently, and explaining and listening less frequently than popular children. Aggressive strategies were used differently by child's sex and peer status. Overall, rejected children used aggressive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popular children. But, rejected boys used aggressive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rejected girls. Over fifty percents of peer conflicts resulted in equal outcomes. Girls and popular-average pairs' conflicts resulted in equal outcomes, whereas classmate pairs' conflicts resulted in unresolved outcomes. Conflicts between rejected-average pairs resulted in winner/loser status more often than popular-average pairs. Unresolved outcomes were different by child's sex and peer status. Overall, conflicts occurred in rejected children resulted in unresolved outcomes more frequently than popular children. But, conflicts occurred in rejected-average boys ended with unresolved outcomes more than rejected-average girls. Children mostly displayed neutral emotion during peer conflicts. Popular children and friends expressed more positive emotions during peer conflicts, while rejected children and classmates expressed more neutral emotions. Rejected children expressed more negative emotions than popular children. In conclusion, peer conflicts were related to peer status rather than friendship. Rejected boys, especially, behaved ineffectively during peer conflicts.

      • 임상간호사가 경험하는 무례함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김송이 인제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임상간호사가 경험하는 무례함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김송이 (지도교수: 윤숙희) 간호학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가 경험한 무례함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무례함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기초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부산에 소재한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3곳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중 연구 목적에 대한 설명을 듣고 연구 참여에 동의하여 서면으로 연구동의서를 작성 한 14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1월 10일부터 2월 10일까지 자가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직무스트레스, 무례함, 자기효능감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례함,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의 차이 분석은 분산분석 (ANOVA), 사후검정은 Scheff?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세 변수간의 관계는 피어슨상관계수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무례함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경력은 2년∼5년이 33.6%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근무부서는 일반병동이 52.1%로 가장 높았다. 임상간호직 종사 예정기간은 ‘필요한 기간 동안만 일 하겠다’가 49.3%로 가장 높았으며, 직업만족도는 ‘만족하는 편이다’가 46.4%로 가장 높았다. 2. 직무스트레스는 190점 만점에 109±9.87점으로 나타났으며, 임상간호사들이 근무지에서 느끼는 무례함의 정도는 170점 만점에 88.36±17.79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환자와 환자 가족의 무례함이 50점 만점에 33.14±8.55점으로 가장 높았고, 의사의 무례함이 35점 만점에 18.81±5.67점, 상사의 무례함이 35점 만점에 16.18±5.24점, 동료의 무례함이 50점 만점에 20.23±5.55점 순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85점 만점에 61.94±9.76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는 근무부서(F=3.38, p=.011), 임상간호직 근무예정기간(F=3.93, p=.010), 직업만족도(F=9.91,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무례함의 정도는 직업만족도(F=3.64, p=.015)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하위영역 중에서 환자와 환자 가족의 무례함은 근무부서 (F=7.91, p<.001), 임상간호직 근무예정기간 (F=5.82, p=.001), 직업만족도 (F=7.9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기효능감은 임상간호직 근무예정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08, p=.030). 4. 직무스트레스와 무례함은 양의 상관관계(r=.39, p<.001)가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와 무례함의 하위영역별 관계를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는 상사의 무례함(r=.23, p=.006), 의사의 무례함(r=.18, p=.031), 환자와 환자 가족의 무례함(r=.45,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은 음의 상관관계 (r=-.38, p<.001)가 나타났으며, 무례함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r=-.13, p=.122) 나타났다. 5. 무례함의 하위영역 중에서 상사의 무례함(β=.19, p=.001)과 환자와 환자보호자의 무례함(β=.17, p=.002)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의사의 무례함과 직무스트레스(β=-.33, p=.001), 환자와 환자보호자의 무례함과 직무스트레스(β=.21, p=.006)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7.33 p<.001).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임상간호사가 경험한 무례함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의사의 무례함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환자와 환자보호자의 무례함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근무지에서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간호조직에서 무례함의 심각성과 피해를 인식하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하며,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병동, 병원차원의 교육 훈련, 코칭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중심단어: 직무스트레스, 무례함, 자기효능감

      • 도보관광객의 회복환경지각이 회복경험, 도보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상적 스트레스와 도보관광지 유형의 다중집단분석을 중심으로

        김송이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주 5일 근로제가 정착되고, 개인의 건강과 주관적 만족감 및 행복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도보관광은 치유, 힐링, 헬스투어 등 최신 여행의 흐름을 아우르는 대표 여행상품인 동시에 관광콘텐츠로서도 고부가가치의 전망이 높아 도보관광에 대한 관광객의 관심과 참여는 지속해서 이어질 것이다. 도보관광을 통한 육체적·정신적 회복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보관광을 통한 회복효과를 검정하는 학술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또한, 회복환경을 통한 회복경험은 대상지마다 다르게 나타나지만, 연구되어온 도보관광지는 특정 지역에만 한정되어 연구되어왔다. 그동안 회복환경이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는 것은 많은 선행연구를 통해 입증되어왔다. 그러나 일상적 스트레스와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는 총 문항을 합산한 점수를 사용하여 상관관계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으로 스트레스 수준을 나누어 회복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보관광지에서의 회복환경지각이 회복경험, 도보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과 도보관광지 유형에 따른 조절변수의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보관광객을 대상으로 도심형, 산악형, 해안형 도보관광지로 나누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30부를 실증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회복환경지각은 회복경험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복환경지각에서 ‘벗어남’ 요인만이 회복경험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복경험을 설명함에 있어 회복환경지각의 벗어남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경험의 ‘안정’과 ‘분리’는 모두 도보관광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회복환경지각이 회복경험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회복경험이 도보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도보관광지 유형에 따른 집단 차이를 검정한 결과, 도보관광지 유형에 따라 회복환경지각이 회복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경험이 도보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도심형, 산악형, 해안형 도보관광지 모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시사점은 첫째, 도보관광의 회복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건강심리학과 환경심리학에서 사용하는 회복환경지각, 회복경험, 그리고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도보관광의 건강편익을 심리학적 측정을 통해 관광건강심리연구로 이론을 확장함에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기법인 다중집단분석 절차와 결과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방법론을 정교화함에 의의가 있다. 셋째, 도보관광의 회복효과를 실증분석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함에 의의가 있고,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과 도보관광지 유형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여 다양한 회복환경을 대상으로 분석함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우수한 회복환경을 도출함에 그 의의가 있다. 실무적 시사점은 회복경험을 설명함에 있어 회복환경지각의 벗어남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보관광이 일상으로부터 해방감을 느끼게 해주는 가치 있는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도보관광조성가는 도보관광환경을 조성함에 있어 벗어남 속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고, 도보관광객이 충분한 공간감을 느낄 수 있는 도보공간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도보관광객의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회복경험이 도보관광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일상적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의 회복경험이 도보관광 만족도에 더욱 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보였지만 일상적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도 그 영향의 차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보관광지의 회복환경 조성을 위해 환경적인 변수뿐만 아니라 개인의 심리적인 변수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도보관광지 유형에 따라 회복환경지각이 회복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도보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같이 자연환경을 통해 도보관광객이 높은 회복경험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차이점은 도심지 도보관광지 내에서도 회복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는 도보관광객은 그들이 거주하고 있는 도심의 도보관광지 내에서도 충분한 회복경험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해안형 도보관광지에서도 회복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해양치유 관광 프로그램 중 하나로 도보관광을 제안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각 도보관광지의 구체적인 장소를 한정하지 않아 그 범위가 넓으므로 구체적인 대상지를 선정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도보관광객은 전문화 수준에 따라 그 특성과 영향요인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를 고려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도보관광객의 특성을 보다 정교화게 도출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향후 상위의 제언을 반영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도보관광 정책 및 개발에 현실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노래중심 음악 활동이 독거노인의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김송이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래중심 음악 활동이 독거노인의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고독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A 경로당에 출석하고 있는 만 80~89세의 독거노인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인지능력에 이상이 없으며 기존에 음악치료 경험이 없는 대상을 선정하였다. 이 중 연구에 동의한 60명을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 처치 기간은 2022년 12월 24일부터 2023년 1월 31일까지로, 이 기간에 실험 집단에게는 각 회기 당 50분씩 주 2회 총 12회기동안 노래중심 음악 활동을 시행하였으며 통제 집단에게는 노래중심 음악 활동을 시행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고독감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노인 삶의 질 척도(K-CASP-16), 삶의 만족도 척도(LSI-Z), 개정판 고독감 척도(UCLA-R)를 사용하였다. 노래중심 음악 활동 시행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음악 활동 시행 후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노래중심 음악 활동을 시행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고독감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실험집단 내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고독감의 사전-사후 점수에서도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래중심 음악 활동이 독거노인의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고독감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ong-oriented music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life, and solitud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lderly people aged 80 to 89 who were living alone attending Senior Citizen Center A in Daegu Metropolitan City, who could communicate, had no cognitive problems, and had no previous experience in music therapy. Of the 60 people who agreed to the study, 3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the control group were wirelessly deployed. The experimental treatment period was from December 24, 2022 to January 31, 2023, during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 total of 12 song-oriented music activities twice a week for 50 minutes per session, and no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control group. In this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Quality of Life Scale (K-CASP-16), the Satisfaction of Life Scale (LSI-Z), and the revised version of the Solitude Scale (UCLA-R) were used to measure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life, and solitude.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song-oriented music activities, a pre-examination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a post-examination was conducted after the performance of music activities in the same wa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life, and solitude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song-oriented music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addition, significant results were also derived from the pre-post score of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life, and solitud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song-oriented music activities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affected the reduction of lonel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