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세희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이후 PBL)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민주시민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인성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영재교육에서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과 민주시민의식을 양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제안하기 위함이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S교육지원청 부설 영재교육원 초등 수학․ 과학영재 6학년 39명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민주시민의식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 12차시를 적용한 후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민주시민의식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은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셀프리더십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재교육 2년차 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전체 영역과 하위 영역 중 사고전략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 영재의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영재교육 2년차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전체 영역과 하위 영역 중 자신감 영역, 남학생들의 자기조절효능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셋째,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의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 영재의 민주시민의식 중 준법정신과 정의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남학생은 타인존중과 준법정신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은 초등 영재 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및 민주시민의식을 향상시키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므로 앞으로도 초등 영재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문제중심학습(PBL)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확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친환경 농산물 유통 활성화에 관한 연구

        김세희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을 함에 있어 질적인 성장보다는 양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여왔고, 농업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었다.농업에 있어 높은 생산성과 수익성을 추구하여, 농약과 화학비료 등을 다량사용하고 농기계도입, 시설원예 농업의 확대 보급 등을 하여왔다.그러나 이는 환경오염과 단작화 등에 의한 지력저하 등의 문제점을 가져왔다.또한 각종 식품유해성과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농산물 시장개방에 의해 해외 농산물이 수입되면서 광우병, 구제역, 포스트 하비스트 등이 발생하면서 수입농산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웰빙이 하나의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사회적 요구는 더 커져가고 있다.더욱이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에 힘입어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는 농가수와 생산면적도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그러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수요와 관심증대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농산물의 판로확보 어려움, 상품차별화, 소비자인식부족, 품질인증 표시제 문제, 품질 및 안전성에 대한 신뢰확보 문제, 열악한 물류시설 등의 문제들로 인해 친환경 농산물의 소비확대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따라서 소비자들이 친환경 농산물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시장 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친환경 농산물 유통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친환경 농산물의 범위를 친환경육성법에 정의된 농산물을 대상으로 하여 그 생산 및 소비현황에 대해서 우선 파악한 후, 생산단계 이후 어떻게 유통되어 최종 소비되는가를 단계적으로 접근하여 그 경로와 특징에 대해 고찰한 후 그 문제점을 파악해 보고 규명된 문제점을 기초로 친환경 농산물 유통 활성화를 위한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최종적으로 구체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친환경 농산물의 인증실적 변화, 지역별 인증실적, 종류별 출하량, 민증 인증 실적을 통하여 생산 현황 및 소비 동향을 파악하였다. 둘째, 친환경 농산물의 유통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우선,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장규모와 판매현황에 대해 고찰해 본 결과 친환경 농산물의 시장규모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일반 농산물과는 다른 유통 경로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이에 기존 문헌연구를 통하여 친환경 유통의 전개과정과 특징을 고찰한 후 친환경 농산물의 유통 경로를 크게 5가지로 유형화 한 후 그 특성에 대해서 파악하였다. 셋째,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생산.소비.유통 현황을 통하여 친환경 농산물 유통 시장의 문제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문제점은 크게 유통 구조와 품질 인증의 문제로 압축될 수 있으며, 그 세부 내용으로는 친환경 농산물 유통조직의 다양화 및 다단계화, 열악한 물류시설, 가격형성의 불합리성, 공급품목의 제한성, 계약체계의 문제점, 수확 후 관리체계의 미비, 품질인증의 한계, 소비자 신뢰 문제 등을 들 수 있다. 넷째, 규명된 문제점을 토대로 하여 친환경 농산물 유통 활성화를 위한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최종적으로 기본 방향에 따른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 내용으로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우선 정부의 포괄적인 유통 정책지원 방안이 필요하며, 유통개선으로는 친환경 농산물 유통 품목 다양화, 수확 후 관리체제 정비, 유통품목 다양화를 위한 생산 확대 등을 들 수 있으며, 유통주체의 개선방안으로써 물류시스템 개선, 판매망 확충, 직거래 활성화, 가격운용방식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마지막으로 품질 관리 인증제도의 개선은 국제 기준과의 조화를 이루어 소비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인증관련 기관들의 역할을 분리하는 등 인증 운영체계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이와 같이 친환경 농산물 유통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반드시 개선되어야할 유통 문제는 많고 다양하다.그 중, 최근의 현상을 통해 보면 가장 시급한 문제는 소비자의 신뢰성 확보라고 보인다.이에 향후 친환경 농산물 유통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방향은 농업의 생산과 안전성에 대하여 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책임져야 할 내용을 합의하고 그 유통을 개선하는 비용에 대해서도 양자가 각각 응분의 부담을 감수할 수 있는 유통 의사소통 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Although Korea's agriculture has been accomplished its high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it suffered fromr some problems, such as low soilfertility by single-crop farming and repeatedcultivation, and human health and environmental problem due to using agricultural chemical fertilizer too much. As animal disease such as mad cow disease, and fertilizer too much. As animal disease such as mad cow disease, and foot and mouth disease broke out, it has been leading to discredit the 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So, ademand for safe and health foods is increasing with recent well-being trends. Korean governmentisalso expanding itssupportforwith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A socialdemandand government support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are encouraging farmers to produce it more and hence its area and production are increasing. However, it is not easy to increase consumptio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because there are some problemson its distribution process like poorphysical distribution facilit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problems on distribution proces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and to suggest a way to revitalize is distribution process for expanding its consump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it is reviewed current production and consumption situatio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classified its distribution channel by three types(producer organization, consumer group, and specialized distribution agency), and then figured out problems of each channel on its distribution. from this study, we found some problems blocking distribution revitaliz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which arediversity andmulti-level of distribution, poor distribution facilities, irrationality of price determination, limitation of supply items, contract system problem, lack of post harvest management system, limitation of quality certification, and consumer confidence of products. Based on the problems found in thisstudy, we establish a basic direction of distribution revitalization for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Finally, according to farm-leveldistribution, consumer-level distribution, a stake holder in distribution, and distribution policy, we suggest a way to solve the problems found above.

      • 비터(Beater)의 종류에 따른 베이스 드럼(Bass Drum) 음색의 변화 연구

        김세희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베이스 드럼은 연주기법에 따라 재즈, 락, 발라드, 라틴 등 모든 실용음악 장르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매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악기로 레코딩이나 라이브 현장에서 더 좋은 음향 결과를 얻기 위해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비터의 사용이다. 이는 베이스 드럼이 비터의 재질과 형태에 따라 다양한 음향적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논문의 실험 결과 비터의 음색을 결정짓는 요소는 엔벨로프 그래프의 릴리즈 구간의 길이와 비터에 따른 각 주파수별 변화 즉 음색 변화이다. 실험은 펠트(Felt), 우드(Wood), 플라스틱(Plastic), 러버(Rubber) 4가지 재질에 플랫(Flat), 스팟(Spot), 라인(Line), 라운드(Round), 팬(Fan) 5가지 형태를 조합하여 총 12개의 비터를 실험 하였다. 실험의 정확도를 위해 비터를 연주할 때 헤드의 조율, 비터의 길이, 마이크의 종류와 마이킹 위치, 레코딩 레벨(Recording Level) 등을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엔벨로프의 트랜션트 성분과 피크 레벨은 비터의 재질 혹은 형태에 따라 커다란 음향적인 차이를 보였지만 릴리즈 타임만은 비터 재질에 관계없이 동일한 형태에서 동일한 값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주파수 스펙트럼에서는 비터의 형태에 따른 변화보다 비터의 재질에 따른 변화량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 펠트 비터는 40~8000Hz의 주파수 범위를 지녔고, 플라스틱 비터는 3000~8000Hz의 고음역대에서 레벨이 증가하는 특징이 나타났으며, 러버 비터는 40~500Hz의 저음역대에서 레벨이 증가하는 특징이 나타났다.우드 비터는 펠트 비터와 매우 유사한 특성을 지니지만 3000~8000Hz 사이의 고음역에서 레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도출된 음색의 특징은 펠트 재질의 비터는 전 음역대에서 평탄하고 자연스러운 음색을 가지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연주할 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플라스틱 재질의 비터는 고음역대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므로 밝고 선명한 음색을 원할 때 연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러버 재질의 비터는 저음역대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므로 부드러운 음색을 필요할 때 연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우드 재질의 비터는 자연스러우나 조금 어두운 음색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각각 도출된 결과의 값이 베이스 드럼을 연주할 때 편이한 음색을 많은 연주자들이 선택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험논문이 베이스 드럼의 각 주법과 비터의 형태와 재질이 결합될 때 어느 정도의 음색 범위가 결정되는지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베이스 드럼을 연주 시 연주 주법에 따라 적합한 비터를 선택한다면 베이스 드럼의 보다 나은 음향적 효과를 얻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bass drum has a very crucial role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all practical music genres such as jazz, rock, ballads, Latin, etc. It has been made many attempts to result in a better sound recordings or live on-site with the playing techniques. One of them is how to choose and play a beater. This is because the various acoustical properties of bass drum depend on the material and the shape of the bea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sound of the beater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release section of envelope graph and the changing of frequency. There are four types of material, that is felt, wood, plastic and rubber, and five types of shape, that is flat, spot, line, round and fan.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a total of twelve beaters. For the accuracy of the experiment, the other variances were carried equally, such as the tuning of the head, the length of the beater,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microphone and recording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ransient component of envelope and the peak level significantly vary with the material and the shape of the beater. However, does not found out any consistency in transient and peak level of envelope graph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the shape of the beater, while the release time was characterized of exhibit the same value in the same formal regardless if the material of the beater. Also, in the frequency spectrum the variation was there were consistency in the changes of the release time depending on the shapes of the beater. However, this researcher conclude that the changes of the release section is not significant. In the frequency spectrum, the variation of the material was larger than that of shape of the beater. There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The beater of the felt material has the sound in the frequency range of 40~8000Hz and a flat and natural tone all over sound range. Therefore, it has been usually used many drummers. 2. The beater of plastic material appears the feature of increasing the level in the high frequency range of 3000~8000Hz. It can be effective for the bright and vivid tones 3. The beater of the rubber material has the feature of increasing the level in the low sound range of 40~500Hz. It could be appropriate for gentle tone. 4. The beater of the wood material has similar tone of the flet material, while the level of the sound decreases in the high frequency range of 3000~8000Hz. Because the beater of the wood material has the natural and little dark tone, it was usually played with. The variation of the sound range according to the matching between the beater of the bass drum and the playing style is beyond the scope of this subject. If appropriate beaters to the play styles are chose according to this result, it can be of great help in obtaining a better sound effect of bass drum.

      •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말산업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말산업 중심으로

        김세희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말산업’이란 말의 생산·사육·조련·유통·이용 등에 관한 산업, 말을 이용하거나 매개로 한 서비스업, 말의 산물 또는 부산물을 이용한 식품·약품, 향장품의 제조업 및 판매업, 말의 사육과 이용 등에 필요한 물품의 제조업 및 판매업과 이러한 산업에 필요한 부대산업을 말한다. 또한 말육성법에서는 말산업 성장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는 곳을 특구로 지정하여 말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담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2015년 6월 경상북도는 제2호 말산업특구로 지정되었다. 현재 경북에서는 경마공원 유치사업, 공공 및 승마장 건설 지원, 학생승마체험 지원 등 말과 관련한 사업들을 꾸준하게 이어나가고자 하며 말산업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앞으로 더욱더 말산업 육성·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말산업과 관련한 기반산업 구축 및 정비가 필요하며 말산업에 대한 소비산업 증대 및 6차산업 시대의 흐름에 맞게 말연관산업의 발전 역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경상북도 말산업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일본, 영국, 제주특별자치도, 경기도의 말산업의 현황 및 우수사례연구를 통한 경북 말산업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경상북도 말산업의 문제점은 첫째, 용도별 전문마 생산 시스템 구축 미흡, 둘째, 말 소비산업 업체 부족, 셋째, 말산업 전문인력 관리 미흡이다. 위에서 언급 한 국내 및 외국 말 산업에 대한 사례 연구 및 선행 연구를 통해 용됴도별 전문마 생산, 말 소비 산업의 준비 및 전문가 육성이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종합적인 결론은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말산업은 아직 경마부분이 많이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국민 소득증대와 레저 수요의 확대, FTA에 대응하여 제주, 경기, 경북 모두 역시 승마산업 증대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다. 특히 경북의 말산업 경제적 효과 창출을 위해서는 용도별 전문마 생산 체계구축 및 실내 승마 외에도 다양한 외승로 개발하여 증가하는 승마 수요에 부응하길 바란다. 또한 말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경제적 이윤 창출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지역 내 승마 대회 등 말관련 대회 유치 또한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이라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말산업에 대한 전문인력 양성 및 공급의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여 체계적으로 진행하여야 한다고 제시하였으며, 유소년기 승마인구 육성을 통하여 학생들이 자연스레 말과 친해지고 이 과정이 자연스레 말산업 전문인력 육성에 기여하는 방향이라 제시하였다. 주제어 : 경상북도, 말산업, 지역경제활성화, 용도별 전문마 생산, 말 소비산업 증대, 전문인력 육성 The term 'horse industry' refers to the industries related to production, breeding, trafficking, distribution and use of horses, the service industry using or using horses, the manufacture and sale of foods and medicines using horse products or byproducts, Manufacturing and sales of goods necessary for use and other related industries necessary for such industries. In addition, in the Horse Breeding Act, Horse Industry Growth Conditions It is aimed to systematically cultivate the horse industry by designating the area where it needs to be established as a special zone. In Gyeongsangbuk-do, we want to continue the horse-related projects such as racing park construction, public and horse riding construction support, People's interest in the horse industry is also growing. In order to further develop and develop the horse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build and maintain the infrastructure related to the horse industry, I think that the development of the horse-related industry is also necessary for the increase of the consumption industry for the horse industry and the trend of the 6th industrial ag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horse industry in Gyeongbuk-do which is being promoted as part of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horse industry problems in Gyeongbuk-do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horse industry in Japan, England, Jeju Special Self-do, Gyeonggi-do. The problems of the horse industry in Gyeongsangbuk-do include the following: First, By Use specialty horse build production base Inadequate Second, lack of horse-consuming industry. third, lack of expert management of horse industry. Through the case studies and previous researches on the domestic and foreign horse industry mentioned above,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ion system of specialty horse for each use, an increase of horse-consuming industry, and the cultivation of specialists contributed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Overall, the horse industry in Korea is still dominated by horse races.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national income, expand leisure demand, corresponds to FTA. Jeju, Gyeonggi and Gyeongbuk are also preparing for the equestrian industry. Especially, in order to create the economic effect of the horse industry in Gyeongbuk, I hope to build up a production system of specialty horse for each use and develop a variety of roads in addition to indoor riding to meet increasing demand for horse riding. It also suggests ways to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farm household incomes by providing a way to make economic profit by using the by - products of horse. For this purpose, it is thought that attracting horse - related competitions such as horse riding competitions in the region will contribute to increase the income of farm household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appropriate measures for nurturing and supplying professional manpower to the horse industry should be systematically carried out. Through the nurturing of the younger generation of horse riding, students become familiar with the horse naturally and I agree this process is the direction that contributes to the nurturing of experts in the natural horse industry. Keywords : Gyeongsangbuk-do, Horse industry, regional economic activation, production system of specialty horse for each use, horse by-products increase, professional manpower

      • 장애아동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김세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양육경험을 심층적으로 면담함으로써 양육스트레스와 양육 행동 간의 연관성을 찾고 사회적 지지가 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사회적 지지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들은 서울시 J복지관에 다니는 장애아동 5명의 어머니들과 경기도의 A아동발달센터에 다니고 있는 장애아동 2명의 어머니들이다. 2014년 3월부터 예비 조사를 거쳐 2014년 4월에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전사를 거쳐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아동 어머니는 장애아동의 영·유아기부터 아동을 양육하면서 아동의 발달의 불균형에 불안감을 가지고 병원에 방문하여 아동의 장애를 진단받으며 정신적 충격을 받고 힘겨운 스트레스 상황에서 아동을 양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의 어머니는 자신의 삶을 장애아동의 발전과 양육을 위해 헌신하고 있었으며 가정에서도 전적으로 가사를 도맡고 있었다. 아동의 양육에 대한 1차적 책임이 아동의 모에게 있기 때문에 아동의 모는 과중한 부담감과 책임감을 느끼며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동의 모는 일관적으로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혔는데 정신적으로 소진되고 신체적으로 힘듦을 느끼기 때문에 장애아동에게 잘 대해주지 못함에 대해 죄책감을 가지고 미안함을 마음에 품고 있었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사회적 지지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남편의 배려와 비 장애 형제·자매의 장애아동과의 관계형성은 어머니에게 힘이 되기도 하고 또 다른 스트레스 요인이 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장애아동의 어머니는 적당한 스트레스 해소 수단이 없고 사회적 지지체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아동 가족의 양육부담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사회적 제도의 개선과 정책이 확립되길 바랐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데 이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통해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게 되었고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와의 연관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베토벤 <영웅 교향곡>(Symphony No.3 in E♭ Op.55)에 나타난 영웅성 연구

        김세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roism and musical expressions in works of L. V. Beethoven. The historical concepts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eroism was researched and it was explained relating to the music by using the concepts of 'greatness', 'originality', and 'sublimity'. The very heroism in the music of Beethoven was explained and the related works were presented. The first movement of the Eroica symphony , well known for its heroic expressions, was analyzed into four parts: exposition, development, recapitulation, and coda in order to find heroic elements in its musical expression. As a result, the heroic characteristics of the 1st movement of Eroica symphony appear through the process of emergence of the main motive and its motivic transformation. In the exposition, the main motive emerges in triple time. In addition, the leaping figure against the main motive begins in duple time and threatens the main motive. In the development, this conflict reaches to a climax. The leaping figure, dissonance, unison, and syncopation confront to the main motive. After the confrontation, combination of the tonic chord on the horn and the dissonance of the string instruments implicates the victory of the main motive. In the recapitulation, the main motive confirms the victory and celebrates it. In the coda, the main motive is developed and completed as theme, and finally it comes to end by reappearing the episode of the development. 본 논문은 영웅성에 관한 연구로 베토벤의 작품에 나타나는 음악적 표현과 영웅성의 관계를 연구 하였다. 이를 위해 시대별로 영웅성의 개념과 미학적 특징을 알아보고 음악과 연관지어 ‘위대성’, ‘독창성’ 그리고 ‘숭고성’을 들어 영웅성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베토벤의 음악에 나타나는 영웅성을 설명하고 그와 관련 있는 작품들을 제시했다. 이를 토대로 영웅성이 가장 많이 나타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영웅 교향곡>의 1악장을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코다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그 곡의 음악적 표현에서 영웅적인 요소를 찾아내는 연구를 하였다. 고찰해 본 결과 베토벤 <영웅 교향곡> 1악장에 나타나는 영웅적인 특성은 주요 동기의 등장과 변형의 과정을 통해 드러나게 된다. 제시부에서 주요 동기는 3박자의 형태로 등장하게 된다. 또한 그에 대립되는 도약 음형이 2박자로 등장하며 주요 동기를 위협한다. 발전부에 와서 이들의 대립은 절정을 이루게 된다. 도약 음형, 불협화음, 유니슨, 당김음은 주요 동기와 대립되는 요소로 등장한다. 대립에 이어 혼의 으뜸화음과 현악기의 불협화음의 결합은 주요 동기의 승리를 암시한다. 재현부에서 주요 동기는 승리를 확정짓고 이를 기념한다. 코다에서 주요 동기는 마침내 주제로 완성이 되고 발전부의 에피소드를 다시 등장시킴으로 끝을 맺는다.

      • 미술치료사의 창조적 우울에 나타난 상징적 표현과 해석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김세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연구자가 평생을 겪어온 우울에 대하여 무의식적으로 표현된 미술 작업과 꿈들을 분석하고, 주제를 연결하여 그려낸 그림들과 그 해석을 통해 우울에 내재한 창조적인 힘을 발견하여 내적 갈등을 통합하고 치유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이는 병리적인 관점과 다른 연구자만의 시각으로 본질적으로 다른 측면의 우울과 그 변화과정에 중점을 두어 이를 ‘창조적 우울’로 정의하였고, 본 연구는 그 과정을 자문화기술지의 연구방법으로 상세하게 탐구하였다. 연구의 중심이 되는 기록물로 그려진 미술 작업들은 주로 추상적인 감정 상태와 떠오르는 이미지를 즉각적으로 표현한 것들이다. 이러한 작업들은 무의식적으로 반복되는 주제 속에 이미 의미가 넘치는 여러 상징적 표현들이 나타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의미의 탐색 및 강화를 위해서 분석심리학의 상징해석 관점에서 텍스트의 의미를 더욱 풍성하게 하는 해석학적 도구로서 연구방법에 적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크게 나누어 창조적 우울의 경험에 대한 두 가지 과정과 경험 및 그에 대한 의미의 정의로 요약된다. 첫 번째 과정은 무의식적 미술 표현에 담긴 우울의 의미 해석으로, 다듬어지지 않은 무의식적인 표현들로 가득한 그림의 주제들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 경험은 점차 변화되는 상징들로 표현된 꿈과 그림의 교차 분석으로 우울의 창조적 능력을 발견하며, 꿈과 그림으로 나타난 상징의 예언적 의미 해석을 통해 과거의 고통스러운 그림자들에 대한 정화와 통합의 과정으로 나아가게 된다. 마지막으로 경험에 대한 의미는 능동적 해석의 차원으로 그려진 세 가지 그림들로 표현되었는데, 각각 치료사의 정체성, 치료적 공간을 만드는 치료사의 능력, 가치들에 대한 나눔과 실천의 의미를 나타낸다.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창조적 우울은 개인들에게 증상이 촉발한 부정적 이미지가 감싸고 있는 내적인 고통과 그림자의 측면을 보다 안전하게 드러내고, 통합 가능한 인격적인 이미지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나아가 상징적 그리기와 해석의 작업은 병리적 우울의 상태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이고 금기(禁忌)시 되는 상징적 표현들을 대극의 신성한 이미지들로 변화하도록 이끌어 무의식적 내용을 의식화하는 여정에 필요한 이미지들로 새롭게 갱신하도록 돕는다. 연구자의 경험에서 시작한 연구의 결론은 더욱 많은 가능성들에 대한 탐구 주제를 남기게 되었다. 첫째로는 병리적 현상으로서 우울만이 아닌 우울의 상태에서 촉발되는 창조성의 자기 치유적 효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둘째, 연구의 결과는 자발적인 미술 표현과 해석이 더욱 근본적인 치료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따라서 임상에서 내담자의 고유한 특성과 자기 주도성에 따른 치료의 방법이 개발되어야 하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과 함께 연구자는 우울이라는 결함을 가진 치료사라는 위축된 생각에서 우울과 고통을 다루고 이해할 수 있는 치료사로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세우고, 자신만의 그리기와 해석의 경험과 의미를 내담자를 도울 수 있는 능력과 치료적 방법으로 체계화시키고자 노력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가 내담자의 고유한 표현과 해석의 방식과 능력에 기반한 미술치료 방법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써 미약하나마 우울로 고통을 겪는 모든 이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 This research demonstrate researcher’s self healing process to integrate internal conflict through analyzing spontaneous art works and dream that occurred in deeply depressed moments in whole life time and then discovering great creativity by connecting repeated images in art works and interpretations on them. Therefore this study focus on the depression in qualitatively different side that against pathological point of view. This selected depressive experiences researched through method of auto-ethnography and the subject entitled as ‘creative depression’ by researcher. Art works that essential resource for research contained spontaneously expressed images which unconsciously flashed into mind and in a state of emotion on that moment of create. Those art works repeatedly represents same themes which already has full of meaningful symbolic express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apply Jungian symbolic interpretation method as the hermeneutic tool to find and enhance the meaning in art works. The result of research present in two different process of experiencing creative depression and interpretation of meaning in expression on it. Firstly, the process present interpretation of the unconscious art works that created by the past depressive period which merely expressed as the contents in the unconscious. Secondly, the process experienced discovering creative power inside the depressive state through series of dream and picture that include symbolic expression. They depicted detail of shadow by the deepest comprehension of painful internal darkness, so through symbolic interpretation of all the painful result that presented in dreams and pictures, therefore subject turn into the process of emotional purification and integration of personality. As the result of those interpretations, another series of picture depicted as interpretation for deepened. Those three picture represent the three different value that achieved through presentation and interpretation of creative depression as identity of Art therapist, the therapist’s ability to create safe therapeutic atmosphere, and practicing the value which gain through process of creative depression. As the result of research, there are individual and social value in creative depression that drawn out creative value rather than suppress the symptoms. Creative depression reveal internal pain and shadow side of images safely and then facilitate personification of those images to integration. In advance, this works of transformation discover the hidden sacred images inside the tabooed images that exposed in depressive state and refresh symbolic images which required individuation process. This research remain several inquiry. First of all, unlikely pathological study for depression, this point of view in depression as the catalyst of creativity should be studied to gain practical and methodological way. Secondly, the result of research demonstrated therapeutic strength in voluntary artistic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of client themselves. Therefore, research support the clinical method which focus on help to express client’s ow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wn initiation interpretation. Followed by this result, researcher rebuilt own identity rooted in art therapist who undergone and understood the pain of depression and under control it. Hence, the research will advancing in theoretical system as clinical process that reflect one’s own experiences of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on pictures. Consequently, this individual journey also propose the other way of therapeutic method that focus on one’s own way to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