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유전자형Ⅰ의 병원성 인자 탐색

        김석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VHSV,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VHS, viral hemorrhagic septicemia)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담수어 및 해수어 양식 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는 바이러스성 질병 중의 하나이다. VHSV는 크게 4가지(Ⅰ~Ⅳ)의 유전자형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유전자형에 따른 지리적 분포 및 숙주에 대한 병원성 등의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그러나 최근 활발한 국제적 교역에 따라, 다른 지역에 존재하던 새로운 유전자형의 국내 도입은 물론, 역으로 우리나라 양식 어류 수출 시 수입국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아시아형 VHSV IVa의 전파 위험 가능성 또한 매우 높다. 특히 최근 10여 년 동안 국내 연어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국내에 유통되는 연어 및 양식 산업에 공급되는 발안란은 대부분 수입산을 사용하고 있어 유입될 수 있는 외래 유전자형에 대한 병원성 예측과 대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 유전학법을 이용하여 국내에 유입 가능성이 가장 높은 VHSV 유전자형 I의 병원성 관여 인자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VHSV 유전자형 Ⅳa의 N, P, M, G, NV 또는 L 유전자를 VHSV 유전자형Ⅰ의 각 유전자로 치환된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들을 생산하기 위한 각 바이러스 벡터(N_ⅠrVHSV Ⅳa, P_Ⅰ rVHSV Ⅳa, M_ⅠrVHSV Ⅳa, G_ⅠrVHSV Ⅳa, NV_ⅠrVHSV Ⅳa 및 L_ⅠrVHSV Ⅳa)를 제작하였다. T7 RNA polymerase가 발현되는 Epithelioma papulosum cyprini (EPC) 세포를 배양하였고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 벡터들을 접종해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들을 생산하였다. 이 후 plaque assay를 통해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들의 역가를 계산하였고,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세포, EPC 및 Japanese flounder (hirame) natural embryo (HINAE) 세포에서의 plaque 크기를 비교하였다. EPC 세포에 대한 P_Ⅰ rVHSV Ⅳa, M_Ⅰ rVHSV Ⅳa 및 NV_Ⅰ rVHSV Ⅳa 감염의 경우, 대조군인 rVHSV Ⅳa와 비교해보았을 때 plaque 크기가 상당히 커진 반면, N_Ⅰ rVHSV Ⅳa 및 L_Ⅰ rVHSV Ⅳa 감염의 경우 plaque 크기가 작아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HINAE 세포에서는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형성되는 plaque의 크기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EPC 세포와 HINAE 세포에서의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들의 복제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동일량(MOI 0.0001)의 재조합 바이러스들을 각 세포에 접종하여 1일, 3일, 5일째에 수집하였다. 그 후 plaque assay를 통해 재조합 바이러스들의 역가를 계산하여 성장곡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든 세포에서 P_Ⅰ rVHSV Ⅳa, M_Ⅰ rVHSV Ⅳa 에서 대조군인 rVHSV Ⅳa보다 복제 속도가 빨랐으며 N_Ⅰ rVHSV Ⅳa, L_Ⅰ rVHSV Ⅳa에서는 대조군인 rVHSV Ⅳa보다 느려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들의 복제능 및 plaque 크기 차이를 나타낸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서 가장 먼저 활용하는 방어기작인 I형 인터페론(type I IFN) 반응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OI 0.01의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들을 EPC 및 HINAE 세포에 접종하고 6, 12, 24시간 반응시킨 후, 각 시간대별 세포들을 수집하여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qRT-PCR,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였다. β-actin을 기준으로 I형 인터페론 반응으로 유도되는 Mx1 및 ISG15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분석하였다. EPC 세포에서의 Mx1 및 ISG15 유전자는 N_Ⅰ rVHSV Ⅳa 와 L_Ⅰ rVHSV Ⅳa에서 rVHSV Ⅳa와 비교하여 상당히 높은 발현량을 보였으며 M_Ⅰ rVHSV Ⅳa에서 가장 낮은 발현량을 보였다. 하지만 HINAE 세포에서는 각각의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 감염에 대하여 유도되는 유전자 발현량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수행한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들의 plaque 크기 비교, 복제능 비교 및 I형 인터페론 반응 등의 바탕으로 VHSV 유전자형Ⅰ의 병원성 관련 인자를 판단하였다. HINAE 세포에서는 plaque 크기 비교 및 I형 인터페론 반응 실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지만 EPC 세포에서의 plaque 크기는 P_Ⅰ rVHSV Ⅳa 및 M_Ⅰ rVHSV Ⅳa에서 커졌고 N_Ⅰ rVHSV Ⅳa 및 L_Ⅰ rVHSV Ⅳa에서는 작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들의 복제속도 역시 P_Ⅰ rVHSV Ⅳa 및 M_Ⅰ rVHSV Ⅳa에서 빨라졌고 N_Ⅰ rVHSV Ⅳa 및 L_Ⅰ rVHSV Ⅳa에서 느려졌다. 또한 I형 인터페론 반응으로 유도되는 Mx1과 ISG15 유전자 발현량은 N_Ⅰ rVHSV Ⅳa 및 L_Ⅰ rVHSV Ⅳa에서 높게 나타났고 M_Ⅰ rVHSV Ⅳa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HINAE 세포에서는 VHSV 유전자형 I의 단일 유전자로 치환된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들의 병원성 변화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EPC 세포에서의 경우, 유전자형 I의 P 또는 M 유전자로 치환된 경우 바이러스의 복제능 및 병원성 증가, 숙주세포의 I형 인터페론 반응 억제 결과를 보였으며, N 또는 L 유전자로 치환된 경우, 반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N, P, M 및 L 유전자가 VHSV 유전자형Ⅰ의 병원성에 관여한다고 판단되며, 이와 더불어 추후 무지개 송어와 넙치를 대상으로 In vivo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본 연구결과와의 종합적인 비교·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 난임 환자의 체외수정 시술시 정자 처리에서 myoinositol 첨가와 DNA fragment 정자 제거에 의한 정자의 운동성 효과

        김석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난임 환자의 체외수정 시술시 정자 처리가 임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정자 처리 과정 중 산화적 스트레스 환경에서는 정자의 운동성이 저하되며, 또 사정된 정액 중에는 DNA fragment 정자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정자는 더욱 악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정자 처리 시 산화적 배양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항산화물질의 일종인 myoinositol을 처리하였으며, 한편으로는 DNA fragment 정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DGC 법과 MACS 법을 이용하여 분리한 정자를 DFI 값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yoinositol 사정 액화된 정액의 정자 운동성과 전진운동은 5 ㎎/㎖, 10 ㎎/㎖ 및 20 ㎎/㎖ myoinositol 처리군이 대조군 보다 각각 유의하게 높았다(p<0.05). 특히 5 ㎎/㎖ 처리군과 대조군에서 여성과 남성의 나이, 여성의 난포수와 자궁내막의 두께 그리고 인공수정 후의 임신율 등은 비슷하였다. 그러나 인공수정을 행하기 위해 환자로부터 채취한 사정 액화된 정자의 운동성은 myoinositol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지만(p<0.05), 2시간의 정자 처리 후의 운동성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을 정도로 높아졌다. 그러나 myoinositol 처리군에서는 고활력의 정자만을 회수할 수 있었기 때문에 총 정자 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정액의 성상을 CASA 법으로 5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asthenozoospermia 군에서의 인공수정 후 임신율은 myoinositol 처리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사정 액화된 정자의 운동성과 생존성에 있어서 50 µM 이상의 H2O2 첨가군들의 운동성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그러나 생존성은 특히 150 µM 첨가군에서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한편 H2O2 로 정자의 운동성 및 생존성을 억제시킨 후 myoinositol을 처리하였을 경우 50 µM과 75 µM H2O2 첨가군에서의 정자 운동성은 유의하게 높아졌다(p<0.05). 그리고 정자의 생존성도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한편 myoinositol의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myoinositol을 2시간 동안 처리한 후의 정자 운동성도 다른 군 보다 유의하게 높아졌다(p<0.05). 또한 이러한 현상은 NBT 염색에 의해서도 확인되었다. 2. DFI 사정 액화된 정액의 halosperm 검사로 분석한 결과 환자 나이, 정액 량, 정자농도는 DFI와 상관관계는 없었지만, 정자 운동성과 정자 형태와는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CASA 법에 의해 측정된 정자의 운동 속도는 slow 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DFI와 높은 역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p<0.05). 또한 정자가 운동하는 여러 가지 방향도 DFI와는 역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지만(p<0.05), 특히 VAP는 DFI와 강한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 한편 정액을 halosperm 검사에 의해 DFI 값이 30%미만의 low 군, 30%이상의 high 군으로 구분하여 체외수정에 제공하였다. 각 군에서의 여성 환자의 나이는 low 군이 낮지만, 자궁내막 두께와 채취된 난자의 개수는 차이가 없었다. 한편 수정방법에 따른 수정율은 low 군의 cIVF 방법이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지만(p<0.05), 8 세포기까지의 배 발달은 각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이식 후 임신율은 high 군의 cIVF 방법이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임신 후 유산율은 low 군의 cIVF 방법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MACS MACS 법을 이용하기 위해 정액 성상과 DFI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정액 량에 있어서 정상 DFI와 비정상(hypospermia) DFI와의 차이는 없었으며, 정자 농도도 정상과 비정상(oligozoospermia)과는 DFI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정자의 운동성은 정상보다 비정상(asthenozoospermia), 정자의 형태도 정상보다 비정상(teratozoospermia)의 DFI는 각각 유의하게 높았다(p<0.05). 정액속의 DNA fragment 정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정 액화된 정액을 세척법과 DGC 법으로 처리하였다. DGC 법의 DFI는 세척법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한편 DNA fragment 정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의 각 처리와 더불어 MACS 법을 조합하였으며, MACS 법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column 속에는 DNA fragment 정자가 존재한다. DGC+MACS 처리가 세척+MACS 처리보다 회수된 정자의 DFI는 유의하게 낮았다(p<0.05). 그러나 세척+MACS 처리에서 column 속의 정자(DNA fragment 정자) DFI는 DGC+MACS 처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이것은 DNA fragment 정자의 분리는 DGC+MACS 처리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서 DNA fragment 정자의 protamine 결핍을 aniline blue 염색법으로 확인하였다. 세척법으로 회수한 정자의 protamine 결핍율은 DGC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세척+MACS 처리도 DGC+MACS 처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난임 환자의 성공적인 체외수정 시술을 위해 제공되는 정자의 처리과정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현재의 방법은 반드시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정자의 운동성 유지 또는 향상을 위한 가장 적당한 배양환경의 수립, 다양한 항산화물질의 탐색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DNA fragment 정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는 더욱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examined how sperm treatment affects the possibility of pregnancy during in vitro fertilization procedures in infertile patients. During the process of sperm treatment, sperm in the oxidative stress environment decreases its motility, and among the semen evaluated, DNA fragment sperm is included, and the number of such sperm increases over time in the above environment. Therefore, myoinositol, a type of antioxidant, was treated to improve the oxidative culture environment during sperm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 sperm separated using the DGC, and the MACS methods was identified as the value of the DFI.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yoinositol Sperm motility and progressive motility of the ejaculation liquefied se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5 ㎎/㎖, 10 ㎎/㎖, and 20 ㎎/㎖ myoinosito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In particular, the age of female and male, the number of follicles, the thickness of the endometrium, and the rate of pregnancy after intrauterine insemination were similar in the 5 mg/ml myoinositol group and control group. However, although the myoinositol treated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motility of the ejaculation liquefied semen collected from the patient for intrauterine insemination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motility after two hours of sperm processing increased to such an extent that it was no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total number of sper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ecause only high motility sperm could be recovered from the myoinositol treated group (p<0.05). When the characteristics of semen was classified into groups 5 by CASA analysis, the pregnancy rate after intrauterine insemination in the asthenozoospermi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yoinositol treated group (p<0.05). In the motility and viability of H2O2 addition to the ejaculation liquefied semen, the motility of the groups with more than 50 µM H2O2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However, in particular, via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only at the addition of 150 µM (p<0.05). Meanwhile, if myoinositol is treated after inhibiting the motility and viability of sperm as H2O2, sperm motility in the 50 µM and 75 µM H2O2 treated group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The viability of sperm was also a tendency to increase in myoinositol treated group. Meanwhile, sperm motility after treating myoinositol for two hours to examine the antioxidant effects of myoinositol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p<0.05). This phenomenon was also confirmed by the NBT staining. 2. DFI Although the age, semen volume and sperm concentration of the patient were not correlated with DFI from the results of halosperm analysis of the ejaculation liquefied semen, the sperm motility and morphology were significantly inverse correlated (p<0.05). All groups except the slow group have a high inverse correlation with the DFI (p<0.05), as measured by CASA. In addition, the various kinetic parameters in which sperm motility also have a strong inverse correlation with the DFI (p<0.05), especially with the VAP. Meanwhile, semen was divided into a low group with no more than 30% DFI value, and a high group with more than 30% DFI value by halosperm analysis and provided for in vitro fertilization. The age of female patients in each group is relatively low in the low group, but the thickness of the endometrium and the number of oocytes were not different. On the other hand, the fertilization rate according to the fertilization metho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IVF method of the low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p<0.05), but the incidence index up to the 8 cells did not differ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the cIVF method of the high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regnancy rate than that of other groups (p<0.05), and the abortion rate after pregnan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IVF method of the low group (p<0.05). 3. MACS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emen and DFI was investigated to perform MAC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abnormal (hypospermia) DFI in semen volume, and sperm concentration did not have a DFI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abnormal (oligozoospermia). However, the DFI of abnormal (asthenozoosermia) sperm motilit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p<0.05), and the sperm morphology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DFI of abnormal (teratozoospermia) group than that of normal (p<0.05). In order to remove the DNA fragment sperm in the semen, the ejaculation liquefied semen was washed and treated with the DGC method. The DFI of the DGC metho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washing method (p<0.05). Meanwhile, the MACS method was combined with each of the above processing in order to efficiently remove the DNA fragment sperm, and the DNA fragment sperm remains in the column on the process of MACS processing. The DFI of sperm recovered from DGC+MACS treatmen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washing+MACS treatment (p<0.05). However, the DFI in the column from washing+MACS treatmen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from DGC+MACS treatment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paration of DNA fragment sperm is effective in processing DGC+MACS. Furthermore, the deficiency of protamine in DNA fragment sperm was identified by a aniline blue staining method. The protamine deficiency rate of the sperm recovered by the washing metho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DGC (p<0.05), and the washing+MACS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DGC+MACS treatment (p<0.05). Taken together, the current method needs to be improved because we believe the process of treating sperm provided for successful in vitro fertilization of infertile patients is very important. Therefore, further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on how to efficiently remove DNA fragment sperm,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ost suitable culture environment for maintaining or improving the motility of sperm, and the search for various antioxidants.

      • 깔뱅의 성경관

        김석기 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뜻을 말씀으로 우리에게 계시하셨다. 그것이 성경이다. 하나님의 말이 없는 곳에서는 진정한 신앙이 사라지고 하나님께 경배 드리는 형식만이 요란하다. 하나님의 교회는 구원의 길을 제시해주는 하나님의 말씀이 있는 곳에서만 세워질 수 있다. 그러므로 말씀의 교훈이 변질되거나 멸시당하는 곳에서는 하나님께서 인정하시는 신앙이 있을 수 없다. 그런데 한국 강단은 이 땅의 종교, 문화에 너무 극심하게 편승을 하고 있다. 즉, 가난을 탈피하고 한을 풀어 풍족한 복을 누리려는 절박한 욕구를 종교에서 채우려는 신앙심을 그대로 수용하는 메시지가 범람하고 있다. 이름 하여서 기복신앙이라 할 수 있는데, 하나님이 무엇을 원하시는가를 전하는 것이 아니라 회중의 영과 육과 범사가 잘되어 복을 담아야할 그들의 창고가 차고 넘치는 길을 알려 주는데 주안점을 둔 설교가 너무나 보편화되어 있다. 이는 복음의 본질에 있어서 주객이 전도된 감이 있다. 복음을 헬라어로 "유알겔리온"(εv´aγγε´λι´ov)이라 하는데, εv, 즉 좋은(well, good)이란 접두사와 a´γγελιa 즉 "소식"(message, doctrine)을 뜻하는 단어의 합성어로써, 그 의미는 "좋은 소식"이다. 그런데 오늘날 자유주의 신학의 후유증으로 복음이 복음 되지 못하고 지나치게 주관적으로 해석한다거나 종교다원주의 신관의 영향으로 말씀이 본질을 벗어나는 경우는 얼마든지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추세로 나간다면 성경본연의 정체성을 상실한 체 혼합주의 신학이 활개를 치게 될 것이고, '불트만'식의 비신화화 내지는 실증주의적 성경해석이 전횡을 이루는 날도 멀지 않았다는 우려의 생각을 갖게 한다. 또 하나의 문제는 성장위주 또는 교회 외형에만 치중한다든가 하는 치우침으로 교회가 사회로부터 비판을 받을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증인으로서 또는 세상의 빛이요 소금으로 살지 못하고, 도처에서 사건사고의 배후에는 그 상당수가 기독교인이 관계되고 있음은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가? 두말할 것도 없이 말씀을 선포하는 자들의 잘못된 성경 관 또는 잘못된 신앙관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한다면 속단일까? "깔뱅은, 교회에서 목회자의 소명이란 주로 성경해석이라고 생각했다. 예를 들어 깔뱅은 강조하기를 이디오피아 내시가 성경을 읽고 있는 것을 이해시키기 위하여, 하나님이 보내신 것은 천사가 아니라 복음전도자 빌립이었다고 하였다." 하나님께서 성경을 우리에게 주셨을 뿐 아니라 해석자와 교사들도 우리를 돕기 위해 함께 주셨다. 이것이 바로 천사보다 주의 백성들을 돕기 위해 목회자들을 선택하신 이유이다. 교회는 말씀을 조명하는 해석의 은사를 부여 받았다고 말한다. 하나님은 그의 뜻과 방법을 알게 하기 위하여 하나님의 사람을 쓰신다. 아모스8장11-l2절의 말씀처럼 이스라엘 백성들을 향하여 "양식이 없어 갈함이 아니요 여호와의 말씀을 듣지 못한 기갈이라"고 말씀하는 것으로 보아서 말씀을 주석하고 선포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가르쳐 주고 있다. 깔뱅이 가장 좋아하는 성경구절중 하나는 롬11:36 "이는 만물이 주에게서 나오고 주로 말미암고 주에게로 돌아감이라 영광이 그에게 세세에 있으리로다. 아멘"의 말씀인바 그의 성경 관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깔뱅에게서 우리는 또 다른 도움이 되는 충고를 발견한다. 깔뱅은 성경으로 하여금 성경을 해석하게 하라고 말했다. 쉬운 부분으로 더 어려운 부분을 이해하는데 보탬이 되도록 하라는 것이다. 깔뱅은 또한 기독교인들이 평생을 공부할 수 있을 만큼 성경에는 쉽고 이해가 명확하게 되는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따라서 필자는 깔뱅의 "기독교강요"를 중심으로 해서 깔뱅의 성경 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스틸하우스 居住性 評價에 관한 硏究

        김석기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세계적으로 급격한 신장세를 보이는 스틸하우스는 차세대의 환경문제와 에너지 절약이라는 과제에 대하여, 현재까지 가장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건축양식이라 평가되고 있다. 또한 강재가 가지는 높은 내구성과 간편한 시공성 및 자유로운 평면과 외관의 표현은 스틸하우스가 가지는 경제적인 이점과 함께 건축가, 시공자 및 건축주에게 많은 호응을 얻고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틸하우스가 1996년 서울, 포항, 광양에 모델스틸하우스를 건설을 시작으로 국내에 도입되었고, 현재 국내에 스틸하우스가 99년 현재 건설중인 것을 포함하여 300여채의 주택이 전국적으로 산포 되어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2010년 한국철강협회의 자료에 따르면 연간 15만호를 전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스틸하우스에 관한 거주성 평가는 모델스틸하우스의 거주성평가 이외에 실제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는 거주후 평가에 대한 것은 이루어진 바가 없어 향후 스틸하우스의 거주자측면에서의 기술개발과 보급확대를 위한 전략적 판단의 근거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스틸하우스에 대한 거주성을 거주자 측면에서 조사하여 현재 보급단계인 스틸하우스의 문제점 혹은 보완사항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스틸하우스가 미국에서 시작되어 국내에 도입되어짐에 따라 문헌고찰을 통하여 스틸하우스의 정의 및 역사, 국외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 현황 및 사례에 관하여 고찰을 통하여 스틸하우스에 대한 일반적 사항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스틸하우스의 거주성 평가를 위하여 방법론적으로 거주후 평가에 관하여 고찰을 진행하였고, 여러 가지 거주후 평가연구 유형중 지적적(Indicative) 거주후 평가를 적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스틸하우스의 거주성 평가에 대한 예비조사로써 문헌고찰을 통한 스틸하우스의 쟁점사항과 전문가집단 면담조사(FGI: Focused Group Interview)를 통한 쟁점사항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본 조사로 거주자의 설문조사와 현재 국내에 건설되고, 건설되어진 주택의 도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국내 스틸하우스 거주성 평가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정리 할 수 있다. 거주자가 느끼는 스틸하우스에 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우수한 편이였다. 그중 다른 주거양식의 주택과 비교하여 가장 우수한 것은 온열효과이며, 스틸하우스의 단열성능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현재까지 이국적인 외관에 대한 거주자의 만족도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으로 재해에 관한 측면 또한 우수한 것으로 거주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상층부로부터의 충격음과 차음성능 특히 실간 차음성능 면에서는 거주자들의 불만족이 조사되었고, 특히 석고보드의 마감으로 인한 내벽의 벽면활용의 제약으로 인한 거주자의 불만족이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에 의해 새로이 부각되었으며, 시공업체의 영세성으로 인한 시공기간의 연장 및 하자보수에 관련한 거주자의 상당한 불만이 표출되었다. 특히 스틸하우스의 가장 큰 장점중 하나인 재활용 소재로 인한 친환경적 건축양식이라는 부분에 대하여는 거주자들의 인지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가변형 평면에 대한 부분은 현재 국내에 시공된 사례가 없고 그러한 평면을 위한 가변형 벽체의 생산이 없어서 이에 대한 다각적 연구와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하겠다. 현재 국내에 건설된 스틸하우스의 수가 적고, 본 연구에 사용된 샘플의 수가 미비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는 문제가 있으나, 국내 스틸하우스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거주성에대한 주관적인 요구 및 스틸하우스에 대한 의식을 총체적으로 평가한 첫 조사연구임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의의는 크다고 사료된다. 향후 보다 발전된 스틸하우스의 보급을 위하여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거주후 평가를 통하여 미래의 친환경적 에너지 절약주택으로써 스틸하우스의 보급과 발전에 힘써야 할 것이다. The number of steel-framed houses has been on the increase due to their ability to provide an ideal solution for conserving our environment and energy. Steel-framed houses are becoming more popular with architects, engineers, and residents, because steel has the character of strength, durability, versatility,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create a flexible space. In 1996, the first steel-framed houses came to Korea as model houses in Seoul, Pohang, and Koungyang. In 1999, approximately 300 steel-framed houses were built or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across Korea, and according to KOSA (Korea Iron and Steel Association), is expected that 150,000 steel-framed houses will be built by the year 2010. However, as of now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post-occupancy evaluation of these structures in Korea. Therefore, Korean architects and engineers are not yet equipped to make strategic judgments on the spread of the steel-framed ho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problems in steel-framed houses in Korea. First, I explored the definition, history,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steel-framed houses throughout the world and in Korea from the Internet and reference books. Second, I chose indicative post-occupancy evaluations as the method of evaluation for this study. For my preliminary investigation, I selected a disputed point from a preceding study and a focused group interview on steel-framed houses. Third, for the main investigation I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the residents of steel-framed houses which analyzed the steel-framed house plan. My investigation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resi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is type of structure, especially the exterior and its ability to hold in heat. 2. The residents primary dissatisfaction was with the fact that noise can easily go through walls, and they cannot use nails in the walls because they are made out of gypsum board. In addition, some repair work was not done well, and there were some delays in completion because of the small scale of the business. 3. The residents were generally not aware that steel-framed houses could be recycled and have a flexible plan. According to the results, we need to continue our study of the habitability of steel-framed houses and conduct more post-occupancy evaluations, so that this kind of environmentally-conscious and energy-saving house can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 골프 技術遂行에 따른 打數別 스트레스 要因에 關한 硏究

        김석기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survey by general club members in Seoul and Kyungki-do who are fond of golf to examine the cause of stress for each handicap.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by verifying the effects statistically. ① Stress caused by the grip: it is maximal for score 82-90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② Stress caused by the stance: it is maximal for score 118 or above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③ Stress caused by address when doing body balance: it is maximal for score 118 or above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Stress caused by eye catch: it is maximal for score 109-117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Stress caused by arm position: it is maximal for score 109-117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④ Stress caused by swing when doing take-back: it is maximal for score 109-117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Stress caused by impact: it is maximal for score 109-117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Stress caused by finish: it is maximal for score 109-117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⑤ Stress caused by choice of clubs when doing long-iron: it is maximal for score 109-117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Stress caused by choice of clubs when doing middle-iron: it is maximal score for 109-117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Stress caused by choice of clubs when doing short-iron: it is maximal for score 109-117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Stress caused by choice of clubs when doing wood: it is maximal for score 109-117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Stress caused by choice of clubs when doing sand-wedge: it is maximal for score 109-117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Stress caused by choice by choice of clubs when doing putter: it is maximal for score 109-117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⑥ Stress caused by adapting skills when in the condition of fairway: it is maximal for score 109-117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Stress caused by distance judging: it is maximal for score 109-117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Stress caused by the ball direction: it is maximal for score 109-117 and minimal for score 81 or below(p<.0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