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土地市場의 價格決定 構造와 大規模宅地開發事業의 聯關性 分析

        김상우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토계획경제학과 김상우 하나의 재화(財貨)가 시장(市場)에서 거래되려면, 수요와 공급의 균형점에서 형성되는 시장가격(市場價格)이라는 매개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장가격은 대개의 경우 공급이 증가하거나 수요가 감소하면 하락(下落)하고, 반대로 공급이 감소하거나 수요가 증가하면 상승(上昇)하게 된다. 하지만, 토지(土地)라는 재화가 거래되어지는 토지시장(土地市場)에서는 일반적인 재화가 거래되는 시장과 다른 독특한 가격결정구조를 지니고 있다. 즉, 토지시장에서의 시장가격은 수요와 공급량의 변동에 의해서라기보다는 토지시장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환경, 즉 개발가능성(開發可能性), 접근성(接近性), 시장참여자들의 토지시장에 대한 장래전망(將來展望)에 따라 결정되어지는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로는, 토지의 경우 지리적(地理的) 위치(位置)가 고정(固定)되어 있고, 거래대상인 하나의 필지에 대하여만 거래시장(去來市場)이 형성되며, 다른 지역의 수요나 공급이 대체되어질 수 없는 특징을 지니고 있고, 영원히 존속(存續)하기 때문에 투자대상(投資對象)으로 적정하며, 자체의 상품성보다는 주변의 개발 또는 새로운 교통망의 설치 등 외부요인에 의해 가치가 형성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가용토지(可用土地)의 공급과 관련하여,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은 토지시장(土地市場)에서 공급의 역할을 하므로 가격하락요인으로 작용하여야 하지만, 현실에서는 반대로 가격을 상승시키는 작용의 요인으로 나타난다. 이는 토지의 비이동성과 장기간(長期間)에 걸친 사업으로 인하여 택지개발이 추진되는 지역(地域)에서는 새로운 토지수요를 발생시키고, 개발에 따른 지가상승의 기대 및 보상금 등에 의한 풍부한 유동성(流動性)은 투기수요를 발생시키면서 주변의 지가는 크게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은 이제까지 꾸준히 시행되어 왔고, 그러한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시행되어 질 수밖에 없는 이유로는 일시적(一時的)으로 국지적(局地的)인 영역에서 지가상승(地價上昇)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이로 인해 우리가 얻게 되는 경제적인 파급효과(波及效果)가 지가상승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손실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주택시장은 토지시장보다 공급(供給)의 탄력성(彈力性)이 훨씬 더 크기 때문에, 택지개발로 인한 대량의 주택공급(住宅供給)은 인근 광역권(廣域圈)의 주택가격안정에 기여하고, 주택가격의 안정은 신규 택지수요(宅地需要)를 감소시켜 지가의 안정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택지개발 및 주택건설사업은 지역경제(地域經濟)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쾌적한 주거공간(住居空間)을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국지적(局地的)인 가격상승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택지개발사업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질 수밖에 없다.

      • 국내산 주요 침엽수 소경목을 이용한 목재 모형 사방댐의 강도 특성

        김상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the strength properties of incised larch(Larix kaempferi Carr.) round posts treated with CCA and pitch pine(Pinus rigida Miller) used as engineering works member were investigated to use the small-diameter of major softwoods produced in Korea. Wooden model erosion control dam was made with pitch pine, of which the strength properties was evaluated. There are logs, round posts, incised round posts treated with CCA in larch used as engineering works member, of which strength properties was evaluated. In pitch pine strength properties were evaluated using round posts treated with CUAZ-2. Bending strength test and nail withdrawal load were tested for evaluation of strength properties, and in larch the creep test of round post and incised round posts treated with CCA was also done. In bending strength test of larch, MOE(modulus of elasticity) was decreased by 9% in incised round posts treated with CCA than in round posts, and MOR(modulus of rupture) was decreased by 29%. When calculating allowable stress in NDS(National Design Specification Construction for Wood Construction), bending modulus of elasticity is 0.95 and bending strength is 0.80. In this study, when calculating bending allowable stress in round post type of incised round posts, not in general type of lumber, MOE was 0.91 and bending strength was 0.71. In pitch pine round posts treated with CUAZ-2, the mean MOE was 58,000kgf/cm2 and mean MOR was 615kgf/cm2. In the creep deformation of larch round post and incised round posts treated with CCA, relative creep was changed by 2.0-2.3 times after 3,100 hou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lative creep between round post and incised round posts treated with CCA in the same stress level. In nail withdrawal load test, the mean load of nail withdrawal of round post was 4.07kgf/mm in larch. The mean load of section of no incised was 4.07kgf/mm but the mean load of section of incised was 3.85kgf/mm. Nail withdrawal load was decreased by about 0.2kgf/mm due to hole caused by incised. In pitch pine round posts treated with CUAZ-2, the mean load of nail withdrawal was 2.33kgf/mm. Wooden model erosion control dam was made with diameter 9cm of pitch pine round posts treated with CUAZ-2, changing joint in three different types. Type-A was made with H/W #14 × 120 self drill screw. After type-B was made like type-A, topside cross-bar and bottom cross-bar were connected with ring of special steel draft pin(S45C) of length 100cm and diameter 12mm, which has ring of diameter 10cm, and then both ends of draft pin were fixed with nut. Type-C was made in a monolithic type that all cross-bar and vertical-bar were fixed with screw bar of length 85cm and diameter 12mm. In each type, erosion control dam was made in nine floor (cross-bar of five floors and vertical-bar of four floors), of which the hight was 79cm. And then strength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rough horizontal loading test and impact strength test, and the deformation of structure through image processing(AICON 3D DPA-PRO system). Also, to investigate the strength properties of connection of erosion control dam. compressive shear strength specimen was made with larch round post of diameter 10cm, changing connection in three different types. In each type, compressive shear strength specimens were made with 50cm of cross-bar and 120cm vertical-bar. In type-Ⅰsingle shear was connected with H/W #14 × 120 self drill screw. In type-Ⅱ double shear was connected with H/W #14 × 210 self drill screw. In type-Ⅲ was connected in monolithic type that all cross-bar and vertical-bar were fixed using screw bar of length 33cm and diameter 12mm. In compressive shear strength test at connection of erosion control dam, the maximum load of specimen connected with double shear was higher by about 2,000kgf~3,000kgf, compared to those of other specimens. In the shape of rupture of connection, self drilling screw was separated from connection in single shear using self drilling screw, but the separation of self drilling screw from connection was not large in double shear. Especially, in screw bar separation of connection was not large due to fixing cross-bar and vertical-bar in monolithic type. In horizontal loading test of wooden model erosion control dam using round post of diameter 9cm, whether there was stone or not did not affect strength much when using self drill screw, but strength was decreased by 23%. In monolithic type of erosion control dam using screw bar, strength was increased by 1.5 times and deformation was decreased when filling with stone. When reinforcing with screw bar that ring is connected to self drill screw, strength was increased by 4.8 times. In impact strength test of wooden model erosion control dam made with round post of diameter 9cm, the erosion control dam connected with self drilling screw not filling with stone was totally destroyed by the 1st impact, and the erosion control dam using screw bar was ruptured at cross-bar at which 779kgf of impact was loaded in the 1st impact. In the 2nd impact, the base parts were ruptured, and reaction force was decreased to 545kgf. In the 3rd impact, whole base parts were destroyed, and reaction force was decreased to 263kgf. However, in all types filling with stone, reaction forces were not decreased much, as impact times was increased, and whole structure was not destroyed by impact, while in diameter 9cm of erosion control dam, cross-bar was ruptured by impact, and a problem, that self drill screw of connection was separated, was found. Durability of structure by impact was investigated through impact strength test and horizontal loading test after wooden model erosion control dam was made using pitch pine round posts treated with CUAZ-2 of diameter 12cm and self drill screw of length 180mm and diameter 9.2mm to make up for this problem. In wooden model erosion control dam made with round post of diameter 12cm, the reaction force at 1 time and 4 time impact was 842kgf and 807kgf, respectively, and the reaction forces were not decreased much by impact. Also, notched bar was not separated by impact, and rupture did not occur in cross-bar at which impact was loaded directly. In horizontal loading test after impact strength test, there was no decrease of strength, when comparing with structure in which impact strength test was not done.In horizontal loading test, strength was increased by about 4.4 times and the deformation of front topside cross-bar was decreased by about 86%, when comparing with diameter 9cm of wooden model erosion control dam. 본 논문에서는 국내산 주요 침엽수 소경목의 활용 방안으로 토목용 부재로 사용되는 낙엽송과 리기다소나무 방부 원주목의 강도 성능을 평가하였고 리기다소나무를 이용한 목재 모형 사방댐을 제작하여 강도 성능을 평가하였다. 토목용 부재로 사용되는 낙엽송은 원목, 원주목, 인사이징 처리 CCA 방부 원주목으로 원주가공에 따른 강도성능을 평가하였고 리기다소나무의 경우 CUAZ-2 처리 방부 원주목을 이용하여 강도성능을 평가하였다. 강도 성능 평가 시험은 휨강도 시험과 못뽑기 저항 시험을 실시하였고 낙엽송의 경우는 원주목과 인사이징 처리 방부 원주목의 creep 시험도 실시하였다. 낙엽송재의 휨강도 실험결과 인사이징 처리 방부 원주목은 원주목에 비해 MOE가 9%정도 감소하였고 MOR은 원주목에 대한 강도비 0.71로 약 29% 강도의 저하를 보였다. NDS(National Design Specification Construction for Wood Construction)에서는 휨허용응력 산정시 인사이징 저감계수를 휨탄성계수는 0.95, 휨강도는 0.80을 제시하고 있다. 본 실험을 통하여 일반적인 제재목 형태가 아닌 원주 형태의 인사이징 방부 원주목의 경우 휨 허용응력 산정시 인사이징 저감계수를 휨탄성계수는 0.91, 휨강도는 0.71로 적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리기다소나무 방부 원주목의 경우 평균 영계수 58,000kgf/cm2, 평균 MOR은 615kgf/cm2 이었다. 낙엽송 원주목과 방부 원주목의 creep 변형은 3,100시간 경과 후 상대크리프 2.0에서 2.3배 변형되었고 같은 SL(stress level)에서 원주목과 방부 원주목의 상대크리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못 뽑기 저항 시험 결과 낙엽송의 경우 원주목의 못 뽑기 저항 평균은 4.07kgf/mm, 인사이징 처리 방부 원주목의 경우 인사이징 처리되지 않은 부분의 못 뽑기 저항은 평균 4.07kgf/mm, 인사이징 처리 부분의 못 뽑기 저항은 평균 3.85kgf/mm 로 인사이징 처리에 의한 좌상에 의해 못 뽑기 저항이 약 0.2kgf/mm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UAZ-2 방부 처리된 리기다소나무 원주목의 경우 못 뽑기 저항은 평균 2.33kgf/mm 이었다. 목재 모형 사방댐은 직경 9cm의 CUAZ-2 처리한 리기다소나무 방부 원주목을 사용하여 3 Type으로 접합부를 달리하여 제작하였다. Type-A의 경우 H/W #14 × 120 직결나사(self drill screw)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Type-B의 경우 Type-A와 같이 제작한 후 직경 10cm의 고리가 달린 길이 100cm, 직경 12mm의 전선볼트를 사용하여 최상층 횡목과 최하층의 횡목을 고리를 이용하여 연결한 후 철핀 양 끝을 너트로 고정시켰다. Type-C의 경우 길이 85 cm, 직경 12 mm의 전선볼트(재질 S45C)를 사용하여 모든 횡목과 종목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였다. 각 Type별 사방댐은 횡목 5층 종목 4층 총 9층의 높이 70cm 로 제작 하였으며 수평 재하 시험과 충격 시험을 통한 강도 성능 평가와 화상처리를 통한 구조물의 변형을 검토 하였다. 또한 사방댐의 접합부의 강도 성능평가를 위해 직경 10cm의 낙엽송 원주목을 사용하여 3 Type으로 접합부를 달리하여 압축형 전단 강도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Type-Ⅰ 시편은 종목 50cm, 횡목 120cm로 종목 양끝 10cm 위치에 H/W #14 × 120 직결나사를 사용하여 1면 전단으로 접합하였다. Type-Ⅱ 시편은 H/W #14 × 210 직결나사를 사용하여 2면 전단으로 접합하였다. Type-Ⅲ 시편은 길이 33cm, 직경 12mm의 전선볼트를 사용하여 횡목과 종목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였다. 사방댐 접합부의 압축형 전단 강도 시험 결과 2면 전단으로 접합한 시편이 다른 시편들에 비해 최대하중이 약 2,000kgf~3,000kgf 높았다. 접합부의 파괴 형상을 보면 직결나사를 사용한 1면 전단의 경우 직결나사가 접합부에서 이탈되었다. 하지만 2면 전단의 경우 접합부에서 직결나사의 이탈은 크지 않았다. 특히 전선볼트의 경우 횡목과 종목을 일체형으로 고정하였기 때문에 접합구의 이탈은 크지 않았지만 하중에 의해 전선볼트가 목재를 압입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경 9cm의 원주목을 사용한 목재 모형 사방댐의 수평 재하 시험 결과 직결나사를 사용한 경우 쇄석의 유무는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변형은 23% 감소하였다. 전선볼트를 사용한 일체형 사방댐의 경우 쇄석을 채운 경우 1.5배 강도가 증가하고 변형은 감소하였다. 직결나사에 고리가 달린 전선볼트로 보강한 경우 4.8배 강도가 증가 하였다. 직경 9cm 목재 모형 사방댐의 충격 시험 결과 쇄석을 채우지 않은 직결나사 사방댐은 1회 충격에 구조물 전체가 파괴 되었으며 전선볼트를 사용한 사방댐은 1회 충격시 779kgf의 충격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횡목에서 파단 되었다. 2회 충격시 기초부가 파단되며 545kgf로 반력이 감소하였고 3회 충격시 기초부 전체가 파괴되며 263kgf로 반력이 감소하였다. 반면 쇄석을 채운 경우 모든 Type에서 충격 횟수에 따른 반력의 감소가 크지 않았고 충격에 의한 구조물 전체의 파괴는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직경 9cm 사방댐의 경우 충격 시험시 충격에 의해 목재의 파단이 발생 하였고 접합부의 직결나사가 빠지는 문제점을 보여 문제점의 보안으로 직경 12cm의 리기다소나무 방부 원주목과 길이 180mm, 직경 9.2mm의 직결나사를 사용하여 목재 모형 사방댐을 제작한 후 충격시험과 수평재하 시험을 통한 충격에 의한 구조물의 내구성을 검토 하였다. 직경 12cm의 원주목으로 제작한 목재 모형 사방댐의 경우 1회 충격시 842kgf, 4회 충격시 807kgf로 충격에 의한 반력의 감소가 크지 않았다. 또한 충격에 의한 노치재의 이탈이나 충격을 직접적으로 받는 횡목의 파단이 발생 되지 않았다. 충격 시험 후 수평 재하 시험 결과 충격 시험 하지 않은 구조물에 비해 충격 시험에 의한 강도의 저하가 없었다. 수평 재하 시험 결과 직경 9cm 목재 모형 사방댐의 비해 최대 강도는 약 4.4배 증가 하였고 동일 하중 3000kgf 에서의 전면부 상층의 변형은 약 86% 감소하였다.

      • 대규모 센서필드에서 소프트핸드오버를 이용한 멀티 싱크 기반의 이동성 관리

        김상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센서 네트워크는 수많은 센서 노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변 환경을 감시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현재까지 수행되어 온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고정된 상태의 싱크 노드를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성을 바탕으로 한 싱크 노드, 즉 모바일 싱크 노드를 바탕으로 한 유비쿼터스 응용에서는 센서 필드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모바일 싱크까지 끊김 없이 전송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센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고 모바일 싱크 노드에 전달되기 위해서는 라우팅 경로가 모바일 싱크의 이동에 따라 갱신되어야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싱크와 고정 노드간의 통신을 통해 이동 방향을 예측하였고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한 대규모 센서 네트워크에서 멀티 싱크를 기반으로 이동단말의 망간 이동시 통화 유지를 위한 기술인 소프트 핸드오버를 활용함에 따라 라우팅 경로가 손실되지 않고 계속해서 갱신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TinyOS를 바탕으로 Multi-Sink를 수행하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실험을 통해 우수성 검증을 하였으며, 대규모의 센서 필드에서 이동 싱크 노드로 향한 경로 갱신이 이동 싱크의 속도에 따라 어떤 결과 값을 갖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 Squeeze Casting한 TAZ631 합금의 피로 균열 전파 거동

        김상우 江原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fatigue crack propagation rate at various stress ratios and investigate fatigue failure mechanism of TAZ631 squeeze cast alloy. Paris equation made it possible to predict fatigue crack growth rate(da/dN) for various stress intensity factor range(ΔK) and stress ratio(R). Compact tension type specimens were used for fatigue crack growth test. Fatigue growth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ΔK and R respectively. Fatigue growth rate was predicted from each stress ratio (R=0.1, 0.3, 0.5). Furthermore, on the basis these result, fatigue growth rate for stress ratio(R=0.2, 0.4) could be predicted. Fatigue failure mechanism of TAZ631 squeeze cast alloy was investigated by optical microscope, SEM and EDX. Fatigue crack preferred to detour Mg2Sn shape inter-granularly at low-ΔK region, but propagate through Mg2Sn shape trans-granularly at high-ΔK region so didn't curb the fatigue crack growth effectively. Fatigue crack propagation resistanc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fracture toughnes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c(22.6 MPa√m) of AZ91D and Kc(24.8 MPa√m) of TAZ631. So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reason why fatigue crack growth rate difference is reduced at high-ΔK region.

      • 고등학교 영재학생의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인식 연구

        김상우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 method)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영재학생들의 학업부정행위에 대한 인식의 개념도를 작성하여 그들의 인식의 개념구조를 제시하고,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학업부정행위에 대한 인식차를 서로 비교해 봄으로서 영재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영재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여태까지 강조되어 왔던 지식 영역뿐만 아니라 도덕성, 인성 등과 같은 정의적 영역에 대한 올바른 접근 및 지도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고등학교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개념도는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인식 차가 존재하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영재학생 63명의 브레인스토밍으로 얻어진 진술문들을 종합, 편집하여 64개의 최종 진술문을 확정하였고, 이들 진술문은 13명의 연구 참여자에 의해 분류, 평정되었다. 그 후 다차원 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해 개념도를 작성한 결과 고등학교 영재학생의 학업부정행위에 관한 인식은 총 5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군집명은 ‘용납할 수 없는 친구의 부정행위’, ‘사회적 구조, 영재성, 그리고 부정행위 간의 불가분의 관계’, ‘부정행위 요구로 인한 심적 갈등, 대처 및 용인 수준’, ‘개인 내면의 비도덕성(도덕불감증)’, ‘도덕성과 사회정의에 근거한 판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학생 142명과 일반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각 진술문에 대한 동의 정도를 Likert 6점 척도로 표시하게 한 후 두 집단 사이의 인식 차를 살펴본 결과 ‘용납할 수 없는 친구의 부정행위’, ‘도덕성과 사회정의에 근거한 판단’ 군집은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전무하거나 매우 미미한 반면, ‘사회적 구조, 영재성, 그리고 부정행위간의 불가분의 관계’, ‘부정행위 요구로 인한 심적 갈등, 대처 및 용인수준’, ‘개인 내면의 비도덕성(도덕불감증)’ 군집은 두 집단 간의 인식 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는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학업부정행위에 관해 더 도덕적인 입장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학생과는 비교되는 영재학생들만의 특별한 인식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EMS 적용을 위한 IoT 센서 개발

        김상우 동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탄소배출은 온실효과와 같은 다양한 현상들을 발생시킨다. 탄소 배출로 인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온실가스들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여 지구 온난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현재 지구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탄소 배출 저감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여 이슈화되고 있는 에너지 효율 솔루션인 에너지관리시스템(EMS)기술에 대해 연구하였다. EMS 시스템은 유선과 무선 방식을 모두 적용하여 사용 중이지만, 기존 원격환경제어 시스템에 사용하고 있는 무선 통신장비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장애물 간섭, 통신품질 저하, 통신거리 및 전송속도의 한계, 음영지역 발생, 메쉬 라우팅 보장 등의 여러 단점이 관련 산업 발전에서 저해 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그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적용을 위하여 SUN 통신을 활용한 IoT센서를 개발하여 기존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방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IEEE 802.15.4g 표준 SUN 기술을 적용하여 IoT환경 측정 센서 모듈을 연구하였고, Cortex-M3를 기반으로 하여 온도, 습도, CO2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모듈을 연구하였다. 두 가지 과정을 거쳐 효율적인 탄소배출 관리와 에너지 절감을 위해 스마트폰에서 SUN통신 기반의 온도, 습도, CO2를 애플리케이션으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제안한다. 연구하고자 하는 IoT센서 모듈은 노이즈 및 음영지역 해소, 고속, 고신뢰성 데이터 전송에 특화된 최신 표준을 무선네트워크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최대 통신거리 1km, 전송속도 0.8Mbps까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SUN(Smart Utility Network, IEEE 802.15.4g표준)통신을 활용하여 환경 측정 센서 모듈 개발을 목표로 설계하였다. 센서 모듈구성은 ARM Cortex-M Serise core 기반의 H/W 플랫폼 기술에서 Cortex core 기반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IoT 원격 환경제어를 가능하게 해주며, 센서 노드의 안정적인 데이터 측정으로 최적의 환경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Cortex 기반 ARM 칩은 저전력, 고성능, 부피 최소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저비용, 저전력, 고성능의 플랫폼으로 개발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SUN통신 기반 환경측정 센서 모듈을 활용하여 각 현장의 온도, 습도, CO2를 측정하여 통합제어기에 고속으로 측정 데이터를 제공해 줌으로써 엔드유저의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 연구결과인 IoT적용을 위한 SUN 통신 기반 센서와 모니터링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다양한 장애물 간섭, 통신품질 저하, 음영지역 발생, 전송거리, 전송속도 제약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고신뢰 및 저지연 특성을 고려한 SUN 통신을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차세대 원격 환경제어 관련 개발 기술과 환경모니터링 시스템 기술과 IT 기술이 적절하게 융합되어 있어 스마트 모니터링 분야의 IoT산업의 선진 기술 축적이 가능하다. 차후 데이터를 빅데이터화 시키고 AI를 적용시켜 활용하여 스마트홈, 헬스케어, 자동제어 및 원격관제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