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v. Beethoven Piano Sonata Op.110과 C. Debussy Suite Bergamasque에 관한 연구

        김보나 세종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과정 졸업연주 프로그램 중에서 선택한 L. v. Beethoven Piano Sonata No. 31 in A?flat major, Op. 110과 C. Debussy Suite Bergamasque를 연구하였다. L. v. Beethoven Sonata Op. 110은 Beethoven의 후기 sonata 작품으로서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first movement는 sonata allegro form 이고 second movement는 scherzo 성격을 가진 악장이며 third movement은 Beethoven의 후기 sonata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난 악장으로서 aria와 fuga로 구성되어 있다. Debussy Suite Bergamasque는 Italy 북부의 Bergamo 지방에서 유래한 민속춤의 motive를 가지고 구성된 모음곡이다. 이 작품은 고전 모음곡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성격과 형식이 서로 다른 소곡들로 이루어져 있다.

      • 아동권리에 대한 아동과 사회복지사의 권리인식 비교 :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김보나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아동복지시설 중에서도 아동의 권리 증진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아동권리에 관심을 가지고 아동권리의 두 주체인 사회복지사와 아동의 인식이 어떠한가를 비교하며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창원시 지역아동센터 70곳 중 설문조사 요청을 수락한 24곳의 지역아동센터의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의 아동 270명과 사회복지사 64명으로 하였다. 아동권리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 총 4개의 하위영역(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으로 구성된 40문항의 아동권리 인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회복지사와 아동의 아동권리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두 집단 간 인식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독립표본 t-검증, 하위요인별 중요도를 비교하기 위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과 사회복지사는 아동권리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두 집단 중에서는 사회복지사가 아동에 비해 좀더 중요하게 아동권리를 인식하고 있다. 아동권리 하위요인별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아동의 경우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회복지사의 경우 생존권, 발달권, 참여권에 비해 보호권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권리 보장수준 인식에서는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에 비해서는 좀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권리 하위요인별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아동은 다른 권리에 비해 보호권을 덜 보장받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반면, 사회복지사는 다른 권리에 비해 보호권을 더 보장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아동은 연령과 자아존중감이, 사회복지사는 복지경력과 권리교육 경험유무로 나타났다. A study was concerned about comparing the recognition of social workers and children who are the subject of the children’s rights, having a interest about the children’s rights of Community Children Center that have to make efforts to promote the children’s rights among the child welfare faciliti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70 students over fourth grader of elementary school, and 64 social workers in 24 Community Children Center. To compare the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the survey used the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of 40 items with 4 categories consisting of right to life, right of publicity, right to development, and right to participate. Data analysis calculated the frequency, the percentage,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to know the children’s rights’ recognition of social workers and children. And this study executed t-verification to compare perception gap of two groups, repeated measures of ANOVA to compare the sub-factors’ importance, and regression analysis to find what factor affect the recognition for the importance of children’s rights. The summary of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hildren and social workers are aware the right of children importantly. The rate of the social workers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group in the terms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for the importance of rights. In analysis results about 4 subordinate categories of right of children, there isn’t a difference among 4 categories in children group. but in the social worker group, right of publicity is more important than others. Second, The rate of degree of owning rights is lower than degree of recognition for the importance of rights. Also, In analysis results about 4 subordinate categories of right of children, Children think they are guaranteed the right of publicity less than others, while social workers think they guarantee the right of publicity more than others. Third, influential factors on the degree of recognition for the importance of rights are age and self-worth in children group and welfare career and educated experience about right of children in social workers group.

      • 피부관리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성격유형(MBTI)과의 상관관계 규명

        김보나 崇實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피부관리사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성격유형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피부관리실, 병원내 에스테틱, SPA, 호텔 내 스킨케어를 선정하여 여성 피부관리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10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MBTI 성격유형 검사를 활용하여 16가지 중 13가지의 성격유형을 분석하였고, 직무스트레스는 해당업무와 보상부적절, 고객접대, 자기계발, 대인관계, 업무지원으로 총5가지 유형으로 추출하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SAS Enterpries Miner Ver 4.3을 이용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성격유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피부관리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성격유형의 관계에서 전반적으로 외향의 성격유형보다 내향의 성격유형이 스트레스를 더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직관형의 성격유형보다 감각형의 성격유형들이 보다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피부관리사들은 감정의 기능을 많이 사용하고, 감정노동자에 있어서의 직무 스트레스는 업무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대학에서 블렌디드 러닝과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의 수업효과 비교 연구

        김보나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대학의 블렌디드 러닝이 전통적인 면대면 교실수업을 대체할 만한 교수·학습방법인지를 검증하고, 대학에서의 수업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대학에서 행해지고 있는 블렌디드 러닝과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은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2. 대학에서 행해지고 있는 블렌디드 러닝과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은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3. 대학에서 행해지고 있는 블렌디드 러닝과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은 학습자들의 수업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4. 블렌디드 러닝을 경험한 교수자와 학습자는 e-러닝에 대한 인식, 효과, 문제점 등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 S여자대학교 사범대학 4개 학과(사회교육과, 윤리교육과, 한문교육과, 유아교육과; 학과별 분반)의「교육심리」수강생 136명이다. 실험집단은 4개 분반 중 2개 분반(사회교육과, 윤리교육과)으로 임의 배정하여 블렌디드 러닝으로 운영하였으며, 나머지 2개 분반(한문교육과, 유아교육과)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여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으로 운영하였다. 실험은 총 15주에 걸쳐 실시되었다. 연구 도구는 학업성취도 검사,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정도 검사, 수업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를 위해서 블렌디드 러닝을 체험한 교수자 1명과 학습자 12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문제 1, 2, 3을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고, 연구문제 4를 위해서는 주제별 약호화 작업 및 분석, 타당도 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행해진 블렌디드 러닝과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에 따라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t = -.52, p > .05). 이러한 결과는 블렌디드 러닝 방식이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에 비하여 학업성취도 면에서 떨어지지 않는 교수·학습방법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한편, 학습자 면담에서 e-러닝 수업의 경우 자율적인 자기주도적 학습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므로 사전에 학습자 교육을 통하여 e-러닝 학습법에 대해 수강지도를 한다면 학업성취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대학의 블렌디드 러닝과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에 따른 교수자-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t = .67, p > .05). 이는 교수자 면담 자료의 분석 결과, 학습자들이 질문이 있을 경우 e-러닝 수업 외에도 교실수업에서 대면할 기회가 있었기 때문에 교실수업 집단과 상호작용 정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e-러닝의 장점인 다양한 상호작용 활동이 예상보다 낮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e-러닝의 상호작용을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교육 콘텐츠 내에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요소들의 삽입, 토론방, 발표수업 그리고 학습공동체 형성을 통한 상호작용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의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이 블렌디드 러닝보다 수업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t = -2.26, p < .05). 이러한 결과는 블렌디드 러닝 집단의 학습자 면담에서 나타난 e-러닝에 대한 애로사항, 즉 실제로 수강을 하지 않아도 출석 체크가 가능한 점, 퀴즈 중심의 학습, 퀴즈의 난이도 조정 등의 지적사항들에서 알 수 있듯이 e-러닝 수업에 대한 불만이 수업만족도에 다소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블렌디드 러닝의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불만요인에 대한 보완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넷째, e-러닝에 대해 교수자의 경우 교육의 수월성 측면, 대학생들의 컴퓨터활용능력 향상, 정보화 시대의 흐름에 맞는 교육의 필요성 등 비교적 긍정적인 교수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몇몇 학습자들은 e-러닝의 특성 및 활용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선행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e-러닝의 수업방식에 대해서, 교수자는 블렌디드 러닝 전략으로서 지속적인 사전 점검, 다양한 평가방법 시도, e-러닝과 면대면 교실수업의 장점을 이해하고 수업의 전체적인 흐름에 맞추어 e-러닝과 면대면 교실수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는 양쪽의 수업방식을 모두 활용할 수 있어 대체적으로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e-러닝의 수업효과로서 학습자들은 시·공간의 편리성과 효율성, 반복학습 등을 실제로 체감하고 있었다. 반면, e-러닝의 애로사항에 대해서 교수자는 강의 콘텐츠 개발의 어려움을, 학습자들은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기술상의 기능면에서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따라서 대학의 블렌디드 러닝의 수업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자학습자 대상의 전문 교육과정의 개발 및 기술면에서 한층 발전된 기술기법상의 보완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blended learning is worth alternating with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in university, to explore the ways to enhance the teaching and learning effects of blended learning.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were suggested as follows : 1. Is there the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blended learning and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in university learning? 2. Is there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structor-learner's interaction between blended learning and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in university learning? 3. Is there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instruction between blended learning and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in university learning? 4. What's the opinions of instructor and learners who experienced in blended learning about the awareness, effects and problems of e-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6 students who were attended a course in educational psychology at a Women's University in Seoul. The experiment had been carried out during 15 weeks. As the test instruments,「Test of academic achievement」,「Test of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and「Test of instruction satisfaction」were used. For qualitative study, an individual interview method of study was used to 1 instructor and 12 learners who experienced blended learning. The S P S S software program was used to analysis the data and statistics such as t-test, validity test,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blended learning and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in university learning(t = -.52, p > .05). Second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structor-learner's interaction between blended learning and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in university learning(t = .67, p > .05). Thirdly,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instruction to the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blended learning in university(t = -2.26, p < .05). Fourthly, the most of the instructors recognized that e-learning is efficient to cultivate computer usage ability. While some learners did not understand well about e-learning's, they need to the computer education. The instructor used the strategy of blended learning. The strategy of blended learning corresponds to continuous pre-checking for blended learning, trying various evaluation methods, and utilizing effectively advantages of e-learning and face-to-face learning. With the e-learning, instructors made a complaint in developing contents of e-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 learners actually felt there wer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ime and space, repetition of studying as the instruction effects of e-learning. Learners complained about technical problem of e-learning system. Therefore, to improve the instruction effects of blended learning in the university, professional curriculum for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technology for e-learning system should be developed.

      •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諧謔美

        김보나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features of humor which is generally prevalent in the life and art of our race, and look into how the humorous beauty shows in the gen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which are called the most Korean and racial style of painting in our picture history. The socie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when the genre painting was popular was in the process of feudal society being dissolved and of preparing for the modern age. In this period, Joseon society generally underwent important changes. For example, as new rich people appeared thanks to increased agricultural productive power and development of commerce/industry, changes in status structure occurred. Such changes were reflected in an academical idea, and caused a practical science idea which focuses on ourselves and surroundings and people(民) becomes the subject. Under the influence of such a practical science idea, the consciousness of the common people developed through self-awareness, and they appeared a new artistic class which enjoys and is enjoying culture suitable to its tastes. In addition, practical science made painters in those days have a new viewpoint of painting, so that they sought the materials of painting in their actual life and represented their daily life in pictures including obscene ones which pictured the love between men and women. Koran art created under this background contains the humorous emotion of the Koreans who are frank and optimistic. Such a humorous spirit of the Koreans is related to the disposition of attempting to cope with their difficult reality with enjoyment and a smile, represented in a frank type on the basis of comprehension of and affection for the reality not in an offensive type in which absurdity and unreasonable reality at those times is positively rejected. In original, humor has inherent features that do not reveal hostility at all in opposition to a subject, but covers the subject with love and sympathy. Such humor is well showed in the gen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Kim Hong-do and Kim Deuk-sin, using the shape of daily life of the common people as a material, represented lively and humorously the atmosphere of the site. Kim Hong-do sublimated the joys and sorrows of the populace by expressing scenes that farmers and handicraftsmen work and playing scenes in the pleasing and lively atmosphere. Kim Deuk-sin also caught things that may occur in the daily life and made lively representation with wit and humor. Like this, the genre painting, which pictured the life of the populace,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expression and posture, and the emotion and psychological state of characters are expressed brightly and humorously. In obscene pictures and spring sentiments, Sin Yun-bok, under the background of a city, represented love between men and women or entertainment of prodigals and official dancing girls and the manner and customs of Gisaeng's house and Gisaeng in secret humor. Such expression shows social tendency in those times when luxury and entertainment was prevalent. But the reason that he pictured such a riotous scene but his pictures are humorously felt seems to be because that he expressed the internal emotion of characters frankly and simply. In Sin Yun-bok's pictures, as in Kim Hong-do and Kim Deuk-sin's works, can feel the emotion and psychological state in the expression, posture and sight of characters, which would be secret and sneaky emotion·psychology smelling from relation between men and women rather than pleasant and exciting emotion indicated in the life of the common people. Like this, the humor indicated in the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above all, can be said to be based on the nature of the humanism focused on positive humanity of humor and moderation underlying the nature of the Koreans.

      • 수단-목적 사슬(Means-End Chain) 이론을 적용한 도보여행객의 가치추구분석 : 스페인의 Camino de Santiago를 걷는 도보 순례 여행객을 대상으로

        김보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바탕으로 스페인의 도보 순례여행지인 카미노 데 산티아고를 걷는 도보여행객들의 도보여행의 속성, 결과 및 혜택, 가치에 대한 항목들을 파악한 후 각 단계별 연결 관계를 도출하였다. 104명의 도보여행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와 인터뷰의 하드래더링 기법을 이용하여 응답을 받았으며, 그 중에서 90명의 연결 관계를 도출한 결과, 1) 사색의 기회 - 삶을 돌아보고 미래 계획 및 충전의 시간 가짐 - 개인 행복, 2) 전 세계 사람들과의 사교의 기회 - 외국친구들을 사귀고 교류함 - 유대관계 강화, 3) 우수한 자연환경 감상기회 -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감상함 - 개인 행복, 4) 스페인 문화체험의 기회 – 문화·예술·역사 경험과 지식 넓힘, 스페인 의식주 문화 체험 – 타문화 이해의 강한 연결 관계를 결론적으로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개인 행복, 유대관계 강화, 타문화의 이해 등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절한 Cut-off 수준을 결정하여 가치맵을 도출하고 도보여행의 횟수와 남·여 성별에 따른 가치맵의 차이를 도출하였다. 도보여행의 참가 횟수에 따라 나뉜 집단의 가장 중요한 속성의 연결 관계는 전체적인 도보여행의 중요 연결 관계와 같았지만 처음 참가하는 도보여행객은 육체적 건강의 가치를 중요시 여긴 반면에 2회 이상 참가 도보여행객은 종교적인 목적을 가지고 신앙의 성숙의 가치와 타문화 이해를 강조하였다. 남성과 여성 집단에서는 남성은 재미와 즐거움을 중시하는 반면, 여성은 자기만족 및 성취감을 중요하게 여기는 차이점을 발견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도보여행객들이 지각한 속성과 결과 및 혜택에 따라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가치들의 중요성은 다르게 도출되며 이 가치들을 고려하여 도보 여행지를 유지하고 발전시킬 지속적이고 전략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walking trip destination “Camino de Santiago” in Spain that is the most popular pilgrimage in these day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Attributes, Consequences or Benefits, Values perceived as important by trekkers on Camino de Santiago and to prove the connections among the ‘Attributes’ which are importantly the considerable opportunity of pilgrimage, ‘Consequences or Benefits’ which are the results of experiences, ultimate ‘Values’ which are the associated with a walking trip using Means-End Chain Theor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5th to August 15th, 2011 for 31days in a manner that the author walked the whole Camino de Santiago with trekkers together. Totally 104 trekkers from all over the world participated in structured questionnaires utilizing the hard laddering method on the path of Camino de Santiago or in albergues (pilgrims’ hostel) and churches etc. Among the 104 results, 90 results could make the linkages properly. The main 4 linkag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pportunity to have a long contemplation with myself during walking - I could spend time to charge myself by looking back my life and designing my future. - Personal happiness 2) Opportunity to together socialize people from the world - I could make foreign friends and talk with them. - Reinforcement of social bond through socialization 3) Opportunity to see natural environment (e.g. Pirineos mountains etc.) - I could make foreign friends and talk with them. - Personal happiness 4) Opportunity to experience various Spanish heritage, culture, festivals - I could extend knowledge through experiencing culture, history, literature, arts on the road. / I could experience diverse Spanish culture. -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or countr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significant to reinforce trekkers’ perceived value in order to develop and maintain overall walking trip which is based on attributes considered with trekkers’ ultimate value.

      • Program Annotation : J.S.Bach「Sonata in g minor BWV.1020」 F.Schubert「Introducktion und Variationen D.802 "Trockene Blumen" from "Die schöne Mullerin"」 P.Gaubert「Nocturne et Allegro Scherzando for Flute and Piano」 E.Burton「Sonatina for Flute and Piano」

        김보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 프로그램인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Sonata in g minor BWV1020, 프란츠 슈베르트(Franz Schubert, 1797-1828)의 Introducktion und Variationen D.802 "Trockene Blumen" from "Die schöne Mullerin", 필립 고베르(Philippe Gaubert, 1879-1941)의 Nocturne et Allegro Scherzando for Flute and Piano, 엘딘 버튼(Eldin Burton, 1913-1985)의 Sonatina for Flute and Piano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바로크 시대 작곡의 대가인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Sonata in g minor는 바흐가 1730년대에 작곡한 플루트 소나타 8개중 실내, 교회소나타에 포함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3악장 구성으로 Allegro - Adagio - Allegro의 빠르기를 가진 전형적인 바로크 시대의 소나타 특성을 띄고 있다. 19세기 낭만주의 작곡가인 프란츠 슈베르트의 Introducktion und Variationen D.802 "Trockene Blumen" from "Die schöne Mullerin"는 문학과 음악이 결합된 형태인 예술가곡으로 문학적 소재와 피아노의 다양한 표현능력을 돋보이게 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슈베르트가 빌헬름 뮐러(Wilhelm Muller, 1794-1827)의 시에 바탕을 두고 작곡한 첫 연가곡집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 중에서 제 18번 “시든 꽃(Trockene Blumen)”을 주제로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변주곡으로 작곡한 작품이다. 프랑스의 플루티스트, 작곡가 및 지휘자였던 필립 고베르의 Nocturne et Allegro Scherzando for Flute and Piano는 당시 인상주의 작곡가였던 드뷔시와 라벨의 영향을 많이 받아 인상주의 시대의 음악의 특징인 몽환적인 분위기와 폭넓은 색채가 드러나는 작품이다. 미국의 피아니스트 및 지휘자 엘딘 버튼의 Sonatina for Flute and Piano는 그가 줄리어드 음대 시절 피아노 연습곡으로 작곡했던 곡을 플루트 소나타로 재편집한 작품으로 1948년 ‘New York Flute Club’ 대회에서 수상하였다. 이 작품은 미국의 전원을 연상케 하는 1악장과 교회선법을 사용하여 인상주의의 특징이 드러나는 2악장, 스페인 춤곡의 리듬을 사용하여 매혹적이고 화려한 분위기의 3악장이 특징이다. This thesis is written focusing on researcher's programs of Master's degree graduation concert which is composed of Sonata in g minor BWV.1020 by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Introducktion und Variationen D.802 "Trockene Blumen" from "Die schöne Mullerin" of Franz Schubert(1797-1828), Nocturne et Allegro Scherzando for Flute and Piano of Philippe Gaubert(1879-1941), Sonata for Flute and piano of Eldin Burton(1913-1985). Sonata in g minor BWV.1020 of Johann Sebastian Bach who is the virtuoso for in the Baroque era, is a church sonata. As one of the J.S.Bach's eight flute sonatas, the work was composed in the 1730s. This work is composed of three movements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Baroque sonata with the tempo of Allegro-Adagio-Allegro. Introducktion und Variationen D.802 "Trockene Blumen" from "Die schöne Mullerin" by one of the 19th century Romantic composer Franz Schubert is an artistic piece(Kunstlied) that combines literature and music. In this work, the literary materials and various expressivity of piano are accentuated that enhances a variety of expressive abilities. This work was composed as a variation for flute and piano with the theme of "Trockene Blumen" which is the 18th of the F.Schubert's first 'song cycle' collection "Die schöne Mullerin" based on the poem of Wilhelm Muller. French flutist, composer and conductor Philippe Gaubert's Nocturne et Allegro Scherzando for flute and Piano is affected by Impressionism composers, Claude Debussy and Maurice Label who were Impressionism composers at the time. So that this piece reveals the dreamy atmosphere and wide range of colors that are characteristic of Impressionism music. American pianist and conductor Eldin Burton's Sonatina for Flute and Piano which won an award at New York Flute Club Tournament in 1948 is a re-edited version for the piano piece. The original version was composed for Piano etude when he was studying at Juilliard School. The first movement of this work features reminiscent of American rural. Second movemen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Impressionism atmosphere. in music by using the church modes, Also third movement use the Spanish dance "fandango" rhythm to create a fascinating and gorgeous.

      • 원자량에 대한 대학생들의 개념 조사

        김보나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는 상대 질량인 원자량의 정의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정도를 조사하였고, 절대 질량인 원자의 질량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정도와 ‘질량’이라는 용어가 포함된 질량수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정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대학교의 1학년 학생 57명으로 같은 반에서 일반화학을 수강하는 학생들이다. 수업 전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선개념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화학 첫 시간에 사전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업을 진행한 후에는 사전 개념과 동일한 문항에 한 문항을 더 추가하여 사후 개념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수업 전은 물론 수업 후에 나타나는 학생들의 원자량 관련 오개념 유형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자세하게 알아보았다. 첫째, 원자량에 대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12C의 원자량이나 탄소의 원자량을 모두 12이다. (2) ^1H의 원자료t이나 수소의 원자량을 모두 1이다. (3) 수소와 탄소의 원자량을 각각 1g과 12g이다. (4) 수소와 탄소의 원자량을 각각 1.008g과 12.011g이다. (5) 원자량은 1몰 질량과 동일하다. (6) 원자량은 질량수와 같다. (7) 원자량은 실제 질량과 동일하다. (8) 원자량은 원자번호와 같다. (9) 원자량은 원자번호×2와 같다. 둘째, 원자의 질량에 대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원자의 질량을 원자의 1몰 질량이다. (2) 원자의 질량과 질량수가 동일하다. 셋째, ^12C의 질량수와 ^13C의 질량수에 대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12C의 질량수와 실제 질량이 동일하다. (2) ^12C의 질량수를 상대 질량이다. (3) ^12C의 질량수를 원자 1몰의 질량과 동일하다. (4) ^12C의 질량수는 원자량에 가까운 정수이다. (5) ^12C의 질량수는 원자번호와 같다. 넷째, ^12C의 원자량과 ^12C의 원자량에 대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12C의 원자량은 1몰 질량과 동일하다. (2) ^12C의 원자량은 양성자수+중성자수로, 질량수(12)와 같다. (3) ^12C의 원자량은 실제 질량과 같다. (4) ^12C의 원자량은 12.011이다. (5) ^12C의 원자량은 원자번호×2 (6×2)이다. (6) ^12C의 원자량은 원자번호 (6) 와 같다. (7) ^13C의 원자량은 12이다. (8) ^13C의 원자량은 13이라. (9) ^13C의 원자량은 12.011이다. In this study,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the relative atomic mass and related concepts have been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class for fifty-seven freshmen university students. The topics were the relative atomic mass, the mass of an atom, and the mass number.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pre-test and post-test indicate that students have the following misconceptions (1) failing to distinguish between the relative atomic mass of each isotope and the average relative atomic mass of element in nature (2) the relative atomic mass is equal to the mass of 1 mole of atom (3) the relative atomic mass is equal to the mass number (4) the relative atomic mass is equal to the mass of an atom (5) the relative atomic mass is equal to the atomic number (6) the relative atomic mass is equal to the twice of the atomic number (7) the mass of an atom is equal to the mass of 1 mole of atom (8) the mass of an atom is equal to the mass number (9) the mass number is equal to the mass (10) the mass number is equal to the mass of 1 mole of atom (11) the mass number is equal to the integer nearest to its atomic mass (12) the mass number is equal to the atomic number

      • 위치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맥락에 따른 시공간 정보의 인터랙티브 시각화 유형 연구

        김보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Information about ‘time’ and ‘space’ is the most fundamental information that people must know for their living. Whether in our daily lives or particular situation, these spatial-temporal information suggest significant information and standard that determine our behavior and attitude, and als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As dissemination of smart devices and computers are popularized, spatial information has risen rapidly as a core service. Also, as mobile devices became personalized, location-based services(LBS) that utilizes a built-in GPS in a device has settled in part of our lives. By combining various technologies and content with location information, services are more diversified and advanced. LBS has combined with Social Network Service(SNS), which builds networks between people who share certain interests and activities, and established new territory called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services(LBSNS) and extended social services sector. LBSNS is a service that provides the location of a user to acquaintances and share related informa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built-in GPS in the smart device and social network services. Based on the position, LBSNS tags media elements such as video, audio, text, and images, and by sharing these information it forms a network, which generates data about time, space, social, and attached content.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study was conducted as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read the patterns of meaningful phenomenon through LBSNS data. As soon as a new service area like LBSNS is established, recording of personal information with smart devices became easier and people could communicate without restrictions of time and space. The data were generated exponentially through these changes and the era of big data has came.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data, companies and countries actively use the findings about people’s culture, life style, and life patterns. While the use of data has become popular, the user’s ability to view and interpret information efficiently during the selection a variety of information is necessary. Hence, categorizing the type of data and visualizing data are very important domain in order to gain insightful information. For information design, changes of digital media allowed us to make static visualization into dynamic visualization based on an expanded spatial-temporal concept. As a digital media environment generates a large amount of data, a visualization that can utilize these data as a valuable information is needed. In digital media, information design is associated with interface and interaction design after all, and these three fields form inseparable relationship. Thus, interactive visualization that the user could reprocess the information through operation has appeared. It also means that by breaking the traditional concept of a visualization it gained interactive properties and was able to make expanded expression. This interactive visualization can be seen as a visualization method to effectively represent a large amount of data that are generated from use of the mobile device in a digital environment. ‘시간’과 ‘공간’에 대한 정보는 사람이 생활을 하는데 있어 반드시 알아야하는 가장 근본적인 정보이다. 이러한 시공간적 정보는 우리가 일상생활이나 특정 상황에 처해 있을 때 행동이나 태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정보와 기준을 제시하며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스마트 디바이스와 컴퓨터의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공간정보는 핵심 서비스로 급부상하게 되었다. 또한 모바일 기기가 개인화 되면서 디바이스에 내장된 GPS를 활용한 위치기반 서비스(LBS)는 생활 속 일부로 자리 잡게 되었다. 위치정보에 다양한 기술 및 콘텐츠를 결합함으로써 서비스는 보다 다양화, 고도화 되고 있다. LBS는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 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 결합하여 위치기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LBSNS)라는 새로운 영역을 구축하면서 소셜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게 되었다. LBSNS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된 GPS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결합을 통해 사용자가 있는 위치를 지인에게 알려주고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LBSNS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이미지 등의 미디어 요소들을 태그하고 이러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이를 통해 크게 시간, 공간, 소셜, 첨부 콘텐츠의 데이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LBSNS 데이터를 통해 의미 있는 현상의 패턴을 읽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LBSNS와 같은 새로운 서비스 영역이 구축됨과 동시에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개인 정보의 기록이 용이해지고 사람들 간에 시간과 공간에 제약 없이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기하급수적인 데이터가 생성되며 빅데이터의 시대가 도래 하였다.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람들의 문화, 라이프스타일, 생활 패턴 등을 발견함으로써 기업 및 국가 등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데이터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사용자는 다양한 정보의 선택에 있어 효과적으로 정보를 보고 해석하는 능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보다 통찰력 있는 정보를 얻고자 데이터의 유형을 분류하고 시각화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정보 디자인에 있어 디지털 미디어의 변화는 확장된 시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기존에 정적인 시각화에서 동적인 시각화가 가능하게 하였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는 대량의 데이터가 발생함에 따라 이러한 데이터를 정보로서 가치 있게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시각화가 필요하다. 디지털 미디어에서 정보 디자인은 결국 인터페이스와 인터랙션 디자인과 연관되며, 이 세 분야는 분리할 수 없는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호작용적 속성의 인터랙티브 시각화가 등장하여 사용자가 조작을 통해 정보를 재가공할 수 있는 시각화 영역이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전통적 개념의 시각화를 탈피하여 인터랙티브한 속성을 갖게 됨으로서 확장된 표현이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랙티브 시각화는 디지털 환경에서 모바일 기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시각화 방안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시공간 정보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LBSNS의 원 데이터들을 결합하여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인터랙티브 시각화의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각 모형의 활용 가이드를 제시하여 시공간 정보를 기반으로한 인간행태에 대한 유의미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