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형도의 정확도 개선 및 제작효율성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김병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정보화 사회의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는 공간정보에 대한 요구사항의 다양화 및 ICT기술 발전 등으로 인해 그 활용범위는 나날이 확대되어가고 있다. 특히 멀티센서와 고해상도 카메라의 발달과 더불어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는 국가 및 민간차원에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미래지향적 국토 건설과 자원관리, 전자정부 실현을 위해 다양한 공간정보 구축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센서의 정보 취득력과 활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공간정보 구축 주체 별로 공간정보 정확도와 가시화 요구 수준은 제작 목적에 따라 다양화되고 있으며 시대적 기술 발전에 따른 정확도 기준 개선과 고해상도 항공영상 기반으로 제작된 수치지형도의 가독성과 정확도 향상으로, 지형도 제작 시 현지조사 작업에 대한 업무개선 효율성에 대한 정량적 검토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영상을 기반으로 수치지형도작업규정 의거 고정밀 1/500 수치지형도 제작 시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최종위치 정확도가 평면위치 기준 0.25cm이내(현 국토지리정보원 용역사업검사기준)로 구축이 가능함으로써 기존의 수치지형도가 갖는 허용오차의 범위의 약 2배 이상 개선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수치지형도 제작 시 정확도 기준의 허용범위 도출을 위해 기존에 다양하게 연구되었던 선행연구를 면밀히 분석하고, 수치지형도 제작과정에서 공정 별로 포함될 수 있는 오차를 산출하여 각각의 오차를 누적, 오차전파 법칙을 적용하여 대입함으로써 오차의 허용범위를 포괄적으로 반영하였다. 이는 제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오류들을 체계적으로 누적 관리하여 오차의 범위를 현실성 있게 반영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치지형도 제작을 위한 현지조사 시 도로 폭에 대한 지거측량을 작업공정에서 제외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차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존 현지조사 작업방법에 비해 약 20-30%정도의 시간이 절감되는 업무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 확보 및 절감된 시간만큼 시설물 조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 1/500 수치지형도 제작을 통해 기존 작업방법은 유지하면서 현행 2차원 공간정보의 추상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수치지형도 정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현실의 공간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고, 현재와 미래의 환경변화를 감안한 다양한 공간정보 구축의 정확도 향상을 통하여 도시계획, 도시방재, 도시기반시설물관리 등 다양한 공간정보의 기본 자료로서 정확도 높은 정보를 이용, 수요자 중심의 관리 및 분석목적의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1/500 수치지형도를 체계적으로 관리·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현실적인 정확도 기준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목회자의 갈등관리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성결교 목회자를 중심으로

        김병석 백석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자의 갈등 및 갈등관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으며, 특히 갈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있어 갈등관리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해결하고자 한 연구문제로, 첫째, 목회자의 갈등, 갈등관리 및 직무만족의 수준의 규명, 둘째, 목회자의 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규명, 셋째, 목회자의 갈등관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규명, 넷째, 목회자의 갈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있어서 갈등관리의 조절효과의 규명으로 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1) 목회자의 갈등, 갈등관리 및 직무만족의 수준 규명 목회자들의 갈등 수준은 평균 2.6178로 “보통”보다 낮게 응답되어, 목회자들은 갈등 수준을 비교적 낮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 유형별로는 개인적 갈등이 평균 2.9669, 조직구조적 갈등이 평균 2.6060, 개인간 갈등이 평균 2.2806으로 응답되어, 개인적 갈등 수준이 가장 높고 개인간 갈등 수준은 가장 낮았다. 목회자의 갈등관리의 평균은 3.4174로 나타나 “보통”보다 높게 응답되었다. 갈등관리 방식의 선호도에 있어서 목회자들은 순응형(3.9578)을 가장 선호하고, 통합형(3.9487), 타협형(3.5820), 회피형(3.0927), 지배형(2.5058) 순으로 나타났다. 목회자의 직무만족의 평균은 3.4837로 “보통” 이상으로 응답하여 직무만족 수준이 비교적 높은 것은 나타났다. 내재적 만족은 평균 3.6207로 응답하고, 외재적 만족을 평균 3,2781로 응답하여 직무환경적 요소보다는 직무자체에 대하여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목회자의 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규명 상관관계분석의 결과 직무만족과 내재적 만족 및 외재적 만족에 대해서 각각 개인적 갈등, 조직구조적 갈등, 개인간 갈등 순으로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회귀계수(β)가 개인적 갈등(-.326) > 조직구조적 갈등(-.240) > 개인간 갈등(-.197) 순으로 목회자의 직무만족에 음(-)의 영향을 미쳤다. 갈등의 여섯 가지 요인 중에서 목표차이, 정책 및 의사결정, 욕구좌절, 성도관계가 직무만족에 음(-)의 영향을 미치고 가장 크게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정책 및 의사결정이었다. 분석 결과 목회자에게서 존재하는 갈등은 순기능보다는 역기능적으로 작용하며, 갈등 수준이 올라갈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졌다. 또한 목회자가 조직생활 중 욕구좌절과 목표차이와 관련한 내적으로 경험하는 개인적 갈등이 직무만족도를 저하시키는 가장 심각한 요인임이 나타났다. 3) 목회자의 갈등관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규명 상관관계분석의 결과 갈등관리 방식 중 통합형(.257)과 타협형(.321)이 직무만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순응형, 지배형 및 회피형과 목회자의 직무만족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타협형, 통합형, 회피형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회귀계수(β)를 비교하면 타협형(.265)과 통합형(.133)은 목회자의 전반적 직무만족에 양(+)의 영향을 미쳤고, 회피형(-.119)은 음(-)의 영향을 미쳤다. 내재적 만족에 대해서는 타협형(.241)과 통합형(.165)이 양(+)의 영향을 미쳤고, 외재적 만족에 대해서는 타협형(.265)은 양(+)의 영향을, 회피형(-.171)은 음(-)의 영향을 미쳤다. 분석 결과 목회자의 전반적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타협형과 통합형의 갈등관리를 사용하고, 회피형은 지양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4) 갈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있어서 갈등관리의 조절효과의 규명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목회자의 갈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통합형과 순응형과 타협형으로 갈등을 관리할 때 조절효과가 있음이 나타났고, 지배형과 회피형은 조절효과가 없어 지양해야 할 방식으로 나타났다. 통합형은 개인적, 개인간, 조직구조적 갈등 등 모든 갈등유형과 상호작용 하였고, 순응형과 타협형은 개인적 갈등과만 상호작용을 이루었다. 모든 갈등유형에서 가장 포괄적으로 조절효과를 나타낸 통합형의 방식으로 목회자의 갈등을 관리할 때 갈등수준을 낮추며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fluence of ministers' conflicts and conflict management on job satisfaction and particularly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flict man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s and job satisfaction. The topics of this study are : first, the level of ministers' conflicts, conflict management, and job satisfaction; second, the influence of ministers' conflicts on job satisfaction; third, the influence of ministers' conflict management on job satisfaction; and fourth,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isters' conflict man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s and job satisfaction. 1) The level of ministers' conflicts, conflict manage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average level of ministers' conflicts is 2.6178 and lower than “normal” to indicate that the conflict level of ministers is relatively low. As for the types of conflicts, the average of personal conflict is 2.9669, the average of organizational conflict is 2.6060, and the average of interpersonal conflict is 2.2806. Thus, the level of personal conflict is the highest, whereas the level of interpersonal conflict is the lowest. The average conflict management of ministers is 3.4174 and higher than “normal.” Ministers' preferred methods of conflict management are accommodating(3.9578), integrating(3.9487), compromising(3.5820), avoiding (3.0927), and dominating(2.5058).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of ministers is 3.4837 and above “normal” to indicate th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relatively high. The average level of internal satisfaction is 3.6207, where as the average level of external satisfaction is 3.2781, indicating that ministers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an the elements of their job environment. 2) The influence of ministers' conflicts on job satisfaction: In result of correlational analysis, it i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internal satisfaction and external satisfaction have high negative correlations with personal conflict, organizational conflict, and interpersonal conflict. In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β) has negative influences in the following order : personal conflict(-.326) > organizational conflict(-.240) > interpersonal conflict(-.197). Among the six factors of conflicts, difference in goal, policy or decision-making, frustration, and relationship with worshippers have negative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while policy or decision-making has the greatest negative influence. In result of analysis, conflicts have more negative influences than positive influences on ministers and job satisfaction is lessened as the level of conflicts increased. Also, ministers' personal conflict, which they influence internally due to frustration and difference in goal in organizational activities, is the most serious factor that degraded their job satisfaction. 3) The influence of ministers' conflict management on job satisfaction: In result of correlational analysis, it is found that integrating(.257) and compromising(.321)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job satisfaction. Accommodating, dominating, and avoiding types do not ha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In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found that compromising, integrating, and avoiding types a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influence job satisfaction. Compar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β), accommodating(.265) and integrating(.133) typ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overall job satisfaction of ministers, whereas avoiding type(-.119) has a negative influence. For internal satisfaction, compromising(.241) and integrating(.165) types have positive influences. For external satisfaction, compromising type(.265) has a positive influence, whereas avoiding type(-.171) has a negative influence. In sum, it is concluded that compromising and integrating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should be adopted to improve overall job satisfaction of ministers, while avoiding type should be avoided. 4)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isters' conflict man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s and job satisfaction: In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is found that managing conflicts in integrating, accommodating, and compromising types contribute to the influence of conflicts on job satisfaction, while dominating and avoiding types have not moderating effects. Integrating type interacted with all types of conflicts, including personal,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conflicts, whereas accommodating and compromising types interacted only with personal conflict. It is concluded that integrating type, which has the most inclusive moderating effects on all types of conflicts, is able to lower the level of conflicts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for ministers.

      •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사례분석과 AHP분석을 중심으로

        김병석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균형 발전을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도로, 공원 등 공공시설 설치를 위해 고시한 도시계획시설 중 10년 이상 도시계획 집행이 되지 못한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사례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제도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에 대한 요인의 중요도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도시계획관련 업무 전문가들에게 1:1 인터뷰를 실시하여 표본자료를 AHP(계층분석)기법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범위는 현행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제도 개선에 필요한 중요한 요소에 대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3단계에 의한 장기미집행도시계획제도에서 사유재산권 손실 측면에서의 요인이 46%이상 나타났다. 사유재산권손실에 대한 근본적 해결방안의 필요성이 실현되어야 함과 법률(제도)적 측면이 제도개선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함을 나타냈다. 법률(제도)적 측면에서의 요인에서는 매수청구 신청시 타당한 보상기준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과 재정적 측면에서의 요인으로는 재원이 없거나 확실한 재원조달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도시계획시설계획 수립을 하는 문제점을 개선해야 토지소유자에게 부담해야하는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도시계획 제도로 정착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현 장기미집행 도시계획 제도가 토지소유자에게 얼마나 많은 물질적 피해와 재산권 행사 제약으로 인한 손실을 보고 있는지를 연구결과를 통해 도시계획시설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시사점이다.

      • 단열 및 흡음을 위한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과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에어로겔 컴파짓 제조

        김병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aerogels exhibit excellent thermal insulating properties, their high costs and poor mechanical properties have hindered their application. Semi-rigid polyurethane foams (SRPUFs) have been widely used in daily life as thermal and acoustic insulators owing to their low cost and good mechanical properties despite their poorer thermal insulating performance compared with aerogels. To utilize both aerogels and SRPUFs, in this study, we prepared a SRPUF/aerogel composite using an economical and practical approach for the first time. Specifically, a sol state of polymethylsilsesquioxane (PMSQ) was prepared via the hydrolysis of methyltrimethoxysilane under acidic conditions, followed by the gelation of PMSQ on the surface of SRPUF under basic conditions to yield the SRPUF/aerogel composite. The fabricated SRPUF/aerogel composite exhibits promising properties, including a decline in the thermal conductivity from 41.0 to 36.0 mW/m·K and an improvement in the averag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from 0.65 to 0.70 compared with SRPUF. Moreover, the composite exhibits enhanced hydrophobicity, which is crucial for preserving the structural, thermal, and acoustic features of the composite in use. Hence,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set a precedent for the utilization of the excellent thermal properties of aerogels for various applications

      • 무기계약직 차별에 관한 법적 연구

        김병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ixed-term Employees Act was enacted and enforced in 2007 for the protection of non-regular workers as the need for non-regular employment protection has emerged due to the rapid proliferation of non-regular workers after the 1997 IMF financial crisis. The purpose of the Fixed-term Employees Act is to correct unreasonable discrimination against fixed-term workers by prohibiting the unequal treatment of them and to prevent the overuse of fixed-term workers by considering them as workers who have entered into an employment contract of indefinite duration in principle, if the period of employment exceeds two years. Accordingly, a novel employment type called unlimited contract worker who have hired as fixed-term and converted to indefinite employment contract after the continuous employment period exceeding two years have emerged. The certain workers who work continually for the same task for more than two years, however, have been placed in the blind spot unprotected by the Fixed-term Employees Act, simply because they are workers without fixed period contract. Moreo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unlimited contract workers as most previous studies on discrimination have focused only on the non-regular workers. Based on the considerations stated above, this study ultimately aimed to improve unequal and unreasonable treatment to unlimited contract workers, focusing on discrimination against unlimited contract workers. This study newly defined the concept of unlimited contract workers to enhance understanding on the unlimited contract workers, and reviewed the legal status of unlimited contract workers and remedies for discrimination against unlimited contract workers under the current law. Further, this study suggested new directions to improve unreasonable discrimination against unlimited contract workers and protect labor rights and interests by presenting new alternatives to resolve the issues of discrimination against unlimited contract workers.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비정규직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비정규직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2007년 비정규직 보호를 위한 기간제법이 제정·시행되었다. 기간제법은 기간제근로자에 대한 차별적 처우를 금지하여 기간제근로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시정하고자 하였고, 2년을 초과하여 기간제근로자를 사용할 경우 원칙적으로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로 보도록 하여 기간제근로자의 무분별한 사용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기간제근로자로 채용되었다가 계속근로기간이 2년을 초과하여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로 전환된 무기계약직이라는 새로운 고용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무기계약직은 기간제근로자 였을 당시와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에도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라는 이유로 기간제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차별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선행연구는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에만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무기계약직 차별에 대한 연구는 소홀할 수밖에 없었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무기계약직 차별에 초점을 맞추어 무기계약직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먼저 무기계약직에 대한 개념 및 법적 지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무기계약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고, 현행법상 무기계약직에 대한 차별 구제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무기계약직 차별 해소를 위한 새로운 대안 제시를 통해 무기계약직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 개선 및 노동권익 보호를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위성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인공어초 시설지 적지분석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김병석 慶一大學校 産業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산업발전에 따른 육상으로부터의 해상오염과 어로장비의 현대화로 어족자원의 남획이 증가함으로서 해양 생태계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우리 나라에서는 어족자원의 육성 정책의 일환으로 인공어초(Artificial Reef) 시설을 설치하여 바다목장화(Marine Ran- ching) 조성을 추진하게 되었으나, 인공어초 시설의 적지에 대한 조사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아직 미비한 실정에 놓여있다. 따라서 연안해역(Coastal Seas)의 어장환경정비와 인공어초 어장조성사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어장환경과 해양환경과의 관련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인공어초적지 지역을 선정하는 기법으로서 최근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위성원격탐사(Remote Sensing)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Geo- 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도입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남해안 통영만 지역을 대상으로 인공어초 시설지 적지 선정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어초 적지조사 1단계 요소 중 수온, 클로로필, 투명도, 수심, 해저저질 조건을 위성영상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주제도를 작성하고, 인공어초 시설지 적지조건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공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인공어초 시설 예정지에 대한 적지를 선정하는 가장 효과적인 기법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인공어초의 적지선정에 필요한 다량의 위성원격탐사와 GIS 자료를 정성 및 정량적으로 D/B화하여 분석함과 동시에 가시화 함으로써 담당 행정부서에서 보다 효율적인 인공어초시설의 종합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Recently, marine pollution from the shore and an increase of the fish catch have effected on marine environment. Under this surroundings government became to found the equipment of artificial reef for the resource of fishes and promote marine ranching.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fishing ground environment equipment and artificial reef in coastal area,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ave applied as a methodology to select the most suitable area for artificial reef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fishing ground and ocean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matic maps were prepared by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GIS for sea surface temperature, chlorophyll, transparency, the depth of sea water and the condition of submarine geologic which ar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when selecting suitable area for artificial reef in Tong-Young bay. Then the most suitable area for artificial reef was selected by giving weight score depending on the suitable condition of this area and analyzing spatial area. Therefore, it makes possible for this methodology, which select the suitable area for artificial reef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GIS, to manage the artificial reef more efficiently by analyzing and visualizing of huge database construc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 단독주택지 담장허물기의 범죄예방 효과 분석 : 주거침입 절도범 및 홍은3동 주민을 대상으로

        김병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산업화와 더불어 급속도로 도시의 수직·수평적 팽창이 이루어졌고 도시화 현상과 더불어 도시범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도시의 성장과산업화 사회로 인한 잦은 거주지 이동으로 거주기간의 감소와 이로 인한 커뮤니티 와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도시민의 대표적 주거유형인 기존의 단독주택지는 열악한 환경이 되었고 이는 결국 불법주차문제, 주거지 유지관리 및 방범 문제 등 주거환경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로 귀결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서울시는“GreenParking 사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 사업 중 가장 큰 요소는 담장이라는 물리적 요소를 제거하고 주차공간과 개방감을 확보하여 주거환경개선을 시행하는 사업이다. 담장허물기는 주차 공간 확보의 목적 외에도 개방감을 확보하고 그로 인한 자연적 감시의 증가 때문에 범죄 예방 설계 기법으로 부합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담장의 제거가 범죄예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려한다. 실질적인 범죄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거침입 절도로 교도소에 복역 중인 재소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담장허물기 사업지에서 물리적 요소에 따라 주민들이 느끼는 범죄불안감에 대한 차이를 보고자한다. 우선, 주거침입 절도로 교도소에 복역 중인 재소자를 대상으로 범행 시 고려하는 주변 환경에 대한 것과 담장의 유무에 따른 범행 수월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소자특성에 따른 범행 시 주변 환경 고려정도에 대해서는 방범시설 여부, 도주용이성, 도주거리, 은폐물 여부, 통행인 감시 등이 분포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발적 범행 보다는 계획적 범행에서 주변 환경에 대해 고려하는 분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담장의 유무에 따른 범행 수월성 차이에서는 반수 이상이 담장이 있는 장소를 선호 하였다. 또한, 재소자 특성과 주변 환경 고려정도가 담장의 유무에 따른 범행 수월성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범행동기, 담의 높낮이, 도주거리, 은폐물 여부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담장허물기와 주민 범죄불안감 감소에 대한 분석결과 물리적 요소 중 가시면적과 담장허물기의 연속성이 주민 범죄불안감에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적 감시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는 물리적 요소와 범죄불안감 감소 사이에서 자연적 감시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오차항 추출을 통하여 물리적 요소의 직·간접 효과를 분석한 결과 가시면적은 직·간접효과가 절반정도로 비슷하게 나타났고 연속성은 자연적 감시를 통한 간접효과 보다는 물리적 변화로 인한 직접적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거침입 절도 경력이 있는 재소자를 상대로 담장허물기 사업이 범죄예방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본 것과 담장허물기로 인하여 변한 물리적 요소에 따라 주민들의 범죄 불안감 감소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분석 한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범죄 데이터 활용과 CCTV등 방범시설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 것이 아쉬운 부분이다. 또한, 홍은3동 지역에 국한 된 연구이기 때문에 분석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향후 확대된 연구결과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Korea has achieved rapid vertical and horizontal expansions in cities along with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urban crimes are also on the rise. Due to frequent changes in residence caused by this kind of rapid growth of cities and industrialized societies, reduction in one’s residence period and deterioration of communities are occurring. Detached house areas,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type of housing used by the urban population, has now become a part of a poor environment, and this has caused problems that lower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such as illegal parking, residence maintenance, and crime prevention measures. To solve these problems, Seoul has come to implement the “Green Parking Project.” The main idea of this project is to remove physical elements such as walls to obtain additional parking space and openness, which will then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ll removal does not only provide additional parking space, but also establish a sense of openness that will increase natural surveillance, which coincides with crime prevention design methods. As such, this study aims to see how removing walls influences crime prevention. To observe the actual crime prevention effects, we conducted this study on prisoners who have been imprisoned for burglary. Also, we will report the differences in fear of crime within the local popul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physical elements at the wall removal site. First, we analyzed what element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risoners considered while committing their crime, and the differences in the ease of the crim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wall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the answers for the degree of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le committing crime, from the existence of crime prevention facilities, ease of escape, escape distance, existence of cover, and surveillance of pedestria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soners. Especially, premeditated crimes considere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ore than accidental crimes. As for the differences in ease of crim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walls,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preferred places with walls. We also studied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soners and the degree of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luenced the judgement of the ease of crim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walls. The results showed that motives of the crime, escape distance, and existence of cover has a positive influenc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wall removal and the reduction in fears of crime among the local population showed that, out of the physical elements, the size of visible areas and the continuity of the wall removal influenced the reduction in fear of crime among the local population. As for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on effect of natural surveillance, natural surveillance showed partial mediation between physical elements and the reduction of fear of crimes. Lastly, after analyzing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physical elements by extracting the error term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the size of visible areas were equally balanced. For the continuity, the direct effect caused by physical changes was larger than the indirect effect through natural surveill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conducted a positive analysis on prisoners with a history of burglary regarding whether the wall removal project is effective in preventing crime, and whether the fear of crime among the local popula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physical elements changed by the wall removal project. On the other hand, the shortcoming of this research is that it did not consider utilizing crime data and the crime prevention facilities, such as CCTV. Also, an expanded study is requir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s this study is limited to Hongeun 3-dong.

      •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집객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여주 신세계·첼시/ 이천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 중심으로

        김병석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집객 결정요인의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첫째,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매장의 집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개념화 하고자 한다. 둘째, 불황속에서 안목이 높아진 소비자들이 가치소비를 시작하면서,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품을 저렴하게 파는 곳을 찾는 트렌드에 맞게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사업 결정시 검토해 볼 수 요인을 찾음으로써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사업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요인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는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동향과 소비자 행동에 관한 이론과 입지결정에 관한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아울렛 사업의 정의와 현황을 살핌으로써 사업결정 및 운영시 요인에 대한 이론적․제도적 배경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파주 다음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경기 남부 지역의 여주·이천에 위치한 신세계와 롯데의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에 한정하여 연구 하게 되었다. 이 두 회사의 운영형태를 통해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집객요인에 대한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여 프리미엄 아울렛이 보완·개발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집객 결정요인으로 상품브랜드, 부대시설, 서비스, 입지조건, 상품가격 등 5가지를 설정하였다. 하위요인으로는 첫째, 상품브랜드: 최신유행상품 유무, 명품브랜드 입점 정도,입점 브랜드 수, 상품재고량. 둘째, 부대시설: 푸드코트, 휴식시설, 유아시설, 주차편리성. 셋째, 서비스: 고객서비스제공, 이벤트 및 문화행사, 셔틀버스제공(‘전용 또는 직행버스’를 통칭한다),판매원의서비스, 넷째, 입지조건: 아울렛까지 이동시간, 주변관광지 연계 방문성, 고속도로와의 연계성, 가시성. 다섯째, 상품가격: 상품가격(할인율), 상품가격의 신뢰도, 등 총 18개의 요인이 있다. 분석결과, 도심형 아울렛을 운영중인 전문가에서는 고객 집객 결정요인으로 ‘서비스’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또한 이번 연구 대상점포 전문가 집단에서도 ‘서비스’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전통적인 입지의 중요성 보다는 비입지 요인인 ‘서비스‘와 ’부대시설‘이 현대 소매업태 환경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음을 연구 대상 점포 전문가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연구라고 할수 있겠다. 이러한 소매 환경의 변화를 직시하고, 좀 더 효율적인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의 개발과 운영을 위해서는 좀 더 세분화된 연구가 향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