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형도의 정확도 개선 및 제작효율성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김병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최근 정보화 사회의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는 공간정보에 대한 요구사항의 다양화 및 ICT기술 발전 등으로 인해 그 활용범위는 나날이 확대되어가고 있다. 특히 멀티센서와 고해상도 카메라의 발달과 더불어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는 국가 및 민간차원에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미래지향적 국토 건설과 자원관리, 전자정부 실현을 위해 다양한 공간정보 구축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센서의 정보 취득력과 활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공간정보 구축 주체 별로 공간정보 정확도와 가시화 요구 수준은 제작 목적에 따라 다양화되고 있으며 시대적 기술 발전에 따른 정확도 기준 개선과 고해상도 항공영상 기반으로 제작된 수치지형도의 가독성과 정확도 향상으로, 지형도 제작 시 현지조사 작업에 대한 업무개선 효율성에 대한 정량적 검토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영상을 기반으로 수치지형도작업규정 의거 고정밀 1/500 수치지형도 제작 시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최종위치 정확도가 평면위치 기준 0.25cm이내(현 국토지리정보원 용역사업검사기준)로 구축이 가능함으로써 기존의 수치지형도가 갖는 허용오차의 범위의 약 2배 이상 개선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수치지형도 제작 시 정확도 기준의 허용범위 도출을 위해 기존에 다양하게 연구되었던 선행연구를 면밀히 분석하고, 수치지형도 제작과정에서 공정 별로 포함될 수 있는 오차를 산출하여 각각의 오차를 누적, 오차전파 법칙을 적용하여 대입함으로써 오차의 허용범위를 포괄적으로 반영하였다. 이는 제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오류들을 체계적으로 누적 관리하여 오차의 범위를 현실성 있게 반영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치지형도 제작을 위한 현지조사 시 도로 폭에 대한 지거측량을 작업공정에서 제외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차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존 현지조사 작업방법에 비해 약 20-30%정도의 시간이 절감되는 업무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 확보 및 절감된 시간만큼 시설물 조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 1/500 수치지형도 제작을 통해 기존 작업방법은 유지하면서 현행 2차원 공간정보의 추상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수치지형도 정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현실의 공간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고, 현재와 미래의 환경변화를 감안한 다양한 공간정보 구축의 정확도 향상을 통하여 도시계획, 도시방재, 도시기반시설물관리 등 다양한 공간정보의 기본 자료로서 정확도 높은 정보를 이용, 수요자 중심의 관리 및 분석목적의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1/500 수치지형도를 체계적으로 관리·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현실적인 정확도 기준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위성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인공어초 시설지 적지분석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김병석 慶一大學校 産業大學院 2001 국내석사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산업발전에 따른 육상으로부터의 해상오염과 어로장비의 현대화로 어족자원의 남획이 증가함으로서 해양 생태계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우리 나라에서는 어족자원의 육성 정책의 일환으로 인공어초(Artificial Reef) 시설을 설치하여 바다목장화(Marine Ran- ching) 조성을 추진하게 되었으나, 인공어초 시설의 적지에 대한 조사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아직 미비한 실정에 놓여있다. 따라서 연안해역(Coastal Seas)의 어장환경정비와 인공어초 어장조성사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어장환경과 해양환경과의 관련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인공어초적지 지역을 선정하는 기법으로서 최근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위성원격탐사(Remote Sensing)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Geo- 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도입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남해안 통영만 지역을 대상으로 인공어초 시설지 적지 선정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어초 적지조사 1단계 요소 중 수온, 클로로필, 투명도, 수심, 해저저질 조건을 위성영상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주제도를 작성하고, 인공어초 시설지 적지조건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공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인공어초 시설 예정지에 대한 적지를 선정하는 가장 효과적인 기법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인공어초의 적지선정에 필요한 다량의 위성원격탐사와 GIS 자료를 정성 및 정량적으로 D/B화하여 분석함과 동시에 가시화 함으로써 담당 행정부서에서 보다 효율적인 인공어초시설의 종합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Recently, marine pollution from the shore and an increase of the fish catch have effected on marine environment. Under this surroundings government became to found the equipment of artificial reef for the resource of fishes and promote marine ranching.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fishing ground environment equipment and artificial reef in coastal area,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ave applied as a methodology to select the most suitable area for artificial reef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fishing ground and ocean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matic maps were prepared by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GIS for sea surface temperature, chlorophyll, transparency, the depth of sea water and the condition of submarine geologic which ar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when selecting suitable area for artificial reef in Tong-Young bay. Then the most suitable area for artificial reef was selected by giving weight score depending on the suitable condition of this area and analyzing spatial area. Therefore, it makes possible for this methodology, which select the suitable area for artificial reef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GIS, to manage the artificial reef more efficiently by analyzing and visualizing of huge database construc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단독주택지 담장허물기의 범죄예방 효과 분석 : 주거침입 절도범 및 홍은3동 주민을 대상으로
우리나라는 산업화와 더불어 급속도로 도시의 수직·수평적 팽창이 이루어졌고 도시화 현상과 더불어 도시범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도시의 성장과산업화 사회로 인한 잦은 거주지 이동으로 거주기간의 감소와 이로 인한 커뮤니티 와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도시민의 대표적 주거유형인 기존의 단독주택지는 열악한 환경이 되었고 이는 결국 불법주차문제, 주거지 유지관리 및 방범 문제 등 주거환경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로 귀결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서울시는“GreenParking 사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 사업 중 가장 큰 요소는 담장이라는 물리적 요소를 제거하고 주차공간과 개방감을 확보하여 주거환경개선을 시행하는 사업이다. 담장허물기는 주차 공간 확보의 목적 외에도 개방감을 확보하고 그로 인한 자연적 감시의 증가 때문에 범죄 예방 설계 기법으로 부합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담장의 제거가 범죄예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려한다. 실질적인 범죄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거침입 절도로 교도소에 복역 중인 재소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담장허물기 사업지에서 물리적 요소에 따라 주민들이 느끼는 범죄불안감에 대한 차이를 보고자한다. 우선, 주거침입 절도로 교도소에 복역 중인 재소자를 대상으로 범행 시 고려하는 주변 환경에 대한 것과 담장의 유무에 따른 범행 수월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소자특성에 따른 범행 시 주변 환경 고려정도에 대해서는 방범시설 여부, 도주용이성, 도주거리, 은폐물 여부, 통행인 감시 등이 분포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발적 범행 보다는 계획적 범행에서 주변 환경에 대해 고려하는 분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담장의 유무에 따른 범행 수월성 차이에서는 반수 이상이 담장이 있는 장소를 선호 하였다. 또한, 재소자 특성과 주변 환경 고려정도가 담장의 유무에 따른 범행 수월성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범행동기, 담의 높낮이, 도주거리, 은폐물 여부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담장허물기와 주민 범죄불안감 감소에 대한 분석결과 물리적 요소 중 가시면적과 담장허물기의 연속성이 주민 범죄불안감에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적 감시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는 물리적 요소와 범죄불안감 감소 사이에서 자연적 감시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오차항 추출을 통하여 물리적 요소의 직·간접 효과를 분석한 결과 가시면적은 직·간접효과가 절반정도로 비슷하게 나타났고 연속성은 자연적 감시를 통한 간접효과 보다는 물리적 변화로 인한 직접적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거침입 절도 경력이 있는 재소자를 상대로 담장허물기 사업이 범죄예방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본 것과 담장허물기로 인하여 변한 물리적 요소에 따라 주민들의 범죄 불안감 감소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분석 한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범죄 데이터 활용과 CCTV등 방범시설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 것이 아쉬운 부분이다. 또한, 홍은3동 지역에 국한 된 연구이기 때문에 분석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향후 확대된 연구결과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Korea has achieved rapid vertical and horizontal expansions in cities along with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urban crimes are also on the rise. Due to frequent changes in residence caused by this kind of rapid growth of cities and industrialized societies, reduction in one’s residence period and deterioration of communities are occurring. Detached house areas,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type of housing used by the urban population, has now become a part of a poor environment, and this has caused problems that lower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such as illegal parking, residence maintenance, and crime prevention measures. To solve these problems, Seoul has come to implement the “Green Parking Project.” The main idea of this project is to remove physical elements such as walls to obtain additional parking space and openness, which will then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ll removal does not only provide additional parking space, but also establish a sense of openness that will increase natural surveillance, which coincides with crime prevention design methods. As such, this study aims to see how removing walls influences crime prevention. To observe the actual crime prevention effects, we conducted this study on prisoners who have been imprisoned for burglary. Also, we will report the differences in fear of crime within the local popul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physical elements at the wall removal site. First, we analyzed what element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risoners considered while committing their crime, and the differences in the ease of the crim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wall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the answers for the degree of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le committing crime, from the existence of crime prevention facilities, ease of escape, escape distance, existence of cover, and surveillance of pedestria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soners. Especially, premeditated crimes considere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ore than accidental crimes. As for the differences in ease of crim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walls,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preferred places with walls. We also studied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soners and the degree of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luenced the judgement of the ease of crim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walls. The results showed that motives of the crime, escape distance, and existence of cover has a positive influenc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wall removal and the reduction in fears of crime among the local population showed that, out of the physical elements, the size of visible areas and the continuity of the wall removal influenced the reduction in fear of crime among the local population. As for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on effect of natural surveillance, natural surveillance showed partial mediation between physical elements and the reduction of fear of crimes. Lastly, after analyzing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physical elements by extracting the error term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the size of visible areas were equally balanced. For the continuity, the direct effect caused by physical changes was larger than the indirect effect through natural surveill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conducted a positive analysis on prisoners with a history of burglary regarding whether the wall removal project is effective in preventing crime, and whether the fear of crime among the local popula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physical elements changed by the wall removal project. On the other hand, the shortcoming of this research is that it did not consider utilizing crime data and the crime prevention facilities, such as CCTV. Also, an expanded study is requir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s this study is limited to Hongeun 3-dong.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집객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여주 신세계·첼시/ 이천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 중심으로
김병석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연구는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집객 결정요인의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첫째,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매장의 집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개념화 하고자 한다. 둘째, 불황속에서 안목이 높아진 소비자들이 가치소비를 시작하면서,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품을 저렴하게 파는 곳을 찾는 트렌드에 맞게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사업 결정시 검토해 볼 수 요인을 찾음으로써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사업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요인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는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동향과 소비자 행동에 관한 이론과 입지결정에 관한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아울렛 사업의 정의와 현황을 살핌으로써 사업결정 및 운영시 요인에 대한 이론적․제도적 배경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파주 다음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경기 남부 지역의 여주·이천에 위치한 신세계와 롯데의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에 한정하여 연구 하게 되었다. 이 두 회사의 운영형태를 통해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집객요인에 대한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여 프리미엄 아울렛이 보완·개발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집객 결정요인으로 상품브랜드, 부대시설, 서비스, 입지조건, 상품가격 등 5가지를 설정하였다. 하위요인으로는 첫째, 상품브랜드: 최신유행상품 유무, 명품브랜드 입점 정도,입점 브랜드 수, 상품재고량. 둘째, 부대시설: 푸드코트, 휴식시설, 유아시설, 주차편리성. 셋째, 서비스: 고객서비스제공, 이벤트 및 문화행사, 셔틀버스제공(‘전용 또는 직행버스’를 통칭한다),판매원의서비스, 넷째, 입지조건: 아울렛까지 이동시간, 주변관광지 연계 방문성, 고속도로와의 연계성, 가시성. 다섯째, 상품가격: 상품가격(할인율), 상품가격의 신뢰도, 등 총 18개의 요인이 있다. 분석결과, 도심형 아울렛을 운영중인 전문가에서는 고객 집객 결정요인으로 ‘서비스’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또한 이번 연구 대상점포 전문가 집단에서도 ‘서비스’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전통적인 입지의 중요성 보다는 비입지 요인인 ‘서비스‘와 ’부대시설‘이 현대 소매업태 환경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음을 연구 대상 점포 전문가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연구라고 할수 있겠다. 이러한 소매 환경의 변화를 직시하고, 좀 더 효율적인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의 개발과 운영을 위해서는 좀 더 세분화된 연구가 향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상업가로경관의 시지각적 평가연구 :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주야간 비교를 중심으로
상업가로경관을 보는 견해로는 전통적으로 공간구성과 시각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건물, 도로, 가로시설물 등 가로를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요소들과 이들의 배치를 보행자가 시각적으로 지각하고 인식하는지에 대한 것이 가로경관 이미지를 형성하는 주요 관계라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사람들의 시각을 지각의 측면으로 설정하고 시선추적인 아이트래킹을 활용하여 가로경관에 대한 사람들의 시지각 특성을 파악한다. 또한 가로만족도인 인식특성을 바탕으로 가로경관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지로는 서울시의 대표적인 상업지인 종각, 인사동, 명동, 가로수길, 강남이며, 대상지별 가로경관의 사진을 촬영해서 아이트래킹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33명의 실험 참여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상업가로경관에 대한 주시특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람들의 경관에 대한 만족도 설문 항목을 바탕으로 매력 있는 가로경관과 매력 없는 가로경관을 구분하고 두 그룹에 다한 주시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매력 있는 경관에서는 사람들이 시선이 다양한 경관요소에 분포되어 있으며, 자연경관인 녹지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시선의 패턴이 수직보다는 수평적으로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둘째, 주야간 상업가로 경관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주야간 주시특성에 대한 차이 비교 결과 야간에 참여자의 시선 수는 감소하였고 시선이동의 거리는 증가하였다. 또한 하늘과 바닥, 가로수(화단)에 대한 시선은 야간에 감소하였지만 상점 전시대와 간판에 대한 시선은 야간에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주야간 빛의 차이에 의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상업가로경관에 대한 만족도와 관련 있는 경관 요소와 시선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화 추정방정식(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_GEE)을 활용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은 시각적 특성 모형과 물리적 특성 모형으로 구분하여 주야간별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저층 상점 전시대에 대한 시선과 면적은 주야간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값이 나타났으며, 가로수(화단)의 경우도 주간의 모형에서 모두 긍정적인 값이 도출 되었다. 간판의 경우 주간에 돌출간판에 대한 시선은 긍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나, 야간의 물리적 모형에서 돌출간판 면적은 부정적이게 나타났다. 반면 입면간판은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그 외 바닥 대한 시선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상업가로경관 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정비된 바닥과 관련해서 해석되어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업가로의 경관 향상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상업가로의 저층부의 상점 전시대는 주간과 야간을 불문하고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저층부 상점의 투명도 확보 및 거리 판매대 등 활동성의 증가가 필요하다. 둘째, 가로수와 같은 녹지는 긍정적 효과를 보이나 어두운 경우 조명 등을 활용하여 사람들에게 지각되어야 그 효과가 있다. 셋째, 정비되지 않은 돌출간판의 경우 가로의 질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넷째, 야간의 경우 조명의 효과가 강하기 때문에 조명을 활용하여 가로의 통일성과 연속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업가로경관에 있어서 적절한 복잡성은 중요하며, 가로경관에 대한 사람들의 흥미를 유도할 것이다.
실버계층 해외여행상품의 서비스품질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As tourism shows a potential lucrative business opportunity that contributes to the economic growth. The central government as well as local governments are much interested in taking advantage of this opportunity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Korea is approaching 'aging society', which means the tourism business for aged people is getting bigger. Judging from this perspective, it is worthwhile to identify measurement tool of tourism service quality for silver tour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cale of tourism service quality for silver tourists. Data were collected from sample consisting of residents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who have experienced overseas tour to South Eastern Asia through travel agencies recently. 698 subjects were surveyed. Of these 67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removing incomplete and unreliable subjects' questionnaires. SPSS 10.0 was used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variables. AMOS 4.01 was used to test discriminative validity of each variable and to identify the causality of each variab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First-order factor analysis and second-order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dimension of tourism service quality. After reliability test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verseas tourism service quality turned out to consist of 7 factors such as tangibles, physical service, reliability, competitiveness, human service, assurances and empath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was expanded to tour service quality of destination from that of travel agent. Most of researches have concentrated on the service quality measurement of travel agent 'only' but our research included that of local destination as well. Second, of PZB(1988)'s SERVQUAL dimensions(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s and empathy), four dimensions except responsiveness were also included in the suggested model. Third, of Lewis(1987)'s dimensions(human service, goods service and information service), all three were included in our research. Finally, of Buck(1988)'s dimensions('before- traveling' service, 'while-traveling' service and 'after-traveling' service), 'before-traveling' service and 'while-traveling' service were included in 4 out of 7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 service quality model for silver tourist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this research is expanded model of tourism service quality for silver tourists. Most of previous researches were limited within 5 factors of PZB's model but our model proposes 7 factors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