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강기능식품의 마케팅전략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김병록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aims that is suggests the right direction for establishing a successful marketing strategy and activation of the market for the rightful functional health food, by positively surveying the opinions, preference with real conditions and future customer's interest for customers on functional health food, in order to correspond with the markets and interests for the rapid increasing functional health food. First, interests in functional health food are below the general level showing rather lower average value. It was found out especially that the customers had a little understanding and interests on the price, efficacy and market environment for functional health food. Secondly, preference for functional health food depends on actual efficacy as a prime factor on physical constitution, ingredients included in the food and next on scientific support, etc. in due order. Thirdly, as for the actual purchase conditions, the auxiliary health food was appeared to be purchase the most, and the majority paid off ten to fifty thousand won per month for the food. The purchase of the food was motivated the most from the suggestions of their family and friends, and the reason of taking the food is for promotion of physical strength and protection of weakened body, they responded. The location of purchase was the pharmacy the most, and next specialty store for health food or thru the mail-order sale. The efficacy after taking the food showed the high rate and the reason of not taking the food was known to be lack of credibility for efficacy. Fourthly, their intention of future purchasing appears to be below the general level showing lower average value, and among others, suggestions of medical doctors for purchasing the food were shown to be lower than the average value. Based on such a result of practical research on the functional health food, a plan of marketing strategy for the functional health food can b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in the point of interest of CEO and strategic decision for the product strategy, the strategy should inspire the awareness of central issuing and quality of employees importantly and suggest the establishment of clear quality level, accurate measurement, setting quality level for the customers and overall quality management. It requires more segmented and specialized product development and management so as to make the appropriate product development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Secondly, since the customers are very much sensitive to the price change in case of price raising or cutting down as a strategic purpose for prices on the functional health food, the customers shall be provided with the appropriate and suitable reasons for the price cutdown as for them to purchase the products with credibility. Thirdly, as a strategic purpose for distribution, continuous and thorough market analysis thru evaluating the demand should be made by establishing the sales structure, so as to provide the relevant distribution and sales network. Fourthly, as a strategic purpose for promotion,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recognition of brand or accumulated company's image thru the thorough brand management in the company. This research tried to find out the right direction for establishing the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 recognition or actual conditions of customers for the functional health food. However, more delicate and effective marketing mixed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functional health food market or companies thru the actual positive study in the future study.

      • 실종사건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김병록 한세대학교 경찰법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while every year a lot of children and women are reported to have been missing, the police estimates that the number of missing cases that are reported to police a year is almost 60,000. Some of the cases are still unsolved and some of the missing people have been found as a dead body. Missing cases related to crime are likely to be understood as a kind of sign that the weak in society, such as children and women, are out of social protection, and therefore bring the overwhelming fear of crime to the whole society. In the early part of 2007, in the southwest part of Keonggi-do 4 women disappeared in a row, and in Jeju-do an lementary student were kidnapped and found dead near her home, both of which were committed by men in the neighborhood. Those kind of cases could raise the public blame to defects of police's first response and unconscientious investigation, and actually they did. In the end of 2007, Hye-jin and Ye-seul, tw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yang, disappeared and were found as dismembered bodies. Although the murderer was arrested, the police were blamed again for the defective investigation and people who terrified by the fear of crime stated to demand social security networks such as CCTV strongly. In that situation, the police have made every possible effort to fight the serious crimes that target children and women. Due to these efforts have led to some epochmaking countermeasures and improvement in dealing with missing case in police. Missing case task force teams were established and now being operated nationwide. Missing reports related children and women have been proceeded right away without according to the procedures. Children Protection Houses to provide shelter to children have been established and a lot of additional CCTVs have been installed around playgrounds. However, the problems that needs more reform and improvement still remain. This thesis aims to assess the current countermeasures to handle missing cases, and then draw improvement and alternatives for them. In this thesis, therefore I, as a police field officer, overlooked the statistics tendency of today's missing cases and examined current countermeasure such as taking over report, verifying investigation, computer search, field search etc. And I also assessed the current Children Protection Houses, Kid Protection House, Missing Case Task Force Team and suggested the new investigation process and missing case operation. The Problem on dealing with missing case is the inadequacy of relevant law & regulations, the dual system of missing taskforce team, the shortage of human source in missing investigation taskforce team, the imperfection of mutual network among organizations in charge of missing case, the lack of eduction and publicity, the lack of missing person confirmation data, the shortage of professional missing detectives, the lack of opportunity to family participate in, the disallowance of checking mobile phone location information, the unattainableness of data confirmation in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equipment , the difficulty of CCTV utilization, the insufficiency of data search system on ex-convict etc. Improvement strategies is the betterment of relevant law & regulations, the establishment of missing taskforce team, the supplement of human source in missing investigation taskforce team, the building of mutual network among relevant organization, the strengthening of eduction and publicity, the foundation of child identification database bank,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missing detectives, the expansion of opportunity to family participate in, the system reformation of checking mobile phone location information, the obligation of data storage in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equipment, the extensive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in quality of CCTV, the development of data search program on ex-convict etc. 경찰에 신고되는 실종사건이 한 해에 약 6만여 건에 이르고 있는 가운데 1991년 초등학생 5명이 실종되어 온 국민의 가슴을 애타게 만들었던 개구리 소년의 유골이 10여년이 지난 2002년에 발견되어 아쉬움을 주었던 사건이 있었다. 그 후에도 최근 해마다 많은 아동과 부녀자등이 실종되고 있으며 소재가 확인되지 않거나 살해되어 시신으로 발견된 실종사건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사회적 약자로 사회로부터 보호 받아야 할 아동과 여성 등이 사회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실종되어 범죄 피해를 당하게 되면 사회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다. 이런 가운데 2007년 초 경기도 서남부 지역에서 부녀자 4명이 연이어 실종되고 제주도에서 초등학생이 실종되었다가 집 부근에서 살해되어 시신으로 발견되는데 범인은 성범죄 전과가 있는 이웃 남자라는 것이 밝혀지게 되어 각종 실종 사건에 있어 경찰의 초동조치 미흡과 부실수사라는 비난을 받게 된다. 2007년 말에는 안양 초등생 혜진?예슬양이 실종되었다가 얼마 후 토막시신으로 발견되고 범인은 검거 되었으나 역시 부실수사라는 비난을 면치 못하였으며 아동 부녀자들의 귀가길이 불안하다며 CCTV 설치 등 사회 안전망을 필요로 하는 국민들의 요구가 봇물처럼 쏟아졌다. 이에 경찰은 실종사건과 아동?부녀자 대상 강력범죄에 대해 여러 가지 대책을 내놓으며 특단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실종사건 전담수사팀을 편성?운영하고 아동?부녀자의 실종사건 신고 접수 시에는 합동심의위원회 절차 없이 즉시 수사에 착수 하였으며 실종사건 예방을 위해 아동안전지킴이집을 운영하고 어린이놀이터 등에 CCTV를 설치하는 등 획기적인 대책 수립과 개선에 나섰다. 이로 인해 실종사건 처리와 수사 등 대응체계에 많은 변화와 발전을 가져 온 것이 사실이나 좀 더 보완하고 개선하여야할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는 최근에 발생하는 실종사건의 현황과 실태에 대해서 파악하는 한편 실종사건 대처 방법으로 신고 접수에서부터 사실 확인 조사, 전산 입력?수배, 수사절차 등에 대해 알아보고 최근에 시행하고 있는 아동안전지킴이집, 아동안전지킴이, 실종사건 전담수사팀 운영, 새로운 수사절차 과정 등 실종사건 대처 방법에 대해 분석?진단하여 현재의 실종사건 대응체계에서 보완?개선하여야 할 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 등 대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경찰은 2008년 3월에 실종사건 예방과 수사 대책이 포함된 아동?부녀자 실종사건 종합치안 대책을 발표하고 보다 체계적으로 실종사건에 대처해 나가게 되는데 실종사건을 담당하는 실무자의 한 사람으로서 현장에서의 실무 경험을 토대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종사건 대처방법의 문제점으로는 관련 법규의 미비, 실종 전담기관의 이원화, 실종사건 전담수사팀의 인력 부족, 실종 담당기관 상호 전산망 구축 미비, 교육과 홍보의 부족, 실종자 관련 대조자료의 부족, 전문수사관 부족, 가족의 참여기회 부족, 휴대폰 위치정보 확인 불가, 교통정보수집장치의 자료 확인 불가, CCTV 활용의 어려움, 전과자 등 자료검색시스템 미흡 등이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관련 법규의 정비, 실종 전담기관 설치, 실종사건 전담수사팀의 인력 충원, 관련 기관 상호 전산망 구축, 교육과 홍보의 강화, 아동등 신원확인자료은행 설치, 전문수사관 양성, 가족 참여기회 확대, 휴대폰 위치정보 확인 제도 개선, 교통정보수집장치의 자료보관 의무화, CCTV 확대 설치 및 품질 개선, 전과자 등 자료검색프로그램개발 등이다.

      • 공공갈등해결에 관한 담론연구 : 국방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김병록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thesis begins by asking the solution with regard to national defense conflicts. To seek the solution, the author applied case studies in the construction of Jeju Naval Base and the relocation of Gwangju Air Bas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depth interview, and discourse analysis.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uthor illuminates the corelation of discourse dynamics and its effect on conflict resolutions. Second, the author presents methods of promoting discourse dynamics. Finally, the author develops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In addition, this thesis tries to implicate the differentiation from previous studies in discourse dynamics and its effect. As a result of discourse analysis on the two conflicts in naval and air bases, researcher finds four methods to promote dynamics of discourse. First, the partial revision of the law for the military noise compensation is necessary. Second, the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method should be actively adopted. Third, strategic approaches and persuasions of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are essential in order to form a harmony and agreement. Fourth, it is critical to produce professional conflict coordinators and establish the education system for the conflict management. Through the discourse investigation on the two cases in national defense conflicts, theoretical implications summarize in three points. First, if the dynamics of discourse is active, the level of conflict resolution is high. Second, if the dynamics of discourse is inactive, the level of conflict resolution is low. Third, we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conflict resolutions, through the effective alternatives which strengthen dynamics of discourse. With the discourse study in four major issues, the author concludes four policy implications. First, establishment for supporting law toward surrounding military facilities should be promoted. Second, the development as well as institutionalization of the ADR 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is pivotal from the administration perspective. Third, We should enlarge the system of conflict management coordinators and operate the conflict management teams, reflecting in the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Fourth,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d spread the culture of ‘win-win’ as well as ‘participation and discussion’. In conclusion, the author anticipates that the ROK people can live together by reducing economic polarization gap. Moreover, the Republic of Korea could neutralize the dishonor of “the Republic of Conflicts” and might reduce the cost of spiritual, societal, and economical conflicts. 공공갈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국방갈등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주민 간 갈등이 심각하게 발생하여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가 많고, 그것으로 인해서 오랜 기간 동안 정신적·사회적·경제적 피해를 겪게 된다. 그래서 국방갈등에 대한 해결방법을 모색하고자 본 논문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1998년부터 2020년까지 22년 동안의 국방갈등 33개 가운데 ① 대표성, ② 가치성, ③ 다양성의 요소를 충족하고 갈등사례 선정기준의 측정지표를 활용한다. 갈등이 현존하고 있는 ‘제주해군기지 건설’과 ‘광주 군 공항 이전’ 사례를 선정하여 사례연구, 심층면접, 담론분석을 시행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방갈등 사례를 통하여 담론의 역동성과 갈등해결의 상관관계를 규명한다. 지금까지 주목하지 않았던 담론의 역동성과 갈등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둘째, 국방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담론의 역동성 제고방안을 모색한다. 갈등현장의 주요 쟁점에 대한 지배·대항담론들이 이야기하는 입장과 명분을 담론분석적 접근을 통해 담론의 역동성을 증가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갈등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셋째, 연구사례의 담론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담론의 역동성과 갈등해결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이론적 함의로 발전하고, 담론의 역동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정책적인 함의를 제언한다. 국방갈등과 관련한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경향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사례연구에 대해서 문헌연구를 토대로 단일한 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례연구에 대한 담론분석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심층면접을 병행하였다. 지금까지 연구들이 담론의 역동성을 탐색하고, 담론의 역동성이 갈등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이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데 주목하지 못했다. 그래서 연구자는 담론분석을 통해서 담론의 역동성과 갈등해결의 상관관계를 조명하고, 담론의 역동성 제고방안을 제시하며, 이론적·정책적 함의로 발전하여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주요 쟁점은 제주해군기지 건설과 관련하여〈쟁점 1〉 ‘주민참여 보장’과 〈쟁점 2〉 ‘해군기지 건설 찬성과 반대의 당위성’, 광주 군 공항 이전에서는 〈쟁점 1〉 ‘소음피해 보상’과 〈쟁점 2〉 ‘공항 이전 찬성과 반대의 논거’로 설정하였다. 사례연구에 대한 담론분석 결과, 연구의 발견점으로 담론의 역동성 제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소음보상법」의 부분개정이다. 둘째, 참여적 의사결정방법의 적극적인 활용이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주민의 설득과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넷째, 갈등전문가 육성 및 활용을 위해 갈등조정사 양성과 갈등교육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제주해군기지 건설 등 2가지 사례에 대한 연구결과,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론의 역동성이 동태적이면 갈등해결 수준이 높다. 둘째, 담론의 역동성이 정태적이면 갈등해결 수준이 낮다. 셋째, 담론의 역동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갈등해결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광주 군 공항 이전 ‘소음피해 보상’ 등 4가지 쟁점에 대한 담론분석 결과,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법적 측면으로 ‘군사시설 주변지역 지원법’의 입법화가 필요하다. 법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각계 각층의 공동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관리적 관점에서 ADR을 우리 사회에 적합하게 발전하며, 한국적 토양에 정착하여 뿌리를 내리는 대책을 강구한다. 셋째, 교육적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별로 조례에 반영하여 갈등관리조정관 제도를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갈등관리조정팀을 운영한다. 넷째,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합의 형성을 위한 승-승(win-win)의 문화를 정착하고, 참여와 토론 문화를 확산한다. 그래서 ‘대한민국은 갈등공화국’이라는 불명예를 불식하고, 정신적·사회적·경제적 갈등비용을 절감하며, 양극화의 간격이 줄어들어 우리 모두가 잘 살 수 있는 대한민국이 되기를 기대한다.

      • GPS 측량을 이용한 정밀 지상기준점측량 및 DB 구축

        김병록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various thematic maps and image maps using aerial photograph and satellite imagery are frequently produced. The geo-referencing is essential to make image map and topographic map using aerial photograph and satellite imagery. For this geo-referencing, Ground Control Points(GCP) are essential. GCP is a point that we know both image and photo coordinate. It can be transformed between image and photo coordinate system according to a mathematical models. In this thesis, the precise GCP surveying has been performed by using GPS which is convenient and accurate. The method of triangulation network building and baseline analysis was proposed by using relative positioning for the accuracy of GCPs.General steps for geo-referencing using GCPs take a lot of time and the result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by whom the GCPs are selected. This study takes the approach of building GCP database. If once has been built, it gives convenience and cost reduction to users who need geo-referencing. The image chip has been suggested to build GCP database efficiently.GCP surveying for test area was carried out and the accuracy of 10 cm level was achieved. Using that result, the database of GCP image chip has been built with aerial photograph, KOMPSAT, SPOT and LANDSAT satellite imagery. The application of GCP database has been studied and the system for using this database was made through internet. Finally, the experiment in bundle adjustment has conducted both by using digital maps and using GCP database to acquire the photo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ground coordinates of GCPs. Both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GCP database was confirmed. 최근에 항공사진 및 위성영상을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주제도 제작 및 영상지도의 제작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항공사진 및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영상지도 및 지형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영상의 기하학적인 모델링을 수행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상기준점은 필수적이다. 지상기준점은 한 지점의 영상좌표와 지상좌표를 모두 알고 있는 점으로 영상좌표계와 지상좌표계의 관계식에 따라 상호간의 변환이 가능한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 편리성과 정확성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는 GPS 측량기법을 이용하여 정밀 지상기준점을 측량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지상기준점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가기준점을 이용한 삼각망의 구축과 상대위치관측법을 이용한 기선해석 등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지상기준점을 이용하여 기하보정을 실시하는 과정은 기하보정 작업마다 실시해야하는 번거로운 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상기준점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기하보정을 실시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편리하며 비용을 단축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효과적인 지상기준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영상칩 형태의 지상기준점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실험지역에 대한 지상기준점 측량을 실시하여 cm단위의 오차를 가진 지상기준점을 측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항공사진, KOMPSAT, SPOT, LANDSAT 위성영상에 대하여 영상칩 형태의 지상기준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구축된 지상기준점 데이터베이스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여 지상기준점을 인터넷을 통하여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웹페이지 형식의 제공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지역의 항공사진에 대하여 지상기준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한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광속조정을 실시하여 수치지형도로부터 취득한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광속조정과의 비교를 통하여 그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