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스 이미지를 응용한 도자조형 연구

        김민희 경일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63

        현대인들은 인간의 가장 본질적인 감정표현에 메말라있다. 감정은 인간이 태어나면서 환경 속에서 형성되어지고 상황에 따라 몸과 마음의 상태에 발생하는 반응이 곧 감정이다.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면서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경험하고 느끼는 내적 심리 변화들의 감정은 우리에게 살아가고 있다는 존재의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런 심리변화에 대한 감정 표현은 대상에 대한 매우 적절한 행동법칙으로 표출되며 자신을 알릴 수 있는 신호가 되기도 한다. 감정에 대한 반응은 좋다 나쁘다의 단순한 느낌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서 체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이 개인적 느낌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사회생활에서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나’라는 존재에서의 의식과 가치를 일깨워 줄 수 있는 계기가 된다. 감정표현에 대한 이해는 자신의 감정을 세밀하고 정밀하게 표현하고,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 볼 수 있는 내적인 힘을 키울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감정표현에 메말라 있는 현대인들에게 감정이라는 의식과 가치를 일깨우기 위해 유년시절의 기억을 떠올리는 소재를 찾아 다양한 조형적 표현을 연구한다는 것으로 의미가 있는 일이다. 유년시절을 추억하는 일은 바쁜 일상 속에서 잃어버렸던 나의 존재를 재확인하는 기회가 된다. 정신적 고독과 불안 소외와 상실 고뇌와 갈등을 겪는 현대인들에게 그 시절 내 주변 인물들과의 정감을 다시 느껴보게 해 준다. 이것은 과거의 즐거웠던 기억을 떠올리며 그 기억의 세계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심리를 나타낸다. 표면상 쉽게 보여 지는 기쁨, 슬픔, 분노의 감정들에서만이 아닌 유년시절의 기억이 느껴지는 내면 심리를 박스를 이용해 복잡한 인간들의 심적 변화의 감정들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박스는 보편적으로 작은 책상 서랍, 혹은 선물 받은 박스이거나 소포용 박스 같은 것들이다. 이것은 기억의 저장고가 되어준다. 이런 작은 물건을 담는 박스가 추억을 아름답게 포장해 주는 보관함이 되는 것과 더불이 시간이 흐르고 나면 그 작은 물건에 얽힌 기억까지도 담아주는 매개물이된다. 그리고 박스는 사람이 살면서 물건을 보관하는 모든 곳이 담을 수 있는 그릇과도 같고 건축물 의미의 공간 역시도 사람이 들어가 휴식하고 안주하는 넓은 의미의 박스로 포함된다. 이처럼 포괄적이고 폭넓게 해석할 수 있는 박스는 그만큼 우리의 삶에 보편적인 일상의 도구로 자리해왔고 다양한 공간에서 여러 용도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박스를 통해 우리는 박스라는 물질자체를 두고 상상의 통로로 그 역할의 범위를 넓힐 수가 있을 것이다. 칸트(Immanuel, Kant)는 물질의 상상력을 예술행위를 위한 적극적인 단계로 강조함으로써 후대의 창조적 상상력의 길을 열어 주었다. 또한 박스는 보는 이의 경험과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상징의 의미도 있다. 상징의 의미는 어떠한 현상이 그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별적이고, 특수한 성질을 초월해 전체적이고 보편적인 의미를 가지는 경우를 말하는 데 특정한 이미지가 그 본래의 의미를 넘어서서 다른 표상적 의미를 획득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욕망의 상징으로 표현되는 신화에 나오는 판도라의 상자는 인간 세상에서 내려오는 판도라가 신으로부터 받게 된 상자이며 절대 열어서는 안 되는 조건이 달려지게 된다. 판도라가 욕망의 대상으로 바라보았던 것은 신이 명령한 열어서는 안 되는 금기의 영역을 부여받았기 때문이며 닫혀진 상자 안의 것을 볼 수 없는 설정이 판도라로 하여금 열어 보고자 하는 욕구를 충동질하게 한 것이다. 박스는 또한 화려한 겉 포장 뒤에 가려진 가식, 위장, 술수, 거짓으로 나타난다. 조각가 임충섭은 2005년 5.19∼6.18알 서울 로댕 갤러리에서 전시한 “임충섭- 빛의 건축”전에서 전시 공간 한쪽에 마련된 자신의 드로잉 전시실에서 이렇게 적고 있다. “Box...그리고 엄청나게, 더럽고, 곱고, 엄청나게, 보잘 것 없고, 작은..사람행위를 아주 화려한 옷(Box)에 contract 시켜봄” 이것은 우리가 흔히 물건이나 사람을 볼 때 그 내면이나 진실보다는 표면에 느껴 인상으로 쉽게 판단하므로 표면적 대상이 화려하고 꾸며져 있을 수록 현혹되기 쉽고 본질을 알아채기가 어려워 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자는 이러한 속임을 이용해 사람의 행위 또한 얼마나 가식과 위선, 선입견으로 잘 포장 될 수 있는지를 느끼게 해준다. 가령 우리가 소포상자를 선물로 받았을 때 포장된 상자의 겉모습만으로 쉽게 판단하면서 열어보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보여지는 대상은 인간의 의식 작용에 진실을 가릴 수 있는 최초의 피사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거대화된 도시로 개인주의가 발달하고 생명의 경시, 인간성 상실, 무너지는 도덕 윤리, 전쟁의 공포 속에서 메말라가는 현대인들에게 유년시절의 회상이 현대인들에게 감정이라는 의식과 가치를 일깨우기 위해 다양한 조형적 표혐을 연구한다는 것은 의미가 있는 일이다. 박스는 형태상 무엇인가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 존재를 잘 보관 할 수 있다. 곧 개인의 생각과 감정, 상상을 담을 수 있는 틀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현대인의 불안한 정서를 유년시절의 회상을 통해 본인의 정신적 공간, 마음의 공간에 넣어둔다는 의미로 상자를 도입시켰다. 현대미술은 예술가 자신의 자아를 실현하는 주체적 예술로서, 인간에게 있어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본인 스스로의 존재감을 느끼고 그 존재감으로 인한 자아발견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미술작품의 탄생과정에서 보여지는 내면세계의 표현은 여러 창조적인 모습으로 표출된다. 본인의 조형작업은 현대미술에서 미니멀 아트, 키네틱아트, 추상표현주의적 성향으로 간주될수 있다. 미니멀 아트는 최소한의 것으로 축소된 예술의 형태를 가지면서 그 안에 내제된 의미는 ‘예술을 위한 예술’ 즉 순수표현주의의 표명이라는 큰 의미를 갖는다. 미니멀 아트의 공통된 조형적 특징은 단순성, 명료성, 반복성으로 분석되고 있다.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를 사용했으며 이미지와 조형요소를 최소화하여 기본적인 구조로 환원시키고 있다. 따라서 감상자로 하여금 형태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으며 부분이 아닌 전체를 강조한다. 그리고 원형이나 정육면체 등의 단일 입방체의 사용과 같은 규격의 크기 단색의 사용 등으로 단순함을 추구한다. 키네틱아트는 움직임을 의미하는 kinesis(=movement) 와 kinetic(=mobil)이라는 그리스어에 그 어원을 두고 있다. 움직임을 본질로 하는 미술을 지칭한다. 작품 그 자체가 움직이거나 움직이는 부분을 넣은 예술작품 단순히 작품속에 움직임을 표현하거나 시각적 변화(오프 아트)를 나타내려고 하는 것과는 다르다. 키네틱아트의 등장을 가능케 한 20세기 초기의 시대적 상황을 살펴오면 우선 산업혁명 이후의 기계회를 들 수 있다. 금세기 초 미래주의 구성주의 바우하우스운동은 예술에 있어 기계를 미학적 요소로 수용하였고 다다와 초현실주의는 당신의 시대적 상황에 대한 문명의 비판의 은유적 방법으로써 기계를 도입했는데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미래주의자들은 움직임 의미를 찬양했고 조화, 비례, 통일의 전통적인 미의 형식을 타파하고 현대의 특징인 속력 기계의 다이나미즘과 소음, 소란을 현대의 징표로 생각하고 분석적 큐비즘을 도입하여 대상을 해체하였는데 큐비즘에서처럼 정적인 것이 아닌 동적인 감각의 표출을 통해 역동성을 강조한 것이 구성주의와 함께 키네틱아트를 태동시킨 계기가 되었다. 최초의 작품으로 M. 뒤샹이 1913년에 자전거 바퀴를 사용하여 제작한 <모빌>이라는 조각과 A.콜더의 일군의 모빌, J.탱글리의 기계조각등이 유명한 작품이다. 추상표현주의는 도자 예술에 있어 작가의 개성적인 표현을 통해 자유롭고 창의적인 작업으로 작가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며 보는 이의 미적 관념을 통하여 자유롭게 보고 느낄 수 있게 하였다. 추상표현주의는 2차 대전 후에 유럽의 알베르토과 드 쿠부리, 타피에, 데스타엘이 중심이 된 앵포르멜 운동과 미국의 뉴욕 화단을 중심으로 하는 로드코 코틀리에브가 주축이 된 색면을 중시한 명상적 전개, 그리고 폴록이 주축이 된 행동적 전개로서 액션페인팅을 총괄하여 부르는 명칭이다. 추상표현주의가 제시한 개념과 미학을 점토의 표현매체를 통해 실현시키고자 노력한 결과, 추상표현주의 도자 경향과 구성주의적인 경향의 도자조각이 탄생되었고 그러한 상황에서 점토에 내재된 가능성을 부각시켰다. 추상표현주의 도자란 미국회화의 미학적인 개념을 도자로 표현했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미국적인 여건과 도자계의 상황에서 이러한 전환점은 새로운 도자의 전통을 수립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점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고 도자예술의 개념과 제작방법들을 탐구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점토혁명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 도자계는 현대예술의 맥락 속에서 급속도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추상표현주의 도자, 구성주의와 미니멀리즘 도자조각, 핑크도자, 슈퍼오브제, 극 사실주의도자, 프로세스 예술과 설치 작업을 통한 전위적인 개념화 새로운 의미의 조각적인 용기나 혹은 장식적인 용기들의 양식을 거치면서 오늘날의 오자 예술은 분류하기 힘들 정도로 다양한 양식과 개념, 그리고 제작방법들로 전개되고 있다. 이는 현대예술의 경향과 맥을 같이하는 움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현대 도자 예술은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 추상표현주의 회화의 영향을 받아 흙의 질감과 색채, 형태 등의 특성과 더불어 제작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에 창조적 의미를 부여하는 새로운 도자 예술로 발전하고 있다. 탈장르, 탈공예라는 세계적 흐름 속에 도예의 다양한 형식 및 과감한 표현방법, 색채 표현을 통해 흙의 가능성을 찾음으로서 작가 내면의 사고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감정에 대한 개념과 표현의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인간의 감정표현에서 보여주는 모습들을 유년시절 동경하던 이미지들을 형상화하였으며, 여러 상황속에서 비쳐지는 심리 상태의 감정이 시각적인 효과를 바랄 수 있는 색채와 더불어 박스 이미지로 표현하는 조형적인 접근을 통해 객관적인 형상으로 나타내려고 했다. 박스라는 것은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두고자한 것은 지난 시간의 기억의 상자요 이야기라는 상장의 의미를 상징하고 이를 표현하기 위하여 보잡한 조형 형태를 배제하고 외형적으로 단순화함으로써 보여지는 상자의 형태 즉 딱딱하고 건조한 감정을 사각이라는 박스로 형상화 되었다. 그리고 이를 구체화 하기 위해서 유년시절의 기억을 상징하는 구름, 비행기, 별을 표현함으로써 이야기의 소재로 이용하였다. 또한 표현의 다양성을 위하여 철사와 나무를 이미지의 매체로 사용하였다. 소지는 자유로운 조형성을 구사하기 위하여 건조와 소성에 강하며 수축률이 적은 내화용 조합토를 사용하였고 다른 소지에 비해 백색도가 양호한 실크소지와 용도에 맞게 수퍼화이트를 병용하였다. 그리고 표면장식을 위하여 고려도토에 색 안료를 첨가하여 색 미장토를 만들어 페인팅 하였다. 성형방법은 정확한 표현과 반복성형이 가능한 석고형을 사용하여 이장주비(slip casting)성형과 함께 일정한 사각 도판의 형태로 판 작업을 주로 하였다. 상자는 흑유를 분부 시유하였고 필요에 따라 붓으로 칠을 했으며 소성은 전기 가마를 사용하였다. 1차 소성은 태토의 강도와 흡수성을 증대시켜서 시유를 편리하게 하고 제품의 파손 방지를 목적으로 행하는 것으로 980℃로 소성 하였다. 작품의 성격에 미루어 볼 때 유약의 광택이 작품의 조형적 효과와 실루엣을 반감시키므로 시유하지 않은 상태로 1200℃이상의 고화도 소성이후 사포로 표면을 정리한 후 먼지를 제거하였다. 선명한 발색의 효과를 위해 980℃의 저화도 유약을 이용해 3차 소성을 하여 다양한 색채효과를 모색하였다. 작품 [Mind Map I∼II]은 내 마음속의 지도를 그리며 찾아가는 스토리박스이다. 기하학적인 문양을 이용 하였으며 상자 형태는 단순하게 표현해 주었다. 기하학적인 패턴의 나열은 지도를 그려가며 어린 시절의 기억을 되짚어 본다는 여러 가지 표현이다. 상자의 부서짐은 자아의 감정이 내면에서 뿐만 아니라 외부로도 표출된다는 상징이다. 작품 [A Hazy Memory]은 어린시절 내가 기억하던 구름, 새, 새집, 자동차, 비행기, 별..... 둥 이 모든 기억들이 흐릿한 기억의 스토리박스이다. 모호하고 흐릿한 기억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헌하기 위해 열 개의 박스 안에 착시의 조형원리를 적용하려 하였다. 착시는 의도적으로 시점이나 윤곽을 변형하여 시지각상(視脂角狀)의 모순을 야기 시키는 표현으로 우리에게 새로운 시각경험의 장을 넓혀주고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시각전달 방법의 하나로서 효과적인 이해와 설득을 가능하게 하고자 표현하였다. 작품 [Memorise 1982]는 박스 이미지는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된다. 그 중 하나인 프레임 형태를 빌려 어린 시절 내가심은 감정의 작은 프레임을 표현하였다. 그 프레임 안에는 유년시절 내가 심었던 이미지-새, 새집, 구름, 별, 비행기, 자동차를 형상화하기 위하여 철사를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작품 [Childhood]는 유년시절 타고 즐기는 나무로 만든 장난감 목마와 어릴 적 가지고 놀던 오르골 박스를 표현하였다. 오르골이란 길이가 다른 금속판을 음계순으로 달고, 이에 접하여 가시와 같은 바늘이 촘촘히 붙은 원봉을 부착해서 태엽의 힘으로 원통을 돌이면 바늘이 금속판을 튕겨서 소리를 내도록 장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런 오르골 형태로 목마를 형상화 하였다. 그리고 작품 그 자체가 움직이거나 움직이는 부분을 넣은 키네틱아트를 도입하였다. 박스는 다른 사물에 비하여 형태상 무엇인가 담을 수 있는 공간이다. 또한 박스 속에 무엇인가가 담겨있을 거라는 기대심리를 가지게 하며 박스가 가지는 포장의 기능은 내부를 볼 수 없도록 하여 상상력과 궁금증을 유도한다. 그리고 박스 안에 물건을 넣는다는 것은 그것에 담긴 의미도 함께 채워진다는 것을 말한다. 박스의 이러한 공간적 특징들은 박스가 물건 뿐 아니라 개인의 생각과 감정, 상상을 담을 수 있는 틀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물건을 담고 보관하는 일차적인 기능을 가진 ‘박스’를 통해 과거뿐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연상하고 상상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해석 통로를 제시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작품에서는 작품의 주제와 소재라 할 수 있는 관찰 대상을 메말라 있는 감정의 내면세계를 초점에 맞추어 이에 대한 표현을 오브제를 도입시켜 나타내었으며 오브제 도입은 사물이 갖는 일상적인 의미에서 유년시절의 기억 속에서 현대인들이 잊고 살아가는 감정에 대한 본인의 심리를 주관적으로 해석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자연의 모태인 흙을 통하여 각 단계의 가치들을 형상화시킴으로서 빠르게 변화해 가는 현대 사회 속에서 잊고 살았던 감정을 다시 한 번 살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 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인간 내면의 모습과 진정한 자아를 찾기 위한 삶의 과정을 이해 할 수 있었고 더 나아가 본인만의 표현방식을 통한 진지한 자아의 성찰된 모습을 본인의 발전적인 작품세계로 계속 이끌어 나가고자 한다.

      • 일본어교육에서 Blended Learning 도입에 대한 고찰

        김민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COVID-19(이하 코로나19로 표기함)로 인해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교육의 판도가 변화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로 인해 비대면 수업의 비율이 높아지고 원격 형 수업, 동영상 수업 등 수업의 형태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학습자들은 다양한 교육 및 학습방법이 필요하고, 일본어 교육 현장 또한 변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흐름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수업과 대면수업을 혼합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혼합하다 + E-러닝)을 이용한 수업방법을 분석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블렌디드 러닝을 대학 내 일본어교육에 적용하여 수업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기 시작한 것은 최근 1,2년에 지나지 않아 선행연구 수 역시 적은 편에 속함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 에서는 교수자의 입장에서 기술한 논문이 대부분이었으며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는 방법, 교수법과 교실활동 운영 등에 관한 내용에 대해서는 미흡한 부분이 많았다. 본 연구는 S대학교의 일본어일본문화학전공 재학생 총 101명 중, 응답자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1-4학년 재학생으로, 일본어 전공교과목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블렌디드 러닝의 장단점 등이었으며 둘째, 블렌디드 러닝의 일본어 교육 도입 방법 등, 온라인 콘텐츠의 학습동기 유발에 활용 가능성 등 온라인 사전학습과 오프라인 학습의 연계성을 확보 하는 것이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위한 중요한 요인임을 알았다.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다 보면 학습 환경으로 인한 학습 저해 요인 등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역할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하여 학력미달 및 학습수준의 저하가 도래하고 있다. 더욱더 일본어교육에 블렌디드 러닝의 효율적 도입을 위해 블렌디드 러닝의 장단점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의 활용 방식에 대한 홍보와 세미나 및 워크숍 등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어교육에 접목한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성을 분석해보고 이를 보완하는 분석과,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를 검증하는 점은 향후의과제로 남기기로 한다.

      • 공립 유치원 교사의 수업컨설팅 이야기

        김민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공립 유치원 교사들이 수업컨설팅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러한 경험을 통해 이루어가는 변화는 무엇인지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수업 컨설팅에 대한 경험은 어떠하며 그 과정을 통해 이루어가는 변화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충청북도 C시의 2014년 수업컨설팅에 참여한 공립 유치원 교사 10명이다. 본 연구는 2014년 6월부터 10월까지 5개월간 실시하였다. 공립 유치원 교사의 수업컨설팅 경험에 대한 이해를 위해 연구참여 교사 개별적으로 3회씩 총 몇 30회 면담을 진행하였다. 더불어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수업컨설팅에 대한 경험과 생각을 총 2회의 이야기 쓰기를 통해 수집 하였고 이야기 쓰기 자료는 면담자료의 이해를 돕는데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방법은 자료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자료가 내포하고 있는 내용을 함축하고 있는 범주를 찾아내는 개방적 코딩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수집된 자료에 기초해서 자료 속에 함축된 의미에 맞는 주제나 용어를 찾아내었고, 유아교육전문가 1인이 분석내용과 해석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수업컨설팅을 통해 수업의 지식과 기술적인 측면에서 균형을 잡아간다.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수업컨설팅 참여 초기에는 외부적인 측면만을 고려하여 수업을 계획하였으나 수업컨설팅 과정을 통해 점차 교사, 유아, 환경을 고루 반영하여 교육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또한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던 교사들은 점차 이론이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통해 실제에 적용되는 것을 경험한다. 더불어 수업 실행시 계획과 실행에 융통성을 발휘하며 유아의 반응, 수업 상황 등을 고려한다. 둘째,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수업컨설팅을 통해 끊임없이 도전하는 수업태도를 가진다.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수업컨설팅 참여 초기에는 컨설턴트에게 공개되는 수업에 어려움을 보이고 의뢰문제 해결에서 수동적으로 임한다. 그러나 수업컨설팅 과정에서 반복되는 수업공개를 통해 자신의 수업에 자신감을 가지며 자신의 수업을 객관적으로 바라본다. 또한 교사는 자신의 수업에 대해 반성적으로 평가하며 수업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적극적으로 해결한다. 또한 수업 과정 중에 좋은 수업을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보인다. 셋째,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컨설턴트와의 관계 속에서 수업 전문성 향상을 경험한다.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컨설턴트의 의뢰문제와 관련된 전문적 조언과 수평적인 태도에서 수업 공개의 부담감을 해소한다. 교사들은 컨설턴트로 전문성을 갖추면서 공감이 가능한 수석교사를 선호하며, 수업컨설팅 종료 후에도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기를 바란다. 또한 교사들은 경력에 따라 컨설턴트가 다양한 수업컨설팅을 적용해 주는 것을 선호한다.

      • 덴마크 칼스버그 개발 지구의 블록형 공동주택 건축계획 특성 연구

        김민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rchitecture is a physical object that projects the existence of historical time and space. Korea has been supplied large amount of buildings since the 1970s, and now aged buildings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30 years after completion. Korea's common building method for old buildings is to be rebuilt after demolition, which not only deteriorates the environment but also erases the traces of the history of buildings. We need to look at the act of building regeneration as an alternative to this method. Denmark,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is paper, promoted a development plan to make Copenhagen, the capital city devastated by many wars, a good city to live again. Several policies and plans were implemented in this development process to preserve the history and environment. Denmark is a country that values the history and environment of buildings, and has been striving to preserve them, and one of the ways is architectural regeneration. As countries that have experienced urban problems before Korea,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lans and examples they are implementing so that they can be applied to Korea's urban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pl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plan to preserve the historicity of the region and respond to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city and residential space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Therefore, the Carlsberg Byen development project is reviewed and the analysis is conducted focusing on housing in the district, and through this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plan and spatial structure are identified. Furthermore, it is intended to present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architectural regeneration in Korea, and to understand implications for plan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respect history architecturally.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In chapter 2, a theoretical review of the development policies of the Copenhagen City and Carlsberg districts was conducted, as well as a review of the projects conducted in the Carlsberg district. In chapter 3, a review of planned apartments in the Carlsberg district was conducted, and in-depth considerations were conducted on the outline, background, planner, and plans of layout, unit plan, elevation of Theodora Hus, Brygmester Hus, Scherfig Hus, Krøyer Hus, selected for each area. Chapter 4 analyzed the layout, maintenance layout, unit plan, and elev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obtained drawings and literature data, and objective space syntax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unit plan through J-graph and VGA. In chapter 5,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analysis conducted earlier.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deriv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partment houses in the Carlsberg district, which are divided into four zon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building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re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area and appear differently in the shape of the building. Theodora and Brygmester House in the II and III districts of the central part, where there are many preserved historical buildings, appear in the form of 'ㄷ+ ㅣ', and Scherfig and Krøyer houses in the IV district in the northern part facing the Humleby region appear in a terraced form. Second, the block-type apartment house in the Carlsberg district is composed of core-intensive mainten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in composition of the four apartment houses to be analyzed,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ore-intensive maintenance will combine into a row to form a block-type building, and through this, the main composition of the block-type apartment in the Carlsberg district will show common characteristics. Third, apartments in the Carlsberg district consist of various types of unit plans. It is mainly composed of flat-type and Duplex-type apartment type unit plans, but additional townhouse-type unit planes may appear. There are also various ways of entering these planes and types of living rooms. Fourth, it maintained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that best demonstrated Carlsberg's historicality as much as possible. Efforts were made to respect, preserve, and modernize the historicity of the Carlsberg district by constructing a elevation or preserving the elevation of the old building as much as possible using brick decorations used in the Carlsberg district's buildings in the past. As discussed above, the development of the Carlsberg district can be said to be a project to respect historicity, preserve the environment, and transform it into a modern city. It can be said that plans such as unit plans, maintenance, and arrangement were carried out to preserve externally revealed elevation or maintain a historical atmospher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ast buildings, while providing residents with a diverse and pleasant living environment. As an example, it is hoped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plan of the modern district and apartment houses while preserving the history and environmen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on successful cases such as the Carlsberg district, which can present implications for Korea's architectural and urban development plans, will be conducted. 건축물은 역사적 시간과 공간의 존재를 투영하는 물리적인 객체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대량의 건축물이 공급되었고 현재 준공 후 30년이 지나 노후화된 건축물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노후 건축물에 대한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건축 방식은 철거 후 재건축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식은 환경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건축물이 갖는 역사의 흔적을 지운다는 문제점이 있다. 우리는 이러한 방식의 대안으로 건축 재생이라는 행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배경인 덴마크는 많은 전쟁으로 폐허가 된 수도 코펜하겐을 다시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기 위해 개발 계획을 추진하였다. 이 개발 과정에서 역사와 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여러 정책과 계획이 실행되었다. 덴마크는 건축물의 역사와 환경을 중요시하는 나라로, 이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그 방식 중 하나로 건축 재생이 있다. 우리나라보다 먼저 도시 문제를 경험한 국가로서 이들이 행하고 있는 방안과 그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도시개발 및 재생 계획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의 역사성을 보존하고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개발 계획과 거주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도시 및 주거공간에 대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칼스버그 지구 개발 프로젝트의 고찰과 지구 내 공동주택을 중점적으로 분석을 진행하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건축계획 및 공간구조 특성을 파악한다. 나아가 우리나라에 건축 재생의 개념과 방향을 제시하고, 건축적으로 환경을 보호하고 역사를 존중하는 계획에 대한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2장에서는 코펜하겐시와 칼스버그 지구의 개발 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칼스버그 지구 내에 진행된 프로젝트의 고찰을 진행하였다. 3장에서는 칼스버그 지구 내 계획된 공동주택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며 구역별로 선정한 분석대상 Theodora Hus, Brygmester Hus, Scherfig Hus, Krøyer Hus의 개요 및 배경, 설계사, 배치·단위평면·입면 계획 등의 심층적인 고찰을 진행하였다. 4장에서는 확보한 도면 및 문헌 자료를 통한 배치, 주동 구성, 단위평면, 입면 특성의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단위평면에 대해서는 J-graph와 VGA를 통해 객관적인 공간구조분석을 진행하였다. 5장에서는 앞서 진행한 분석을 통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의 용도와 주변 환경에 따라 네 구역으로 나누어진 칼스버그 지구의 구역별 공동주택은 주변의 영향을 받아 건물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보존된 역사적 건물이 많은 중앙부의 제 II, III 구역에 있는 테오도라와 브루마스터 하우스는 ‘ㄷ+ㅣ’의 형태로, 훔레뷔 지역과 맞닿아있는 북부의 제 IV 구역에 있는 셰르피와 크뢰이어 하우스는 계단식의 형태로 나타난다. 둘째, 칼스버그 지구의 블록형 공동주택은 코어집중형 주동이 연립하며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4개의 분석대상 공동주택의 주동 구성을 분석한 결과 모두 코어집중형 주동이 연립형으로 조합하여 블록형 건물을 이루는 특성을 보이며, 이를 통해 칼스버그 지구 내 블록형 공동주택의 주동 구성은 공통된 특성을 보일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셋째, 칼스버그 지구 내 공동주택은 다양한 유형의 단위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주로 Flat형과 Duplex형의 아파트형 단위평면으로 구성되지만, 추가로 타운 하우스형 단위평면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평면의 진입방식이나 거실 유형 또한 다양하게 나타난다. 넷째, 칼스버그의 역사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건축물의 외관을 최대한 유지했다는 것이다. 과거 칼스버그 지구의 건축물에서 사용되었던 벽돌 장식을 활용하여 입면을 구성하거나 옛 건축물의 입면을 최대한 보존하여, 칼스버그 지구의 역사성을 존중 및 보존하며 현대적으로 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칼스버그 지구 개발은 역사성을 존중하고 환경을 보존하며 현대적인 도시로 탈바꿈하고자 진행된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외부적으로 드러나는 입면을 그대로 보존하거나 과거 건축물의 특성을 담아 역사적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거주자들에게 다양하고 쾌적한 거주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단위평면과 주동 및 배치, 외부 도시공간 등의 계획이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나의 사례로써 역사 및 환경을 보존하면서도 현대적으로 개발한 지구 및 공동주택의 건축계획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나아가 우리나라의 건축 및 도시개발 계획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는 칼스버그 지구와 같은 성공적인 사례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오토인코더를 활용한 머시닝센터 설비 이상탐지 알고리즘

        김민희 창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spread of smart factories becomes more active, large amounts of data are pouring out in factories, which are referred to as manufacturing data. Since equipment failures or abnormalities can lead to product defects and shutdowns of production lines, which can lead to huge losses to manufacturers, it is time to develop services using manufacturing data according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velop classification models or abnormal detection models because the number of ‘abnormal’ data is severely insufficient not only at the manufacturing field but also at most fields. In this paper, as a research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e manufacturing field, we proposed an algorithm using CNN based Autoencoder for anomaly detection of Machining Center Tool and analyzed its performance by focusing on the anomaly detection rate. The algorithm included all process of constructing dataset for learning of the model by extracting similar patterns of time series data such as power and vibration from MCT. Also, the algorithm detected anomalies using only normal-state data features of the MCT manufacturing data. 스마트팩토리의 보급이 활발해짐에 따라 공장에서는 설비의 모니터링을 위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고, 그것을 제조 데이터라 지칭한다. 설비의 고장이나 이상은 제품의 불량 및 생산라인의 가동 중단으로 이어져 제조업체의 막대한 손실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제조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제조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이상’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매우 부족하여 분류 모델이나 이상탐지 모델의 개발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조 현장에서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로서 CNN 기반의 오토인코더 모델을 구현하고 Machining Center Tool의 이상을 탐지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모델의 입출력 간 차를 이용하여 이상탐지에 초점을 두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해당 알고리즘은 MCT 제조 데이터의 전력과 진동으로부터 각각의 유사한 패턴을 추출하여 모델의 학습을 위한 데이터셋을 구성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하며, MCT 제조 데이터의 정상 상태 데이터 특징만을 사용하여 비정상을 탐지한다.

      • 七寶공예 技法에 따른 表現效果 硏究

        김민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Development of raw materials and ways of using technique has enabled artists to express their work in many different ways. lt applies to most of craft art, however, for Enamel craft art does not show enough studies on expressing methods and technique, considering long history of it. Throughout wide range of information and experiment, this thesis shows various techniques in crafting Enamel as well as different ways of expressing Enamel craft art, Human started to ware accessories and gems wishing better life and accessories were thought of having supernatural power and kept previously. Worship for accessories and gems became deepened and it resulted in development of Enamel craft art that was supplement for gems. Enamel has very beautiful colors therefore it took major part in women's accessories. Not only as women's accessories, it has also been used to daily suppli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importance of Enamel craft art, as it was developed with our ancestors' spirit and proud. Also to show its beauty and practical use of Enamel craft art.

      • 지하철역 캐노피의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지하철역 캐노피를 대상으로

        김민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도시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로시설물 디자인개선방안에 대한 것으로, 대구시 지하철역 캐노피를 대상으로 전문가 집단의 설문조사를 통해 디자인평가요소를 추출하고, 평가항목의 분석을 통해 디자인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캐노피가 설치되는 위치 인근에 상업빌딩이 인접해있거나 측면이 반폐쇄적인 구조나 재료로 되어있는 경우, 지붕의 형태가 수평형이거나 경사형 단면을 가진 경우에는 평가가 낮게 나타나, 이러한 요소가 캐노피 평가를 낮추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캐노피가 설치되어야 하는 역은 주변의 일정 여유분의 부지와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나, 주변이 너무 개방적인 경우에는 안전성에 대한 평가가 낮게 나타나, 안전성을 고려한 장치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지붕의 형태가 수평형이거나 경사형 단면을 가진 경우에 비해 곡면의 경우가 높은 평가를 받고 있었는데, 이는 도시경관과 주변과의 조화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정거장을 4개 권역으로 분류하여 각 특성을 분석하였는데, 도심에 캐노피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설치 위치에 적합한 디자인이 고려되어야 함은 물론, 미적 항목에서 평가가 높았던 주변과의 조화와 도시미를 고려한 디자인을 채용하는 방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캐노피를 구성하는 구조재로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주재료로 사용한 대상이 가장 많았는데, 구조재별 디자인평가 분석결과 구조재는 알루미늄 복합판넬과 구조용강관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subway station canopy evaluation to improve the landscape of a street furniture design. From a survey of the professional abstracted the design elements of subway station canopy in Daegu. And then, it practiced a canopy design appreciation by the analysis of appreciation it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analyzes each quality a classified by the four characteristics at the subway station. In general station case, the slope roof was consistent in used to be unified. If the symbol of the express station wasn't common in cross-section or material. In addition, the design evaluation in the lower canopy were evaluated. Therefore, in case of the city installed in the canopy, the characteristic of city gateway and the symbolic characteristic of a design that is required. Second, subway station canopy existed in widely opened site come out a lower rating about safety. Therefore, considering the safety light device or system need to do. Third, if the horizontal or sloping roof shape come out in a lower rating, the highly evaluated curve shape is considered to apply. Forth, a structure material of the canopy was highly evaluated the aluminum composite panels and structural steel pipes. Therefore, to improve a beauty of the city, to give rhythm to a structure material of the canopy of the aluminum composite panels and structural steel pipes will be desirable to use as the main ingredient.

      • 서양 고지도에 나타난 동해 지명의 유형과 변천 : 파인드코리아 웹사이트상의 고지도를 중심으로

        김민희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도는 지도를 제작하는 시대의 자연 환경 뿐 만 아니라 인간이 그것과 상호작용하면서 만들어 내는 다양한 인문 환경을 일정한 축척과 기호, 그리고 방위 등을 사용해 나타내는 축소판이다. 또 지도는 단순히 그 사회의 표면만을 축소해 나타낸 것일 뿐 만 아니라 지도상에 그와 같은 표현을 한 해당 사회 구성원들의 사고와 세계관까지도 담아낸다. 이와 같은 이유로 우리는 지도를 '본다'고 하지 않고 '읽는다'고 한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지도에 녹아든 지도를 만든 사람들의 사고와 세계관을 읽어 내기 위해서는 지도에 나타난 다양한 요소들을 '해석해야'한다. 본 연구는 서양에서 제작한 고지도를 대상으로 고지도에 나타나는 다양한 표현 가운데 지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명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해당 지역에 대한 지리적 인식을 나타내는 하나의 방식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서양 고지도에 나타나는 '동해' 관련 지명의 유형과 변천을 제작 연대에 따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서양 고지도의 제작 연대에 따라 동해에 대한 지리적 인식이 어떻게 바뀌어 가는지를 시계열적으로 고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신빙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 가운데 하나는 서양 고지도를 특정 국가, 혹은 특정 제작 연대나 소장처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하게 많은 수의 지도를 분석하는 것이라고 여겼고 이에 약 4천 여 점의 서양 고지도를 수집한 뒤 그 이미지를 제공하고 있는 파인드코리아 웹사이트의 고지도 가운데 900점 선정해 이를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시대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작연대가 16세기인 서양의 고지도는 33점이었다. 그 가운데 동해에 지명을 표기한 지도를 분석한 결과 '동양해'(Ocean Oriental)이라고 표기한 지도가 1점, '중국해'(Mare Cin)이라고 표기한 지도가 3점이었다. '동양해'(Ocean Oriental)의 대표적인 지도는 〈ROYAUME DU IAPON〉(1600)이며, '중국해'(Mare Cin)의 대표적인 지도는 〈Indiae Orientalis Insvlarvmqve Adiacientivm Typvs〉(1570)이다. 제작연대가 17세기 전반인 서양의 고지도는 총 60점(식별 불가인 지도 4점 제외)이었다. 여전히 동해에 지명 표기를 하지 않은 지도가 37점으로 가장 많지만 '동양해'의 세부 개념으로 '중국양'(The Chinian Ocean) 또는 '중국해'(Mer de la Chine)라고 표기한 지도가 11점으로 나타났다. 뿐 만 아니라 동해를 태평양 또는 태평양의 일부로 표기한 지도가 3점이었으며 요도쿠스 혼디우스(Jodocus Hondius)가 1623년에 제작한 〈Asiae Nova Descriptio Auctore Jodoco Hondio〉에 나타난 'MAR DEL ZUR'가 대표적이다. 제작연대가 17세기 후반인 서양의 고지도는 총 139점(식별 불가인 7점 제외)으로 동해에 지명 표기를 하지 않은 지도가 82점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 시기 눈에 띄는 점은 얀소니우스가 1658년 제작한 〈NOVA ET ACCVRATA IAPONIAE TERRAE ESONIS AC NSUILARUM ADJACENTIUM〉와 같이 '중국해'를 표기한 지도가 20점이었다. 이는 '동양'이라는 막연한 표기에서 '중국양'또는 '중국해' 등으로 구체적인 지명 표기가 이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뿐 만 아니라 이 시기 프랑스의 타베르니에(Jean-Baptiste Tavernier)가 1679년에 제작한 일본 지도인 〈Carte Des Isles Du Japon〉에서와 같이 대한해협에 '한국해(Mer de Coreer)'가 등장하였으며 존 세넥스(John Senex)가 1700년에 제작한 〈ASIA〉에는 '동해'(The Eastern)와 '한국해'(Corea Sea)라고 표기하였으며 이러한 유형의 지도는 총 8점이었다. 제작연대가 18세기 전반인 서양의 고지도는 총 171점(식별 불가인 5점 제외)으로 그 가운데 72점이 동해에 한국해 표기를 하였다. 한국해 표기 중에서도 'Mer de Coree'이 38점으로 G. De Lisle가 1705년에 제작한 〈Carte Des Indes et De La Chine〉을 기점으로 18세기에 대표적인 동해 지명 표기 유형으로 나타났다. 제작연대가 18세기 후반인 서양의 고지도는 총 280점으로 그 가운데 한국해 표기 유형이 160점으로 나타났다. S. Janvier는 1760년에 제작한 〈L’Asie divisee en ses principaux etat〉에 'Mer de Coree'로, J. Gibson은 1753년에 제작한 〈Tabula geographica partis septentrionalis Maris Pacifici〉에서 'Sea of Corea'로 표기하였다. 제작연대가 19세기인 서양의 고지도는 총 227점이었다. 특히 19세기 후반에 들어서는 동해 지명 표기가 4점 밖에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라페루즈 탐사 이후 동해가 일본해 표기로 바뀌었고, 동해는 지금의 동중국해 표기로 대체되는 경향도 보인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서양 고지도에 나타난 동해 지명 등과 같은 연구가 특정 국가에 소재한 대학 도서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적으면 100여점에서 많아도 수백여점을 대상으로 연구했다는 한계에서 벗어났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특정 국가 및 지역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국가와 지역에서 제작한 서양 고지도 900점을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제작 연대라는 분석 틀 하나만을 가지고 서양 고지도에 나타난 동해 관련 지명의 유형과 변천을 고찰하였다는 것에서 그 한계가 있었다고 보고 향후 지도 제작 기술의 발달 등과 같은 것에 의해 서양 고지도 속에서 한국에 대한 지리적 인식이나 지명 등을 어떻게 표현하고 또 바뀌어 가는지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types and changes of the geographical names related to the 'East Sea' seen on western old maps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that those maps were made. Through such an analysis, it is possible to consider how the geographical awareness of the East Sea has changed depending on the years when the western old maps were made in a time series manner. One of the way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such study is to analyze a number of diverse maps without sticking to a certain country, a certain year or a certain place those maps were made or kept, so the present study selected 900 items out of nearly 4,000 maps whose images are provided by the FindKorea web site and analyzed those over a period from the 16th to 19th century. As a result, 33 items of the western old maps made in the 16th century were found. Among those, the maps marked with geographical names of the East Sea were analyzed to find one map with the Ocean Oriental and three with the Mare Cin. The Ocean Oriental is found in〈ROYAUME DU IAPON〉(1600), and the Mare Cin on <Indiae Orientalis Insvlarvmqve Adiacientivm Typvs〉(1570). The number of western old maps made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was a total of 60 items(excluding 4 unidentifiable ones). 37 items among those maps do not mark any geographical names of the East Sea, which case outnumbers the others, but as a detailed concept of the 'Ocean Oriental,'11 maps were found to spell 'The Chinian Ocean' or the 'Mer de la Chine'. In addition, three maps mark the East Sea with the Pacific Ocean or a part of it as in the 'MAR DEL ZUR' on 〈Asiae Nova Descriptio Auctore Jodoco Hondio> made by Jodocus Hondius in 1623. A total of 139 items of old Western maps made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were found excluding 7 unidentifiable ones, among which 82 items did not mark any geographical names of the East Sea. One thing, however, noticeable about this time is that 20 maps are marked with the 'Mare Cin' as in 〈NOVA ET ACCVRATA IAPONIAE TERRAE ESONIS ACNSUILARUM ADJACENTIUM〉 made by Ioannes Ianssonius in 1658. That means specific geographical names like the 'Chinian Ocean' or the 'Mare Cin' were marked, not the vague marking as the 'Oriental'. Also, as seen on the map of Japan named <Carte Des Isles Du Japon> made by Jean-Baptiste Tavernier in France in 1679, the 'Mer de Coreer'appeared in the Korea Strait for the first time, and the <ASIA> made by John Senex in 1700 marks it with the 'East Sea'(The Eastern) and the 'Corea Sea'. The number of such type of maps is 8. A total of 171 items of old Western maps made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were found excluding 5 unidentifiable ones, among which 72 items mark the East Sea with the 'Corea Sea'. Among those marked with the 'Corea Sea', 38 items use the 'Mer de Corée',which appears as the typical geographical name for the East Sea in the 18th century starting with the <Carte Des Indes et De La Chine〉 made by G. De Lisle in 1705. A total of 280 items of old Western maps made in the 18th century were found and among those 180 items mark the East Sea with the 'Corea Sea'. In 1760, S. Janvier made <L’Asie divisee en ses principaux etat〉 which marks the East Sea with the 'Mer de Corée', and in 1753 J. Gibson made 〈Tabula geographica partis septentrionalis Maris Pacifici〉 which marks the East Sea with the 'Sea of Corea'. Particularly,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only 4 items mark it with the East Sea, which is attributable to the exploration into the La Pérouse Strait that has caused the East Sea to be marked with the Sea of Japan. Besides, the East Sea tends to be replaced with the East China Sea now.

      • 평신도의 선교적 환대에 관한 연구 : 북한이탈주민 정착사례를 중심으로

        김민희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선교적 교회의 핵심 구성원인 평신도의 삶을 추적해 환대의 실천사례를 분석하고 그것의 실천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북한이탈민들의 남한정착을 도왔던 평신도 선교사들의 ‘선교적 환대’를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이 논문에서 말하는 ‘선교적 환대’(Missional Hospitality)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의 일환으로 평신도가 세상 한복판에서 보여주는 삶을 통한 복음 증언으로서 철저한 타자 중심적 자비사역을 가리킨다. 본 논문은 그동안 교회 중심으로 머물러 있던 성도들의 신앙생활이 삶의 현장으로까지 나아가기를 촉구하며, 성도들이 선교적 공동체로서의 임무를 감당할 때 그들의 세상에서의 삶이 지역과 사회가 생명력을 얻는 하나님의 나라와 연결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평신도는 교회와 사회를 연결해주는 유일한 통로로 자신의 삶의 현장과 일터가 선교의 중심지인 것을 인식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의 세속적 임무(secular order)는 ‘선교적 노력’으로 빚어져 ‘행동’으로 나타날 때 ‘복음’으로 전해질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실천은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연약한 사람들을 자신의 삶으로 초청해 마음·물질·시간의 공간을 내어주는 것으로 실행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해 연구자는 자신의 관점 보다 평신도의 삶의 현장 중심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그들의 경험을 관찰하고 분석해 재구성하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채택했다. 질적 연구의 장점 중 하나는 연구자의 관점과 연구 참여자의 관점의 부딪침에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해 또 다른 관점의 질문을 생성해주는 데 있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인류학적 사례연구 방법은 오늘날 선교적 공동체로서 평신도의 ‘실천적 행동 모델’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적합하다. 그것은 평신도의 일터 현장을 중심으로 공간적 의미와 행위로 나타나는 다면적 관계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서 구체적인 타자 중심의 선교적 방식은 참된 공동체로서 뿐 아니라,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유익한 연구로 강력하게 추천될만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기존 연구의 이론적 틀에서 벗어나 참여자의 생생한 현장 이야기나 행동에서 발견되는 실제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평신도의 환대실천 대상을 북한이탈주민으로 설정했다. 북한탈주민의 정착문제를 돕는 일에서 있어서 사회와 교회는 제한된 역할을 하는 데 비해, 세속 직업을 가지고 있는 평신도는 북한이탈주민을 정착시키기에 유리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자신의 일터를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을 환대해 정착시킨 평신도 3명과 그 대상이 되는 북한이탈주민 3명의 삶을 탐색해 동시에 문화기술지면담을 실시했다. 이에 따라 인류학에서 발생된 에믹코딩(emic coding, 내부자·평신도)과 에틱코딩(etic coding, 외부자·북한이탈주민) 방법을 사용해 평신도의 선교적 환대 실천사례의 분석 결과를 도출했다. 이러한 분석방법은 이론적 연구에서 발견되지 못한 평신도의 내부적 관점을 도출해 줄 뿐만 아니라, 북한이탈주민의 외부적 관점을 포함시켜 결론적으로 타자 중심의 선교적 실천 방안을 모색하게 해준다. 오늘날 북한이탈주민은 1990년대의 식량위기로 인해 이주하는 세대를 지나 자신의 삶의 발전에 기반한 이주의 세대로 변화되고 있다. 그러므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기존의 집단적 인식 관점의 연구에서 벗어나 개인의 삶에 초점을 맞춘 질적 연구는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평신도를 통해 한국 사회에 잘 정착한 북한이탈주민 개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평신도의 행동을 분석해 기존 정착 문제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더불어 북한이탈주민의 차별과 편견의 문제가 평신도의 환대의 실천적 삶을 통해 개선되기를 희구해 본다. 지난 4년간 지속된 코로나 19(COVID-19)는 일그러진 창조 세계가 우리에게 보내는 적신호였음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상과 사회를 치유하기 위한 공동체로서 한국 교회의 무게가 막중해졌다. 그러므로 기존의 교회들은 영적인 잠에서 깨어나 ‘선교적 교회’로서 전환의 시대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교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성도들은 교회의 높은 담장을 넘어 세상으로 나아가 ‘선교적 사명’을 감당해야 한다. 가장 먼저는 가정과 지역, 그리고 사회의 현장과 일터에서 선교사로 부름 받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선교적 삶으로 복음의 빛’을 비추어야 할 것이다. “진리로 고백하는 것은 말과 행동과 삶의 모든 방식에서 감연히 실천되어야 한다”는 존 칼빈의 고백처럼 흩어진 평신도들의 선교적 환대의 삶은 한국 교회를 살리고, 세상을 치유하는 유일한 ‘선교적 도구’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