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표상활동이 유아의 지도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민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을 경험한 유아들과 경험하지 않은 유아들의 지도 읽기 능력과 지도 그리기 능력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유아의 지도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지도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방향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조망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기호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지도 그리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G유치원의 만 5세 2개 학급 30명씩 총 60명의 유아로 한 학급은 실험집단,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두 집단의 지도 읽기능력에 대한 사전 검사 점수를 근거로 24명씩 대응집단을 만들었으며 5주의 실험기간 동안 3회에 걸쳐 현장학습을 다녀온 후 실험집단은 쌓기 놀이 영역에서 블록을 이용하여 현장학습과 관련된 장소 및 공간을 표상하는 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하고 통제 집단은 쌓기 놀이 영역 활동의 사전계획 없이 일상적인 유치원 교육활동만을 경험하도록 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에서 유아의 지도 읽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최낭수(2000)의 지도이해능력 측정도구를 기초로 안남이(2002)가 제작한 방향 개념, 기호 개념 측정도구, 김정옥(1985)의 조망 개념 측정도구이며 지도 이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조은진, 안남이(2002)의 지도 표상능력 측정도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ANCOVA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유아의 지도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도 읽기 능력 사전 조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ANCOVA를 실시한 결과, 지도 읽기 능력인 방향, 조망, 기호 개념 형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둘째, 쌓기 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유아의 지도 그리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가지 주제(교실지도 그리기, 우리 집에서 유치원까지 지도 그리기, 새가 되어 위에서 본 마을모형 지도 그리기)의 지도에서 전체적인 환경구성, 방향, 조망, 기호를 표상한 유아의 수를 백분율로 구하고 두 집단간의 사전, 사후 검사 그림을 비교하여 기술한 결과, 지도 그리기 능력인 방향, 조망, 기호 표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종합해 보면 본 연구는 쌓기 놀이 영역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 표상활동이 지도 읽기 능력과 지도 그리기 능력에 크게 영향을 미쳤음을 증명하였다. 즉, 실험집단 유아들은 블록 구성 놀이를 통하여 지도에 관한 초기 공간 개념이 형성되어졌다고 볼 수 있으며, 블록으로 공간, 장소를 표상해 봄으로써 사물의 공간적 관계, 방향, 위치 개념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어졌고 건물이나 사물을 나타내기 위해 상징을 사용하는 능력이 증진되어졌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impa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on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map in block play through comparison of two groups in the ability of reading and drawing map.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follow; 1. What is the impa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on the ability of reading map in block play? 1-1. What is the impa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orientation? 1-2. What is the impa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erspective? 1-3. What is the impa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ymbol? 2. What is the impa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on the ability of drawing map in block pla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in total 60 children of two 5-year-old classes in kindergarten G, one of which is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is control group. Based on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ability of reading map, matching cases with 24 children are composed. After three-time field trips for five weeks, experiment group accomplishes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related to field trips in block play and control group experiences only daily learning activity. Measuring methods of the ability of reading map in preliminary/post examination are the concept of orientation, the concept of symbol (An Nam-ee, 2002), which is based on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map (Choi Nang-soo, 2000), and the concept of perspective (Kim Jeong-ok, 1985). Measuring methods of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map is the ability of representing map (Cho Eun-jin and An Nam-ee, 2002).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collected data are calculated using SPSSWIN 12.0 statistics package and all the data are analyzed by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First, ANCOVA analysis, which uses preliminary examination results of the ability of reading map as a covariant, shows that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in block pla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orientation, perspective and symbol. Second, to examine the effect of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in block play on the ability of drawing map, maps of three different topics are analysed, such as classroom map, map from home to kindergarten and town map in a bird view. As a result, the percentage of children - who represent overall environment structure, orientation, perspective and symbol in map drawing - and the comparison data in preliminary/post examination show that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of orientation, perspective and representing symbol.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s that spatial representing activity in block play has a great effect on the ability of reading and drawing map. In short, the spatial concept of map in early stage can be formed through block play. Furthermore, the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orientation, and location concept as well as the ability of using symbol to represent buildings or objects is improved though block play.

      • 중한 아동문학 번역전략 연구 : 란란의 아름다운 날(枫林渡)의 초판과 개정판을 중심으로

        김민자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two translations of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to organize the translation aspects that each appeared inductively, and to study what strategies are needed for quality Chinese-Korean children's literature translation by considering them with error analysis. By looking a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two translations, the first edition was more faithful to the source text, and the revised edition preferred readability.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children's literature, it is reasonable to intervene, such as omitting and adding explanations or transformations by the translators.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excessive emphasis on readability resulted in a translation with poor fidelity. This problem became evident in the revised edition, with excessive omissions and over-specifications. In the revised edition, the omissions of the original text affected the original author's intention to convey. It also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aesthetic quality of the original work. There is no need to adhere to absolute principles regarding translation methods, as various positions and arguments are possible concerning fidelity and readability.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good translation' is inevitab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re can be various judgment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ranslation and the subject who consumes the translation. Consequently,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form of the source language and aiming for a translation that is easy for readers to understand is the matching point of a 'good translation'. Furthermore, translated text should be accurately translated without errors and distortions of the author's intention. Under the preference of readability, translators should be careful not to omit or add content not in the original text arbitrarily. It is because omissions or additions in translation lower the quality of children's literature.

      • 울산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형평성에 관한 연구

        김민자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체육활동은 국민복지를 목표로 정책화되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다. 소득수준과 의식수준이 높아지면서 여가시간의 증대와 생활의 가치관에 대한 인식 변화는 체육활동에 대한 욕구도 날로 증가시켜왔는데, 공공체육시설은 도시민의 발전적 서비스 수요를 충족시켜 줌으로써 쾌적성과 건강성은 물론 고차적인 욕구와 관련된 도시환경의 질적 수준의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게 된다. 여가활동이 다양한 스포츠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스포츠 환경 즉, 시설의 입지가 중요한데, 시설의 단순한 수적 팽창에 초점이 맞춰진다면 시설이 양적으로 부족했을 때보다 더 많은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체육시설의 양적인 증가보다는 어느 지역에 위치하고 있느냐에 따라 접근의 기회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연구가 되어야 한다. 즉, 한 개인이 체육시설에 공간적 형평성을 두고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지를 시설 접근성으로 분석하여, 공간적 불평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민간 체육시설을 제외한 공공체육시설을 연구대상으로 하되, 우선 울산광역시 내 공공체육시설의 분포경향을 알아보고, 5개 구군의 공공스포츠시설의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공공스포츠시설의 공간적 불평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각 시설별로 분석?설명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공체육시설의 유형을 분류하여 각 유형별 공공체육시설을 공급할 수 있는 정책의 합리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울산광역시에 분포하는 66개의 공공체육시설에 대하여 56개 동이 가지는 접근성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성 측정방법인 중력 포텐셜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접근성 측정에 사용된 변수는 각 읍?면?동의 중심점을 주민자치센터로 두고 주민자치센터에서 공공체육시설까지의 최단거리와 거리마찰계수, 시설의 면적, 잠재적 수요 집단의 크기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공공체육시설이 입지한 지역 중심으로만 접근성이 높게 나타났다. 공공체육시설 종류별로 하나의 시설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설이 입지한 지역에서 접근성이 높게 나타났고, 시설과 멀어질수록 낮아졌다. 여러 개의 시설들이 있는 공공체육시설의 경우에는 이들 시설에 접근하기 위한 거리가 가장 짧은 지역과 시설면적이 큰 시설이 입지하고 있는 지역에서 접근성이 높게 나타났다. 울산광역시의 공공체육시설은 지역의 전체적인 면적에 비해 시설의 수가 제한되어 있으며, 특정 종목이 일부지역에만 제한되어 있어 접근성이 낮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공공체육시설의 접근성에 대한 측정값의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는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좋은 동에 비해 그렇지 못한 동의 차이가 크다는 것이다. 울산광역시의 공공체육시설은 구별로 몇몇 지역에 여러 시설들이 밀집해 있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종목별 공공체육시설에 접근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울산광역시 전체 지역의 평균적인 접근성은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구별로 몇몇 지역에 서로 다른 종목의 시설이 밀집하여 있고, 이들 시설이 개별 종목 시설의 부족한 접근성을 상호보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공공체육시설의 종목에 따른 접근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접근성에 대한 편차가 크다는 것은 모든 공공체육시설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었다. 육상장과 씨름장의 경우 체육관, 수영장, 양궁장과 비교하였을 때 접근성이 아주 낮다고 할 정도로 차이가 크게 났다. 공공체육시설에 접근하고자 할 때, 주민이 거주하는 지역이 어디인가에 따라 접근이 용이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발생하는데, 울산광역시의 경우 시설에 따라 동에 따라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행정구역의 크기도 접근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면 울산광역시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울주군은 공공체육시설의 서비스 가능 면적이 동일하더라도 지역의 공간적 형평성은 낮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면적을 고려하지 않는 공간적 형평성을 직접적으로 비교하기에는 일정 부분 한계가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울산광역시의 공공체육시설은 비교적 양호한 접근성(0.82304)을 보이고 있으나, 시설의 종류에 따른 접근성을 따져보았을 때 공간적 형평성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는 시설도 있다. 따라서 더욱 다양한 공공체육시설의 보급과 주민들의 접근성을 충분히 고려한 시설의 입지를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문화관광부(2006)의 공공체육시설 균형배치 중장기계획에서는 울산광역시의 중구, 남구를 ‘구주거중심대도시지역 구주거중심대도시지역 : 전형적인 대도시지역이나 인구증가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지속적인 문화체육시설의 확충이 필요한 지역 ’, 동구, 북구를 ‘대도시도심지역 대도시도심지역 : 대도시 기성 도심지역으로 경제활동인구(주간인구)는 많으나 상주인구(야간인구)는 적으며 감소?정체하는 지역으로, 주간인구 위주의 시설확충이 필요한 지역 ’, 울주군을 ‘광역시군지역 광역시 군지역 : 광역시로 편입된 군지역으로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인구가 적으며 문화?체육시설이 부족하여 향후 이 기능의 확충이 필요한 지역 ’으로 구분하여 문화?체육시설의 확충이 필요한 지역이라 하였고, 지역유형별 조성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울산광역시의 공공체육시설은 지역의 전체적인 면적에 비해 시설의 수가 제한되어 있으며, 특정 종목이 일부지역에만 제한되어 있어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는 본 연구의 결과와 높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 감마선 처리에 의한 장미 돌연변이 유기 및 신품종 육성

        김민자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system for mutation breeding by irradiation of gamma-ray, and to develop new varieties through mutation in Rosa hybrida Hort. Firstly, the rooted cuttings of two roses, ‘Spidella’ and ‘Cabernet’ were irradiated with different gama-ray doses (0, 30, 50, 70, 90, 110, 130, 150 and 170 Gy) from a (60)^Co source to reveal an optimal dose for induction of mutants. The irradiated plants were planted in a greenhouse, and investigated on the appearance of petal color mutants and shoot growth by gamma ray dose. The 50% lethal doses (LD_(50)) of plan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ultivars, which were 110 Gy for 'Spidella' and 150 Gy for ‘Cabernet’. The 50% length decrease dose of shoot was observed at 70~90 Gy dose for ‘Spidella’, and 110 Gy dose for ‘Cabernet’. Solid, chimeric and mosaic petal mutants of various colors were induced from pink petal of ‘Spidella’ and red petal of ‘Cabernet’ when 30~170 Gy dose was irradiated. It was suitable to irradiate 70~90 Gy dose for ‘Spidella’ and 90~110Gy dose for ‘Cabernet’ for the induction of various mutants considering plant survival rate, shoot growth and mutant occurrence rate. Secondly, new roses, ‘Saeromi’, ‘Gamsami’ and ‘Sarangmi’ were developed by mutation breeding through gamma irradiation. The rooted cuttings of ‘Kardinal’ with a shoot (about 10 cm long) were irradiated at 70 Gy gamma-ray dose from a (60)^Co source to induce mutants in 2002. The irradiated plants were planted at field in 2002, and spotting of petal color mutants was investigated from 2002 to 2003. Mutant twigs with a light pink, a pink, a deep pink and a red orange flower were induced from ‘Kardinal’ plants with red (Red group, 44A, 45B) flowers in 2002 and 2003. Rooted cuttings of each mutant twig were planted to greenhouse and tested to be a stable mutant in the greenhouse from 2004 to 2008. Each stable mutant was propagated again by cutting at 2008, and hydroponic-cultured to evaluate characteristics from 2008 to 2009 in a farm. Each mutant was named ‘Gamsami’, ‘Saeromi’, ‘Sarangmi’ and ‘Gippeumi’ because each had high quality in flower color, shape, fragrance, etc. ‘Saeromi’ shows a standard flower with light pink (Red group, 55B~55D) petals. It has 9.2 cm wide flowers, 30.5 petals per flower, more or less strong fragrance, and vase life of about 6.8 days. ‘Saeromi’ shows the smallest flower size among original ‘Kardinal’ and its other mutant counterparts. It has 60.4 cm long stem and 8.5 cm long peduncle shorter than its original ‘Kardinal’. ‘Gamsami’ shows a standard flower with pink (Red group, 63A~63B) petals. It has 12.9 cm wide flowers, 39.8 petals per flower which is the highest in petal number among the mutants, more or less strong fragrance, and long vase life of 7.2 days. It has 67.2 cm long stem and 10.4 cm long peduncle close to its original ‘Kardinal’. ‘Sarangmi’ shows also a standard flower with deep pink (Red purple, N57A~N57C) petals. It has 11.0 cm wide flowers, 31.0 petals per flower, and vase life of 7.0 days. ‘Sarangmi’ shows flower diameter similar to original ‘Kadinal’. It has 69.2 cm long stem and 9.0 cm long peduncle. ‘Gippeumi’ shows a standard flower with an orange-red (Red group, 43A~43B) flower. It has 11.7 cm wide flowers, 38 petals per flower, more or less strong fragrance, and vase life of about 7.5 days. It has 65.7 cm long-stem and 10.0 cm long-flower peduncle close to its original ‘Kardinal’. 이 연구는 감마선 처리에 의한 장미(Rosa hybrida Hort.) 돌연변이 유기 방법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신품종 장미의 육성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장미 스피델라와 커버넷 두 품종에 (60)^Co 선원으로부터 다른 선량(0, 30, 50, 70, 90, 110, 130, 150, 170 Gy)의 감마선을 처리하여 돌연변이 유기에 적정한 선량을 구명하고 식물체의 생육 및 변이의 발생 양상을 구명하였다. 50% 식물체가 치사(LD_(50))하는 선량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스피델라’는 110Gy에서, ‘커버넷’은 150Gy 처리에서 50%의 식물체가 고사하였다. 식물체의 50% 신초길이 감소 선량은 ‘스피델라’에서 70Gy 선량 정도 이었는데 비해 '커버넷'에서는 110Gy 선량에서 나타났다. 30~170 Gy 선량에서 다양한 색의 완전변이, 키메라, 모자익 꽃잎을 가진 변이체를 분홍색의 '스피델라'와 적색의 '커버넷'으로부터 유기할 수 있었다. 돌연변이 유기를 위해서 식물체 생존율, 신초생장, 돌연변이 발생률을 고려할 때 ‘스피델라’는 70~90 Gy, ‘커버넷’은 90~110Gy의 선량 처리가 적당하였다. 다음으로 감마선 조사에 의한 돌연변이 육종법에 의해 새로운 장미 ‘새로미’와 ‘감사미’, ‘사랑미’, ‘기쁘미’를 육성하였다. 약 10cm 신초를 가진 ‘카디날’의 삽목묘에 돌연변이를 유기하기위해 70Gy 선량의 감마선을 처리하여 포장에 심어서 2002년부터 2003년에 걸쳐 화색변이 발생을 관찰하였다. 2002년과 2003년에 연분홍색, 분홍색, 진분홍색의 화색 돌연변이를 발견하여 각각 온실에서 옮겨 심고, 이들로부터 다시 변이지를 채취하여 삽목묘를 만들어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재배하면서 이들 변이가 완전변이로 고정된 것을 확인하였다. 각 계통은 2008년 삽목·증식하여 2008~2009년까지 농가에서 수경재배하고 각각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연분홍색 변이체를 ‘새로미’, 분홍색 변이체를 ‘감사미’, 진분홍색 변이체를 ‘사랑미’로 각각 명명하였다. ‘새로미’는 ‘카디날'의 화색이 적색(Red group, 44A, 45B)인데 비해 연분홍색(Red group, 55B~55D) 꽃잎을 가졌다. 화폭은 9.2cm, 꽃잎 수는 30.5개이었다. 절화장의 길이는 60.4cm, 화수장은 8.5cm이다. ‘새로미’의 꽃은 ‘카디날’이나 ‘감사미’, ‘사랑미’보다 작으며, 절화장과 화수장도 짧았다. ‘감사미’는 화사한 파스텔색 계통의 분홍색(Red group, 63A~63B)꽃잎을 가졌다. 화폭은 12.9cm로 ‘카디날’과 비슷하고, 꽃잎 수는 39.8장으로 많으며 향기는 다소 강한 편이다. 절화수명은 7.2일 내외이다. 절화장과 화수장은 각각 67.2cm, 10.4cm로 ‘카디날’과 유사하다. ‘사랑미’는 파스텔색 계통의 진분홍색(Red purple group, N57A~N57C) 꽃잎을 가졌다. 화폭은11.0cm이고 ‘카디날’과 비슷하나, 꽃잎 수는 31.0장으로 적다. 절화수명은 7.0일 내외이다. 절화장과 화수장은 각각 69.2cm, 9.0cm로 ‘카디날’과 유사하다. ‘기쁘미’는 원품종인 '카디날'의 화색이 적색(Red group, 44A, 45B)인데 비해 밝고 화사한 파스텔색 계통의 주황색 (Red group, 43A~43B)이다. 화폭은 11.7cm이며, 꽃잎 수는 38.0장이고 향기는 다소 강한 편이며 절화수명은 7.5일 내외이다. 절화장과 화수장이 각각 65.7cm, 10.0cm로 ‘카디날’과 유사하다.

      • 국내 청정개발체제 사업의 추진방향

        김민자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현재 인류에게 위기로 다가오고있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국제적으로 1992년 기후변화협약을 체결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인류 공동의 노력을 선포하고, 1997에는 교토의정서를 채택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강제적 의무를 부과하였으며 배출권거래제(ET), 공동이행제도(JI), 청정개발체제(CDM) 등 교토메카니즘이라 불리는 경제적 수단을 도입하였다. 우리나라는 교토의정서의 이행에 대한 준비를 하여야 하고 이를 위한 경제적 수단으로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에 의한 CDM을 활용해야한다. 첫째, 태양광, 풍력발전에 대한 기술의 이전 및 개발이 될 수 있도록 유럽 선진국으로부터 신・재생에너지 관련 양국간 CDM 사업을 유치해야 한다. 둘째, 독자적 CDM을 활용하되 다양한 분야의 사업을 추진하여 에너지 공급의 다양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셋째,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의무는 개도국간 CDM을 활용하여 경제적으로 CERs를 획득해야 한다. The climate change, as a result of global warming, would be the most serious and urgent issues imposed on human being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international community proclaimed expression of international joint responsibility on climate change with conclusion of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in 1992. In 1997, with adoption of Kyoto Protocol, it imposed coercive obligation and introduced economic means, which is called Kyoto Mechanism such as Emission Trading(ET), Joint Implementation(JI) and Clean Development Mechanism(CDM). Korea has to make a practical application of CDM with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s economic means to prepare implementation of Kyoto Protocol. Fistly, we should attract new and renewable energy-related Bilateral CDM project for solar․wind power technology transfer and development from the developed European countries. Secondly, we should take advantage of the Unilateral CDM, but to promote a wide range of projects to diversify the energy supply. Finally, Korea's greenhouse gas reduction obligations should obtain economical CERs by taking advantage of the South-south CDM.

      • 커피교육 수강생의 참여동기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김민자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offee education on career decision of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coffee barista education course or are currently taking the curriculum.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200 questionnaires from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has a coffee barista training course and except for the unusable questionnaire, 164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The analytical method was verified by path analysis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significant. In the path analysis results,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offee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learning outcom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career decis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is result showed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offee education mediated learning outcome.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and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were confirmed. In addition, entrepreneurship on career decision had a positive effect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This result showed that learning outcome had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rough entrepreneurship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adopted all hypotheses by using path analysis an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total effect according to research model are significant. In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offee education indirectly effected career decision through various variables. 본 연구는 커피교육 참여동기가 교육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효과를 창업의지와, 교육만족도, 학습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바리스타 교육생을 중심으로 커피 바리스타 교육 과정을 이수하였거나, 현재 교육 과정을 수강 중인 수강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활용하여 커피 바리스타 전문 교육 과정을 가지고 있는 바리스타 학원 등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설문지 164부 사용되었다. 분석 방법은 상관분석과 구조 방정식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 분석결과에서도 커피교육 참여동기는 창업의지와 학습성과 그리고 교육 만족도에 정(+)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성과는 창업의지와 진로결정 그리고 교육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를 통하여 커피교육의 참여동기는 학습성과를 매개로 하여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효과와 교육 만족도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창업의지는 진로결정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 만족도도 진로결정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학습성과가 창업의지와 교육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종속변수인 진로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모두 채택되었으며, 연구모형에 따른 직접⋅간접효과 및 총 효과도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커피교육 참여동기가 다양한 변수를 통해 간접적으로 진로결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감성지향의 Nuno felt 소재가공

        김민자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의 발달과 경제의 성장에 따른 생활문화의 향상으로 소비자들의 시각도 매우 개성화, 다양화, 고급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섬유산업에도 많은 영향을 주어 기존의 획일화된 디자인에서 벗어나 개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감성지향 소재를 개발 시키는 방향으로 발전되어가고 있다. 1980년대 이후 섬유가공은 직물의 성질 유지, 향상 및 단점을 보완하는 예전의 의미에서 벗어나 섬유의 특성과 전혀 다른 성능과 외관효과를 부여하는 가공기술을 중심으로 발달되어 새로운 이미지의 신소재들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소재의 가공방법은 원사, 직물, 염색 등 일련의 과정에 첨단기술(high-tech)을 부여하여 점점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새로운 복합기술의 신장으로 계속되는 소재 개발은 소비자의 감성과 욕구를 그대로 반영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향으로 모색되고 있다. 특히 직물 표면의 재질 및 변형가공은 독특한 텍스추어 효과를 표현하고 있으며, 이는 남과 자신을 구분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화되면서 직물 가치를 평가하는데 기능적 차원에 심미적 차원이 적극적으로 추가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제 소비자들은 마음의 풍요로움을 중시하는 감성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것이다. 단지 고급스러운 것을 추구하는 것만이 아니라 가치가 있는 것 즉, 자신의 감성을 고려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 본 연구자는 감성시대라는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기술과 공예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감성지향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연구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기존의 섬유에 가공법을 응용하여 신소재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지향의 신소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오늘의 텍스타일 디자인에서 보이는 섬유가공방법을 살펴보고 본 연구의 작품 제작에 응용할 가공법을 선택한다. 둘째, 작품제작에 응용할 felt 가공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본다. 셋째, felt 가공의 이해를 바탕으로 복합소재로서의 Nuno felt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재와의 축융 결합을 통해 소재 외관의 변형을 한다. 넷째, 표현 기법에서는 원의 이미지를 이용한 꼴라쥬 방식으로 모티브를 표현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 지향적 신소재의 표현은 섬유 표면의 태·외관 변형을 가져오는 후처리가공방법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작품제작에 있어 기존의 섬유를 활용하면서 물리·화학적 방법만으로 섬유 표면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는 축융가공법을 선택하였다. 둘째, felt 가공은 축융공정에 의해 두께와 질감조절이 용이하며 유연성, 가소성, 점착성등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술과 공예라는 두가지면을 동시에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작품제작에 적절한 가공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복합소재로서의 Nuno felt는 알칼리, 열, 마찰 정도에 따라 다른 수축률을 보이며 그에 따른 표면 질감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자연섬유와 합성섬유와의 결합정도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고 그 결과 작품에 용이한 소재로는 자연섬유 울, 면, 실크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자연소재의 사용으로 환경친화적인 소재로써의 가능성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넷째, 꼴라쥬 형식의 모티브를 이용한 디자인은 축융 효과가 더해져서 독특한 주름을 만들어 내 텍스추어 위주의 새로운 모티브 표현 양식임을 알 수 있었다. 21세기가 요구하는 감성 지향적 신소재 개발을 위해 Nuno felt 가공법을 응용한 작품 15점과 의류 2점을 제시하여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고부가가치로서의 섬유제품 개발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한다. With the growing industrialization and the growth of economy, it has improved the lifestyles of the consumers; they have become more individualistic, diversified, and upgraded. Such changes have made a big impact on the fiber(textile) industry, it has developed from uniformal style of design to fulfilling the aesthetics and the individualistic preferences. After the 1980's, fiber treatment industry made considerable developments. From maintaining the fabric characteristics, enhancing the defects, and improving the basic quality, it has now become more focused in adding other capabilities and different external appearances - it has been developing totally new image of fibers. Such new treatment methods became more diversified after it went through the steps of original plans, fiber selection, dyeing, and the addition of high-tech application. And to satisfy the aesthetics and the cravings of the consumers, numerous treatment methods are applied in textile development. Especially, with the new fiber surface quality and transformed treatment, it is reflecting uniqueness to the fabric style. And the outcome of consumer demand has added aesthetical beauty as well as the technical abilities of a textile. Currently, the consumers are in the stage of aesthetic centered generation, which is providing more relaxing sprite to the mind; they are not just seeking high quality products, but also seeking after things that have true sense of value and can fulfill their aesthetics.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research in the field of textile design, combining the technical and the craftsman skills, which is in line with our aesthetic generation. And, from the existing treatment methods, I would like to present a way of possibly developing new materials. This is the research details for the goals stated above: First, in order to learn about the aesthetic oriented new materials, I will look into the present way of producing textile design methods, and then will select the method for the project treatment application. Second, I will research concerning the "felt" treatment method, which will be applied in the project. Third,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felt" treatment, I will use the composite material "Nuno felt", and will use it with the new material fabric in fulling combination to change the external texture. Fourth, in the technique presentation , the circle image and collage method will be used in expressing the motif. From the above research, the following results will be presented: First, I have found that aesthetic centered new material is produced through the latter processing method, which changes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terial. And, in the production of the material, I have used the existing textile in combination with only the physics and chemical methods; it has resulted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textile surface through the fulling treatment method. Second, the "felt" treatment is affected by the fulling application; it makes it easy for adjusting the thickness and the surface quality of the fabric, it also gives flexibility, plasticity, viscosity and other physics related characteristics. And "felt" satisfies the technological and the craftsmanship aspects of the project - it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of treatment. Third, as a mixed material, "Nuno felt" has shown different contraction levels as it is affected by the amount of alkali, heat, and friction. And in testing, I have found out the packing affect of the natural fiber and the synthetic fiber; the result was that the best materials for the project were the natural fibers: wool, cotton, and silk. With such natural materials, I have found the environment friendly method of treatment for the future. Fourth, the collage form of motif design has higher fulling affect, it produces unique wrinkles, which is an indication that it is a new expression of texture centered motif. In the 21st century,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new aesthetic materials, with the application of "Nuno felt" treatment in 15 projects and 2 sets of clothing, I hope it would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the consumers and that it would become a high commercial value for the fiber development industry.

      • 초등학교 여교감의 지도성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김민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여교감의 지도성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교경영에 관한 여교감의 지도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직원 지도에 관한 여교감의 지도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직원 인간관계에 관한 여교감의 지도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시설관리지원에 관한 여교감의 지도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부모 및 대기관 협조에 관한 여교감의 지도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여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생지도에 관한 여교감의 지도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본 연구를 위한 대상은 초등학교 교사 226명을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학교 경영면, 교직원 지도면, 교직원 인간관계면, 시설관리 지원면, 학부모 및 기관 협조면, 학생 지도면의 6개영역으로 총 30문항이었다. 모든 분석은 SPSS 10.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여교감의 지도성에 대한 인식을 업무추진 영역별로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로 측정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인 성별, 직위, 지역, 경력에 따라서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영역별 지도성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거쳐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여교감의 업무영역별 지도성에서 전체적으로 여교감의 학교 경영면에서의 지도성을 높게 평가하였으며, 특히 교사들은 여교감이 일과운영이나 직원회를 계획대로 진행 하고 있다는 인식을 매우 높게 가지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여교감의 교직원 지도면에서 매우 높은 평가를 하였으며, 교감이 교직원이 잘한 일이 있으면 크게 칭찬하거나 격려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여교감의 인간관계면에 대해서 긍정한다는 인식이 매우 높게 나타내었으며, 여기에는 교직원들의 길, 흉사에 대해서 적극지원하거나 앞장서서 시범을 보인다는 인식을 교직원들에게 강하게 보여주었다. 넷째, 초등 교사들은 여교감의 시설 관리 지원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교사들은 여교감이 교무실 시설물의 활용과 조화를 이루도록 매우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고 있다고 인식했으며 시설관리의 취약점을 파악하고 지원을 성의껏 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다섯째, 교사들은 여교감이 학부모 및 대 기관 협조를 매우 잘한다고 인식하였으며, 특히 여교감은 학부모들과 매우 좋은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여섯째, 여교감의 학생지도면에 대해서 초등 교사들은 매우 좋은 평가를 하고 있었으며, 등하교시 안전지도부터 체력, 영양, 위생지도까지 모든 문항에서 여교감은 학생지도에 적극적이었으며 특히 여교감이 현장학습이나 탐구학습에서 학년별 계획에 의해서 추진하는 사항에 대해서 교사들은 매우 좋은 평가를 하고 있었다. In this study, about the leadership of the female vice-principal, on the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knowing. For achieving in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re established. First,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leadership of the female vice-principal about school managing, how do they perceive? Second,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leadership of the female vice-principal about guiding the staffs, how do they perceive? Third,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leadership of the female vice-principal about facilities managing supporting, how do they perceive? Fourth,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leadership of the female vice-principal about parents and co-helping other institutions, how do they perceiv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First, on the leadership of the female vice-principal about all of the managing domain, in total, for the female vice-principal, about school managing aspect, staffs guiding aspect, human-relation aspect, facilities managing supporting aspect, parents and co-helping for other institutions, students guiding aspect,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appears good evaluation. Second,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running curriculum and about positive consideration of good and bad affairs of the staffs, on the firm belief on staffs, by improving for the self- regularity job condition, on the leadership of the female vice-principal, it appears higher evaluation. According to all the domain, on the leadership of the female vice-principal about the school management, most of the domain, it appears higher evaluation. Third, about the guiding staffs, human-relation of the staffs, task ability for facilities managing supporting, grasping human ability, for the teachers, it appears higher perception. Also, about the parents and co-helping other institutions, students guidance, for the teachers on the task ability and grasping human ability of the female vice-principal, it appears higher evaluation. Fourth, for the female vice-principal, at the side of human nature, because of kindness, womanly, considerate, characteristic generosity, for the fellow staffs, they have favor, in particular, mother's affection, for the higher interest and consideration about students health and nutrition, health-care guidance, in the tight human-relation in relation to fellow staffs, it appears good response. Like this, for achieving the effective school educational target, for the unit school of female vice-principal, excluding non-effective leadership, in the center of tasks and in harmony with good human-relation by operating the effective leadership, by improving the human-relation between the female vice-principal and ordinary teachers, it can improve the effective school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