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金美晶 작곡 「관현악을 위한 바벨탑」의 분석

        김미정 한양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김미정 작곡 『관현악을 위한 바벨탑』의 분석이다. 이 곡은 성서에 나오는 바벨탑이야기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곡된 표제음악이다. 본 논문에서는 표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음악적인 요소들이 어떤 방법으로 구성되었는가가 분석되었다. 논문의 서론에서는 작품 개요, 곡의 이해를 위해 성서에 나오는 바벨탑이야기를 간단히 설명하며 표제와 음악적 내용의 연관성, 연구의 방법 등이 언급되었다. 본론에서는 형식, 음고재료, 짜임새 및 관현악 편성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 곡의 형식은 A-B-C-C'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은 성서적 내용과 연관된다. 단락 A에서는 모든 악기가 중심음 B만을 연주하는데 이는 태초에 언어가 하나였음을 상징한다. 단락 B에서는 단2도로 이루어진 상행 선율을 통해 인간들이 바벨탑을 쌓고 있는 모습을 의미하고 있으며 단락 C에서는 두 개의 선율(주선율과 대선율)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신의 강림과 인간들의 모습을 각각 상징한다. 단락 C'는 음송이 화음으로 끝맺는데, 이는 처음시작 부분의 하나의 개념에서 흐트러진 여러 개(12음)의 음이 사용되어 인간이 결국 신에 의한 언어의 혼돈 때문에 바벨탑을 완성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나타냈다. 이 곡의 음고재료는 주로 중심음 B와 단2도, 장2도, 세온음으로 구성된 선율적요소와 화성적 요소로 이루어진다. 이 곡은 부분적으로는 단성적, 화성적 짜임새를 가지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다성적 짜임새로 나타내었다. 관현악편성 역시 다양한 성서적 내용의 표현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각 악기들의 음색대비, 악기군 간의 음색대조, 그리고 특수주법을 통해 음색을 확장하였다. 결론으로 이 논문에서는 표제와 음악적 내용과의 연관성 그리고 이야기 전개에 대한 음악적 상상력을 음악적인 재료들의 통일성과 다양성의 측면에서 보여주려는 작곡가의 의도가 분석되었다.

      • 삼백초와 녹나무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 활용 연구

        김미정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삼백초와 녹나무 추출물의 기능성화장품 소재 활용 연구 김미정 지도교수: 한진섭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삼백초와 녹나무에서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유효성분을 추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DPPH 소거능이 가장 우수한 방법의 추출물을 선정하여 MTT assay로 인간 모유두 세포의 세포 독성과 세포 증식효과 연구를 통하여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위한 실용적인 자료제공을 목적으로 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삼백초와 죽엽에서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한 각 6종의 추출물에 대한 총 폴리페놀 함량은 삼백초 메탄올-초음파 추출물에서 76.59 mg/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녹나무는 메탄올 추출물에서 76.07 mg/g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삼백초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메탄올-초음파 추출물에서 76.58 mg/g로 가장 높았으며, 녹나무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메탄올-초음파 추출물에서 5.90 mg/g로 가장 높았다. 3. 삼백초 추출물의 DPPH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메탄올-초음파 추출물에서 92.81%로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녹나무 추출물은 메탄올-초음파 추출물에서 96.34%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어 삼백초와 녹나무 모두에서 DPPH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4. 아질산염 소거능 분석결과는 삼백초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물에서 36.90%로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녹나무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물에서 37.59%로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 (1 mg/ml)의 아질산염 소거능 90~93 % 보다 낮게 나타났다. 5. 삼백초 추출물과 녹나무 추출물을 인간 모유두세포에 10 μg/ml, 100 μg/ml, 500 μg/ml의 농도에서 MTT assay로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 2종의 추출물 모두 처리 농도 범위 내에서는 유의적인 세포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6. 삼백초 추출물과 녹나무 추출물의 인간 모유두세포 생육도는 삼백초 추출물에서는 10 μg/ml 처리는 93.9%, 100 μg/ml 처리는 96.2%, 500 μg/ml 처리는 121.6%의 세포 생육도가 나타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생육 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녹나무 추출물에서는 10 μg/ml 처리는 101.4%, 100 μg/ml 처리는 106.4%, 500 gμ/ml 처리는 112.7%로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생육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삼백초 추출물과 녹나무 추출물 모두에서 세포 생육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삼백초가 녹나무 보다 세포 생육도가 높았다. 연구결과 삼백초와 녹나무의 기능성화장품의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으며, 인간모유두세포에 대한 높은 세포 생육도가 있어 모발 성장 촉진을 위한 육모제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선택 자발성이 비정규직 고용형태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산하기관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김미정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increasing number of non-regular workers is highlighting employment instability and social polarization and raising such issues as lower productivity and employment inequality for non-regular workers. Responding to those social demands, the government is attempting a conversion into "no-fixed term contract workers," a type of non-regular workers based on the "employment stability" of non-regular workers. It is needed to examine whether increased employment stability would ha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also what other factors there would be to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non-regular worker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connections between the "voluntary choices" of non-regular workers and their employment types, relations, and job satisfaction and examine whether the employment types and voluntary choices would have effe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among the job satisfaction, voluntary choices and employment types(employment stability) of non-regular worker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their employment types and job satisfaction, but high employment stability did not always mean high job satisfaction. Seco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their voluntary choices and their employment types and job satisfaction. They considered the employment types(employment stability) when choosing a job.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nnections betwee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types in almost all the items, which raises a need for specific systems and plans based on considerations in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non-regular workers at affiliated organizations of Seoul. Finally,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choose the reasons for voluntary choices and the urgent matters in the improvement of employment environments,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biggest reason for their voluntary choices wa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ublic sector(trust in the employer organizations) and working conditions. Wages were the top priority in the improvement of employment environments regardless of employment types and voluntary choices. They had different perceptions of urgent matters in the improvement of employment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employment typ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non-regular workers had a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when they had more voluntary choices and that higher employment stability did not always mean higher job satisfaction. Contract workers of low employment stability recorded a considerably lower job satisfaction level than no-fixed term contract workers and fixed-term workers. The improvement of non-regular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employment environments requires policies for higher employment stability and also measures to address the reasons for their voluntary choices, differentiating management and supports according to the employment types, and management and working environments to highlight the advantages of public organizations. It is also needed to reflect wages realistically. 비정규직 고용의 증가로 인한 고용 불안정과 사회 양극화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는 생산성 감소 및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 형평성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여 정부는 공공기관의 비정규직 “고용안정성”을 고려한 고용형태로 “무기계약직”의 전환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고용형태를 바꾼 고용안정성 증가에 초점을 맞춘 정책이 직무만족에 실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무만족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없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선택 자발성”이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형태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고용형태와 선택 자발성이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 선택 자발성과 고용형태(고용안정성)는 유의한 관계로 분석되었다. 첫째, 고용형태와 직무만족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다만, 고용형태 중 고용안정성이 높다고 직무만족이 높은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정규직 근로자의 선택 자발성과 고용형태, 선택 자발성과 직무만족은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해당 고용형태를 선택 시 고용형태(고용안정성)를 고려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고용형태는 거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산하기관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제도나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설문자들이 선택 자발성의 이유 및 고용환경개선에서 시급한 사항을 직접 선택하게 하여 살펴본 결과 선택 자발성의 가장 큰 이유는 공공부문(고용기관의 신뢰) 및 근로조건의 만족이었다. 또한 고용환경개선 사항에서는 고용형태 및 선택 자발성 유무와 관계없이 임금이 가장 최우선시 되는 항목이었으며 고용형태별 고용 환경의 시급한 개선사항을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비정규직 선택 자발성이 높을 경우 직무만족이 높았으나 고용안정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은 아니었다. 다만, 용역근로자들의 경우 무기계약직, 기간제근로자에 비해 직무만족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무만족 개선 및 고용환경 개선 시 고용안정성을 높이는 정책도 필요하지만 이러한 선택 자발성의 이유, 고용형태별 차별적인 관리 및 지원, 또한 공공기관의 장점을 살리는 관리 및 근무환경 조성이 필요하며 임금에 대한 부분도 현실적인 반영이 필요할 것이다.

      •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공유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와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미정 삼육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turnover intention structural model developed by Price and Mueller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The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embeddedness and the adjus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well as analyzing the adjusted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shared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The study subjects were 293 nurses with the experience of six months or more of clinical nursing practice,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with < 500 beds, located in the Seoul and Busan region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Mar 31 to Apr 10, 2020,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s to perfor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factor analysis (FA) for testing the construct validity, χ2, Comparative Fit Index (CFI), the Tucker-Lewis Index (TLI), and the Root Mean Square Error Approximation (RMSEA) for testing the data fitness. For hypothesis testing, the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mbeddedness, the adjus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adjusted mediating effect,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shared leadership on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results were significant: 1.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organization-fit of job embeddedness showed full mediation, causing the mediation of organization-fit by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2.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organization-link of job embeddedness showed full mediation, causing the mediation of organization-link by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organization-sacrifice of job embeddedness showed full mediation, causing the mediation of organization-sacrifice by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the organization-link of job embeddedness,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ed to a significant adjusting effect. 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link of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ed to a significant adjusting effect. 6.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the organization-sacrifice of job embeddedness,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ed to a significant adjusting effect. 7. For the mediating effect of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organization-fit of job embeddedness,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ed to a significant adjusting effect. 8. For the mediating effect of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organization-sacrifice of job embeddedness,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ed to a significant adjusting effect. 9.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red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the partial mediation by organization-fit of job embeddedness indicated that shared leadership had an effect of lowering the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organization-fit. 10.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the partial mediation by organization-sacrifice of job embeddedness indicated that shared leadership had an effect of lowering the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organization-sacrifice. 11. For the mediating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the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organization-fit of job embeddedness,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ed to a significant adjusting effect. 12. For the mediating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the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organization-sacrifice of job embeddedness,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ed to a significant adjusting effect. In this study, job embeddedness showed complete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and showed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with an adjusting effect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s implicated that changing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lone will not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re is a need to create a team environment where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ies are divided in dynamic ways, to devise management strategies that would improve the job embeddedness. Also this could be used to develop strategies and programs for enhanci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ther words, an effective personal resources management system for nurses should be implemented, where the goals of the health care institution and the nursing organization coincide with the personal and career goals of individual nurses, and where each nurse can produce his or her maximum job performance in the context of adequate rewards and promotion opportunities. A structure should be created where the function of leadership is dispersed among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so that each member is aware of the fact that they have ultimate responsibility for their performance. That they should take the initiative to improve their own leadership capacity, and that they should encourage leadership in other members. There is also a need for management of the health care institution for constructing an official and unofficial network through which the nurses could interact proactively with one another.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increase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linical nurses contributes as a critical factor to the improved quality of nurses, the manager of the nursing organization should develop specific support and promotion programs as well as active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linical nurses.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폭넓게 이해하기 위하여 Price와 Mueller의 이직의도 구조모형 틀을 기초로 간호근무환경, 공유리더십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와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부산에 소재하는 500병상 미만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임상 근무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293명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3월 31일부터 4월 10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증은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요인분석모형과 분석 자료의 적합도 검증은 , CFI(Comparative Fit Index), TLI(Tucker-Lewis Index), RMSEA (Root Mean Square Error Approximation)로 확인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간호근무환경과 공유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와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의미하게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하위척도인 조직적합성이 완전 매개하여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하위척도인 조직연계가 완전 매개하여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하위척도인 조직희생이 완전 매개하여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간호근무환경과 직무배태성의 조직연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5. 직무배태성의 조직연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6. 간호근무환경과 직무배태성의 조직희생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7. 간호근무환경이 직무배태성의 조직적합성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8. 간호근무환경이 직무배태성의 조직희생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9. 공유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조직적합성이 부분 매개하여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공유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조직희생이 부분 매개하여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공유리더십이 직무배태성의 조직적합성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12. 공유리더십이 직무배태성의 조직희생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직무배태성은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하였고, 공유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였으며,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간호근무환경을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이직의도를 감소할 수 없으며, 책임과 권한을 역동적으로 나누는 팀 환경을 조성하며 직무배태성을 증진시키는 관리전략을 마련하고, 긍정심리자본의 향상을 위한 전략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즉, 의료기관 및 간호조직의 목표와 간호사 개인의 직업적 목표를 합치시키고 직무능력을 잘 활용하며 충분한 보상과 승진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간호사를 위한 효과적인 인력관리제도를 시행하고, 리더십의 기능이 조직구성원들 사이에 분산된 구조를 만들고 조직구성원들은 그들이 성과에 대해 궁극적으로 책임을 져야 함을 인지하고, 각자의 리더십 역량을 발전시키기 위해 솔선수범하고 다른 조직구성원의 리더십도 촉진하며, 동료들과 원활한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공식적·비공식적 연결망을 구축해 주는 의료기관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임상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은 궁극적으로 간호의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기여함을 고려해 볼 때, 간호조직의 관리자는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지원 및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극적인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중학교 국어과에서의 쓰기 윤리 교육 연구 : 보고서 쓰기를 중심으로

        김미정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research sought for the report writing and plan that integrated the writing ethics and that it educates.After the write ethics was obeyed in the situation to write through the process where it underwent the temptation of the write ethics violation in the process where the students write the composition actually and overcomes that after and the attitude of 2,009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 of education writing domain analyze the part related to 'the ethics of the writing' and the category of the write ethics being Jisikha, and setting to the function and attitude, the concept of the write ethics was defined as 'the working it quotes the writing of the other man or data correctly, which distorts the fact or it doesn't exaggerate, in which it writes the composition as the attitude which is sound and where there is the sense'.And it considered to the direction designing the class for the writing ethics education based on the content-area of three categories in 2,009 course of educations where it analyze the writing which th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 2 grade 1 term 4 member deal 'the ethics of the writing' standard of accomplishment is honest and truthful writing and the students planned the class for the writing ability cultivation required for the daily life and it was first and sets and writing ethics education.It progressed through one term in Namyangju P middle school against 5 class, 166 people in 2015 3 month ~8 month.In order to proceed with the class in the total nineth o'clock, it plann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write ethics education. To use the preliminary inspection in the second in the first in the write notion of ethics and write ethics covenant it planned with the presentation and evaluation in 3~8 rounds in the report write and write ethics education operation and nineth.The process-centered way in which it proceeded with the report writing based on the model to write and at the same time it can educate the writing ethics was expressed with 'the write ethics model according to the recognizable process of the composition' and the writing ethics clas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urse.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analyze.The survey was the same with following and firstly, took care of the write ethics and spared much time and the result that the survey conducted the survey of 2 kind (the writing ethics fact-finding survey and writing ethics response examination)s in the total 3 numbers (after the before class and class immediately after and term are changed) and gets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described in the above didn't make the special program. While it was effective in the write ethics education of the students and the factor in which it affects the effect that secondly it is the most abundant in the changes of the write ethics recognition the report write education and class which it proceeds simultaneously with the write ethics education used the report in a short time directly, relatively, it checked to be the invisible mending or distortion and process where the survey didn't exaggerate and writes the composition.Through this, it ends up as the knowledge at the knowing. It can know that it can cultivate the power in which it obeys the write ethics through the practice which undergoes the various troubles in the process directly and it writes actually obeys the write ethics and thirdly, the trouble that the students feel materially from the process where it obeys the write ethics is 'one which copies or which it doesn't mend invisibly' and 'one which distorts data or which it doesn't exaggerate'.This content of education was stated in the standard of accomplishment of the curriculum. But since feeling the difficulty still even after learning, elementarily on the writing ethics was realizing the students theoretically so that there was the need that this content of education broke away from the one-shot education and the education has to proceed continuously and it could obey the writing ethics. And the conscience that it obeys the writing ethics by oneself was important. However, it could know that teacher emphasized on the writing ethics and the factor external of the back reflected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grade works much.Therefore, when investigation of study and training for teacher program in which the teacher of all subjects can have the education and evaluation when presenting the technical goal of the invention or learning activity to the students the write sense of ethics will be needed. 본 연구는 보고서 쓰기와 쓰기 윤리를 통합하여 교육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학생들이 실제 글을 쓰는 과정에서 쓰기 윤리 위반의 유혹을 겪고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이후의 글쓰기 상황에서도 쓰기 윤리를 지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2009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의 태도에서 ‘쓰기의 윤리’와 관련된 부분을 분석하여 쓰기 윤리의 범주를 지식, 기능, 태도로 설정한 뒤, 쓰기 윤리의 개념을 ‘다른 사람의 글이나 자료를 올바르게 인용하고, 사실을 왜곡하거나 과장하지 않고, 건전하고 책임감 있는 태도로 글을 쓰는 활동’으로 정의했다. 그리고 ‘쓰기의 윤리’ 성취기준을 다루고 있는 중학교 국어교과서 2학년 1학기 4단원 정직한 글, 진실한 글을 분석하여 학생들이 일상생활에 필요한 글쓰기 능력함양을 위한 수업을 구상하였다. 앞서 설정한 2009 교육과정에서의 세 가지 범주와 쓰기 윤리교육의 내용영역을 바탕으로 쓰기 윤리교육을 위한 수업을 설계하는 방향으로 고찰하였다. 남양주 p중학교에서 5개 반 166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8월까지 한 학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쓰기 윤리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총 9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도록 계획하였고, 1차시에 사전검사를, 2차시에 쓰기 윤리 개념 및 쓰기 윤리 서약서 쓰기, 3~8차시에 보고서 쓰기와 쓰기 윤리 교육 활동, 9차시에 발표 및 평가로 계획하였다. 과정 중심의 글쓰기 모형을 바탕으로 보고서 쓰기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쓰기 윤리를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을 ‘작문의 인지적 과정에 따른 쓰기 윤리 모형’으로 표현해 보았다. 쓰기 윤리 수업을 과정별로 실시하고,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 해 보았다. 설문 조사는 총 3번(수업 전과 수업 직후, 학기가 바뀐 후)에 걸쳐 2가지 종류(쓰기 윤리 실태 조사와 쓰기 윤리 반응 검사)의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윤리만을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특별 프로그램을 하지 않고,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보고서 쓰기 교육과 쓰기 윤리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는 수업도 학생들의 쓰기 윤리 교육에 효과적이다. 둘째, 쓰기 윤리 인식의 변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직접 보고서를 쓰면서 짜깁기나 왜곡, 과장하지 않고 글을 쓰는 과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쓰기 윤리 교육은 지식적으로 아는 것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실제 글쓰기의 과정에서 직접 다양한 어려움을 겪으며 쓰기 윤리를 지키는 연습을 통해 쓰기 윤리를 지키는 힘을 기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이 쓰기 윤리를 지키는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느끼는 어려움은 ‘베끼거나 짜깁기 하지 않는 것’과 ‘자료를 왜곡하거나 과장하지 않는 것’이다. 이 교육내용은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에도 명시되어 있으나, 학생들은 학습한 후에도 여전히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므로 일회성 교육에서 벗어나 지속적으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쓰기 윤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쓰기 윤리에 대해 이론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며, 스스로 쓰기 윤리를 지키려는 양심도 중요하지만, 선생님이 쓰기 윤리에 대해 강조를 하고 수행평가 점수에 반영 되는 등의 외적인 요소도 많이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국어과뿐만 아니라 모든 과목의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과제나 학습활동을 제시할 때에 쓰기 윤리 의식을 갖고 교육과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 쌍곡평면의 성질에 관한 연구

        김미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R^2 의 개원판 { ( u, v ) | u² +v² <4r² } 에 거리 < u , w >= u · w / h² (단, h= 1- u² +v² /4r² ) 이 주어질 때, 그 개원판을 쌍곡평면이라하고 H(r) 로 나타낸다. 그때, H(r) 은 상수곡률K=- 1/ r² (Pro.2.3) 을 갖는다. 쌍곡평면에 관한 여러 가지 성질을 찾아낸 기존 정리들 가운데, 몇 개의 주목할 만한 정리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cf.[6]) 정리 3.1 쌍곡평면 H(r) 에서 측지선들은 원점을 통과하는 직선들과 H(r) 의 림 (rim) 에 수직인 원들의 H(r) 내의 일부분들이다. 정리 3.2 반지름이 r 인 쌍곡평면 H(r) 상에서 길이가 a, b, c인 측지선의 선분들로 둘러싸인 삼각형이 있다. 그 삼각형의 꼭지점 p 의 내부의 각을 θ 라 하고, θ와 마주보는 변의 길이를 a라 하면, cosh a/r = cosh b/r cosh c/r -sinh b/r sinh c/r cosθ. 거리< u , w >= u · w / v²을 갖는 반평면 P = {( u, v )| v >0}를 Poincare' 반평면이라 한다. 정리 3.3 쌍곡평면 H(1)와 Poincare' 반평면 P 는 등거리 이다. 정리 3.4 Poincare' 반평면 P 상에서 측지선들은 u축에 수직인 직선과 u축에 중심이 있는 반원들이다. 이상의 4개의 정리의 별도 증명을 얻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