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과학 교과서 내용 중 기체 발생 실험의 개선에 관한 연구

        김미영 서울교육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논문은 초등학교 6차 교육과정 교과서 내의 기체 발생 실험의 개선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산소와 이산화탄소 발생 실험에서 6학년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설문을 통해 정확한 약품의 양과 농도가 제시되지 않아 실험이 잘 안되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역류와 약품의 낭비 등의 문제점이 있어 교사들과 학생들의 실험지도와 수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역사적으로 산소와 이산화탄소 발생실험의 변천과정을 분석하고, 미국과 일본의 기체 발생 실험에 관한 내용을 비교하였고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발생실험을 정확히 실행하여 수업에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조건들을 다음과 같이 알아내었다. 산소 발생실험에서는 7% 과산화수소 100㎖와 이산화망간 1g으로 20분 정도의 시간으로 성질 실험에 사용할 충분한 산소를 모을 수 있었으며 과일과 야채를 이용한 산소 발생실험에서는 여러 가지 중에서 감자가 산소를 가장 잘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기병 하나 정도 모아 생활 속의 재료로도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보여줄 수 있다. 이산화탄소 발생실험에서는 석회석과 염산을 이용한 방법에서는 묽은 염산의 농도가 5%이하 일 경우와 석회석의 양이 10g이하에서는 지나치게 시간이 많이 걸렸으며 7.5%묽은 염산 80㎖와 석회석 30g을 사용하였을 때 약 20분 정도의 시간에 성질 실험에 사용할 충분한 이산화탄소를 모을 수 있었다. 식초와 탄산수소나트륨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발생실험에서는 반응도 활발하며 탄산수소나트륨 10g정도와 식초 약 150㎖정도로 성질 실험에 사용할 충분한 이산화탄소를 모으는데 걸리는 시간도 15분을 넘지 않아 염산과 석회석을 이용한 실험보다 반응의 활발성과 안전성 및 실생활 재료 이용 등의 유리한 점이 있음을 알아냈다. 교사들이 산소와 이산화탄소 발생 실험을 지도하면서 어려움을 느꼈던 점이 안전하게 실험이 잘 되는 약품의 양과 농도의 제시였었는데 이에 본 연구에서 한 실험으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안전하면서도 약품의 낭비와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으며 모으는 시간도 절약하며 실험 시간도 단축할 수 있는 정확한 실험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실생활 재료를 이용한 산소와 이산화탄소 발생실험의 수업활용 가능성도 알아보았다. This is the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experiment on gas production in the textbooks of the Six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Especially, in the experiment on oxygen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 I found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in the teacher's experiment guidance and the student's performance through the question from the teachers who have the experience in teaching sixth year students. As the textbook doesn't suggest the accurate quantity and concentration of chemicals, it is not easy to obtain the successful results from the experiment as well as it takes much time to make an experiment. And there are a few problems such as a backward and the waste of chemical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the historical change in the experiment on oxygen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 and the contents on the gas production experiment in both America and Japan's science textbooks. And then I found the efficient conditions affording to apply to the class through performance of the accurate experiment on oxygen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 as follows. 1. In the experiment on oxygen production enough oxygen to use for the property experiment was collected under the condition that is about 100㎖ of 7% hydrogen peroxide and 1g manganese dioxide taking about 24minutes. From the experiment on oxygen production using fruits and vegetables I found potatoes are the best material to produce oxygen. That is, we can use the materials taken from real life to produce oxygen. 2. In the experiment on carbon dioxide enough carbon dioxide to use for the property experiment was collected under the condition that is 5% or less weak hydrochloric acid and 10g or less limestone taking time excessively, otherwise it was also collected under the condition that is 80㎖ of 7.5% weak hydrochloric acid and 30g limestone taking about 18minutes. From the experiment on carbon dioxide production using vinegar and sodium hydrogen carbonate I found the reaction of carbon dioxide was collected under the condition that is 10g sodium hydrogen carbonate and about 150㎖ vinegar taking 15minutes is much more active than that of carbon dioxide gathered from limestone and hydrochloric acid. That is, the materials such as vinegar and sodium hydrogen carbonate taken from real life have the advantage of activity and safety. As I mentioned above the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guiding the experiment on oxygen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 because the textbooks don't show accurate quantity and concentration of chemicals. So this study established an accurate experimental condition to be able to save time for collecting gas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as well as preventing the waste of chemicals and examined possibility for utilizing the materials taken from real life for the experiment class on oxygen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 through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 made.

      • 신체움직임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과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김미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신체움직임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과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유아교육 현장 적용의 타당성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신체움직임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신체움직임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에 소재한 Y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 이었다. 유아의 음악적성(음정감과 리듬감)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는Gordon(1979)이 개발한 PMMA(The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를 이헬렌(200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음악적 창의성은 Wang(1985)이 개발한 MCSM(Measures of Creativity in Sound and Music)을 허순희(1996)가 번안한 것을 재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와 사전검사, 6주간의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실험처치 전, 사전검사를 통해 음악적성과 창의성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본 후, 실험집단은 신체움직임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을, 통제집단은 조형 활동 중 음악 감상활동을 주 2회씩 6주 동안 총 1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신체움직임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과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집단 간 사전, 사후 검사의 점수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증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움직임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조형 활동 중 음악 감상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유아의 음악적성 점수에서 높은 평균을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의 음악적성 능력의 하위영역인 '음정감'과 '리듬감' 검사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고 집단 간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신체움직임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조형 활동 중 음악 감상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 점수에서 높은 평균을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의 하위영역인 '음악적 유창성', '음악적 상상력,' '음악적 독창성'검사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고 집단 간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움직임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이 조형 활동 중 음악 감상활동보다 유아의 음악적성과 음악적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의미있는 활동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신체움직임을 통한 음악감상을 실시하는 것이 유아의 음악적성과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 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ffects of music appreciation activity through body movement on young children's musical aptitude and creativity and to discuss validity of its application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it set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Question 1. What is the influence of music appreciation activity through body movement on young children's musical aptitude? Question 1. What is the influence of music appreciation activity through body movement on young children's musical creativity? Subject of this study was five-year old 40 children attending Y kindergarte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20 for experimental group and 20 for control group). As research tool for measuring young children's musical aptitude (sense of tune and rhythm), PMMA developed by Gordon in 1979 and adapted and revised by Lee Helen (2004) was used. MCSM developed by Wang (1985) and adapted and recomposed by Huh Sun-Hee (1996) was used as the tool for measuring young children's musical creativity. Experimental procedures consisted of preliminary research, pre-test, experimental measures for 6 weeks and post-test. Homogeneit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examined through pre-test before experimental measures and then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motions through body movement through 12 times, twice a week, for six weeks. To verify effects of motions through body movement on young children's musical aptitude and creativity, scores of pretest and post-test between both groups were analyzed with t-test using SPSS program.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ost-test with experimental group having direct music appreciation activity through body movement and control group having indirect music appreciation activity through formative activities such as making and painting, young children's musical aptitude ability in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ests of sense of tune and rhythm which are sub-factors of young children's music aptitude ability, experimental group conducting music appreciation activity through body movement was higher with significant difference than control group conducting indirect music appreciation activity through formative activities. Second, as a result of post-test with experimental group having direct music appreciation activity through body movement and control group having indirect music appreciation activity through formative activities such as making and painting, young children's musical creativity in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ests of sense of musical fluency, musical imagination and musical origin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young children's musical creativity, experimental group conducting direct music appreciation activity through body movement was higher with significant difference than control group conducting indirect music appreciation activity through formative activitie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irect music appreciation activity through body movement is significant activity to improve young children's musical aptitude and creativity.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music appreciation activity through body movement should be applied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a view to enhance their musical aptitude and creativity.

      • 뇌기반 인성교육이 정신지체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와 대인관계 전략에 미치는 효과

        김미영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effects the brain-based humanism education has on self-esteem, peer relationship, and interpersonal-relation strategy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pecific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it examines effect of brain-based humanism on self-esteem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it examines effect of brain-based humanism on peer relationship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ird, it examines effect of brain-based humanism on interpersonal-relation strategy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sampled 2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ho can perform brain-based humanism education, among students within the special class for P elementary school where is located in Donghae of Gangwon-do Province. The brain-based humanism,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is what reconstituted 'brain-education humanism,' which was developed by Brain Education Institute, Korea, in line with the research subjec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brain-based humanism education on self-esteem, peer relationship, and interpersonal-relation strategy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t carried out K-WISC-Ⅲ and social-maturity test(Kim Seung-guk, Kim Ok-gi, 1995). The brain-based humanism education was carried out 25 times by 40 minutes. To examine a change, it carried out pre-test, test under intervention, and post-test. To examine self-esteem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elf-esteem questionnaire was used. To examine peer relationship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peer-relationship questionnaire(for teacher) was used. Pre-and-post test was performed. Its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o examine a change in interpersonal-relation strategy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target behavior in children of research subjects was measured 5 times before, 25 times during the intervention, and 5 times after. Researcher and 1 assistant observer observed and recorded it on the evaluation table for the interpersonal-relation strategy standard during the breaking time (20 minutes) for the 2nd sequential time and during the lunch time(20 minutes). Its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results that were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First, the brain-based humanism education enhanced self-esteem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namely, general self-esteem, self-esteem at home, self-esteem at school, and social self-esteem. Second, the brain-based humanism education enhanced peer relationship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namely, sociality, instruction, stability, competence, and cooperation. Third, the brain-based humanism education had positive influence upon the use of interpersonal-relation strategy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Given making conclusion of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brain-based humanism education has effects on enhancement in self-esteem and improvement in peer relationship and interpersonal-relation strategy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ccordingly,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being able to enhance self-esteem and further to improve peer relationship and interpersonal-relation strategy through offering brain-based humanism education that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can acquire with own body and mind while directly experiencing and being active.

      • 섬유매체를 활용한 만다라 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김미영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에게 섬유매체를 활용한 만다라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자기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섬유매체를 활용한 만다라 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표현 사전 · 사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섬유매체를 활용한 만다라 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K-HTP 사전 · 사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섬유매체를 활용한 만다라 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회기별 활동에 나타난 자기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시 G 지역아동센터의 담당자가 의뢰한 또래 관계에서 자기표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남, 여가 혼합된 7명의 아동으로 2017년 09월부터 12월 까지 주 1회, 회기 당 50분, 자기표현 척도검사와 K-HTP를 사전 · 사후 검사를 포함하여 회기별 활동 총 17회기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통제 집단 아동도 남, 여가 혼합된 7명의 아동으로 이들에게는 어떤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함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섬유매체를 활용한 만다라 미술치료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그렇지 않았던 통제 집단에 비해 자기표현 척도를 사전 · 사후로 비교 분석한 결과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섬유매체를 활용한 만다라 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K-HTP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K-HTP를 사전 · 사후로 비교 분석한 결과 K-HTP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섬유매체를 활용한 만다라 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회기 별 프로그램에서 초기에는 주의집중하지 못하여 산만한 태도를 보이고 활동에 대해서도 자신을 드러내는 것에 소심한 태도와 방어적 태도를 보였고 위축된 행동을 보였었다. 회기가 진행될수록 점차 자신을 긍정적으로 드러내고 자기를 수용하면서 활동에도 집중하여 빠져들고 타인의 작품에 공감하는 모습을 통해 타인에 대한 수용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완성된 자신의 작품에 대해 애착을 가짐으로 자기표현에 자신감을 갖고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할 수 있는 자기계발과 미래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를 통해 섬유매체를 활용한 만다라 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표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andala art therapy using a fabric media on the self-expression of elementary upper grades students. Hence,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does Mandala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a affect both ex-ante and ex-post actions of self-expression of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Second, how does Mandala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a affect both ex-ante and ex-post actions of K-HTP of upper grade students? Third, how does Mandala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a affect each session of actions of self-expression of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ere 7 children of both gender who have problem with self-expression requested by the person in charge of Gwangju G district child-care center.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17 sessions, from September to December of 2017, once a week, and 50 minutes per session. Control group without treatment was also consisted with 7 children of both gender. Following are summarization of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First, the experiment group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Mandala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a has improved their self-expressive act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 group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Mandala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a has improved their K-HTP as well. Third, the experiment group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Mandala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a has improve their self-expressive acts in the beginning of Mandala art therapy sessions, the children had difficult time paying attention and were passive and defensive with their self-expressing acts. However, as sessions continue, children positively expressed themselves, paid attention to the activities, and sympathized to other people’s work of art. Also children become attached to their work of art and confident of self-expressing and forming positive feedbacks for the future to pursue happiness while in self-development. Therefore, we conclude that Mandala art therapy using fiber media has positively affected self-expression of upper-grade elementary students.

      •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사과, 거절 화행 연구

        김미영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Currently Korea's English education i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and it focuses on the practical use of English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in real use. That is the mainstream as the same with prior research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that emphasizes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pragmatic function. Although various studies on the speech act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their participants are mostly native groups and Korean groups learning English. Especially in the research of textbooks, researchers have dealt with only textbooks without the comparison between speaker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compares speech acts of apology and refusal from three groups such as high school textbook,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For textbook analysis, the use of listening scripts and dialogue, in five published high school textbooks, apology and refusal speech acts in the collected textbooks were examined. Speech act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native speakers were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for apology and refusal. The number of respondents is 30 in total: the participants are 10 native speakers, 10 girls and 10 boy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textbook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use only a few strategies for apology and refusal. The strategies they used were also not diverse according to the three variables of social distance, power and imposi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igh school students's learning is considerably affected by their textbooks. Secondly, in textbooks, there is a lack of variety of speech acts in listening scripts and dialogue. So the high school students have no chance to learn multiple situations in order to communicate appropriately and naturally. The result of questionnaire analysi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native speakers and high school students. One of the remarkable differences is about the use of the sorry statement: 'I am sorry', etc. In the case of a situation that uses two more variables, native speakers use heavier and more serious expressions of sorry statement such as 'I am really sorry'. High school students, no concerning the given variables, use only 'I'm sorry' of the sorry statement in most situations. The other difference is, when high school students speak the speech acts of apology and refusal, they do not use various strategies like those of native speakers. Consequently, the findings discussed as above suggest that the textbooks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a lack of understanding various cultures and customs in other countries. Therefore, future English education will need the foundation of learning various cultures in order for students to communicative appropriately.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educational circumstances where they feel and understand the cultural and social features by themselves. Also they need to learn how to express themselves appropriately across various communicative situations and among different interlocutors.

      • 인트라넷에서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POSDATA 인트라넷 'WEB-POS'디자인 분석을 중심으로

        김미영 숙명여자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Man has been able to acquire much information more easily and quickly than ever before thanks to the developement of moder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s the developement of communication methods has progressed by stages from the face to face in the primitive age to various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 modern times, it has accompanied a problem as well as convenience. The problem is the new form of alienation 현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간은 보다 쉽고, 빠르게 많은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되었다.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과거 원시시대의 face-to-face에서부터 현재의 각종 유무선통신까지 여러단계로 발전해 옴에 따라, 편리함과 함께 크고 작은 불편함과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그 문제점은 기계문명의 발전으로 기계가 블랙박스 화됨으로써 발생한 새로운 소외의 형태인 인간과 기계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의 벽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인간과 기계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의 벽을 해소하기 위해 인간과 기계가 접하게 되는 접점(接點)인 인터페이스를 얼마나 잘 디자인하느냐가 더욱 중요시된다. 현대 산업사회에 있어 기업은 보다 빠르고 정확하면서도 많은 양의 정보를 교환할 필요를 느끼게 된다. 인트라넷은 설치에 드는 비용이 저렴하고 Up-grade가 용이하여, 이러한 기업의 필요에 적절히 부응하는 것이다. 인트라넷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직관성, 심미성, 일관성, 간결성 등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하에 수행되어야 한다. 즉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쉽게 느낄 수 있고, 화면의 아름답게 느끼게 하며, 일관성을 갖추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수행하면서도 기업의 CI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특히 간결성의 문제에 있어, Web-Pos는 인터넷 브라우저로 네스케이프를 사용하는 데, 이는 화면의 구성에 있어 상단 부분이 복잡해지는 단점을 유발하게 된다. 설문조사에서도 오동작이 화면상단의 아이콘에서 집중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화면 상단의 아이콘이 보다 간결하면서도 직관적으로 인식가능케 할 필요가 있다. Web-Pos는 각종 기능들을 왼쪽 사이트맵에 클립형태로 분류하여 navigation측면에서 사용자에게 자신의 위치와 목적점을 정확히 제공하고 있다. 한편 복잡한 것으로 평가되는 결재나 문서함화면에서는 아이콘을 보다 간결하게 처리하고 불필요한 기능들을 하이퍼 텍스트형식으로 처리하거나 과감히 생략함으로써 화면의 간결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색채의 사용은 기능별로 고유한 색을 채도와 명도를 달리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화면의 구성에도 CI개념을 도입하여 기업의 Identity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사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분석을 바탕으로 인트라넷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간결한 화면의 구성, 사용자에게 친숙하면서도 기업의 CI에 기여하는 색채의 사용, CI에 기여하는 화면구성, 외부정보와의 원활한 교환을 제언하였다. 기업의 필요에 의한 많은 정보의 구현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사용케 하는 간결함이라는 두 명제의 접점을 찾는 것이 바로 인트라넷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사명이라 할 수 있다. 주요어: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User-Interface Design), 인트라넷, Web-Pos, 직관성, 간결성

      • 제7차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내 보조자료의 활용실태 : 유럽 봉건사회 단원의 보조자료를 중심으로

        김미영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세계화 환경에서 다른 나라의 문화와 역사를 알아야 하는 것은 자국의 역사교육만큼 중요한 일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세계사 교과목은 오래전부터 기피 대상이 되고 있다. 이렇게 세계사 교육의 확대의 장애가 되는 요인 중 하나는 세계사 교과서가 역사학습의 매체로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세계사 교과서는 암기위주의 역사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스스로 역사가의 경험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었고, 6차 교과서와 비교하여 사진?그림?읽기자료?사료 등 보조 자료가 늘어났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세계사 교과서 내 보조자료를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설문조사를 토대로 활용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유럽의 봉건사회 단원의 삽화?지도?읽기자료?인물소개?탐구활동?사료를 대상으로 하여, 학생?교사에게 설문조사 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사 교과서 내 보조자료의 역사용어와 서술체계에 대해 교사?학생 모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좀 더 쉬운 용어와 다양한 서술체계 사용을 희망한다. 둘째, 세계사 교과서 내 보조자료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여 보조자료를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셋째, 세계사 교과서 내 보조자료는 학생별 수준에 따라 자기주도형 학습을 할 수 있는 교재로는 부적합하다. 그 이유는 학생들의 수준에 대한 고려가 미흡했기 때문이다. 위의 설문조사 분석 결과와 같이 제7차 교육과정의 의한 세계사 교과서 내 보조자료는 여러 개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세계사 교과서 제작과정에서 사용자인 학생?교사의 시각이 균형 있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Learning about other country's culture and history in the globalized environment is as important as learning one's own history. However Korean world history class has long been an object of evasion. One of the reasons behind why world history education expansion has been hindered is because world history textbook is not functioning fully as the method of history education. The history textbook according to the 7th course of education was improved so that the students could experience what the people in the history have experienced for themselves instead of learning history by memorizing facts. Compared to that of the 6th education course this history textbook has more numbers of supplementary data such as photos, pictures, reading materials and historic records. This research intends to find out about the status of use based on the surveys regarding how the supplementary data in the world history textbook of the 7th course education is being used at schools. European feudal chapter's picture, maps, reading material, introduction of famous people and historical records were the research subjects and students and teachers were survey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oth the teachers and students feel uneasy about the historical wordings and the written structure within the supplementary data of the history textbook and wishes for an easier rhetoric and writing structure. Secondly, explanation about the supplementary data in the history textbook was insufficient where it made the use of those materials difficult. Thirdly, supplementary data in the history textbook is unfit for self-led educa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student's knowledge since the consideration of such level of students were not taken into sufficiently. As the abov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shows, despite many improvements the supplementary data in 7th course history textbooks still show difficulties when being used at the school scenes. In order to take care of such a problem the perspectives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both in balance, should be reflected in the process of history textbook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