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문화이론에 기반한 영어교과서 분석

        김미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지적 접근에 입각한 제2언어 학습의 한계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사회문화적 접근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사회·문화적 맥락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개인의 지식습득 과정에만 초점을 맞춘 인지주의의 입장을 Vygotsky의 사회문화이론(Sociocultural Theory)의 고찰로 그 단점들을 보충할 수 있게 되었다. 사회문화이론은 개인의 고등정신발달이 주변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보았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매개체로서 작용하는 도구로는 ‘언어’를 꼽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발달과 학습을 이룰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사회문화적 관점들이 현재 우리나라 영어교육현장에 얼마나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교수-학습 상황에서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하는 교과서를 먼저 살펴보아야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EFL 상황에서는 교과서의 역할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교수의 토대가 되는 교과서에 사회문화적 요소들이 제대로 반영되어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과서 평가지표를 개발해야한다. 기존의 평가지표들을 살펴본 결과 사회문화이론에 입각한 평가지표는 찾아볼 수 없었기에 새로운 평가지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개발된 평가지표의 항목들은 모두 사회문화이론의 기본 개념들을 토대로 구성되도록 하였으며, 이 평가지표를 사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6종을 분석하였다. 영어교과서 6종 모두 전반적으로 사회문화적 요소들의 반영 정도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가 부분에서 가장 반영 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연구자의 분석결과가 타당한지 알아보기 위해 다른 평가자의 분석결과와의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일치 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영어학습 상황에서는 사회문화적 요소들이 매우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사회문화이론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것이며, 교육과정에서 본 이론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연수와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본 이론이 교수-학습 상황에서 적절한 방향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 영향요인

        김미래 아주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환자중심간호이론(McCormack, McCance, 2006)에 기반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 및 간호근무환경의 수준을 파악하고, 환자중심간호에 대한 유의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경기도 소재 2개 대학병원의 7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20일부터 5월 13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은 Jenkins (1985)가 개발하고 백미경(2004)이 번안 및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은 Slatore 등(2012)의 연구에 기반해 양유리(2013)가 개발하고 박영수(2016)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근무환경은 Lake (2002)가 개발하고 조은희 등(2011)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환자중심간호는 Suhonen 등(2008)이 개발하고 이재은(2015)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는 85점 만점에 평균 60.52점,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은 200점 만점에 평균 132.09점,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은 114점 만점에 평균 81.90점, 간호근무환경은 116점 만점에 평균 76.79점이었다. 2)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는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r=.450, p<.001),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r=.721, p<.001) 및 간호근무환경(r=.267, p=.002)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3) 다중회귀분석 결과, 종속 변수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에 대해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 간호근무환경을 포함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56.440, p<.001), 설명력은 56.0%(R2=.560)였다. 대상자의 환자중심간호에 대한 유의한 영향요인은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β=.632, p<.001),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β=.156, p=.016), 간호근무환경(β=.128, p=.031)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 향상을 위해 간호사 개인의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 역량과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을 키우고 병원 조직적으로 간호근무환경을 개선하는 등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중재 전략 개발을 제언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환자중심 간호서비스의 제공을 통한 환자중심 건강 결과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patient-centered care of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April 20 and May 13, 2022 from 150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of two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in Gyeonggi province,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ncluded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y”,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Patient-centered car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aylsis of variance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8.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of the participants’ patient-centered car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were 60.52±8.35 out of 85, 132.09±7.76 out of 200, 81.90±9.44 out of 114 and 76.79±10.15 out of 116, respectively. 2) The patient-centered care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r=.450, p<.001),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e (r=.721,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r=.267, p=.002). 3)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patient-centered care of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mpetency (β=.632, p<.001),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β=.156, p=.016),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β=.128, p=.03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56.0% (R2=.560, F=56.440, p<.001). Based on our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various strategies for nurses to effective individual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clinical decision-making skills, and to improve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This c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atient-centered health outcomes through the provision of patient-centered nursing care.

      •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본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의 공손 표현으로서 언어적 완화 장치 생산 양상 연구

        김미래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time to consider more and deeply into Korean education considering cultural diversity. In particular, in Asia and Europe, languages ​​and cultures are different, and in particular, in terms of polite expression, Asia and Europe have great cultural differences. As a country that has been steadily interested in learning Korean, the Netherlands is a country with sufficient research valu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until now, study of Dutch Korean learners has been barely found.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jection act, which has a high potential for face threat,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psychological burden and the use of linguistic mitigation as a polite expression when Korean language speakers and Dutch Korean learners produce speech acts. In Chapter I, after summarizing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e reviewed studies on dialogue act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cross-cultural pragmatics and studies on mitigation as a polite expression. An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They ar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verbal and grammatical mitigation of the two experimental groups?,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burden perception and the use of linguistic mitigation in dialogue acts with high face threa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psychological burden perceived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frequency of verbal relaxation devices used in the speech act were correlated. Chapter Ⅱ summari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ultur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Netherlands. It also describ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mitigation device as a polite expression. And based on previous studies, a framework for analyzing linguistic relaxation devices to be used as an experimental tool in this study was prepared. Chapter Ⅲ suggested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The study procedure and experiment participant information were described, and proficiency testing and situation probabilities were investigated for this experiment. Through the pre-burden survey, six situations in which different burden-response results can be expected were selected, and based on this, an experimental tool to be used in this experiment was created. This experiment was composed in the form of online role-play, and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preliminary experiments. Subsequently,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25 Korean native speakers and 25 Dutch middle and high-level Korean learners. There are two types of data collected through experiments. First, it is the perceived burden of dialogue acts perceived by the subject in six rejection situations. During the role-play experiment, responses were collected by converting them into burden scores through the Likert 5-point scale questionnaire. Second, it is a lexical and grammatical mitigation device used in the rejection dialogue produced by the test subject in six rejection situations, and the data recorded in this experiment was transferr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work established in Chapter Ⅱ. Chapter Ⅳ present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nd summarizes their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Study Question 1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vocabulary mitigation system, the mother speaker group produced more than the learner group,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for the difference in the total frequency of use among the groups. In terms of usage type, both the talker group and the learner group used the weakened type and the apple type a lot, and the avoided type the least. The more Korean speaker group produced more gratitude and hesitation than the learner group. The grammatical mitigation system also produced more spoken groups than the learner group,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otal frequency of use among the groups. When looking at the type of use, both the spoken group and the learner group used a lot of evidence type and guess type, and less positive type. The mother speaker group used about twice as many question types as the learner group. The results of Study Question 2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average of the psychological burden scores for each situation was compared, the burden scores of the learner group in situation 2 and situation 4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peaker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situations, the relatives wer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social status was higher than the listener. Analyzing this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Korean language speakers who lived in Confucian culture felt less of a psychological burden of rejection if their social status was lower than themselves, while Dutch Korean learners who valued equality and personal acquaintance refused. It can be seen that the psychological burden is relatively high. Nex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eech act burden and the frequency of production of the language mitigation devic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verage burden of each situation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language mitigation devic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wo factors in both groups.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igh burden and the high frequency of using the language mitigation device are relat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variables through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burden score has an effect on the production of verbal mitigation devices. Since this study only targets rejected speech acts, it remains a limitation that it has not been observed until the use of verbal mitigation devices produced in a variety of face threat acts.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may be that the generalization of results is difficult due to the small number of populat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urden and the type of use of the mitigation device has not been analyzed. Nevertheles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targets Dutch Korean learners who have been studied so far.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it was intended to explain the activist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group based on the cultural specificity through the approach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rather than just a fragmentary approach to the acquisition of Korean acting and activism. 바야흐로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고찰이 더 많이, 그리고 깊이 필요한 때이다. 특히 아시아와 유럽은 언어와 문화가 상이하며, 특히 공손 표현에 관련된 부분에서 아시아와 유럽은 그 문화적 차이가 무척 크다. 꾸준히 한국어 학습에 관심을 가져온 나라로서, 네덜란드는 한국어 교육 분야의 연구 가치가 충분한 국가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면 위협 가능성이 높은 거절 화행을 기제로 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와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가 화행을 생산할 때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과 공손 표현으로서의 언어적 완화 장치의 사용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정리한 후,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논의된 화행 관련 연구들과 공손 표현으로서의 완화 장치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두 가지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 문제 1은 ‘체면 위협 부담이 높은 화행에서 한국인 모어 화자와 네덜란드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적 완화 장치 생산 양상에 차이가 있는가?’이며, 두 실험 집단의 어휘적·문법적 완화 장치 사용 빈도와 유형을 각각 살펴 서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 2는 ‘체면 위협 부담이 높은 화행에서 한국인 모어 화자와 네덜란드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심리적 부담감 인식이 완화 장치 생산 양상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가?’로, 체면 위협 부담이 높은 화행에서 두 실험 집단이 인식하는 심리적 부담감과 그 화행에서 사용된 언어적 완화 장치 사용 빈도가 서로 연관이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비교문화적 화용론과 한국-네덜란드 사이의 언어·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또한 공손 표현으로서의 완화 장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실험 도구로 사용할 언어적 완화 장치 분석 틀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 절차와 실험 참여자 정보를 기술하고, 본 실험을 위한 숙달도 검사와 상황 개연성 조사에 대해 서술하였다. 사전 부담도 조사를 통해 서로 다른 부담도 응답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6개의 상황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실험에 사용할 실험 도구를 만들었다. 본 실험은 온라인 역할극(online role-play) 형태로 구성되었으며 예비 실험을 거쳐 수정 및 보완되었다. 이후 한국어 모어 화자 25명과 네덜란드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 25명을 대상으로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두 가지이다. 첫째, 6개의 거절 상황에서 피험자가 인식한 화행 부담감이다. 역할극 실험을 진행하면서 리커트 5점 척도 설문을 통해 부담도 점수로 환산하여 응답을 수집하였다. 둘째, 6개의 거절 상황에서 피험자가 생산한 거절 화행에 사용된 어휘적·문법적 완화 장치로, 본 실험에서 녹음된 자료를 전사한 후 Ⅱ장에서 구성한 분석 틀에 맞추어 유형별로 분류되었다. Ⅳ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대한 해석을 정리하였다. 연구 문제 1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휘적 완화 장치의 경우, 모어 화자 집단이 학습자 집단보다 더 많이 생산하였으며 집단 간 총 사용 빈도 차이에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사용 유형을 보면 모어 화자 집단과 학습자 집단 모두 약화형과 사과형을 많이 사용하였고, 회피형을 가장 적게 사용하였다. 모어 화자 집단은 감사형과 주저형을 학습자 집단보다 더 많이 생산하였다. 문법적 완화 장치 역시 모어 화자 집단이 학습자 집단보다 더 많이 생산하였으나, 집단 간 총 사용 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사용 유형을 살피면 모어 화자 집단과 학습자 집단 모두 근거형과 짐작형을 많이 사용하였고, 긍정형은 적게 사용하였다. 모어 화자 집단은 학습자 집단에 비해 약 2배 많은 질문형을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 2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각 상황별 심리적 부담도 점수의 평균을 비교했을 때 상황 2와 상황 4에 학습자 집단의 부담도 점수가 모어 화자 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상황은 모두 친소 관계에서 친한 사이, 사회적 지위에서 화자가 청자보다 높은 상황이었다.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이를 분석한다면, 유교 문화권에서 살아온 한국어 모어 화자는 청자의 사회적 지위가 자신보다 낮으면 거절에 있어 심리적 부담감을 낮게 느낀 반면, 평등주의와 개인적인 친분을 중시하는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는 거절을 할 때 비교적 심리적 부담감을 높게 느낀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으로 화행 부담도와 언어적 완화 장치 생산 빈도의 상관관계 및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상황별 평균 부담도와 언어적 완화 장치 사용 빈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두 요인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즉, 부담도가 높은 것과 언어적 완화 장치 사용 빈도가 높은 것은 서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단순 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변수들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담도 점수가 언어적 완화 장치 생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거절 화행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체면 위협 화행에서 생산되는 언어적 완화 장치 사용까지는 살피지 못했다는 점이 한계로 남는다. 또한 실험 집단의 개체수가 적어 결과의 일반화가 어렵다는 점, 부담도와 완화 장치 사용 유형과의 상관관계까지 분석하지는 못했다는 점 역시 연구의 제한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단순히 한국어 화행·화용 습득에 대한 단편적인 접근이 아닌, 비교문화적 관점의 접근을 통해 학습자 집단의 화행적 특성을 문화 특수성에 기반을 두어 설명하고자 하였다는 점도 의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그람양성 세균각막염의 원인 균주와 항생제 내성의 변화 추이 및 임상양상

        김미래 영남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람양성 세균각막염에서 시기변화에 따른 그람양성균의 동정양상과 항생제 내성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대표적 균주의 임상양상을 비교해 본 후 그람양성 세균각막염의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8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병원 안과에 내원하여 치료를 시행한 감염각막염 환자 중 미생물 배양검사 상 그람양성균이 동정되어 한 달 이상 경과관찰 하였던 146안 152균주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원인 균주와 항생제 내성은 3년씩 5개 기간으로 나누어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환자 역학과 임상적 특성은 균주에 따라 4개의 군(S. epidermidis와 S. aureus, Streptococcus spp. Enterococcus spp.)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고, S. epidermidis는 methicillin-sensitive S. epidermidis (MSSE)와 methicillin-resistant S. epidermidis (MRSE)로 나누어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가 이루어진 영남지역의 감염각막염 환자에서 그람양성균의 동정률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그람양성균내의 각 균주별 분포는 큰 변화가 없었다. S. epidermidis(48.7%)가 가장 흔한 그람양성균으로서 MRSE가 62.6%로 절반이상을 차지하였고. 전체 그람양성균의 2,3세대 퀴놀론계 항생제의 내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gentamycin내성은 오히려 감소하였다(p=0.01). 또한 농촌인구를 포함하는 지역특성상 외상에 의한 고령의 각막염 환자가 많았으며, 계절은 봄이 많았다. 흔하진 않으나 Streptococcus spp.에 의한 각막염의 경우 각막천공 등의 심한 합병증을 좀 더 흔히 유발하였다. 그람양성 세균각막염의 예후 인자로는 초진 시의 교정시력(<0.1, OR=36.525, p<0.001)과 각막상피재생시간(≥10 days, OR=19.172, p=0.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남지역의 그람양성 세균각막염에 대한 미생물학적, 임상적 특징, 위험인자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향후 본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적절한 약제의 선택과 예후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hifting trends of pathogenic organisms and antibiotics resistance and epidemiological, microbiolog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Gram-positive bacterial keratitis and also to elucidate risk factors for unimproved visual outcomes. The author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146 eyes, 152 isolates in 146 patients with Gram-positive bacterial keratitis between January 1998 and December 2012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was divided into 5 periods for analysis of the bacteriological profiles and in vitro antibiotics resistance. The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in 4 groups: S. epidermidis, S. aureus, Streptococcus spp., and Enterococcus spp.. And the same characteristics were also compared between methicillin-sensitive S. epidermidis (MSSE) and methicillin-resistant S. epidermidis (MRSE). Gram-positive bacterial keratitis has decreased for recent 3 yea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isolates of Gram-positive bacteria. S. epidermidis (48.7%) was the most common and the proportion of MRSE was 62.6%. The resistance to the 2ndand 3rdgeneration fluoroquinolone was high and the resistance to gentamyc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1).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more than sixty years, trauma with vegetable matter and season of spring were not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isolates. The clinical features of keratitis by Streptococcus spp. tended to be more severe than keratitis by other isolates. Risk factors for unimproved visual outcomes included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t initial evaluation (<0.1 snellen visual acuity, OR=36.525, p<0.001) and the epithelial healing time (≥10 days, OR=19.172, p=0.001). The findings of our study have important public health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Gram-positive bacterial keratitis in the local area.

      •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

        김미래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은 어떠한가? 2. 학급집단 응집성은 어떠한가? 3.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지도성의 개념과 변천과정,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이론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배경이론에 근거하여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의 하위요인을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지적자극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학급집단응집성 분석을 위해 학급의 개념과 특징, 학급집단응집성의 개념, 학급집단응집성의 하위요인,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학급집단응집성의 하위요인을 상호작용, 일체감, 학생동기, 학급매력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통해서 두 변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 시내 초등학교 6학년 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질문지와 학급집단 응집성 질문지로 기존에 개발된 설문지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각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질문지의 경우 전체 문항의 Cronbach α 계수는 .85이었고, 학급집단응집성은 .89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 프로그램 (Ver 10.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우선 각 요인별 측정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배경변인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와 F검증을 하였으며 각 집단 간 차이가 있는 부분에서는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은 지적자극, 개별적 배려, 카리스마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성별로는 여자교사, 교직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은 교사, 학교 급지별로는 나 급지, 직위에 따라서는 부장교사,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기혼교사일 경우 학생들이 인식하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급집단응집성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은 상호작용, 학급매력, 일체감, 학생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성별로는 여자교사, 교직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은 교사, 학교 급지별로는 나 급지, 직위에 따라서는 부장교사,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기혼교사일 경우 학급집단응집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지적자극이 학급집단응집성과 상관이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의 전체 수준을 지금보다 높일 수 있는방안과 함께 남자교사가 여자교사에 비해 변혁적 지도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남자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겠다. 둘째, 학급집단응집성의 전체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함께 하위요인에 있어서 특히 일체감, 학생동기 요인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겠다. 셋째,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수준으로 학급집단응집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학급집단응집성을 높이기 위해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겠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 방법의 조사연구에 의한 것이므로 문화기술법(ethnography)과 같은 질적방법에 의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The detailed matters to be studied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2. What is the class group cohes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research study were done at the same time to solve the above matter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the concept 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leadership and the theory of the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ories were examined and the charisma, individual consideration along with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as the subordinate factor of the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ased on this background theory was grasped.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the concept of the class group cohesion, the subordinate factor of the class group cohesion and the effect of the class group cohesion as the theory of the class group cohesion was studied. Based on this theory, the interaction, a sense of unity, student motive and the class attraction as the subordinate factor of the class group cohesion was grasped. And the relation of the two changing factors through the preceding study was examined. To solve the study problem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the 6graders of 600 primary school students in Busan were questioned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questionnaire of the form master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questionnaire were used as the tool of the survey. The reliability of the used questionnaire indicated that the Cronbach'a coefficient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was .85, while that of the class group cohesion was .89.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statistically by the SPSSWIN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 program (Ver.10.0). To address the study problem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used, while t-test and F survey was done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background changing factor and the Scheffe verification was made as a posterior one.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make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urveyed changing factor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know the relative contribution between the changing factors. The results acquired by using this kind of research method are asfollows. First, The overall trend abou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showed the recognition for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charisma in order, while the high recognition for the schoolmistress in gend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nging factor difference, long career teachers according to the teaching profession career, B clas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classification, head teacher according to the title and the married teachers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Second, the overall trend for the class group cohesion showed the recognition for the interaction, class attraction, a sense of unity and student motive in order, while the high recognition for the schoolmistress in gend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nging factor difference, the long career teachers according to the teaching profession career, B clas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classification, the head teachers according to the title and the married teachers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Thir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was interrelated with much meaning and especially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had much to do with the class group cohesion.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Along with the solution to upgrade the overall level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than now, the proper solution to upgrade the innovative leadership of the male teachers should be made since the male teachers showed the lower level of the innovative leadership than the female teachers. Second, Along with the solution to upgrade the overall level of the class group cohesion, the special solution to upgrade the sense of the unity and the student motive factor should be mad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 Third, Sinc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turned out to be interrelated with much meaning, the class group cohesion can be estimated to be reaching to the level of th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furthermore, the solution to upgrad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should be made to level up the class group cohesion. Fourth, This study was made by the questionnaire research and therefore, the follow up research by the qualitative method like ethnography should be made.

      • 개인정보 유출사고의 원인분석을 통한 주요 보안위협 선정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미래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services using personal information,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on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le strong regulation is needed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can only be interpreted as conflicting concepts since deregulation and the application of voluntary regulation are required for utilization. In response, the government has prepared a foundation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while using it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However, such voluntary regulations could lead to the complacent response of the security vulnerable operators. In particular, the minimum protective measures for hacking response by web or mobile applications, which are externally accessible contacts, may not apply. If the government requires the government to apply the voluntary regulation without minimum standards in the event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the operators outside the ISMS certification system will be more likely to take care of security. Therefore, through this thesis, the organization selects the Top 5 security threats, which are classified as cause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ncidents, and provides technical protective measures. 최근 개인정보를 활용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서비스가 발전함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라는 입장에서는 강력한 법 규제가 필요로 하지만, 활용이라는 입장에서는 법 규제 완화와 사업자의 자율적 규제 적용이 요구되므로 보호와 활용은 상충적인 개념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하여 정부는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기술 발전을 위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율규제는 보안에 취약한 사업자의 안이한 대처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외부에서 내부로 접근 가능한 접점인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해킹 대응을 위한 최소한의 보호조치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대기업에서부터 중소기업까지 개인정보 유출 등의 침해사고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최소한의 기준 없이 자율규제 방안을 적용하도록 한다면, ISMS 인증 제도권 외에 있는 사업자들은 보안을 안일하게 대처할 가능성이 높고, 더 많은 침해사고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개인정보 유출사고의 발생 원인 분석과 해당 원인으로 분류되는 주요 보안위협 Top 5를 선정하고, 이를 법적으로 제재할 수 있도록 기술적 보호조치에 관한 대응규제를 개선함으로써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사업자들 모두가 스스로 개인정보 보호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으로 적정한 보안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방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 우연성을 모티브로 한 실험 타이포그래피 연구

        김미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Dadaism, which expressed negative thoughts about society at the time after World War I, presented a new way of art expres sion as a reactance to existing art due to the war; effects or techniques that rely on “chance” were emerged by Dadaism. Art, grounded on the principle of chance, has become a fundamental element of Dada Art. Dadaism is important in terms of historical con text. For technique, centering on American abstract expressionism, Dadaism linked automatism to abstract expressionism via dada and surrealism. Experimental typography based on the principle of chance appeared in Dad aism can be considered as a cut up of Tris tan Tz ara. In modern societ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visually various graphical exp ressions have become available. Herb Lub a lin, David Carson and Neville Brody attempted innovative and creati ve visual communication by experimental typography. T hrough typography, t heir design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new visual expression . While their method was different from the analog method us ing the principle of chance in the past, but all can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experimental typography.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proposeexp erimental typography by researching visually invisible contingency by graphic elements based on the effect of coincidence from analog elements. For such goals, the concept of chance and its significance were summarized in the categories of visual arts in a broad manner and experimental typography in a narrow manner. Moreover, research on experimental typography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were reviewed. After categorizing and analyzing the scope of the case study utilized the concept of contingency,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 tics of the analysis result, this study presented experimental typography by deriv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ont by using the principle of chance. This paper sought a new expression technique by applying the concept of the chance to experime ntal typography. This paper defined the form of chance as discovery from a natural object, which was derived by chance, and various physical phenomena of properties. Through this, the paper suggested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new visual language commu nication by combining the derived marbling font and grid structure.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possibility and development regarding various experimental graphic expressions, which enab les typography to become an object with visual form symbols. 다다이즘은 20세기 초반 활발하였던 예술운동으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에서 시작되어 기존 예술을 거부하고 새로운 표현 방식을 전개하였다. 다다 예술의 주요한 특징으로 볼 수 있는 우연성은 정형적인 기존 예술을 벗어나는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다다이스트가 시도한 우연성이 결부된 타이포그래피 표현으로 ‘컷업(Cut-up)’을 들 수 있다. 컷업은 긴 문학 작품의 행이나 단어를 잘라 재조합하고 재배열하여 구성하는 소설 기법으로, 콜라주를 활용한 우연성을 보여준다. 트리스탕 차라는 컷업 기업의 타이포그래피 작업으로 새로운 시각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현대사회는 기술과 매체의 발달로 디지털을 활용한 다양한 그래픽 표현이 가능해졌다. 1970-80년대의 뉴 웨이브 타이포그래피를 거쳐 포스트모더니즘의 미학이 본격화되어 나타난 1990년대 이후의 그래픽 신에서 문자 형태의 표현성, 이미지성에 중점을 둔 실험적인 타이포그래피 작업은 창의적인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시도라는 측면에서 새롭게 부상한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디자이너로 언급되는 데이비드 카슨, 네빌 브로디 등이 발표한 자유분방한 타이포그래피는 기능성, 명료성에서 벗어난 새로운 시각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오늘날 다양한 방법과 매체로 시도되는 타이포그래피 작업에서 우연성 또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활용되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이는 과거 다다이즘이 시도한 아날로그적 방식과는 다르지만 문자의 기능성보다는 새로운 조형을 탐색하는 측면에서 맥을 같이 한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연구자는 예측할 수 없는 성격을 가졌다는 점에서 우연성에 근거한 표현 방식은 뜻하지 않은 새로운 문자 표현을 실현하는 데 적합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연히 획득한 형태에 근거한 그래픽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실험적인 글자 디자인을 실험하고 제안한다. 이를 위해 넓게는 시각예술의 범주부터 좁게는 실험 타이포그래피라는 범주 안에서 우연성의 개념과 그것이 지니는 의의를 정리하고, 실험 타이포그래피와 그 사례연구를 통해 우연성이 타이포그래피 분야에서 실현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그중에서 우연에 기초한 드립핑, 유기적인 물성의 불완전한 성질을 표현하는 마블링 기법은 연구 작품 제작에 반영이 되었다. 최종 작업은 자연물인 담쟁이덩굴에서 우연히 발견한 형태로 구성한 ‘IVY’, 비눗방울의 물성에서 모티브를 얻은 ‘BUBBLE’, 마블링에서 얻은 형태를 발전시킨 ‘MARBLE’, 세 종류의 라틴 알파벳 디자인으로 진행되었으며, 특히 ‘MARBLE’ 폰트는 그리드 체계를 적용하여 새로운 형태로 치환되도록 발전시켰다. 본 연구자는 새로운 글자 표현을 이끌어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우연성을 채택하여 실험했으며, 연구 과정과 결과물이 타이포그래피 표현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길 희망한다.

      • 서울시 초등학생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김미래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빠른 속도로 경제성장을 이루어 왔지만 그로인해 식생활의 많은 변화가 성장기 아동과 청소년들에게도 영향을 끼쳐 건강상의 문제와, 한국전통음식을 접할 기회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에 미래의 식문화를 이끌어 나가고 발전시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전통음식의 기호도와 인지도, 한국전통음식의 이용률이 감소하는 원인과 한국전통음식의 개선점 등을 조사하여 한국전통음식의 계승·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4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전통음식에 대해 일반사항 7문항, 식생활태도 5문항,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인식 6문항,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기호도 4문항, 한국전통음식의 소비실태 5문항, 한국전통음식의 계승발전 관련 6문항 등 총 33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하게 했다. 초등학생이 생각하는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개념에 대해 우리고유문화와 함께 발전 시켜온 한국 음식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56.7%로 가장 많았고,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학교 교육 및 체험을 통해 얻는 학생이 37.6%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전통음식을 주로 섭취하는 시기는 명절이 55.6%로 가장 많았다.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관심도는 5점 만점 중 3.38점으로 그다지 높지 않았지만,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4.36점, 기호도가 4.12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초등학생들은 한국전통음식을 맛이 좋아서 좋아했으며, 입맛에 맞지 않아 좋아하지 않았다. 한국전통음식의 품목별 기호도는 국수와 탕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나물과 생채, 장아찌, 젓갈은 점수가 낮았다. 한국전통음식을 5점 만점 중 4.53점으로 매우 자랑스럽게 인식하고 있었고, 우리 고유의 음식이므로 자랑스럽게 인식하는 학생이 51.1%로 가장 많았다. 시판 한국전통음식 중 주로 애용하는 음식은 국, 찌개, 탕, 전골류 였고, 이용시기로는 가끔 이용하는 학생이 36.4%로 가장 많았으며, 시판 한국전통음식이 필요한 이유가 세계화 시키기 위해서라고 생각하는 학생이 45.5%로 가장 많았다. 한국전통음식의 이용횟수가 줄어든 이유에 대해 42.1%가 관심이 없어서라고 응답했다. 한국전통음식을 계승·발전 시켜야 한다고 응답한 학생이 27.5%로 가장 많았고, 한국전통음식의 장점을 계승·발전하려는 의지가 5점 만점 중 4.37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하지만 한국 전통음식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한 개선점으로 조리방법의 간편화가 34.6%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한국전통음식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한 학교에서의 교육방법은 전통음식 만들기가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라고 했으며, 한국전통음식의 이용률을 증대 시키기 위해 전통음식과 관련된 문화적인 행사를 자주 시행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국음식을 좋아할수록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관심도, 인지도, 기호도, 자긍심 모두 높았으므로 한국음식을 좋아하도록 접할 기회를 늘려야 한다. 시판 한국전통음식의 이용률이 점차 증대되는 추세이며 한국전통음식의 조리법이 복잡하고 어렵다는 인식이 가장 큰 문제점이기 때문에 시판 한국전통음식을 만들 때 맛을 고려하면서도 조리법의 간편화에 대한 지속적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 다양한 한국전통음식을 알리는 행사를 진행하여 더욱더 우리 음식을 계승·발전 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 특질불안이 사회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자기 가치 확인의 조절효과

        김미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위협상황에서 스트레스와 방어적 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자기 가치 확인이 사회적 위협상황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가져 특질불안이 사회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8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특질불안과 우울을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실험조건에 할당된 40명은 자기 가치 확인 글쓰기를 하였고, 통제조건에 할당된 나머지 40명은 가치 일반에 대한 글쓰기를 하였다. 이후 참가자는 제시된 발표주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촬영되는 상황에서 3분 발표를 수행하였다. 발표 후 참가자는 자신의 발표수행을 자기보고식으로 평가하였고 2인의 평정자는 녹화된 영상을 통해 참가자의 발표수행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가치 확인이 객관적인 사회적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정자가 세부적으로 평가하였을 때 자기 가치 확인 집단의 점수가 일반 가치 확인 집단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특질불안은 사회적 수행상황에서 주관적 경험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객관적인 수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특질불안이 전반적 자기 수행 평가와 세부적·전반적 부정적 평가편향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 가치 확인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자기 가치 확인이 자기통합성을 변화시키거나 특질불안과 자기통합성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whether self-affirmation, which is known for reducing the stress and suppressing the defensive reaction in threatening situation, can have the same effect in social threatening situation. Tha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self-affirmation can moderate the effect of trait anxiety on social performance in social threatening situation. The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eighty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ttending to capital area university. Trait anxiety and depression was checked in self report type. Half of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al condition were asked to write about self-affirmation, and the others of the control condition were asked to write about a general value. Then, participants did 3 minute presentation on topic given, which were recorded. After presentation, each participant evaluated their own presentation in self report type and two raters did evaluation on the presentation through recorded video independently. Summarized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First, self affirmation do have positive effect on objective social performance. When the raters evaluated the presentation in detail, self-affirmation group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score of those in general value affirmation group. Second, trait anxiety do have negative effect on subjective experience in social performance, but not on the objective performance.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affirmation was shown on the negative effect of trait anxiety in overall self performance evaluation and detailed negative evaluation bias and overall negative evaluation bias. Fourth, it has shown that self affirmation does not change self integrity nor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anxiety and self integrity. Finally, the meanings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