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야에서 부르는 노래

        김미란 서울장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모든 인간의 삶은 필연적으로 어려움을 만나게 된다. 그 것은 물질적인 궁핍, 육체의 질병, 자유의 속박, 무지(無知), 실연(失戀), 부모 형제 등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하고자 하는 일의 실패, 걱정이나 두려움 등 셀 수 없는 다양한 측면으로 인간의 삶에 찾아온다. 이러한 고통의 불가피성에 대해 팀 켈러는 그의 책 『팀 켈러, 고통에 답하다』의 서문을 열면서 이렇게 설명했다. 제 아무리 많은 돈과 권력을 쌓고 계획을 세운다 해도 가족과의 사별, 심각한 질병을 비롯한 끔찍한 일 들이 수시로 삶에 끼어드는 걸 막을 수 없다. 인생은 한 없이 연약하며, 불가해한 힘에 휩쓸리게 되어 있다. 그래서 삶은 비극적이다. 굳이 가르치지 않아도 인간이라면 저절로 아는 사실이다. 개개인이 당면하는 어려움의 모양과 객관적인 크기는 제각각 상이하게 다를 수 있으나 각자가 체감하는 고통의 주관적인 크기는 절대적일 것이다. 정신분석학자인 빅터 프랭클은 나치의 유대인 수용소에서 자신을 포함한 수많은 사람이 겪었던 다양한 직간접적 고통을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쓴 그의 저서 『죽음의 수용소에서』에서 “인간의 고통도 그 고통이 크든 작든 상관없이 인간의 영혼과 의식을 완전하게 채운다. 따라서 고통의 ‘크기’는 완전히 상대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절대적인 크기의 고통에 따라 가장 고통스럽다고 느끼게 될 때 보이게 되는 반응의 양상 또한 사람마다 다르다.

      •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학습공동체 참여 원장의 경험과 의미 탐색

        김미란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학습공동체 참여 원장의 경험과 의미 탐색 김미란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교육과학과 (지도교수 고영 -ⅴ- 미)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학습공동체 참여 과정에서 원장은 어떤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질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원장은 어떤 경험을 하는가? 2.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원장의 경험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에 관심을 가지고 학습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참여한 어린이집 원장 4명과 촉진자로 참여한 대학교수 1명이다. 본 연구의 학습공동체는 2020년 4월 셋째 주부터 2021년 4월 셋째 주까지 2주에 1회씩 총 26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학습공동체의 내용과 방법은 구성원들 간 협의를 통해 자율적으로 결정하였으며, 학습공동체의 내용은 학습공동체 참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유아·놀이중심 교육의 신념과 실행의 어려움에 대한 공유된 내용을 토대로 공동의 가치로 합의한 유아·놀이중심 교육을 실행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학습공동체 운영 방법은 구성원 간 자료를 공유하고 논의 및 협의 등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학습공동체가 운영되는 과정에서 총 26회의 협의내용을 녹음한 468장 분량의 협의자료, 총 4회의 약 48페이지 분량의 면담자료, 협의 모임 후 작성한 총 13회의 50페이지 분량의 연구 참여자 저널을 수집하였다. 또한 A, B, C 어린이집의 편당 30분~40분 분량의 총 6편의 놀이 영상과 놀이 관련 문서자료인 총 36장의 놀이 실행 관련 자료, 기타 관련 자료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료의 전사 및 수집 자료의 통합과 영역분석, 주제 분류 및 분석, 분류된 내용의 해석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해석의 오류를 줄이고자 유아교육 전공 교수 1인과 연구 참여자의 검토 과정(김영천, 2006)을 거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원장들은 학습공동체 참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인 구성원의 형성, 모임의 주제와 운영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를 거치면서 준비를 하는 형성기의 특성을 보였다. 이후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의 교육적 신념과 어려움에 대해 공유하고, 유아·놀이중심 교육 실행에 대한 공동의 가치를 합의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구성원 간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는 내면화기 특성을 보였다. 이와 함께 공동의 가치로 합의한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놀이 관찰 및 지원, 놀이계획 및 기록 방법 지원, 물리적 환경과 공간의 변화 지원, 교사와의 협력적인 실행을 하면서 함께 배우는 성숙기의 특성을 보였다. 이 같이 자신들이 처음에 자율적으로 정했던 학습공동체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하고 난 후에는 학습공동체에 대한 평가와 지속성 여부를 논의하면서 공동체의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는 변형기의 특성을 보였다. 둘째,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원장들은 실행의 어려움과 고민을 공유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반성적 성찰을 통해 유아·놀이중심 교육에 대한 신념의 재정립, 유아와 교사, 원장에 대한 인식 및 실천의 변화, 협력적 문화 조성을 통한 동반 성장을 이루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원장들은 유아·놀이중심 교육에 대한 본질을 내면화하였으며, 놀이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등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궁극적인 목적이 유아의 놀이를 이해하기 위한 것임을 느끼면서 유아·놀이중심 교육에 대한 신념을 재정립하였다. 또한 원장들은 놀이의 주체자이며, 스스로 놀이를 만들어가는 존재로 유아를 인식하였으며, 교사는 유아의 흥미와 관심을 존중하고 요구에 따라 놀이를 지원하는 존재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원장으로서 지시적이고 통제적이었던 자신의 역할에 대해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가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자율성과 주도성을 허용하고 지원해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이를 실천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원장들은 공동의 가치를 나누고 실행하면서 원장들 간의 상생을 위한 협력적인 문화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소통과 존중으로 상호 협력하는 어린이집 문화를 조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동반 성장을 해 가고 있었다.

      • 豊谷 成在烋와 小松 金正炫의 繪畵 比較 硏究

        김미란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대시대의 작가들은 회화적 흐름에 크게 동요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이전의 전통적인 회화를 그대로 따르는 경향을 보이는 작가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풍곡성재휴와 소송 김정현은 이러한 전통적인 남화풍을 기본으로 하되 각자 나름대로 독자적인 화풍에 비중을 두어 새로운 화풍을 개척했다. 이러한 남종화풍의 영향을 받은 풍곡 성재휴는 1940년 무렵 호남(湖南)의 산수화 대가(大家)로 일컬어지던 의재(毅齊)허백련(許百鍊)에게서 약 3년간 전통적 산수화법과 그 정신을 사사(師事)받았다. 한시(漢詩)와 화론(畵論)의 풍부한 교양을 지녔던 스승의 선비적인 화인(畵人)풍모와 그 정신을 그가 존경했을 것이라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그는 전통적인 남화 산수에서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담한 내용과 설정으로 남화(南畵)가 지니고 있는 고답적(高踏的)인 철학성에서 벗어나 회화를 하나의 조형으로서 의식한 부분이라고 여겨진다. 특히 그는 파묵(波墨)과 발묵(潑墨)을 자유자재(自由自在)로 구사하면서 수묵이 지니는 무한한 가능성에 매료되어 담채에서 당시 파격적인 색채 즉 화사한 진채를 사용함으로써 그의 득의(得意)의 표현 방법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는 듯하다. 또한 소재 부분에서는 산수(山水)외에도 기와집이나 배 등의 주위에 흔히 볼 수 있는 소재를 부각시켜 자유분방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문인화 부분에서도 독특한 구도와 대담한 필선, 색채를 표현하고 있다. 소송 김정현의 경우를 보면, 1943년 일본(日本)으로 가기 전만 하더라도 그는 한국화를 하면서도 유화(油畵)와 수채화(水彩畵)를 혼자 익혔으며, 이후 의재의 문인화(文人畵)에 심취했던 적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소송의 전체적(全體的)인 화풍(和風)에서는 수채화(水彩畵)적인 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그의 산수화에서는 의재의 영향이 거의 엿보이지 않는다. 그의 작품이 영향을 굳이 찾는다면 임인(林人)허림(許林)과 남농(南農)허건의 영향이 엿보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허림은 일본 천단화 학교 재학시절에 같이 지냈으나, 학업을 마치고 귀국(歸國)한 후 곧 타계(他界)하고 말았다. 당시 허림의 타계를 소송은 "친구로서는 물론 같은 작가적 입장에서도 허림은 나에게 무한한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라고 밝혔다. 소송이 즐겨 다룬 소재는 숲 풍경을 남화산수의 현대적인 풍경으로 끌어내어 또 하나의 실험적인 작품을 구사하기도 했다. 특히 직선적인 숲과 동물, 사람 등을 가미시켜 더욱 서정적인 화풍을 드러내 보였다. 그러나 화조화 분야 특히 꽃을 소재로 다룬 부분에서는 그다지 변화없이 대상을 구사하기도 한다. 그는 특별히 전통적인 준법을 구사하지 않고 작품의 대상에 맞추어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풍곡과 같이 강한 흑선이나 파격적인 색채는 아니지만 소송 나름대로 굵은 필선과 색채로 각기 자연의 소재에 어울리게 표현하기도 했다. 이와 같이 풍곡과 소송이 각기 독특한 작품을 드러내 보일 수 있었던 이유 중에 하나는 시대적으로 서구의 자본주의의 가치관이 급속도로 확산되어 대중이라는 새로운 계층이 크게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이는 회화에서도 현실경(現實景)을 모티브로 한 산수가 그려졌다. 이전의 관념의 세계가 아니라 현실의 세계에서 조형의 장을 구축하려고 했다. 이런 실경산수는 넓은 의미로 현실 풍경의 소재로 현장을 직접적인 체험이 화면에 반영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분이 소송과 풍곡에게 어떤 형식의 구애를 받지않고 자유스럽게 표현하는 구도나 수묵기법, 활발한 채색의 표현이 아니었나 싶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회화에 나타난 이 두 작가의 개성적인 화면구도, 그에 나타난 수묵기법, 독특한 채색을 비교해 보고 같은 시대에 태어나 함께 활동하는 풍곡과 소송의 작품상에서의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살펴 보고자 했다. Modern artists have tended to follow the trend of traditiona paintings, not having been disturbed by the flow of modern painting. However, Pung-gok Seong Jae-hyu and So-song Kim Jeong-hyeon pioneered a new style of painting focusing on their own independent styles, based on the traditional Namhwa style (a Chinese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Punggok who was influenced by the Namhwa painting style was taught a technique of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in private by Euije Huh Baek-ryun for three years. The Euije was considered a master of landscape paintings in the 1940s. As a teacher who was well-educated in Chinese poems and familiar with the theory that painting had scholarly features and mind, it was believed that Punggok respected him. Though he learned the traditional Namhwa landscape paintings, he deviated from the transcendent tendency of the Namhwa to pursue a more daring representation in painting and recognized painting as one of formative arts. In particular, he, who was charmed by infinite possibility of black and white drawing, had a command of Pamuk and Balmuk (techniques of painting representation) and used colorful paints, which was exceptional at that time. He was at the summit of representation in color. As for motives, he made full use of common materials such as tile-roofed houses, boats in his painting. His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represented distinctive composition, daring lines and color. So-song learned both oil and water painting for himself while he was engaged in Korean traditional painting before he went to Japan in 1943. He was once charmed by painting of the literary artist's style represented by Euije. However, in his style of painting, a hint of water painting was found and little influence of Euije was found in his painting. However, influence of Im-in Huh Rim and Nam-nong Heo Gun was insignificantly found. Heo Rim, who was a fellow student when he went to a Japanese painting school, died immediately after he came back home. So-song said about his death, "Heo Rim had a great influence on me as an artist and as a friend. He often painted Namwha-style landscape in modern style. In particular, he used straight lines to represent forest, animals and people for lyric mood. However, he frequently used flowers without any variation. He was not bound to traditional techniques and free to paint depending on the objects he wanted to paint. Though he did not use exceptional curves or color as Punggok, he did use bold lines and color adjusted to natural materials. As the values of western capitalism spread rapidly and a new class of the masses appeared at that time, they could represent their own creative works of art without being bound to the standard. In their painting, reality was represented as a motive of landscape painting. They wanted to construct a field of formation in real world, not in ideal world. The real landscape painting reflected direct experiences by using real landscape as a material. For the distinct representation of their own, they used free composition, techniques of black and white drawing and active color.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independent composition, techniques used in the drawing and distinct coloring represented by the two artists who were born and worked actively in the same age to identify their independent world of art.

      • 농촌 재가노인의 만성통증 양상과 통증관리 방법 분석

        김미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descriptive study aims to suggest the basic, data that is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e nursing strategies fur chronic pain of rural elderly in the country side by analyzing the degree, the aspect, and pain management for the chronic pain experienced by the elderly. To carry out the job, from Feb, 10, 2009 to Feb, 28 we have collected necessary information from 150 rural elderly in a city, Kyeonggidothat are under the supervision of 15 health centers by dispatching trained researchers brining the organized research paper to the elderly at home or visiting the health center so as to perform the face-to-face interview with each one of them. The paper is composed of the recipients' general features, the degree of pain and chronic pain aspects, and pain management. We also processed the collected information with the computer system named SPSSWIN 12.0. The followings arc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First of all, to sec the social features of the study objects (the elderly), their average age is 74.36 years old and 79.3% of them arc women. For the level of education. 45.3% of them had no education and the same figure(45.3%) ha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lso, 34.7% of them are Buddhists, and 50.7% of them were married. 82% of them had their past occupation as a farmer, but58% of them have changed their occupation from fanning, In the feature of health and daily habit part in the study, the answer for the perception about the health condition showed 'Not healthy'- 49.3%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of all and there were diseases on treating process such as arthritis, neuralgia(38.8%). high blood pressure(35.5%) and diabetes(10.3%). The average ability to keep the daily routine was 68.97 and the highest number was 80. When the ability keeping daily routine was divided into 3 levels of high, mid, and low, 35.3"o of them chose the low level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of all. 65.3% of the elderly said they have the arthritis and neuralgia. Also, 42% of them were working out while the rest(59%) did not. Next, the level of pain that the elderly were experiencing was measured with the visual analog scale and the average was 5.89. Back was the part they felt the paul most often, most severely, and for the longest time. The age when the pain had begun ranged mainly 60-69(39.3) and 53% of them said pain was occasional. There were levels for discomfort caused from the pain high (Painful and unbearable), mid, and low and most of them(63.3%) said they have pain at the high level. They said the pain got worse when they moved and 38.5% of the elderly answered the cause of pain was derived from much physical work. Third is the analysis for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lderly' the medical organization utilizing. There sult shows that 57% was going both to hospital and local medical center to manage the pain and those organizations mainly prescribed them to take medicines for the disease. The recipients said they wanted those treatments of physical therapy, acupuncture, and rush-mat treatment most. For the degree for satisfaction after the medical care, 37.3% said 'Not sure' while 36% of them said they were satisfied. They also answered 'It is in no use(38.8%)' for the reason they did not get therapy, and other 34.1% indicated the problems in time and approximation such as 'the hospital or medical center was too far from their village. 'too busy to do farming', or 'inconvenien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Most of them said they occasionally had to depend on others' help only when they go out for visiting hospital. As the fourth, we look into the difference in degrees of pain according to features in sociology of population. Women showed the higher degree of pain, 6.08 which was an effective result in the research, and the recipient currently farming showed higher degree in pain than the others. The different pain levels from habitual features for health ill the daily routine showed as following: the elderly who perceived their health condition is bad said they had severe pain (p<.001), and the elderly with arthritis and neuralgia also answered so did they. The recipients working out showed lower level of pain than those who did not work out, however, the result was not effective. For the next, most of those recipients said they used both hospital proscription and medical center treatment at the same time to take care of the pain regardless of their sex. age. education, religion, whether marred or not, occupation, or family forms when we analyzed the pain management to take care of pain in terms of the sociology of population for the recipients in the farm village, In the study to look into ways to take care of pain according to the health and daily routine habits, most of them utilized both hospital and medical center regardless of the factors such as perceived health condition, presence of arthritis and neuralgia, the level of ability to keep daily routine, and exercising. Also, the group that said they do not have arthritis or neuralgia or they exercise showed higher figure with the rate for hospital prescription, medical center treatment, and self treatment. Lastly, fur the medical organization they use according to the pain level, more of the recipients were utilizing both the hospital and the local medical center than the others who only went to the hospital. As the way to deal with the pain depending on the phases of pain, many of them also go to both hospital and the medical center in case they are in pain or the pain is about to start, the pain continuously lasts, it gives discomfort. Additionally, 60% of them said the pain was occasional which was effective result in the study and also 58% of recipients who said the pain was unbearable and uncomfortable showed they used both the hospital and the local medical center which was the effective study result too(P<,05). Therefore, based one the study results, we'd like to suggest as following. First, the introduction of supportive system that is able to offer the herb medicine treatment such as acupuncture or rush-mat(ex. Periodical visit of the herb doctors and professionals to the villages) since it is high in need from the rural elderly in the farm village. Second of all. the operation of general pain program including exercise, consultation, Psychological therapy, and the herd therapy is necessary so as to help rural elderly with the chronic pain actively deal with the pain. Next, to help the better environment at the medical centers, the support of devices, gadgets, and aid workforce that are able to offer the physical therapy for chronic pain and various pain easing medical services is necessary. For the last, for the local elderly who are not able to get the medical service due to the distance, poor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or shortage of time. the further study to develop the medical center program that arc efficient in approximate, availability, and economy to help the prevention of back pain and pain management program. Also the study on effect of those programs is required.

      • 클래식 음악감상활동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위한 실행연구

        김미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클래식 음악을 중심으로 유아 음악교육 중 가장 기초가 되는 음악 감상활동을 실행함으로써 클래식 음악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변화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클래식 음악 감상활동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실행연구이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클래식 음악 감상활동의 실행과 교수·학습 과정의 변화는 어떠한가? 2. 클래식 음악 감상활동 교수·학습에 따른 유아의 변화는 어떠한가? 3. 클래식 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 인식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를 실시하는 연구자 자신과 충북 청주시에 소재한 O유치원 H반 만 5세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적인 연구 기간은 2017년 4월인 문제 인식을 시작으로 2017년 12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계획 – 실행 - 반성 및 평가’의 순환적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수집은 동영상 및 사진자료, 면담자료, 교사의 반성적 저널과 유아의 포트폴리오 및 일화기록 등의 문서 수집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자가 상황을 왜곡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고자 날짜 및 활동에 따라 분류하여 이후 클래식 음악 감상활동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클래식 음악감상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위한 실행과정은 모두 4차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클래식 음악 감상활동 중 일어난 교수·학습 과정의 변화와 유아의 변화 및 클래식 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변화라는 3가지 범주로 묶어 분석하였다. 첫째, 클래식 음악 감상활동 실행과정은 총 4차에 걸쳐 변화되었다. 1차 실행과정은‘뮤직맵을 활용한 클래식 음악감상’으로 클래식 음악을 듣고 연상되는 이미지를 ‘뮤직맵’이라는 음악지도를 따라 움직이며 감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연구자는 유아의 개인차를 고려하지 못했으며 유아의 클래식 음악감상 활동을 ‘뮤직맵’이라는 방식으로 제한하게 된다. 개별 유아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2차 클래식 음악 감상활동은‘개별적 클래식 음악감상’으로 진행되었다. 음악을 듣고 언어와 신체, 글과 그림으로 표현함으로써 클래식 음악에 대한 개별 유아의 인식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유아들이 짝 혹은 소그룹으로 음악감상을 함께 할 때 유아의 흥미는 물론 감상수준이 높아지고 정교화됨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3차 클래식 음악감상활동의 실행과정에서는 유아 간 상호작용 및 협동활동의 장점 등을 반영하여 ‘함께하는 클래식 음악감상’으로 진행함으로써 감상활동 후 관련된 동화 만들기, 음악극으로 심화·확장하기, 감상곡을 활용한 악기연주 함께하기 등 다양한 표상활동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클래식 감상곡보다 표상 활동에 치우쳐 감상곡에 대한 유아의 지속적인 관심을 이끌어내지 못 했으며 연구자도 클래식 음악 감상활동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게 된다. 이로 인하여 4차 실행과정에서는 클래식 음악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유아의 요구와 교사의 경험을 반영하여 같은 주제의 다른 곡을 비교하거나 음악의 여러 장르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클래식 음악감상 환경에 변화를 주는‘아름다움에 아름다움 더하기’라는 방법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연구자는 4차에 걸쳐 클래식 음악 감상활동을 진행하는 과정 중에 유아의 변화를 발견하게 된다. 곡의 특징인 음악적 개념(음색, 빠르기, 선율 등)과 곡의 분위기에 반응하였으며 함께 할 때 더 많이 소통하는 모습을 발견하였다. 또한, 유아가 음악에 대한 배경과 작곡자의 숨겨 있는 이야기 등 곡에 대한 정보를 궁금해 하는 것을 알게 된다. 이 모든 변화는 클래식 음악 감상활동 교수·학습 방법에 반영되었다. 셋째, 클래식 음악감상에 대한 교사의 인식변화는 클래식 음악에 좀 더 다가가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자는 ‘뮤직맵’을 활용하여 부족한 음악적 역량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프로젝트 접근법 형식의 활동을 과도하게 진행하며 음악은 하나의 소재가 아닌 주인공이어야 한다는 인식의 변화를 거치게 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사는 유아의 반응을 민감하게 관찰하여 유아가 스스로 클래식 음악에 관심을 보이고 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며 유아를 단순한 학습자가 아닌 교수·학습의 동반자로 바라보아야 함을 알게 된다. 또한 교사의 과도한 노력보다 일상생활 속 간단한 생각의 전환이나 교사의 작은 노력여하에 따라 클래식 음악 감상활동은 달라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 이 논문은 2019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유아교육)학위 논문임.

      • 여성 기업가 역량모델 및 진단도구 개발

        김미란 계명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emale entrepreneurial competency model and a diagnostic tool for female entrepreneurs. For the purpose, two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seven high performing female entrepreneurs and three reviews with four experts were conducted. In addition, 442 female entrepreneurs were responded on a survey for the diagnostic t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female entrepreneurial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consisting of six competency groups of entrepreneurship, emotion, business management, relationship management, strategic management, and multitasking, 25 competencies, and 75 behavioral indicators describing each competency. In particular, emotion and multitasking are the competency group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entrepreneurs. Among the competencies of these competency groups, 'work-family balance' which is to keep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is considered one of the women's strength. In addition, both 'social sense' detecting and dealing with subtle nuances from other people and 'multiple job performance' appear to be typical competencies of female entrepreneurs. Second, based on the female entrepreneurial competency model, a diagnostic tool consisting of 75 questions was developed. The model's goodness-of-fit index was check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six competency groups and the 25 competencies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emale entrepreneurial competency model and the diagnostic tool consisting of six competency groups, 25 competencies and 75 behavioral indicators were finalized.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기업가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역량모델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여성 기업가의 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의 개발과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창업 여성 기업가를 포함한 7명의 우수 여성 기업가를 대상으로 두 차례의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하였으며, 교육학 및 경영학 관련 분야 4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세 차례의 전문가 검토를 통해 여성 기업가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여성 기업가 역량 진단도구의 타당화를 위해 창업 또는 기존 기업을 승계한 여성 기업가 4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프로그램과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기업가의 역량으로 기업가정신, 감성, 경영관리, 관계관리, 전략경영 그리고 멀티태스킹의 6개 역량군과 25개 역량, 그리고 각 역량을 설명하는 75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된 여성 기업가 역량모델이 개발되었다. 기업가정신 역량군에는 도전정신, 신사업발굴, 집중력, 기획력, 위험관리, 사회적책임의 6개 역량이, 사고 및 문제해결 역량군에는 기회창출능력, 창의적문제해결, 정보관리, 전략적대안도출능력의 4개 역량이 포함된다. 경영관리 역량군에는 전문성, 조직관리, 수익창출능력, 시장분석, 효율성추구, 감성리더십의 6개 역량과 관계관리 역량군에는 대인관계능력, 고객관계관리, 의사소통, 네트워킹능력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감성역량군에는 공감력, 사회적센스, 배려의 3개 역량으로, 그리고 멀티태스킹 역량군에는 다중업무, 일가정조절능력의 2개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감성과 멀티태스킹은 여성 기업가의 특징이 반영된 역량군으로, 상대방에 관한 배려와 미세한 뉘앙스를 잘 감지하여 대처하는 능력인 ‘사회적센스’, 여성만의 강점이라 할 수 있는 동시에 여러 가지 일을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인 ‘다중업무’, 일과 가정이라는 두 가지 업무에 관한 균형을 유지하는 여성 기업가의 ‘일가정조절능력’은 여성 기업가만의 대표적인 역량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여성 기업가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75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진단도구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문항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역량군과 25개 역량에 관한 변수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모형 적합도 지수를 확인하였다. 진단모형의 적합도 또한 수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수렴 타당도와 판별 타당도를 검증하여 구인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6개 역량군과 25개 역량으로 구성된 여성 기업가의 역량모델과 75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된 역량 진단도구를 확정하였다.

      • 일부 도시 재가 지체장애인의 치료실태

        김미란 충남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find out the actual status of treatment of physically handicapped who were stayed at home, 320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s were selected among total 6,264 physically handicapped registered in Taejon city, and surveyed from January 1 to March 30, 1997. Followings are the results analysed the data collected from 201 sampled persons. 1. For the cause of physical handicap, 36.3% was congenital, 26.9% was Cerebrovascular accident(CVA), and 14.9% was infectious diseases and others in that orders, The most frequent cause of below 20 years age group was congenital cause, but that of 20-30 years age group and 40-50 years age group were accident and CVA repectively. 30.0% of respondents, caused by infection and others, earned household living expenses by himself. Household living expenses were higher among the respondents caused by congenital cause, but those were lowest in the accidental cause group, Handicap durations of the accidental cause group, and infections and others group were longer than those of the congenital cause group and CVA group. 2. 54.7% of studied handicapped were under treatment. But 36.3% of them were stopped treatment, and 8.9% of them answered not treated. Most handicapped, caused by congenital and CVA, were under treatment, but most of them caused by accidental and others were stopped treatment. 3. For the medical facilities, 54.5% of them utilized handicapped welfare facilities, but 25.5% of them utilized general hospitals and 20.0% of them utilized oriental medical hospitals and health centers, Congenital cause group frequently selected handicapp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treatment facilities. But accidental cause group frequently selected general hospitals and CVA group frequently selected oriental medical hospitals and others. The medical costs of welfare facilities, oriental medical hospitals and others were lower than those of general hospitals. 4. The proportions of under treatment were higher among yonger age group higher monthly living expenses group, shorter handicapped duration groups, congenital cause group and handicap grade II group. But those of stop treatment were higher among congenital cause group, infectious and others cause group, and handicap grade I other than II group & then III group. 5. For the feelings of satisfaction about medical treatment, only 35.3% of under treated group responed to the satisfaction. 55.5Yo of them responded to the so-so, but 9.1% of them responed to the dissatisfaction. The proportion of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shorter handicap duration group.

      • 고등학교 1학년생의 음악적성과 음악환경 및 I.Q와의 상관관계

        김미란 상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등학교 1학년생의 음악적성과 음악환경 및 I.Q와의 상관관계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음악적성, 음악환경, 음악 적태도, 음악적 관심의 상호 관련성을 조사하여 고등학교 음악수업에 있어 서 개인차를 고려한 효과적인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내용은 1) 음악적 관심도와 음악적성과의 상 관관계 2) I.Q와 음악적성과의 상관관계 3) 음악환경과 음악적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학생 92명을 대상으로 고든(Gordon)의 AMMA(The Advance Measures of Music Aptitude)와 MAP(The Musical Aptitude Profile)중 음악감수성의 음악적성검사를 실시하고, 음 악적 환경 및 음악적 관심도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여 이들 자료를 분석한 후, I.Q, 음악환경, 음악적 관심도와 음악적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별에 따른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음악적 관심도와 음악적성은 유의한 상관이 적게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학생들이 음악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효과적인 음악수업의 개발이 필요하다. 교사는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그 유형에 알맞도록 적절 하고 타당한 교수내용과 교수자료를 선택하고 교수방법을 다양하게 변형 시키고, 변별적 평가의 실시도 필요하다. 또한 적성이 낮은 학생과 적성이 높은 학생에 맞는 고등학교 교수-학습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2) I.Q와 음악적성은 유의한 상관이 거의 없다고 나타났다. 음악교사들 은 학생들의 음악적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음악에 대한 적성이 있는 학생 을 찾아내 올바른 음악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여 주고, 음악적성이 부 족한 학생들에게는 음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도록 지도하여야 하겠 다. 3) 음악환경과 음악적성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항상 음악을 접할 수 있게 하며 유아시절부터 음악을 들으며 음악적인 환경 속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은 무엇보 다도 중요한 일이며, 학교에서도 음악을 항상 접하게 하는 음악교육프로 그램의 질적 향상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4) 남학생과 여학생집단간의 비교에 있어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특히 음악적 관심도에서는 그 차이가 심화되어 나타났 는데, 남학생들의 음악적 관심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교에서의 음악수 업시간에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를 두어 곡을 선택한다거나, 교재나 교 구들을 성별에 다른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선택해야 한다. 5) 신뢰도가 높은 음악검사(MAP과 AMMA)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에 대한 음악적성과 태도 및 그 외의 변인에 대해 분 명한 상관관계를 밝힐 수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음악교사들에게 효 과적인 음악수업의 방법 및 방향선정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서 도움이 될 것 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effective music education program in which the individual difference is considered through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among musical background, music aptitude and music interest of the high school freshman years.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are included ; 1) Correlation between music interest and music aptitude 2) Correlation between I.Q and music aptitude 3) Correlation between musical background and music aptitude.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randomly selected 92 freshman year students of the high school and the procedure was as follows ; First, the students were conducted by Gordon's AMMA and MAP to measure the music aptitude. And then,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musical background and music interest was send out to the students. After analysis of these data, the correlations were considered in the points of I.Q, musical background, music interest and music aptitude. At last, the conclusions gain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fter correlation analysis of sexual difference in addition to the above proces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 1) The correlation between music interest and music aptitude came out to be low. To have the student be interested in music, developing the effective music instruction is necessary. These are necessary too, namely, teacher will select the adequate and valid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aids what are suitable to the various patterns of the individual difference of the students after considering it. And teacher will make evaluation on the basis of individual difference. Additionly, the development of the high school music program is required what are suitable to the students who are the both low aptitude and high aptitude. 2)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I.Q and music aptitude. So, music teacher should teach the students in the view points of that teacher will search for the student who have high aptitude and suggest the adequate direction for their future music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o the students who have low aptitude, teacher should teach them to have interests in music continuously. There was non-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Q and music aptitude. To maintain this view point, it's necessary to discern the student's music aptitude. 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usical background and music aptitude. Therefore, there are very important to have the students be in contact with music in their daily lives. And to listening music from early childhood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musical background. Therefore, thinking out a scheme to promote high quality of music education program should be planned what can have them be in contact with music in their daily school lives is necessary. 4) In the comparison of sexual difference, the aptitude of female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male group. Especially the difference at music interest is distinctive. To improve the music interest of male students, teacher will select different themes with the male and the female and choos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aids to induce the interest of both with respect to their sexual difference. 5) On the basis of results through the highly reliable music aptitude test as like MAP and AMMA, the correlation among several factors such as music aptitude and etc, in the freshman year of high school were clearly analyzed. The music teacher will find the usefulness of this study to discer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and the direction of the music instruction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 Rat Rab11-FIP3의 동정 및 특징 연구

        김미란 한경대학교 생물환경정보통신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ab11- family interaction protein 3(Rab11-FIP3), identified from human and mouse and also known as Eferin, is a Rab11 binding protein with RBD(Rab11-binding domain) domain at the C terminus. Rab11 has been shown to play a key role in a variety of cellular processes, including plasma membrane recycling, phagocytosis, and transport of secretory proteins from the trans-Golgi network. Recently mouse Rab11-FIP3 was found to bind to Transient Receptor Vanilloid Potential 1(TRPV1) and it was suggested that Rab11-FIP3 might play a role in trafficking TRPV1 to the membrane. So far, the membrane trafficking of TRPV1 was little known. In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study the membrane trafficking of rat TRPV1, the rat Rab11-FIP3 was cloned from rat brain and characterized. Rat Rab11-FIP3 was presumed to be 50KD with the significant sequence homology with mouse Rab11-FIP3, with up to 90% identity. However, rat Rab11-FIP3 does not seem to have EF Hand motif, but have RBD domain and Glutamic acid-rich region. The role of rat Rab11-FIP3 in membrane trafficking of rat TRPV1 was investigated by using RNA interference technique in rat DRG. The endogenous rat Rab11-FIP3 of the DRG was knocked down by siRNAs. Knocked-down Rab11-FIP3 showed decreased TRPV1 expression level on membrane. In conclusion, I found that knock-down expression of rat Rab11-FIP3 resulted in the expression of TRPV1 on the plasma membrane.

      • 평생교육으로서의 음악활동이 사회적 지지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남성 노인의 색소폰 연주 동아리를 중심으로

        김미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 음악활동과 사회적 지지, 성공적 노화의 관계를 검증하여, 노인 평생교육으로서의 음악활동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색소폰 연주 동아리’에서 활동하는 서울 지역 거주 60세 이상의 남성 노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총 335부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은 고학력, 고소득이라는 특성을 나타냈다. 조사대상자들은 학력과 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어, 이러한 요인들이 음악활동과 연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 음악활동의 참여 동기가 실증적으로 도출되었다. 노인의 음악활동에 참여하려는 동기는 도구적 활용 동기, 배움의 재미 동기, 관계 및 여가 동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동기는 노인들의 심리적, 사회적 속성이 반영된 결과였으며, 이를 통해 노인의 음악활동이 단순히 여가활동의 차원이 아닌 보다 사회구조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차원임을 검증할 수 있었다. 셋째,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성공적 노화의 모든 요인들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중에서 자율적 삶, 자기완성 지향, 자기 수용은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적 삶, 자기완성 지향, 자기 수용이 성공적 노화의 더 중요한 구성요소임이 증명되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는 차별화되는 결과였다. 넷째, 사회적 지지는 노인의 음악활동과 관련성이 높은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회적 지지는 성공적 노화의 요인들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는 노인 음악활동과 성공적 노화와 관계된 중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 1, 2, 3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 모두 지지되었다. 결과적으로 노인 음악활동이 사회적 지지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노인 평생교육으로서의 음악활동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토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함의는 몇 가지로 논의될 수 있다. 첫째, 남성 노인의 음악활동(색소폰 연주 활동)에 참여하는 동기가 밝혀졌다는 점이다. 둘째, 색소폰 연주 활동에 참여하는 60세 이상 남성 노인의 특성(고학력, 고소득)이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는 노인 음악활동이 전반적 노인층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평생교육 차원의 정책적 지원 등이 필요함을 함축한다. 셋째, 노인의 음악 활동과 사회적 지지 그리고 성공적 노화의 관계가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는 점이다. 결국 노인의 음악활동에 대한 효과를 인식하고 이를 사회적으로 제도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시점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는 조사 표본이 제한적이었다는 점, 음악활동 참여 동기가 조사 표본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 변인들의 관계성을 설명하는 추가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 등이었다. 주요어: 평생교육, 노인 음악활동, 사회적 지지, 성공적 노화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usic activity as lifelong education for successful ag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ctivity of the elderly and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400 elderly over 60 years old who have participated in saxophone group community in Seoul. Among samples, 335 shee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pondents were males with higher educations and higher incomes above average. This associated with the music activity. Secondly, the motivations of the music activity of the elderly wereproved empirically. The motivations were mostly for the instrumental use, the pleasure of learning, the pleasure of meeting people and leisure purposes. This result reflected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attributes of the elderly. Third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the successful aging. Among others, the self-regulating life, coming to the self-perfection, and the self-acceptance were found to have a high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they were proven to be more significant for successful aging. This result came out to be new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Fourthly, the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as a mediator and closely related to the musical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it was prove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orrelated. Fifthly, the research hypothesis 1, 2, 3 in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nd all were supported. As a result, the effect of music activities as an elderly lifelong education was examined empirical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could be discussed in a few. First, the motivations of musical activity(saxophone activity) of the male elderly were examined. Second, the peculiarity of the male elderly over 60 years old who participated in the saxophone activity was found and examined (high education, high income). Third, the relation between music activity,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as investigated. Ultimately, this research was to recognize the effect and the benefits of the music activity as an elderly lifelong education,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social support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i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could be found as well; 1. survey samplings were limited, 2. the possibility of the samplings affected by the motivations of music activities. 3. not considering the additional factors which could be explain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Keyword : Lifelong Education, Music Activity of the Elderly, Social Support, Successful 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