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점묘기법을 활용한 표현력 신장 방안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 중심으로

        김명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95

        국문 초록 현대 사회는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면서 다양한 시각 이미지가 넘쳐나고 있다. 지나친 시각적 자극은 학생들의 정서적, 자아존중에 문제점을 가져 왔다. 그래서 시각 자극과 병존하면서도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여 정서 순화와 감성을 길러 줄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인간의 감성과 내면세계를 시각적으로 가장 표현하기 쉽고, 학생들이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점묘법을 논문의 주제로 삼아 연구하였다. 점묘법은 가장 단순한 형태의 점, 색점을 반복해 찍음으로서 이루어지고 복잡한 기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충분히 강렬하고 섬세한 감정 표현이 가능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현대인의 감성을 표현하기에 용이하다. 이러한 단순한 기법과 색채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어, 즐거운 회화 수업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와 현대미술 개념의 적극적인 도입이라는 두 가지 의도를 가지고 점묘법의 개념을 확대 적용하기로 했으며, 신인상파의 몇 몇 작가의 작품에 국한시키지 않고 한국화 화가와 현대 작가의 확장된 점묘법을 선보였다. 또한 좀 더 개념을 확장시켜 점묘법을 미술작업과 교육현장에서 보다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적용해 표현하는 법을 제시하였다. 점묘기법을 활용한 미술지도 프로그램을 투입하고 지도한 결과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점들이 발견되었다. 첫째, 미술에 대한 흥미가 증가하였다. 특히 이전에 미술에 관심이 없고 부족했던 학생들도 점묘법이 가진 매체의 다양성으로 인해 놀이처럼 집중하고 관심과 흥미를 보였다. 둘째, 색채 감각이 증가하였다. 색을 하나씩 사용하던 학생들은 여러 가지 색을 동시에 써 보고 또 인접한 색들의 영향을 직접 체험하면서 색에 대한 호감도가 생겨나고 색채에 대한 개념이 많이 좋아졌다. 셋째, 표현력이 신장 되었다. 사실적 표현력이 부족한 학생들도 대상을 간략하고 단순화 시킨 스케치로 충분히 작품 표현을 할 수 있어서 작업 하는데 따른 두려움이 줄고 즐겁고 표현력이 좋아진 활동을 할 수 있었다. 넷째, 상상력이 증가 하였다. 비추기에서 예기치 않은 현상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우연적 효과를 중요한 미술표현으로 활용하려는 태도는 신선한 상상력으로 이어졌다. 다섯째, 현대 미술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었다.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로는 꼭 닮게 그리는 것만이 좋은 그림이 아니라는 개념을 학생들이 가지게 된 것도 큰 수확이다. 현대 미술이 가지는 도구나 매체의 다양성에 신기해하고 더욱 더 새로운 표현도구나 방식을 발견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부담 때문에 시도하지 않는 점묘작업을 표현도구, 형태, 소재에 따른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적용해 표현해 봄으로 초등학생들의 미술에 대한 관심과 미술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었다. 이러한 미술에 대한 흥미와 미술표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는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활용하는 지속적인 노력과 후속 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 김명주의 "Lyric song for soprano, cello and piano"(1999) 분석

        김명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79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기에 이르는 시기는 음악사에 있어 급격한 변화와 새로운 양식이 등장하는 변화의 전환기였다. 특히 19세기말부터 조성체계가 급격히 붕괴되면서 무조음악이 등장한다. 이러한 무조음악의 양태는 이 시기 여러 작곡가들의 작품에서 다양한 형식과 편성으로 표현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무조적 개념을 기본으로 하여 쓰여진 본인의 작품 "Lyric Song for Soprano, Cello, Piano"(1999)를 각 구분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 곡은 '류시화'님의 '섬'을 텍스트(text)로 선택하였으며 텍스트를 음악화 하는 과정에 있어 시어의 묘사나 표현보다 텍스트 전체에서 느껴지는 이미지를 증4도와 단2도 음정으로 형상화하였다. 특히 반복되는 단어가 많은 텍스트의 특징을 살려 같은 단어에 구조적으로 중심이 되는 음을 배치함으로서 곡 전체에 통일성을 부여하였다. 형식은 텍스트에 의하여 크게 4개의 구분(section)-A, B, C, D-으로 나뉘며 구분 D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구분은 각각 하나 이상의 소구분(subsection)을 포함하며 악기의 사용에 있어서 인성이 작품을 이끌어 가는 고전적 개념을 탈피하고 피아노와 첼로의 주법과 역할을 최대한 확대하여 음색의 표현을 다양화했다. 이렇게 작품 분석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요소들과 그것들간의 공통점, 차이점을 전체 구조와 선율, 리듬, 음조직, 강약(dynamics)으로 나누어 연구하고 정리하였다. 특히 이 곡은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 작품 중 하나로 계획(plan)에서 작곡(composition), 수정 (correction), 평가(evaluation), 연주(performence)의 과정을 이미 거친 작품이다. 이러한 음악활동의 일련의 과정을 거친 이 곡을 분석하는 것은 분석을 통하여 이 작품 안에 내재된 음악적 요소들을 정리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해 내며 현재의 부족함 점을 찾아내어 앞으로의 작품활동에 반영하기 위함이라 하겠다.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Lyric Song for Soprano, Cello and Piano˝ which was composed for the graduation concert for the completion of the author’s master degree. In the 19th century, the frequent use and expansion of the Chromatic Scale transformed the previous tonal system. Arnold Schenberg, Anton Webern and Alban Berg of the Second viennese School made an attempt to more away from tonal music by composing atonal works. Atonal music doesn’t have any connection with tonality by not using traditional harmony and melody. The author’s composition is an atonal music, based on atonal concept and has 4 tonal center of A-D#-E-B♭ in each sections. This piece is composed in four sections of A-B-C-D and 3 sections, except section D, have their own subsections. In each sections, the change of tone color is tried by various performing techniques, such as harmonics, sprechstimme and so on. This thesis is studied by dividing this work’s characteristic sectors as whole structure, melody, rhythm and dynamics.

      • 발달장애 청년기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경험연구

        김명주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기 발달장애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경험과 대처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현상학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20세~30세 사이의 청년 발달장애자녀를 돌보는 어머니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자들과 1~2회에 걸친 심층 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구성의미 136개와 41개의 주제 그리고 17개의 주제군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청년기 발달장애자녀를 돌보는 어머니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으로는 장애자녀의 오랜 치료와 재활에도 상태가 좋아지지 않아 억장이 무너지는 좌절감과 공교육이 종료된 청년 장애자녀를 보낼 시설 부족과 비용부담으로 괴로움을 느꼈다. 청년이 되어 몸집이 커진 장애자녀의 절제되지 않는 행동으로 노심초사하였으며, 20대의 청년이 되었으나 신변처리도 하지 못하는 자녀로 인해 막막함을 경험하였다. 때때로 청년이 된 자녀들의 성적인 욕구가 표출될 때 어머니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몰라 당황하고, 공공장소에서 문제가 될까 봐 마음을 졸이기도 하였다. 이런 장애자녀를 키우며 같은 마음으로 도와주지 않는 남편이 원망스럽고, 자기밖에 모르는 비장애 자녀와 가족들이 무심코 던지는 말 한마디에 상처받고 서운하였다. 어머니들을 힘들게 하는 것은 장애자녀가 사회에서 편견과 오해로 비난받고, 사람들이 피하는 존재가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사회에서 배제당하는 장애자녀의 미래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으며, 어머니 사후의 장애자녀의 삶이 암담하게 느껴져 걱정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장애자녀를 돌보느라 신경 써 주지 못한 비장애 자녀에게 미안함과 안타까운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중년기가 된 어머니들은 오랜 시간 장애자녀를 돌보며 육체적, 정신적으로 소진되고, 자신의 인생을 잃어버린 것 같은 허탈함과 무력감을 경험하고 있으며, 자신에 대한 한계를 느낄수록 더욱 발달장애자녀를 위한 사회적 지원이 확대되어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둘째, 발달장애청년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들의 대처방식은 현재의 자녀 상태를 수용하고 하루하루를 감사하며 살아내는 것이었다. 가족들의 도움이 버팀목이 되고, 무엇보다 같은 장애자녀 어머니들과의 만남은 동병상련으로 의지가 되었다. 주변 이웃들의 격려에 힘을 얻고, 사회 여러 기관의 지원으로 숨통이 트였으며, 신앙공동체의 지지로 주저앉아도 다시 일어설 수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들은 표가 나지 않아도 꾸준히 장애자녀의 자립을 위해 훈련시키고, 실제적인 대비를 하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주목할만한 것은 어머니들이 장애자녀 돌봄에만 전념하지 않고, 장애인을 돕는 삶으로 사회에서 자신의 몫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장애자녀를 통해 더 약한 사람들을 돌아볼 수 있는 마음을 갖게 된 것이다. 본 연구의 성과와 의의는 공교육이 종료된 청년기 발달장애자녀를 돌보는 어머니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현상학적으로 밝혔다는 것이다. 또한, 발달장애청년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대처를 밝혀냄으로써 어머니를 도울 수 있는 자료가 제시되었다. 발달장애청년 자녀 어머니들의 심리사회적 경험을 가정과 이웃, 지역사회 그리고 지원기관과 교회 공동체를 포함하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밝혔다는 의의가 있으며, 발달장애청년 자녀를 돌보는 중년기 어머니의 심리 정서적 안정과 회복을 위한 돌봄과 관심의 필요성을 드러냈다는 의의가 있다.

      • 부상공정과 전기분해 시스템에 의한 색도를 함유한 폐수처리에 관한 연구

        김명주 한국공학대학교 지식기반기술 에너지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최근 주변의 환경이 심하게 오염되면서 수질오염의 문제는 자연 환경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난분해성 물질의 제거에 대한 효과적인 새로운 처리공정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한 수처리 및 염화물을 포함한 실폐수의 전기화학적 산화 처리시 오염물의 제거 특성 및 염화물의 효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연구에서는 난분해성인 염료를 제거하는 기술로 마이크로로 기포를 반응기에 포화상태로 유지하고 collector를 주입하여 수용성 염료를 소수성으로 반응시켜 침전을 유도하여 색도를 제거하였다. 또한, 산소 과전압이 낮고 염소 발생특성 및 전류효율이 높은 DSA(Demensionally Stable Anode) 불용성 전극인 Ti/IrO2 및 Ti/SnO2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Column에 공기를 분사시켜 수용액으로부터 색을 제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착색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Basic Yellow 1 및 Direct Yellow 4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색은 8분 이내에 제거되었다. Sodium lauryl sulfate, oleic acid sodium salt 및 amines와 같은 collector는 색 제거에 효과적이었다. 색 제거는 collector의 첨가량과 수용액 pH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으나, 소량의 collector를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pH에 의존하였으나, 많은 양을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pH에 의존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폐수처리에 이용하기 위하여 NaCl의 존재하에서 페놀의 양극 산화는 서로 다른 실험 조건하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해질에 존재하는 NaCl이 Ti/IrO2 양극에서만 염료 산화 촉매라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Ti/SnO2 양극에서는 전해질 속에 존재하는 NaCl 촉매활성이 없었다. NaCl 촉매활성은 전해질이 bulk하고 양극 가까운 곳에서 전기분해로 생성된 ClO-가 유기물의 산화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질소의 제거에 있어 전해질을 첨가한 Case Ⅱ의 경우에는 전해시간 30분에 NH4-N 약 99%의 제거율을 나타내었고, 전해질을 첨가하지 않은 Case Ⅰ의 경우가 약 42% 이상의 제거율 차이를 보였다. 실제 염색 폐수는 전기분해 처리 후 COD 값은 84∼90 ppm으로 95%∼96%의 매우 우수한 제거율을 보였다. 특히 Ti/IrO2 및 Ti/SnO2 전극의 처리 효과가 유사하게 나타내었다.

      • 동업기업과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김명주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 partnership taxation system is a type of a corporate taxation that a partnership company does not take a tax that comes from profit of the partnership company because of considering organizations (the partnership company) like a human company, founded to manage joint business by investing property or labor with over two people, as a simple pass-through, but each of the partner who consist of the organization takes the tax. Relating the partnership taxation system, this study agonized whether it is valid that legal basement of the partnership taxation could be on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how far the range of the applied companies of the partnership taxation to escape taxation neutrality debate is, and what are problems during operation of the partnership taxation and what are solutions about that problems. This study started from this problem awareness, and it considered problems of current partnership taxation system and devised improvements by comparing and examining current legal regulations and foreign institutions. First, because the partnership taxation system as a type of a corporate taxation for a human company founded to manage joint business is not a temporary system, it has a problem of taxation system that the partnership taxation is prescribed by the special taxation and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which describes restrictions of the special taxation. In a current condition of taxation system (one taxation principle per one item), it has a limitation to make a taxation system legislative about corporate partnership (called “corporate partnership taxation”), in which all of new corporation and individual could be applied, and looking into introduction proposes of the partnership taxation this study suggests to prepare applicable provisions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to prescribe more basic and common items about national taxes than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because it could more fit legislative purpose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than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Second, economic substance deprives organizations that have characteristics of association or human company of selecting and applying the partnership taxation by prescribing the applied companies of the partnership taxation system with formal list, and there have been debates about taxation neutrality of law forma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o revise regulations from a legislation system that, after the applied companies of the partnership taxation system on formal list by types of each company, the system gives selection authorities among them to a legislation system that this taxation system gives chances to select and apply the partnership taxation system when the organization which needs pass-through taxation in their economic substance based on a real taxation principle and then the targets of the organization is listed. Third, instant taxing for assets of investment in kind right at the investment time is against the introduction purpose of the corporate taxation partnership to vitalize various joint business managements and to fertilize investments, and it could be possible that taxation make the corporate partnership organizations interrupted, and also unrealized profit could take taxation before an organization makes gains, and it has a problem to violat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by imposing taxes by an established regulation without substantive enactment on the taxation law. As a method to maintain current taxation system (all transfer settings) about contribution in kind and to vitalize introduction propose of the partnership taxation system, a taxation system must be prepared that transfer profit could be aware as following a market price of investment assets at the point of investment in kind but taxation about this condition becomes divided taxation to divided repayment in three years with three-year grace period, and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legislated taxation and legal stability are secured to make substantive enactment for the tax law by adapting rules of property appraisal by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about the market price of investment assets, and cost of tax administration and tax compliance could be reduced by improving predictability for tax payers. Fourth, incase of profit-loss distribution, it is permitted to make promises in various ways in civil law and commercial law to prescribe related partnership corporations, but in the partnership taxation system, however, there are problems not to reflect economic substance because of forcing the only ratio of profit-loss distribution. Therefore, various ratio of profit-loss distribution should be permitted to make harmony with profit-loss distribution regulations prescribed by a civil law for types of each company and to distribute profit-loss as fitting economic substance, and, when there are worries about avoidance of tax, it could be needed to improve the ratio of profit-loss distribution not by just before taxation period but by appropriate taxation period. Also, in case of avoidance of tax for many taxation periods, as post verification by 5 years because of considering that periods of national tax imposition exclusion and claim of reassessment are 5 years, this study suggests to deny promised ratio of profit-loss distribution when “total taxation burden of partnership increase actually” and to recalculate profit-loss of corporate partnership by adapting investment shares of partners. Fifth, it is not appropriate for a passive partner to impose tax by unconditional divided income regardless of the source of income to be distributed, and also it is not appropriate to deny the allocation of losses itself.? In case of taxation neutrality with financial investors who invest directly and taxation as following income source to solve taxation imbalance about foreign pension and fund of passive investors of private equity fund, it is valid for the passive investors to make pass-through taxation, and profit divided to the passive investors should be taxed as following types of the income. 동업기업과세제도는 2인 이상이 재산이나 노무 등을 출자하여 공동사업을 경영하기 위하여 설립한 인적회사 성격의 단체(즉 동업기업)를 단순한 도관(Pass-through)으로 보아 동업기업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해 동업기업 단계에서 과세하지 않고 이를 구성원인 각각의 동업자에게 귀속시켜 동업자별로 과세하는 기업과세제도의 일종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동업기업과세제도와 관련하여 그 법적 근거를 조세특례제한법에 두는 것이 타당한지, 동업기업과세제도의 적용대상기업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동업기업과세제도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무엇인지 등에 대하여 고민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기업소득과세제도의 하나인 동업기업과세제도의 이론적 근거와 도입취지, 현행 법률 규정 및 외국의 제도를 비교·검토해 봄으로써 현행 동업기업과세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강구해 보았다. 첫째, 동업기업과세제도는 공동사업을 경영하기 위해 설립한 인적회사 성격의 단체에 대한 기업과세체계의 하나로서 일시적인 제도가 아니므로 조세특례와 이의 제한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는 조세특례제한법에서 규정하는 것은 조세체계상 문제가 있다. 현행 조세체계(1세목 1세법주의)내에서는 새롭게 법인과 개인이 모두 적용받을 수 있는 동업기업에 대한 조세체계(일명 “동업기업세”)를 입법화하는 것은 한계가 있고, 동업기업과세제도의 도입목적을 보면 조세특례제한법의 입법목적보다는 국세기본법의 입법목적에 더 부합하므로 국세기본법에 근거규정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동업기업과세제도의 적용대상기업을 열거하여 규정함으로써 경제적 실질이 조합이나 인적회사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사업체에 대하여 동업기업과세제도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고 있으며, 법형식의 조세중립성에 대한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현행의 동업기업과세제도의 적용대상기업을 기업형태별로 열거하고 그 중 선택권을 주는 입법체계보다는 실질과세원칙에 근거하여 단체의 경제적 실질이 도관과세의 필요성이 있는 단체에 해당되면 동업기업과세제도를 선택·적용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고 그 대상들을 예시하는 것으로 규정을 정비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현물출자 자산에 대하여 출자시점에 즉시 과세하는 것은 다양한 공동사업 경영을 활성화하고 투자를 촉진하고자 하는 동업기업과세제도의 도입취지에 반하고 조세가 동업기업의 조직에 장애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해당 기업이 소득창출을 위한 영업활동을 개시하기도 전에 미실현이익에 대하여 과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현행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체계(전부양도설)를 유지하면서 동업기업과세제도의 도입취지를 살리는 방법으로, 현물출자시점에서 출자자산의 시가에 따라 양도손익을 인식하도록 하되, 그에 대한 세금은 3년 거치 3년 분할 상환하는 분할과세방법으로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손익분배에 관하여는 해당 동업기업을 규율하는 민법과 상법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약정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는데 반하여 동업기업과세제도에서는 단일의 손익배분비율을 강제하고 있어 경제적 실질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각 기업형태별로 민법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손익분배규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경제적 실질에 맞게 손익이 배분되도록 다양한 손익배분비율을 허용하여야 하며, 조세회피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직전과세기간의 손익배분비율보다는 동업자의 출자지분을 당해과세기간의 손익배분비율로 개선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여러 과세기간에 걸쳐 조세회피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국세부과제척기간과 경정청구기간이 5년임을 감안하여 5년을 기준으로 사후적인 검증을 함으로써 “동업자의 전체적인 조세부담이 실제로 감소하는 경우”에는 약정손익배분비율을 부인하고 동업자의 출자지분을 적용하여 동업기업의 손익을 재계산할 것을 제안한다. 다섯째, 수동적 동업자라고 하여 그에게 배분되는 소득을 그 원천에 상관없이 무조건 배당소득으로 의제하여 과세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고 또한 결손금의 배분 자체를 부인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사모투자전문회사의 수동적 동업자 중 외국 연·기금에 대하여 과세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소득원천에 따른 과세를 하고 있고 직접투자를 하는 재무적 투자자와의 조세중립성 측면에서도 수동적 동업자에 대한 도관과세를 하는 것이 타당하며, 수동적 동업자에게 배분된 소득도 소득의 종류에 따라 과세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전래동화그림책의 서사구조와 형태적 특성 연구

        김명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최근 시중에 출판되어 있는 전래동화그림책의 서사구조와 내용, 형식 그리고 형태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전래동화그림책이라는 문학 양식에서 설화가 현재 어떤 구조와 의미로 전승되고 있는지를 밝힐 수 있었다. 또 전래동화그림책을 주로 읽는 아동의 인지와 사고력의 발달까지 도모할 수 있는 글과 그림의 표현 방법까지 제시하였다. 아동을 위해 기존 설화를 재화하여 그림과 함께 표현하며 발행한 도서가 전래동화그림책이다. 이를 읽기 자료로 가장 많이 접하고 있는 연령은 옛이야기기인 4~6세와 우화기인 6~8세의 아동이다. 즉 4~8세 아동은 전래동화그림책을 통하여 한국설화인 구비문학을 처음 만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조상들의 전통적 가치관과 의식, 사상까지 전수받고 있다. 설화를 올바르고 더 발전된 전래동화그림책으로 재화하여 전수, 계승하기 위해서는 채록된 설화 자료를 바탕으로 서사구조를 비교, 분석해 보아야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최근까지 어떤 유형과 구조로 전승되어 가고 있는지를 알아 낼 수 있다. 그 결과, 내용의 주제 의미와 의식까지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출판되어 있는 전래동화그림책의 형식과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가장 적합하고 알맞은 독서교육 자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7설화 ‘개와 고양이’, ‘구렁덩덩 신선비’, ‘바리데기’, ‘선녀와 나무꾼’, ‘심청 이야기’,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호랑이와 곶감’으로 출판된 전래동화그림책을 채록 설화와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어: 전래동화그림책, 설화, 서사구조, 형태적 특성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lots, stories, styles and elements of structure in picture books of fairy tale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in the market. The study aims at finding out what kind of plots and meanings of folk tales have been passed on to the genre of picture books fairy tales. And the study suggests the methods of writing stories and expressing pictures to help the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thinking ability improvement of children, the main readers. Basically, picture books of fairy tales are based on existing folk tales and come out with pictures for children. The target audience group for fairy tales is children of 4-6 years of age and the one for fables, 6-8. The media that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4 and 8 first meet (in the form of folk tales or oral literature) are picture books of fairy tales. These books also teach them the traditional values, spirits and principles handed down from their forefathers. In order to pass on and translate folk tales to refined versions as in picture books of fairy tales, comparison and analysis of plots need to be done based on recorded data concerning tales. This kind of effort will lead researchers to learn what types and plots of tales have been taken on to date and look at the theme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then spiri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yles and elements of structure in picture books of fairy tales and to provide the most proper reading materials to help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children. The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the plots of the seven folk tales from the picture books including "The Dog and the Cat," "The Snake Groom, Shin Seonbi," "Princess Bari," "The Heavenly Maiden and the Wood cutter," "The Story of the Filial Daughter Shim Chung," "The Brother and the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and "The Tiger and the dried persimmon" with the recorded folk tales. Key words: Picture Books of Fairy Tales, folk tales, plots,elements of structure.

      •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 조사

        김명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조사 목적은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연구조사는 2008년 4월 1일부터 2008년 4월 5일까지 대구한의대학교 학생 중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일부 문항에 대해서 삭제, 수정·보완하였고 2004년 4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25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250명을 일반적 특성별로 구분해 보면 성별로는 남자가 99명 39.6%, 여자 151명 60.4%로 조사되었으며, 학년별로는 1학년이 69명이고 27.6%였으며, 2학년은 82명 32.8%, 3학년 76명 30.4%, 4학년 23명 9.2%였다. 2. 노인부양의식에서 가장 강한 부양의식을 가진 것은 경제적 부양의식(4.24)이었고, 그 다음이 서비스적 부양의식(4.04), 정서적 부양의식(3.83)의 순이었다. 3.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양의식에 관한 조사에서 연령별로는 22세이상 24세미만 학생들의 경제적 부양의식이 4.43으로 가장 높았다(p<0.05). 출생 서열별로는 외동이 4.54로 부양의식이 가장 높았다(p<0.01). 부모님 건강상태별로는 부모님이 건강한 편이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부양의식은 4.36으로 조사되어 부모님의 건강수준이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대학생들의 정서적 부양의식에 관한 조사에서 연령별로는 22세이상 24세미만 학생들의 부양의식 4.01로 정서적 부양의식이 가장 높았다(p<0.05). 또한 부모님이 건강하다라는 학생집단에서 정서적 부양의식이 높았다(p<0.01). 5.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서비스적 부양의식에 관한 조사에서 부모님 건강이 건강하지 않는 편이다라는 집단에서 서비스적 부양의식이 3.92, 건강이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부양의식은 4.00, 건강한 편이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부양의식은 4.14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6. 경제적·정서적·서비스적 부양의식과 서로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서적 부양의식과 서비스적 부양의식은 서로간의 상관관계가 강하게 나타났다(r=.730). 7. 회귀분석 결과 노인부양의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출생순서(β=.148), 종교(β=.127), 부모님 건강상태(β=.168)였다. 즉 출생순서에서 외동일수록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이 높았으며, 종교에서는 종교가 있을수록 노인부양의식이 높았고, 부모님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노인부양의식이 높았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undergraduates’ awarenes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It has conducted preliminary study to verify valid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survey to 30 students among undergraduates in Daegu Hanny University from 1 to 5 April 2008. Then, it deleted, revised or corrected some items and it performed the field survey to 250 students from 15 April to 31 May 200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y general characteristics, 250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99 men (39.6%) and 151 women (60.4%); 69 freshmen (27.6%), 82 sophomores (32.8%), 76 juniors (30.4%) and 23 seniors (9.2%). 2. With regard to awarenes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economic caregiving awareness was the strongest in this study(4.24), followed by service (4.04) and emotional (3.83). 3. The economic caregiving awareness was highest in students aged between 22 and 24 (4.43) (p<0.05). The awareness was greatest in only child (4.54) (p<0.01). Regarding to health status of parents, it showed 4.36 of supporting awareness in the group answered ‘my parents are healthy’. It meant that health status of parents affects the economic caregiving awareness (p<0.05). 4. With regard to the emotional caregaiving awareness, it was highest in undergraduates aged between 22 and 24 (4.01) (p<0.05) and in the group with healthy parents (p<0.01). 5. In the case of the service caregiving awareness, it was 3.92 in the group with somewhat unhealthy parents; 4.00 in students with somewhat healthy parents 4.14 in the group with healthy par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01). 6. In the correlation among those awareness, it show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and service caregiving awareness (r=0.730). 7. A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awareness for the aged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birth order (β=.148), religion (β=.127) and health status of parents (β=.168). In other words, the awareness was greater in the only child, in the student with religion or with healthy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