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Olympics like political power, commercialism, racialism, nationalism, racial discrimination, taking drugstuffs, "victory-first" principle, "recording-first" principle, the "almighty-dollar" principle, etc. These problems cause many troubles in combining with a pursuit of excellence which pursues an external purpose. The disharmony between a pursuit of excellence and the moral side of Olympism can be said to be a structural problem of the competitive athletic sports system and the Olympism. Thus, this study has considered from a viewpoint of structural disharmony of the limit of amateurism and the Olympism and the competitive athletic sports system. The study subjects such as a background of Olympics' rebirth, the factor reflected on the modern Olympism among the ancient Greek culture factors, the influence which the British athleticism had exerted upon the Olympism, the relation between the Olympism and the education, the decision of Olympism' s characteristic, the limit of Olympism' s realization, the method to overcome a limit if there is a limit of Olympism in the Olympics have been set up. As a method to study, I have invested the literatures and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 1.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Olympism First, the similar Olympics have exerted an influence upon the permanence of Olympism, the conviction on the Olympics'rebirth by an excavation of the ancient Greek Olympia remains and the humanism have exerted an influence upon the universality, the French circumstances of the times upon the educational sides of the Olympism. Second, among the Greek cultural factors, the arete, the agon, the religious celebration formality, the thought which pursues a peace and a beauty are the factors which have exerted an influence upon the Olympism. The arete exerted an influence upon the side which devises a harmonic development of a mind and a body. The value which the agon and the arete pursue is an honor. Third, the British muscular Christianity had inherited the sprit of knighthood of the middle ages, and the British gentlemanship had exerted an influence upon the spritual side of the modern Olympism. Forth, the education is a core and an essence in the Olympism. The Olympism means that it devises a harmonic development of a mind and a body by pursuing the moral development through the sports. The religious characteristic of Olympism is related with amateurism, and the amateurism have relation to the education owing to the morality. Fifth, the Olympism's characteristic can be fixed as a spiritual, ideal, objective, absolute, unconditional, universal, permanent, utilitarian, internal, and high-grade value. 2. Limit of the Realization of Olympism in Olympics The amateurism is an essence of Olympism. The amateurism is internal and the professional is external. The amateur player is public and essential, and the professional player is private and acts from the viewpoints of a tool. The limit of the realization of Olympism in Olympics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amateurism limit which only the professional player can do because it needs much training time to go to the global, international level tournaments. Second, the disharmony has occurred because, as a purpose of the practice of exercises, the external inclination which wants the victory controls exclusively the international one which enjoys the sport itself. Third, the bureaucratic and systemic system of tournament pursues the external purpose, but the Olympism pursues the internal one, so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are inharmonious. Forth, the value pursuing an excellence is a relative value obtained exclusively and an inferior one. Because the inferior value is exclusive, it is inharmonious with the Olympism which is an absolute value owing jointly with other persons and a high-grade value. Fifth, the player and the spectators pursue the maintenance of self-respect and the immortality through the competitive athletic sports and the hero system. To pursue an excellence only confirms the limit of the human, that is, a finiteness. 3. Alternative Perspective to Realize the Olympism The Olympism and "Sports for All" movement agrees with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the utilitarianismㆍuniversality of Olympism agrees with the purpose of "Sports for All" movement. Second, the internal purpose of Olympism agrees with the one of "Sports for All" movement. Third, in the side of education, the Olympism agrees with the Purpose of "Sports for All" movement. Forth, in the side of pursuing the beauty, the Olympism agrees with the purpose of "Sports for All" movement. As above, because the Olympism agrees with the purpose of "Sports for All", "Sports for All" has obtained an rightfulness as a possible alternative perspective to realize the Olympism. So, "Sports for All" movement is a possible alternative for realization to overcome the limit of Olympism' s realization in the Olympics.
현대 해석학에서의 폴 리꾀르의 해석학 연구 : 이해론 중심으로
김동복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Abstract) This study approaches the matter of 'understanding' in contemporary hermeneutics and the hermeneutic principles and theological values of P. Ricoeur who extends the nature of hermeneutics from existentialism to phenomenology, text theory, symbolism, and even to the life of human beings. The essential thing in hermeneutics is 'understanding (Verstehen). It was the task of general hermeneutics to find ways that how past events could be understood by us today, and to solve the question on understanding itself such as what the presupposition of understanding is. In hermeneutics, 'understanding' itself belongs to something historical, contains historical features, has relation to historical tradition, and even is subordinated to history. This means that not only the ways of understanding but also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 objects change in the process of history. F. E. D. Schleiermacher extended the traditional hermeneutics, which was limited within document-hermeneutics and hermeneutics, into general hermeneutics. W. Dilthey systemized Schleiermacher's ideas much more epistemologically and established the methodology of the science of mind based on hermeneutics. M. Heidegger put hermeneutics on the ontological base and H. G. Gadamer tried to retrieve the ontological base that Heidegger missed in his ideas through the effective-historical hermeneutics. But Gadamer kept away from the idea of methodology-epistemology and tried to emphasize the idea of truth-ontology. P. Ricoeur didn't consider truth and methodology implied in the reflection of Gadamer's hermeneutics in contrast, but he took it in reciprocal tension of relation and tried to explain the hermeneutics on ontology in terms of epistemology. It means understanding is both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henomenon. He also developed his theory of the text discourse as well as the theory of hermeneutics through putting the contradictive theories into a dialectical way of arbitration. Ricoeur, therefore, reached the hermeneutic epistemology by taking a long detour of 'language analysis' and 'text hermeneutics.' His aim was to arrive at self-understanding through analysing and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analysis of languages. This Ricoeur's theory has provided some clues for study on 'productive functions of imagination' in literary works and the Bible, as well as it is important itself. As Bultmann who said, "the matter of hermeneutics is that of understanding," Ricoeur himself understood the matter of hermeneutics lies in ontological understanding, that is existing while understanding. By now hermeneutics has been focused on the gap between the writers and readers and the ways to overcome the gap between them. So far. we have been thought we could clarify the truth of revelation through the hermeneutics and we could hold the truth in our hands. In terms of modern hermeneutics, however, it seems that the truth in the Bible is not in our hands, but in the category of understanding, reciprocal relation to the text, and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comprehensible human beings. The chapter II of this dissertation treats of hermeneutic disputes on hermeneutics started since the early Christian age and examines what is the problem of modern theological hermeneutics, especially what is the limit of the ways to solve the gap between the Bible and people in understanding of the Bible text. In the chapter III I surveyed the history of hermeneutics since the modern hermeneutics and searched for the various aspects of hermeneutics in treating analytic understanding through the major philosophers since Schleiermacher. Especially, M. Heidegger, who is the leader of ontological hermeneutics which became the touchstone of Ricoeur's hermeneutics, and Gadamer's theory of hermeneutic understanding are fully described. Chapter IV treats of the background of Ricoeur's thought in the modern hermeneutic history and the process of adopting and developing the traditional hermeneutics. The change of Ricoeur's thought from phenomenology to ontological hermeneutics is explained, and his way to work out hermeneutic problems through the dialectic relation of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is searched for. Also, Ricoeur's answers to the matter of understanding in theology are revealed through the text theory, belief and revelation, and symbol. Finally, it is described how Ricoeur's hermeneutic programs take human beings and what is the final destination of understanding. (초록) 이 논문은 해석학의 본질인 ‘이해’의 문제를 현대 해석학에서 어떻게 규명해 나가고 있는지 살펴보고 해석학의 문제를 실존론에서 현상학으로, 현상학에서 텍스트 이론으로, 상징 이론으로, 나아가 인간 존재의 삶으로까지 ‘이해’의 문제를 풀어나가는 리꾀르의 해석학적 원리와 신학적 의의를 살펴보고는 것이 목적이다. 해석학에서 관건이 되고 있는 것은 ‘이해’(Verstehen)이다. 과거의 사건이 오늘 우리에게 어떻게 이해될 수 있으며, ‘이해’의 전제는 무엇인가 하는 ‘이해’ 자체에 대한 물음이 일반해석학에서 풀고자 하는 과제였다. 해석학에서는 ‘이해’ 자체가 역사적 유형의 것이며, 역사적 성격을 띠기 때문에 역사적 전승들과 연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역사에 종속되어 있다고 보았다. 이는 ‘이해’의 방법들이 개별적으로 역사 속에서 변천할 뿐만 아니라 과제의 성격과 내용도 변화됨을 의미하였다. 슐라이어마허는 재래적으로 문헌해석과 성서해석학에 국한되어 이해된 해석학을 일반해석학으로 전개시켰다. 딜타이는 이러한 슐라이어마허의 착상을 더욱 더 인식론적으로 체계화하여, 해석학을 정신과학의 방법론으로 정초시켰다. 하이데거는 해석학을 존재론적 착상에 기초하였고 가다머는 하이데거의 착상이 도외시한 인식론적 정초를 그의 영향사 해석학의 착상을 통해서 다시 복권시키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다머는 방법-인식론적 착상을 멀리하고, 진리-존재론적 착상에 강조점을 두고 자 하였다. 리꾀르(P. Ricoeur)는 가다머의 해석학적 반성에 내포되어 있는 진리와 방법을 대립적으로 보지 않고, 상호긴장 관계적으로 보면서 존재론에 정위된 해석학을 인식론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즉, 이해란 인식론적 현상임과 동시에 존재론적인 현상이라는 것이다. 또한 그는 서로 상반되는 이론들을 ‘변증법적 중재방법’을 토대로 하여 해석학에 관한 이론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담화에 대한 이론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리꾀르 자신은 ‘언어분석’, ‘텍스트 해석’이라는 긴 우회로를 거쳐 ‘해석의 인식론’에 이르는 길을 택하였다. 이는 ‘언어의 의미론적 분석’을 거쳐 이해에로, 자기 이해에로 이르는 것이 그의 목표였다. 이러한 그의 이론은 그 자체로 중요성을 띠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과 성서 텍스트에 나타나 있는 ‘상상력의 생산적 기능’을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불트만이 “해석의 문제는 바로 이해의 문제”라고 한 것처럼 리꾀르에게도 해석학의 문제는 “이해하면서 존재하는 존재론적 이해”에 있었다. 지금까지의 성서해석은 성서 이해를 위해서 저자와 독자 사이의 간격(gap), 성서와 해석자 사이의 간격을 어떻게 극복하며 연결시킬 수 있을까?하는데 초점을 두고 해석의 문제를 풀어왔었다. 지금까지 우리는 성서해석 방법을 통해 계시의 진리를 규명할 수 있고 그 진리 우리 손에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해왔었다. 그러나 현대 해석학적 방법을 통해서 볼 때 성서의 진리가 우리 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해의 지평에 있으며 텍스트와의 상호관계성에 있고 나아가 이해하는 인간 존재의 존재론적 이해에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것을 본 논문에서 다루기 위해 II 장에서는 초기 기독교시대부터 시작된 성서 해석을 둘러싼 해석학적 문제에 대한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현대 신학적 해석학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규명해 보았다. 특히 성서 텍스트 이해에 나타난 성서와 현대인 간의 간격(gap) 해소를 위한 성서해석방법의 한계를 살펴보았다. III 장에서는 현대 해석학의 출현된 해석학 역사를 간략하게 살피면서 슐라이어마허 이후의 현대 해석학이 해석학적 이해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대표적인 사상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리꾀르 해석학의 시금석이 되는 존재론적 해석학의 대표 주자인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해석학을 이해론 중심으로 충분히 살펴보았다. IV 장은 현대 해석학사에 나타난 리꾀르의 사상적 배경을 비롯하여 전통해석학을 수용 발전시켜나가는 과정을 살펴보았고, 현상학에서 출발한 그의 사고가 존재론적 해석학에로 전환되는 과정 및 그의 현상학적 해석학의 근간을 이루는 현상학과 해석학의 관계를 통해 변증법적으로 해석학의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가 이해의 문제를 신학적으로 어떻게 접근하며 해결해 나가고 있는지를 텍스트 이론이나 신앙과 계시, 상징을 통해 규명해 보았다. 그리고 리꾀르의 이러한 일련의 해석학적 프로그램은 인간 존재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이해의 궁극적인 목표가 어디로 나아가는지를 살펴보았다.
김동복 경상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엘리베이터에서는 만일 로프가 절단된 경우 또는 기타 예측하지 못한 원인으로 카의 하강속도가 현저하게 증대된 경우, 그 하강을 제지하는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비상정지장치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한하여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도 필요하다. 더구나 승강로의 피트 아래를 거실이나 통로 등 사람이 서서 들어갈 수 있는 장소로 이용할 때에는 균형추 측에도 비상정지 장치를 설치하여 만일의 자유 낙하를 방지하지 않으면 안 된다. 비상정지장치는 승강체의 하강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과속한 경우에 작동되도록 한 것이지만 급격히 하강을 정지시키면 타고 있는 승객이 충격으로 부상을 당할 염려가 있으므로 일반적으로는 어느 정도 천천히 감속하여 정지시켜야 한다. 연구 내용은 기존의 비상정지장치의 형식은 일반적으로 쇄기식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연구된 링크식은 기존품에 비교해 작고, 가볍고, 좀 단순하고, 가격이 비교해 약 20%정도 저렴하다. 따라서 이 제품을 연구 개발하여 업체를 통하여 생산해서 승강기 부품회사에 널리 사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경영자 인적특성과 거래관련특성이 장기거래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관계품질과 의존성의 매개적 역할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major factor that drive long-term orientation in business-to-business transactions. Three major factors, including managers' interpersonal factors (similarity, expertise), transaction factor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transaction-specific investment), and market status (reputation in industry) were proposed to affect both relationship quality and dependence, which in turn affect long-term orientation. Both attitudinal dimension (like relationship quality) and structural dimension (dependence) were expected to influence long-term orientation toward transactional relationship. In the empirical study involving both textile-dyeing firms and their trading local exporte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resented a well-fit evidence that long-term orientation are strongly influenced by both relationship quality and dependence with which the proposed characteristics have linkage. Coupled with some influence that structural dimension has on long-term orient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esire to remind in long-term business relationship is influenced more by affective motivation like relationship quality. We tested our hypotheses in two separate samples and found strong evidence that, overall, both relationship quality and dependence have significant effect on long-term orientation.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most transaction characteristics such a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transaction-specific assets, which manufacturers (exporters) perceive, have direct effect on their relationship quality with and dependence to exporters (manufacturers), and indirectly impact on their long-term orientation. Interpersonal factors (such as similarity, expertise) were found less significant less than expected in our study setting. More research is needed to further elaborate this issue-considering the relationship stage or length or doing replication studies in different sett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alibinism. The participants were 32 students and 21 parents who registered for the alibinism web site and/or received counseling for the educational placement.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udent survey (32 items) and a parent survey (17 item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the student participants had oculocutaneous alibinism and reported on physiological and psychosocial difficulties as well as albinism-involved challenges (e.g., low vision, photophobia, nystagmus). The students also report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with learning and daily living activities. Students thought that biased look from sighted people was the major reason for their difficulties. Secondly,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albinism were, for the most part, well aware of the conditions of their child's disability and refused to register their child as a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They knew that their child had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daily living activities and believed that visual acuity was the major reason for their child's difficulties. Lastly, both parents and students indicated preferred to receive special education services in regular schools rather than to attend special schools. They responded that their educational needs included low vision devices, enlarged learning materials, appropriate lighting conditions, large-print textbooks, and extension of test-taking time.
이 연구는 학부모의 태권도장 선택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다. 심층면담을 조사도구로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한 귀납적 분석을 연구방법으로써 사용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진행된 연구의 결과에서 규명된 학부모의 태권도장 선택요인은 모두 8가지 선택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제1요인 입지 요인은 자녀의 안전한 활동을 보장하는 거주지 및 학교와 태권도장과의 접근성을 중요시한다. 제2요인 사범의 전문성 요인은 지도의 태권도 기술 기능에 대한 전문적인 능력 및 교육자적 자질에 대한 정도를 중요시하는 요인이다. 제3요인 추천 요인은 학부모들의 태권도장 선택에 있어서 시간적 편의를 위해 주변인들의 긍정적 의견을 참고하게 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태권도장의 이미지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된다. 제4요인 시설 및 환경은 태권도장의 내부 인테리어 및 부대시설의 구성에 관한 요인으로 자녀들의 안전한 수련환경과 전문적인 학습을 위한 도구 준비정도를 살펴보는 요인이다. 제5요인 교육철학 요인은 태권도장에 보내지는 자녀가 양질의 수련지도를 받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도자의 전문성과 함께 지도자의 인격과 철학에 근간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인식에 의한 선택요인이다. 제6요인 태권도 프로그램 요인은 태권도장임에도 불구하고 우선순위에서는 상위를 차지하지는 못했지만 학부모들이 태권도장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는 분명히 존재하고 있음을 다시금 확인하게 하였다. 제7요인 스포츠 프로그램 요인은 자녀의 다양한 경험을 저비용 고효율의 학습 환경에서 이루어지길 바라는 학부모들의 요구에 의해 최근 가장 중요시되는 요인들 중 하나였지만 우선순위의 상위는 차지하지 못하였다. 제8요인 생활편의 요인은 맞벌이 부부가 많은 현대사회에의 특징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중요요인으로서 가정 또는 학교에서 미흡한 것을 태권도장에서 해결하려는 학부모들의 욕구에서 발현된 것으로서 등하교 관리, 생일이벤트 등의 부수적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결론에 따라 향후 태권도장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질적 연구의 한계가 지니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이를 양적연구로 변환한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둘째, 선택요인과 함께 비교할 수 있도록 태권도장 지도자가 효과적인 태권도장의 경영성과 달성을 위해 중요시하는 경영품질 구성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의 수행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학부모의 선택요인에 의해 결정된 태권도장에서 직접 수련하는 수련생의 만족도를 규명하는 연구도 의미 있는 결과를 지닐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 전략에 대한 연구 : 청주시 옛 연초제조창을 중심으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면에서 개방과 경쟁이 확대되고, 도시의 경쟁력이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인식의 확산과 도시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한편, 도시 및 권역의 광역화를 통한 지정학적, 기능적 협력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존 도시재생은 물리적 측면의 개발과 성과 위주의 방식으로 자연환경 훼손 및 자원고갈의 문제와 사회적 빈약 계층의 고립, 경제 양극화 등의 사회적 문제해결에 대한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지금까지 다양한 도시재생사업의 전략이나 기법들이 많이 개발되고 또 시도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문화와 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이 이목을 끌고 있다. 도시의 활성화를 위한 문화전략은 시기에 따라 그 내용과 우선순위가 다르게 변화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문화적 삶의 질 증진, 문화정체성 확립, 예술 및 문화발전, 문화예술의 사회경제적 가치 창출 등이다. 이러한 문화전략의 고유목적은 도시사회 존속과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는데 문화는 불가결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 자료들과 국내외 도시들의 재생 사례를 기초로 문화 예술적 도시재생의 유형을 분류하고, 분석하여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전략의 시사점과 적용가능성을 도출하였다. 그 연구를 바탕으로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선정된 청주시 옛 연초제조창을 사례지로 선정하고,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 전략 중 어떤 요소가 실제 도시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잠재적으로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낙후되고 쇠퇴한 지역을 매력 있는 문화도시로 변화시킬 수 있는지 분석,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주시 옛 연초제조창을 중심으로 한 도시재생 선도사업이 통합청주시의 발전을 위해 나아가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전략으로 문화시설조성, 지역 문화이벤트 활용, 문화산업 및 경제 활성화,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청주시 옛 연초제조창 도시재생 선도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미래지향적으로 변화, 발전하는 실질적인 사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At present, every field including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culture around the globe has been getting open and more competitive. The awareness that competitiveness of a nation depends on competitiveness of a city has become more widespread, and in the meantime, competitiveness between cities has also become much more intense. In these circumstances, the number of geopolitical and functional cooperation cases has steadily increased. The existing Korean urban regeneration mainly has focused on physical development and performance, and therefore, it also has involved a number of limitations, such as environmental contamination, resource depletion, and also social problems like social isolation of vulnerable group and economic polarization. With regard to these, various urban regeneration business strategies and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and tried, and among them, the one which utilizes culture and art is especially receiving attention. Although the details or priorities of cultural strategy to revitalize a city may vary according to the times, in general it is based o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establishment of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of art and culture, and creation of social- and economic value for culture and art. And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cultural strategy is to make people recognize that culture is an indispensable part to sustain and maintain our urban society. Hence, in this research, classification and analysis work upon the types of cultural and artistic urban regeneration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actual cases of the domestic/foreign cities as well as preceding research data. Also implications and applicability of the urban regeneration strategy utilizing culture and art were drawn. For the research, an old Cigarette Factory in Cheongju, South Korea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an urban regeneration leading region was selected as a case region,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see which urban regeneration strategy using culture and art is really capable of revitalizing a city, and also what kinds of values it involves potentially.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 the way to develop a backward and run-down region into an attractive and lively cultural city was also examined. Lastly, it suggests the way to foster the cultural facilities, utilize regional cultural event, revitalize cultural industry, economy, and local community, so that the urban regeneration leading project which is based on the old Cigarette Factory in Cheongju could become a meaningful trigger for development of the Consolidated Cheongju City. Hopeful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ould provide a practical case that could lead to future-oriented development, suggesting an effective way to successfully accomplish the urban regeneration leading project in the old Cigarette Factory in Cheongju.
자기주도적 학습과 일제학습의 비교를 통한 수학불안의 분석
김동복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적 학습과 일제학습에서 수학성적 상, 중, 하 집단으로 나누어, (1) 각 집단에 나타나는 수학불안 요인에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2) 수학불안 요인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불안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찾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개 학급은 자기주도적 학습을, 2개 학급은 일제학습을 한 전남 완도군 완도읍에 있는 남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성적 상 집단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의 학생들이 일제학습을 하는 학생들이 보다 덜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 성적 중 집단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의 학생들이 일제학습 학생들보다 수학불안이 아주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학 성적 하 집단에서는 두 집단 모두 수학불안을 느끼며, 차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학 불안이 성적 상 집단의 학생들에게는 상당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학 성적 중 집단과 하 집단에서는 수학 불안이 수학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특히 하 집단에서는 수학 불안으로 인하여 수학에 대한 무관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높은 수학불안을 보이는 학생들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수학에 대한 불안 정도를 감소시켜 수학 학습에 관심과 자신감을 갖도록 지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dividing class into high, average, and low groups in self-directed-learning and learning-in a body) is (1) to find out what makes the students feel anxious about math and (2) to find out the ways to decrease their anxiety by continuous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ird year-students in Wando middle school in Chonnam. Two classes did self-directed-learning and other two classes did learning-in a body. The results are like these. First, in high group in math grade, students in self-directed-learning are less anxious than students in learning-in a body. Second, in average group in math grade, students in self-directed-learning are much more anxious than students in learning-in a body. Third, in low group in math grade, both students in self-directed-learning and students in learning-in a body feel anxious about math and had no difference. Fourth, anxiety about math had a very good influence on high group in math grade. Fifth, anxiety about math had a bad influence on average and low group in math grade. Especially, low group students had no concern about math because of their anxiety about math. And, we helped students who feel much anxiety about math to decrease anxiety and to have concern and confidence about math-learning by continuous observation and inter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