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층대의 영향을 받는 터널의 거동 특성 분석

        김대성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재의 터널은 선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약지반이나 단층대를 통과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축소모형실험을 통하여 단층대가 터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축소모형실험의 모형재료를 선정할 때는 차원해석을 통해 현장 터널을 정밀하게 모사하였다. 단층대의 존재 여부, 폭, 경사, 위치를 달리한 12가지 모형 시험체를 제작하였고, 이를 이축압축기에 설치한 후 X, Y 방향으로 동시에 같은 속도로 하중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모형실험을 진행하였다. 터널의 폭을 D라고 할 때, 단층대의 폭은 0.5D, 1.0D, 1.5D로 달리하였고 단층대의 경사는 0°, 30°, 45°, 60°, 90°로 달리하였으며 단층대의 위치는 단층대와 터널 사이의 이격거리가 0D, 0.5D, 1.0D인 모형에 대해 가압실험을 시행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단층대를 포함하지 않는 무단층 터널에 대해서도 실험을 하였다. 가압실험의 결과로서, 단층대의 폭이 클수록, 단층대와 터널 사이의 이격거리가 작을수록 파괴하중은 작게 나타났다. 또한, 단층대의 경사가 45°일 때 파괴하중은 가장 작게 나타났다. 모형실험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Midas GTS NX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시행하였다. 수치해석을 할 때는 모형재료와 똑같은 물성으로 모델링하였으며, 경계조건도 모형실험과 같게 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해 얻은 소성도가 모형실험의 결과와 정성적으로 부합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 시행한 축소모형실험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Current tunnels often pass through soft ground or fault zone to secure linearity.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fault zone on the tunnel was analyzed through a scaled model test. When selecting the model material for the scaled model test, the field tunnel was accurately simulated through dimensional analysis. Twelve model specimens with different existence, width, slope, and position of the fault zone were manufactured, and after installing them in a biaxial compressor, the model experiment was conducted by increasing the load at the same speed in the X and Y directions at the same time. When the width of the tunnel is D, the width of the fault zone is different to 0.5D, 1.0D, and 1.5D, and the slope of the fault zone is different to 0°, 30°, 45°, 60°, and 90°, and pressurization tests were performed on models in which the separation distances between the fault zone and the tunnel are 0D, 0.5D, and 1.5D. In addition, for comparis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endless tunnels that do not include fault zones. As a result of the pressurization test, the larger the width of the fault zone and the small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ault zone and the tunnel, the smaller the fracture load. In addition, when the slope of the fault zone was 45°, the fracture load was found to be the smallest.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model experiment,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idas GTS NX program. In the numerical analysis, the model was modeled with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as the model material, and the boundary conditions were the same as the model experiment. Since the plasticity obtain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was qualitativel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model experiment, the validity of the scaled model test conducted in this study could be verified.

      • 분쇄플라이애쉬를 사용한 3성분계 시멘트 콘크리트의 내구특성

        김대성 군산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mmon topic of today`s issues on earth is "low carbon green growth". Also, concrete studying already reduced their emission of CO2 since a long time by replacing partially cement with SCM like fly ash and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Recently technological developments allow to exploit now using more than 50% of SCM. This study using reject ash is pulverized to blaine 4000~8000 (cm2/g), it is used to important the key of experimentation of ternary cement concrete, replacing partially cement with more than 50% of SCM is experimented with compressive strength,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and acceleration carbonate. The recycling of waste reject ash can solve environment problem about the added value of recycling waste reject, reducing landfill and decreasing emission of CO2 from a reduced amount of cement.

      • 공정개선을 통한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품질향상에 관한 연구

        김대성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대규모 건설공사로 인하여 매년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가 증가되어 폐콘크리트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다. 그로인해 건설공사에서 다량으로 사용되는 강모래, 강자갈과 같은 양질의 자연골재의 수급에 문제에 있어서 골재 부족과 환경문제 등이 발생되어 일부 해외에서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2007년 환경부 국립환경관학원에서 보고한 제3차 전국폐기물통계조사에 따르면 건설폐기물 총 재활용량(5,981만톤) 중 순환골재 생산량은 64%(3,827만톤)로 순환골재 생산량이 전년(655만톤) 대비 584%(3,827만톤) 증가하였다. 건설폐기물의 자원화는 재생자원 확보 및 에너지 절약이라는 측면뿐만 아니라 환경보호 및 보전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크며, 국가적으로도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확대정책을 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자연 천연골재의 부족함을 대체하고자, 이 연구에서는 천연골재를 대체 할 수 있는 순환 골재의 품질 규격에 맡는 제품을 생산 할 수 있는 공정개선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생산된 골재의 품질 개선과 품질 기준에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입도시험, 흡수율시험, 마모율 시험, 건조밀도 시험 등 역학적 시험을 통하여 적절성을 판단하였으며, 환경적 안정성을 위하여 소음, 진동, 미세먼지 및 콘크리트 강도시험을 실시하여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로써의 사용 적합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공정개선에 따른 품질시험 결과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가장 큰 중요요소로 볼수 있는 흡수율 2.52%, 건조밀도 2.53g/cm, 마모감량 34.67%로 개선되어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품질 규격이 모두 적합함을 보였다. 또한 환경평가에 대한 소음, 진동, 미세먼지 측정은 모두 환경성 평가 안정에 적합함을 나타내었다. 품질의 적합함과 규정에 맞는 순환골재의 내구성을 결과로 콘크리트용으로 공정개선을 통하여 얻은 순환골재의 콘크리트용 골재로써의 사용은 타당함으로 판단된다.

      •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유해요인 평가 및 관리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김대성 仁川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다발하고 있는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법적으로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여 문제가 되는 작업을 찾아 작업환경개선을 실시함으로써 근골격계질환을 감소·제거시키도록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법·규칙 고시·기술지침 등에는 유해요인조사 후 작업환경개선조치의 대상여부를 결정하는 유해도 평가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법 의무이행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유해요인조사 지침의 경우, 작업빈도와 작업부하의 곱으로 유해도를 평가하고 있는데, 작업부하를 결정할 때 작업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기준으로 함에도 평가의 민감도가 낮아 개선 우선순위 결정에 반영하기 어려우며, 조치수준이 제공되지 않아 유해정도를 판단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유해요인조사시 유해도 평가항목 및 기준을 명확히 하고자 법적 유해요인조사의 틀을 유지하면서 최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관리모델을 개발코자 하였다. 일련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외국기관 및 사업장에서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해 규정·권고하고 있는 유해요인 조사, 유해요인 평가항목 및 기준 등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유해요인조사자 및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다양한 유해요인 평가항목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적용가능성을 조사하여 5가지 평가항목(작업빈도, 작업부하, 증상설문, 부담작업 위험수준 및 고위험 작업군)을 선정하였고, 문헌검토를 통해 각 평가항목별로 평가등급을 결정하였고, AHP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항목별 중요도 및 가중치 분석을 통해 평가기준에 따른 유해도평가점수(Risk Assessment Score, RAS)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RAS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정밀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분석결과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30개의 다양한 형태의 작업을 대상으로 QEC, Tools(RULA, REBA, NLE)와 개발된 RAS를 비교하여 신뢰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최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재조정하였다. 개발된 RAS는 모든 평가항목간의 합으로 구성되며, 조치수준은 Green zone이 27.5%미만, Red zone이 85%이상일 때 가장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이렇게 개발된 평가기준이 사업장 및 안전보건 유관기관 등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관리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범용적인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 평가항목과 기준을 개발하여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작업환경개선 대상 작업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관리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유해도 평가방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며, 사업장, 보건관리 대행기관, 공단 및 노동부의 근골격계질환 예방업무 담당자가 쉽게 유해도 평가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를 시작으로 사업장의 업종 및 규모, 작업유형 등의 특성에 따라 유기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개별 사업장별 관리모델을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WMSDs) is consdered as the most common occupational disorders Consequently, there has been increased interst in the undertaking of pratcial risk assessment and ergonomic interventions in the workplace. However, there has been bo such guideline that can subjectively evaluate for risk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ty to develope a quick, easy-to-use and valid technique to assess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WMSDs. Hene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for risk factors and to suggest pratical management model. To develop a new risk assessment tool, previous reserch and methodologies from literature review were modified to improve the reliablity anf eadiness in use us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This RAS tool inculdes the five variables(duration of task, intensity of exertion, task related signs or symptoms, risk gruo og musculoskeletal burdened work. task of hifh risk). Also, this tool categorizes the level of risk into three groups: Green, Yellow and Red.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the suggested RAS tool, the developed assessment tool(RAS) was compared with existing methods(QEC, RULA, REBA, NLE) was 0.575. As a reuslt of validation, for RAS score between 1 and 11 the risk is considered to be acceptable. For RAS could be used as an efficient WMSDs ridk assessment tool and a pratical management model to reduce the risk of WMSDs in various workplaces.

      • 디자인 경영전략 유형에 따른 운영특성 및 성과차이에 관한 연구 : 국가지원사업 참여기업을 중심으로

        김대성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Design management is rapidly emerging as the topic of conversation in business management. As emotional consumption gradually expands due to today's changes in trend, design is being established as a key factor in the competitiveness of merchandise. Until now, the global market has seen a developmental policy which was high-tech centered, and differentiation among competing companies has reached a limit. Also, the reality is that even if companies temporarily secure superiority in competition over technology and quality, others will catch up overnight. As such, advanced domestic and foreign businesses ceaselessly seek for change and innovation. Moreover, they are receiving considerable attention from the consumers for utilizing a new factor called, 'design', in business management, as they try to create a differentiating factor by moving beyond the sphere of price, technology, and service. However, the design competitiveness of most small and medium/venture businesses in Korea, which do not have much surplus resources, stand at only 70%~80% of developed countries. Also, the businesses do not show any systematized ideas on design. As s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direction of small and medium businesses which will enable them to secure sustained superiority over competing businesses. This will be achieved by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design management that has been countenanced by famous overseas companies or large domestic companies for an extended length of time and by recommending a methodology that can be applied to small and medium/venture businesses based on a study of the influence exerted by design management upon business showing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mall and medium/venture businesses which urgently require design management. Particularly, the study surveyed 124 companies based on a countrywide questionnaire and centered mainly on the greater Daejeon area. Moreover, for more detailed analysi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influence exercised by design strategy upon business showings by surveying primarily those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state supported projects. Thus, based on the present research, this study focused on recommending a model which will enable small and medium/venture businesses formulate a design strategy and based on execution characteristics that are appropriate to it, achieve their objectives. Design Management가 기업경영의 화두로 급부상하고 있다. 시대의 트렌드 변화로 인해 감성소비가 점차 확산되고 있어 디자인이 제품경쟁력의 핵심요소로 정착하고 있는 것이다. 그 동안 세계시장은 High-Tech 위주의 개발정책으로 각 경쟁사간의 차별화가 한계에 이르렀으며, 기업들은 기술과 품질 경쟁에서 일시적으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더라도 하루아침에 따라 잡히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국내외 선진기업들은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시도하고 있으며 가격, 기술, 품질, 서비스 영역을 넘어 새로운 차별적인 요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여 ‘디자인’이라는 새로운 요소를 기업경영에 활용하여 소비자에게 상당히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여력이 없는 국내 대부분의 중소⋅벤처기업들은 디자인의 경쟁력이 선진국의 70~80% 수준에 불과하며, 디자인에 대해 어떠한 체계화된 견해도 보여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유명기업이나 국내 대기업에서 예전부터 추진하고 있는 디자인 경영의 본질을 이해하고, 디자인 경영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를 통해 중소⋅벤처기업 및 창업자에 적용 가능한 방법론을 제시하여 경쟁사와의 지속적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디자인 경영이 절실하게 필요한 중소⋅벤처기업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그중에서도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 설문을 통해 124개의 기업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보다 세부적인 분석을 위해 국가지원사업에 참여한 기업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디자인 전략 유형에 따라 기업특성 및 성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분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중소⋅벤처기업 및 창업자에게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고 그에 맞는 실행특성을 통해 기업이 추구하는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모델제시에 중점을 두어 연구하게 되었다.

      • 섬유 보강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과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대성 조선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made hybrid high-strength concrete mixed with polypropylene fiber and steel fiber to ensure ductility of high-strength reinforced concrete and prevent explosive spalling in fire. It conducted member experiment with this specimen and examined fire-resistant property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iber on high-strength concrete, and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As a result of fire-resistant test of mortar and concrete for obtaining appropriate polypropylene fiber, non-mixture specimen of fiber was spalled during fire-resistant test compared to mixed specimen of fiber. Mixed specimen of polypropylene fiber was not spalled and it was considered that mixture of polypropylene fiber was effective in increasing fire resistance. In addition, it was judged that mixture of polypropylene for enhancing fire resistance was effective with 3D~10D of diameter, 20~40mm of length and 1.5㎏/㎥ of mixture. 2. As a result of material test with hybrid concrete materials mixing polypropylene fiber and steel fiber, mixed concrete of 3D-20㎜-1.5㎏/㎥ of steel fiber and polypropylene fiber and that of 3D-20㎜ and 10D-40㎜-1.5㎏/㎥ of polypropylene showed similar compressive strength and bending strength. 3. As a result of fire resistance test of hybrid concrete mixed with polypropylene fiber and steel fiber, retention rate of compressive strength of hybrid specimen was 48% higher than the mixed specimen of polypropylene fiber. Retention rate of compressive strength was higher in hybrid concrete mixed with 1.5㎏/㎥ of polypropylene of 3D-20mm and 10D-40mm than in hybrid concrete mixed with 3D-20㎜-1.5㎏/㎥ of polypropylene fiber. 4. As a result of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est of column member mixed with fiber, standard specimen showed explosive spalling of 60% compared to the total area. Hybrid column members showed minute crack, but not explosive spalling. In case of comparison with fire resistance time, standard specimen didn't meet standard of notification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but hybrid column member ensured 3-hour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such a notification. In addition, it showed double improvement of fire resistance performance compared to standard specimen. 5. As a result of bending test of fiber mixed beam member, standard specimen and hybrid specimen showed similar yield strength and maximum load. Hybrid specimen showed high initial crack load and it was effective in controlling initial crack with fiber mixture. In case of ductility by bending specimens, ductility of hybrid specimen was 4% higher than that of non-mixture specimen of fiber. In addition, standard showed brittle behavior after maximum tensile strength, but hybrid specimen showed ductile behavior. 6. As a result of shear test of mixed fiber beam member, hybrid specimen showed 38% increase of tensile strength compared to standard specimen. In ductility by shear specimens, ductility of hybrid specimen was 115% higher than that of standard specimen. 7.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fire mixture of high strength concrete was effective in reducing explosive spalling and preventing delamination of concrete caused by fire. In addition, mixture of polypropylene fiber and steel fiber rather than polypropylene fiber mixture enhance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high-strength concrete could induce brittle behavior to ductile behavior by making it hybrid.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연성 확보 및 화재 발생 시 폭열 방지를 위해 PP섬유와 강섬유를 보강한 하이브리드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체 제작 후 재료실험과 부재실험을 실시하여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섬유의 내화성능 및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P섬유 적정도출을 위해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내화시험 결과, 섬유 보강 실험체 비해 섬유 무보강한 시험체는 내화시험 도중 폭렬 발생하였다.PP섬유 보강 시험체는 폭렬 발생이 하지 않아 PP섬유의 보강으로 내화성 증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내화성 증대를 위한 PP섬유는 직경의 경우는 3D∼10D, 길이는 20∼40㎜, 보강량은 1.5㎏/㎥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2. PP섬유와 강섬유를 보강한 하이브리드 콘크리트의 재료시험 결과, 강섬유와 PP섬유 3D-20㎜-1.5㎏/㎥ 보강 콘크리트와 3D-20㎜와 10D-40㎜의 PP섬유를 1.5㎏/㎥ 보강한 콘크리트는 유사한 압축강도, 휨강도를 나타냈다. 3. PP섬유와 강섬유를 보강한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내화실험 결과, PP섬유를 보강한 실험체보다는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한 실험체의 압축강도 잔존율이 48%정도 높게 나타났다. PP섬유 3D-20㎜-1.5㎏/㎥ 보강한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 콘크리트 보다 3D-20㎜와 10D-40㎜의 PP섬유를 1.5㎏/㎥ 조합하여 보강한 콘크리트가 압축강도 잔존률이 높게 나타났다. 4. 섬유를 보강한 기둥 부재의 내화성능 평가 결과, 기준 실험체의 경우, 전체 면적 대비 60% 정도 폭렬이 발생하였다.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 기둥 부재는 미세한 균열은 발생하였으나 폭렬은 발생하지 않았다. 내화성능 시간으로 비교했을 경우, 기준 실험체의 경우 국토해양부 고시 기준[고강도 콘크리트 기둥․보의 내화성능 관리기준, 2008.07]에 만족하지 못하였으나,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 기둥 부재는 국토해양지부 고시 기준에 대해 3시간의 내화성능을 충분히 확보하였다. 또한 기준 실험체에 비해 2배정도의 내화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섬유 보강 보 부재의 휨실험 결과, 기준실험체와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한 실험체의 항복하중 및 최대하중은 유사하였다.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한 실험체의 초기균열하중이 높게 나타나 섬유 보강으로 초기균열 제어 효과는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휨실험체별 연성 경우, 섬유 무보강 실험체보다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한 실험체의 연성이 4% 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준실험체는 최대내력 이후 취성적인 거동을 보였으나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한 실험체는 연성적인 거동을 보였다. 6. 섬유 보강 보 부재의 전단실험 결과, 기준실험체 보다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한 실험체가 38% 정도의 내력이 증가하였다. 전단실험체별 연성의 경우, 기준실험체 보다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한 실험체의 연성이 115%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휨실험과 마찬가지로 최대내력 이후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한 실험체가 연성거동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7. 각종 실험을 종합한 바, 고강도 콘크리트가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폭렬을 섬유 보강으로 폭렬저감 및 콘크리트의 탈락 방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PP섬유 보강 보다는 PP섬유와 강섬유를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한 것이 내화성능을 증대 시키며, 고강도 콘크리트의 취성적인 거동을 연성적인 거동으로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스포츠인터넷 콘텐츠사업의 물리적 환경이 대학생들의 고객만족, 몰입 및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대성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ontent business of sports Internet on customer satisfaction, commitment, and customer behaviors in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was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selected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Jeollanam-do as its population, distributed a total of 450 questionnaires, and finally analyzed 405 after incorrect 45 responses were excluded. The questionnaire was asked to completed by self-administration. For data processing, using SPSS 17.0 program, the test of goodness of fit of model was confirmed and individual hypothesis was tested. For reliability found in this study, the whole reliability of physical environment was .824 and the reliability of sub-factors was .703 of the peripheral elements, .773 of the psychological element, .742 of the functional element, and .670 of the social element. The whole reliability of consumer attitude was .845 and the reliability of sub-factors was .786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798 of commitment. Finally, the whole reliability of consumer behaviors was .812 and the reliability of sub-factors was .842 of unplanned purchase and .729 of intent to revisit. The result suggested a high reliability coefficient. Based on this study method and procedu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ontent business of sports Internet on customer satisfaction, commitment, and consumer behavior 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physical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hus, when the elements of physical environment were properly organized and became more aesthetic and functional, customers had high satisfaction and committed themselves to the related sites of the content business of sports Internet. Second, as customers had higher satisfaction at and committed themselves more to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service of the related sites of the content business of sports Internet, their unplanned purchase and intent to revisit was increased. Finally, as physical environment became more aesthetic, functional, and active in communication, consumer's unplanned purchase and intent to revisit was increased. <국문초록> 본 연구는 스포츠인터넷 콘텐츠사업의 물리적 환경이 고객만족, 몰입 및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의 대학교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총 4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연구에 적절치 않은 45부를 제외한 나머지 405부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설문지는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을 통해 작성하도록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신뢰도는 물리적 환경의 경우 척도 전체신뢰도는 .824 그리고 하위요인 별로는 주변요소 .703, 심리적요소 .773, 기능적요소 .742, 사회적요소 .670 등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소비자태도의 경우 전체신뢰도는 .845 하위요인 별로는 고객만족 .786, 몰입 .798 등이였다. 끝으로 소비자행동의 경우 전체신뢰도는 .812였으며, 하위요인 별로는 비계획적구매 .842, 재방문의도 .729 으로 높은 신뢰도 계수를 확보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스포츠인터넷 콘텐츠사업의 물리적 환경이 고객만족, 몰입 및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물리적 환경은 고객만족과 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물리적 환경의 구성요소를 적절히 구성하고, 보다 심미적이며 기능적인 환경을 구성할 때, 고객은 보다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얻으며, 스포츠인터넷 콘텐츠사업 관련 사이트에 몰입하게 된다. 둘째, 고객이 스포츠인터넷 콘텐츠사업 관련 사이트의 물리적 환경과 서비스에 만족하고 몰입할수록 비계획적 구매와 재방문 의도가 증진된다. 셋째, 물리적 환경이 보다 심미적이며, 기능적이고 나아가 의사소통이 활발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소비자의 비계획적 구매와 재방문 의도는 높아진다.

      •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 및 서방성 제제의 약물전달에 대한 연구

        김대성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art I Improvement of Pranlukast Dissolution by Nano Solid Dispers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vercome solubility of poorly water soluble drugs. We prepared solid dispersion containing nanoparticle of improvement of dissolution property pranlukast by using spray dryer. This solid dispersions formulated to improvement of dissolution using eudragit&#9415; L100 as a water soluble for the solid dispersion using poloxamer as a surfactant. Characterization of pranlukast solid dispersion analyzed by particle size analyzer, DSC, XRD, TGA and FT-IR. particle size analyzer was used to investigate size of pranlukast in solid dispersions. DSC and XRD were used to analyze the amorphous of solid dispersions. TGA was used to analyzer the changed weight of pranlukast and solid dispersions. FT-IR was used to analyzer the salt formation by hydrogen bond between pranlukast and eudragit&#9415; L100. The in vitro test was carried out to find about improvement of dissolution rate of pranlukast solid dispersion in intestinal juice(pH 6.8), controlled experiment compared pranlukast solid disperion with conventional drugs(Onon&#9415;). This studies displayed improvement of dissolution of prepared solid dispersion by using spray drying, poorly water soluble of pranlukast as orally pharmaceutical formulation. Part II Characterization and Release Behavior of Metformin HCl Tabet with Molecular Weights of Polyvinylpyrrolidone In this study, metformin HCl, a highly water soluble anti-hyperglycemic agent was prepared into tablet type with PVP of various molecular weights(Mw) to effective oral administration. Because dissolution rate of drug with Mw of PVP becomes decreased as increasing Mw of PVP. We used magnesium stearate as lubricants. We compared the in vitro release behavior of metformin from the tablets according to additives with commercial drug, Diabex??. The change of structure and crystallinity of tablet by additives were characterized by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 FT-IR and DSC results demonstrate that structure of drug was changed and crystallinity of drug was decreased according to decreasing Mw of PVP. The dissolution rate of metformin HCl from tablet decreased in simulated gastric fluid(pH 1.2) and simulated intestinal fluid(pH 6.8) as increasing K value of PVP. This study suggests Mw of pharmaceutical exipients could effect the metformin HCl release behavior. Part III Influence of the Viscosity Properties on Drug Release Rate from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and Carboxymethylcellulose Matrix Tablets Metformin hydrochloride(MF·HCl) is an oral anti-hyperglycemic agent and is highly soluble in water. We prepared the granule tablets of MF·HCl in the sustained release dosage form and evaluate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Hydroxypropylcellulose(HPMC) and carboxymethylcellulose(CMC) are widely used polymers as a drug excipient. MF·HCl tablets were prepared with HPMC and CMC with various viscosity and the effects of their viscosity on the drug release was investigate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x-ray powderdiffractometry(XR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 swelling tes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MF·HCl in the granule tablets with various viscosity of additives. In vitro release of MF·HCl in intestinal fluid(pH 6.8). MF·HCl in the tablets had hydrogen bonds with polymer excipients to inhibit the crystallization. HPMC and CMC showed various in vitro drug release patterns based on the viscosity. In general, however, the increase of the viscosity of polymer excipient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swelling and the reduction of in vitro drug release. We suggest that the viscosity of polymer excipients is an important parameters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MF·HCl in the granule tabl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