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x)BaTiO3-xSrSnO3 세라믹의 조성 제어에 따른 맞춤형 전계변형 및 유전특성 연구

        김나원 부경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discovery of ferroelectricity in BaTiO3, which exhibits high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low loss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and mechanical stability, numerous applications, from piezoelectric sonar devices to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have been developed. As a result of worldwide regulations concerning the use of Pb in electronic devices, the development of Pb-free electroceramics based on BaTiO3 for use as a actuators has been pursued intensely. For high-precision actuator applications where the actuation is controlled by the electromechanical response of the constituent electroceramics, large electrostrain and negligible hysteresis are regarded as essential requirements. High electrostrain levels have been achieved in the vicinity of phase boundaries in various solid solutions of perovskite oxides which has a morphotropic phase boundary(MPB) or polymorphic phase boundary(PPB). However, the extrinsic contribution of non-180° domain wall motion results in a high level of hysteresis in the strain-electric field hysteresis loop of typical ferroelectric materials. The hysteresis can be significantly alleviated by introducing polar nano regions(PNRs), which give rise to relaxor or diffuse phase transition in ferroelectric materials. Therefore, tailoring the phase boundaries and controlling the phase transition behavior is essential to exploit the electrostrain and negligible hysteresis. In this regard, Ba(Ti,Sn)O3(BTS) is an intriguing Pb-free electroceramic in terms of both phase boundary tailoring and phase transition control. As the Sn content increases in BTS, three dielectric anomalies in BaTiO3 gradually merge in to a single peak and form a so-called quasi-quadruple point(qQP), where cubic(C), tetragonal(T), orthorhombic(O), and rhombohedral(R) phases exist together at a Sn content of ~11%. In particular, excellent piezoelectric and electrostrain properties have been reported near the qQP and O-T PPB in BTS which phases coexist. At the same time, the phase transition mode of BTS changes from a ferroelectric to diffuse phase transition with increase in Sn content, and, eventually, BTS behaves as a relaxor when the Sn content approaches ~20%. In this work, I attempted to modify the phase boundaries and phase transition behavior of BT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Sr into the Ba-site for exploiting the beneficial effect of O-T PPB on the electrostrain response. (1-x)BaTiO3-xSrSnO3(BSTS) Pb-free electroceramics(0 ≤ x ≤ 0.15) were prepared by a solid-state reaction and detailed structural, dielectric, ferroelectric, and electrostrain properties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Such compositional modifications gave rise to an early compositionin dependent O-T PPB near room temperature in BSTS and led to tailored electrostrain behavior for high electrostrain and negligible hysteresis. BaTiO3는 대표적인 강유전체로, 우수한 유전특성, 높은 압전 특성, 화학적 및 기계적 안정성 등을 가지고 있어, 초음파 탐지기(sonar) 및 적층형 세라믹스 커패시터(MLCC, 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등 많은 전자 소자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납을 함유한 대표적인 전자재료인 PZT의 제조나 폐기 시에 발생하는 인체 유독성과 환경오염 문제로 생산과 사용이 제한되며, PZT를 대체할 BaTiO3 기반의 무연 전기세라믹스의 소재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엑추에이터는 가동에너지를 기계적인 변위 또는 응력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로,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우수한 전기변형 특성 및 낮은 이력 특성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진 혼합 고용체의 우수한 전계변형 특성은 MPB(morphotropic phase boundary), PPB(polymorphic phase boundary)의 상경계 영역에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경계에서의 높은 전계 변형특성은 non-180° 분역 벽의 전환에 의해 크게 향상되며, 이는 큰 이력을 나타낸다. 큰 이력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강유전체 물질에 완화형 또는 확산형 상전이 거동을 발생시키는 PNRs(polar nano regions)을 도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엑추에이터에 응용가능한 높은 전계특성과 낮은 이력특성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상경계를 조절하고 상전이 거동을 제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Ba(Ti,Sn)O3(BST) 고용체는 조성에 따라 상 경계 맞춤 및 상전이 제어에 적합한 무연 전기 세라믹이다. BST 고용체는 Sn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큐리 온도(curie temperature, Tc)가 감소하고, 삼방정-사방정상 및 사방정-정방정상 상전이 온도가 상승하여, Sn~11% 조성에서 3개의 dielectric anomaly가 하나로 병합되는 qQP(quasi-quadruple point)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상이 공존하는 qQP 및 사방정-정방정 상경계에서 분극의 회전과 확장에 대한 자유 에너지 장벽의 감소로, 우수한 압전 및 전기 변형 특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BTS 고용체는 Sn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유전체, 확산 상전이를 거쳐, Sn~20% 조성에서 완화형 강유전체 거동으로 상전이 거동의 변화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BST 고용체의 Ba을 Sr으로 일부 치환하여 상온에서 우수한 전계변형특성이 나타나는 사방정-정방정 상경계를 형성하고 동시에 상전이 형상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1-x)BaTiO3-xSrSnO3 (x = 0.025, 0.05, 0.075, 0.1, 0.15)고용체를 고상반응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조성비에 따른 구조, 유전, 강유전 및 전계변형특성을 연구하였다. Sr 및 Sn을 동시 치환함에 따라 기존에 알려진 BST 대비 가속화된 상전이 현상을 나타냈으며, 상온에서 조성에 거의 독립적인 사방정-정방정 상경계를 형성하여 우수한 전계변형 특성 및 낮은 이력을 구현하였다.

      • Short-Term Carcinogenicity Study of N-methyl-N-nitrosourea in FVB/N-Trp53 Heterozygous Mice

        김나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종양 억제 유전자인 p53은 많은 사람의 암 발병기전에서 중요한 표지 인자이다. 발암성 시험은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종양 유도의 가능성을 탐색해 인체의 발암성 위험을 예측하는 검사이다. 국내 개발·보유하고 있는 암질환 모델 동물인 FVB/N-Trp53+/-를 활용해 양성 발암물질의 발암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FVB/N-Trp53+/- 마우스에 암 유발물질인 MNU를 농도별로 투여하였을 때 발암성 시험에 있어서 적합한 모델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그룹의 병리학적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rp53+/- 수컷 마우스와 wild type 수컷 마우스에 25mg/kg, 50mg/kg, 75mg/kg의 MNU를 복강 내로 단회 투여하였다. 마우스 체중은 일주일에 한번 측정하였고, 실험된 마우스는 26주 후 안락사하여 부검을 진행하였다. 폐, 간, 비장, 흉선, mass 등을 조직병리와 분자 생물학적 분석을 위하여 적출하였다. 그리고 각 개체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학 및 혈액생화학적 분석을 하였다. p53+/- 마우스의 생존률는 50 mg/kg과 70 mg/kg 투여군에서 야생형 마우스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53+/- 마우스의 폐와 비장의 상대장기 중량은 50mg/kg 투여군에서 야생형 마우스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p53+/- 마우스의 종양 발생률은 25mg/kg, 50mg/kg 투여군에서 각각 80.8%, 100%, 로 야생 마우스의 52.6%, 76.9%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p53+/- 마우스의 악성 흉선 림프종 발생률은 50mg/kg, 75mg/kg 투여군에서 각각 54.2%, 59.1%로 야생 마우스의 0%, 5%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p53+/- 마우스의 악성 폐 종양 발생률은 25mg/kg, 50mg/kg, 75mg/kg 투여군에서 각각 42.3%, 62.5%, 63.6%로 야생 마우스의 10.5%, 11.5%, 25%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p53+/- 마우스의 전이 종양은 50mg/kg, 75mg/kg 투여군에서 각각 29.2%, 31.8%로 발생하였으며 야생 마우스의 0%, 5%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시험결과로 전신으로 전이된 악성 림프종이 다수의 장기에서 발견된 조직학적 병변과도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시험 결과로 FVB/N-Trp53+/- 마우스에 양성 물질인 MNU를 투여하였을 때 악성 폐종양, 악성 흉선 림프종 및 종양의 전이가 잘 발생하며, 이는 p53 유전자 및 그 경로의 오작동에 의해 전신 종양 발생이 촉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FVB/N-Trp53+/- 마우스는 MNU를 이용한 단기 발암성시험에 사용될 수 있으며, 50mg/kg의 용량으로 시험에 사용되는것이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The tumor suppressor gene p53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athogenesis of many human cancers. The carcinogenicity test is a test that predicts the risk of carcinogenicity in the human body by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tumor induction using experimental animals. There must be a need for a study to verify the carcinogenicity of positive carcinogens using FVB/N-Trp53+/- mice, a cancer disease model animal developed and possessed in Korea. In this study, when N-methyl-N-nitrosourea (MNU) was administered to FVB/N-Trp53+/-,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FVB/N-Trp53+/- mice were a suitable model for carcinogenicity testing.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carcinogenicity of positive carcinogen between groups, 25 mg/kg, 50 mg/kg, and 75 mg/kg of MNU wer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once to FVB/N-Trp53+/- and wild-type male mice. Bodyweight was measured once a week, and the mice were euthanized after 26 weeks and autopsied. Organs including lung, liver, spleen, thymus, and masses of individual mice were enucleated for histopatholog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analysis. The blood of each animal was also collected for hematology and serum chemistry analysis. Th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p53 heterozygous mice in the 50 mg/kg and 75 mg/kg administration groups compared to wild-type mice groups. Concerning the relative organ weight of the lungs and spleen, p53 heterozygous mic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50 mg/kg administration group compared to wild mice. The tumor incidence rate of p53 heterozygous mi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80.8% at 25 mg/kg and 100% at 50 mg/kg, compared to 52.6% and 76.9% of wild-type mice. Thymic malignant lymphoma incidence of p53 heterozygous mi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54.2% at 50 mg/kg and 59.1% at 75 mg/kg, compared to 0% and 5% of wild-type mice. The incidence of malignant lung tumors in p53 heterozygous mice was 42.3% at 25 mg/kg, 62.5% at 50 mg/kg, and 63.6% at 75 mg/kg, whic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10.5%, 11.5%, and 25% of wild-type mice. Metastatic tumors in p53 heterozygous mice occurred in 29.2% at 50 mg/kg and 31.8% at 75 mg/kg an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0% and 5% in wild-type mice. As a result of the above test, it is consistent that the systemic metastatic malignant lymphoma was consistent with the histological lesions found in many organs. As a result of administering MNU to FVB/N-Trp53 heterozygous mice, malignant lung tumor, thymic malignant lymphoma, and tumor metastasis occurr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ystemic tumors may result from malfunctions of the p53 gene and pathway. Therefore, FVB/N-Trp53 heterozygous mice are suitable for short-term carcinogenicity tests using positive carcinogens, and the best result to use MNU, a positive carcinogen, is a capacity of 50 mg/kg.

      • 레비나스의 ‘감성’ : 『존재와 달리 또는 존재성을 넘어』를 중심으로

        김나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레비나스에게서 윤리성이란 의식적인 지향이나 당위적인 주장이 아니라 주체성 자체다. 그는 우리가 윤리적으로 살아야 한다고, 타자를 위해서 살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철저히 현상학적 태도로써 주체의 정체성이 극단적인 수동성의 ‘대신함’이라고 기술한다. 그 작업의 여정은 하이데거와 후설을 참조하고, 그 속에서 존재 너머를 지시하는 실마리를 찾아내는 데에서 시작한다. 그런 점에서 레비나스의 철학적 지향점은 이성의 역사를 부정하거나 전통 철학을 무력화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다. 본고는 『존재와 달리 또는 존재성을 넘어서』의 ‘감성’ 논의를 살펴본다. 분리된 타자의 타자성과, 주체의 타자와의 비대칭적 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진 『전체성과 무한』과 달리 1974년 출간된 『존재와 달리 또는 존재성을 넘어서』에서 레비나스는 주체 자체에 초점을 맞춘다. 레비나스는 먼저 하이데거와 후설의 사유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진리의 통일성을 추구하는 그들과 달리, 바깥과의 직접적인 체험인 감성과 감각의 애매성에 주목한다. 그는 상처, 호흡, 모성 등과 같은 일상적이고 신체적인 사태들을 통해 주체의 심층이 자기 존재를 추구하는 자발성이 아니라, 타자에 노출되어 있음인 수동성에 있다고 밝힌다. 나아가 그러한 ‘타자에-의함’인 수동성의 진정한 의미작용이 ‘타자를-위함’인 윤리적 수동성에 있음을 해명한다. 즉, 주체성이란 자기동일성을 추구하고 유지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끊임없이 깨트리며 ‘타자를-위함’으로서의 자기 자신이 되는 ‘회귀’의 운동성에 있다. 이때 신체는 자아를 재현하는 물질적 형식이 아니라 상처받기 쉬운 물질성, 극단적인 수동성으로 기술된다. 상처의 수동성은 타자에게 내 몫의 빵을 주고 나의 굶주림을 감수함, 타자의 죄 값에 대한 나의 속죄와 같은 순전한 희생과 인내의 수동성으로 심화되는 가운데 윤리적 심성으로 해명된다. 윤리성이란 타자의 잘못과 타자의 고통을 떠받침이며 고통 받는 몸이 이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그러한 윤리적 주제성이 ‘대신함’이다. 레비나스는 이를 ‘모성’으로 구체화한다. 모체를 위협하며 고통을 주는 타자인 태아를 감당하는 수동성인 모성은 전적으로 타자를 위해 타자를 떠받치는 윤리성을 그려낸다. 이렇게 레비나스는 윤리성을 숭고한 정신이나 초월론적 이성이 아닌 땅 위에서 고통 받는 몸으로서의 ‘나’에게 되돌려주며 인간의 나약함을 그 자체로 긍정하게 해준다. 이에 따라 레비나스의 윤리적 담론은 모든 타자와의 관계로 확장될 수 있는 탈-자기중심적이면서 탈-인간중심주의적인 면모를 보여준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이는 외국인과 난민은 물론, 인간 외의 존재들 이를테면, A.I, 동물, 자연, 우주, 나아가 신에 이르는 모든 타자들에 대한 우리의 담론에 철학적 토대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화상환자의 PTSD 증상 완화를 위한 컬러테라피 연구

        김나원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recent interests in healing and psychotherapy, external therapy is important, but people come to be very much interested in depression and anxiety with the emergence of serious social problems of psychological issues such as depression or extreme choice, suicide.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s an anxiety disorder appearing in most people when they have experienced an incidence which gives severe emotional stress considered a trauma, and it is reported that it usually occurs one month after the incid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since applying color therapy within the month before PTSD occurs after an incident would be helpful for depression, anxiety and the impact of the incidence.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rapeutic and preventive effects by carrying out color therapy to prevent and alleviate PTSD symptoms in burn patients who suffered burns which could be a cause for the PTSD symptoms. The details and methods for the abov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of burns, PTSD, art therapy and color therapy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s and applied color therapy program for anxiety, depression, impact scale of an incident, self-esteem and change in color in burn patients. Subjects were patients with second-degree or higher burns who could participate in color therapy selected among the hospitalized patients who needed more than 4 week treatment at a hospital specialized in burns in D. City, and they were adults over 18, divided into 7 persons in Experimental Group and 7 in Control Group. As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PTSD symptoms in pre-test and post-test, Self-Portrait Drawing (SPD) Test,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Anxiety Inventory (BAI),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and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Korean Version (IES-R-K) were carried out and as a color inspection program in pre- and post-testing, first, famous paintings were reconstructed, and then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KSCA) program was applied. During the 5-week period, the programs were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and with a total of 12 sessions, they were constructed in the order of pre-testing, color analysis through the famous paintings, art therapy, color therapy, works, expressions and post-testing.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Ver. 18) statistical package in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and Wilcoxon Matched Pairs Singed Ranks Test as the non-parametric statistics were used. About the variation of average score,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variation trend between two groups was examined by using Mann-Whiney U-Wilcoxon Rank Sum Test. A test on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a two-way test of the assessment tools prior to and post the program were applied using the Mann-Whiney U-Wilcoxon Rank Sum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prevention of PTSD symptom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lower result value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also in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Anxiety Inventory (BAI),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and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Korean Version (IES-R-K). It means that depression, anxiety, impact of event scale decreased, and in a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 result of the pre-test and that of the post-test might be similar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or that the degrees of depression, anxiety and impact of event scale might gradually increase from the pre-test as time passed. Also in SPD, a tool for art therapy assess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self-esteem of those in the group increased. In addition, i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urn patients’ selection of color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color therapy affected PTSD sympto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prove to some degree that color therapy would be effective for preventing and alleviating burn patients’ PTSD symptoms. Currently, color therapy is hardly carried out on burn patients, and it is insufficient that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patients who voluntarily intend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but in the future, the obligatory application of it to the patients to stabilize their psychology will bring about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sults. 최근 힐링(Healing)과 심리치료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외적인 치료도 중요하지만, 우울증이나 자살 같은 심리적인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우울 및 불안 등의 내적인 치료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외상후 스트레스(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는 외상으로 생각될 만큼의 심한 감정적인 스트레스를 주는 사건을 경험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에게 나타나는 불안장애라고 할 수 있으며, 주로 사건 경험 한 달 이후에 발병된다는 보고가 있다. 사건을 경험한 후 PTSD가 나타나기 전인 한 달 이내에 컬러테라피를 적용한다면 우울 및 불안, 사건의 충격정도의 완화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 판단하여 사건의 충격도가 높을 가능성이 있는 2도 이상의 화상환자를 대상으로 컬러테라피를 시행하였다. 컬러테라피의 치료적인 효과와 예방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TSD 증상을 예측할 수 있는 우울 및 불안, 자아존중감, 사건충격척도를 통해 효과를 입증하는 것과 더불어 사전과 사후의 색에 대해 분석하여 PTSD증상의 예방 및 완화와 색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을 위한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인 배경을 통해 화상, PTSD, 미술치료, 컬러테라피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화상환자에게 컬러테라피를 적용했을 때 불안과 우울, 사건의 충격척도, 자아존중감, 색의 변화에 대해 컬러테라피(Color Therapy)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D시의 화상전문병원에서 4주 이상 치료를 요하는 입원환자 중, 컬러테라피에 참여 가능한 2도 이상의 화상환자로, 연령층은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실험군 7명 · 대조군 7명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인 PTSD 증상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사전, 사후검사로 자화상 그림검사(SPD Test : Self-Portrait Drawing Test), Beck 우울 척도 검사(BDI : Beck Depression Inventory), Beck 불안 검사(BAI : Beck Anxiety Inventory), 우울증 자가진단 테스트(CES-D :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사건충격척도 검사(IES-R-K :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Korean version)를 진행하였고, 색채 검사 프로그램은 사전, 사후 검사로 명화 재구성을 진행 후, 한국표준색 색채분석(KSCA :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프로그램으로 적용하였다. 5주의 기간 동안 주 3회 실시하고, 총 12회기 진행으로 사전검사 · 명화를 통한 색 분석 · 미술치료(Art Therapy) · 컬러테라피(Color Therapy) · 작품 · 표현 · 사후검사 순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에서 모든 통계처리는 SPSS(ver. 18)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비모수 통계인 Wilcoxon Matched pairs singed Ranks Test를 사용하였다. 평균 점수 변화량은 Mann-Whiney U-Wilcoxon Rank Sum Test를 이용하여 두 집단 간의 변화량 경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Mann-Whiney U-Wilcoxon Rank Sum Test를 통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과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평가도구의 양측방향 검증으로 적용하였다. PTSD증상 예방을 위한 평가 결과, Beck 우울 척도 검사(BDI), Beck 불안 검사(BAI), 우울증 자가테스트(CES-D), 사건충격척도 검사(IES-R-K)에서도 실험군은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 시에 낮아진 결과 값을 보였다. 이는 우울, 불안, 사건충격정도가 감소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실험군과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실험군에 비해 대조군은 사전-사후검사가 비슷하거나 사전에 비해서 우울 불안, 사건충격정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술치료 평가도구인 자화상 검사(SPD)에서도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컬러테라피를 적용 후 PTSD 증상이 화상환자의 색상의 수와 채도에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전후 비교한 색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살펴볼 때 컬러테라피가 화상환자의 PTSD 증상 예방 및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화상환자에게 컬러테라피를 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힌 환자를 중심으로만 본 연구를 수행한 점에서 아쉬운 점이 남지만, 앞으로 컬러테라피가 의무적으로 적용되어 환자에게 심리적인 안정을 가져다 줄 수 있다면 보다 효과적인 증상완화의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 Museum director 임명의 환경적 배경에 대한 분석연구

        김나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라는 키워드에 세계적 관심이 쏠리는 21세기에 museum(이하 뮤지엄)은 오래전부터 문화의 중심에 자리 잡아온 기관이었다. 때문에 뮤지엄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그 중 뮤지엄의 구성에 대한 연구도 어느 정도 이루어 졌다. 어느 집단이나 기관이든, 해당 집단이나 기관 장(長)역할은 성공적 운영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때문에 뮤지엄이라는 기관의 운영평가를 위해 어떤 director가 운영했는지, 대표적인 museum director(이하 뮤지엄 디렉터)들의 운영과 업적 등에 대한 사례연구들은 다수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그러한 뮤지엄 디렉터들이 어떠한 근거로 해당 기관의 장(長)으로 임명되었는지, 그러한 임명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때문에 본 연구는 문화산업의 중요한 축인 뮤지엄 디렉터가 어떠한 근거로 임명되는지 국가, 기관, 개인적 차원 측면의 환경적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그 근거를 찾고자 한다. 한국과 영국의 경우 정치적 임명이라는 공통적인 키워드가 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국립기관장 임명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가 높지 않아 보통의 경우 재임기간이 길지 않고, 5년 임기인 대통령의 정권에 따라 해임되고 다시 임명되는 등 정권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는다. 반면, 영국의 뮤지엄 디렉터 임명은 한국과 유사한 환경적 요인이 작용하지만, 그러한 정치적 임명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가 비교적 높고, 전문성이 검증되어 재임기간이 평균적으로 길다. 또 다른 경우로 미국의 경우에는 국립 뮤지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한국과 영국의 경우와는 다른 환경적 요인이 임명에 작용한다. 대신 ‘기부문화’가 정착되어 있어 문화예술분야에 투입되는 민간자본의 범위가 넓다. 또 다른 특징은 영국과 미국의 뮤지엄들은 주로 이사회가 운영의 주체이며, 전시에 관한 운영권을 뮤지엄 디렉터가 위임받는 형태이다. 반면 한국의 경우 운영자문기구 형태의 이사회가 존재하며, 이들의 권리와 업무는 매우 한정적이다. 게다가 뮤지엄 디렉터에 의해 자문회가 구성된다. 이러한 차이는 법인화 여부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각 국의 환경적 배경이 뮤지엄 디렉터 임명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 볼 필요성을 느끼며, 이를 비교 분석하여 신뢰성 있는 뮤지엄 디렉터 임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그 기준과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뮤지엄 디렉터가 어떠한 근거로 임명되고 있는지 현 상태를 진단하고 방향성을 제안하는 본 연구의 결론은 다수가 인정 할 수 있는 형평성과 신뢰성을 갖춘 임명기준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고, 나아가 해당 기관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In the 21st century, when the worldwide attention is paid to a keyword 'culture', museums are the institution taking its place in the center of culture for a long time. For that reason, there have been studies on museum from various aspects, and of the studies, there have been some on the organization of museum. In any group or institution, the role of the head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successful management. Therefore, there have been many case studies, to evaluate the management of museums, on the management and achievement of representative museum directors about what kind of directors manage the institution.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on what basis had them appointed as the head of the institution. So, this study will find its basis by analyzing what basis had the museum directors, an important axis of the cultural industry, appointed, by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national, institutional and personal aspects. Korea and the UK have a common keyword 'political appointment.' However, in Korea, national credibility for appointment of heads of national institutions is not high, so their incumbencies are generally not long; they are greatly influenced by political power, as dismissed or appointed according to the 5-year presidency. On the other hand, in the UK, although environmental factors work to the appointment of museum directors like Korea, their incumbencies are long on average, because the British credibility for the political appointment is relatively high and professionalism was verified. As another case, in the USA, there is no national museum, so environmental factors different from Korea and the UK work in appointment. Instead, as 'the donation culture' is settled, the range of private capital put into the culture and art is wide.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most of the British and American museums are managed by the board of directors and museum directors are empowered the management right on exhibition. However, the Korean board of directors has a characteristic of the management advisory body, and its right and task are very limited. Moreover, the advisory body is organized by museum directors. This difference is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 in incorpora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each nation's environmental backgrounds work in the appointment of director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this study will suggest standards and directions for reliable appointment of museum dire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diagnosing the present condition of what basis has museum directors appointed and suggesting direction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paring fair and reliable appointment standards, and furthermore, to be a foundation for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institutions.

      • 韓國 近代 初期 基督敎 揷畵 硏究

        김나원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tries to evaluate and to enhance understanding about the published religious publications and its Christian illustration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Also, focusing on make a close inquiry into the Christian illustration as a new Visual Art appearing on the religious publications such as the Peep of Day published in 1894. The flow in Western Christianity has provided a new influence of import the Western Culture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especially after signed the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Korea and the US in 1882 as a open-door policy. Again, after signed the treaty of peace between Korea and the France in 1886, We have got the Freedom of worship and a lot of bibles and religious publications has translated by missionaries and published in printing office connected with the Christianity. The Christian Art in Korea was appeared as illustration included in christian publicity which fled by missionaries from US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The Christian illustration settled as a new Visual Art widely disseminated The Western Christian Art in Korea. The Christian illustration contributes to spread Christianity as visualized and delivers well the Biblical contents. The Image of the Western Christianity was transmitted into unfamiliar visual experiences for the general public. In those days, The Methodist Church Publishers takes the lead of publication culture in Modern Korea. So they publishes more than one hundred types of the Christian Publication including the most famous Christian noble named The Pilgram’s Prograss in 1895.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hristian illustration of the early modern period were apparently represented through both the derived technique and the adopted technique. Firstly, The Example of Use of derived technique is from the publication which the most of them are imported from the missionaries. The context of the illustration based on the old and new testament. The representative sample of those publication is the Peep of Day which contains 23 of Christian illustrations made of etching. It has a detailed descriptions and shows a fine command of shading and perspective. Basically, This book is the Bible for the Children so that contains a lot of Christian illustration for helping them to comprehends the bible. Secondly, The adopted technique is the way of description making a twist of the original Western Christian illustrations into Korean style. The Pilgram’s Prograss contains 42 illustrations grafting of the Western painting and tradition of Oriental painting. The Way of depiction Scenes, the Characters and their wearing clothes etc has changed into Korean Style in detail by Kim Jun-Geun. They were illustrations portrayed in order to evangelize make Koreans into Christians by missionaries delivering easily the appropriateness of mission work in Chosun(Korea) through visual images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The fact that illustrations of the Peep of Day and The Pilgram’s Prograss has a different characters in comparable time is because missionaries has a different points of view. The Christian illustration appears in the press like The Christian Messenger in 1910s. but It has appears to be reduced dramatically of the appearances and publication itself. This phenomenon has connected with the appearance of new medium of vision like 'photograph' and The illiteracy rate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The Christian illustration that appears in 1910s has a certain segmented form that use illustrations in one text. In other words, The Christian illustration has selected by those newspapers and magazines, So it will be accepted and generalized in general which connected with experiences of the Modernity. Also, The Christian illustration uses those selected visual experiences into internalized for master Christian doctrines for public. Based on the earlier studies about Korean Modern illustrations have mainly focused on the type of study which of the newspaper-novel or textbook illustration, but relatively, there is lack of in-depth analysis of the Christian illustration so that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analyze implications implied in images of Christian illustration in publication. The Christian illustration has seen to be the incipiency of Christian Art in Modern Korea. It plays a part that disseminates the religious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visually and it regards as meaningful Art historiography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초기 출판된 기독교 출판물과 그 속에 게재된 기독교 삽화가 사회적으로 미친 영향과 의미를 살펴보고, 1920년대 독립된 미술로서의 기독교 미술이 등장하기 이전 『훈아진언』(1894)과 『요리강령』(1910) 등의 사료에서 나타난 기독교 삽화를 분석하여 새로운 시각미술로서 기독교 삽화가 가지는 성격과 특징을 규명해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근대 초기 서양의 문화를 유입시키는 매개체로 영향력을 발휘했던 것은 서양 기독교의 유입이었다. 1882년 한미수호조약으로 문호가 개방되고, 1886년 한불수호조약 이후 기독교는 전교와 신앙의 자유를 얻어 조선에 입국한 외국 선교사들을 통해 서양에서 유입된 다수의 기독교 성경과 교리서들이 출간되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출간된 기독교 출판물에 게재된 기독교 삽화는 독자들에게 성경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전달하여 그 이해를 도움으로써 기독교의 전파와 보급에 큰 기여를 하였다. 한국 근대 초기 문서선교와 서적번역 과정에서 서양 기독교 삽화가 확산될 수 있었던 배경을 당시 출판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 근대 초기 출판문화를 주도하던 감리교 출판사는『천로역정』을 비롯한 1백여 종의 기독교 서적을 출판하여 주목할 만 하다. 이처럼 기독교 출판물이 다량으로 출판되면서 그 안에 게재된 서양의 기독교 도상이 일반사람들에게 낯선 시각적 경험의 형태로 전해지게 되었다. 기독교 삽화의 표현방식으로는 차용방식의 삽화와 번안방식의 삽화로 그 특성을 구분하고, 각각의 조형적인 특성을 고찰해봄으로써 한국 근대 초기 기독교 삽화에 나타난 화풍상의 특징을 명확히 하고자 했다. 차용방식의 삽화는 서양에서 전래된 기독교 교리서 안에 게재된 삽화가 그대로 한국으로 유입되면서 나타난 것을 말하며, 삽화의 소재는 구약 및 신약성서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차용방식의 삽화가 게재된 대표적인 서적인『훈아진언』(1894)에 수록된 23점의 삽화들은 동판화로 제작되어 세밀한 선묘로 표현되었으며, 서양에서 그대로 유입된 삽화인 만큼 명암법, 원근법 등의 사용으로 대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각 장의 주요 사건 및 인물표현이 신약성서의 일화를 적합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 책은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아동용 교리서’였기 때문에 성서의 내용을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많은 삽화를 수록하였으며 전도를 위한 목적으로 출판 및 유포되었다. 번안방식의 삽화는 차용방식의 삽화를 한국의 정서에 맞게 도상의 일부를 변형하여 묘사한 방식을 말한다.『천로역정』(1895)에 수록된 42점의 삽화들은 조선의 전통화법과 서양화법이 접목된 형태로 동양화 기법을 일부 사용하고, 등장인물의 옷차림이나 배경이 되는 가옥 구조를 한국식으로 바꾸어 그리는 방법으로 번안되었다. 한국 근대 초기라는 비슷한 시기에 같은 지역에서 선교라는 같은 목적을 가진 두 선교사를 통해 출판된『훈아진언』과『천로역정』에 게재된 삽화가 다른 성격을 갖는 것은, 당시 기독교 유입과 조선에서 활동한 선교사들의 선교방식 등을 고려해 볼 때 특이할 만한 부분이다. 스크랜턴 부인은 아이들과 여성 교육에 특히 관심이 많았으며, 그 관심이 자연스럽게 서양에서 유행하던 아동용 교리서인『The Peep of day』의 한문번역본『訓兒眞言』의 한글 번역으로 이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 게일 선교사는 평소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았고, 춘향전 등 한국 문학을 번역하기도 하였기 때문에 서양의 개신교 고전 소설인『The Pilgrim’s Progress』를 선택해 번역하는 과정에서 삽화의 번안까지 그 영향을 미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 근대 초기 유입된 서양 기독교 삽화들은 1910년대 이후 당시 발간된 『기독신보』등의 정기간행물에서 잔존하는 형태로 게재되다가, 1920년대 이후부터는 삽화가 실린 출판물과 삽화 게재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기독교 출판물 속 삽화의 게재가 감소한 현상은‘사진’과 같은 새로운 시각매체의 등장과 한국 근대 초기 한국의 문맹률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았다. 1910년대 이후 신문 및 잡지에 게재된 삽화는 하나의 텍스트 안에 삽화가 삽입되어 분절된 형태로 반복되어 실리는 형태로 등장하였다. 즉, 기독교 도상은 한국 근대 초기 넓게 분포되어 있던 서양 기독교 삽화가 신문 및 잡지에 의해 선별되어 게재되면서, 근대성의 경험과 연결되어 일반 사람들에게 일반화되고 보편화되게 된다. 또한, 기독교 삽화는 선별된 사람들의 시각적 경험을 통해 기독교 교리서 및 성경에서 요구하는 실천덕목 및 교훈을 쉽게 체득하게 하여 내면화하도록 만들었다. 기독교 유입 이후 등장한 출판물 삽화는 서양 삽화의 도상이 그대로 전해지거나, 한국의 상황에 맞도록 새롭게 창작되기도 하였으며, 기독교 이미지를 전파하는 새로운 시각미술로서 한국 기독교 미술의 시초가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기독교 삽화는 종교적 지식과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급하는 데 일조하여 미술 장르로서 삽화가 새롭게 활용되었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사료로 그 의의를 지닌다.

      • 전단열 수치 모사를 위한 탄소성 유한요소 코드 개발 : 암석권의 기계적 강도 약화와 파열 및 변형과 연계하여

        김나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단열은 물질이 뒤틀리거나 미끄러져 국지적으로 쌓인 탄성 변형 에너지의 크기가 암석권의 전단대의 에너지 저장 능력인 소성 항복강도를 초과해 일부 혹은 대부분이 열로 방출되어 소산하는 비가역적 현상이다. 전단열은 암석권의 국지적인 약대를 발달시킬 수 있는 기작 중 하나로 기계적 강도가 큰 암석권의 국부적 온도 상승에 따라 강도가 하강하여 암석권의 파괴와 변형이 촉진된다. 기계적 강도의 약화와 변형이 집중되는 현상(strain localization)은 암석권의 파괴가 수반하는 지진, 열개, 섭입 시작 및 슬랩 분리 등과 같은 지구조적 대변형과 관련된 지구동역학적 현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변형률 국소화의 시작 및 활성화에 관한 기작으로써 전단열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전단열 효과 우세에 따른 전단대 온도 증가 및 기계적 강도 감소의 반복으로 발생하는 열 폭주 현상은 판 구조 운동이 암석권을 파열하기까지 요구되는 응력을 충족시키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전단대의 강도를 약화시켜 파열을 야기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이썬을 이용해 유한요소법을 기반으로 한 2차원 유한 요소 탄소성 코드와 열 전도 코드를 제작해 정확성 평가를 통한 신뢰성을 검증하고 인장 암석권 모형을 제작하여 국부 전단대와 전단열 발생 현상을 수치 모사했다. Shear heating is an irreversible phenomenon in which the magnitude of elastic strain energy accumulated locally as a result of material distorting or sliding exceeds the plastic yield strength, the energy storage capacity of the lithospheric shear zone, and some or most of it is dissipated as heat. Shear heating is one of the mechanisms that can develop localized weak zones in the lithosphere, and the localized temperature increase in the lithosphere with large mechanical strength leads to a decrease in strength, which promotes fracture and deformation of the lithosphere. The weakening of mechanical strength and strain localiz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geodynamic events associated with tectonic large deformation such as earthquakes, rifting, subduction initiation, and slab detachment, that involve lithospheric fractures. We focus on shear heating as a mechanism for the initiation and activation of strain localization. The phenomenon of thermal runaway, which occurs as a result of repeated increases in shear zone temperature and decreases in mechanical strength due to the dominance of shear thermal effects, can weaken the strength of the shear zone and cause rupture, even though the plate tectonic motion does not meet the stresses required to rupture the lithosphere. In this study, a two-dimensional elastoplastic code and heat transfer code based on the finite element method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using Python. The reliability of the codes was verified by evaluating their accuracy, and a tensile lithosphere model was constructed to numerically simulate local shear zones and shear heat generation.

      • 아이돌보미의 직무특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조직신뢰와 LMX(리더-구성원 교환관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나원 가톨릭관동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Influence of Child Caregiver‘s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Trust and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Mediation Effect- Kim Na-won Major i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eneral Graduate of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o Jea-u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otential of child caregiver to establish a stable job as a stable professionals, and provide the basis for finding ways to ensure that the child care organization provides a stable and sustainable jobs. Although studies centered around child caregiver have varied so far, studies focusing on the job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giver are not.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creating a policy supporting supportive system positioning child caregiver's job as a stable professiona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 First, How does child caregiver's job characteristics influence emotional commitment? Second, how does child caregiver's job characteristics influence organizational trust? Third, How does child caregiver's job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Fourth, how does organizational trust affect emotional commitment? Fifth, how does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ffect emotional commitment? Sixth, does organizational trust have a mediating affect on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commitment? Seventh, does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mediate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commit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44 Child Caregivers of 11 centers of 25 Healty Families Support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city ( The east of the investigated area is Nowon-gu and orther centers, The west of the investigated area is Gangseo-gu and orther centers, The south of the investigated area is Gangnamn-gu and orther centers, The north of the investigated area is Eunpyoung-gu and orther centers.). The questionnaires of which 544 copi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SPSS 20.0 was used for statistical data processing after questionnaire coding. Findings from studies of research ques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commitment, emotional commitment increased as skill diversity, task significance and feedback increased. However, task identity and autonomy did not affect emotional commit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trust, the higher the task significance and the feedback,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trust. However, skill diversity, task identity and autonomy did not affect organizational trust. Third, analyzing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exchange relationship,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kill diversity, the task significance and the feedback, the higher the exchange relationship. However, task identity and autonomy did not affect exchange relationship.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on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ree - step mediation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on the effects of skill diversity, task significance and feedback on emo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trus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s of skill diversity , task significance and feedback on emotional commit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on the effect of task identity and autonomy on emo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trust has no mediating effect on the emotional commitment of task identity and autonomy.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ng effect of exchange relation on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commitmen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xchange relationship on the effect of skill diversity, task significance and feedback on emotional commitment, it can be seen that the exchange relationship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effect of skill diversity, task significance and feedback on emotional commit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xchange relationship on the effect of task identity and autonomy on the emotional commitment, it can be seen that the exchange relation has no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task identity and autonomy on the emo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verification of hypothes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emotional commitment and trust of the child caregivers in the organization of the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Specially, due to the nature of the organization, it is separated from the related staff such as the chief of center, the team manager, the business support manager and the monitoring staff, but at the same time, interdependent and collaborative work is done, so trust will help to perform efficientl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train an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dividual who is suitable for the organization of child care support business by measuring the emotional commitment of the organization members. Seco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hild care sector is less aware of job characteristics as a professional than any other welfare service organization. There is a tendency to perceive that the task identity is low.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rategy that can streng then the awareness of job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giver. Therefore, by making efforts to improve the task identity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job design, and by making the qualification standard and grade of the child care and developing the qualification to the state management system, It is suggested that a strong alternative is needed to streng then awareness and to raise self-esteem. Third, it was confirmed that job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variables for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trust and LMX relation at the relation of emotional commitment. Using a variety of caring techniques and performing important tasks at various care sites, the individual's job is recognized as meaningful. In other words, emotional commitment can be regarded as approaching from a point of view of emotion or a member's attitude. Therefore, the human resource manager of the child care organization should identify the strengths, weaknesses, threats, and opportunistic factors by systematic situation analysis (SWOT) on the antecedents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and establish strategie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reflect them in the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By running.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making efforts to manage appropriate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care culture. Fourth,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trust, and leader - member exchange relationship were also identified as important variables in child care service organiz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formation of a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leader and members is very important than formal authority or discipline. The child cafegiver, manager of child caregiver, team leader, and chief of center in the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 will demonstrate leadership through exchange relationships and fully understand each other's positions through mentoring and other bilateral dialogue, it suggests that it should be systmized to make job environment to be able to believes and follows each other. The organizational members can maximiz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being able to reflect their own value system in the organization, ensure autonomy, and perceive that their opinions influence their work. Fifth,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is lowered when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of the child caregiver is low, but when the level of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is perceived, job satisfaction, emo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trust are positively influenced. Therefore,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in child care servic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caregiver, the manager, the team leader and the cheief of center in the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 There should be careful consideration of monthly meeting, free talking meeting, unified use of name, reward vacation for reward and birthday party, and education for child caregivers to feel their belonging. Finally, the child caregiver, who are the final service deliverers in the care service field, are the most important proposition that recognizes the mission to take care of the dream trees that will lead our future. Therefore, by understanding their working environment and encouraging and supporting appropriate activities such as club meetings and self-help learning activities, Th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are required to make efforts to promote leading the child care services by revitalizing voluntary motivation and mission. Based on these implications, if the government, related organizations and related people actively make improvements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mission, it is confident that child care services will be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area of child care sevice for our children who will be responsible for our future and the job of the child caregiver will be positioned as a stable and professional jo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