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ie Einstellungen deutscher und sudkoreanischer Studierender gegenuber korperbehinderten Menschen : Eine empirische Vergleichsstudie zwischen der Bundesrepublick Deutschland und Sud-Korea

        김기흥 Universitat zu Koln 1999 해외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과제를 규명하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다. -한 사회와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하며, 동시에 장애인 재활 및 복지정책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독일과 한국의 대학생들의 (지체)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그 첫번째 연구 목적으로 한다. -만일 독일과 한국 대학생들의 (지체) 장애인에 대한 태도간에 차이가 나타난다면 그 원인을 규명하는 것을 그 두 번째 연구 목적으로 한다. -독일과 한국 대학생의 (지체) 장애인에 대한 태도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마지막 목적으로 삼는다. 본 논문의 구성은 그 첫 번째 부분에 문제 제기, 연구의 목적 및 구성, 두 나라간의 지체장애 및 지체장애인 개념정의의 비교 등이다. 이어서 본 논문의 주제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독일과 한국의 역사적인 흐름 가운데서 각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인 태도를 비교 개관한다. 계속해서 이론적인 기초와 관련하여 태도의 개념 정의, 태도의 세 가지 요소, 다양한 태도 이론 및 태도와 행동의 관계들이 간략하게 서술된다. 세 번째 부분에서 연구방법, 연구 실시 과정, 조사 결과 처리방법, 두 나라간의 조사 결과 서술 및 비교 해설로 구성된다. 마지막 부분은 두 나라 대학생들의 (지체)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를 위한 방법들이 제시된다. 본 논문의 경험적 연구 조사는 설문지 형식으로 실시되며 1997년 5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독일과 한국의 각 6대 도시에 소재한 국립 또는 시립 대학교를 선정하여 실시되었다. 설문지는 총 36개의 질문 항목으로 주관식 또는 객관식 형태로 작성되었다. 조사 결과는 쾰른(Koln) 대학교 교육대학 전자 계산소의 SPSS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되었다. (지체) 장애인들에 대한 독일과 한국 대학생들의 경험적 비교 연구에서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첫 번째, 독일 대학생들이 한국대학생들보다 인지적 태도 요소와 관련하여 장애인 및 지체장애인의 실질적인 상황과 정보에 대하여 비교적 더 잘 알고 있다. 두 번째, 독일 대학생들이 한국대학생들보다 정의적 태도 요소와 관련하여 장애인 및 지체 장애인에 대하여 감정적으로 훨씬 더 긍정적인 상(像)을 가지고 있다. 세 번째, 독일 대학생들이 한국 대학생들보다 행동 경향적 태도 요소와 관련하여 장애인 및 지체 장애인에 대하여 월등히 더 수용적인 태도를 보인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근거로 (지체)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태도형성 과정에 한 사회 및 국가의 고유한 문화적, 경제적 그리고 정치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인간상과 사회적 가치 및 의미가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끝으로 (지체) 장애인에 대한 독일과 한국 대학생들의 성공적인 태도 변화를 개선책으로 본 논문은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즉 비장애인 또는 대학생들의 인간상의 변화, 장애인 또는 장애의 실제적인 상황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정보의 습득, 장애인과의 개인적이고 인격적인 사회적 접촉이다. 무엇보다도 대학 당국은 이러한 위의 언급된 세 가지 방안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간의 사회적인 거리감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적인 견인차 및 중계인의 역할자로서 특별한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을 촉구한다.

      • 돼지 卵母細胞의 體外成熟 및 生存性에 미치는 抗酸化劑의 影響

        김기흥 濟州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정상적인 수정란을 대량생산 할 목적으로 mTLP-PVA 배양액에 항산화제 SOD, catalase. taurine을 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난모세포의 체외성숙을 CelITite AQ System 과 CFDA에 의한 생존을 및 mTALP-PA 배양액에 대한 체외수정을을 조사 하였다 1. 난모세포의 감수분열 재개(GVBD) 및 극체(PB1)형성에 미치는 SOD의 영향 : 네성숙 난자인 GY 비율은 O~8.7% 범위었으며 . SOD 농도별로 보면 대조구 2.7%에 비해 400U일 때 0%로 가장 낮고, 500U일 때 8.7%로 가장 높았다. 한편 감수분열을 재개한 난자, 즉 M I∼M II 비율은 91.3∼100% 범위였으며, SOD 농도별로 보면 대조구 97.3%에 비해 500U 일때 91.3%로 가장 낮고, 400U일 때 100%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감수분열 재개는 SOD 400U를 사용 하였을 때가 가장 유효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극체를 방출하여 완전히 성숙을 완료한 난자 즉 M II 비율은 64.3∼87.2% 범위였으며, SOD 농도별로 보면 대조구 67.1%에 비해 100U와 300U일 때 64 3%로 가장 낮고 200U일 때 87.2%로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돼지 난모세포의 성숙은 SOD 200U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2. 난모세포의 감수분열 재개 (GVBD) 및 극체 (PBI)형성 에 미치는 catalase의 영향 : 미 성숙난자인 CV 비을은 2.7∼23.7% 범위 였으며, catalase 첨가 농도별로 보면 대조구 2.7%에 비해 150U일 때 11.4%로 가장 낮고, 250U일 때 23.7%로 가장 높았다. 감수분열을 재개한 난자인 M I ∼ M II 비율은 76.3∼97.3%였으며, catalase 농도별로 보면 대조구 97.3%에 비해 250u일 때 76.3%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atalase를 첨가하였을 때는 오히려 감수분열을 재개한 난모세포는 대조구에 비해 전체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성숙난자인 M II 비율은 41∼67.1%로 대조구와 유사한 경향이었으며 catalase 농도별로 보면 대조구 67.1%에 비해 200U일 때 41%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성숙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시사되어 catalase는 돼지 난모세포의 성숙에 negative 작용을 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3. 난모세포의 감수분열 재개 (GVBD) 및 극체 (PB1)형성에 미치는 taurine의 영향 미성숙난자인 GV 비율은 2.4∼6.5%였는데, taurine 농도별로 보면 대조구 2.7%에 비해 1.OmM일 때 2.4%로 가장 낮고 7.OmM일 때 6.5%로 가장 높았다. 감수분열 재개한 M I ∼ M II 비율은 93.5∼97.6%였는데, taurine 농도별로 보면 대조구 97.3%에 비해 7.OmM일 때 93.5%로 가장 낮고, 1.OmM일 때 97.6%로 가장 높았다. 본 결과에서 taurine을 첨가하였을 때 대부분의 난모세포에서 감수분열이 재개되었다. 성숙난자인 M II 비율은 61.9∼86.8였는데, taurine 농도별로 보면 대조구 67.1%에 비해 1.OmM일 때 61.9%로 가장 낮고, 2.SmM일 때 대조구에 비해 86.8%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항산화제가 제2감수분열 중기에 미치는 영향 : 돼지 난모세포의 제 2감수 분열 중기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구 67.1%에 비해 SOD 87.2% 및 taurine 86%로 유의하게 난모세포의 핵성숙을 높게 촉진시켰으며 (p<0.05) catalase는 60%로 대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5. 항산화제 처리에 의한 난모세포 생존성 분석(CelITiter Ad System) : 항산화제를 처리한 난모세포를 CelITiter AQ System에서 측정했을 때 생존율은 대조구 0.453 Absorbance 450nm에 비해 SOD 0.054와 taurine은 0.050으로 유의한 경향이었으나(p<0.05), SOD에 비해 catalase는 0.038로 유의하게 낮았다. 6. 항산화제 처리에의한 난모세포 생존성 분석(CFDA) 항산화제를 처리한 난모세포를 CFDA에서 측정했을 때 생존을은 대조구 mean score 2.3에 비해 SOD는 4.1과 taurine은 4.0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p<0.025), 대조구에 비해 catalase는 2.2로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7. CelITiter AQ System 과 CFDA 에의한 생존성비교 분석 : CFDA 와 CelITiter AQ System에서 측정 했을 때 대조구는 각각 2.3과 0.453에 비해 SOD는 4.1과 0.054. taurine은 4.0과 0.050으로 높았으나 ratalase는 2.2와. 0.038로 낮았다. 따라서 SOD 및 taurine에서 생존율 향상이 시사되었다. 8. mTALP-PVA 배양액을 사용한 체외수정율 : 자성전핵 형성을 71.2%, 다란핵 형성 6.3%, 정자침입 94.6%, 다정자침입 62.9%, 웅성전핵 형성 54.3%로 나타났으며, 이에 비해 정상수정율은 22.9%. 발생가능난은 11.4%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oxidants (SOD, Catalase and Taurus) on the rates of us vitro maturation, viability and subsequent fertilization of oocytes cultured us mTLP-PVA medium. The result are as follows: 1. The effect of SOD (Superoxide disputes) on GVBD of oocytes : the rate of germinal vesicle (GV) was much higher us the medium containing 500 unit (8.7%) than control (2.7%) and 400 unit of SOD (0%) and the addition of 400 unit of SOD increased the oocytes showing GVBD(germusal vesicle breakdown)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2. The effect of SOD on the expulsion of first polar body (Pub 1) of oocytes ; the addition of 200 unit of SOD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the oocytes showing M II stage compared to control and 100 or 300 unit of SOD. 3. The effect of catalase on GVBD rate of oocytes ; the rate of germinal vesicle (GV) was much higher us the medium containing 250 unit (23.7%) than control (2.7%) and 150 unit of catalase (11.4%). However, the addition of catalase significantly (p<O.05) decreased the oocytes showing GVBD stage (M I - M II) compared to the control. 4. The effect of catalase on polar body 1(Pb 1) of oocytes : the addition of 200 unit of catalase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the oocytes of M II stage compared to control, showing that catalase may have adverse effect on the maturation of oocytes. 5. The effect of touring on the GVBD rote of oocytgs : the percentage of germinal vgsiclg(GV) was much higher us the medium added 7.0 mM of touring. this concentration decreased the ratio of GVBD stage (M I - M 1I) compared to treatments. 6. The effect of touring on the expulsion of first polar body (Pub 1) of oocytgs the addition of 2.5 mM of touring significantly increased the oocytgs maturing to second metaphase (M II) stage compared to the control. 7. The effect of antioxidants on the oocytes maturing to M II stage ; the addition of SOD and touring significantly (p<0.05) improved the nuclear maturation of oocytes, but not in addition of catalase. 8. The effect of antioxidants on the viability of oocytgs using the Cglltitgr AQ System the addition of SOD and touring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the viability of oocytgs compared to the control, but catalase decreased . 9. The effect of antioxidants on the viability of oocytgs using CODA stain; the addition of SOD and touring significantly (p<0.025) increased the viability of oocytgs compared to the control, but catalase addition was not different from the control.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medium containing antioxidants such as SOD and touring improved the maturation capability and viability of oocytgs, indicating that antioxidants might remove the free radicals produced in culture environment. and so on.

      •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이 발명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기흥 경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발명 교육은 창의성, 자기 주도적인 의사 결정 능력 및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필수적인 교육이다. 그러나, 현재의 발명 교육은 이론과 간단한 실천 활동에 기초하고 있으며, 발명 교육의 목적이 완전히 달성되지 않기 때문에 현재의 발명 교육에서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학교 현장에 4차 산업 혁명의 큰 축인 3D프린터를 도입하고 3D프린터를 활용한 발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3D인쇄 기반의 발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발명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이런 목적으로, 5학년 학생들을 성남시에 있는 실용적인 발명 분야에 투입했습니다. 실험 그룹과 비교 그룹 사이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학생들은 실험 그룹의 수업을 직접 따라갔습니다. 실험 그룹을 분류하기 위해서, 우리는 5학년 연습과 발명 단원의 14번째 학급을 재구성했고 3D프린터를 사용하여 발명 교육 프로그램의 학습 지침과 학습 종이를 개발했습니다. 또 교원 평가제의 타당성과 교육지의 검증을 위해 경기도 창의 연구 위원회 교사 10명에 대한 타당성 시험을 실시했다. 발명 능력은 두가지 유형의 기본적인 평가와 심층 평가에서 발명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도구입니다:발명 문제의 이해, 탐구, 발명하기 그리고 발명을 평가. 본 연구에서는 사후 활동으로서 기준선 및 실험 그룹과 비교 그룹의 포트폴리오 평가 값을 측정하여 티-test를 수행하였다. 또한, 연구의 보충 자료로서 자기 평가, 관찰 평가에 대한 심층적인 평가도 포함한다. 심층 설문지의 포트폴리오 설문지의 공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발명 교육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 2명(지원자 포함)을 면접했고 평균 가치를 측정하여 공정 가치를 높였습니다. 또한, 우리는 발명가의 평가지에 나타나지 않은 함축적 의미를 알아내기 위해 설문지를 통해 정성적인 평가를 실시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3D프린터를 사용한 발명 교육 프로그램은 발명과 창의적인 제품 평가 분야에서 통계적으로 중요한 결론을 얻었습니다. 첫째, 3D프린터를 이용한 발명 교육 프로그램은 발명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둘째, 3D프린터를 사용한 발명 교육 프로그램은 발명 분야에 그 효과를 보여 주었습니다. 셋째, 3D프린터를 이용한 발명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발명의 평가 분야에서 효과적이었습니다. 3D프린터인 발명 교육 프로그램은 발명 문제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시키고,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장기적인 연구 분야의 획득을 도울 수 있는 발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그것은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 연구는 3D프린터 기반의 발명 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발명 교육 프로그램의 새로운 측면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이 연구에 기초하여, 후속 연구는 발명 문제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장기적인 연구 기간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독창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한다.

      •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노인주거 문화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김기흥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21st century, the earth is facing ageing society, which is almost unparalleled in human history ever. It was started from western developed countries which had led industrialization, and Korea and Japan are not the exceptions anymore. Especially, the speed of social ageing in Korea is fast enough to break all the world records related to ageing which were recorded by Japan. Therefore, we have to take appropriate precautions against social reality which we can not avoid. Especially, as women workforce goes into society and late marriage rate increases, birth rate got to decrease dramatically and it acted as a catalyst on ageing society. Moreover, a person's average life span is expected to be extended by the improvement of our diet and development on medicine, which definitely contributes on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old. This ageing society causes a lot of problems on labor, economical, healthcare, elderly welfare environment, and so on, which produces social pressure. It has been continuously warned that social costs for elderly such as stabilizing housing problems, establishing welfare centers and so on, increases by large degree. Furthermore, for the policies which are related to the standard of working age collapsed, we got to have more concerns about unemployed young people who can still provide workforce. Since industrialization era, rural area has been minimized as young generation leaves countries and move to the cities. Naturally, city got to be full of young people and over populate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only old people left in rural areas. It brought huge disparities and gaps. This is the right time to adjust the format of regional settlement community for the aged, which will extent the healthy lives and enable them to perform their own work in their secure place with their family by forming Korean residential community. The foundation of residential community in Korea should be 'family'. I propose the scheme about migrating community which consists of extended families and other groups which are not based on the same blood. Also I will suggest the ways that residents can cooperate together and live harmoniously where they want to live. Firstly, in order to realize residential community-culture based on the age integra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ressure of both parents who work outside the home so that they can be released from the pressure of feeding child and support elderly. Secondly, not only demolishing barrier which is the symbol of closures and severance, but also opening neighbors' mind have to be carried out in order to realize residential community-culture through improving relationships among neighbors. Thirdly, we have to solve the gap between men and women, old and young, rich and poor, and urban and rural, and discrimination on academic clique which has been causing structural problems among society. It will bring harmony and actualize healthy residential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among classes. Fourthly, in order to recover the social environments and realize residential community-culture, it is crucial to build a firm infra for elderly and recover the green area in cities. We shoul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shadows in cities especially in summer, but we also have to consider that shadows of the trees can be harmful for the old to go through all the winter. Lastly, in order to adhere the society of residential community, we have to change individual-centered culture into group-centered culture. People tend to think living depends on each individual, however,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it is all related invisibly, lightening each live. This proposal which was sugges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foundation to establish sustainable aged society which Korean future needs. 인류사회를 떠 바치고 있는 지구는 21세기에 고령화라는 전대미문의 사회를 만들어내고 있다. 그것은 산업화 사회를 주도하던 서구 선진국들로부터 시작되어 이웃 일본과 한국의 사회를 노인들로 채워가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한국의 사회고령화 진전 속도는 일본이 이루어 놓은 사회 고령화에 대한 세계적 기록들을 갈아치우고 있어, 피해갈 수 없는 사회적 현실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서둘러야만 할 때다. 특히 여성인력의 사회 진출과 결혼 연령의 지연으로 인한 출산율 저하는 사회 고령화의 촉매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식생활 개선과 의술의 발달 등에 의한 인간의 기대수명 연장 또한 고령 노인의 숫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고령화는 우리나라 노동환경과 경제 환경, 보건의료 환경, 노인복지 환경 등 많은 사회 분야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이며, 그에 따르는 사회적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저소득층 노인들에 대한 주거 안정화를 위한 노인 임대주택의 건설과 후기고령인구의 증가에 따른 유병장애 노인들을 위한 복지 시설 건립에 소요되는 비용 등 노인을 위해 필요로 하는 사회적 비용의 증가는 우려해야 할 수준에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환란 이후 정년의 기준이 무너지면서 속수무책으로 직장에서의 역할 상실로 은퇴를 해야 하는 비 노인 그룹의 유입으로 인한 실질적 비생산 사회고령화 율은 총인구에 대한 65세 이상 인구의 비로 나타내는 고령화 지수와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산업화 이후 자녀들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기대하며 농촌을 떠나는 이른바 이촌향도 영향으로 도시는 급속팽창하고 농촌은 급속히 축소되어 도시는 젊은이들로 넘치고 농촌은 노인들로 구성되는 사회적 기현상은 최대의 생산과 최소의 소비로 양분되는 격차사회를 만들어 놓았다. 이러한 사회적 기현상을 해소하고 막대한 사회적 비용의 투입을 늦추거나 억제 시키고, 노인들의 주거안정 등을 위한 주거공동체에 대한 실행 가능한 요소들을 적용하여, 한국적인 주거공동체를 형성함으로써 노인들이 가족들과 함께 안정된 주거에서 활동 가능한 역할을 수행하며 무병의 삶을 연장할 수 있는 지역 정착 노인공동체 주거를 도입할 때이다. 우리나라 주거공동체의 기반은 ‘가족’이어야 하며, 가족을 단위로 하는 확대가족 공동체와 비 혈연 공동체를 비롯하여 이웃 간 관계결속을 통한 결합 공동체 등 지역정착 형 공동체와 뜻을 같이하는 구성원들이 원하는 지역과 주거공간에서 같이 모여살 수 있는 이주 형 공동체 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연령통합을 통한 주거공동체 문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맞벌이 부부가 자녀의 양육과 노인의 부양에 대한 부담으로부터 벗어나 직업과 육아를 성공적으로 결합시켜주는 주거공동체가 형성되어야 한다. 둘째, 이웃 간 관계 개선을 통한 주거공동체 문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폐쇄와 단절의 상징인 물리적 담장 허물기와 함께 마음의 담장 열기가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계층 간 소통을 통한 주거문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경제적, 계층적, 위치적 지위에 대한 우리나라 사회의 구조적 결함인 학벌과 학위 차와 빈부의 격차, 남녀노소의 간극과 도 농 편차 등이 해소되어야 한다. 넷째, 사회 환경의 회복과 주거공동체 문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에게 편리한 인프라 구축과 도시녹지의 회복이 필요하다. “도시의 그늘이 노인들의 여름나기에 얼마나 중요한 자원이며, 도시의 그늘이 노인들이 겨울나기에 얼마나 해로운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다섯째, 미래를 지향하는 공동체 주거문화의 고착화를 위해서는 개인중심 문화에서 집단중심 문화로 전환해야 한다. 사람들은 세상살이를 마치 스스로 지탱해 나가는 것 같이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 보조적 관계로 연결되어 서로를 비추고 있는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관과 해서는 안 된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고령사회 노인주거문화의 새로운 대안이 우리나라 미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지속가능한 노인 사회 만들기의 기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소년소녀합창단 지도에 관한 연구 : 천안시소년소녀합창단 중심으로

        김기흥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A conductor of boys & girls choir should be the one who understands children and have expertise in chorus, but many of instructors of the choirs are insufficient in expertise in chorus or understanding children.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understanding children and systematic choir education from composing a choir through managing and training children. In order to train a boys & girls choir, it is needed to perform all the stages from selecting members, training them, and performing, under intention of composing such choir and clea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experiences in instructing boys & girls choir for the last ten years and various data, and the authors presented diversified methods to produce ideal choir sound, with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by boys & girls development stages, understanding their voices, necessity of developing head voice, and understanding basic factors for singing such as posture, breathing, vocalization, and resonance. This study served as a momentum for the authors to concretely understand changes in children physically and mentally whom the authors have instructed for over ten years and to deeply understand expertise in choir. This study may be presented as helpful data for instructors who have insufficient experience and expertise in the field of choir education from composing, managing, practical training, and opening a concert for boys & girls choir.

      •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내재적 동기부여, 상사신뢰, 지식공유의 매개를 중심으로

        김기흥 동국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In order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competency and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s, the leadership that enables employees to work in dynamic and creative ways is essential. This is because the leader directly influences follower’s attitude and behavior. Although the necessity for a research on the relations between leadership and creativity has been raised, relevant studies are insufficient.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the mediating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trust on superior, and knowledge sharing in the influence of empowering leadership on employee creativity. Through this research, the study not onl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employee creativity, but it also hopes to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and managerial insights to management executives of Korean companies who are subject to relatively strong hierarchical culture. To achieve this purpose,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to examine the theoretical questions. To test the model proposed, a survey was conducted. The survey was designed to be answered in the team(or department) manager-subordinate dyad; each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a pair of manager and his or her subordinate. A total of 510 copies in pair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uperiors and their subordinates of 44 companies, respectively. Among them 470 pairs of copies were analyzed to test the hypotheses. Types of industries included in survey ranged from manufacturing to finance/insurance, construction, information technology, retail and logistics, trading, and other servi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MOS18.0 and SPSS17.0 to verify hypotheses of this study. The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mpowering leadership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follower’s intrinsic motivation. Empowering leadership, by delegating discretional power and autonomy to an employee, enlarged their impact on the job and enhanced their sense of self-control, self-determination, self-efficacy, as well as the meaningfulness of work; this means that follower’s intrinsic motivation was elevated. Second, the study found that empowering leadership highly affected the employee’s trust on superior. This implies that empowering behaviors such as delegating discretional authority to the subordinates, allowing them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and expressing high confidence on their performance built strong trust in the superior. Third, the analytical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intrinsic motivation would positively influence knowledge sharing among employees. This suggests that features of intrinsic motivation such as needs for competence and self-efficacy and eagerness of self-growth encouraged employees to actively engage in learning activities, and knowledge sharing. Moreover, it may also imply that intrinsically motivated employees sought to perceive a sense of self-worth and the usefulness of gained knowledge through the act of knowledge sharing. Fourth, trust on superior was found to increase the act of knowledge sharing among employees. This implies that such trust promoted the sharing of knowledge by creating a trusting atmosphere, increasing a sense of psychological safety, and inspiring cooperation in organization. In addition, such relationship built on trust created stronger social and emotional ties among the employees, and led them to have mutually reciprocal expectations, which resulted in active knowledge sharing. Fifth, it is proven that empowering leadership significantly influenced knowledge sharing among employees.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employees shared knowledge and information more aggressively in order to carry out their expanded role responsibly and successfully. It can further mean that employees were encouraged to share their knowledge when they were required to make autonomous decisions. Finally, the hypothesis that knowledge sharing affected by intrinsic motivation, trust on superior, and empowering leadership would significantly influences creativity was supported by the survey results. This means that knowledge sharing behavior facilitated the flexibility of cognitive thinking,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enabling the generation of creative new ideas. Moreover, knowledge sharing helped generate novel and useful creative outcomes by stimulating cognitive inertia, and allowing employees to connect and integrate new information. The contribution and managerial implication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irs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is a very effective form of leadership in that it affects follower’s creativity, an important element in determining an organization’s competitiveness. This implies tha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with variables other than those discussed in this study, and that further studies are called for hereafter. And given the importance of its influence, empowering leadership should be emphasized in Korean companies. Second, the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of multiple businesses, and the survey’s subjects were not limited by factors such as gender, age, position or field of job. Therefore, the findings can be considered to have secured validity and generalization, and be a reliable source for further studies. Results gained from the survey are comprehensive and objective in that they covered creativity ranging from the general to the professiona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reativity needs to be considered more importantly in general organizations. Third, the fact that empowering leadership had strong consequences in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and their trust in the superior is significant in regard to leadership effectiveness. That is, empowering leadership serves as a crux of leadership as it contributes to building trust, a core foundation of an organization, instilling a true sense of motivation, and strengthening employee’s respect and trust towards his/her superior. This suggests that management executives should seriously consider this aspect in developing managerial leadership. Finally, knowledge sharing among employee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ecuring the organizational competency and competitive advantage. The fact that empowering leadership contributed to the sharing of knowledge and therefore affected follower’s creativity leaves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management. It also implies that empowering leadership be considered greatly in development of organizations and managerial strategies. Though this study provided significant academic and practical findings, there are some limitations: First, in this study, the impact of empowering leadership is limited to individual’s creativity. In order to provide more meaningful implications, further studies should be expanded to team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Second, in this research, control variables for type of industry or structural features of organization did not considered in detail. However, empowering leadership may face limitations in certain industrial features or organizational purposes. Therefore, it seems meaningful to conduct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influence of empowering leadership in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s. Third, this study measured creativity in one, general aspect. However to improve the results, there is a need to measure creativity in multiple aspects such as in its novelty and usefulness. Finally,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one in nature, limited to a specific time line i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For a more accurate result, a longitudinal research is necessary. It is hoped that further research can be developed by overcoming the above limi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