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수처리 과정별 관 재질에 따른 생물막 형성 및 DGGE와 Pyrosequencing을 이용한 세균 다양성 연구

        김근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와 응집수, 침전수, 여과수, 정수의 평균 종속영양세균수는 1.6 × 10^4 CFU/mL ~ 1 CFU/mL였고, 원수부터 정수까지의 평균 잔류염소농도는 0.08 mg/L ~ 0.88 mg/L였다. 스테인리스관과 동관에 형성된 생물막의 종속영양세균수는 원수, 응집수, 침전수에서 2주만에 2.9 × 10^3 CFU/cm2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반면, 여과수에서는 스테인리스관과 동관 모두 18 CFU/cm2 이하의 종속영양세균수가 검출되었고, 정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DGGE와 pyrosequencing 방법들을 이용해 원수, 응집수, 침전수에 존재하는 생물막의 세균 군집 분석결과, 스테인리스관과 동관에서 Rhizobiales와 Sphingomonadales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우점종이였다. 스테인리스관의 경우, 12주차 이후 Flavobacteriales가 새로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Pyrosequencing분석 결과, DGGE 분석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던 Chitinophagaceae, Sphingobaceriaceae, Rhodobaceraceae, Oxalobacterceae 등 다양한 세균들이 검출되었다. 여과수의 경우, 스테인리스관과 동관에 형성된 생물막에서 Propionibacterium sp., Sphingomonas sp., Escherichia sp., Falvobacterium sp. 등과 유사한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가지는 band들이 검출되었지만, 정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스테인리스관과 동관에 형성된 생물막에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우점종은 비슷하였지만, 생물막 형성 기간에 따른 생물막내 우점종의 군집비율에는 차이 있었다. 또한 스테인리스관에 형성된 생물막의 경우 시간 변화에 따른 새로운 우점종으로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종속영양세균수 및 종다양성이 동관보다 더 높았다. 추가적으로, 생물막이 구조적으로는 성숙하였을지라도 생물막을 구성하고 있는 세균은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에 생물막 형성 기간은 생물막 연구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중 하나로 생각된다. Heterotrophic bacteria density of raw, coagulated, settled, filtered, and treated water in water treatment plant ranged from 1.6 × 10^4 CFU/mL ~ 1 CFU/mL. Fre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of raw to treated water ranged from 0.08 mg/L ~ 0.88 mg/L. Heterotrophic bacterial density of biofilm formed from stainless and copper pipes in raw, coagulated, and settled water was highly increased above 2.9 × 10^3 CFU/cm2 within two week. On the other hand, heterotrophic bacterial density of bioflim formed from stainless and copper pipes in filtered water was detected below 18 CFU/cm2, but treated water was not detected. Heterotrophic bacterial density of biofilm formed from stainless was higher than that from copper pipe. Using DGGE and pyrosequencing methods, we found that Rhizobiales and Sphingomonadales were continuously dominant in both stainless and copper pipes in raw, coaulated, and settled water. In case of stainless pipe, Flavobacteriales appeared new dominant species after twelve week. Through the pyrosequencing analysis, we identified various bacteria with dominant species such as Chitinophagaceae, Sphingobaceriaceae, Rhodobaceraceae, Oxalobacterceae, etc which were not detected by DGGE. In case of filtered water, detected bands of biofilm formed from stainless and copper pipes were identified as Propionibacterium sp., Sphingomonas sp., Escherichia sp., Falvobacterium sp., and etc,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 while any bands in treated water were not detected. In this study, dominant species of biofilm formed from stainless are similar to those from copper pipe but composition ratio of dominant species by period of biofilm formation was different. In case of biofilm formed from stainless pipe, it was appeared that change to new dominant species and Heterotrophic bacterial density and species diversity were higher than those from copper pipe. Although biofilm was matured structurally matured, component bacteria of biofilm were continuously changed. therefore, period of biofilm s formation w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studying biofilm.

      • 구세군의 사회봉사신학과 실천에 대한 연구

        김근수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글은 교회의 사회봉사를 구세군의 사회봉사 신학과 실천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본 연구이다. 이를 보다 면밀히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세군의 사회봉사가 어떤 계기를 통해 시작되고,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창립자 윌리엄 부스의 사회봉사에 대한 신학적 관점과 실천 프로그램들을 담고 있는 그의 저서 “최 암흑의 영국과 그 출로”에서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구세군의 사회봉사신학은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으로 구원함을 얻은 그리스도인들이 그 사랑을 바탕으로 가난한 자들과 소외된 자들에게 복음을 전파하고 그들이 얻은 구원을 온전히 유지할 수 있도록 세상 속에서 그들의 필요와 어려움을 해결해 주고자 하는 실천적 행동이다. 이는 개인의 영혼구원을 위한 신학이고, 그리스도인들이 구원받은 사람들로서 의 사회속에서 성결한 삶과 책임 있는 행동을 요구하는 신학이다. 한국 구세군도 윌리엄 부스의 신앙과 신학사상, 실천적 행동들을 이어받아 복음전파를 통한 구원과 사회봉사를 통한 구원이라는 전인적이고 총제적 구원을 위한 선교를 지난 105년간 묵묵히 감당해왔다. 이러한 사회봉사의 내용과 그 현황을 소개하면서 한국교회가 본질적 사명인 사회봉사를 신학적 토대위에 앞으로도 어떻게 지속시켜 갈 것인지에 대한 방향들도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실천모델로 구세군 나주교회가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사회봉사를 영혼구원을 위한 목회적 관점에서 어떻게 적용시켜 왔는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교회는 복지의 다양성의 한 복판에 서 있다. 이제는 단순히 사회봉사라는 명목만으로 세상을 섬기기에는 역부족이다. 분명한 신학적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하나님 나라가 이 땅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회의 본질적 사명인 복음적 전도와 사회봉사에 대한 올바른 신학적 정립을 통해 한국교회의 선교와 사회봉사의 방향을 새롭게 찾아가야 할 것이다.

      • 웹디자인 레이아웃에서 곡선 활용에 관한 연구 : 사용자 인지중심으로

        김근수 경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웹사이트(Web Site) 제작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으며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을 이루고 있는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좀 더 편리하고 빠르게 원하고자하는 정보를 얻고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용자 편리성과 효율적인 정보전달, 사용자의 주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레이아웃(Layout)이 필요하다. 레이아웃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그중 흔히 사용되어지는 직선적이고 직관적인 레이아웃은 안정적이고 조직적이어서 신뢰를 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하는 레이아웃은 곡선을 활용한 레이아웃 구성으로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과 생득적 본능적인 시지각 인지, 사용자 경험에 의한 인지 등의 다양한 인지방법으로 인해 사용자의 감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디자인(Web Design) 레이아웃에서 곡선을 활용한 연구로 사용자의 감성을 이해하며 레이아웃 디자인에 있어서 심상의 개념을 도입하고 다양한 환경에 따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웹디자인과 레이아웃을 이해, 분석한 후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이해를 도모하였다. 또한 레이아웃은 어떠한 영향에 따라 사용자의 인지가 달라지는가에 대해 사용자 인지 및 요인을 분석하며 이러한 요인들은 인간의 감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분석하고, 결과를 도 그리고 전문가의 분석에 따라 분류되어 있는 국내 웹 포털 사이트를 통해 곡선 레이아웃을 이용한 제작사례 및 선호도를 조사하여 도출된 결과를 분석하여 이 결과를 바탕으로 체계화하여 효과적으로 곡선레이아웃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는 기초자료로 접목하고 웹사이트를 제작함에 있어서 지침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라며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 주기를 기대한다. It's said that web site technology has been showing tremendous development. So, people would like to make more convenient and faster information-exchange based on users' demand in order to delive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various information. To enhance users' convenience, e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and users' attention, well-established web site layout is necessary. There are various types of layout. Among them, frequently-used layout which is linear and intuitive can be stable and well-organized. However, the layout using curves in this research mainly deals with Gestalt theory of visual perception, innate and instinctive visual perception and perception from users' experience to find out the effect on the sensibility of users. The research on using curves in web design will suggest solutions for followings; understanding sensibility of users, introducing concept of image toward designing web layout, utilizing it in various circumstances and improving user convenience. To achieve these goals, we tried to build up the better understanding on web design and layout through close analysis and theoretical review. In addition, we analyzed users' perception and related factors to figure out how web layouts affect users' perception. Also,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users' sensibility was put into our analysis, leading to the results. Furthermore, we will try to analyze the results from examining the examples with curve-using layouts and users' priority shown in domestic web portal sites classified based on experts' analysis. Then we like to apply the results into systemized and effective curve-using layout. Lastly, we highly expect tha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guidelines, bringing a positive effect into designing web sites.

      • 백신 전달체 개발을 위한 대장균 외막소포체의 구조변형

        김근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백신 전달체 개발을 위하여 내독성이 낮으면서 외부 항원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외막소포체를 생산하여 분석하였다. 외막소포체의 내독성을 저하시키기 위해 MsbB (LpxM) Lipid A 아실전이효소 유전자를 변이시켰고, 외부 항원인 FLAG를 OmpA 단백질에 융합시킨 대장균 변이주를 제작하였다. OmpA::FLAG 융합단백질이 대장균의 외막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자발적으로 OmpA::FLAG단백질이 대장균의 외막소포체에 실려 세포밖으로 방출됨을 확인하였고, FLAG항원이 외막소포체 내부에 위치하고 있음을 면역침전법과 단백질 분해 보호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전공학적 접근방법으로 자연생성 외막소포체의 내독성을 낮추면서 외부항원을 부착시킴으로써 다기능성 백신 전달체 개발의 기본적인 플랫폼 기술을 확립할 수 있었다.

      • 函數의 微分可能과 볼록性에 관한 硏究

        김근수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함수의 미분가능성을 다변수 함수로 일반화할 수 있도록 선형사상을 도입하여 미분가능성에 대한 정의를 하였으며, 이러한 정의를 이용하여 미분법의 기본법칙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선형사상을 이용하여 특정한 점들에서 미분 가능한 함수들의 근사값을 구하였다. 한편 곡선의 오목, 볼록 상태에서 미분불능인 경우까지 확장되는 접선의 일반화된 개념으로 받침선 개념을 도입하였고, 받침선의 개념과 관련된 보기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In this thesis, we define the differentiability of a function using the linear mapping in order that similar differentiable statements hold for function of several variable. And we prove the basic differentiable laws by means of the new definition of differentiability. also we find the approximate value of differentiable functions at partial points using the definition of differentiability that we define. On the other hand, we define the supporting line of the convex (concave) function, which is a general form of the tangent line.

      • 학생이 知覺한 교사의 특성과 학구적 자아개념 및 학습태도와의 관계

        김근수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hich it sees leads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to they academic self concept and studying attitude formation the perception where the quality of the teacher who controls the quality of study from the elementary school the student is various there is minutely to analyze, the place where it presents the drafter fee who is the possibility of decreasing a help in affirmative self concept formation of the student and studying attitude it was. The concrete research problem which it sets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under like this objective with afterwords is same. Research problem 1. Is the relationship with quality and academic self concept of the teacher where the student perceives how? Research problem 2. The relationship with quality and studying attitude of the teacher where the student perceives floats and e? In order to examine closely a dignity research problem 'ga', 'na', 'da'. 'ra' of the elementary school which is to gold mine interservice, class ci from 5 starting school 5 classes it applies a nomadic ticket house method and the student question which it investigates with data of the research analysis which it will call ci 64 simpl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basic statistical outside of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back and and and it makes executes with afterwords the result which it analyzes the possibility of getting a same conclusion it was. First, the perception difference against the quality of the teacher from study fact of the student when seeing whole, there was a difference which is meaning. The subordinate VIP especially from studies and systematic intention conduct to appear most, highly the support help conduct, the high expectation, more many chance and selection grant, negation feedback and instruction conduct pure with it appears and how accept the quality of the teacher does the problem ' academic self concept of the support help conduct ' student of the teacher and grows the possibility of decreasing a big help is is a possibility of knowing the thing to desirable studying attitude formation. The secondth, academic self concept difference school class ci followed in the star and very there was a difference which is meaning. Against an academic self concept concretely 'ga', 'na', 'ra', 'da' class ci pure with it was perceiving ' all ' highly. That school class price of land it perceives the ability the good recording students regarding learning machine of the oneself highly, there is a possibility of seeing. Thirdth, when studying attitude difference of the student seeing as well whole, it considered and it appeared. The subordinate VIP especially ' perceiving most highly from the attitude regarding the teacher', 'the attitude regarding the attitude regarding a school study' and 'a friend relationship' pure with it was perceiving. There was to relationship with quality, academic self concept and studying attitude of the teacher where the fourthth, student perceives the quality of the whole teacher from study fact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t is the higher officer who considers to an academic self concept and a subordinate VIP for very. There was to relationship with quality and academic self concept and studying attitude of the teacher and the academic self concept and interrelation in the quality subordinate VIP of the teacher most the high thing' the high expectation, the chance where are many more and selection grant' and the next of the that was' studies and systematic intention conduct', 'support help conduct', 'negation feedback and instruction conduct' pure.

      • 게임행동 인식하기 훈련을 통한 지적장애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조절 성과

        김근수 대구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게임행동 인식하기 훈련이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조절에 긍정적인 성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D광역시의 북구, 동구, 남구에 있는 6개 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만 10세에서 만 19세까지의 지적장애 청소년들 중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K척도), 청소년용 인터넷 게임 중독 척도(G척도),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척도)에 의한 기준으로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이상에 속하며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10명의 청소년이 대상이었다.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사전검사의 수치를 기준으로 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8년 12월 28일부터 2019년 2월 22일까지 주 1회, 80분, 총 8회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성과검증은 앞서 언급한 K척도, G척도, S척도와 더불어 게임 중독 진단 척도를 사용하였다.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연구자가 1:1로 설문을 읽어주며 사전 및 사후 평가를 진행하였다. t검정과 Mann-Whitney U검정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으며, 스마트폰 게임행동 인식하기 프로그램 진행 전과 후 두 집단을 각 척도의 수치와 게임시간의 변화를 비교해보는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모든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수치가 감소하였으며, 게임의 시간 또한 현저하게 줄어든 성과를 보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지적장애 청소년이 통계상의 유의미한 수치 변화와 더불어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기준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아, 스마트폰 사용시간 조절에 긍정적인 성과가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실험이 종료되고 난 이후에도 프로그램의 성과가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적용되지 않은 것에 한계점을 두며, 추후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효능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지적장애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시간, 게임 중독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utcome of gaming behavior recognition training for controlling of smartphone use time by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dolescents. The experiment was aimed to 10 volunteers among 10 to 19 years old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dolescents, who are using six institutions in Buk-gu, Dong-gu and Nam-gu in D metropolitan city. The 10 volunteers were the potential risk users group based on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scale(K scale),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 for adolescent(G scale),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self-assessment scale(S scale). The program was operated from December 28, 2018 to February 22, 2019, once a week, 80 minutes, 8 times and the volunte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i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ased on demographics information and a preliminary inspection values. We verified the outcome of the program, using the above-mentioned K scale, G scale, S scale, and game addiction diagnostic scale. For accurate measurement, a researcher read to an adolescent the questions and the test proceeded with pre-test and post-test. After verifying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 confirmed the outcome of gaming behavior recognition training comparing to the changes of each scale and playing game tim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decreased values in all the scal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time of the game was also remarkably reduced. We claim that all the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value, and that they were out of the range of potential risk user group, which showed positive results in controlling of smartphone use time.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evaluation of program effectiveness is not applied even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nd we consider that the follow-up study on the efficacy of the program should persist in the future study. Key words: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martphone use time, Game ad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