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철기문화재에 사용되는 접착재료의 접착특성 연구

        권정순 경주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olymeric resins that is used as an adhesive for iron cultural properties can cause harmful damages to the artifacts. Thus, after consideration of the artifacts and of the different reactivity between iron and polymer, the adhesives should be appropriately chosen. In this paper, the adhesion properties of the adhesives that is commonly used to iron cultur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Loctite 401, Alteco, cellulose Cemedine-C, Araldite rapid, and Devcon were selected as adhesives. Also phenolic Microballoon was chosen as a filler. Workability and adhesion strength were investigated as adhesion properties. Firstly, the hardening time and the hardening energy of the adhesives were measured to evaluate workability with and without UV condition. Secondly, the tensile shear strength and compressive shear strength after hardening were measured. At last, the stability against humidity as one of the corrosion factors was investigate. In case of the workabilit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 as an indoor condition and Differential Photo calorimeter(DPC) as an outdoor condition were used. For estimation of the adhesion strength, the iron samples were manufactured. Because the possible stress of the artifacts after conservation treatment should be a shear stress, the tensile shear strength and the compressive shear strength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dhesion area were measured with and without the phenolic Microballoon (5wt%, 10wt%). And also the surface contact angle of the hardened adhesives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corrosion treatment. The corrosion of the samples was conducted in a desiccator at relative humidity of 70~90% and at the temperature of 25~40℃. After recorrosion, the weight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by using an ㎍ balance. As a result, 1. In case of the hardening time at indoor condition, Devcon and Cemedine-C were short. In case of the hardening time at outdoor condition, Alteco and Cemedine-C were short. At the hardening reaction, Devcon and Cemedine-C were low at indoor condition. For outdoor condition, Devcon and Loctite 401 showed low hardening energy. 2. The results of the adhesion strength showed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dhesion area. At the addition of the filler, the strength was decreased. 3. After corrosion, the surface contact angle and recorrosion test showed that Alteco was stable against water and Cemedine-C was weak against water.

      • 채화기법을 활용한 민화(民畵)의 표현 연구

        권정순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아시아 지역의 특산물인 옻은 선사시대에 발견되어 오랜 세월을 통해 예술적, 산업적인 분야는 물론이고 식용 및 약용으로 활용되어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옻칠을 공예품 등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해온 오랜 역사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 서양의 산업혁명의 여파로 최근 1세기 전부터 옻칠산업이 일시적인 침체에 있었으나, 옻이 가진 여러 가지 뛰어난 물성으로 인해 다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옻은 천연 재료이며, 환경 친화적이다. 그리고 소재침투력이 뛰어나 방부, 방오, 방염, 절연성이 우수하며 특유의 아름답고 세련된 광택을 띠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일반 서민들의 진솔한 삶 속에서 우러나온 감정으로 형성된 민화는 겨레의 꿈과 신화, 종교, 정신이 깃들어 있는 소중한 우리의 문화적 전통이다. 민화의 특성은 일반 서민들이 공감하는 실용성, 상징성, 예술성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민화의 예술성을 옻칠기법으로 표현해 보았다. 민화와 옻칠은 우리의 선조들에 의해 오랜 세월 발전되어 온 소중한 전통문화의 하나라는 부분에서 공통성을 가진다. 옻칠을 민화에 활용할 경우 옻의 뛰어난 물성을 이용할 수 있어서, 작품의 견고성과 보존성이 향상된다. 또한, 옻칠의 기법인 난각, 박회, 나전 등을 이용하여 민화의 표현기법이 다양해지며, 민화의 아름다움을 여러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민화가 옻칠로 그려질 경우 서로의 장점이 조화되어 시너지(synergy)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영역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옻칠의 특유한 물성은 민화에 새로운 질감과 조형감을 더했고, 민화의 장식성과 실용성은 옻칠 민화의 활용도를 배가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Korean lacquer has been used in the field of art, industry and medicine in East Asia for a long time. Korea also has a long tradition about manufacturing Korean lacquer in many field including craft.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Korean lacquer manufacture was stagnant temporarily, but recently it becomes the center of public interest because of its excellent properties. Korean lacquer is a kind of natural product and has an affinity for environment. And it has a good permeability that makes the product durable, preservative, heat-resisting, non-conductive, salt-resisting and excellent lustrous. Korean folk painting is one of the excellent Korean traditional art, and the mythology, dream, religion and spirit of Korean common people are melted in it. The main properties of Korean folk painting are practicality, symbolism and artistic merit. The author of this thesis tried to manufacture Korean lacquer based on the design of Korean folk paintings. Korean folk painting and Korean lacquer manufacture have much in common because they have been developed by Korean ancestors for a long time. We can improve the durability and preservation of Korean folk painting by application of Korean lacquer. And we can present artistic techniques in Korean folk paintings more variously. We can expect synergistic effect by Korean lacquer manufacture and Korean folk paintings. The excellent properties of Korean lacquer can make new matiere and formative in Korean folk painting, and the decoration and practicality of Korean folk painting can add usefulness of Korean lacquer manufacture.

      • 재정 분권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세외 수입 확충 방안 : 안동시의 세외수입을 중심으로

        권정순 안동대학교 행정경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uccess of decentralization depends on fiscal decentralization. The Fiscal decentralization of Andong city depends on how much finance it can supply itself. Because Andong city has not enough capacity for self-reliance, it relies on finance from the central government. We must accurately analyze non-tax revenues in Andong city to progress the fiscal decentralization of Andong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current ‘best practices’ of expending non-tax revenue via the analysis of the non-tax revenues of Andong.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carry out an analysis on types of non-tax revenue and their fiscal management. The analysis of non-tax revenues includes rent revenue, charges, fees, collection grants revenue, and interest. The fiscal management analysis of non-tax revenue includes operations, collections and tax-rates. These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statements. To expend non-tax revenue best: ① We have to enforce the study and research of expenditures. ② We have to expand revenue interests through efficient fiscal management. ③ We have to introduce a technique of fiscal management and use it as strategy. ④ we have to import techniques of management renovation used by private enterprise and inspire the management mind. In addition, we have to find out a plan for renovating the system. First, we must build up the sovereignty of a decentralized tax and develop new sources from current non-tax revenues. Second, we must enlarge a tax target while inporting flexcible tax rates. Third, we must reduce the number of tax exemptions. Finally, city officials and managerial staff engaged in this endeavor need to apply creative management.

      • 관계 중심의 수학 쓰기 효과

        권정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기존의 설명식 학습 지도에서 벗어나 토론, 소집단 탐구 활동, 개별화 수업 등 다양한 수업 형태 도입을 통해 자신의 수학적 아이디어를 다른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고 전달하며 다른 사람의 표현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의사소통 활동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 중년 여성의 갱년기 인식·스트레스·자각증상에 따른 피부 연구

        권정순 서경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Menopause contains the various development duties such as playing the central role in the society and the economics, be responsible in bearing and education the children, and planning ahead for the senior life after retiring from the social economic activities. As a result, women experience the increasing burden in the need to adapt to the changes they feel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experience the most stress than any other time in their life. During this time, women are also very sensitive to the physical changes such as menopause and aging phenomenon. Along with menopause, women experience life's stability, women's skin health does not only show the external element analysis but also the beauty of the internal skin.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improvements decrease the skin aging speed and through fulfilling various experiences, self-fulfilling, and self-realization, they can improve the life quality and feel a sense of satisfaction and happiness about life. As a result, women are able to escape the crisis of menopause as well as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tress of the middle-age women and detectable symptoms of skin. To fulfill this purpose,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middle-age women between the ages of 50 to 59 (to study women who have experienced menopause over a year) living in Seoul for 30 days from May 1 to May 30, 2011. The survey contents included total number 77 questions in 5 survey categorie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age women. After distributing 500 surveys, after excluding the 52 undependable answered survey sheets, the total number of 448 surveys were researched. Ski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menopause didn't show an effect on the moisture, elasticity, figment, sensitiveness, regeneration, and hair loss of skin whether the person has the more positive recognition about menopause. The skin according to the physical stress showed an effect on the moisture, elasticity, figment, sensitiveness, regeneration, and hair loss of skin, the more physical stress the person had. Skin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stress showed an effect on the moisture, elasticity, figment, sensitiveness, regeneration, and hair loss of skin, the more the person experienced psychological stress. Skin according to the menopause symptoms showed an effect on the moisture, elasticity, figment, sensitiveness, regeneration, and hair loss of skin, the more the person experienced the menopause symptom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middle-age woman's menopause recognition, physical, psychological stress, and observable symptoms, the women's skin conditions were effected. However, it was sad that the research period was short, the study couldn't research targeting various women with regional, cultural, and life habits differences since this study was limited to middle-age women living in Seoul, the study eliminated target subjects younger than 50 years of age with menopause symptoms, and the fact that the research couldn't be broken into many age groups. It was also unfortunate that this study had to take place with a survey sheet without deriving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s on the middle-age women's skin.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have further researches extending from this research model and forming the models additional to this experiment in order to fully identify the effects of physical, psychological stress, and symptoms of the middle-age women on their skin con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continue to develop further researches regarding middle-age women's skin. In the future, I hope that various programs and researches regarding the skin depending on middle-age women's physical, psychological stress and symptoms are developed so middle-age women can spend their middle age years abundantly. 갱년기는 사회, 경제적으로 중심적인 역할과 자녀의 양육 및 교육에 대한 책임을 완수해야 함은 물론, 사회 경제활동 은퇴 후 노후생활에 대한 대책을 미리 준비해야하는 등의 다양한 발달과업을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하여 자신의 내부 및 외부로부터 오는 변화에 대해 적응해야 할 부담감이 커지고 인생의 어느 시기보다도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신체적 변화인 폐경과 노화 현상 등에 대해 민감해진다. 갱년기와 함께 인생의 안정기를 맞으면서 여성의 피부건강은 외적인 요인 분석뿐만 아니라, 내적인 피부의 아름다움을 함께 나타낸다.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증진은 피부노화의 속도를 늦추며, 다양한 경험과 자기성취, 자기실현을 충족하게 됨으로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삶에 대한 만족감과 행복감을 느끼게 되어 갱년기의 위기감, 우울에서 벗어나게 된다.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및 자각증상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011년 5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30일간 서울에 거주하는 50∼59세까지의 중년여성(폐경 1년 이상)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으며 설문 내용은 중년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설문 5개 항목 등 총 77문항에 대하여 5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한 후 불성실한 응답자 52명을 제외한 4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갱년기에 대한 인식에 따른 피부는 갱년기에 대하는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수분· 탄력, 색소, 예민·재생, 탈모의 특성들이 피부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스트레스에 따른 피부는 신체적 스트레스가높을수록 수분·탄력, 색소, 예민·재생, 탈모의 특성들이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스트레스에 따른 피부를 보면 심리적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수분·탄력, 색소, 예민·재생, 탈모의 특성들이 피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갱년기 자각증상에 따른 피부는 갱년기 자각 증상이 심할수록 수분·탄력, 색소, 예민·재생, 탈모의 특성들이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중년여성의 갱년기 인식 및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와 자각증상에 따라 여성의 피부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그러나 짧은 조사기간 및 설문 대상자를 서울에 거주하는 중년여성으로 한정되어 지역적, 문화적, 생활습관 등 다양한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하지 못한 점과 50세 이하에도 폐경기 여성이 조사대상에서 제외 된 점, 조사연령 그룹을 세분화하지 못한 점과 중년여성의 피부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설문지로 제한된 조사를 한 점이 아쉬웠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와 자각증상이 중년여성의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충분히 규명할 수 있도록 본연구의 설문 모형을 확대 적용하고 추가적인 실험모형의 정립과 이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중년여성의 피부에 관련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향후 중년여성의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 및 자각증상에 따른 피부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연구가 개발되어 중년여성이 풍요로운 중년을 보내기를 기대한다.

      • 일 종합병원 입원환자가 제공받은 간호에 대한 경험과 만족에 관한 조사

        권정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간호에 대한 환자만족은 의료에 대한 고객의 시각을 파악하는 첫 번째 지표이며, 간호의 질 평가 방법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만족에 관한 질문을 받으면 환자들은 전형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경향이 있으므로(Sheppard, 1994), 실제적인 임상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접 간호에 대한 환자의 경험을 확인하는 것이 요구된다. 경험에 대해 질문하는 것은 만족의 일반적인 점수화에는 숨어버린 문제영역을 노출시킨다고 하였다(Bruster, 1994).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에 대한 환자의 인지를 근거로 간호에 대한 환자의 경험과 만족을 측정하기 위해 영국에서 개발된 환자만족도구(Newcastle Satisfaction with Nursing Scales ;NSNS)를 우리 나라 임상실무에 적용하여 입원환자의 간호에 대한 경험과 만족 정도를 확인하고, 환자만족에 영향을 주는 간호경험을 규명해서 구체적인 임상 간호문제를 확인하며, 효율적인 간호의 질 향상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에 위치한 일 종합병원의 내외과 및 기타 진료과 입원 환자 총 409명을 계층별집락방법으로 임의표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99년 3월 11일부터 4월 6일까지 27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Thomas L., McColl E., Bond S., Priest J.(1996)가 개발한 Newcastle Satisfaction with Nursing Scales(NSNS)를 번역, 역번역하고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일반적 특성 8문항, 간호경험 24문항, 간호에 대한 환자만족 19문항의 총 5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의 Cronbaha's alpha 계수는 간호경험 측정도구 .9081, 환자만족 측정도구 .9544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처리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평균평점,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상관계수, Multiple Regression의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제 특성 본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47세이고 남자가 60.6%로 더 많았다. 결혼상태는 이혼 및 사별을 포함한 기혼이 86.1% 였으며, 교육정도는 고졸이상이 70.7%였다. 입원횟수는 2회 이상이 65%였고, 입원기간은 1주일~3주일 미만이 43.8%로 가장 많았다. 경제상태는 100만원~199만원이 34.5%로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가 소속된 진료과는 내과계 144명(35.2%), 외과계 155명(37.9%), 기타계 110명(26.9%) 이었다. 2. 간호에 대한 경험 간호에 대한 경험의 평균 평점은 7점 리커트 척도에서 5.72로 나타났으며, 요인별로는 ‘신속성/배려함’이 6.18로 가장 높았고, ‘개별적인 간호’(5.81), ‘전문적지식/정보제공/주의깊음’(5.61), ‘유용성/개방성’(5.34)의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들이 긍정적으로 경험한 간호의 측면을 보면, 환자들은 간호사들이 어떤 상황에서도 열심히 업무를 처리하고 환자를 평등하게 대하는 전문적인 태도를 가장 좋아했고(97.6%), 어떤 일을 하기 전에 간호사가 기다려 주고, 밤에 병실 불을 꺼 준다고 대답하므로서 간호사의 환경관리에 긍정적인 표현을 했다. 또한 개방적인 병동 분위기에 좋은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들이 부정적으로 경험한 간호의 측면을 보면, 환자들은 간호사들과 함께 충분히 얘기할 시간이 없었다(9.5%)고 말하므로써 간호사들이 필요할 때 유용하지 않았다고 느꼈으며, 간호사들이 의사의 지시 없이 어떻게 일을 해야 할지 모른다(9.3%)고 하여 간호사의 지식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5.9%는 필요할 때 정보를 제공받지 못했다고 언급했으며, 치료과정에 대해 충분히 말해주지 않았고(4.6%), 간호사들이 친구처럼 개방적이지 않았다(4.4%)고 인지했다. 즉 간호사의 유용성, 전문적인 지식, 기회적 정보제공, 치료과정에 대한 설명, 개방성 등에 부정적 경험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환자의 제 특성에 따른 간호경험 제 특성에 따른 전체적인 간호경험은 환자가 인지한 건강상태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경험문항의 각 요인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1) 전문적지식/정보제공/주의깊음 요인에서는 내과계, 외과계, 기타계 환자의 간호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F=3.353, p=.036), 기타계의 환자가 가장 긍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고(p<.05), 외과계와 내과계 환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용성/개방성 요인에서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6.607, p=.002), 60세 이상에서 가장 긍정적인 경험을 보였고 40세~59세, 18세~39세의 순으로 나타나, 나이가 많은 집단이 더 긍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 남자가 여자보다 긍정적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t=2.588, p=.010). 3) 신속성/배려함 요인에서는 진료과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3.428, p=.033), 기타계의 환자가 외과계 환자보다 긍정적인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내과계와 외과계, 내과계와 기타계 환자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간호에 대한 환자만족 입원환자가 간호에 대해 지각한 전체 환자만족은 5점 리커트 척도에서 평균 평점 3.87로서, 만족한 편으로 나타났다. 각 문항별로 매우만족(4~5점)에 응답한 문항을 조사한 결과, 환자들이 가장 만족한 것은 간호사가 도움이 되었다고 대답하므로써 전형적으로 만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하는 것을 보여주었고, 간호사들이 일을 처리하는 태도, 병동내에서의 자유로움, 간호사들의 업무적인 능력과 개별적인 치료 등이 만족도가 낮은 순이었다. 불만족(1~2점)에 가장 많이 응답한 항목은 간호사들과 함께 보낸 시간이 충분하지 못했다는 것이었고, 환자에게 필요한 것을 간호사가 아는 정도, 환자의 상태와 치료에 대해 알려주는 것, 환자와 가족들의 마음이 편안해지도록 도와주는 것 등의 순으로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제 특성에 따른 환자만족 대상자의 소속 진료과, 성별, 연령별, 교육수준별, 종교, 결혼상태, 입원횟수나 입원시간 그리고 경제상태에 따른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자가 인지한 건강상태에 따른 환자만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15.212, p=.000), 건강상태를 좋게 인지할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6. 간호에 대한 환자의 경험과 만족의 관계 제공받은 간호에 대한 환자의 경험과 만족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7797, p=.000). 간호경험의 하부 요인과 환자만족의 관계에서는 ‘전문적지식/정보제공/주의깊음’(r=.7174, p=.000)이 가장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유용성/개방성’(r=.6753), ‘신속성/배려함’(r=.5726), ‘개별적인 간호’(r=.5269)의 순으로 나타났다. 7. 환자만족에 영향을 주는 간호경험 간호경험의 4가지 하부요인이 모두 환자만족에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고, 환자만족을 60.6%(r2=.606) 설명할 수 있었다. 이중 ‘전적 지식/정보제공/주의깊음’ 요인이 가장 설명력이 높았으며(r2=.505), 따라서 이 요인에 해당되는 8개 문항이 환자만족의 가장 강력한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환자들은 간호만족에 질문을 받으면 전형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전반적인 경험 및 만족 점수는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간호경험의 개별 항목을 검증하므로서 환자들이 가장 좋아하고, 싫어하는 간호의 측면들을 규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임상에서도 현재와 같은 만족도 조사가 아닌 구체적인 간호문제에 대해 환자가 실제 경험했는지 질문하므로서, 임상간호 관리자 및 간호교육자들로 하여금 환자의 인지를 더 잘 알고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atient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tient experience of and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this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was undertaken. A convenience sample of 409 hospitalized patients was obtained from A.M.C. These data were collected by self reporting questionnaires from March 11 to April 6, 1999. The instruments for the analysis were questionnaire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Newcastle Satisfaction with Nursing Scales(NSNS) developed by Thomas L & Bond S, Priest J(1996).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s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patient experiences toward nursing was 5.72±.7485 with 7 Likert scale. ‘The professional knowledge, information on the patients and nurse´s attentiveness´ were the highest mean score of 6.19, while ´the nurse´s availability and openness to the patients´ were the lowest mean score of 5.34. 2. Preferences in nursing care Patients appreciated the nurse´s professional approach(97.6%), environment -process, informal and open atmosphere in the ward. A high degree of concensus on the above items were found. 3. Disliked aspects of nursing care Unavailability of nurse´s when needed scored the highest point. There were some negative perceptions toward the level of nurse´s knowledge and lack of information provision were mentioned frequently. The patients felt that nurses did not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ir condition and treatment. 4. Patient´s experiences of nursing care by general characteristic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essional knowledge, information on the patients and nurse´s attentiveness´(F=-3.353, p=.036) by clinical department.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s availability, openness´ by age(F=6.607, p=.002) and sex(t=2.588, p=.010).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s promptness and consideration´(F=3.428, p=.033) by clinical department. 5. The mean score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was 3.87±.6499 with 5 Likert scale. Patients typically respond positively when asked about their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In item analysis, they were satisfied with nurses´ attitude and practical ability in handling their duties, and the level of freedom given to them in the ward. Patients dissatisfied with providing nurse´s availability and the nurse´s level of information what the patients need, information on patient´s status and treatment, comforting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6. Patient´s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ient´s satisfa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erceived health status(F=15.212, p=.000). 7. There was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tients nursing experience and the patients satisfaction with nursing(r=.7797, p=.000). ´The professional knowledge, information on the patients and nurses attentiveness´ of patients´ experience of nursing was the highest relationship(r=.7174), while ´the promptness and consideration´ was the lowest(r=.5269). 8. By analyzing the result, the patients experience of nursing was significant influence on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Especially ´the ´professional-knowledge, information and nurses attentiveness´ factor of nursing experiences explained strongly patients satisfaction(r^(2)=.515). In conclusion, the patients experiences of nursing influenced significantly patients satisfaction to the nursing care. And the patients experiences of nursing can explain specifically about clinical problems than patient´s satisfaction with nursing. We observed that the survey on the patients satisfaction could not represent honestly their real perception to the nursing care. It would be better to investigate the patients experience of nursing care.

      • Timothy Keller와 Bryan Chapell의 구속사적 설교론 비교연구

        권정순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성경은 하나님께서 타락한 인류가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죄의 문제를 해결하여 그들을 구원하시고, 구원받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살도록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무엇을 하셨는지를 기록한 책이다. 즉, 성경은 하나님의 구속사에 관한 책이다. 따라서 구속사적 신학을 중심으로 하는 설교가 곧 성경적 설교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구속사 설교의 목적은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통해 부활을 경험하고 하나님 나라를 소망하는 그리스도인들이 변화된 삶을 살도록 인도하는 데 있다. 하지만 오늘날 한국교회의 강단은 구속사적 설교를 거의 선포하지 않음으로써, 하나님 나라의 영생을 소망하는 성도에게 삶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그리스도인들은 이 땅에서 하나님 나라의 백성답게 살아가지 못하고 세상 사람들과 별반 다름없이 세속주의에 물들어 살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그리스도인들이 세상에서 성화 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교회의 강단에서 구속사적 설교가 회복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다시 말해, 예수 그리스도가 인간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구속사의 중심임을 언급하고, 이러한 그리스도 중심의 구속사적 설교가 회복될 때 성도의 삶이 변화됨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성경은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행하신 구원의 이야기를 기록한 책이라고 주장한 몇몇 학자의 연구를 중심으로 구속사를 정리한 후, 구속사적 설교가 곧 성경적 설교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다음에 설교 대상인 청중의 사회적 문화와 상황변화에 더 초점을 맞춘 Timothy Keller의 구속사적 설교와 세상에서 타락한 존재로 살아가는 한 개인의 구원에 더 초점을 맞추어 교회 공동체를 이루는 Bryan Chapell의 구속사적 설교를 비교,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한국교회의 강단에서 필요한 구속사 설교의 회복을 위해 반드시 다뤄야 할 필요한 사안을 제안한다. The Bible is a book that demonstrates what God has done in Jesus Christ to save fallen humanity by resolving the problem of sin that they could not solve on their own and to make them live as God’s chosen people in this world. In other words, the Bible is a book about the history of redemp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preachings centered on redemptive historical theology are biblical preachings.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redemptive historical preaching is to guide Christians who experience the resurrection through God’s redemptive work and hope for the Kingdom of God in order to live changed lives. However, the pulpits of the Korean church today hardly preaches redemptive historical sermons, and thus fail to give the proper direction of life to believers who hope for eternal life in the kingdom of God. As a result, Christians fail to live as the people of the Kingdom of God in this world. Rather, they are living like people who belong to the secularized world. This study asserts that, in order for Christians in the Korean church to live a sanctified life in the world, above all else, redemptive historical preaching must be restored for the pulpit of the Korean church. In other words, it states that Jesus Christ is the center of God’s redemptive history for humanity and insists that Christians’ lives are changed when redemptive historical preaching centered on Christ is preached. To this end, first of all, it describes God’s redemptive history based on the studies of scholars who emphasize that the Bible is a book about God’s redemptive work in Christ and then stresses the fact that redemptive historical preaching is biblical preaching. Then, this dissertation compares and analyzes Timothy Keller’s redemptive historical preaching, which seems to focus more on the social culture of the audience, and Bryan Chapell's redemptive historical preaching, which seems to focus more on the salvation of an individual living as a fallen being in a fallen world. And then,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ary issues that must be dealt with in order to restore redemptive historical preaching more appropriate for the pulpit of the Korean church.

      • 金景善의 『燕轅直指』에 나타난 西洋勢力에 대한 敍述과 認識

        권정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Kim, Kyoung-sun(金景善) visited Beijing in 1832 as an official manager of books and described his experience in 󰡔Yon-won-jik-ji(燕轅直指)󰡕. Kim describes western cultures in this book by putting good things in previous accounts of trips together and quoting them properly. Kim also recorded the information of Russia from the A-ra-sa-kwan(鄂羅斯館) he had visited himself. In the chapter of <Yong-kil-li-kuk-pyo-sun-ki(英吉利國漂船記)> in 󰡔Yon-won-jik-ji󰡕, we can find various information on the Britain from the record separately attached which is hard to be found in previous ones. Chosun(朝鮮) could get some recognition of the western powers through books published in China, reports of Chosun envoys in China, capturing western foreigners or infesting of western ships, and infiltration of Catholic and French missionaries. But excepting informal or accidental events, only Chosun envoys in China are the only formal way for Chosun to collect the information of Western countries. In 19th century, the interchange of western cultures or with westerners was speeding up its way, but the Chosun government prohibited the introduction of cultures or thoughts related to western countries. But surprisingly 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with westerners through capturing them or through infesting western ships was on an increasing trend. Therefore, as shown in the chapter of <Yong-kil-li-kuk-pyo-sun-ki> in 󰡔Yon-won-jik-ji󰡕, the intellectuals of Chosun could be informed on the western countries and understand them through western merchant ships which were drifting ashore. The chapter of <Ak-ra-sa-kwan-ki(鄂羅斯館記)> and the chapter of <Yong- kil-li-kuk-pyo-sun-ki> in Straight to China on the coach 󰡔Yon-won-jik-ji󰡕are the records about Russia and Britain. This has a significant meaning that it is the unique record about the western countries which are not appeared in general interchange relation of Chosun. As in 󰡔Yon-won-jik-ji󰡕, Kim's recordings suggest that the situation at that period was enough to make a passage to the West for the political, commercial, cultural, and social relationship only if Chosun had the will to contact with them. But Chosun tried to quarantine the contact with the West by the political reason, religious refusal of the Catholic, and racial prejudice on the westerners. In spite of this effort, some intellectuals in Chosun were awaken to new countries out of the China-centered world view by the experience of visiting China or by contacting directly with westerners and western merchant ships. As a conclusion, Kim's 󰡔Yon-won-jik-ji󰡕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us the contact with western powers and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them all around in the early 19th century.

      • 高校生의 欲求와 對人價値觀과의 關係分析

        권정순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youth to develop character and social adjustment and to use the result of this study as a basic data for the social life guidance at the shcools. Concrete study problem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need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sex? 2. What are the interpersonal value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s and the interpersonal values? To solve these problems, high school sophomores in the Pusan area were tested with a survey of needs diagnosis and a survey of interpersonal values. Among them 373 were selected. The instruments were "The standard Need Test" by Hwang Jung Gyu and "The standard Interpersonal Values Test" by Hwang Eung Yun and Lee Kyung Hye. The statistical methods for analyzing these study problems were t-Test and product-moment coefficient of correlation r with a statistics computer program package, the SPSS/PC+.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 At the highschool female students have higher needs for achievement, dominance, exhibitionism, autonomy, aggression than male students. 2. Female students have higher interpersonal values of recognition, independence, leadership than male students. 3. Male students have higher interpersonal values of benevolence than female students. 4. The needs and the interpersonal values of the highschool students are somewhat related. 5. Some of the needs of the highschool students have low contra-relationship with the interpersonal values according to the subordinate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