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이 지각한 양육태도와 정서표현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권정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양육태도와 정서표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K고등학교 재학 중인 남 ․ 여 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지각된 양육태도 질문지, 정서표현 질문지, 거부민감성 질문지를 사용하여 각 변인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서표현의 경우 여학생이 부정적, 긍정적 표현에 있어서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양육태도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거부민감성의 거부우울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 자율적, 성취 비 압력적으로 지각할 때 자녀의 친밀감표현, 부정적 정서표현, 긍정적 정서표현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부모가 통제하고 거부적이며, 성취압력이 높다고 지각하였을 때 자녀의 거부민감성은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거부민감성이 높은 자녀는 정서표현에 있어서 친밀감 표현 부정적 정서표현의 관계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 양육태도와 정서표현의 관계에서 거부 민감성의 하위 요인 중 거부불안이 매개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통제적, 거부적, 성취 압력적이라고 지각할 때 자녀의 거부 불안이 높게 나타나고 그것이 자녀의 정서표현에 있어서 친밀감 표현과 긍정적 정서표현, 부정적 정서표현에 있어서 유의미한 낮게 나타났다.

      • 미국 내 한인 한글학교의 국악 교육 활성화 방안

        권정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We are living in an age of multiculturalism, where it is easy to learn about many different cultures from around the world due to the advancemen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is age of multiculturalism, we are trying to globalize elements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such as the alphabet and Korean food and are trying to globalize Korean classical music in various ways. In this study, I tried to find possible ways to globalize Korean classical music in the Korean church-affiliated Hangul schools. When Christianity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the indiscriminate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s lead to the exclusion of traditional music. Traditional Korean culture became unpopular in the race of cultural toadyism and cultural colonialism. However, we are taking considerable pain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our traditional classical music through further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To reach this goal, I searched for the ways to help Korean grade-schoolers better understand our traditional music. Because most of them learn the Hangul from the Korean church-affiliated schools, I wanted to know whether traditional musical education could go side by side with training of Hangul.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of 69 Korean church-affiliated schools in 19 states of USA. The possibility of learning Korean and Western instruments was investigated by the survey of 214 Korean parents living in the state of Tennessee. The results of this survey showed that most schools can't give a decent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children due to the lack of teachers and understanding. However, I also found that if there is increasing support for them, the possibility of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nstruments to Korean children living in America will be increased. Through various support program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ssociation, we should help to instil an ethnic identity in these children and also establish pride in the Korean community. I believe that it could be nourishing to make the next generation feel more comfortabl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정보통신 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우리는 쉽게 다양한 나라의 문화를 접할 수 있는 다문화주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주의 시대와 더불어 우리의 전통문화인 한글과 한식의 세계화가 시도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고유의 전통음악인 국악의 세계화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인교회의 부설로 행해지는 한글학교를 통한 국악의 세계화의 가능 방안을 알아보았다. 기독교가 처음에 우리나라에 전해지면서, 서양음악의 무분별한 도입으로 인해 전통음악이 소외되었다. 또한 책임감 없는 문화 사대주의와 문화 식민주의 사상에 의해서 우리의 것을 아는 것이 오히려 부끄러운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많은 자각과 많은 반성을 통해 현재 우리는 우리의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자는 한인 초등학생들에게 국악에 대한 이해를 높일 방법을 알아보았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교회부설 한글학교에서 한글을 배우는 까닭에, 한글교육과 더불어 전통음악 교육의 병행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69개의 한글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행하였고, 214명의 한인 부모들에게 개별 조사를 통해 그들이 방과 후 학습으로 서양 악기뿐만 아니라 국악기도 배울 가능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많은 학교에서 국악 선생과 이해의 부족으로 학생들에게 제대로 된 교육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국악기에 대한 교육 및 국악에 대한 학습의 가능성 또한 꾸준한 지원을 통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국악협회의 다양한 지원을 통함으로써, 자라나는 그들에게 민족 정체성뿐만 아니라 한민족 공동체로서의 자부심 또한 고취시켜야 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그들의 후세대에 좀 더 국악에 대해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자양분이 되도록 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 Chlorhexidine 처리가 탈회 상아질에 미치는 영향

        권정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lorhexidine(CHX) in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application time on the demineralized dentin by means of measurement of CHX binding amount and elastic modulus combined with SEM analysis. Dentin beams(2mm??7mm??0.9mm) were obtained from the mid-coronal dentin of extracted noncarious human third molars. Dentin beams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 and 6 experimental groups(N=10)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and the application time of CHX. After demineralizing dentin beams in formic acid, baseline modulus of elasticity(E) of each beam was measured by three-point bending test. Dentin beams were pretreated with 0.02%, 0.2%, 2% CHX(experimental) or without CHX(control) for 1 min or 30 min and the media was analyzed for CHX binding amount by determination of absorbance. Then dentin beam were individually incubated in artificial saliva at 37?? by 6 weeks. Three-point bending test was repeatedly performed every 2 weeks and examined in FE-SEM.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ANOVA and Duncan&#985169;s multiple comparison's test at 95%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0.2% and 2%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HX binding amount than 0.02% group(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1 min and 30 min application time in all groups(p>0.05). 2. The elastic modulus of control group showed a progressive decrease over incubation time and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2 weeks incubation compared with baseline data(p<0.05). 3. In all of the experimental groups, E valu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4, 6 weeks of incubation than after 2 weeks of incubation(p<0.05) except 0.02%-1 group(p>0.05). 4.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X binding amount and elastic modulus after 2, 4, 6 weeks of incubation. 5. Mineral deposition in to the collagen matrix was examined and Ca/P ratio was increased as CHX concentration increased. Within limited results, pretreatment with CHX inhibited a decrease of elastic modulus in demineralized dentin over time, which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CHX binding amount.

      • 아로마 손 마사지가 노인의 스트레스와 수면, 우울에 미치는 효과

        권정미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노인의 삶의 특징을 단적으로 정의할 수 없으나, 극적으로 우울해지거나 행복해질 수 있는, 쉽게 이해할 수 없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최근들어 급격하게 늘고 있는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한 적절한 대책이 시급하며 이미 적용되고 있는 노인건강을 위한 증진법이나 대책 등에 대한 재점검과 실용성에 대한 연구또한 절실한 실정이다.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다발하고 있는 노인치매와 자살은 이미 심각한 수준이다. 치매 환자수만 해도 2010년엔 약 47만명에서, 2050년까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노인 자살의 경우 지난 2009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사망 원인 통계 4대 원인으로 자살이 뽑혔으며, 노인 자살률은 10만 명당 81.8명, 75세 이상은 160명이 넘어 OECD 국가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통계청, 2010). 본 논문은 아로마 손 마사지가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수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아로마 향이 주는 독특한 특징과 그 향이 가미된 오일을 블랜딩하여 손마사지를 실시했을때 가벼운 기분전환에서부터 삶의 만족도까지를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매주 1회씩 정기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건강증진법 수업에 함께 참여하며 프로그램을 듣기 위해 수업에 참여한 노인 회원들에게 정기적인 손마사지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실시 전과 실시 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램 후 노인들의 스트레스와 수면, 우울의 변화를 파악하였고, 아로마 손 마사지 실시 후 노인에게 있는 변화를 통해 노인건강을 위한 체계적이고 발전적인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가고자 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roma hand massage on elderly stress, depression, and sleep.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hand massage with aromatic oil and the specific features due to its Please confirm that this is what you mea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changes from before to after performing the hand massage program in elderly members who attended classes on the Health Promotion Act, which were held regularly once a week. The changes in elderly stress, sleep, and depression were evaluated after the program, which was intended to develop a structured and developmental program for elderly health based on changes caused by aroma hand massag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hypothesis that aroma hand massage can improve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in the elderly and positively affect their sleep and depression was established prior to the experiment. A pre-investigation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conducted prior to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once a week from September 1, 2015, to the first week of November, for a total of 8 times for 8 weeks.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aroma hand massage, lavender, bergamot, and peppermint oils in the ratio of 3:2:3 drops were diluted with 30-cc almond oil and used for massaging each hand for 5–7 minutes. The validity of 15 questions about the psychological aspect of stress was .926 before and .942 after the experiment. Moreover, the validity of the 15 questions about the physical aspect of stress was .912 before and .938 after the experiment. For sleep, it was .887 before and .914 after the experiment. Finally, for the 30 questions about the depression level, the validity was .807 before and .863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n stress, sleep, and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rom before to after the hand massage program with aromatic oil are as follows: psychological stress, F = 38.922, p = 0.000; physical stress, F = 81.912, p = 0.000; sleep score, F = 32.142, p = 0.000; and depression score, F = 13.174, p = 0.001. All changes were positive and significant. In conclusion, I found that aroma hand massag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sleep,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ho were residing in an elderly welfare facility.

      • Neill의 아동교육사상과 그 교육적 의의

        권정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니일의 교육사상은 현대교육의 고질적인 병폐를 발견하고 극복하는 데 있어서 시사하는 바를 간과할 수는 없다. 자유와 행복을 교육의 제도 안에 가져와 최고의 목표로 의미를 부여하고 아동에 대한 가치를 달리하여 교육을 바라본 점은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에 대한 새로운 모티브로 작용하였다. 그 결과 니일만의 교육담론이 재구성되었고 다양성과 융통성확보가 오늘날 교육의 논의의 초점이 된 것을 고려할 때 니일의 교육에 대한 새로운 도전과 실험은 우리 교육에 또 다른 성찰과 대안을 제시해 줄 것이다.

      • Magnetic Field Structure in the Star Forming Cloud L1641

        권정미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We present deep and wide-field near-IR imaging polarimetry toward the HH 1-2 region in the L1641 molecular cloud. We obtained data using the JHK_(s)-simultaneous imaging polarimeter SIRPOL on the Infrared Survey Facility 1.4 m telescope at the South African Astronomical Observatory. We performed aperture polarimetry for the point-like sources in order to measure their integrated polarization. We detected 79 point-like sources in the J, H, and K_(s) bands. We found that most of the near-IR polarizations seems dichroic origin, indicating that they trace the direction of projected magnetic fields in this region. The average position angle of the projected magnetic fields is found to be about 110° in all three bands. We also suggest that the magnetic field strength in L1641 is about 100 μG, based on the modified Chandrasekhar-Fermi formula.

      • 현실요법을 적용한 자율성 과제 제시가 초등학생의 자율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권정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자율성 과제 제시가 초등학생의 자율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김순업(2005)이 개발한 좋은 계획 확인지와 자기 실천 평가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J초등학교 1개 학급 30명 중 무선표집하여 15명은 실험집단, 나머지 15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2008년 8월 25일부터 2008년 9월 21일까지 시행되었으며, 매주 월요일 특별활동 시간에 자율성 과제 수행의 중요성에 대해 전 학생들에게 교육을 한 후 비교집단의 학생들은 스스로 과제를 정하고 실천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의 학생은 좋은 계획 확인지의 ‘간단한가, 할 수 있는 일인가, 확인할 수 있는가, 금방 할 수 있는가, 매일 할 수 있는가’의 5가지의 확인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좋은 과제를 스스로 정하고, 상담을 통해 과제를 확정한 후 실천의지를 높이는 사인을 하였다. 과제의 주제는 자율성의 하위변인인 자주적인 의사결정, 주장적인 자기표현, 자조적인 행동이행, 성찰적인 자기평가의 4부분이며, 첫 주에 정해진 과제는 4주, 두 번째 주에 정해진 과제는 3주, 세 번째 주에 정해진 과제는 2주, 마지막 과제는 일주일을 수행하였다. 매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자기 실천 평가지에 과제 수행 여부를 기록하였다. 본 연구에서 현실요법을 적용한 자율성 과제 제시가 초등학생의 자율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의 시기에 따른 평균의 변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 자신이 느끼는 자율성 증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현실요법을 적용한 자율성 과제 제시를 사용한 실험집단의 자율성이 자주적인 의사결정, 주장적인 자기표현, 자조적인 행동이행, 성찰적인 자기평가, 전체 등 모든 영역에서 증진되었으며, 자율성 증진 자기평가에서는 주장적인 자기표현, 자조적인 행동이행, 성찰적인 자기평가 등에서 실험집단의 평균값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현실요법을 적용한 자율성 과제 제시는 초등학생의 자주적인 의사결정, 주장적인 자기표현, 자조적인 행동이행, 성찰적인 자기평가 등을 하위영역으로 하는 자율성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whether reality therapy based assignments for autonomy have a significant effect upon the incre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onom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tilized the quality plan check forms and the self-evaluation forms which were developed by Kim(2005).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irty students of a class in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Fifteen of them were randomly assign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fifteen in the comparison group. This assignment providing plan was carried out from August 25th to September 21st in 2008. All the students were educated of the importance of accomplishing the assignments in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class on every Monday. The students in the comparison group self-determined their assignments and checked whether they accomplished them or not.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elected proper assignments by themselves, determined those through counseling, and signed to increase their wills of practice, on the basis of five check points such as 'Simple', 'Attainable' 'Measurable', 'Immediate', and 'Consistent' in the quality plan check forms. The subjects of assignments included four areas such as independent decision making which is a sub-variable of self-determination, assertive self-expression, self-reliant performance, and reflective self-evaluation. The assignments decided in the first week were carried out for four weeks, ones in the second week for three weeks, ones in the third week for two weeks, and ones in the fourth week for one week. Everyday,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recorded in self-evaluation forms whether they accomplished their assignments or not.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find out whether reality therapy based assignments have effects upon the incre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onomy.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increase of autonom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n overall increase of autonomy in all four areas of independent decision making, assertive self-expression, self-reliant performance, and reflective self-evaluation. As for autonomy improvement self-evaluation, the average valu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increases in assertive self-expression, self-reliant performance, and reflective self-evaluation. In conclusion, such result indicates that reality therapy applied assignments are effective to increase autonom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