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악 전치 치근 형태와 교정적 치근단 외흡수의 상관관계

        권영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상악 전치 치근 형태와 교정적 치근단 외흡수와의 관계 서론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근 형태에 따른 분류의 객관적인 기준을 설정하고 콘빔 컴퓨터 단층 촬영(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과 치근단 방사선 사진(Periapical radiograpy, PA)을 이용하여 치근의 형태와 치근단 외흡수(External Apical Root Resorption, EARR)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재료와 방법 : 1년 이상 고정성 교정 장치로 교정 치료를 받은 25명(남자: 11명, 여자: 14명, 평균 나이: 23.2±4.7세)의 치료 전과 후 CBCT와 PA를 이용하여 치근의 형태와 EARR를 평가하였다. 모든 측정은 각 치아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행되었고 치근의 형태는 5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normal, blunt, short, dilacerated, pipette). 검사-재검사 신뢰도 평가를 위해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를 시행하였다. CBCT와 PA의 유의차 평가를 위해 모든 변수들에 대해 통계적으로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고 치근의 형태에 따른 EARR의 차이를 보기 위해 ANOVA를 시행하였다. 결과 : CBCT에서 EARR(1.0 ± 0.6mm)은 PA에서 EARR(1.9 ± 0.8mm)보다 작았다. CBCT에서 Dilacerated 치근(1.5 ± 0.5mm)에서 EARR이 가장 컸고, Blunt 치근(0.6 ± 0.3mm)과 Short 치근(0.6 ± 0.3mm)(p < 0.001)에서 가장 작았다. PA에서도 Dilacerated 치근(2.2 ± 0.7mm)에서 EARR이 가장 컸고, Short 치근(1.0 ± 0.8mm)(p = 0.004)에서 가장 작았다. 결론 : CBCT와 PA로 EARR을 측정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는 1mm 미만으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치근의 형태에 따라 EARR의 차이가 있었다. Dilacerated 치근에서 EARR이 가장 컸고, Blunt 치근과 Short 치근에서 가장 작았다. 그리고 치근이 길고 휜 경우와 치근단이 가늘 때 EARR이 크게 나타났다.

      • 수준별 영어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만족도 조사

        권영은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 수준별 영어수업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준별 영어수업에 관한 운영, 내용, 효과의 측면에서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와 더불어 수준별 영어수업을 담당하는 영어교사들이 느끼는 문제점 및 고충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수준별 영어수업의 개선사항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수준별 영어수업의 운영에 있어서 B 중학교는 영어 교과 교실제를 구축하여 1, 2, 3학년 전 학급을 대상으로 영어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교과서 내용을 상, 중, 하 수준별로 재구성하여 2+1 형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고 있었다. 수준별 영어수업에 관한 학생들의 만족 정도를 보면 수준별 영어수업의 운영과 내용은 보통정도, 효과는 낮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학년, 학력수준에 따라 만족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과반 수 이상의 학생들이 수준별 영어수업의 필요성에 대하여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었으며, 그 원인으로는 ‘자신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가 가장 높은 응답빈도를 보인 것과 관련지어 볼 수 있었다. 한편, 교사들은 수준별 영어수업의 필요성에 대하여 찬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준별 영어수업을 위한 자료준비, 수준별 평가모형 개발 등 과중한 업무 등으로 인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수준별 영어수업이 실시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수준별 수업의 양적팽창에 앞서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수준별 영어수업에 관한 재점검 기회를 갖도록 한다. 둘째, 다양한 변인에 따른 학습자 요구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그 결과를 수준별 영어수업에 반영하여 수준별 수업의 목적성에 맞는 맞춤형 수업을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충분한 교사 수를 확보하고 수준별 평가문항 모형을 교사들에게 제공하는 등 교육현장의 여건조성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is being operated in public middle schools in the Changwon City School System. This study surveyed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in the aspects of operation, its contents, and the effects of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obstacles facing teachers in implementing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 middle school was carrying out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curriculum targeting entire classes in the 1st, 2nd, and 3rd grades by establishing an English-curriculum classroom system and giving the students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the form of 2+1 through reformatting and reorganizi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into high, middle, and low levels. Second, the students exhibited moderate levels of satisfaction about the operation and had low satisfaction levels regarding the effects of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e students' satisfaction about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differed depending on gender, school year,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engaged in this survey felt that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was not necessary. This dissatisfaction was caused by their feeling that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did not fall in line with their English level. Third, the teachers responded that it was difficult to conduct effective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due to the excessive tasks they already bear responsibility for, such as the prepar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evaluation models for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conduct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effectively, a survey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is needed regularly. In addition,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should be done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s that all students within a classroom can learn more effectively when done with instruction appropriate to their levels. Finally, the educational administrators should offer teachers the evaluation models to conduct effective English Differentiated Instruction at schools.

      • 초현실주의와 그 영향을 받은 한국 미술가들에 대한 연구

        권영은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20세기 초 일체의 기존 예술 형식을 부정하는 반 예술, 반이성주의 운동인 다다이즘이 유럽을 중심으로 태동했다. 하지만 구체적 실천력이 부족했던 다다이즘은 곧 한계에 이르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근거한 인간의 무의식 세계, 불가사의한 세계, 환상을 표현 대상으로 삼는 초현실주의가 뒤를 이어 등장했다. 유럽에서 시작된 초현실주의는 빠르게 전 세계로 확산되어 나갔다. 미국과 일본은 전시회와 그룹 활동을 통해 체계적으로 초현실주의를 수용하고 발전시킨 반면, 한국은 그 무렵 일제강점기라고 하는 외세 침략 시기를 겪으면서 외부 세계와의 교류나 창작활동에는 많은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다른 미술 사조도 그렇지만 특히 초현실주의는 여타 미술양식에 비해 극히 부분적으로만 수용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대표 초현실주의 화가에 대한 자료조사, 인터뷰 및 작품분석을 통해 작가의 성장배경, 내면의 세계를 끌어내는 방법, 표현적 특성을 연구하여 한국 초현실주의의 발전역사와 특징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신영헌을 필두로 본격 시작된 한국 초현실주의는 초기 사조의 요소를 충실하게 따르고 있었으나 기존 화풍과의 큰 괴리로 인해 지속발전하지 못했다. 이후 등장한 화가들은 초현실주의 표현방법만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작가 내면의 무의식을 끌어내는 과정을 스스로 체득하고 여타 사조들과의 조화와 융합을 이뤄 전개되었다. 이석주는 극사실적인 표현방법으로 인간의 내면세계와 존재의 신비를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초현실주의와 맥을 같이한다. 신제남은 데페이즈망 표현으로 역사적 반성과 현대사회의 문제에 대한 문명 비판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이일호는 삶과 사랑이라는 인간의 감출 수 없는 무의식 세계를 표현대상으로 삼고 있다. 판화작가인 김영진은 무의식 세계를 외부로 끌어내는 방법을 체득하여 초현실주의 원리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 초현실주의 미술은 단순히 서구의 표현방법만을 그대로 따르기 보다는 작가 자신의 내면세계를 어떻게 끌어낼 것인지를 고민한 결과를 작품에 반영했다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주로 극사실적 표현, 데페이즈망, 편집광적 비평방법 등을 표현방법으로 사용하며, 비교적 대중과 호흡 가능한 일상의 소재나 역사적 고찰 등을 이중적으로 활용하여 조화와 융합을 중시했다는 점이다. 특히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가 태동하던 시대적 배경과 유사한 한국 근현대사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격동적인 역사적 사건들을 겪으며 작가를 포함한 대중에게 트라우마를 남겼을 것으로 본다. 이 트라우마의 표현과 치료가 예술로 승화되었다는 점이 한국 미술사에 초현실주의를 낳게 된 배경이자 대중과의 공감의 정도를 깊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한국의 현대미술은 주체적으로 수용되었지만 대부분 외래 사조의 영향을 받아 전개되었다. 초현실주의처럼 심원한 우주적 이념을 주창하며 자생한 미술운동으로는 ‘범생명적 초월주의(汎生命的 超越主義)’가 유일하다. 현대의 비인간화현상, 물화(物化)현상을 비판하면서 범우주적 생명의 자각을 주장하고 생명가치회복을 목표로 1990년에 일어난 한국의 독자적 미술사조이다. 초현실주의와 연계하여 앞으로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연구할만한 중요한 사조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초현실주의 미술의 체계적 연구의 출발점이라는 데 의의를 두며, 특히 한국적 특징을 밝힘으로써 한국미술사에서 초현실주의의 존재와 의미를 확인하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Dadaism, an early 20th century anti-art, anti-rationalism movement that repudiated existing art forms, had its origins in Europe. As the limitations of its lack of concrete practicability became apparent, it was soon followed by the emergence of surrealism, with focused on expressing the fantastic: mysterious worlds and the realm of the human unconscious, based in the ideas of Freudian psychoanalysis. Having begun in Europe, surrealism spread rapidly throughout the rest of the world. While artists in the U.S. and Japan were systematically adopting and expanding upon its approach, the South Korea of the time was an environment of serious constraints on creative activity and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due to the Japanese occupation. Adoption of art trends was generally extremely limited, but especially so in the case of surre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surrealism's development in Korea by examining information about prominent practitioners, interview and artwork analysis data that track their growth process, and the method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by which they evoked the inner world. Korean surrealists, beginning with Sin Yeong-heon, stayed relative faithful to the unfolding trends of thought in the early period, but the gulf with established art forms rendered this unsustainable. The artists who emerged later did not merely adopt the expressive methods of surrealism, but learned their own processes for drawing out the artist's unconscious and attempted harmonies and fusion with other trends at the time. Lee Seok-ju fit with the surrealist trend in using hyperrealistic techniques to render the inner human world and the mysteries of existence. Sin Je-nam applied the method of dépaysement to present a culturally critical message on historical reflection and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Lee Il-ho focused on questions of the unconscious and unconcealable human worlds of life and love. Working in the medium of engraving, Kim Yeong-jin mastered techniques for drawing out the unconscious world in a manner faithful to surrealist principles. One characteristic identified through this analysis was the attempt by Korean surrealist art to faithfully reflect the artist's own internal world in the artwork, rather than simply emulating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the West. Artists chiefly made use of techniques such as dépaysement and the paranoiac-critical method, while emphasizing harmony and fusion through the dual use of relatively accessible, everyday subject matter and historical reflection. While the period overlapped with the origins of Dadaism and surrealism, th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experience appears to have inflicted trauma on the artists, and the public in general, who experienced numerous historical upheavals ove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Sublimation of the expression and healing of this trauma through art was both a factor in the emergence of surrealism in Korean art and a profound contributor to its characteristic empathy with the public. As examined above, Korean contemporary art has been subjectively adopted, yet chiefly in ways that have been influenced by external trends of thought. The only indigenous and independent art movement espousing profound cosmic ideas along the lines of surrealism has been panvital transcendentalism(cho yeol ju eui). This independent trend in Korean artistic thought arose in the 1990s as a criticism against the dehumanization and materialism of contemporary society, calling instead for awareness of “pan-universal life”and seeking to restore “vital values.” As a part of contemporary Korean art history, it may be considered a worthy subject for future research in connection with surrealis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both as a starting point for more systematic research into Korean surrealist art, as well as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presence and meaning of surrealism in Korean art history by identifying its most characteristically "Korean" elements.

      • 다문화가족을 위한 금융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권영은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2014년 한국의 전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에서 다문화가족이 다른 구성원보다 금융이해력 크게 떨어진다고 나타났다. 금융이해력이 낮게 나타났다는 것은 경제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금융사기에도 노출될 우려가 있으며, 향후 미래에 대한 준비도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다문화가족에게 금융이해력 및 금융포용을 높이기 위한 금융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구성원에 비해 금융이해력이 부족할 수 있는 다문화가족을 위한 금융교육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다문화가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금융 시장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금융지식에 대한 접근 및 지식이 미흡하여 사회에 부적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생활 수준이 낮은 소외계층에 머물러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원인은 사회경제적인 측면 및 국가의 발전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다문화가족의 금융지식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기 위한 금융교육이 시급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금융교육 프로그램과 이민선진국에서 이민자를 위한 관련 지원기관, 은행에서 실시하고 있는 금융교육을 파악하고, 이민자를 위한 금융교육 운영과 교육 관련 내용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금융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한국의 금융교육 관련 지원기관 프로그램을 조사함으로써 한국에서 시행되는 다문화가족을 위한 금융교육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민선진국의 금융교육과 비교하여 한국이 지향해야 할 금융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생활시설장애인의 성 문제 실태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권영은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55

        시설에서 생활하는 장애인의 경우 집단생활을 하는 특성상 이들의 성적 욕구의 표출을 제한하는 분위기에 있을 우려가 높으며, 이들의 성에 대한 시설의 부적절한 대응은 왜곡된 성의식과 성적 재제를 야기 시키기가 쉽다. 특히 이들이 청소년기를 지나 성인이 되면서 자아개념과 성의식 형성의 부족 또는 손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성적 욕구의 부적절한 해소로 인한 성문제가 심각하며 이들의 성적 욕구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부재하여 문제발생과 방치의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현재 시설에서 생활하는 장애인에 대한 성문제 실태조사를 통하여 장애인의 성적행동 특성을 파악하고 성문제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생활시설 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시설에서 근무하는 생활교사 4인을 대상으로 예비조사 면접을 한 후, 실제 시설에 거주하는 뇌병변장애인 1인, 정신지체장애인 7인, 뇌성마비장애인 2인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면접을 하였다. 생활장애인의 성의식, 성지식, 성생활, 성교육 정도, 성폭력 경험의 5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질문을 하였다. 조사결과, 성의식에 있어서는 순결의식이 높았으며, 성지식에서는 정신지체장애인보다 뇌성마비장애인이 다양한 성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성생활에서는 이성과의 만남, 성관계를 통한 성생활 등이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교육 정도에 있어서는 모두 성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으며, 성폭행 경험에서는 성폭력 상황에 빈번히 그리고 쉽게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시설장애인의 성문제에 대한 대처방안으로는 전문적 성교육을 위한 전문가 양성, 성교육 지침서 및 프로그램 개발, 생활시설장애인의 성에 대한 사회인식의 개선 등이 있었다. In the case of the handicapped living at facilities, they are highly placed in a restricted mood to express their sexual desire, and their facilities' improper countermeasure to their sexual problem is likely to cause distorted sexual consciousness, and sanction. In particular, as they grow up through youth to adult, they seriously bring about sexual problem due to inappropriate relief by lack or loss of self-concept, sex-conscious formation, and the absence of an active countermeasure to their sexual desire causes problems and invites a vicious cycle on and on. Thus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exual problem of the handicapped living at facilities, grasping their sexu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alyzing the status of sexual problem, and presenting basic data for policy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handicapped living in life facilities. This study conducted sampled the four life teachers working for facilities, had interviews with them, sampled one cerebrally handicapped, seven mentally handicapped, two cerebrally palsied, and had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And it asked five question items such as the life handicapped sexual consciousness, knowledge, life, education degree, violence experience.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in sexual consciousness, chastity consciousness was high, and in sexual knowledge, the cerebrally palsied had more various knowledge than the mentally retarded, and in sexual life, the sexual life through meeting with opposite sex, and sexual relation was not inactive. And in the degree of sexual education, they experienced taking sexual education, and in sexual violence experience, they are frequently and easily exposed to it. And the countermeasures to sexual problems of the life facilities handicapped were experts' training for professional sexual education, development of sexual education guideline and program, and improvement of social recognition on the life facility handicapped.

      • Studies on the biological function of CHFR Ub-ligase in regulating cell proliferation

        권영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1855

        CHFR, a checkpoint with FHA and RING finger domain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ll cycle progression and tumor suppression. CHFR ubiquitin ligase acts as a checkpoint upon DNA damage and its functional inactivation is one of key characteristics of tumor development and metastasis. Despite the crucial role in maintaining genome integrity and cell cycle progression, the details underlying its roles and regulation are unclear. To elucidate the regulatory mechanisms and functions of CHFR further, I investigated the novel factors which control CHFRactivitiesand new target substrates of CHFR.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CHFR iscovalently modified by SUMO-1 at lysine 663 and subsequently destabilized. SUMOylation mutants of CHFR do not alter its subcellular localization. Instead, CHFR localization is dependent on nuclear localization signal sequences. SUMOylation of CHFR promotes its ubiquitination followed by proteasomal degradation, but not affects the intrinsic ubiquitin ligase activity. This CHFR SUMOylation is reversed by SENP2 deSUMOylating enzyme, resulting in elevated CHFR protein levels. Moreover, SUMOylation-defective CHFRK663R-stable cells exhibit substantial growth suppression. Collectively,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HFR SUMOylation-coupled ubiquitination as a new regulatory mechanism of CHFR and highlights the emerging role of SUMOylation in regulating protein stability and function. In the second chapter, I described that both SIRT1 and p53 are novel target substrates for CHFR ubiquitin ligase. CHFR binds, ubiquitinates and destabilizes SIRT1, suggesting that CHFR affects the activity of p53. However, it was found that p53 can be regulated by CHFR in a SIRT1-independent manner. CHFR directly associates with and stabilizes p53 by suppressing Mdm2-mediated destabilization. Overexpression of CHFR drastically increases p53-targeted gene expression. Interestingly, ubiquitin ligaseactivity of CHFR is required for p53 stabilization and in vitroassay showed that CHFR mediates Lys63-linked polyubiquitin chainsof p53. Importantly, I found that CHFR induces p53-dependent apoptosis with p53 protein stabilization upon lethal DNA damage. In addition, depletion of CHFRin A549 cells prevents p53 stabilization in response to damage, leading to reduced cell death. Together, these results reveal a novel mechanism for explaining the tumor suppressor function of CHFR in controlling p53 stability and cell death upon cellular damage.

      • 호접란 ‘KS Little Gem’의 유전체 분석을 통한 품종구분 분자표지 개발

        권영은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개화 기간이 긴 Phalaenopsis ‘KS Little Gem’의 전사체 및 유전체를 조립, 분석하고 품종구분과 보호를 위한 엽록체 유전자 및 conserved ortholog set (COS) 기반 분자표지를 개발하였다. 조립된 전사체는 총 길이 82.3 Mb로 unigene 101,975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중 71,327개의 주석을 결정하였다. 엽록체 유전체는 총 길이 148,918 bp로써 유전자 104개를 포함하고 있었다. 핵 유전체는 총 길이 3.0 Gb로 조립되었으며 이는 예측한 크기(4.5 Gb)의 66.4%에 해당한다. 핵 유전체에 암호화된 유전자는 49,482개로 예측되었으며 이 중 주석이 결정된 유전자는 39,104였다. 조립한 전사체, 엽록체 유전체, 핵 유전체를 사용하여 호접란 품종구분 분자표지를 개발하였다. P. ‘KS Little Gem’ 구분 분자표지는 2가지 방식으로 개발하였다. 첫 번째 종류는 엽록체 유전자 rpl16의 인트론으로부터 개발되었으며, 그 크기는 251 bp였고, 다른 난초과 식물 사이에서 다양한 크기의 다형성이 나타났다. 두 번째 종류는 단자엽 식물의 COS 유전자의 인트론으로부터 개발하였다. 먼저 벼(Oryza sativa)와 바나나(Musa acuminata), 그리고 P. equestris 유전체의 단백질 서열을 사용하여 보존된 단자엽 COS 유전자 672개를 찾고, 이 유전자들의 P. equestris nucleotide 서열과 암호화 서열을 P. ‘KS Little Gem’의 unigene 서열과 비교분석하여 최종적으로 3개의 COS 분자표지를 선발하였다. 3개의 COS 분자표지가 표적 하는 유전자의 P. equestris 서열을 사용해 Blast2GO 분석을 수행한 결과 COS001은 rRNA 소단위체를 메틸화하는 효소를 생산하는 유전자로 예측되었고, COS002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단백질을 생산하는 유전자로 세포막으로 둘러싸인 소포에서 phosphatidylinositol을 생산하거나 광주기성 또는 개화에 관련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COS003은 DNA repair helicase xpb1 enzyme을 생산하는 유전자로 예측되었다. 분자표지의 평가는 P. ‘KS Little Gem’을 포함한 호접란 19종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COS001은 P. ‘KS Little Gem’에서 387 bp와 520 bp 두 가지 크기로 예측되었으며 PCR 결과 두 밴드 모두가 증폭되었으나 다른 종에서는 두 밴드 중 한 밴드만 증폭되었다. COS002는 P. ‘KS Little Gem’에서 200 bp와, 224 bp 크기로 예측되었고 PCR 결과 두 밴드 모두 증폭되었으며 다른 종에서는 두 밴드 중 한 밴드만 증폭되었다. COS003은 P. ‘KS Little Gem’에서 525 bp와, 621 bp, 675 bp 크기로 예측되었으나 PCR 결과 621 bp와 675 bp 크기의 밴드만 증폭되었고 다른 종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밴드가 증폭되었다. 따라서 엽록체 분자표지 1종과 COS 분자표지 3종을 조합하면 P. ‘KS Little Gem’을 다른 종의 Phalaenopsis 사이에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양한 Phalaenopsis 속 및 종간 잡종 품종구분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자표지 개발 전략은 유전체 조립이 염색체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scaffold 수준으로 완성되어있는 종 사이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Gene-based markers are useful tools for genetic background survey and comparative genome analysis due to their easy application across closely-related species. We developed gene-based DNA markers for Phalaenopsis ‘KS Little Gem’, a new Phalaenopsis variety with excellent ornamental traits, based on a genome-wide comparison of chloroplast and nuclear sequences with those of orchids as well as monocot species, including rice and banana, to establish a molecular basis for species identification. Sequence comparisons of the chloroplast DNA of P. ‘KS Little Gem’ with those of P. aphrodite and P. equestris identified six variable genic regions of the chloroplast genome in which an intron of rpl16 was the most polymorphic between relative orchid species. To develop conserved ortholog set (COS) markers, we compared transcriptome unigenes of P. ‘KS Little Gem’ with P. equestris, rice, and banana genomes and identified 582 Phalaenopsis COS candidates with at least two exons. PCR application with primer sets targeting six variable regions in the chloroplast genome and introns of 45 randomly selected COS candidate genes showed 92-98% amplification in three Phalaenopsis species. Among the candidate genes, we developed rpl16 and three COS genes as diagnostic cross-species markers for P. ‘KS Little Gem’ and diverse related orchids. The gene-based molecular markers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species identification in protecting variety right, breeding, and genetic studies of Phalaenopsis orchids.

      • 7-10단계까지의 대수영역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 방정식.부등식 영역을 중심으로(CENTERED ON THE EQUATION AND INEQUALITY PART)

        권영은 대구가톨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Articulation is that the process which connects some components of education system including course of study together horizontally or vertically for efficient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the student through the education system. Hence, the research of articulation is very important in the side of mathematics especially. Accordingly the object of the essay encourages to prevents the student from learning loss in the mathematics which has many ranks by analyzing vertical connection grades in the equation and the inequality. I introduced the meaning of articulation for accomplishing above object and studied the articulation of the equation and the inequality according to the analysing tools - repetition, developme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vertical development of equation showed in good accomplishment by achieving maintenance of continuity and sequence, integration. But, because there is the case of non-unification some element of study structure by an omission of some factor happened in the learning rank, it is important that the proposition of way of how to reduce such a phenomenon in the national dimension.

      • 大豆와 綠豆의 發芽과정에 있어서 無機物 含量變化에 관한 硏究

        권영은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1855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legumes are good source of dietary proteins and lipids. However, legume seeds contain myo-inositol hexa phosphate that forms insoluble complexes with di-, and trivalent minerals making them unavailable to the animals. Since phytase is closely associated with phytic acid in legume seeds, it could lower phytic acid content during germination. The decrease in phytate content by increased phytase activity may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various mineral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rmination on the changes in nitrogen, phytate phosphorus, inorganic phosphorus, and other mineral contents in soybean (Glycine max) and mungbean (Phaseolus radiatus) seeds. Dry beans were soaked in tap water at 25-26℃ for 24 hr, and they were germinated under dark condition at 21-22℃ for 8 days. The bean sprouts were sampled everyday and were dehydrated, mashed, and determined mineral conte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otal nitrogen content of beans was increased gradually during the period of germination. 2. Phytate phosphorus content in bean sprouts was decreased while inorganic phosphoru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prouts imply that the activity of enzymes, particularly phytase, increased during germination and it has accelerated the rates of phytic acid hydrolysis in beans. Due to the decrease of phytate phosphorus and increase of inorganic phosphorus in the bean sprouts, the biological availability of phosphorus will be higher in sprout stage as compare with dry beans. 3. The soluble minerals in bean sprouts were higher than that of dry beans. This may increase mineral absorption in the intestinal tract.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germination may be improved on the mineral value of b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