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사회 역기능 해소를 위한 윤리교육 방안 : 중등학교 중심으로

        권남희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는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인터넷 사용의 보편화로 인하여 우리 사회를 의사소통이 신속하고 편리한 커뮤니케이션의 장으로 변모시켜 사회 각 분야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여주면서 초고속 정보통신 1등 국가라는 신화를 이루었다. 그러나 사회가 정보화됨으로써 생겨나는 역기능적 현상은 정보통신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인간관계의 증대에서 비롯되는 인간소외와 비인간화, 인간성 상실, 외국문화의 손쉬운 유입에 따른 문화적 정체성의 위기, 개인의 권리와 사생활에 대한 위협 등이 있고, 사회전반에 걸쳐 있는 문제로 정보통신 시스템의 집중화와 대규모화에 따른 재해 가능성, 정보의 범죄이용 가능성, 음란물과 같은 불건전 정보의 유통 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사회 발달로 인한 역기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건전한 인터넷 문화를 창출해 갈 수 있는 청소년들의 정보통신윤리 의식을 함양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런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률이 급증 추세에 있는데 반하여 이로부터 받게 되는 정보사회의 역기능에 대한 윤리교육에 대해서 연구해 보고자한다. 인터넷 이용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과 특히 그 중 중등학교 학생들에게 주목하여 교육기관이 발간하는 교과서 내에 정보통신 윤리교육 관련내용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미국, 일본, 캐나다, 프랑스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에게 주는 시사점을 분석하여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 그릇된 종교의식에 의한 국내 사망사건 분석

        권남희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0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국내에서 발생했던 그릇된 종교의식과 관련된 사망사건을 분석한 것이다. 언론 보도를 통해 수집한 사건은 총 65건이었고, 경북대학교 법의학교실에서 수집한 사건은 총 15건 이었다. 이 중 대구에서 발생한 6건의 사건은 중복되는 사건이었다. 언론 보도를 통해 수집한 자료 및 경북대학교 법의학 교실의 부검자료를 함께 살펴본 결과 그릇된 종교의식과 관련된 종교는 기독교 이단이 많았고 사건발생 장소는 주로 종교 시설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주로 청장년층 연령대의 피해자가 많았다. 아동이나 청소년인 피해자도 적지 않았다. 피해자들의 대다수가 질병을 앓고 있었는데, 주로 정신질환을 앓고 있었던 경우가 많았다. 또한, 가족이 사건에 관여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많았다. 사건의 대부분은 다수의 피의자가 범행을 함께 저지른 경우가 많았고 범행 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이나 발 등을 사용하여 피해자를 폭행한 경우가 많았다. 도구를 사용한 경우는 둔기를 사용한 경우가 많았다. 법의학 교실 부검자료를 통해 살펴본 피해자의 주된 신체손상은 좌상 및 찰과상으로, 부패되거나 백골화되어 체표손상의 식별이 불가능했던 3명을 제외한 모든 피해자에게서 발견되었다. 골절이 있는 경우는 늑골 골절이 발견되었다. 좌상 및 찰과상이 주로 나타난 부위는 두부 및 안면부, 흉부, 복부, 허벅지, 팔, 손등 부위였고 이 중 사인과 관련성이 높은 손상 부위는 흉부와 복부로 나타났다. 실제 발생한 그릇된 종교의식과 관련된 사건은 언론에 보도된 사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범죄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발생률이지만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고, 기사에 보도된 내용들은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그릇된 종교의식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효율적인 예방책과 대처방안이 조속히 마련되길 바란다.

      •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포함된 대중음악 제재곡 분석 및 활용방안 연구 :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권남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포함된 대중음악 제재곡 분석 및 활용방안 연구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권 남 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지 도 교 수 오 지 향 본 논문은 대중음악이 청소년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음악교육에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대중음악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학교 음악교육에 도입된 대중음악이 어떻게 교육적으로 활용되는지 분석하고 바람직한 대중음악의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학교교육을 통한 대중음악 교육의 필요성을 이해하기 위해 학교음악의 이론적 배경을 조명해 보고 대중음악 교육의 필요성과 수업에서의 적용을 분석하였다. 중학교 음악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대중음악을 조사하기 위해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3학년 음악교과서의 출판사별, 장르별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의 종류와 지도목표, 방법을 분석하였다. 대중음악이 몇몇 장르에 편증되어 있었으나 다양하고 많은 양의 대중음악을 수록하고 있었다.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컬, 대중가요, 팝송, 영화음악, 흑인영가 등 다양한 장르의 대중음악들이 수록되어 있었고, 둘째, 가사가 쉬운 선율을 가졌다는 점에서 학생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으며, 셋째, 오랫동안 대중들의 사랑을 받아온 곡이라는 점과 넷째, 대중음악을 제재곡으로 하는 단원에서는 교육적 의미를 살리기 위해 음악적 개념 학습을 동반하고 있었다. 따라서 학교음악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대중음악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지식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교사 자신부터 편견을 버리고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켜 대중음악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게 한다면, 상업성과 퇴폐성에 찌든 대중음악은 설 자리를 잃게 될 것이며 더 나아가 바람직한 음악교육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 미술치료 수업을 통한 자아존중감 향상에 관한 연구 : 〈미술이 들려준 나의 이야기〉미술치료 수업을 중심으로

        권남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has led to enormous transition in the form of families. As the number of families where both parents work increases, along with the divorce rate; the numbers of students who have been isolated from their parents and have concentrated more on TV and computer games than their families (to the point of addiction) hasbeen increasing. It is becoming an emerging issue in present-day society. Therefore, in society, the role of fine art is to help people experience themselves and the things around them and express,in an original way, what they feel; it is about visualizing. The work of visualizing has curing functions: expressing internal emotions, getting rid of stress, or transferring negative factors into positive ones. In addition, not only can the fine art be participated in or enjoyed by anyone, but it also has educational aspects of creative development and comprehension expansion furthermore, it also ha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rt therapy puts stress on the emotional side. Through the process of art therapy, participants experience how to express hidden emotions safely and show their thoughts. It also helps its participants organize their thoughts and reduce confusion, meaning that they meet themselves. In this way, it has a crucial role in increasing one's self-worth. Erikson called the period of adolescence the identity crisis. Youngadolescents are placed under the risky and unstable state of not having self-notion, so they feel confused about theirvalues and experience a lot of emotional ups and downs.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attain satisfaction, self-realiz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in that period through art activities in order to make them have a mature self-image. Recently, the brand awareness and interest in art therapy is increasing, but it is still mainly used as a professional treatment for those who have psychological defects and forchildren with autism. Of course when art therapy is applied to patients, it can be fully used for students' emotional stability, self-development and self-discovery, but in some ways it is also important that it can bring out visible effects and showa patient’s improvement. Art therapy has these advantages and is able to provide us with an opportunity that could help youth adolescents who partake in antisocial behavior or have negative tendencies. Hence, this study will develop art classes using therapeutic functions in order to give some help in relationto the development of self-worth during the period of adolescence. I’d like to propose that art therapy is far closer to natural educationthan some might think and that it will be used during art classes. In general, the reason why it is so difficult to integrate art therapy and art education at school is due to approaching it without proper methods and philosophical understanding and also the lack of well-skilled leaders (teachers) rather than lack of recognition. The limited concept such as ‘art therapy is just a psychological treatment’ should be broken with the application of a strengthened and precise philosophical approach to it. Then, thanks to art therapy being actively used in art education and to help teachers to understand their students more deeply, it could be expected that students would feel happierand develop self-worth by themselves.

      • 대구지역의 서식처별 모기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 종류의 적절성 분석

        권남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ich traps are effective to use per habitat for mosquito monitoring in Daegu area. Three urban residential areas, three urban parks, and three cow sheds were selected in Daegu and collected using two types of traps at each place. Black light trap and BG-sentinel trap were performed 10 times from June to September. In urban residential areas, 2 species of 2 genera and 549 were collected from BL trap, and 3 species of 2 genera and 842 were collected from BG trap. The ratio of the two traps was about 0.4 and 0.6, and more mosquitoes were collected from the BG trap. In urban parks, 6 species of 5 genera and 5,615 were collected from BL trap, and 6 species of 4 genera and 8,544 were collected from BG trap. The ratio of the two traps was about 0.4 and 0.6, and more mosquitoes were collected from the BG trap. In cow sheds, 8 species in 6 genera and 9,143 were collected from BL trap, and 6 species of 5 genera and 1,235 were collected from BG trap. The ratio of the two traps was 0.9 and 0.1, and more mosquitoes were collected from the BL trap.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hree collection areas,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pecies and collection sites. The BG trap in urban residential areas and urban parks, and the BL trap in Cow sheds were statistically more efficient.

      • 2007년 개정 초등 과학 교과서의 첨단 과학 기술 내용 분석

        권남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과학교육에서 첨단 과학 기술 교육의 내용 및 서술 방식이 어떻게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는지를 알아보고 첨단 과학 기술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교과서에 제시된 첨단 과학 관련 내용은 학년별 분야별로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분석틀에 따라 분석한다. 둘째, 2007 개정 교과서에 제시된 첨단 과학 관련 내용의 서술범주와 교과서 구성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분석틀에 따라 분석한다. 셋째,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의 첨단 과학 관련 내용과 서술범주의 차이를 비교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과학과 교과서에서는 첨단 과학 기술의 6가지 내용분야 중 IT, BT, ET, ST의 내용이 많으며 내용이 한쪽으로 치우쳐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학년별로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첨단 과학 기술 관련 주제수가 줄어든다. 또한 학년이 높아지면서 다루는 분야도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신성장동력산업 관련 내용은 교과서 주제 중에서 59%를 차지하고 있다. 산업의 분야별로 보면 22개 산업 중에서 12개의 산업이 제시되어 있고 나머지 10개의 산업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넷째, 2007년 개정 과학과 교과서에서 첨단 과학 기술 내용의 서술범주는 첨단 과학 기술이 생활에서 사용되는 이용부분과 간단한 원리를 중심으로 첨단 과학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TS의 관점에서의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련성을 서술하는 영향의 비중은 적은 편이었다. 다섯째, 교과서의 구성에서는 주로 과학이야기에 첨단 과학 기술관련 내용이 등장하며 나도 과학자의 읽기 자료, 본문의 탐구활동 순으로 등장한다. 여섯째, 7차에 비해 2007개정 과학교과서는 다루고 있는 첨단 과학 기술 분야의 수, 주제의 수가 늘어났다. 첨단 과학 기술의 중요성이 2007년 개정 교과서에서 강조 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 frontier science technology contents and format of the learning contents in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have changed and developed, and to determine a direction that the frontier science technology education should proceed to. The study issues according to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characteristics do the frontier science related contents included in the Revised 2007 elementary textbooks have for each grade and for each field, and what kind of connection do they have with the science technology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2. What are the descriptive domains of the frontier science related contents included in the Revised 2007 elementary textbooks, and how much importantly those descriptive domains are handled in textbooks. 3. Which changes have both of them undergone- the frontier science related contents and descriptive domains, of textbooks in the 7th Educational Course and the Revised 2007 Educational Cours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vised 2007 science textbooks include the contents of IT, BT, ET, and ST the most among six fields of the frontier science technology contents, and the contents of the Revised 2007 science textbooks are described with uneven proportions in importance. 2. In terms of each grade, as the grade gets higher, the number of themes related to frontier science technology decreases, also as the grade gets higher, the fields handled decrease as well. 3. The contents related to the new growth engine industry occupy 59 % of the themes of textbooks. However in terms of each field of industry, 12 industries are described among all 22 industries, and remaining 10 industries are not explained. 4. It can be known that the descriptive domains of frontier science technology contents in the Revised 2007 science textbooks are focused on the usage in daily lives and the simple principles, of the frontier science technology. The proportion of effects, which are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scientific technology and society in terms of STS, was relatively lower. 5. When it comes to composition of textbook, the frontier scientific technology related contents appear the most in the science story, which is followed by the reading materials for scientists, and exploration activity of main text in descending order. 6. In the Revised 2007 science textbooks, the number of fields and themes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7th educational textbooks. Thus it can be known that the importance was put more highly on the frontier science technology in the Revised 2007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ion direction of the 2007 textbooks. The new proposals from thes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Since the contents of frontier science are not evenly distributed and the contents of NT and CT are insufficient, the contents complementation for them is required. 2.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mes related to the frontier science technology for higher grades and to suggest the frontier science technology contents that meet each grade. 3. It is required to reflect the certain contents in textbooks - the contents which can be connected to elementary education contents among new growth engine industry fields suggested by the Korean national scientific technology policy. 4. It is needed supplement some explanations about effects of frontier science technology. 5. It is needed to not only suggest the frontier science technology related contents as reading materials but also use them as materials of main texts to make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rontier science technology.

      • 박물관교육 참여자의 심미적 경험 연구 : 회상을 통한 브리콜라주

        권남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요지 본 연구는 박물관교육 참여자의 회상을 통해 과거의 박물관경험이 현재 생활 속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가진다. 박물관에서 일어나는 모든 활동은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고 영향을 주는 것이라는 ‘심미적 경험’의 범주를 적용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 심미적 경험은 ‘아름답다’라는 것에 한정한 예술품, 예술적 행위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을 심미적으로 만드는 공간, 대상, 일어나는 일 등을 포함한다. 즉 심미적 경험을 일으키는 하나의 대상인 박물관 오브제를 탐구하며 일어나는 상호작용 속에서 발산되는 개인적인 감각과 감정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심미적 경험이 발생되는 공간을 ‘박물관’으로 설정하며,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직접 활동했던 2002년-2006년의 A, B, C미술관의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교육참여자(학습자 15명, 보호자 11명)를 추적하였다. 본 연구대상인 박물관교육 참여자들의 회상을 통해 심미적 경험에 대한 의미를 도출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접근하였다. 연구문제 1. 박물관교육 참여자의 회상 속에 나타난 심미적 경험은 무 엇이며, 어떤 유형으로 나타나는가? 연구문제 2. 박물관에서 심미적 경험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이며, 학습자로서, 보호자로서 참여하였던 과거 박물관경험이 현재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연구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Falk & Dierking(2000)의 맥락적 학습 모형과 심미적 경험의 구조와 범주를 적용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포트폴리오를 더해 기억의 조각들을 재구성하고, 해석하여 의미를 도출하는 질적 연구 방법인 브리콜라주로 접근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Csikszentmihalyi & Robinson(1990), Carroll(2006), Milne(2005)이 구분한 심미적 경험의 구조와 유형을 종합하여, Dewey(1980)의 '하나의 경험(an experience)'에 접근해 보았다. Dewey는 미적 경험을 가장 완전하고 이상적인 경험이라고 언급하며, 그 안에는 ‘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실천적 영역’의 세부 영역이 통합되어 '하나의 경험'이라고 말한다. ‘심미적 경험’이라는 하나의 경험 안에는 지적․정서적․실천적 영역의 속성들이 동시에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를 박물관에서의 심미적 경험의 유형으로 ‘미적 즐거움’, ‘미적 앎’, ‘미적 가치’, ‘미적 태도’로 분류하고, 그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박물관교육은 당시 학습자였던 연구 참여자들의 진로 탐색과 취미 형성에 도움을 주었고, 박물관에서 오브제를 대하는 태도에 있어서 높은 단계의 심미적 태도와 향유자로의 성장에 도움을 주었다. 더욱이 보호자의 입장에서 참여했던 학부모도 자신의 지적욕구를 발견하고 증폭시켰던 계기이자, 문화예술에 대한 믿음과 향유의 가치를 확산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박물관교육 참여자에게 나타난 박물관 심미적 경험의 네 가지 유형이 서로 응축되어 생활 속에서 실천되는 것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박물관의 심미적 경험의 의미는 다음 네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미적 즐거움’은 인간의 정서에 관한 것이다. 박물관은 ‘가족과 함께 한 곳’으로 박물관을 오가며 있었던 일들이 학습자와 보호자 모두의 기억에서 연속적으로 강하게 자리하고 있었다. 교육 대상자인 학습자만을 위한 곳이 아닌 학습의 동기와 과정에서 가족이 함께 할 수 있었던 자체에 안정감과 만족감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이 과정은 한 번에 그치는 것이 아닌 박물관교육의 지속성을 기반으로 가족 간 소통이 강화되며 추억을 쌓았던 시간이었다. 이러한 기억은 현재 연구 참여자들에게 가족에 대한 신뢰와 믿음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둘째, ‘미적 앎’은 인지에 관한 부분으로 내면화되는 과정이다. 박물관경험은 연구 참여자들의 정서와 함께 인지적 측면도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박물관에서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박물관 요소인 공간, 오브제, 사람은 학습의 수월성을 주는 적극적인 도구로 작용했다. 즉, 즐겁게 자신이 알고자 하는 ‘미적 앎’에 도달하는 과정 속에서 박물관의 요소가 작용했던 것이다. 공간이 주는 안정감과 쾌적함, 오브제를 통한 상상과 이해, 교수자와 동료는 서로를 알게 해주고 나아가 세상을 알게 해 주는 중요한 연결 고리였다.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함께 여행을 하거나 전시, 공연 관람 등을 관람하고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면서 여전히 즐거운 배움, 깊이 있는 앎을 이어가고 있었다. 셋째, ‘미적 가치’로 연구 참여자들의 삶 속에서 발견되는 가치이다. 박물관 경험 자체의 가치 뿐 아니라 학습자의 측면에서 현재 청년기의 삶 속에서 전공을 선택하고 진로를 찾는 과정에 박물관교육을 통해 형성된 가치가 작용한다는 것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고,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 속에서 박물관의 오브제가 지니는 의미가 반영되기도 하였다. 또한 박물관에서 만났던 사람들을 통해 자신을 발견하며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을 발견해 가고 있었다. 또한 자녀 교육을 목적으로 참여한 보호자들에게도 자신의 관심을 강화시켜주고, 취향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적 태도’로 능동적인 박물관의 감상자의 삶이 실천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박물관을 찾는 동기 변화, 심미적 발달과 성장으로 학습자나 조력자로서 박물관을 방문하는 것이 아닌 전공자/취미자, 재충전자로 박물관을 이용하고 있었다. 특히 심미적 발달 단계에 있어서 해석적 단계나 재창조 단계에 진입하며 오브제를 재해석하고, 자신의 삶을 투영시키면서 더 깊고 진지하게 세상을 이해하려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 공자의 교육사상과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권남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자의 교육사상과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부모관련변인,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과 친사회행동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분석

        권남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을 부모관련변인과 다차원적 공감으로 설명하고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인으로 부모관련변인인 부모의 공감적 태도, 모델링, 부모와의 여가활동과 개인변인으로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을 설정하고 구조모형 내 변수 간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1) 청소년 친사회행동을 설명하는 가설적 인과모형을 구안하고, 2) 부모의 공감적 태도, 모델링, 부모와의 여가활동이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3)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이 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4) 부모의 공감적 태도, 모델링, 부모와의 여가활동이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5)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이 정서적 공감을 통하여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6) 부모의 공감적 태도, 모델링, 부모와의 여가활동이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을 통하여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의 매개효과와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구(2015)의 전국 일반 고등학교 지역별 학생 수 비율을 근거로 하여 서울을 포함한 4개 대도시와 경기도를 포함한 3개 도 지역을 표집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별 일반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사용하였다. 배포된 총 723부 중에서 총 690(95%)부가 회수되었으며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총 608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은 측정모형과 구조모형분석을 나누어 살펴보는 2단계 접근법을 사용하였고, 최대우도법(ML: Maximum Likelihood)을 사용하여 모수를 추정하였다.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χ², CMIN/DF, GFI, AGFI, NFI, CFI, RMSEA, AIC 적합도 지수를 살펴보았고, 구조모형의 효과성을 분해하고 매개효과와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ing)의 검정방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공감적 태도와 부모와의 여가활동이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모형의 수정과정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부정되었다. 부모의 모델링은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지지되었다. 따라서 부모의 공감적 태도와 부모와의 여가활동은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선정된 부모관련변인 중 부모의 모델링만이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은 정서적 공감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이 지지되었다. 이로써,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은 정서적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부모의 공감적 태도는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에도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부모의 모델링은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와의 여가활동도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따라서 부모의 공감적 태도는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각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모델링과 부모와의 여가활동은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공감적 태도는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을 통하여 정서적 공감에 유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이 부정되었다. 부모의 모델링은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을 통하여 정서적 공감에 유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지지되었다. 또한 부모와의 여가활동도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을 통하여 정서적 공감에 유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지지되었다. 이로써, 부모의 공감적 태도는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부모의 모델링과 부모와의 여가활동은 모두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을 통하여 정서적 공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은 정서적 공감을 통하여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유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이 지지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은 정서적 공감을 통해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부모의 공감적 태도는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을 통하여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인지적 공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부정되었다. 한편, 부모의 공감적 태도는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을 통하여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유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지지되었다. 부모의 모델링과 부모와의 여가활동은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을 통하여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유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따라서 부모의 공감적 태도와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만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부모와의 여가활동과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의 관계에서는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부모의 모델링은 청소년의 친사회행동에 미치는 유의한 직접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부모의 모델링과 청소년의 친사회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청소년의 친사회행동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구조적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써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청소년 친사회행동에 대한 설명력을 증대시켰다. 또한 공감을 다차원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친사회행동 결정과정에 대한 설명을 더욱 강력히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친사회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것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주요어 : 청소년 친사회행동,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부모의 공감적 태도, 부모와의 여가활동, 부모의 모델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