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iofunctionalization of PEEK disc for bone tissue engineering : 골 조직 공학을 위한 PEEK 디스크의 생체 기능화

        권기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Polyetheretherketone (PEEK)은 골 조직 공학에 있어 우수한 생체적합성과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Polydopamine (D)은 화학적 고정화 방법에서 지지 물질 역할을 하며 고분자 주쇄에 하이드록시 그룹과 아미노 그룹을 가지고, 이로 인해 여러 가지 변형 반응이 가능한 물질이다. PEEK-D디스크는 dopamine의 자가 중합을 하였고, 그 후 collagen 또는 insulin을 PEEK-D디스크의 표면에 고정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PEEK-D-Col 디스크와 PEEK-D-In 디스크의 제조와 표면 특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디스크의 사용 가능성은 조골 세포 (MC3T3-E1)를 사용하여 세포의 접착, 독성, 증식 및 분화를 알아보았다. PEEK-D 디스크는 dopamine 자체 중합된 것과 collagen 또는 insulin 이 디스크에 고정화 된 것을 CBB염색과 접촉각 측정 분석, FT-ATR-IR, XPS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PEEK 디스크에서 조골 세포의 세포 독성은 live & dead 염색을 통해 평가하였다. 세포의 증식은 MTT와 BrdU 분석을 통해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Alizarin Red S 염색법과 Von Kossa 분석법, ALP 염색법을 통해 얻은 결과에 따르면 조골 세포의 분화는 PEEK-D-In 에서 배양한 세포가 PEEK 와 PEEK-D, PEEK-D-Col 디스크에서의 분화보다 훨씬 우수하였다. Polyetheretherketone (PEEK) has good biocompati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Polydopamine (D) plays a supporting material role in chemical immobilization method. It has free hydroxyl groups and amino groups onto the polymer backbone and this makes it an excellent candidate to several modification reactions. PEEK-D discs were prepared using the dopamine self-polymerization method. After complete self-polymerization of the dopamine from the disc, collagen or insulin was then immobilized on the surface of PEEK-D discs. In this study, the preparation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PEEK-D-Col and PEEK-D-In discs were described. The potential for use of this discs was assessed by using osteoblast cells (MC3T3-E1) in terms of adhesion, cytotoxicity,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PEEK-D discs were successfully prepared by the dopamine self- polymerization. Next, immobilizing of collagen or insulin on the discs was confirmed by CBB staining, contact angle analysis, FTIR and XPS analysis. The cytotoxicity of osteoblast cells on the PEEK discs evaluate by live & dead staining. The proliferation of osteoblast cells on the PEEK discs evaluate by measuring the MTT and BrdU assay. And the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cells cultured on the PEEK-D-In was much better than that on the PEEK, PEEK-D and PEEK-D-col discs by using the Alizarin Red S staining, Von Kossa assay and ALP staining.

      • 호텔주방의 지식경영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권기완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호텔기업 중 호텔주방의 지식경영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 분석하는데 있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분석결과를 통하여 호텔 경영자 및 주방 관리자들에게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앞으로의 방향성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18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개념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요인분석결과 지식경영활동은 5개 요인으로 조직성과는 3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지식경영활동이 직무만족에는 지식생성, 지식공유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셋째, 조직몰입에는 지식생성, 지식공유, 지식활용, 지식관리시스템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네째, 경쟁우위에서도 지식생성, 지식활용, 지식관리시스템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다섯째, 호텔 등급(특1급, 특2급)과 경영형태별 차이분석에는 호텔등급과 경영형태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합해 보면 호텔주방의 지식경영활동은 조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호텔등급 및 경영형태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일부의 호텔로 표본을 정했으므로 우리나라의 모든 호텔을 대표하기에는 부족하며 차후 연구에는 표본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면 한다. 【주요어】지식경영, 조직성과, 지식생성, 지식축척, 지식공유, 지식활용, 지식관리시스템, 직무만족, 경쟁우위, 조직몰입

      • 韓·中 禪師들의 儒家 中和說에 대한 談論 比較硏究 : 憨山, 智旭禪師와 性徹, 呑虛禪師를 중심으로

        권기완 延世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중국(中國) 송대(宋代) 신유학(新儒學)의 핵심 쟁점 가운데 하나였던 ??중용(中庸)?? 수장(首章)의 미발(未發)·이발(已發)의 중화설(中和說)의 형성과정을 개관한 뒤 이에 대한 한국과 중국 불교계의 대표적 선사(禪師)들의 불교적 담론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유불회통(儒佛會通), 내지 유불융합(儒佛融合) 연구의 새 지평을 여는 데 일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희노애락(喜怒哀樂)의 미발지중(未發之中)과 이발지화(已發之和)는 동양의 인간 심성론(心性論)에서 핵심적인 연구과제이며 주자학(朱子學)의 지도리가 된다 하겠다. 주자의 중화설이 형성되기까지의 과정인 중화구설(中和舊說)과 중화신설(中和新說)을 각각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주자의 중화설의 형성과 그 전개과정을 심입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신유학이라 불리는 성리학 혹은 주자학의 건립이 중화설의 입론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본고는 이 중화설의 문제가 신유학 내부에서만이 아닌 불교의 선가(禪家)에서의 마음수행의 단계와 관련된 인식론과 수증관의 핵심관건과도 깊은 연관이 있는 문제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 명대(明代)의 대표적 고승이었던 감산덕청(?山德淸)과 우익지욱(藕益智旭) 선사의 저술인 ??중용직지(中庸直指)??에 나타난 중화설(中和說)을 살펴보고 아울러 한국 근·현대의 대표적 고승인 퇴옹성철(退翁性徹)과 탄허택성(呑虛宅成) 선사의 유교 ??중용(中庸)??에 대한 언급과 견해를 각자의 저술 속에서 추출하여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유가의 신유학과 불가의 선불교가 어떻게 회통(會通)되고 분수(分殊)되었는지 고찰한다. 중국 선사의 경우, 감산선사는 불교적 용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천명지성(天命之性)’의 ‘성(性)’ 한 글자를 통해서 불교와 유교를 회통하고 있으며, ??중용(中庸)?? 전체를 ‘중화(中和)’ 두 글자로 요약 정리하는 ‘중화일관론(中和一貫論)’적 관점을 보인다. 반면 지욱선사는 유가의 ‘미발지중’은 유식학(唯識學)에서 말하는 제6식의 ‘독두의식(獨頭意識)’에 불과한 것이며 선가의 깊은 선정상태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아 불교를 근본에 두고 유교를 방편으로 쓸 수 있다는 ‘유맥귀불론(儒脈歸佛論)’적 관점을 견지한다. 한국 선사의 경우, 성철선사는 유교의 중용(中庸)은 불교의 중도(中道)와 비교할 때 여전히 망상경계임을 단언하여 확실하게 구분 짓고 있다. 이는 그의 수증관(修證觀)인 돈오돈수(頓悟頓修)의 입론에서도 확인되듯이 제8아뢰야식의 미세망념이 완전히 소멸되는 숙면일여(熟眠一如)의 경지가 아니고는 돈오라고 보기 어렵다고 했던 견해와 같은 맥락이다. 따라서 성리학에서 논의하는 ‘미발지중(未發之中)’이 그의 무심(無心) 체계에서는 깊은 경지로 인정되지 않고 폄하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탄허선사의 경우엔 유·불·선 삼교사상에 대해서 “천하에 두 도(道)가 없고 성인에게 두 마음이 없다.(天下無二道 聖人無兩心)”라는 언명을 늘 강조했으며, 유가의 ‘미발지중(未發之中)’이 ‘불성(佛性)의 다른 이름[佛性之異名]’이라고 했던 중국 송(宋)대 소철(蘇轍)의 주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시·공이 끊어진 ‘성(性)자리’ 하나로 제반 사상을 융회시킨다. 이는 성철선사의 철저한 돈수론과 대조적으로 매우 포용적이고 유연한 유불회통론자였음을 반증한다. 중국과 한국의 선사들의 유가 중화에 대한 견해는 중국의 감산선사와 한국의 탄허선사가 상호융합적인 측면에서 유사했으며, 중국의 지욱선사와 한국의 성철선사가 불교우위적인 측면에서 서로 유사한 관점을 나타내고 있다. 본고는 신유가 중화설의 문제가 불교의 인식론·수증관으로 확대되어 함께 논의될 수 있음을 본격적으로 거량하고, 한국과 중국의 선사(禪師)들의 유교에 대한 견해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유불관계 담론의 소통에 일조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呑虛 宅成의 四敎會通思想 硏究

        권기완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Tanheo Taekseong(1913-1983)'s Interpenetration Thought of Four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Christianity.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doctoral dissertation to study the ideas of Tanheo. In this paper, I dug up recorded voice files of the monk Tanheo's lectures and used them actively, which were unsorted contents till now. Tanheo had already learned about Confucianism and Taoism before becoming a monk. However, in order to solve the mystery of the truth, he became a Buddhist monk with the Han-am(漢巖) Seon master as his teacher at Sangwonsa Temple on Odaesan Mountain. For three years, he meditated on Ganhwaseon(看話禪) without speaking a word and studied Buddhist scriptures for seven years. This led to the realization of the core ideas of Taoism. In addition, he already knew the Christian Bible 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s, which interpreted by merging the Buddhist ideas obtained through the study of Buddhism. I think the core of his ideas is the fusion of Seon Buddhism and Hwaeom Thought. And I think his central theory of Interpenetration Thought of Four Religions also comes from the Seon Buddhism and Hwaeom Thought. The principle was 'mind-nature(心性)' and 'Seongjari(性)', 'arising from the original nature(性起)' and 'unobstructed(無碍)'. Tanheo had a strict identity as a Seon master, criticized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頓悟頓修), insisted on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And he supported that theory of Bojo(1158-1210) as founder of Jogye Order(普照宗祖論). He tried to inherit and develop the spirit of Han-am, his teacher. When he translated Huayanjing(華嚴經), he focused on the Xin-huayanjing-lun(新華嚴經論) of Li Tongxuan(李通玄) more than the Huayanjing-shuchao(華嚴經疏抄) of Qingliang(淸凉). In this paper, I analyzed Tanheo's Interpenetration Thought divided into four fields in total. It is a discussion of Buddhism and the intertwining of other ideas. It is a study of the interpenetration between The study of Changes(易學) and Seon Buddh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Taoism and Buddhism, and Christianity and Buddhism. Tanheo's Interpenetration ideas of Four Thoughts had a good result on his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and education. And his ideas were applied to the real world in the future with original predictions and Futurology. He carefully analyzed the eschatology of these four religions and penetrated the Viewpoint of future commonly found here. He reinterpreted this through East Asian Studies, and used it to explain the future of the Earth. I will name this spirit of Gansan thoughts(艮山思想). This Interpenetration ideas of Four Thoughts of the Tanheo enables a new discourse on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His idea may bring new progress in the discourse on whether Korean Buddhism is ecumenical Buddhism(通佛敎) or not. His interpenetration thought, which are fused and collaborated with Eastern and Western civilizations, are worthy of reference in various fields including academic and cultural aspects. 본 논문은 呑虛 宅成(1913-1983)의 儒·佛·仙·基 四敎에 대한 會通思想을 중심으로 그의 사상을 종합적으로 硏究한 것이다. 탄허는 출가 이전에 유가와 도가를 섭렵하고 구도의 열정으로 漢巖禪師를 스승으로 하여 오대산 상원사에서 출가했다. 3년간의 묵언참선과 7년간의 교학이력을 겸수하며 불교 수행을 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해부되지 않았던 노장학을 자득하고 의문을 타파했다. 한문본 『성경』을 독파하여 그 대강을 파악하고 있던 기독교에 대해서도 禪的 안목을 중심으로 會釋하여 동서양의 思想을 융회하는 데에까지 나아갔다. 논자는 탄허사상의 핵심을 禪과 華嚴의 완전한 융회로 보았으며, 그의 四敎會通의 원리 역시 禪思想과 華嚴思想을 함께 원융한 것으로 파악했다. 禪에서는 ‘心性’과 ‘性자리’를 종지로 삼았으며 화엄에서는 ‘性起’와 ‘無碍’를 회통의 중심원리로 삼았음을 논증했다. 탄허는 禪師로서의 정체성을 철저하게 간직하고 있었고, 돈오돈수를 비판하고 돈오점수를 선양했으며, 普照宗祖論을 주창하였는데 이는 모두 스승 한암의 선풍을 계승하여 발전시킨 것이다. 탄허의 『新華嚴經合論』의 번역이 『淸凉疏』가 아닌 『通玄論』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도 禪을 중시한 會通的 禪敎觀에 기인한 것이었다. 탄허의 사교회통사상에 대한 세부적 고찰은 易學과 禪, 儒學과 佛敎, 老莊과 佛敎, 基督敎와 佛敎의 방면으로 나누어 본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의 회통사상의 결실은 譯經佛事와 敎育佛事에서 꽃을 피웠고, 그의 독창적인 미래예견인 미래학을 통해 한국적 현실에 적극 활용되었다. 그의 사교회통의 정신은 『周易』과 『正易』을 관통한 易學과 민족사상이 결합하여 현대적 민족불교사상으로 승화되는 특징을 보였다. 그는 東西의 말세관을 분석하여 현재를 말법시대로 규정한 뒤 그 해결 방안을 동양사상을 중심으로 모색하고 艮方인 한국이 미래의 주도적인 역할을 맡는다는 艮山思想으로 제시하고 있다. 탄허의 사교회통사상은 한국불교의 정체성 담론에서 그동안 논란이 되어 왔던 회통불교의 전통이 현대적으로 새롭게 되살아났다는 측면에서 그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그의 사상은 동서의 문명이 협업하고 세계의 정신문명이 상호 융복합하는 현시대에 학술과 문화방면에서 더욱 주목받을 만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본고는 탄허의 사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최초의 박사학위논문이라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한국 근대 불교사에서 탄허가 차지하는 비중과 그가 이룩한 독창적인 사상적 경지에 비추어 보았을 때 그에 관한 연구는 아직 단편적인 수준에 그쳐 있다. 본고에서는 현존하는 강의·강연 음성파일자료 가운데 문헌으로 정본화되지 않은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활용하고, ‘회통’을 탄허사상의 핵심으로 삼아 그의 사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향후 탄허에 관한 자료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각 분야에서 그의 사상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 조리사의 직업전문성, 직무스트레스, 조직유효성 관계연구 : 회복탄력성과 내외통제성의 매개효과

        권기완 세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리사들의 직업전문성에 대해 알아보고, 직업전문성, 직무스트레스, 조직유효성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조리사들이 저마다 가지고 있는 회복탄력성과 내외통제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실증분석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호텔기업의 인사 관리자와 주방관리자에게 인사관리에 필요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지역 특1급 11개 호텔에 재직 중인 조리사들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1일부터 8월 12일까지 12일에 걸쳐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조사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고, 응답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과 결측치 72부(19.6%)를 제외한 295부(80.4%)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H1 직업전문성이 시간스트레스에는 이익단체활동, 동료상호평가는 유의한 정(+)에 영향을 미치고, 직업적 소명감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직업전문성이 직무불안감에는 동료상호평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업적소명감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둘째, 가설 H2 직업전문성은 직무만족에 직업적소명감, 업무자율성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에는 이익단체활동, 사회적중요성, 직업적소명감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셋째, 가설 H3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가설은 채택되었다. 넷째, 가설 H4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 관계에 직무불안감을 회복탄력성이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어 부분 채택되었다. 다섯째, 가설 H5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 관계에 직무불안감을 내적통제성이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어 부분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사들이 직무수행 중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직업전문성, 회복탄력성과 내외통제성의 연구를 진행하여 이들 변수의 관계를 규명하여 어떤 부분에 집중해야 조직유효성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조리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은 직업에 대한 전문성 강화와 근무환경 개선, 올바른 보상, 다양한 교육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조리사직업은 구성원과의 협동심이 매우 요구되는 직업으로 내성적 성격의 소유자 보다 외향적이고 활동적인 성격이 강한 직원을 채용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조리사들의 긍정적이고 외향적인 성격을 강화하는 교육과 전문직으로서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학습하기 위해 외부활동을 장려하여 직업에 대한 전문성을 높여준다면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조직유효성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서울소재 특1급 호텔의 조리사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조리사들을 대상으로 직업전문성, 회복탄력성과 내외통제성, 직무스트레스, 조직유효성 연구를 진행하여 이들 변수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연구의 다양성을 가져왔다는데 연구의 의미가 있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미비한 점을 보완하여 날로 사회적 위상이 높아 지고 있는 조리사들의 직업전문성, 회복탄력성, 내외통제성과 조리사들의 고유의 직무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