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사의미역강화중재(VNeST)가 실어증 환자의 동사 및 명사 이름대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곽은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실어증(aphasia)은 정상적으로 언어를 습득한 이후, 중추신경계에 손상으로 인해 언어를 표현하거나 이해하는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언어장애를 말한다(McNeil & Pratt, 2001). 특히 실어증 환자가 일반적으로 보이는 언어적 어려움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두드러지는 증상은 단어 인출(word retrieval)의 어려움이다(Berndt, Mitchum, Haendiges, & Sandson, 1997; Laine & Martin, 2006; Zingeser & Berndt, 1990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어인출 어려움에 관한 연구는 명사(noun)와 동사(verb)를 중심으로 연구가 되어왔으며, 최근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문제 중 동사산출 결함은 문법성의 문제를 나타내는 지표로 보고되고 있다(Berndt et al., 1997; Kim & Thompson, 2000; 2004; Luzzatti, Raggi, Aonca, Pistarini, Contardi, & Pinna, 2002; Mӓtzig, Druks, Masterson, & Vigliocco, 2009; Zingeser & Berndt, 1990). 그 이유로는 동사는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고 문장의 다른 성분들과 맺고 있는 의미관계가 각각의 동사마다 다르며, 명사에 비해 이미지화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기 때문이다(Berndt, et al, 1997). 또한 동사는 구문적 측면에서 논항구조(argument structure)를 필요로 하므로 명사에 비해 어렵다(Marchall, 2003). 동사의미역강화중재(Verb Network Strength Treatment, 이하 VNeST)는 동사들 사이에 가지고 있는 의미적 네트워크(network)을 강화하는 중재로 의미적 치료법(semantic treatment)에 기반을 둔 동사이름대기 중재이다. 동사들 사이에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란, 동사와 다른 동사와의 의미적,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목표 어휘와 다른 어휘 간에 연결 고리를 공유하는 관계를 모두 포함한다. 다시 말해 동사들 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였을 때, 중재한 어휘 뿐 아니라 중재를 하지 않은 다른 어휘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이름대기에 일반화를 극대화하는 것에 목표를 둔 치료법이 동사의미역강화중재(VNeST)이다(Edmonds, Nadeau, & Kiran,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도(mild)에서 중도(moderate)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동사의미역강화중재(VNeST)가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첫째, 훈련한 동사에서의 중재 효과크기(effect size)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훈련동사와 의미적으로 관련된 비훈련 동사로의 일반화 효과(generalization effect)를 살펴보았다. 셋째,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orean version – Boston Naming Test, 이하 K-BNT』(김향희·나덕렬, 1997)와 동사이름대기 『Verb Naming Test, 이하 VNT』(성지은·곽은정, 2012)의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넷째, 표준화된 검사도구인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Korean version – The Western Aphasia Battery, K-WAB』(김향희·나덕렬, 2001)의 실어증 지수를 통해 전반적 언어능력이 중재 전·후에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명의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동사의미역강화중재를 실시하였다. 동사의미역강화중재는 하루 1시간씩 주 2회로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중재 자료인 훈련▪비훈련 동사 이름대기과제는 ‘행위자-대상’의 문장 필수 성분을 갖는 2항 동사로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사전(홍재성, 1998)을 참고하여 선정하였으며, 모든 동사이름대기 과제는 애니메이션(animation)으로 제작하여 실시하였다. 동사의미역강화중재는 총 6단계로 이루어 졌으며, 첫 번째 중재 단계는 오반응을 보인 동사 애니메이션을 다시 보여주고 이름대기를 실시하여 또 다시 오반응을 보였을 때 두 번째 중재단계로 넘어간다. 정반응을 보일 경우, 다음 오반응 어휘로 넘어간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동사를 제시하고 동사와 관련 있는 행위자 또는 대상을 3개 이상 표현하도록 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두 번째 단계에서 말한 행위자 또는 대상과 짝이 되는 대상 또는 행위자를 표현하도록 한다. 네 번째 단계는 의문사 질문에 알맞게 표현을 하고, 다섯 번째 단계는 총 12문장(올바른 3문장, 행위자가 옳지 않은 3문장, 대상이 옳지 않은 3문장, 행위자와 대상이 대치된 3문장)을 들려주고 의미적으로 맞는지 판단을 하는 것이다. 마지막 여섯 번째 단계는 다시 훈련 동사 애니메이션을 보여주고 이름대기를 한다. 정반응을 보일 경우, 다음 어휘로 넘어가며 오반응을 보일 경우 두 번째 단계부터 다시 시작한다. 이러한 6단계의 중재 단계를 각 훈련 동사마다 반복하여 목표어휘의 의미적 특성을 알고 촉진하였다. 동사의미역강화중재를 실시 한 후, 실어증 환자의 훈련한 동사의 이름대기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상자 1, 2, 3에서 평균 7.22점 수행력에 증가를 보였다. Beeson & Robey(2006)는 실어증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름대기 중재에 따른 치료 효과크기를 큰(Large, 18이상), 중간(Medium, 12~17.9), 작은(small, 6~11.9)크기로 분류하여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대상자 1의 효과크기는 18.48로 큰 중재효과를, 대상자 2의 효과크기는 10.39작은 중재효과를, 대상자 3의 효과크기는 8.66으로 작은 중재효과를 보았다. 또한 직접 중재를 하지 않았지만 훈련 동사와 의미적으로 관련된 비훈련 동사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상자 1, 2, 3에서 평균 5.17점 증가를 보였다. 대상자 1의 일반화 효과는 12.12, 대상자 2의 일반화 효과는 7.51, 대상자 3의 일반화 효과는 5.76로 의미적으로 관련된 동사에까지 일반화가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3명의 대상자 모두 중재한 동사 뿐 아니라 중재 하지 않은 비훈련 동사에서도 중재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중재 종료 후에도 3회기 동안 이름대기 수행력이 유지되었다. 특히, 대상자 1의 효과크기와 일반화 효과가 다른 대상자들에 비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이대상자는 기초선 단계 점수 또한 가장 낮았다. 대상자 3의 경우, 가장 작은 효과크기와 일반화 효과를 보였으며, VNT 사전-사후검사의 차이도 가장 작게 나타났다. 이는 병소 부위와 관련하여 해석해 볼 수 있는데, 대상자 1, 2의 병소부위는 대뇌피질(cortical)에, 대상자 3은 피질하부(subcortical)에 위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저핵(basal ganglia)의 손상이 언어회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Alexander, Maeser, & Palumbo, 1987; D’Esposito & Alexander, 1995; Parkinson, Raymer, Chang, FitGerald, & Crosson, 2009)와 일치한다. 하지만 기초선 수행력이 비슷했던 대상자 2와 Beeson & Robey(2006) 효과크기로 비교하였을 때 작은 효과크기로 분류되었으며, 효과크기와 일반화 효과 사이의 차이도 비교해 살펴본 결과, 대상자 2는 1.73, 대상자 3은 1.75로 비슷하였다. 전반적으로 피질하 손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피질부위 손상 환자에 비해 제한적인 효과크기 및 일반화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3명의 제한된 대상자수를 대상으로 하여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으며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름대기능력을 알아보고자 K-BNT와 VNT를 사전-사후평가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였다. 중재 전에 비하여 중재 후 K-BNT는 평균 7.33점(12.22%), VNT는 평균 10.67점(29.65%)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사의미역강화중재가 실어증 환자에게 효과적인 이름대기 중재방법으로서 전반적인 명사 이름대기와 동사 이름대기 능력에 향상을 가져왔음을 보인 선행연구(Edmond, Nadeau, & Kiran, 2009; Edmond & Bobb, 2011; Katz & Wertz, 1997; Loverso, Prescott, & Selinger, 1988; Loverso, Prescott, Selinger, Wheeler, & Smith, 1985; Loverso, Selinger, & Prescott, 1979)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단, 본 연구에서 실시한 동사의미역강화중재가 경도에서 중도 실어증 환자에게만 적용되어 실어증 중증도가 심한(severe)환자에까지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실어증 중증도를 다양하게 확장하여 중재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동사의미역강화중재에서 사용된 동사 어휘목록은 모두 고빈도 어휘였으며, 어휘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실어증 환자의 실질적 이름대기 능력으로 일반화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동사의미역강화중재가 심도의 실어증 환자에게도 중재의 효과가 있는지, 고빈도 어휘 뿐 아니라 저빈도 어휘로 중재할 때에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Verb Network Strengthening Treatment(VNeST) is a semantic treatment that aims to improve lexical retrieval of content words in sentence context by promoting systematic retrieval of verbs and their thematic roles. So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d the effect of VNeST on Korean individuals with mild to moderate aphasia. There are four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 effect size on trained verb naming. (b) generalization effect on untrained verb naming, (c) noun and verb naming changes on pre - post task, (d) aphasia quotient changes on pre - post task. Three Korean individuals with aphasia caused by left hemisphere only one lesion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1) confront naming on animation target verb task. (2) generation of three agents or themes for verb. (3) generation of corresponding agents or theme ro complete agent-theme pairs. (4) answer wh-questions about agent-theme pair. (5) semantic judgement of sentence. (6) read the complete sentence. In this study multiple-baseline approach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Effect size were calculated for baseline and maintenance phase responses. Results demonstrated generalization to lexical retrieval of content words in sentences with trained and untrained verbs across participants. Additionally, pre-post treatment generalization was observed on verb, noun naming and Aphasia Quotient. Although prelimina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NeST may be effective in promoting generalization from single word naming in person with mild to moderate aphasia. A number of clinical implications related to treatment efficiency are discussed.

      • 공항의전 현황에 관한 연구 : 서비스 접점을 중심으로

        곽은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가 간의 상호교류 증대에 따라 국제회의는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부상하였다. 국제협회연합(UIA)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제회의 개최건수는 2016년 총 997건, 2017년 총 1,297건으로 2년 연속 세계 1위를 달성한 바 있다. 국제회의에 참가하는 VIP들은 그 나라 및 각 분야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사람들로 만족도 높은 의전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한반도의 지리적 특성상 외국인 VIP들은 국제공항을 통해 우리나라를 방문하므로, 출·입국 시 제공되는 공항의전은 우리나라의 첫인상과 마지막 인상을 형성하는 관문으로서 행사 및 국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 인천국제공항은 국제공항협의회(ACI)가 주관하는 세계 공항서비스 평가(ASQ)에서 12년 연속 1위를 달성하는 기록을 세우며, 세계적인 선도 공항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였고, 2018년에는 제2 여객터미널을 개장하며 국제 여객 운송 기준 세계 5대 공항으로 도약하였다. 이와 같이 국제회의와 항공 분야가 동반 성장하고 외국인 VIP의 방문이 증가함에 따라, 만족도 높은 공항의전 서비스를 통해 미시적 관점에서 행사의 성공은 물론 거시적 관점에서 긍정적인 국가 이미지 형성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용하여 공항의전의 서비스 접점별 프로세스는 어떻게 구성되는지, 공항의전 제공 시 중요한 서비스품질 요소와 전략이 무엇인지 탐구하였고, 이를 통해 공항의전의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5년 이상의 공항의전 수행 경력을 갖춘 의전팀, 의전 대행업체, 항공사, 항공 조업사 직원 13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 사례를 수집하였고, 면담 과정에서 녹취한 자료는 전사 작업을 거쳐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확보를 위해 질적 연구의 검증 절차를 수행하며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개방코딩의 결과로 133개의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유사개념을 통합하여 15개의 하위범주와 6개의 범주로 도출하였다. 축코딩의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 결과, 중심현상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사전 준비」로 밝혀졌다. 중심현상은「접점별 공항의전 서비스」로, 이에 대응하는 맥락적 조건은「의전 요원의 역량」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끼치는 중재적 조건은「위기관리」로 확인되었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인「커뮤니케이션」을 통해「순조로운 공항의전」이라는 결과가 나타나는 것이 발견되었다. 다음 단계인 과정분석에서는 접점별로 공항의전을 살펴보며, 시간과 공간의 흐름에 따라「탐색단계」,「인지단계」,「대처단계」,「전환단계」4단계의 하위과정으로 정리하고 도식화하였다. 선택코딩에서 서비스 접점을 중심으로 살펴본 공항의전의 핵심적 범주는「VIP 출·입국 절차에서 공항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최상의 편의 제공」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이야기 윤곽은 다음과 같다. 공항의전은 의전을 제공받는 대상에 대한 특수성과 의전이 제공되는 공간적 특수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서비스로, 대상자 파악과 현장 계획 수립이라는 세밀한 사전 준비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공항 의전 서비스는 공항의 물리적 시설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인 의전 요원의 역량이라는 맥락적 조건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자는 의전에 대한 인식과 전반적인 공항 업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공항의전에서 관리되어야 할 핵심 요소는 일련의 출·입국 동선과 대기시간의 최소화이다. 그러나 출·입국 접점별 다양한 조직들이 유기적으로 공존하는 공항에서는 여러 위기 상황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관기관 및 팀 내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VIP가 본연의 방문 목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편안하고 신속하며 순조로운 공항의전을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의전 서비스 제공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의전 대상자에 관한 정보를 섭렵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정보탐색형」과, 자기계발을 통해 전문 의전 요원으로서의 역량을 갖추고 고급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자기자본형」, 이동 동선과 소요 시간을 최소화하여 차별화된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는「안전추구형」으로 구분된다. 수집된 자료를 근간으로 공항의전 요원들의 서비스를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과정에서「최단 동선」과「최소 대기」가 공항의전의 핵심적인 서비스품질 요소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위한 전략적 도구로「커뮤니케이션」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공항의전에 관한 연구가 미진한 가운데 질적 연구를 통해 공항의전을 심층적으로 고찰하며, 후속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다양한 소속의 의전 요원들을 연구에 포함함으로써 연구의 대상을 넓혔고, 공항의전에 서비스 접점의 개념을 접목하여 연구 범위를 확장시켰다. 이는 공항의전이 VIP의 방문 목적이나 중요도에 따라 의전의 제공 범위 및 의전 담당자가 다양하다는 특성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차별화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공항의전 서비스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업무 매뉴얼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유형분석에서「안전추구형」으로 분류된 의전 요원의 경우, 의전 교육의 부재와 명확하지 않은 업무 지침으로 인해 업무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따라서 전문 교육 훈련을 통해 의전의 목적의식과 역량을 함양한 의전 요원을 양성하고, 의전 서비스의 고급화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유럽이나 싱가폴, 홍콩 등의 해외 사례와 같이 민과 관의 협력을 통해 유료화된 의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외국인 VIP까지 편의가 확대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석을 다지는 개념으로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넓은 관점의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사례와 유형을 탐구하는 의전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한다. Since the international conferences led to a high-value industry, it is necessary to satisfy participants for successful conference. Airport protocols is one of the key elements as each participant is representing relevant field and airport functions as a national gateway for positive first impression of the country. However, there have not been enough studies of airport protocol service in the convention sector. This study aims to provide guidelines for this topic, in that few studies have been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airport protocol services and analyze the protocol processes as an important element of service quality for enhancing VIP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1998) to further develop airport protocols. This study found service encounter procedure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airport service process cascades and characteristics.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3 professionals who had at least 5 years of work experience in a VIP room, protocol service agency, or airline and airport ground handling company. All of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cod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stage of open coding yielded 133 concepts, and the similar concepts were integrated into 15 subcategories and 6 categories. During axial coding, ‘advance preparations’ was identified as a casual condition that led to the core phenomenon, ‘shortest pathway and waiting time for service encounters'.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service personnel competency’, the intervening condition was ‘risk management’, and the mediated action/interaction strategy was ‘communication’. The outcome was ‘barrier-free airport protocol service’. Then a paradigm model was presen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airport protocol process has multiple phases, such as exploration, cognition, coping, and transitional. The last stage of selective coding produced the key category ‘Providing excellent convenience through airport cooperative governance in VIP’s departure and arrival service process’. The three types of airport protocol personnel were classified as ‘information research type’, ‘self-capital type’, and ‘safety pursuit type’. Based on this result, airport service providers must focus on the shortest pathway and waiting time via communication to satisfy VIPs. In addition, systematic education and practical service manual are needed to offer excellent airport protocols.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in order to effectively provide service, it is essential to collect diverse ca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at focus on the core categories. Second,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but it is necessary to also use other methodologies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essential to embark on further studies regarding the efficient management of airport protocol service.

      • 그림카드 활용 음악활동이 자폐유아의 동작모방행동에 미치는 효과

        곽은정 대구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sical activities utilized picture cards on gesture imitative behaviors of autistic children. The subjects were 2 children who diagnosed as autism in the pediatric psychiatric hospital and were students of S preschool fit for the standard according to DSM-IV(APA, 1994). The program of musical activities was composed right for the object on the basis of Kim Sung Gyun children’s song book (1997), Piano rhythm book (1996). The program utilized picture cards was carried out for 25 minutes at a time, 5 times a week from 2002. 8. 27. to 2002. 10. 23. by the researcher. Gesture imitative behaviors were composed of 10 object behaviors such as clenching the fist, unclenching the fist, clapping, putting hands on the head, waving hands, raising hands, rotating hands, pointing right and pointing left.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was done in the three stages of foundation, management and maintenance by AB design. The frequency of target behaviors was measured for the subject’s Gesture imitative behaviors and scored differently by cases. The happening of gesture imitative behaviors was recorded in video every session by two observers.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Visual musical activity was effective on teaching of gesture imitative behaviors in spite of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retard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proved that thc program of musical activities utilized picture cards was cffcctivc on the improvement of gesture imitative behaviors.

      •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곽은정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circumstances of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the human desires which are getting various require systemic and professional services, so that each occupation spares no effort to look for the identity according to the profession. In the studies about a profession, they are the significant issues that whether the job is accepted as a profession, whether system is set as a profession, and how much the members working on the professional field recognize the professional identity. The professional identity and behavior are under a discussion since the social workers are considered to work in a profession field which has a professional system. The social welfare system is defined as a reciprocal action between individuals or families who are in difficulties and social workers,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social welfare system is closely related with the quality of the workers as wel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cure qualified workers and support them efficiently. Considering this, job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is essential for the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 the accomplishment of affairs, and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As a consequence, this study has the objects to measure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o present the scheme to improve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with the outcome of the study.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the 210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Kyung-Ki province by having them fill out the question sheet. The investigator mailed the sheet or visited the social workers. 127 sheets are used, and the main analyzed consequences are as the following. First,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recorded the highest lev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g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with bosses, third in the matters about the facilities, and the lowest in the matters about the remuneration. Second, social workers' level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recorded somewhat higher in the belief in public service and the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and the belief in autonomy and the belief in self-regulation were the second rank. Finally, the use of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standard of behaviors recorded the lowest rank among the subordinate items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Third, in the result of measuring the level of professional identity according to the work environment, as the work experience was added more, as the position and the annual income were higher, the level of professional identity recorded higher level. The position was meaningful in the record of the use of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standard of behaviors (p<.05), type of the facilities was meaningful in the record of the belief in self-regulation (p<.05), and whether the social workers have the license was meaningful in the record of the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p<.05). Forth, in the stepwise regression record, in which population sociology factors are controlled, social workers' work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identity explained the job satisfaction 41.6%(R =.416). In the record of the work environment, annual income (p<.001), and the number of the facility workers (p<.05) were meaningful, and in the record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the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p<.05) and the belief in autonomy (p<.001) were meaningful statistically. In sum, as the annual income is higher, as the number of the facility workers is more, as the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and the belief in autonomy were higher, job satisfaction recorded higher level. Since "autonomy" is necessary for every professional occupation, "belief in autonom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job satisfaction, recognized by professional social workers. As the study shows, since the annual income acquires significance for both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it is considered as main factor to menace the social welfare servic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esent integrated and identical remuneration guideline. Moreover, it is helpful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to make the social workers have self-confidence about their vocations and feel the necessity to activate their judgments, and to let their decisions be final in the most of the situations. 급변하는 사회 환경과 점차 다양해지는 인간의 욕구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고, 많은 직업들은 전문직에 맞는 정체성을 찾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전문직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전문직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지, 전문직으로서의 구조적 측면이 갖추어졌는지, 또한 전문직에 종사하고 있는 구성원들이 얼마나 전문직 정체성을 인식하고 있는지가 중요한 이슈로 다뤄지고 있다. 사회복지직 또한 전문직 체계를 갖춘 전문직으로서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 태도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복지조직은 인력의 질이 사업의 성패와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되는 데, 사회복지서비스는 문제를 가진 개인이나 가족과 사회복지사의 인간적 상호작용이라는 점에서 유능한 인력의 확보와 이 인력을 계속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면 조직의 운영에 있어서나 효율적인 업무수행 및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도 조직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과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전문직 정체성 인식정도를 측정하고, 사회복지사의 직무환경과 전문직 정체성 인식 정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는 경기도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총 210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우편조사와 방문조사를 병행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127부이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은 ‘동료와의 관계’, ‘상사와의 관계’, ‘기관에 관한 사항’순으로 높았고, ‘보수에 관한 사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 인식 수준은 ‘공공 서비스에 대한 신념’,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고, ‘자율성에 대한 신념’과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이 그 뒤를 이었다. 전문직 정체성 하위항목 중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조직의 활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 인식 수준을 조사대상자의 직무환경별로 측정해 본 결과, 근무연수가 길수록, 직급이 높을수록, 연간소득이 높을수록 전문직 정체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조직의 활용’에서 직위가 통계적으로 유의(p<.05)하였고,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에서 복지관 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p<.05)하였다. 또한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에서 자격증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p<.05)하였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직무환경 변인과 전문직 정체성 변인을,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을 41.6%(R=.416) 설명하였으며, 직무환경 변인에서는 연간소득(p<.001), 복지관 직원 수(p<.05)가, 전문직 정체성 하위 변인에서는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p<.05)과 ’자율성에 대한 신념’(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즉, 연간소득이 많을수록, 복지관 직원 수가 많을수록,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과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에 대한 신념’은 어느 전문직에게나 반드시 주어져야 할 것이 자율성이기 때문에 전문직인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직무만족에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결과 연간소득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전문직 정체성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사회복지 서비스를 위협하는 주요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통합적이고 동일한 임금 가이드라인(guide line)의 제시가 요구된다. 또한, 사회복지사가 자유롭게 자신의 일에 대해 스스로 주체임을 자부하고, 스스로의 판단을 행사할 필요를 느끼며, 대부분의 상황에서 자신의 판단이 최종판단이 될 수 있어야 비로소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직무만족도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 於于 柳夢寅 漢詩 硏究

        곽은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는 於于 柳夢寅(1559-1623)의 詩世界를 살핌으로써 거기 드러나는 어우의 내면의식에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우는 자신을 세상(의 뭇 사람들) 속에서 고독한 존재라 여겼다. 이는 어우가 당시 현실은 不正한 것으로, 그 자신은 그 속에서도 꿋꿋이 신념을 지켜나가는 존재로 보아서 둘을 대립하는 관계로 파악했기 때문이다. 또 한편으로는 자신의 자질과 재능에 대한 높은 자부가 스스로를 세상의 사람들과는 다른 존재로 인식하게 했는데, 이는 知音이 없는 현실&#8228;이상이 좌절된 현실에 대한 慨歎으로 이어졌고 그의 외로움을 더욱 깊어지게 했다. 하지만 어우는 不遇한 삶에 대한 슬픔이 스스로 자제하지 못할 정도의 절망적 인식 혹은 자괴감으로까지 이어지게 내버려두지 않았다. 즉 삶에 대한 슬픔과 자기연민을 스스로 극복해 더 높은 정신 경계로 승화시키려는 강한 의지를 지니고 그에 노력했던 것이다. 첫 번째가 시작품 속에 드러나는 세상과 어우 사이의 갈등, 또 그 속에서 어우가 겪는 좌절에 대한 것이라면, 두 번째는 거기서 입은 내면의 상처를 어우 스스로 치료하고 극복해가는 과정에 대한 것이라 하겠다.

      • 다차원분석을 통한 대학생 작문에 나타난 언어자질 분석 연구

        곽은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문어와 구어의 차이점을 밝힌 후, 학생들의 작문을 Biber(1988)의 다차원분석방법(Multi-Dimensional Analysis)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의 작문 텍스트에 어떠한 구어체와 문어체적 특징이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좀 더 문어체적인 학술적 글쓰기(academic writing)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학교의 작문 수업시간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Biber(1988)의 다차원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