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포막복합체 나노좀에 의한 손상 모발의 개선

        고승철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Hair is increasingly subject to damage due to deteriorating pollution and stress and chemical treatments. There has been research on various ways to improve damaged hair including the methods to deliver ingredients with efficacy and effect to damaged hai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nano-materials.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created a nanosome to improve damaged hair and called it a cell membrane complex(CMC). The study set out to compare its improvement effects on damaged hair before and after nanoization with a high pressure homogenizer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noization on damaged hair. The subjects include ten women in their twenties, thirties, or forties who were healthy and had healthy hair. Samples were taken at a location about 2 centimeters from the occipital scalp and prepared to be 0.5g and 20cm. The samples were damaged with a decolorant, being measured for tensile strength and observed on the surface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to compare effects on hair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CMC nanoiz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le siz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CMC nanoization with a high pressure homogenizer. As a result, the particle size was in the range of 742.1-1507.1 nm with an average of 1117.1nm before CMC nanoization and in the range of 30.7-201.9nm with an average of 149.8nm after CMC nanoization. The particle size decreased from 1103.6nm to 93.2nm after CMC nanoization with a high pressure homogenizer. The observation results of emulsification membranes with a cryo-electron microscope confirmed the formation of a round nanosome. Second, the zeta potential was in the range of 20~-60mV with an average of -20.0mV before CMC nanoization and in the range of 25~-85mV with an average of -29.17mV. The zeta potential increased from -20.00mV to -29.17mV. Which seems to be because it is easier to maintain a dispersive state after nanoization than before it and thus establish a colloidal emulsification state. The samples were matured at normal temperature for a day after CMC nanoization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of 0℃ and 40℃ for 30 days, proving to maintain a stable state with no separation. Third, the damaged hair samples with the surface treated were measured for tensile strength before and after CMC nanoization. As a result, the damaged hair recorded a recovery of 9.5% to 138.13gf/cm2 and the bleached hair 13.9% to 145.20gf/cm2 after CMC nanoization at 122.90gf/cm2. The findings show that application to damaged hair after CMC nanoization increased the tensile strength than before nanoization. Fourth, the damaged hair samples with the surface treated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before and after CMC nanoization. As a result, there was improvement in the hair surface with a crack due to a damaged cuticle layer. The film on the surface became thinner after nanoiz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le size became smaller and stabilized after CMC nanoization than before it and that a nanosome was formed. It was also found that surface treatment of damaged hair after CMC nanoization increases tensile strength and improves the hair surface as the smaller particles penetrate more easily. 공해와 스트레스의 증가로 모발의 손상이 더욱 더 커지고 있고, 컬러링과 퍼머넌트웨이브 등의 화학적인 시술로 인해 손상된 모발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나노신소재의 개발로 모발에 더욱 효과적인 방법으로, 효능효과가 있는 물질을 전달할 방법이 다양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손상모발을 개선하기 위해 나노좀을 만들었는데 그 나노좀을 세포막복합체(cell Membrane Complex, CMC)라 한다. CMC를 고압균질기(high pressure homogenizer)로 나노화하여, CMC나노화 전, 후를 손상모발에 도포하여 개선효과를 비교함으로써 나노화가 손상된 모발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건강한 모발을 가진 20-40대의 건강한 여성 10명의 모발을 후두부 표피에서 약 2cm 떨어진 지점에서 채취하였고, 0.5g씩 계량하여 20cm로 길이를 조정하여 실험하였다. 나노화 전, 후의 입자크기를 측정하고 유화막을 관찰하여 나노좀이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고, 유화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제타전위를 측정하고 30일간 안정도를 관찰하였다. 모발 손상 개선을 비교하기 위해 시료모발을 탈색제로 인위적으로 손상시켜 CMC나노화 전, 후의 모발에 도포한 후, 인장강도 측정과 모발 표면을 관찰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나노좀 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고압균질기에 의한 CMC나노화 전, 후의 입자 크기를 측정한 결과, CMC나노화 전은 입자의 크기가 742.1-1507.1nm의 사이에 분포되었으며 평균값은 1117.1nm로 측정되었고, CMC나노화 후 입자의 크기는 30.7-201.9nm의 사이에 분포되었으며 평균값은 149.8nm로 측정되었다. 고압균질기에 의해 입자크기는 1103.6nm에서 93.2nm로 더 작아졌다. 동결 전자현미경으로 유화막을 관찰한 결과, 구형의 나노좀이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유화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CMC나노화 전, 후의 제타전위를 측정한 결과, CMC나노화 전 제타전위는 20에서 -60mV의 사이에 분포되었으며 평균값은 -20.0mV로 측정되었고, CMC나노화 후 제타전위는 25에서 -85mV 사이에 분포되었으며 평균값은 -29.17mV로 측정되었다. 제타전위는 -20.00mV에서 -29.17mV로 증가되었고, 나노화 후가 나노화 전보다 안정한 콜로이드 유화상태가 된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한 CMC나노화 후 상온에서 1일 숙성 후, 실온 및 0℃, 40℃ 가혹 조건하에서 30일 경과 후의 안정도를 관찰한 결과, 분리되지 않는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셋째, 인장강도의 개선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CMC나노화 전, 후로 표면 처리 된 손상모발의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 건강모는 160.54gf/cm2로 측정되었고, 손상모발 122.90gf/cm2로 측정되었다. CMC나노화 전으로 표면 처리한 손상모발은 138.13gf/cm2로 손상모발에 비해 9.5% 회복되었고, 나노화 후로 표면 처리한 손상모발은 145.20gf/cm2로 손상모발에 비해 13.9% 회복되었다. CMC나노화 후를 손상모발에 도포하였을 때 모발의 인장강도가 나노화 전보다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손상모발 표면의 개선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CMC나노화 전, 후로 표면 처리된 손상모발의 표면을 관찰한 결과, CMC나노화 전으로 표면 처리한 손상모발은 탈색제에 의해 벌어졌던 큐티클 층이 다시 회복되었으나 일부 회복이 되지 않아 여전히 들뜬 큐티클 층이 관찰되었으며, 표면에 두꺼운 막이 형성되어 큐티클 층을 덮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CMC나노화 후로 표면 처리한 손상모발은 탈색제에 의해 벌어졌던 큐티클 층이 다시 고른 표면으로 회복되었으며, 표면에 얇은 막이 형성되어 큐티클 층을 덮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CMC나노화 후가 나노화 전보다 더욱 고르게 모발표면을 회복시켜주며, 얇은 막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CMC나노화 후가 나노화 전보다 입자크기가 작아지고 나노좀이 형성된 것을 관찰하였고, 안정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손상된 모발에 CMC나노화 후로 표면 처리를 하면, 나노화 전에 비해, 인장강도가 증가되고, 모발표면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基督敎 修道院主義의 起源에 關한 硏究

        고승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硏究는 修道院主義의 正統性을 論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그 起源에 관한 問題를 고찰하고자 했다. 이에 본 論文에서는, 먼저 특별히 修道院主義가 어떠한 思想에 그 淵源을 두는가를 밝히는 思想的 起源에 대한 연구에 主眼点을 두어 고찰하였다. 그리고 둘째는 그것이 어떠한 時代的 背景에 의해서 發生하게 되었는가를 밝히는 政治·社會的 背景과 宗敎的 背景 等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東·西方 修道院에 있어서 그 最初 始原의 問題, 즉 누가 또는 어떤 集團이 最初였는지를 밝히는 硏究를 다루었다. 첫째, 그 思想的 起源에 있어서, 기독교 修道院主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것은 헬라 哲學의 영혼과 육체를 구분하는 二元論的 禁慾思想이었다. 기독교가 헬라 문화권에 유입된 때와 시기적으로 類似한 시대에 번성했던 후기 스토아 哲學은 基督敎의 禁慾 傾向이 싹트게 되는 思想的 背景이 되었다. 또한 헬라 哲學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있던 오르페우스교와 헬라의 靈知主義의 靈肉 二元論 思想과 이에 따른 禁慾思想이 결과적으로 기독교 修道院主義의 형성에 間接的 영향을 미쳤다. 헬라 哲學 외에 두 번째로 크게 基督敎 修道院主義의 형성에 思想的 영향을 준 것은 유대교이다. 초기 기독교회가 생겨나는 바로 그 시기에 유대주의는 禁慾에 관한 理論과 實際를 현저히 발전시켜 놓고 있었으며, 이런 傾向은 기독교 공동체에 그대로 반영되는 결과를 낳았다. 유대교의 에세네파(Esseners)가 가진, 世界를 빛의 나라인 하나님의 나라와 어둠의 나라인 사탄의 나라로 나누는 二元論的 思考方式과 禁慾的 修道生活 形態, 使徒行傳의 설명과 평행을 이루며 後代의 基督敎 共住修士들의 전형적인 모습을 띠었던 이집트의 테라퓨테(Therapeutes) 공동체의 修道生活方式, 舊約聖書에 등장하는 레갑 족속의 修道生活形態, 그리고 基督敎 修士들의 臨迫한 終末의 期待와 상통하는 後期 유대 默示思想 等은 어떠한 형태로든지 基督敎 修道院主義를 자극하였다. 그러나 그 起源段階에서 기독교 修道院主義가 일부 思想的 側面에서 他 宗敎·哲學과 영향을 주고받았다는 전제를 감안하더라도, 基本的으로 기독교 修道院主義는 聖書의 가르침과 基督敎的 토양과 원칙들 위에 他 宗敎·哲學의 禁慾的 사상을 基督敎化해서 발전시켜 나간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기독교 修道院主義가 왕성하게 발전하였던 4세기초의 時代的 背景은 어떠했는가. 먼저 그 政治的 背景을 살펴보면, 초기 교회는 로마 정부와 유대인들의 끊임없는 迫害의 威脅 속에 성장하였으나 주후 313년 유명한 콘스탄틴(Constatine) 황제의 基督敎 公認 이후 殉敎의 개념이 靈的으로 해석되면서 禁慾的인 삶을 사는 것이 殉敎者의 삶을 대신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또한 4세기 社會的 背景도 修道院主義에 영향을 미쳤는데, 당시 과중한 稅金을 피하기 위하여, 또는 兵役의 문제와 신앙의 괴리를 해결하기 위하여, 또는 社會的 墮落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砂漠을 찾기도 했다. 즉 修道院主義는 反社會的·反文化的 傾向의 大衆運動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敎會 內的인 背景, 즉 宗敎的·信仰的 背景이 가장 큰 修道生活의 動機였다. 결혼하지 않은 이들은, 보다 주님을 자유롭게 섬길 수 있다는 바울의 말씀(고전 7:25-33)과 福音書의 부자청년에 대한 예수의 권면(마 19:21) 등에서 修道生活의 가장 큰 根據를 찾았다. 한편 基督敎 公認 이후 敎會가 世俗化되었다고 여긴 많은 信者들, 주님의 臨迫한 再臨에 대한 期待에 따른 現實逃避主義와 獨身主義, 定型化·敎權化된 敎會에 대한 反動 등이 일단의 信者들을 禁慾修道生活로 이끄는 특별한 動機들로 작용했다. 셋째, 修道院主義의 始原的 人物 또는 集團은 누구인가. 修道院主義의 始原을 사도행전에 나타난 使徒的 共同體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이러한 주장은 修道院主義에 대한 聖書的 根據를 확고히 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價値가 있다. 그러나 기독교 修道院主義의 始原은 일반적으로 사도시대 이후 2세기부터 시작된 無名의 砂漠의 隱修士들이 거론된다. 使徒時代 이후 無名의 隱遁修士들은 계속 있어왔다. 한편 이러한 無名의 隱修士들과는 달리 그 이름이 문헌에 등장하는 修道院主義의 始原的 人物로는 2세기 중반경 인물인 테베의 바울(Paul of Thebes)과 3세기말의 안토니(St. Anthony)가 있다. 이들은 그 이름이 文獻에 거명된 最初의 修士라는 점에서 史料的 價値가 있다. 그리고 半隱遁的 修道形態에서 한발 발전시킨 파코미우스(Pachomius)의 修道院은 이전의 個人 修道生活의 형태에서 共住 修道生活로 전환된 最初의 修道院 共同體라는 점에서 歷史的 意義가 있다. 넷째, 西方修道院의 始原의 문제에 있어서는, 修道院主義를 西方에 최초로 소개한 아타나시우스(Athanasius)가 始原的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修道院을 설립하지는 않았다. 현재까지의 文獻資料들을 통하여 年代的으로 살펴볼 때 실제적으로 西方에서 修道院主義를 확립한 사람은 투우르의 마아틴(Martin of Tours)이다. 그는 362년경 갈리아의 투우르(Tours) 지방에 修道院을 설립하였는데 이것이 西方에서의 最初의 修道院이다. 그리고 西方修道院은 東方修道院의 理想을 받아들여 스스로의 土壤에 새롭게 적응하여 土着化를 이루었다. 즉 制度圈敎會와 分離되어 있었던 東方修道院과는 달리 西方修道院은 制度圈敎會와의 紐帶를 잘 이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origin of the Christian Monasticism, that is very important on argument about it's legitimation(orthodoxy). Therefore I especially researched the sources of the thought that had given the sources of monasticism in the early Christian Church. And I researched on the politic, social and religious sources of monasticism in it's period backgrounds. And I researched the subjects about the first origin, that is, who or what groups were the first monks or monasteries. In the first place, as regards it's origins of thought, the dualistic asceticism of the Greek philosophy, that divide a person into a soul and a body, had influence upon the Christian Monasticism. In the background of the thought, the late Stoicism that had already been prosperous in the time when the Christianity came into the boundary of Greek culture had influence upon the Christian asceticism. The dualism of Orphicism and Gnosticism that divide a person into a soul and a body had influence upon the Greek philosophy, and their asceticism consequently had an indirect influence upon the Christian Monasticism. And Judaism had influence upon the Christian Monasticism. In the time when the early Christian Church arose, the asceticism and it's practices remarkably have been developed by Judaism. And the early Christianity accepted this tendency as it is. The Esseners of Judaism have had the dualism and practices of the ascetic monasticism. They trusted that the world is divided into the country of God as the country of lights and the country of Satan as the country of darkness. And the Therapeutes of Egypt whose monastic lifestyle was similar to the Apostles' lifestyle in the Acts were similar to the late Cooperative Dwelling Christian Monks. This Esseners and Therapeutes had influence upon the Christian Monasticism. And the monastic lifestyle of Rekabiter in the Old Testament also stimulated the Christian Monasticism. And the apocalyptic thought of the late Judaism that communicated with the Christian monks' expectation of the impending end stimulated the Christian Monasticism too. But, although the Christian Monasticism communicated with the various pagans and philosophies in the original period, the Christian Monasticism fundamentally developed to be based on the Bible's teachings, the Christian backgrounds and principles. Nevertheless the asceticism of the various pagans and philosophies partly mixed with the Christian Monasticism. In the second place, the Christian Monasticism developed prosperously in the early 4th century. Well then, what were it's period backgrounds? I first of all considered it's politic backgrounds. The early Christian Church was developed with the continual persecution of Romanic government and Judaists. But after Constantine recognized officially Christianity in 313, Christians interpreted the notion of 'martyrdom' as a spiritual notion. Christians trusted that the ascetic life was the life of martyrdom. And the social backgrounds had influence upon the Christian Monasticism in the 4th century; to evade the heavy taxes or to exempt from the military service, and to escape the social depravities, monks went to the deserts. The Christian Monasticism was an anti-social and anti-cultural popular movement. But, above all, the inner backgrounds of Christian Church, that is, the religious and faithful backgrounds were the most motives of the monastic life. Paul's teaching, that is, "to remain unmarried life is to service the Lord very well"(1Cor. 7:25-33), and Jesus's teaching about a rich young man(Matt. 19:21) were the most motives of the monastic life. On the other hand, after Constantine recognized officially Christianity in 313, many Christians thought that Church became secularization. And the escapism and celibate that based the expectation of the near Second Advent of Christ especially were the motives of the monastic life. And the objections against a systematic and authoritarian Church were the special motives of the ascetic and monastic life. In the third place, who were the epochal person or group of Christian Monasticism? As regards this, there are viewpoints that the origin of the Christian Monasticism was the group of Apostles in the Acts. This opinions are worth studying from a point of view what firmed a Biblical basis about Christian Monasticism. But according to becoming generally known, the epochal persons of the Christian Monasticism were the unnamed retired monks, who lived in Egypt desert in the 2th century. They have existed since the Apostles' age. On the other hand, with the exception of this unnamed retired monks, the epochal persons of Christian Monasticism who their names were written in the Fathers' literatures were Paul of Thebes in the middle 2th century and St. Anthony in the late 3rd century. These have a historical worth in respect of the first monks whose names were written in the literatures. And Pachomius' monastery that developed more than this half retired monasticism have a historical worth in respect of the first monastery that exchanged the personal monastic lifestyle for the cooperative dwelling monastic lifestyle. Fourthly, as regards the epoch of the Western Monastery, Athanasius is a epochal person. He firstly introduced the Eastern Monasticism to the Western Church. But he didn't establish a monastery. According to the literatures up to now, Martin of Tours is the first establisher of the Western Monastery. He established a monastery in Tours in 362. It is the first Western Monastery. And the Western Monastery that accepted the ideal of the Eastern Monastery became native it. The Eastern Monastery distinguished between the worldly church and the monastery. But Western Monastery came into close relation with the worldly church.

      • DEA 모형을 활용한 국내 발전회사의 운영 효율성 평가

        고승철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1961, Korea Electric Power Cooperation(KEPCO) was founded by Merging Korea's three electric power companies. In April 2001, according to the Korean Government's restructure plan in electric power industry, KEPCO's generation division was divided to six generation companies. The general purpose of the restructure in electric power industry is to increase the electric power system efficiency by de-regulating the market, in keeping with international trend. This process has taken 6 years. Now we need to consider its efficiency by analyzing operation activities from the electric power industry restructure. Thus, this study aims to assess and compare the efficiency of six electric power generation companies and clarify the possibility of saving input and output elements and weaknesses through factor analysis,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operation efficiency, and present reasonable ways to improve efficiency by giving reduction in input elements.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is the most efficient evaluation method to compare the DMU(Decision Making Unit)s relatively. The DEA model evaluates efficiency to maximize the total amount of output compared to the total amount of input. The input and output factors selected need to have direct or indirect relationship. The fact that electrical power companies utilizes such resources as nuclear power plants, thermal power plants, hydro power plants, and other human resources must be conside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different results were acquired between using input factors as total capacity of generators and human resources and using input factors as such as sub-totals of generator capacity based on primary energy sources and human resources. In our opinion, it is the result influenced by DEA's distinguishing property among input factor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proportion of fixed costs(generating facilities) and variable costs(generation costs for primary energy). Second, efficiency will be increased if input factors selection, according to primary energy sources discussed in this research, are used during long-term expansion of electric power capacity plans. 1961년 대한민국 전력 삼사(三社) 통합으로 탄생한 한국전력공사는 그간 국가 경제재건 및 전력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2001년 4월 전력산업구조개편으로 한국전력공사는 1개의 송배전회사와 6개의 발전회사 그리고 전력시장의 운영기관인 전력거래소로 나뉘게 되었다. 전력산업구조개편의 궁극적인 목적이 독점체제를 경쟁체제로 전환하여 공기업 내부경영의 비효율적 요소를 제거하고, 시장을 통한 자원배분 매카니즘을 작동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세계적 조류에 대응하고자 함을 주지하여 볼 때, 시행 6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그간의 실적을 바탕으로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효율성 평가방법으로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 DEA)을 이용하였고 산출변수는 전력거래량과 그로 인한 매출액으로 고정하였으며, 투입변수를 다음의 2가지로 적용하였다. 하나는 기존 논문에서 주로 적용된 총 발전설비용량과 근로자의 수를 적용하였으며, 다른 하나는 1차 에너지원(수력/대체에너지, 석탄화력, 유류/가스, 내연/복합화력, 원자력)별 발전설비용량과 노동력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다음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발전회사의 설비용량을 투입요소로 적용할 때, 총 설비용량을 적용하는 경우와 세부적으로 각 에너지원에 따른 발전설비용량을 적용한 경우의 DEA분석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각 발전설비의 고정비(발전설비)와 변동비(발전연료비)의 비율특성이 DEA분석에서 감안된 결과로 생각된다. 둘째, 본 논문에서 사용한 1차 에너지원별 발전설비 투입요소 선정방식을 이용한 DEA분석결과를 향후 중장기 발전설비 보강 계획시 참고자료로 활용한다면 발전회사의 운영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시장에 입찰 방식으로 경쟁하고 있는 발전회사간의 운영 효율성을 비교 평가하고 실증분석을 통하여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의 절감 여지나 취약부분을 규명함으로써 경영효율성 제고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의 비상대응을 위한 재난안전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고승철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Disaster accidents that occur within domestic enterprises are characterized by frequent and repeated risk factors of the same type leading to disasters. According to the industrial accident status analysis data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occupational accident fatality rate has steadily decreased and the maximum accident rate has increased since 2018, and the domestic occupational accident death rate is still higher than that of advanced countries. In order to reduce the industrial accident rate and death rate, the government has been strengthening safety management of institutions and companies under the national task of reducing the death toll from industrial accidents by half from 2018. is focusing on In addition, through the full revision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2020, the laws were subdivided from 9 chapters and 136 articles to 12 chapters and 175 articles and binding force was enforced. However, the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 deaths in 2021 was 909, an increase of 27 from the previous year. The most striking characteristic of accidents occurring within domestic companies is that most accidents are concentrated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s of 2020, there are about 4.1 million domestic companies, among which there are 4.05 million businesses with fewer than 50 employees, accounting for 98.8% of the total. Also, looking at the accident rate until September 2020, workplaces with fewer than 50 employees accounted for 79.1%, and for serious accidents reported to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orkplaces with fewer than 50 employees accounted for 84.9%. Despite the concentration of disasters on SMEs with fewer than 50 employees,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s regulations on micro-enterprises are weak and there are many exceptions. In the case of the Severe Accident Company Punishment Act, which is scheduled to come into effect in 2022, there is a grace period of two years for businesses with less than 50 employees to apply the law.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accident rate by strengthening safety management starting with industries with high frequency of accidents, but the reality is that this is not the case.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disaster safety program to strengthen safety management in workplaces with fewer than 50 employees. A disaster safety program was developed by analyzing domestic laws and safety certification systems, and precautions and operational strategies were suggested when operating the disaster safety program. In addi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companies exclud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areas that are subject to the law but need to be strengthened,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explained as follows. First, to help build a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by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manual that will be applied to disaster safety programs for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deviate from regulations such as the process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using this as a basic data do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provision i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rule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so that disaster safety programs can be enacted and implemented by companies. We want to implement a safety program. In addition,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visits the workplace under its jurisdiction every year to manage and supervise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disaster safety program, or an institution such as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monitors and provides technical guidance for the disaster safety program on behalf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o reduce the incidence of industrial accidents. We want to build a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system so that it can take root in the workplaces of high SM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eventing small accidents from escalating and developing into social disasters by taking appropriate initial responses in case of accidents. Ultimately, it is expected to have a great effect in reducing the industrial accident and fatality rate in Korea. 국내 기업 내에서 발생하는 재난사고는 동일한 유형의 위험요인이 빈번하고 반복적으로 재해로 연결되는 특징을 가진다.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산업재해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산업재해 사망 만인율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전체 재해율은 2018년부터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의 산업재해 사망률은 선진 외국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산업재해율과 사망률을 감소시키고자 정부에서는 2018년도부터 산업재해 사망자 절반 줄이기라는 국정과제를 내세워 기관 및 기업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고용노동부 근로감독관의 증원을 통해 제조업 및 건설현장의 안전감독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2020년 산업안전보건법 전면 개정을 통해 9장, 136개 조문에서 12장, 175개의 조문으로 법령을 세분화하고 구속력을 강제하였다. 하지만 2021년도 산업재해 사망자수는 전년 대비 27명이 증가한 909명으로 집계되었다. 국내 기업 내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대부분의 사고가 중소기업에 편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2020년 기준 국내 기업은 약 410만개가 존재하며, 그 중 50인 미만 사업장은 405만개로 전체의 98.8%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2020년 9월까지의 사고 발생률을 살펴보면 50인 미만 사업장이 79.1%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고용노동부에 신고된 중대재해도 50인 미만 사업장이 84.9%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50인 미만의 중소기업에 재해가 집중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안전보건법의 영세기업에 대한 규제는 미약하고 예외조항도 다수 있다. 2022년에 시행을 앞두고 있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의 경우에도 50인 미만 사업장은 법 적용에 2년의 유예기간을 두고 있다. 재해발생 빈도가 높은 규모의 업종부터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재해율 감소에 효과적이나 현실은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50인 미만 사업장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자 재난안전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국내 법령 및 안전인증 시스템을 분석하여 재난안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재난안전 프로그램 운영 시의 유의사항과 운영전략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산업안전보건법 적용으로부터 제외되는 기업 그리고 법의 적용은 받고 있으나 강화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첫 번째, 산업안전보건법의 공정안전관리제도 등의 규제에서 벗어나는 제조업을 대상으로 재난안전 프로그램에 적용 될 재난안전 매뉴얼을 정립하여 이를 기초자료로 삼아 재난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두 번째, 재난안전 프로그램이 법으로 제정되어 기업들이 이행할 수 있도록 산업안전보건법 및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신규 조항이 신설되어 관리될 필요성을 말하고, 법의 적용을 통해 국내의 제조업이 재난안전 프로그램을 이행하도록 하고자 한다. 그리고 고용노동부에서 관할 사업장을 매년 방문하여 재난안전 프로그램의 이행상태를 관리⋅감독하거나, 안전보건공단 등의 기관이 고용노동부의 업무를 대신하여 재난안전 프로그램의 모니터링 및 기술지도를 통해 산업재해 발생률이 높은 중소기업의 사업장에 체계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구축하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고 발생 시 적절한 초기대응으로 작은 사고가 확대되어 사회적 재난으로 발전되는 것을 예방할 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결국 대한민국의 산업재해 및 사망사고율을 감소시키는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존 웨슬리의 구원론에 있어서 죄의 개념에 대한 연구 : 죄의 원인과 치유를 중심으로

        고승철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영혼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죄의 현상을 연구한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목회자로서 신학 학문의 길을 가면서 항상 고민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을 한다. 인간이 불행하고 인간이 이처럼 고통스러워하는 근원적인 이유는 인간 안의 죄의 문제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죄가 무엇인가를 바로 인식하고 접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많은 신학자들은 죄의 문제를 다르게 해석을 했다. 슐라이어마허는 정신과 육체의 분열로, 바르트는 혼동과 무지에서, 니버는 유한성에 대한 불안으로, 틸리히는 실존적 소외에서, 그리고 해방신학은 억압과 소유의 불균형과 같은 경제적 갈등에서 죄의 근원을 찾고 있다. 이러한 이론은 죄의 근원에 대한 접근과 해석 방식이 너무나도 다르다는 것이다. 의사는 바른 진찰과 진단을 해서 그 환자가 다시금 병이 치료되고 육신이 건강함을 얻도록 하는 것이 의사의 사명이듯, 우리의 사명은 죄로 인하여 고통을 당하고 괴로워하는 이 땅의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바른 처방을 알려주어야 한다. 이 시대는 바른 죄에 대한 해석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사람들의 관심은 얼마나 성서적이냐 아니냐에 관심이 없고 오직 이 이론이 얼마나 학문적이냐 그리고 새로운 이론이냐에 관심이 있다. 그것은 학문적이고 이론적 일수는 있으나 그것으로 사람을 살릴 수는 없다. 웨슬리는 성경을 통해서 자신의 죄론의 정립하였다. 죄라고 하는 것을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개념의 죄가 아니라 인간의 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 안에 있는 부패성과 인간 밖에서 작용하는 죄의 세력을 이해해야만 한다. 이러한 죄의 세력은 사단, 마귀, 루시퍼로 영적인 피조물이다. 이러한 영적인 피조물이 아담과 하와를 유혹하여 약속에 대한 불신을 갖게 하여 하나님과의 관계를 깨트리고 인간 안에 죄를 드려 보냈다. 하지만 이러한 죄는 우리가 예수를 믿기 전에는 전적으로 무능한 상태에 놓이지만 구원받은 다음에는 우리 영혼 가운데 부패의 상태로 놓이게 된다. 신자 안에 아직도 부패성이 남아 있어서 죄 짓게 하는 세력의 유혹으로 인간이 설득되어 넘어가게 된다. 이러한 죄를 이기는 것은 인간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 이것은 인간과 영적 피조물과의 영적인 싸움이기 때문이다. 영적 피조물(죄짓게 하는 세력)은 우리가 하나님에게서 멀어지도록 우리 영혼 안에서 유혹이라고 하는 설득의 작업을 한다. 이 작업에 인간이 말씀을 따라 믿음으로 순종함으로 이길 수가 있지만 이 설득에 넘어가면 우리는 내적인 죄를 짓고 죄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웨슬리에게 있어서 죄라고 하는 보이는 외적인 현상보다는 내적인 상태의 죄를 더욱더 심각하게 바라보고 그러한 내적인 죄로 말미암아 외적인 죄가 나온다고 보았다. 우리가 사람들이 신앙생활을 게을리 한다면 웨슬리에게 있어서는 그 사람이 외적인 죄를 범하기 전에 내적으로 그의 영혼 안에 믿음이 떨어지고 불신앙 살아나고 그로 말미암아 교만과 세상 사랑으로 인하여 하나님보다 세상이 더욱 좋아하고 그 안에 외적인 죄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죄는 완치 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웨슬리의 견해이다.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이라고 하는 개념을 통해서 완전한 사랑의 상태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이 죄 없이 이루어지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때에는 하나님처럼 죄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 상태에는 우리의 사랑이 의도의 순수성을 가지고 죄 없이 하나님이 요구하시는 뜻을 육신의 한계성 안에서 이루어 가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더욱더 믿음 안에서 잘 자라며 더욱더 죄를 잘 이기고 사랑이 충만한 상태이다. 우리는 이러한 상태 가운데 성장함으로 인하여 하나님이 우리에게 요구하신 죄를 극복할 수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완전의 단계에 있다고 해도 그것은 우리가 죄를 더욱더 잘 이기고 하나님을 잘 의지하는 상태이지 하나님 없이 거룩함이 유지되는 상태는 아니다. 우리도 암에 걸리었는데 암이 완치되었다고 해서 건강관리를 소홀 이 하거나 방탕한 습관으로 돌아간다면 다시 재발하듯이 우리의 죄도 그렇다. 그렇지만 그리스도의 완전은 떨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은 있지만 믿음 안에서 우리가 더욱더 잘 자라는 상태이기에 우리의 건강이 더욱더 좋아지는 상태로 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구원이라고 하는 것이 더욱더 명료하고 객관적으로 설명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연구를 하였다. 인간 안에 있는 죄는 우리의 육신을 괴롭히는 악성 병원균과 같아서 이 병균에 대한 대처법을 안다면 사람들이 인생사에서 접하는 죄에 대한 대처와 해결법에 더욱더 잘 대처 할 것이다. 이러한 죄에 대하여 올바른 이해는 신앙을 굳게 할 수 있고 또한 성장 시킬 수 있고 치료 회복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죄에 대한 바르지 못한 개념의 인식은 교회를 병들게 한다. 이러한 죄의 바른 인식은 복음의 능력과 구원의 역사로 나타날 것이다.

      • 단일헬스클럽의 시장세분화를 통한 표적마케팅 전략 개발

        고승철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subdivide the market of independent health clubs,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ective subdivided markets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the loss of established members and to attracting new members by making appropriate marketing efforts to the selected target group. For this purpose, five independent health clubs located in Taegu City were chosen as a population, and by random sampling a total of 500 members, with 100 members from each health club was selected. The research method is that after visiting the health clubs,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in details to the director and had them distributed to the members, who were then asked to fill in the forms by self-administration method. Out of the retrieved questionnaires, 445 copies (89.0%) were adopted as final samples and the other 55 copies were discarded because of insincere responses or cases of unanswered questions. A questionnaire consists of 70 questions: 9 questions are about demographic features, 39 questions about service factors, 16 questions about the motivational factors of participation and the remaining 6 questions are about the behavioral factors after subscription. Factor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inorder to find out the pertinence about the measuring methods, and as a factor extract method Maximum Likelihood Method has been employed, which calculates the estimated value of the closest parameter by surmising that samples have been extracted from a multi-variable regular population with Eigen value set above 1.0. As for Factor Rotation Method, one of Orthogonal Rotation Methods, Varimax Rotation Method, which emphasizes the mutual independence among factors has been used, and the factor loading capacity analyzed by the standard value more than ±0.4, is classified into sports facilities, indoor environment, accompanying facilities, indoor atmosphere, outdoor environment, human relations, leading capabilities, programs, fees, sociability, psychological pleasure, healthcare, relief of stress, cosmetic concerns, oral transmission, repeated subscription. The analysis of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shows that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represented from .7091 to .9156. In this research, SPSS 12.0 package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possible problems. The deduced conclusions from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market fractionation by the service factor was conducted, it was subdivided into three different markets. Fraction 1 is the group of 'satisfied type with surroundings and human relations', which consists of married housewives in their 30's and 40's with bachelor's and higher degrees, and their subscription period for each enrollment was 3 months. Fraction 2 is the group of 'satisfied type with indoor atmosphere and programs', which consists of married housewives in their 20's with bachelor's degrees, and their subscription period for each enrollment was 3 months, but it showed longer enrollment rates by 6 months than other fraction markets. Fraction 3 is the biggest group of 'satisfied type with exercising facilities and fees', which consists of unmarried male university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in their 20's, and the subscription period for each enrollment was 3 months. Second, when the market fractionation by motivational factors was conducted, it was subdivided into 4 different markets. Fraction 1 is the group valuing 'stress relief and cosmetic concerns', which consists of unmarried female university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and the subscription period for each enrollment was 3 months. Fraction 2 is the biggest group valuing 'sociability',which consists of married female university undergraduates, graduates and housewives in their 20's, 30's and 40's. Subscription period for each enrollment was mostly 3 months, and rates of longer-term subscribers are higher than other fraction markets. Fraction 3 is the group valuing 'psychological pleasure', which consists of unmarried male university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in their 20's, and the subscription period for each enrollment was 3 months. Fraction 4 is the group valuing 'healthcare', which consists of unmarried male university undergraduates in their 20's, and the subscription period for each enrollment was 3 months. As seen in the results about the markets fractionized by motivational factors, females use health clubs to relieve stress and create friendly and social relationship, while males tend to use them to get pleasure through exercising and maintain health. Third, when the differences in behaviors were compared after subscribing to each fraction market, fraction 3, the group of 'satisfied type with exercising facilities and fees', showed in the area of fraction market comparison by service satisfaction factor the highest average value in terms of oral transmission and repeated subscription. In the fraction market comparison by motivational factors, in terms of oral transmission, fraction 3, the group valuing 'psychological pleasure' and in terms of repeated subscription, fraction 4, the group valuing 'healthcare' showed the highest average values respectively. Finally, the analysis about the effects of the service satisfaction factor on the behaviors after subscription shows that in terms of oral transmission factor, human relations between the leader and members have the most significant effect, followed by outdoor environments, fees and programs. Fees have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factor of repeated subscription, followed by the human relations between the leader and members, and indoor atmosphere. The results mentioned above can be considered to provide the very important basic data in market promoting strategies to secure more members in independent health clubs. (초록) 본 연구는 단일헬스클럽의 시장을 세분화하고 각각의 세분시장의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선정된 표적집단에 적절한 마케팅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기존고객의 이탈방지 및 신규고객의 유치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소재 단일헬스클럽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5개의 단일헬스클럽을 선정하였으며, 각 헬스클럽에서 회원 100명씩을 무작위 표본추출법에 의해 총 500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방법은 본 연구자가 헬스클럽을 직접 방문하여 헬스클럽의 관장에게 설문 내용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고, 회원들에게 직접 배포하게 하였으며, 각 설문 문항에 대해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회원들이 직접 작성하게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기입이 누락된 설문 55부를 제외한 445부(89.0%)를 최종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9문항, 서비스 요인 39문항, 참여동기 요인 16문항, 구매 후 행동 요인 6문항으로써 총 7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요인추출방법은 다변수 정규모집단에서 표본이 얻어진 것으로 가정하여 측정된 상관관계에서 가장 유사한 매개변수의 추정치를 산출하는 방법인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ethod)을 사용하였고, 고유치(Eigen value)는 1.0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요인회전방법은 직각회전(Orthogonal rotation)법 중 요인간 상호독립성을 강조하는 varimax rotation을 사용하였고, 요인 적재치는 ±0.4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운동시설, 실내환경, 부대시설, 실내분위기, 외부환경, 인간관계, 지도능력, 프로그램, 이용요금, 사교, 심리적즐거움, 건강, 스트레스 해소 및 미용, 구전, 반복구매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에 대한 분석결과, Cronbach's α계수가 .7091에서 .915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의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2.0 packag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결과로부터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만족 요인에 의해 시장세분화를 실시한 결과, 3개의 시장으로 세분화 되었다. 세분시장 1은 ‘주변환경 및 인간관계 만족형’ 집단으로서 30대, 40대의 대졸 이상 기혼 여성이며 직업은 전업주부이고, 1회 등록기간은 3개월로 나타났다. 세분시장 2는 ‘실내환경과 프로그램에 만족형’ 집단으로서 20대의 대졸 기혼 여성이며 직업은 전업주부이고, 1회 등록기간은 3개월이었지만, 다른 세분시장보다 6개월 이상 장기등록 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세분시장 3은 가장 큰 세분시장으로 ‘운동여건과 이용요금 만족형’ 집단으로서 20대의 미혼인 대재 및 대졸의 남자이며, 직업은 학생이고, 1회 등록기간은 3개월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동기 요인에 의해 시장세분화를 실시한 결과, 4개의 시장으로 세분화되었다. 세분시장 1은 ‘스트레스 해소 및 미용 중시형’ 집단으로서 20대의 미혼인 대재 및 대졸 여성이며 직업은 학생이고, 1회 등록기간은 3개월로 나타났다. 세분시장 2는 가장 큰 세분시장으로 ‘사교 중시형’ 집단으로서 20대, 30대, 40대의 기혼인 대재 및 대졸 여성이며 직업은 학생과 전업주부이고, 1회 등록기간은 3개월이 가장 많았지만 6개월 이상 등록하는 장기등록회원의 비율이 다른 세분시장 보다 높게 나타났다. 세분시장 3은 ‘심리적즐거움 중시형’ 집단으로서 20대의 미혼인 대재 및 대졸 남자이며 직업은 학생이고, 1회 등록기간은 3개월로 나타났다. 세분시장 4는 ‘건강 중시형’ 집단으로서 20대의 미혼인 대재 남자이며 직업은 학생이고, 1회 등록기간은 3개월로 나타났다. 참여동기 요인에 따른 세분된 시장에 대한 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여자는 미용 및 스트레스 해소와 주위사람들과의 친목도모 및 사교의 기회로서 헬스클럽을 이용하는 반면, 남자는 운동을 통하여 얻는 즐거움과 건강을 위해 헬스클럽을 이용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세분시장별 구매 후 행동에 대한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서비스 만족 요인에 의한 세분시장별 비교에서는 세분시장 3인 ‘운동시설과 이용요금 만족형’ 집단이 구전과 반복구매 모두 가장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참여동기 요인에 의한 세분시장별 비교에서는 구전요인에 대해 세분시장 3인 ‘심리적즐거움 중시형’ 집단이 가장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고, 반복구매 요인에서는 세분시장 4인 ‘건강 중시형’ 집단이 가장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넷째, 서비스 만족 요인이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구전 요인에는 지도자와 회원간의 인간관계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외부환경, 이용요금, 프로그램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반복구매 요인에는 이용요금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지도자와 회원간의 인간관계, 실내분위기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단일헬스클럽의 보다 많은 회원 확보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초소수성 표면의 제조Ⅰ. 마그네슘 기판 위 Polysiloxane의 원뿔구조 Ⅱ. 나노 다공성 폴리카보네이트 표면 형성

        고승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소수성은 표면에 물방울이 떨어 졌을 때, 표면과 물방울 사이의 접촉각이 150° 이상 되는 표면의 특성을 이야기한다. 이러한 표면을 구현하는 방법은 너무나 다양하다. 일반적인 방법은 표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구조를 형성하고, 그 위에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물질로 코팅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구조형성의 방법도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물질도 다양해 실험이 어느 표면에 그 특성을 부여하는지가 중요한 조건이 된다. 1부에 쓰인 실험은 마그네슘 기판위에 polysiloxane을 이용해 초소수성을 구현하는 실험으로 실험의 단계에 큰 변화를 주었다. 그 과정은 불소가 함유된 알킬실란 물질과 1,6-diphosphonohexane을 에탄올에 넣어준다. 혼합 용액을 24시간 동안 혼합해주면 코팅요액의 준비 과정이 끝난다. 준비된 코팅용액에 세척과정을 통해 준비된 마그네슘 기판을 완전히 잠기게 담가준다. 담가준 마그네슘 기판을 시간대 별로 꺼내어 보면 구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그 시간의 차이에 따라 최초 형성되는 모양이 바뀌고 6시간이 지나면 원뿔 형태가 형성되어 유지된다. 모양이 유지되고 나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밀도가 증가하는데, 담가지는 시간이 24시간이 되면 그 모양과 밀도가 최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 때 물방울과 표면의 접촉각을 측정하면 그 각도가 최고 160° 까지 측정이 되었다. 실험 과정에서 혼합용액에 마그네슘 기판을 담가두는 시간과 1,6-diphosphonohexane의 농도가 구조를 형성하고 초소수성을 구현하는데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그 두 조건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실험이었다. 2부에 쓰인 실험은 폴리카보네이트 표면에 초소수성을 구현하는 실험이다. 초소수성이 구현되는 표면의 특성을 최대한 고려해서 진행되는 실험이다. 이 실험은 폴리카보네이트 판의 표면을 유기용매를 사용해 구조 변화를 시키는데, methylene chloride를 사용하면 그 표면의 구조가 나노크기의 다공성 구조로 균일하게 만들어진다. 다른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경우는 그 표면이 일정 구조 없이 녹거나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렇게 다공성 구조를 만들고, 그 위에 낮은 표면에너지를 갖는 물질로 코팅을 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코팅 방법이 습식코팅으로 유기용매를 사용해 시료를 담가서 처리 하거나 유기용매와 코팅물질을 섞어 스프레이하는 방식 등이 사용된다. 그럴 경우 이미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구멍과 구멍의 사이가 얇아졌기 때문에 또 다른 유기 용매가 닿을 경우 그 구조의 모양이 망가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지 않기 위해서 이 실험에서는 trichloromethylsilane(TCMS)이라는 물질을 사용하는데 그 방법은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Thermal CVD)방법을 사용한다. 밀폐된 플라스크에 80℃ 열을 가해 기화된 TCMS가 다공성 구조의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에 붙어 코팅을 진행시킨다. 이렇게 실험이 진행되면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실험이 끝난다. 완성된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은 물과의 접촉각이 161°가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현해내는 초소수성 표면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을 기대하며 특히 큰 면적에 초소수성을 구현할 것이라는데 기대를 한다. The Superhydrophobicity is characteristic of surface with have the high water contact angle above 150° between surface and water droplet. There are a lot of methods to create a superhydrophobic surface. In general, to prepare superhydrophobic surface, two steps are required. First, the formation of nano-sized structure on the surface. Then, coating with a low surface energy material is coated. In order to apply in the industry, simple and inexpensive methods are required. In part 1, there are explain how to make conical strucutres on the Mg plate using polysiloxane. The process is as follow. The HFTHTMS and 1,6-diphosphonohexane are added in ethanol. After continuous stirring for 24 h at room temperature, the Mg plate was dipped in the solution. The morphologic alternation and density of nano structure depend on the immersion time. While 6 h after immersion, nanocones are formed sparsely.As increase of immersion time, many nano cone clusters are form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dition after 24 h have best structure and density.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water and coated surface is 160°. The formation of the nanoconical structures and superhydrophobic surfaces depend on the immersion period and concentration of 1,6-diphosphonohexane. Therefore, controlling both of them is very important. In part 2, this experiment fabricated superhydrophobic surfaces on surface of Polycarbonate(PC) plate that was known as a plastic. The various organic solvent deformed the structure of PC surface. Especially the methylene chloride created a nanoporous structure on the surface of a PC plate. Different organic solvents were selected to treat the PC plate. The other organic solvents produced a sticky or swollen surface on the PC plate. So after creating a porous structure, the surface should be coated with a low surface energy material. In general, substrates are coated as spray or immersion method. If the PC plate is treated by normal methods, nanoporous structure will be destroyed. To prevent the destructuion, this experiment use the TCMS by thermal CVD method. The airtight flask was heated at 80℃ evaporated TCMS attatched on nanoporous PC plate proceed with coating. This experiment is proceed with no deformation of its nanoporous structure. The PC plate modified with TCMS had a water contact angle as high as 161°. The approach is expected to find widespread application and will further broaden the use of large superhydrophobic surfaces.

      • 무인등대 운영에 따른 개선방안 연구

        고승철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해양수산부의 유인등대 무인화정책에 따라 무인화 진행 중인 전국의 유인등대에 대해 무인화 필요성과 타당성을 조사·연구하여 무인화 된 등대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화 정책 수립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등대 설치 및 운영을 정의ㆍ권고하는 국제기구들의 현황 및 권고내용과 유인등대 무인화정책의 논리적 근거를 알아보기 위해 해양선진국들의 등대운영 관련 정책을 연구하였고, 특히 무인등대 관리운영시스템의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해 오륙도등대를 사례로 들어 오륙도등대 관리운영시스템에 대해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 등대운영과 관련된 국제기구의 유ㆍ무인등대 설치ㆍ관리 기준을 조사하였고, 해양선진국들의 유ㆍ무인등대 관리체계와 현황을 조사ㆍ분석하여 우리나라와 비교하였다. 또한 유ㆍ무인등대의 운영시스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오륙도등대를 오랫동안 현장 실사하여 연구·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로는 국제사회가 오래전부터 국제 항로표지협회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ne Aids to Navigation and Lighthouse Authorities, IALA) 및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국제해사기구)의 등대 설치ㆍ운영에 관한 권고와 지침을 적극적으로 수렴ㆍ이행하여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속적으로 그들 나라의 형편과 효율에 맞게 유인등대 무인화정책을 실시해 와 이미 100% 무인화 된 국가가 적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에반해 우리나라는 유인등대 무인화율이 31%에 그쳐 무인화정책의 지속적인 이행이 계속하여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해양선진국들은 유인등대 무인화로 발생한 유휴부지 및 시설을 박물관, 소공원, 산책로 등의 해양문화공간이나 레스토랑, 호텔 등의 상업시설로 적극 조성하여 해양문화공간을 필요로하는 국민들이나, 지역 관광업체들에 적극 제공함으로서 대국민 해양수산정책을 홍보하는 장소로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오륙도등대를 사례로 들어 연구한 무인등대관리운영시스템을 연구하여 얻은 결과로는 현재 운용 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오륙도등대 원격감시제어시스템 중 원격감시제어시스템 및 태양광발전시스템에 시설 및 운용상에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 두 연구로 얻을 수 있었던 첫 번째 결과물은 유인등대 무인화정책에 관한 100% 완료된 세계 선진국들에 비해 31%에 그치고 있는 국내등대 무인화정책은 서둘러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이고, 두 번째는 유인등대의 무인화 사전 정비공사 시에는 전원부분과 원격관리시스템에 대해 현장 여건을 충분히 반영한 설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친환경 무인등대 운영 및 해양친수문화공간의 효율적 운용에 대해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 노인을 위한 농촌교회의 역할연구

        고승철 관동대학교 선교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생활여건의 향상과 의학의 발달로 인해 해마다 고령화의 사회에 접근하는 속도는 빨라지고 있다. 그러나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는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며, 한국교회에서 고령화 사회에 맞게 준비하는 모습은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대인들의 출산율은 저조해 이제는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제 한국도 고령화의 시대에 들어섰다는 견해가 높은 가운데 노인복지에 대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노인목회에 대한 대안은 뚜렷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정책이 날로 변화되어 가고 있으나 교회의 노인목회에 대한 접근은 여전히 일편일률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65세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의 9%에 이르고 있다고 발표했다. 특히 농촌은 고령화가 더욱 심각한 현실이다. 젊은층 들은 일자리와 공부를 위해 대도시로 떠난 상태에서 고령화는 심화되어 노인인구가 지역에 따라 18%가 넘는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학자들은 앞으로 2019년에는 고령화 사회로 완전히 들어설 것이라고 경고 하고 있다. UN이 정한 기준에 의하면 고령화 사회는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비율이 전체인구의 7-14%이다. 또한 고령사회는 14-20%, 초고령 사회는 20%이상을 명명하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 이미 1979년에 14%를 넘어 섰으며, 일본의 경우도 197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해 1994년에 고령사회가 되었다.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고령화 사회의 접근 속도가 빠르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으며 농촌의 경우는 이미 고령사회에 접근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시급히 고령화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고령화 사회와 관련해 실천신학대학원 조상돈교수는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수명은 날로 늘어나고 있으며, 사람들은 삶의 질적인 면을 존중해 건강과 웰빙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며 “특히 웰빙에 관심을 기울여 건강 보조식품을 비롯해 건강을 위한 운동과 노력 등이 이루어지고 있고 음식에 이르기까지 건강과 관련된 것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이러한 노력들이 고령화 사회로 이어지고 있으며, 노인들의 전체인구에 대비해 차지하는 인구 증가는 당연한 것이다”며 “특히 농촌의 고령화 사회는 이미 선진국의 고령사회에 준하는 시대임을 감안한다면 더욱 심각한 수준이다”라고 말했다. 조교수는 한국의 고령화 사회의 속도가 빨라지는 요인 중에 가장 큰 요소는 출산정책과도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출산정책의 실패로 인해 출산율은 날로 하락해 1.2명의 수준에 이르렀고 심각성을 인식한 정부는 3자녀 갖기를 권장하며 이들에 대한 양육비 지원책까지 내놓고 있다. 지난 70년대에만 해도 한 자녀 갖기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왔으나, 이제는 더 많은 자녀를 가져야 하는 시대로의 접근은 현실이 되어 버렸다. 그러나 젊은 층 부부들은 여전히 자녀를 많이 갖지 않길 원하고 있다. 여기에는 한 자녀만 잘 키우기도 어려운 현실 속에 많은 자녀를 제대로 양육하지 못한다면 아예 낳지 않겠다는 의견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교육비에 대한 부담감도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곤 한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로 인해 출산율은 저조해져 고령사회의 접근은 더욱 빨라지고 있는 현실이다. 웨스터민스터신학대학 이기앙 교수는 “이처럼 출산율의 저조는 젊은 사람들에게 부양분담금을 더욱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며 “지난 2004년 생산인구 8.2명당 노인 1명을 부양했는데 이런 추세라면 2030년에는 2.8명당, 노인 1명 수준이 되어 사회적 문제는 더욱 심화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로 인해 고령화 시대는 이제 한국사회에 중요한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 노인들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60%이상의 노인들은 자신들이 사회적으로 공경을 받지 못 받고 있다 생각하고 있다. 특히 농촌의 고령화가 심화됨으로써 지역 교회의 어려움은 날로 증가되고 있다. 대도시의 교회보다는 농촌교회가 더욱 고령화가 심화되어지는 현실을 감안할 때 한국교회가 고령사회에 대한 노인복지와 노인목회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화 되어 가는 현대 사회의 현상 속에서 노인을 위한 교회의 역할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올바른 노인이해와 노인복지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