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과 공중관계성, 기업이미지 및 기업평판 간의 구조적 관계=

        고수정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assumed that the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service company would play an effective role in public relationships,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reputation. Recognizing the need for active research and approach to the method and strategy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service company,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activities and public relationships (contribution performance trust, mutual control, commitment, satisfaction),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reputation of foodservice company. Therefore, this study was to derive measur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foodservice company and based on this purpose, this study intended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service company. This study us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at was one of non-probabilistic sampling methods and conducted targeting nationwide foodservice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service compan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using an online survey of 525 copies for one month in August 2023.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132 questionnaires that were judged to be unusable for empirical verification with missing or careless responses were excluded and statistical analysis on a total of 393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PASW 27.0 and AMOS 27.0. A two-step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adequacy of the model and the hypothese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rst, the result of Hypothesis 1,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service company would have a positive (+) impact on public relationships ," was adopted. Second, the result of Hypothesis 2, "public relationships would have a positive (+) impact on corporate image," was adopted. Third, the result of Hypothesis 3, "public relationships would have a positive (+) impact on corporate reputation," was adopted. Fourth, the result of Hypothesis 4,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service company would have a positive (+) impact on corporate image," was adopted. Fifth, the result of Hypothesis 5,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service company would have a positive (+) impact on corporate reputation," was rejected. Sixth, the result of Hypothesis 6,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service company would have a positive (+) impact on corporate image mediating public relationships," was adopted. It was found that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service company partially mediated on corporate image by public relationships. Seventh, the result of Hypothesis 7,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service company would have a positive (+) impact on corporate reputation through the mediation public relationships," was adopted. It was found that the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service company were fully mediated on corporate reputation by public rela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ny and consumers in relation to the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service company. Second, public relations are highly effective in enhancing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reputation. Third, the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foodservice company can increase corporate reputa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public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this study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strategy of foodservice company. 본 연구는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이 공중관계성, 기업이미지, 기업평판에 효과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 가정하였다. 그리고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에 대한 방법과 전략에 활발한 연구와 접근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여,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과 공중관계성(공헌이행신뢰성, 상호통제성, 헌신성, 만족성), 기업이미지 및 기업평판에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식기업 측면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고, 이와 같은 목적을 바탕으로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 중 편의표본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을 경험한 전국 외식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23년 8월 한 달간 525부를 온라인 조사로 실시하였다. 수거한 설문지 중 연구자가 실증검증에 이용할 수 없다고 판단한 설문과 누락 및 무성의한 응답의 설문지 132부를 제외하고 총 393부의 수집된 데이터를 SPSS PASW 27.0과 AMOS 27.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설정된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서 2단계 방법을 사용하였고,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구조방정식 모델(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은 공중관계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의 결과는 채택되었다. 둘째, “공중관계성은 기업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의 결과는 채택되었다. 셋째, “공중관계성은 기업평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3의 결과는 채택되었다. 넷째,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은 기업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4의 결과는 채택되었다. 다섯째,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은 기업평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5의 결과는 기각되었다. 여섯째,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은 공중관계성을 매개로 하여 기업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6의 결과는 채택되었다.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은 공중관계성에 의하여 기업이미지에 부분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은 공중관계성을 매개로 하여 기업평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7의 결과는 채택되었다.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은 공중관계성에 의하여 기업평판에 완전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기업 ESG경영활동과 관련하여 기업과 소비자의 관계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업이미지와 기업평판을 제고 하는 데 있어 공중관계성이 매우 효과적이다. 셋째, 외식기업의 ESG경영활동은 공중관계성을 매개하여 기업평판을 높인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와 논의에 따라 본 연구는 외식기업의 경영전략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함의한다.

      • 편의식품 선택속성이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영향 : 1인 가구 중심으로

        고수정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트렌드를 살펴보면 빠른 경제성장과 함께 경제적 여유와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사회가치관과 식생활 양상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는 가구 구조의 변화만을 의미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소비주체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어 대상으로 1인 가구를 뽑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1인 가구 증가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기 때문이다. 달라진 소비주체가 변화를 주도하여 경제적 영향 및 소비패턴에 영향을 주며 상품위주였던 과거와 달리, 보이지 않는 가치소비 중심으로 소비패턴이 변화하고 있다. 최근 외식트렌드를 살펴보면 많은 외식 브랜드들 역시 혼밥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이는 편의식품에 대한 호감을 높이고 매출로까지 이어지는 효과를 보고 있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편의성과 간편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커지면서 시간단축측면에서 편의식품을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감안하였을 때, 편의식품 특성상 비가열재료로 구성되어 위생적인 면에서 품질관리가 충분히 이루어 져야한다고 판단되며, 다양해진 구매형태에 비해 음식의 질 측면이나 구매빈도에 대한 편의식품 선택속성,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편의식품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만이 주를 이루며, 기본적인 선택속성 특성과의 연관성이나 소비자 측면에서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의 편의식품 선택속성이 만족도영향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1인 가구 소비자를 위한 맞춤형 상품 개발 및 제품 품질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율적이고 다양한 방향을 제시하고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춘 학문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 적용상 문제점을 검토하기 위해 2017년 7월 1일부터 15일 동안 10~50대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결과 바탕으로 설문 항목을 수정·보완하여 본 조사에 사용하였으며, 본 조사는 10~50대 남녀 중 편의식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1인 가구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7년 8월 한 달간 설문자들이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과 우편을 이용하여 얻어진 설문지를 표본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500부를 배포하여 432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8부를 제외하고 424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가구 대상으로 편의식품 선택속성은 부분적으로 만족도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편의식품 선택속성 중 안전성을 제외한 편의성, 비용, 음식의 맛, 브랜드 요인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인 가구 대상으로 편의식품 선택속성은 재구매의도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택속성 요인 중 안전성 요인을 제외한 편의성, 비용, 음식의 맛, 브랜드 요인이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인 가구 대상으로 편의식품에 대한 만족도는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의식품에 대한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의 관계에 있어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구매의도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가설의 검증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1인 가구 대상으로 편의식품 선택속성에 따라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의 중요도 차이를 보였으며, 만족도에 따라 재구매의도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1인 가구의 기호를 고려하여 편의식품 선택속성의 복합적인 요소들이 기능과 목적에 맞게 구성된다면 변화하는 외식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연령별 소비실태를 보고자 하였으나, 조사대상자가 10대~50대 연령별 1인 가구로 한정되어 경쟁력 있는 40~50대 1인 가구소비자보다 20대 1인 가구 응답이90% 차지하여 연구 결과를 모든 1인 가구로 일반화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편의식품 범주에 따라 조작적 정의를 내렸으나, 구체적인 편의식의 종류에 따라 세분화한 연구가 필요하다 사료된다. Examining today's trends, aspects of social values and food life have changed due to economic margin, urbanization, and industralization with rapid economic growth. And as single-person households that are increasing became the core of new consuming subjects, not meaning change of the household structure, single-person households can be selected as subjects. It's because the increase rate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rapidly increased in Korea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more in the future. Unlike the past that changed consuming subjects focused on products having an effect on economy and consumption patterns by leading change, the consumption patterns have been changed to invisible value consumption. Examining the recent eating-out trend, many eating-out trends have also approached the consumers who eat alone in various ways and have had effects to increase good feelings about convenience foods through this and lead it to sales. However, when the situations that modern men cannot help depending on convenience foods in terms of reducing the time are considered as they show a growing tendency to prefer convenience and simplicity, it is judged that enough quality control must be done in the hygienic aspect because they consist of non heat-treated ingredient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studies on selection attributes,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convenience foods about the quality aspects or purchase frequency of foods have been insufficient until now when compared to various purchase types. The existing studies generally focused on satisfaction of convenience foods. The only studies on satisfaction have been done in the aspect of the correl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selection attributes or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examine an effect of one-person households' selection attributes of convenience foods 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efficient and various directions that development of customized products for one-person household consumers and improvement of product quality can be done and provides competitive academic materials which can satisfy customers' need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one-person households in their 10s to 50s for 15 days from July 1, 2017 to sec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research tool used in the study and examine problems in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liminary survey, questionnaire items were amended and supplemented and used in the main survey. For the main surve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that respondents directly fill in and the questionnaires gotten by mail targeting one-person household consumers who experienced convenience foods among men and women in their 10s to 50s were used as the sample data for a month on August 2017. 5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432 ones were collected. Among them, 424 copies except the 8 ones that the answers are judged to be insincere or have poor reliability were used in a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that verified hypotheses about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ection attributes of convenience foods targeting one-person households have found to have a partially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Convenience, expenses, the taste of foods, brand factors except safety among one-person households' selection attributes of convenience foods hav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selection attributes of convenience foods targeting one-person households have found to have a partially positive (+)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Convenience, expenses, the taste of foods, brand factors except safety among the factors of the selection attributes hav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Third, satisfaction with convenience foods targeting one-person households h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It can be found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is, the more repurchase intention increa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onvenience food and repurchase intention. Putting the results that verified the hypotheses together, it h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selection attributes targeting one-person households and satisfaction have some connection with re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se, it is judged that the composition of complex elements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onvenience foods by considering one-person households' taste to satisfy the functions and purpose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ing food service industry. Based on the results in the study, the limits and next research direction will briefl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tried to examine the real condition of consumption by age. But a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limited to one-person households in their 10s to 50s but response of the on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 was 90% rather than competitive one-person households in their 40s to 50s, the results in the study have the limit to be unable to generalize them as all the one-person households. So studies targeting more samples must be done. Second, operational definition was done according to categories of convenience foods in the study. But it is thought that segmentalized studies are required according to types of specific convenience foods.

      • 미디어교육 현황과 실제 및 과제 : 강원지역에서의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고수정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디어교육의 현황과 실제 및 과제 - 강원지역에서의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 고수정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언론정보 전공 2007년부터 강원도 지역에서 미디어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연구자는 그동안 체험한 다양한 미디어교육의 개별사례를 공유하고, 미디어교육을 수행함에 있어서 도출되는 과제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자가 실제 수행한 미디어교육을 연구하기에 앞서, 미디어교육의 개념과 그동안 한국에서 미디어교육 환경이 변해 온 과정과 현황을 연구할 필요가 있었는데 주로는 미디어센터 설립과 운영을 중심으로 미디어교육 지원기관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미디어교육은 가. 미디어능력을 획득하고, 나. 인간이 소외되거나 왜곡되지 않는 커뮤니케이션 질서를 회복하기 위한 주체적인 커뮤니케이션 의식 배양과 실천을 촉구하는 한편, 다. 다양성을 관용하는 평화의 문화를 실천하는 인간을 양성해 내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1970년대 종교계를 통한 초기 미디어교육과 관련한 활동은 사회적으로 민주화 요구가 거세짐에 따라 비판적 미디어 수용을 위한 사회 운동적 성격을 강하게 띠면서 발전해 오다가 2000년대 들어 미디어센터 설립으로 본격화되었다. 2014년 12월 현재 전국에는 35개의 지역미디어센터가 설립·운영되고 있다. 또한 제도적 환경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그동안 국회에 제출된 법안을 간략히 검토하고 강원지역 미디어교육의 현황도 살펴보았다. 강원도에서는 현재 5개의 미디어센터가 설립·운영되고 있는데, 강원지역 최초의 미디어센터인 춘천MBC시청자미디어센터는 공적자금의 투입이나 춘천MBC의 지원 없이 운영되어 오다가 현재 존립이 위태로운 상황에 처해 있다. 반면 강원시청자미디어센터가 2014년 개관하기도 했다. 2007년부터 연구자가 수행한 미디어교육의 실제는 진행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정리와 교육대상별 미디어교육, 교육공간별 미디어교육, 교육기간별 미디어교육으로 분류해 살펴보았다. 모든 교육에 있어서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은 ‘소통’이다. 교육을 기획하거나 관리하는 주체와의 소통, 교육담당자 간의 소통, 교육담당자와 교육생들 간의 소통 등 어떤 것도 소홀히 할 수 없다. 특히 평가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데 교육생들의 평가를 기록해두기를 권장한다. 군 미디어교육과 학교 미디어교육 등 비교적 닫힌 공간에서의 교육은 군 장교나 교사 등 교육을 관리하는 주체들의 역할이 중대한데, 충실히 관리하되 교육프로그램의 유연한 운영이 가능하도록 미디어교육담당자에게 자율권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쉬는 시간을 할애한 군 미디어교육은 그 중요성이 인정된다면 공식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서 고려해볼 필요가 있으며, 학교 미디어교육은 학생들에 앞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시급하다는 판단이다. 미디어교육기간은 너무 짧지 않아야 하며, 특히 장애인 미디어교육은 장애특성에 따라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불가피하게 짧은 기간 동안 교육을 진행할 경우 단순한 영상제작교육이 아니라 미디어교육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미디어교육 아카이브’나 ‘강사양성프로그램’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각 부처,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전국의 미디어센터와 사회단체들의 네트워크를 설립하고 관리할 통합적 조직이 필요하지만 사회적 공감대형성이 미약하고, 미디어교육의 위상이 사회적으로 자리를 잡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지역별, 기관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통합네트워크를 설립하고,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미디어의 역기능만을 강조하는 태도와 특정 부처의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법제로는 미디어교육을 제도화할 수 없고, 법 제도화에 앞서 각 지원기관들이 강사처우를 개선하고 ‘미디어교육 아카이브’와 ‘강사양성프로그램’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Status and virtuality of Media Education, and challenges - Focusing on participant observation in Gangwon Province - Soojung Goh Department of communication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cience & Public Administr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researchers began the study of individual cases in order to share experiences been a variety of media education and started a study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is obtained in carrying out the training media, is doing media education in Kangwon Province in 2007. Before the study, researchers conducted a real media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concept of media education and the whole process of media education environment changed in the meantime, Korea. Mainly looked at the center of a media training institutions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media center. Research, media education is. Obtaining a media capability, and b. The man is alienated culture or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of communication in order to recover the communication does not distort calls for action, everything. Human practice of tolerance, diversity and culture of peace Research, media education is. Obtaining a Medienkompetenz, and b. In order to restore order of communications, human is not neglected or distorted we urge the consciousness of the culture and practice of independent communication, and c. Researchers summarized to pay to train humans to practice a culture of peace that tolerate the diversity. Activities related to early media education through religious in the 1970s, has developed a strong social movement nature strip for critical media accepted, depending on the load requirements of the democratization of social castration, and has become active in the media center in stepping 2000s. Media centers Founded in December 2014 the country now has 35 regional media center, has been operating. In addition,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 brief review of the bill was submitted to the Republic of Korea National Assembly and also looked at the status of Gangwon Province Media Education. In Gangwon Province currently has five media center has been established operations. Chuncheon MBC Community media center, Gangwon Province's first media center, has been operating without the injection of public funds or financial support of Chuncheon MBC in the meantime, and then the current existence in the precarious situation facing. Gangwon Community media center was also opened in 2014. Since 2007, virtuality of Media Education researchers performed, was categorized as a brief summary of the progress, as Media Education by space or target or perio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communication in all Media Education. We can not neglect anything, communication with educational planners or managers, communication between educators, communication between the educators and the learner, etc.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evaluation, and recommend to keep a note of the assessment of learner. Education in a relatively closed space such as Media Education in military and Media Education in schools, very important the role of principal to manage educational army officer and teacher. They Shall be obliged to manage education, at the same time for media educators need to ensure the autonomy is to enable a flexible oper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In Media Education in military spending a break, If the importance of media education recogniz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formal training program. In Media Education in school, believe that the education is an urgent need to target teachers than students. Period of Media Education should not be too short. Specially particular Media Education for the disabled needs to have sufficient educational time according to the attributes disorders. Inevitably, if educational planners continue training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ey should be considered to be serve as a Media Education, not just a video production training. In order to be operating properly, 'the archive of Media Education' and 'program to train the Media Educator', the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an integrated organization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manage a nationwide network of media center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But in situations where social consensus is weak, and the status of the Media Education does not take its place in society, it would be desirable to determine the direction towards establishing and strengthening an integrated network based on the regional network and the institutional network. Attitudes that only emphasizes the adverse effects of the media include and legislation that reflects the interests of certain ministries, Media Education can not be institutionalized. Each supporting institution, should try to improve the treatment of the instructor, and actually run a 'archive of Media Education' and 'programs to train media educators' before pushing the law institutionalizing.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용 산화아연 전자수송층에 대한 연구

        고수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고효율, 저비용 제작이 가능하며 기존 태양전지들과 다른 높은 광흡수 계수와 낮은 밴드갭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크게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전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페로브스카이트층(Perovskite layer)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각 층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전자수송층의 대한 연구는 개발은 비용감소와 효율증대적인 측면에서 요구되어온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증착법을 통하여 ZnO(Zinc oxide) 전기수송층을 FTO 박막 위에 제작한 후 정구조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또한 전기증착법은 1가와 2가의 지지전해질을 통해 제작함에 따라 다양한 박막 형태와 뚜께의 ZnO 박막을 제작하여 그 구성에 따른 효율과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Organic/inorganic perovskite solar cells are able to be manufactured with high efficiency and low coast due to the high light absorption coefficient and low band gap that can lead to outstanding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erovskite solar cells are widely composed of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d perovskite layer and each layer has been studied steadily. Among them the research o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has been required to reduce costs and increase efficiency In this paper, a perovskite solar cells with conversional structure was fabricated by using ZnO(Zinc oxide) electron transport layer by electrodeposition In addition, various type of ZnO thin films were prepared through monovalent and divalent supporting electrolytes, and effects of the composition were analyzed

      • 신체적 행동 적용을 통한 해롤드 핀터 작 <컬렉션>의 '스텔라' 역할 창조 방법 연구

        고수정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신체적 행동 적용을 통한 해롤드 핀터 작 <컬렉션>>의 ‘스텔라’ 역할 창조 방법 연구로, 심리신체의 유기적 결합을 통한 역할 창조를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은 ‘신체적 행동의 단위 나누기’를 통해 본 연구자가 배우활동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던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연구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졸업 프로젝트 공연발표로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배우로서 역할 수행 과정에서 겪었던 문제점에서부터 출발한다. 연구자는 배우로 활동해오면서 역할 창조 과정에서 대사의 심리 분석에만 치중한 나머지 연기가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말하자면, 역할에 대한 신체적 행동의 결여가 공연 중 배우로서의 몸과 등장인물로서의 심리 간에 분리감을 느끼게 하고, 궁극적으로 역할의 성격을 약화시킴으로써 관객의 몰입을 방해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역할창조를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신체적 행동’이라는 접근 방법을 적용하였다. 심리와 신체는 분리될 수 없다는 원리로 출발한 신체적 행동은 배우 스스로 통제 가능하며, 배우 자신과 등장인물을 일치시킬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요소이다. 신체적 행동에 근거한 작업 과정은 배우가 등장인물로서의 자신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잠재의식 속에 있는 정서에 도달할 수 있어 심리·신체적 연기가 가능하다 것이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주장이다. 특히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신체적 행동의 작업 과정 중에서도 ‘신체적 행동의 단위 나누기’단계를 개별적으로 떼어내어 역할 창조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 단계의 대표 개념인 ‘단위’에 집중하여 역할 창조에 적용하였고, 종국에는 그가 말하는 ‘역할에 대한 악보’의 방식을 차용하여 단위 대본을 만들었다. 이 연구를 위해 해롤드 핀터 작 <컬렉션>의 ‘스텔라’라는 등장인물을 선택하여, 신체적 행동의 단위 나누기를 적용하여 역할창조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한 편의 희곡이 공연되는 전 과정을 거치는 과정 안에서 대본의 분석 과정과 단위 나누기의 단계로 신체적 행동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 ‘신체적 행동의 단위 나누기’를 ‘스텔라’ 역할 창조에 적용하여 얻어진 성과로는 첫째, 불필요한 제스처나 행동이 감소하였고, 둘째, 역할의 신체적 행동을 바라보는 객관적인 관점이 향상되었으며, 셋째, 반복 수행을 통한 습관화로 심리적 행동의 몰입도 향상되었다. 신체적 행동의 단위 나누기를 통한 효용성에도 불구하고, 한계점 또한 있었다. 행동을 시연해야 하는 연습 과정과 공연 과정에서는 관찰자 혹은 연출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관찰자를 통해서 예측 할 수 없는 관객 반응에 대한 편차를 줄이는 것이 필요 했다. 본 연구는 배우 스스로가 역할의 신체적 행동을 구체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연구자가 지녔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러므로 ‘신체적 행동의 단위 나누기’가 비슷한 문제를 경험하는 다른 배우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 성장기 여자 어린이에서 칼슘 섭취 수준이 칼슘,인,마그네슘,질소 평형에 미치는 영향

        고수정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많은 연구에서 성장기 골질량이 최대 골질량(peak bone mass) 형성과 골다공증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보고되면서 성장기 동안 충분한 양의 칼슘을 섭취하도록 권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초등학교 1-2학년 여자 어린이 7명을 대상으로 현행 권장량 수준인 700mg/day와 2SD 수준을 더한 1100mg/day의 두 수준의 칼슘을 함유한 식사를 각각 1주간씩 제공하고 평형 실험을 통하여 칼슘의 평형 및 칼슘과 더불어 골격 성장 및 발달에 중요한 영양소인 인, 마그네슘 및 질소의 평형을 관찰하여 칼슘 섭취 수준이 칼슘 및 인, 마그네슘, 질소 평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험 대상자들은 평균 9세로 이들의 평균 신장은 127.6cm, 체중은 27.4kg이었고 제7차 개정 한국인 영양 권장량에서 제시한 9세의 체위 기준치와 비교해 볼 때 신장, 체중, 신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모두 약간 낮게 나타난 편이었으며 비체중 및 Waist-hip ratio는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2. 대상자들의 평균 골밀도는 요추(L2-L4의 평균) 0.59g/㎠, 대퇴경부 0.61g/㎠, 대퇴전자부 0.52g/㎠, 와드삼각부 0.59g/㎠으로 나 타났다. 3. 대상자들의 신체계측치와 골밀도의 상관성을 볼 때 키와 체중은 L2, L3, L2-4 및 와드삼각부의 골밀도와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였고 허리 및 엉덩이둘레는 L2, L3, L24의 골밀도와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4. 대상자들의 평균 칼슘 섭취량은 정상식 제공시 719.49mg/day이었고 고칼슘식 제공시 1077.81mg/day이었다. 대변을 통한 평균 칼슘 배설량은 395.11mg/day에서 693.22mg/day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평균 칼슘 흡수율은 45.01%에서 35.56%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칼슘 보유량은 정상식 섭취시 209.61mg/day, 고칼슘식 섭취시 255.30mg/day이었다. 5. 대상자들의 평균 인 섭취량은 정상식 제공시 1190.99mg/day이었고 고칼슘식 제공시 1383.89mg/day이었다. 대변을 통한 평균 인 배설량은 368.31mg/day에서 516.91m/day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평균 인 흡수율은 69.18%에서 62.79%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인 보유량은 정상식 섭취시 426.05mg/day이었고 고칼슘식 섭취시 456.29mg/day으로 식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6. 대상자들의 평균 마그네슘 섭취량은 정상식에서 179.77mg/day, 고칼슘식에서 180.93mg/day로 식이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대변을 통한 배설량은 정상식에서의 89.72mg/day에서 고칼슘식에서의 81.61mg/day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흡수율은 50.10%에서 54.91%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소변을 통한 마그네슘 배설량과 마그네슘 보유량은 식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8. 대상자들의 평균 질소 섭취량은 정상식에서 11.42g/day, 고칼슘식에서 12.26g/day이었다. 대변으로 배설되는 질소량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단백질 소화율은 정상식 기간에서 87.62%, 고칼슘식 기간에서 89.01%이었다. 소변으로 배설되는 질소량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질소 보유량은 식이 칼슘 섭취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정상식과 고칼슘식 섭취시 인을 제외한 마그네슘 및 질소의 평균 섭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고칼슘식 섭취시 칼슘과 인의 대변 배설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마그네슘의 대변 배설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로 인해 각 영양소들의 체내 보유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았으나 칼슘과 인의 경우 보유량의 증가 경향이 뚜렷하였고 마그네슘의 경우 흡수율의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현행 권장량 수준인 700mg/day의 칼슘량을 2SD 수준을 더한 1100mg/day로 증가시킬 경우, 인, 마그네슘, 질소 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특히 칼슘과 인의 보유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장기간 충분한 양의 칼슘을 섭취할 경우 체내에 보유될 수 있는 양은 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우리 나라 어린이들의 칼슘 섭취 수준이 권장량에 못 미치는 실정을 감안해 볼 때 앞으로 일상 식이를 통한 칼슘섭취 수준을 권장량 수준인 700mg/day 정도로 증가시키고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칼슘섭취 증가로 칼슘 및 인 등의 체내 보유를 증가시켜 성장기 동안의 최대 골질량을 축적하고 노후의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고정화된 아질산화 슬러지의 유기물 주입에 따른 활성 및 미생물 군집 변화 해석

        고수정 부산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microorganism concentration in nitritation process with strong nitrogenous wastewater. When influent NH₄^(+)-N concentration 50, 100, 200 mg/L, packed beads of 10%(v/v), the removal efficiency was 83.4, 86.3, 90.3% in each case and nitrite production of removal NH₄^(+)-N was 74.8, 82.8, 92.7%, respectively. So I realized that getting higher influent NH₄^(+)-N concentration, removal efficiency was high and nitrite accumulation rate was more achieved. To test of NH₄^(+)-N, NO₂^(-)-N, NO₃^(-)-N concentration the nitritation sludge reactor and nitritation bead reactor, I was operated each reactor for 30 days. Two reactor was showed that nitrite prodution per removal NH₄^(+)-N was respectively 90, 95% and nitritaion bead reactor was higher nitrite production than suspended sludge reactor. This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with the synthetic wastewater of NH₄^(+)-N concentration of 200 mg/L and organic concentration of 100, 300, 500 mg COD/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addition of organic strongly inhibited the nitritation process. However, the nitritation activity recovered with prolonged aeration. Using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FISH) to observe microbial distribution within beads, microorganism grows in the edge of bead for the simple material transmission. Using FISH with rRNA targeted probe EUB 338(eubacteria), NSO 190(AOB), NEU 23a(AOB), NSV 443(AOB), ALF 1b(NOB) and Ntspa 662(NOB) depending the depth of 10 ㎛ bead. When nitrite was not inhibited without addition orgainc ammonia-oxidizing bacteria(AOB) was occupied over 90% but nitrite was inhibited ammonia-oxidizing bacter(AOB) was decreased instead of incrasing nitrite-oxidizing bacteria(NOB). Later, when nitrite start recovery, ammonia-oxidizing bactera(AOB) increased. Considering above results, immobilized cells by PVA-boric acid method have sustained more high concentration than suspended sludge and obtain stronger environmental tolerance. The immobilized cells by PVA-boric acid method have made it can be possible to support rapidly high NH₄^(+)-N oxidation rate for BNR proccess.

      • 6단계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단소 교육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고수정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세계문화경쟁시대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이런 시대에 문화적 주체성을 지키기 위한 방법은 서로 다른 나라 문화를 이해하려는 노력과 더불어 자국의 전통문화를 강조하는 교육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이런 문화의 여러 갈래 중 음악은 문화의 기본적인 가치에 따른 삶의 양식을 가르치는 수단이며 사회적 기준에 순응하며 문화를 계속적으로 안정되게 전달하는데 기여한다. 이러한 영향으로 제 7차 교육과정의 음악과 개정중점에도 우리 음악 문화의 창달을 위한 국악교육을 강조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현행 5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단소지도 방법이 4단계 4차시로 제시되어 있어 단소지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선행 연구 또한 현행 교육과정 내에서 5학년을 대상으로 지도하기에는 지도 내용이 복잡하고, 지도 차시가 너무 많아 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여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이 음악과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단소 연주를 할 수 있는 최소의 6단계 7차시를 (단소 알기 ☞ 소리내기 ☞ 운지법 익히기 ☞ 악보 읽기 ☞ 동요 연주하기 ☞ 민요연주하기) 설정하여 단계별로 지도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단소기능 능력 신장 단계별 단소 프로그램적용으로 자세는 중 이상의 아동이 38% 증가하였고, 운지법은 중 이상인 아동들이 53%로 증가하였다. 기본음 소리내기는 중 이상의 아동이 28% 증가하였으며, 율명 읽기는 56%, 호흡은 88%, 단소 연주를 할 수 있다가 82% 증가하였다. 나. 전통음악에 대한 인식의 변화 전통 음악에 관한 일반 인식은 매우 귀중한 문화 유산이다가 12% 증가하였고, 할아버지 할머니 들이 좋아하시는 음악이다가 9% 감소하였다. 전통음악을 좋아한다는 아동은 29% 증가하였고, 싫어한다는 아동은 9% 감소하였다. 방송 매체에서 전통악기 연주를 들었을 때의 느낌은 긍정적 반응이 11% 증가하였고, 부정적 반응이 21% 감소하였다. 전통음악회에 대한 관심은 가고 싶다가 18% 증가하였고, 가고 싶지 않다는 9%로 감소하였다. 다. 음악과 교육과정 내에서의 전통음악 학습에 대한 인식의 변화 단소 지도 프로그램 적용 후 음악 시간에 민요를 배우는 것에 대해 재미있다가 26% 증가하였고, 재미없다는 6% 감소하였다. 단소를 배우는 것에 대해서는 재미있다가 41%증가하였고, 재미없다가 21% 감소하였다. 장구나 북을 배우는 것은 재미있다가 24% 증가하였고, 재미없다가 % 감소하였다. 전통음악 감상을 배우는 것은 13% 증가하였고, 재미없다는 9% 감소하였다. 위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단계별 단소 지도는 단소기능신장 뿐만 아니라 전통음악에 대한 긍정적 변화, 음악과 교육과정내의 다른 전통음악 분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도널드 리드 워맥(Donald Reid Womack) 작곡 <한줌 봄바람에 쌓인 눈이 녹듯...(A Spring breeze melts the snow...)> 연구

        고수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Donald Reid Womack's (1966~) <A Spring breeze melts the snow…>. Among the works of Donald Womack, 34 works are for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and <A Spring breeze melts the snow...> is his most recent work for the haegeum. Being inspired by hansi(traditional Korean poetry), he actively adopted sanjo which is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genres. Through the analysis of <A Spring breeze melts the snow...>, this thesis discusses Korean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as well as the elements of program music, and the use of individual instruments. The key findings are presented below. First, <A Spring breeze melts the snow...> is for a trio of the haegeum, 12-stringed gayageum, and janggu. It is a single movement work and the composer indicated 18 rehearsal marks including Intro. A motif from its main melody was extracted in this study and divided into three types: Intro and [A]~[I].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motif (a) develops through ascending half steps by using nonghyeon. The motif (b) emphasizes each note without using sigimsae. Lastly, the motif (c) applies bending notes adopted from sanjo. Although each motif has different patterns, the present study analysis demonstrates their individual relevance and how music develops through alternation, sequence, and repetition. Second, the three instruments - haegeum, 12-stringed gayageum, and janggu - play various roles in different sections,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se instruments by using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The haegeum plays a main melody, starting a new phrase utilizing the motif. The gayageum accompanies the haegeum's melody by playing melodies and rhythms alternatively in different sections. At the same time, the gayageum repeatedly plays motif similar to the haegeum, and while adding percussive effects by playing notes within a limited pitch range. As a percussive instrument, the janggu articulates rhythmic patterns throughout the piece and provides accents. Also, it suggests patterns of sections and gives a signal to melodic instruments before a chage in section by playing short rhythmic patterns. Third, I also investigated how the piece represents images of nature-the theme implied in the title of the piece. The haegeum represents changes in nature such as ice and water by using nonghyeon and daruchigi. Following directions, such as "scratching strings with fingernails" and "striking the string with a geomungo suldae," the gayageum also represents the sound of nature. Similar to the gayageum, the janggu represents the sound of wind by using acoustic materials. As discussed above, inspired by hansi, the composer created the piece by actively adopting Korean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Especially, he utilized motives he borrowed from sanjo, one of the traditional genres, in various ways throughout the piece. Also, he doesn‘t only expand the possibility of using traditional instruments while the three instruments play different roles in representing Korean sentiments and nature, but also demonstrates the unique timbre and endless possibility of expression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by using traditional techniqu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deepen the understanding of Donald Reid Womack's works and the style of haegeum music and that continuous efforts will be in creating music for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본 연구는 도널드 워맥(Donald Womack(1966~)의 <한줌 봄바람에 쌓인 눈이 녹듯...(A Spring breeze melts the snow...)>(2021)의 작품을 분석한 연구이다. 현재까지 발표된 도널드 워맥의 작품 중 한국 전통악기가 편성된 작품은 총 34곡으로 <한줌 봄바람에 쌓인 눈이 녹듯...>은 그의 해금 창작곡 중 가장 최근에 발표된 곡이며, 한시에서 영감을 받아 한국 전통음악 장르 중 하나인 ‘산조’를 적극 차용한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한줌 봄바람에 쌓인 눈이 녹듯...>을 분석하여 작품에 활용된 한국 음악적 요소, 표제 음악적 성격, 각 악기의 활용성 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줌 봄바람에 쌓인 눈이 녹듯...>은 해금, 12현 가야금, 장구로 편성된 삼중주 곡이다. 본 곡은 단악장 형식의 곡으로, Intro를 포함하여 작곡가가 제시한 18개의 리허설 마크로 구분되어있다. 필자는 이를 주제 선율에 따라 모티브를 발췌한 후 모티브 (a), (b), (c)의 세 가지 형태로 나누었으며, 그 활용 방식에 따라 Intro부터 [A]~[I]까지 총 10개의 단락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모티브(a)는 농현을 통해 반음 상행 진행 하는 형태, 모티브(b)는 각각의 음고를 시김새 없이 강조하는 형태, 모티브(c)는 산조에서 차용한 꺾는 음의 형태로 각각의 모티브는 형태는 다르지만 서로의 연관성으로 악곡 내에서 모티브의 변형, 제시, 반복 등을 통해 악곡이 전개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둘째, 해금과 12현 가야금, 장구의 세 악기는 단락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여 전통적인 요소를 통한 악기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해금은 주로 모티브를 활용하여 프레이즈를 시작하고 주도적으로 선율을 전개하는 역할을 하고, 가야금은 단락에 따라 선율과 리듬의 역할을 번갈아가며 해금 선율을 뒷받침 하는 양상을 보인다. 동시에 해금 선율과 마찬가지로 모티브를 활용한 선율을 반복하며, 제한된 음고로 타악기적 역할을 수행한다. 장구는 타악기로서 악곡 전반에 걸쳐 박절감을 주고, 강세를 짚어 리듬적으로 중심을 잡아준다. 또한, 지속적으로 단락의 패턴을 제시하며, 단락 변화 시 짧은 시가의 리듬으로 선율악기로 하여금 하나의 신호작용을 하고 있다. 셋째, 작품 제목에 내포된 본 곡의 주제, 즉 자연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식을 살핀 결과, 해금은 고정된 음고에서 농현, 다루치기 등을 활용하며 얼음, 물 등의 자연적 변화를 형상화한다. 가야금은‘손톱으로 줄을 긁는다’, ‘거문고 술대로 줄을 친다’와 같은 제시어를 통해 특수주법으로 자연의 소리를 구현하며, 장구는 가야금과 마찬가지로 음향적 소재를 이용하여 바람소리를 형상화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작곡가는 한시에서 받은 영감을 바탕으로 한국 전통음악의 요소들을 적극 활용하여 작품을 구성하였으며, 전통음악 양식 중 ‘산조’에서 발췌한 모티브를 여러 방식으로 악곡 전체에 활용하였다. 또한, 세 악기가 각각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한국적 정서와 자연을 형상화 하는 것으로 악기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함은 물론, 전통적인 주법을 사용하여 한국 전통악기의 고유한 음색과 무한한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도널드 워맥(Donald Womack)의 작품세계를 이해하고 해금 창작곡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나아가 한국 전통악기를 사용한 창작활동이 더욱 다양한 시도로 이어지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