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행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한 설계속도 140km/h 고속도로 주행 시 도로 기하구조 요소가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고민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drivers’ demand for faster movement have increased. Thus, advanced countries have environments in which drivers can drive at speeds of more than 140km/h, such as Autobahn in Germany and SH130 in Taxas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Gyeongin Expressway in 1968 that is the first highway in South Korea, design standards at a speed of 120km/h have been applied to the present d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esign speed in Korea in order to improve vehicle performance and prepare for users’ needs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When raising the design speed, for the design of highways that are safe while driving at high speeds, an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road geometry on actual safety should be preceded. This paper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 geometry elements and safety. Driving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or 71 experiment participants using driving simulator that implements a high speed driving environment. safety indicators were used to indicate safety with road geometry by utilizing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structurally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 geometry and driving safety. In the model, three latent variables, namely those representing the geometry; horizontal alignment, vertical alignment, structural facility; were defined and the coefficients of the latent, endogenous, and exogenous variables were estimated. Furthermore, nonlinear properties for the individual effects between each safety indicator and geometry were examined through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results show that horizontal alignment consisting of length of horizontal curve, degree of curve(DC), curvature change rate of the single curve(CCR), and supereleva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safety at 140km/h. Changes in road widths were shown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safety, and long tunnel had the greatest impact on safety among structural facilities. The results of relationship between geometry and safety which were presented by the developed model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foundation in planning geometric design for upward design spee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to identify safety according to geometry when designing roads with a design speed of 140km/h. 최근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국외에서는 독일의 Autobahn, 미국의 텍사스 SH130 등과 같이 140km/h 이상의 고속으로 주행할 수 있는 도로 환경이 갖추어져 있으나, 국내의 경우 1968년 최초의 고속도로인 경인고속도로 개통 이래 설계속도 120km/h의 기준을 현재까지 준용하고 있어 기술발전에 따른 차량 성능 향상 및 이용자들의 요구에 대비하여 국내 설계속도 상향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고속도로 설계속도 상향 시, 고속으로 주행하면서도 안전성이 확보되는 고속도로의 설계를 위해서는 상향된 속도로 주행 시 도로 기하구조가 실제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도로 기하구조 요소와 안전성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고속주행 환경을 구현한 주행 시뮬레이터를 이용해 71명의 피실험자에 대한 주행행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로 기하구조와의 안전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안전성 지표를 선정하여 기하구조가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도로 기하구조 요소를 평면선형, 종단선형, 도로구조물의 잠재변수로 나타내고, 선정된 안전성 지표를 통해 도로 기하구조의 안전성을 정량화하여 기하구조가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인공신경망 모형을 통해 각 안전성 지표와 기하구조 요소 간의 개별적인 영향에 대한 비선형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140km/h의 고속 주행환경에서 원곡선 길이, 곡률도(DC), 곡률변화율(CCR) 등으로 이루어진 평면선형이 종단선형과 도로구조물보다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차로폭의 변화는 안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로구조물 중 장대터널이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통해 제시한 기하구조와 안전성의 관계는 설계속도 상향을 위한 기하구조 설계제원 마련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설계속도 140km/h의 도로설계 시 기하구조 제원에 따른 안전성을 파악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고위험군 전립선암 환자에서 골반 림프절을 포함한 구제적 방사선치료 후 재발 양상

        고민지 울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고위험 전립선암에서 구제적 방사선치료의 최적 조사 영역은 아직 정의되지 않았으며, 구제적 방사선치료 후의 재발 양상을 이해하는 것은 치료 범위를 결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후향적 연구는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 후 전 골반 구제적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 생화학적 실패가 발생한 환자에서의 재발 양상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대상 및 방법: 서울아산병원에서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 후 생화학적 실패로 구제적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196명의 고위험 전립선암 환자들에 대해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구제적 방사선치료는 1회 선량 2.2 Gy씩 전체 골반에 44 Gy 조사 후 전립선바닥에 22 Gy 추가 조사를 하였다. 전립선바닥에 육안적 재발이 있는 경우 3회에 걸쳐 6.6 Gy 조사를 추가하였다. 추적 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74개월이었으며 80명의 환자에서 생화학적 실패가 발생하였다. 이 중 59명의 환자에서 다양한 영상학적 검사가 시행되었다.. 결과: 총 16명의 환자에서 24개 병변에서의 재발이 영상학적 검사에서 확인되었다. 6명의 환자에서 13개의 골전이, 5명에서 방광요도문합부 재발, 4명에서 림프절 재발을 보였으며 1명에서 림프절 재발과 방광요도문합부 재발이 동반되었다. 방사선 조사영역과 비교하였을 때, 치료범위 내 림프절 재발은 없었다. 림프절 재발 5명 중 4명이 조사야 외부, 1명이 조사야 가장자리 재발이었다. 결론: 국소재발의 주된 양상은 문합부 재발이었으며, 이는 조사선량 증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대부분의 림프절 재발은 골반 밖에서 발생하였으며, 이는 고위험군 전립선암 환자 등 선택된 환자군에서의 골반 방사선 조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잘 설계된 확증적인 전향적 연구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감성적 장신구 디자인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 칠보의 색과 표현 효과를 중심으로

        고민지 가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현대의 장신구 디자이너 작가들은 작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그 스타일을 표현하기 위하여 여러 소재, 방법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하기위해 시도한다. 다양한 표현과 소재의 활용은 디자인 표현에 있어서 그 범위를 넓히는 데 큰 몫을 하며 작자 내면을 표출함에 있어서도 전달효과가 크다고 생각한다. 작가들은 자신의 내면을 표출함에 있어 여러 기법과 스타일을 표현하지만 현대의 장신구 작가들에게서는 아직 그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 뚜렷이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가의 내면을 전달함에 있어 우연성을 통한 다양한 표현요소에 연구하여 우연성이 하나의 감성적 조형미로서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우연적으로 일어나는 표현기법인 칠보의 다양한 기법을 이용하여 장신구를 표현함에 있어 표현효과를 내어 자신의 표현 의도나 내면을 전달하는 표현기법으로 장신구 디자인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칠보를 통한 다양한 표현 가운데 무선칠보는 본인이 의도하는 것대로 작품을 기대할 수도 있지만 의도한 그대로 작품이 나오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에 작가의 표현성을 감성 디자인 이라는 부분에 접목시켜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내면표출이라는 부분에 관심을 가지고 내적 이미지로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장신구를 통해 조형화 시켜 표현해 보려 하는 것이다. 우연적인 기법으로 인해 매순간 순간마다 달라지며 결과를 내어보려고 하지만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는 칠보표현 형상은 내적 이미지 표현에 활용하기 좋은 기법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칠보의 다양한 색상을 이용하면 시각적으로 감성을 자극하기에 안성맞춤일 것이다. 우리에게 가장 가깝게 사용되어지고 착용되어지는 장신구의 실용적이고 조형적인 기능을 유지하면서 우연적으로 일어나는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이미지를 장신구에 함께 표현한다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또한 칠보의 표현기법은 전통적인 기법이기는 하나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그에 대한 기록이나 표현방법에 대해서는 그리 다양하지 못하다. 현대의 미술에는 많은 변화가 되어져 왔고 지금도 되어져 가고 있는 중이다. 이에 본 논문도 여러 작가들의 표현기법과, 소재들로 하여금 새로운 디자인 표현기법의 다양성을 경험하도록 하여 정형화된 물체로 표현하는 것과는 다른 것을 표현 하고자 한다. <Abstract> The contemporary writers of the jewelry designer has an own ideas and to express their style, different material, using methods and tries to express variety of designs. Representation and using variety of materials in the design represented a large share to widen of scope, and the writers expresses the inner to suspect that is effect.The writers express their inner artist's to representation of multiple techniques and styles of contemporary jewelry artist, but they want to express that it's clearly has not been passed. In this research, the artist's conveying the inner through a variety of contingency and the contingency of representation element as an emotional beauty reshapes. So, coincidence-based representation of the rising corporate jewelry using a variety of techniques are represented in the presentation of the taking effect of the expression of their intention to convey the inner representation of the jewelry design, and the develop techniques to evaluate. Through the wireless enamel in the various expressions that are intended that can expect to work as intended, but that does not produce works on the characterized. The artist's representation at the availability of emotional design by combin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inner portion has an interest in expressing of the inner being saved as an image, but this jewelry want to express by the form development. Due to a coincidence technique is varies of every second every minute to see out the results, but the internal image representation of the shape representation in the enamel can not accurately represent to use could be a good technique, you also use different colors of enamel, visually, emotionally- to be fit. Using the closest to wearing jewelry and sculptural features of the practical to us, and while maintaining a coincidence that arise in the abstract and geometric ornaments with images that express what it was aimed.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techniques, but has a long history of winning a record or representation about for a diverse and fruitful. The modern art has been going a lot of changes. The thesis, also expression of the several artists, encourage of new material to experience a variety techniques designed to represent structured objects are represented as different from what is the intended to express.

      • 시네틱스법을 이용한 창의적 디자인 교육 수업지도 방안

        고민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society requires to create and to adapt new knowledge and current society needs creative idea as its objective is creative culture and economy. The recognition of creativity in government, enterprise and school has been enhanced. In particular, creative thinking and activity in design area is utmost important and essential. In the midst of such periodic trend, to create distinguished personnel, it is required to develop potential creativity, aesthetic attitude, imagination, critical thinking and holistic human development through various artistic activities other than to develop professional designers. And, the education must improve fundamental thinking of design and aesthetic perspective together with improvement of creative thinking. It is necessary to be a creative leader with recognition of significance of emotion, dream and design while breaking up all frames. The key of design is a creative idea. For creative ar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using synetics, this study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each subjects and examined synetics idea expression method and basic concept of creativity. Synetics idea expression method is divided into direct analogy, personal analogy, illusionary analogy and symbolic analogy. The study suggested the program as in the above methods. By means of idea creation method using the above for idea expression methods, the study suggested idea expression methods and developed application and creative sensitivity to apply such methods in daily life.

      • 웹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의 고맥락 문화 교육 방안 연구 : 플립 러닝 기반 수업을 중심으로

        고민지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aims to seek teaching characteristics of high context culture in Korean for learner’s communication ability by utilizing discourse on Web-drama.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context culture in Korean were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fter looking at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web dramas and their educational utility as educational materials, The selection criteria for educational web dramas were presented. The selected web dramas are <It's OK to Be Minor> and <Natural Romance. The characteristics of high context culture, which appear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communica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this web drama, were analyzed. Finally, we wanted to find a way to utilize the previously selected web drama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 clear class design, we looked at the step-by-step component items in the ADDIE model. Using the ADDIE model, the course procedure for high context culture education using web drama was devised and based on this, the actual practice of the class was presented.

      • 지역 간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민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 적: 심뇌혈관질환은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은 지역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229개 시‧군‧구 지역단위를 기준으로 지역사회 특성별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을 비교하고, 지역 간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229개 시‧군‧구를 분석대상으로 78개 시, 82개 군, 69개 구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독립변수는 건강행태요인, 의료공급요인, 사회경제요인으로 구분하였고, 종속변수는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이다. 이들의 자료는 지역사회건강조사(2014-2015년), 지역별 의료이용통계(2014년), 지방자치단체 통합재정(2014-2015년)과 사망원인 통계(2014-2015년)자료를 사용하였다. 지역 간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의 분석은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 과: 지역 간 심뇌혈관질환 사망률과 위험요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흡연율(r=0.313, p<0.01), 음주율(r=0.154, p<0.05), 스트레스율(r=-0.272, p<0.01), 건강수준율(r=-0.352, p<0.01), 재정자립률(r=-0.267, p<0.01)이 각 지역의 심뇌혈관질환 사망률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흡연율(β=1.652, p<0.001), 음주율(β=0.712, p=0.02), 신체활동률(β=0.55, p<0.001), 스트레스율(β=-1.542, p<0.001), 건강수준율(β=-1.253, p<0.001), 보건기관이용률(β=-0.424, p<0.001), 재정자립률(β=-0.246, p=0.001)이 지역 간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에 유의한 영향(p<0.001)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간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이 설명되는 변량은 40.8%였다. 결 론: 본 연구는 시‧군‧구 단위 지역별 특성에 따라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의 차이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여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지역 간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차원에서 관련 요인에 대한 맞춤형 보건의료정책을 수립하고, 보건사업이 효율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지역주민 또한 지역 간 건강격차를 해소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체임을 직시하고 개인의 건강상태를 적극적으로 개선‧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 한국에서의 칼 오르프 교육의 한계성 및 한국적 칼 오르프 교수법 제안

        고민지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Orff-Schulwerk created by Carl Orff is a creative and participation-oriented music education involving music, instruments, language and body expression. When implemented in Korea, however, this educational method has limitation as it is made for the German culture and Koreans who are not used to this culture are limited to adopt the Orff method. This thesis explores Orff’s musical education theories, educational methodology, merits and demerits of the music class in Orff’s method. Moreover, the examples of Japanese Orff method are reviewed to suggest a new method involving traditional instruments,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folklore and actual class plan that can build the basis for the Orff method customized for Korea. In summary, in order to implement the Orff method in Korea, it should be modified for Korean culture and language. It is imperative that Korean Orff method should be developed using the native language and traditional songs as this method was adopted in Japan.

      • 이러닝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만족도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과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고민지 중앙대학교 글로벌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adults over 20 years old in Korea, participating in e-learning more than three times for the last six month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the management strategy and effective teaching planning for e-learning,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adult e-learne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is it available to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the adult e-learners? Second, is it available to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rough the medium of the adult e-learners’ learning flow?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s, on- and offline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and distributed for three weeks from April 14 to May 5, 2014. 280 copies were returned from the total 300 distributed copies. Finally, 256 copies, after excluding insincerely responded copies, were used for the actual data analysis. The data achieved through this process was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rograms, SPSS 20.0 and AMOS 20.0, and the analysis result was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w 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flow,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most of cases.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astery-approach goal, one low factor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other factors,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On the contrary to this, it was drawn that the two low factors, mastery-avoidance goal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were in nega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performance-approach goal was not in correlation with other factors. Second, it was found tha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flow and that learning flow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it was significant tha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learning flow and tha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flow.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learning flow took on a ful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two others,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research result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eaching designer, system manager, planner, teacher, etc. First, to improve an adult e-learner’s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lean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flow are able to be promoted, has to be set up. Especially, teaching designer and system manager have to recognize the features of e-learning and set up the strategy with which the limitations of e-learning in respect of learning content and system are able to be minimized. Second, the rapid growth in e-learning market at present has caused an excessive competition among e-learnnig companies.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competitors continuously not only the companies have to recognize that diverse measures for promoting th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e-learners are required, but also active supports for that are required. Especially, in many preceding studi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t was verified tha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 studi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various factors in a special environment like e-learning are insufficient yet. At this time when the traditional classroom instruction is turned into diverse instruction media and the instruction media are increasingly diversified, it’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th various themes would be performed based on this stud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in human resources and in national competitiveness. 본 연구는 국내에서 만 20세 이상의 성인들 중 6개월 이내에 이러닝에 3회 이상 참여해본 성인학습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성취목표지향성(숙달접근목표, 숙달회피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와 학습성과 변인들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이러닝 교수설계 및 운영전략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기반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이러닝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은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그리고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이러닝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이러닝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은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만족도 및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고자 오프라인 설문지와 온라인 설문지를 제작하여 2014년 04월 14일부터 05월 05일까지 3주 동안 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80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256부를 실제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와 AMOS 20.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만족도, 학습성과, 학습몰입의 하위변인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대부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성취목표지향성 중에서 숙달접근목표는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습성과와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이와 반대로, 숙달회피목표와 수행회피목표는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습성과와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고, 수행접근목표는 다른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성취목표지향성은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몰입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취목표지향성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몰입을 통하여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몰입을 통하여 학습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학습몰입은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만족도 및 학습성과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이러닝과 관련하여 역할을 수행하는 교수설계자, 시스템관리자, 기획자, 교수자 등에게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성인학습자의 학습만족도와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특히 교수설계자와 시스템관리자는 이러닝이 가지는 특징을 잘 파악하여 이러닝 학습내용과 시스템적인 측면에서 이러닝의 한계점을 최소화하고,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현재 빠른 이러닝 시장의 성장은 이러닝 사업자들 사이에서는 경쟁과열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경쟁사와 차별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이러닝 학습에 대한 만족도와 학습성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과 함께 이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더 많은 성인들이 이러닝을 활용하여 자기계발에 힘쓸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극심한 취업난은 현재 우리사회가 겪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미취업 인력들에게 실질적인 교육을 제공하여 사회진출의 길을 열어줄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며, 효율적인 교육방법인 이러닝이 해결책으로 제안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뿐만 아니라 높은 학습만족도와 학업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이러닝 구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전통적인 교실수업에서 벗어나서 점차 교수매체가 다양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주제를 확장하여 인력개발과 국가경쟁력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