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을 모티브로 한 후식기 연구

        강효진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사회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기술의 발달, 빠른 정보 공유 등 다양한 문화교류로 세계화, 전문화 되고 있다. 삶의 질이 높아 진 만큼 문화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생활 속에서 높은 질적 수준이 요구 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식생활 문화는 많은 변화와 발전이 이루어졌다. 기존의 한식에 국한되었던 식생활이 동서양의 문화가 혼합됨으로써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끼니를 때우기 위한 단순한 식생활이 아닌 보고, 느끼며, 즐기는 식문화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변화에 따라 후식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였다. 후식은 단순하게 주식 다음에 먹는 간단한 다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오늘날의 후식은 간단한 다과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만남과 소통을 위한 수단이며, 휴식과 힐링의 시간으로 인식 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후식은 점점 우리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식문화로 부각되고 있다. 후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전문성이 요구되는 현 상황에서 식기의 연장선상에서의 사용이 아닌 후식에 적합한 도자식기의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식기가 단순히 음식을 담는 용기로서 실용성에만 중점을 두고 디자인 되고 소비되었다면 오늘날의 식기는 높아진 미의식을 반영하고 개인의 취향을 고려하며 심미적 아름다음과 기능적 요소를 추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사회변화에 따른 식문화의 변화를 조사하고, 후식과 후식기에 대해 분석하였다, 가장 단순한 시각적 형태인 원의 특성을 모티브로 하여 단순하지만 집중력이 강한 디자인을 개발하고, 원의 조합을 통하여 통일성과 대칭성을 줌으로 심리적으로 편안하고 안정감을 주고자 하였다.

      • 瘧疾의 種類와 病因?病機에 대한 考察

        강효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Malaria(瘧疾) is a disease whose main symptom is paroxysm - a cyclical occurrence of sudden coldness followed by rigor and then fever.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ause and mechanism of malaria(瘧疾) in the Suwen(素問), including Cold malaria(寒瘧), Warm malaria(溫瘧), Heat malaria(癉瘧) and Wind malaria(風瘧), there has been over 20 different kinds of malaria to date, each of which are introduced in multiple medical texts. External pathogens of malaria(瘧疾) are wind(風), cold(寒), summerheat(暑), dampness(濕), miasmic toxin(瘴), pestilence(疫), ghost(鬼). Internal pathogens of malaria(瘧疾) are dietary irregularities(飮食不節), overexertion and fatigue(勞倦), phlegm(痰), seven emotion(七情). Malaria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pathological mechanism that leads to paroxysm. They are latency of disease(伏氣), external contraction(外感), internal damage(內傷), and combination of disease(合病). Malaria-Paroxysm(瘧疾發作) occurs when the three following factors collide strongly : defense qi(衛氣), latent qi(伏邪) and external pathogen(新邪). When collision of the three factors takes place in the interior(裏), the body experiences chills. When it takes place in the exterior(表), the body experiences fever. The cyclical occurrence of Malaria-Paroxysm follows the circulation of defense qi.

      • EF-2001유산균 첨가 발효유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강효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Enterococcus faecalis-2001(EF-2001) 유산균을 발효유에 첨가하였을 시에 나타나는 생리활성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발효유는 같은 양의 Starter를 넣은 일반 발효유 NFM, EF-2001 유산균을 100 µg/mL의 농도로 넣은 EFM1과, EF-2001유산균을 500 µg/mL의 농도로 첨가한 발효유 EFM2를 제조하였다. 이들의 품질 특성의 평가를 위해 pH, 적정산도, 유산균수를 측정하였다. 12시간 발효 후 pH의 경우 사균 첨가 발효유의 최종 pH가 가장 낮았으며, 산도의 경우에도 값은 가장 낮았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유산균수 측정은 NFM, EFM1, EFM2의 순서로 유산균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발효유의 항산화 활성 측정을 위해 ABTS 라디칼 소거능, DPPH 라디칼소거능, FRAP을 측정하였다. 세 실험 모두 EFM2 처리구에서 모두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졌으며, 같은 농도의 양성대조군인 trolox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제조된 발효유와 사균 자체의 항산화활성 비교 시 발효유가 더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사균자체의 항산화능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EF-2001유산균의 발효유 첨가 시 나타나는 항염증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mouse 유래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을 이용하였다. RAW 264.7 cell을 이용한 세포 독성실험의 결과, 사균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세포생존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80%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가지는 농도인 5, 10, 15 µg/mL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Nitric oxide의 생성 억제능 측정결과는 LPS 처리군에 비해 발효유에서 NO 생성을 저해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일반발효유보다 사균을 첨가한 발효유에서 NO 생성을 더욱 저해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rostaglandin E₂의 억제율 측정 결과도 15 µg/mL의 농도에서 PGE₂분비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일반 발효유보다 사균이 첨가된 발효유에서 더욱 억제가 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EF-2001 유산균이 발효유에 첨가되어도 품질 기준규격에 적합하여 품질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일반 발효유보다 더 높은 황산화 활성을 갖고, 염증매개물질인 NO 및 PGE₂의 생성을 감소시킴으로 추후 사균이 첨가된 발효유의 제조 및 연구에 대해 기초 연구 결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Enterococus faecalis-2001 (EF-2001) lactobacillus added to fermented milk was prepared with NFM containing the same amount of starter, EFM1 and EFM2 containing 100 µg/mL and 500 µg/mL of EF-2001 lactobacillus. To evaluate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the pH, the titratable acidity, and the lactobacillus were measured. The 12 hour fermentation was measured at the end point and the final pH of the sterilized fermented milk was the lowest for pH, and the acidity was the low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lactobacillus measurement identifi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actobacillus in the order of NFM, EFM1, and EFM2 (p<0.05).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were measur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milk. All three experiments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of EFM2 and showed higher activity than trolox, a positive control group of the same concentration. When compar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milk with the heat-killed probiotics itself, it was found that the fermented milk had higher antioxidant capability. RAW 264.7 cells, mouse-derived macrophages, were used to verify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addition of fermented milk of EF-2001 lactobacillus. As a result of the cell toxicity test using RAW 264.7 cells, the cell viability rate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heat-killed probiotics increased in concentration(p<0.05). The test was conducted at 5, 10, 15 μg/mL, a concentration with a cell viability rate of over 80%.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inhibition of nitric oxide showed that fermented milk tends to interfere with NO production more than in the LPS treatment group. In addition, it showed a result of inhibiting NO production in fermented milk added with heat-killed probiotics rather than nomal fermented milk. The inhibition rate of prostaglandin E2 was also found to reduce PGE₂secretion at 15 µg/mL, it was confirmed that the fermented milk to which heat-killed probiotics was added was more suppressed than the normal fermented milk. Therefor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addition of EF-2001 lactobacillus to fermented milk still complies with the standard and does not affec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y have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normal fermented milk and reduce the generation of NO and PGE2, which are inflammatory mediator, so they can be used as a basic research material for the manufacture and study of fermented milk with added heat-killed probiotics.

      • 형태초점교수법을 통한 영어사동심리동사의 지도 효과 연구

        강효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영어학습자들이 영어사동심리동사의 사용에 빈번한 오류를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한국어 심리술어와는 다른 이 목표언어형식의 구조적 특성과 사동적 의미의 이해를 돕고 정확한 사용을 이끌기 위하여 형태초점교수법을 통한 영어사동심리동사 지도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사동심리동사에 대한 기초평가를 실시하여 목표언어형식에 대한 이해와 사용능력을 점검하고, 교과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상 제시되는 사동심리동사의 언어입력 분석과 제시형태에 따른 학습자들의 이해와 사용의 차이에 관해 알아보았다. 실험연구에서는 기초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형태초점 수업을 고안하여 고등학교 1학년 중 수준의 여학생 76명을 암시적 집단과 명시적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수업을 실시하고, 영어사동심리동사 학습효과 및 습득효과를 비교하였다. 학습자들의 목표언어형식에 대한 이해와 사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어법성 판단하기와 단답형 쓰기평가를 함께 실시하였으며, 사동심리동사를 동사형과 파생형으로 나누어 평가하여 제시형태 별 수업효과도 관찰해보았다. 우선 본 연구의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대상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50% 남짓한 정답률을 보였다. 특히 동사형에 대해서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 각각 32%, 41%의 정답률을 보였고, 일반심리동사에 비해 사동심리동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중학교 3학년 교과서에서는 주로 10개의 사동심리동사가 반복되어 파생형으로 제시되고 있었고 동사형에 대한 언어입력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반면,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는 주로 18개의 사동심리동사가 반복되어 사용되었고 동사형과 파생형의 형태로 골고루 제시되고 있었으며 언어입력의 양도 중학교 3학년에 비해 어휘 당 최소 2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자극’-동사-‘심리경험주’의 논항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동사형 언어입력이 고등학교 수준에서 제시되기 시작한다는 분석 결과는 파생형 보다는 동사형의 이해와 사용이 난이도가 더 높은 수준의 형식이라는 점을 나타내며, 이는 기초 평가에서 두 집단의 학생들 모두 파생형 보다는 동사형의 이해와 사용에 더 낮은 습득률을 보인 점을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초연구 결과를 통해 사동심리동사에 대한 학습자들의 이해와 사용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교실 수업 중에 이 형식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적극적으로 지도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은 이에 따라 실시한 암시적, 명시적 수업처치에 따른 영어사동심리동사의 학습효과와 습득효과의 비교 결과이다. 첫째, 암시적 집단과 명시적 집단 모두 영어사동심리동사 학습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형태초점교수법을 통한 영어사동심리동사의 지도가 학습자들의 목표언어형식에 대한 이해와 사용에 학습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수업 종료 직후, 명시적 집단이 암시적 집단에 비해 사동심리동사의 이해와 표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학습효과를 나타냈으며, 제시 형태 상으로는 파생형 보다 동사형 학습에 있어 명시적 수업처치가 훨씬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어 심리술어에 존재하지 않는 의미적 사동성과 ‘자극-동사-심리경험주’라는 논항구조를 가지는 사동심리동사 언어형식은 명시적 설명과 규칙 제시를 통해 지도될 때 더 효과적으로 학습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즉, 사동심리동사 지도를 위한 형태초점 수업 중에는 명시적 지도 및 설명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 과정은 모국어와는 다른 구조를 가진 이 언어형식에 대한 정확하고 체계적인 이해를 촉진시키며 보다 짧은 시간 내에 목표 언어의 특성을 학습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셋째, 명시적 집단이 사후평가에 비해 지연된 사후평가에서 동사형, 파생형 모두 점수하락을 보인 반면, 암시적 집단은 사전-사후-지연된 사후평가로 갈수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점수향상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암시적 수업처치가 학습자들의 사동심리동사의 습득과정에 자극을 주어 시간이 지날수록 목표언어 습득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습득효과를 보인 것이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사동심리동사 지도에 대한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이끈다. 사동심리동사는 형태초점교수법을 통해 지도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언어형식이며, 명시적 지도를 통해 주어진 시간 내에 보다 효과적으로 이 목표 언어형식의 구조적, 의미적 특성을 전달하여 학습효과를 높인다. 그러나 형태초점 수업 종료 이후에도 암시적인 방식으로 사동심리동사에 대한 끊임없는 언어입력 제공과 입력강화를 통해 학습자들의 관심을 목표 언어형식에 환기시켜 언어구조와 규칙에 대한 내재화를 이끌어 학습을 습득으로 이끌 수 있어야 한다.

      • 인지적 도제이론을 적용한 색소폰 앙상블 수업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연주능력과 수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효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지적 도제이론을 적용한 합주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지적장애 중학교 학생의 연주능력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경기도 Y시에 위치한 Y특수학교의 중학교에 재학 중이 지적장애 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지적장애 중학생으로 시ㆍ청각 및 신체장애를 중복적으로 갖고 있지 않은 단일 장애만 갖고 있는 학생, 의사소통과 읽고, 쓰기가 가능한 학생, 학교 이외의 기관이나 개인적으로 악기 지도를 받고 있지 않은 학생, 학교의 동아리 활을 6개월 이상 참여한 학생, 음악에 소질과 흥미를 가진 학생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합주수업모형은 인지적 도제이론의 전략과 학습단계, 제재의 위계적 관계를 재구성하여 지적장애학생들의 합주 수업 시 중재프로그램으로 사용되었고, 2016년 9월 20일부터 11월 18일까지 8주간 총 16회기를 계획하여 일주일에 총 2회기씩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회기 당 40분을 소요시간으로 하여 동아리 수업 시간에 수업장소인 음악실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사후 검사는 16회 수업 종료 후에 사전 검사 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도제이론을 적용한 합주 수업은 지적장애 중학교 학생 3명 모두가 연주능력(리듬, 박자, 빠르기, 가락, 음정, 조화)이 향상 되었다. 둘째, 지적장애 중학교 학생 3명의 학습태도를 향상시켰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인지적 도제이론을 적용한 기악프로그램 이 지적장애 중학교 학생의 연주 능력과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적절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어머니의 완벽주의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효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완벽주의, 양육행동, 유아의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완벽주의, 양육행동,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머니의 완벽주의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4, 5세 유아의 어머니 3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조복희(2000)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박성연, 이숙(1990)이 개발하고 김미숙(2005)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문제행동을 알아보고자 Achenbach와 Rescorla(2000)가 1.5~5세 유아 대상으로 부모가 직접 평정하도록 제작한 CBCL을 오경자와 김영아(2008)가 번역하여 표준화한 K-CBCL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였다. 첫째, 연구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완벽주의, 양육행동, 유아의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F검증 후 Scheffe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완벽주의, 양육행동,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넷째, 어머니의 완벽주의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완벽주의를 살펴본 결과, 가정 수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양육행동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교육 정도, 가정수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어머니의 완벽주의, 양육행동,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완벽주의, 양육행동, 문제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의 완벽주의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양육행동 모두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개인적 성격특성인 완벽주의 보다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어머니의 개인적 성격특성과 양육행동을 각 부분적으로 연구되던 요인들을 종합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관계와 영향력을 분석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기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의 방안과 부모의 올바른 양육행동 지원에 대한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havior and the problem behavior of infa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1. Are there differences in perfectionism, parenting behavior, and problem behavior of infants depending on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mother?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fectionism, parenting behavior, and problem behavior of infants? 3.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havior on infant behavior? To address these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ample of 350 mothers of infants aged four to five years who were enrolled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do Province. Cho Bok-hee’s (2000)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mothers’ perfectionism tendencies. A scale developed by Park Sung-yeon and Lee Sook (1990)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Mi-sook (2005) was used to measure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To find out the problem behavior of infants, we used the standardized K-CBCL, which was translated by Oh Kyung-ja and Kim Young-ah (2008), by translating the CBCL (whereby parents directly evaluate infants aged 1.5 to five years), and produced by Achenbach and Rescorla (2000). SPSS 22.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First,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instrument. Second, a Scheffe Post-hoc Test was conducted after an F Test to find out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others’ perfectionism, parenting behavior, and problem behavior of infants based on the mothers’ general background variable. Thir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if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fectionism, parenting behavior, and problem behavior of infants. Fourt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mpact of mother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havior on infants’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ing the mothers’ perfectionism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e stud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family income. Second, after examining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mot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stud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mothe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family income. Third, after examining the infants’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the mot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study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mothers’ ages. Fourth, after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erfectionism, parenting behavior, and problem behavior of infants,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parenting behavior, and problem behavior. Fifth, after examining the influence of mother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havior on infants’ problem behavior, both the mother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havior were found to affect the infants’ problem behavior, and the parenting behavior had a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on the infants’ problem behavior than the mothers’ perfectionism, which is a mother’s personality trai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infants’ problem behavior by compiling the factors that were partially studied regarding mothers’ character,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behavior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will hopefully provide measures that can be used as a preventive plan to reduce infantile problem behavior and as basic guidance for parent education on supporting parents’ proper parenting behavior.

      •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강화를 위한 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에 대한 실무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강효진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MF 사태 이후 급속하게 벌어지고 있는 경제적 양극화 현상은 사회 전반에 걸쳐 심각한 문제를 가져왔다. 가정이 붕괴되고 공교육의 위기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쓰여질 정도로 학교의 위상이 흔들리는 지금 지역사회가 새로운 교육파트너로 부상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인적자원부를 중심으로 시도되고 있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은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통하여 저소득층 학생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정책적인 방향만 제시했을 뿐 이론적인 논의나 구체적인 실무자들의 역할에 대한 매뉴얼 없이 학교를 중심으로 급하게 서두른 사업은 전적으로 실무자들의 역량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실무자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각 지역 별로 지역사회의 특성에 따라 연계되는 유형들과 그에 따른 실무자의 역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4개의 지역을 선정하였고,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육청 프로젝트조정자, 교사,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이렇게 7명을 선정하여 심층면접방법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가 강화되기 위해서는 외적으로는 제도적인 시스템이 마련되어져야 하고 내적으로는 지역사회 내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지역의 현안들을 같이 고민하고 합의해 나갈 수 있는 기반들이 마련되어져야 한다는데 이르렀다. 정부에서는 부처간 연합체라고 할 수 있는 교육복지위원회를 신설하고 심각한 교육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들을 마련해야 하며, 지역사회는 구청 내에 지역교육공동체센터를 마련하도록 하여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현안들에 대해 고민하고 지역 내 어떤 자원들이 있는지 지역사회 내에서 기관들끼리 유기적으로 연합되어 있어야 하며, 학교는 학교대로 학생을 위해서 관리자와 교사와 학부모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고민이 같이 어우러져야 한다. 외적, 내적으로 연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비로소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은 가장 적합한 사회안전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조부모와 부모간 원활한 양육정보 공유 및 소통을 위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중심으로

        강효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research our society is becoming more difficult to raise a child due to continuous increase of Female-economic activity, and this results in 2.5 million of 5.1 million parents to work together for a living. This leads to a social phenomena that our grandparents to take responsibility of raising a child. These grandparents who raise their grandchildren are called ‘Twilight Infant-car Group’ these days and their average ages are 62.4. They are more educated than other grandparents are, relatively with stable salary and stable economic status. Despite the economic depression and low-birth-rate, their interests of nursery-products are increasing constantly as these nursery-product market keeps on growing bigger. As for this rapid growth in ‘Twilight Infant-car Group’, more services and educational programs are provided for their convenience. However, it is problematic that these programs and services would actually lighten their difficulties they are having in their everyday-life because they are also people who need more and constant care. According to many other previous researches and studies, they are having mental difficulties in fact but sadly these researches could not give any solutions to their problems. This study ultimately focuses on how to reduce these grandparents’ stresses and their mental difficulties. This study also tries to show that those grandparents want their family and children to know and become more aware of their condition and want to be comforted, and also emphases on several ways to solve the conflicts comes from the different methods of raising their children. So as one of the ways, this study suggests a smart-phone application which eventually will make and give an opportunity of smoother communications in easy-sharing between the parents and the grandparents. There were not this kind of application until now, through this study we want to support our parents and grandparents to interact and communicate more easily and so it would bring positive results in reducing of their mental difficulties. In prior to this study, through our and survey we could enhance the understandings of our grandparents, and we had qualitative survey and proceed with two different interviews; pre-interview and in-depth interview with the grandparents. Also, we were able to meet their needs of smoother communication and gaining information more easily for raising a child by using and utilizing the ‘Affinity Diagram’. From these researches we also were able to prepare a persona and a scenario. We also could visualize their experiences as the ‘Customer Journey Map’ which helped to find their potential needs additionally, and discover and create the following; simple-memo, meal-plans of babies, day-plans of babies, information on infant care, information box. We suggest screen-details of each functions and the creation of ‘Use Flow’ as an application that can be used in smart phones. Plus, they were created and tested for an easy usability as examples. The testing were proceeded mainly for the practical use of each functions and the results were satisfactory with positive feedbacks. Therefore this ‘Smart phone-application Suggestion Study’ is primarily concentrated on the method to resolve the conflicts between the parents and the grandparents followed by raising a child. Hopefully, this study would not only help them to communicate more easily, to exchange information, and to understand and support each other, but also help other researches and studies furthermore. 최근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의 지속적인 증가로 육아에 대한 어려움이 커지고 있으며, 젊은 맞벌이 부부 510만 가구 중 250만 가구가 육아를 조부모에게 맡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렇게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를 ‘황혼 육아족’이라 부르고 있으며, 평균 62.4세, 일반적인 노인층보다 높은 학력수준, 비교적 안정된 소득수준을 보이며 불황과 출산율 감소에도 육아용품 시장 성장의 큰 손으로 자리 잡고 있어 관심이 날로 더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급속도로 늘어나는 손자녀 양육 조부모들을 위해 상품, 서비스 및 교육 등은 맞춤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조부모의 편의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조부모의 편의성 충족만으로 신체적, 정신적으로 외부의 돌봄이 필요한 시기에 오히려 손자녀를 돌보고 있는 조부모의 실질적 어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 많은 선행 연구에서 손자녀 돌봄 조부모의 신체적·심리 정서적 어려움에 대해 밝히고 있으나 실태파악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는 조부모 부모간 원활한 양육정보 공유 및 소통을 목표로 하였다. 손자녀를 돌보며 가장 원하는 것이 ‘가족들이 내 마음을 알아주고 위로해준다’이며, 자녀와의 육아방식 차이에서 오는 갈등이 우울감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는 조사에 주목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부모 부모간 원활한 양육정보의 공유 및 소통의 수단으로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 수많은 육아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조부모와 부모간 정보의 공유와 소통을 위한 서비스는 없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성인자녀와의 상호작용과 정서적인 지지를 촉진하여 스트레스 경감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문헌 연구와 현황조사를 통해 손자녀 양육 조부모에 대한 이해를 높였으며, 사전 인터뷰와 심층인터뷰 2번에 걸쳐 정성적 리서치를 진행하였고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을 활용한 인터뷰내용 구조화 작업을 통해, 간편 정보 획득, 개인/맞춤화, 편한 소통이라는 요구사항을 추출 및 압축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퍼소나와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추가로 퍼소나의 고객 여정 맵(Customer Journey Map)을 작성하여 경험을 시각화함으로써 잠재된 니즈(Needs)를 찾을 수 있었고 간편메모, 아기식단, 아기하루, 육아정보, 정보함의 기능을 도출할 수 있었다. 각 기능의 상세화면과, 유즈 플로우(Use Flow)를 설계하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안하였고, 프로토타입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는 기능의 수행, 실용성에 집중하였으며, 그 결과 사용성에 전반적으로 만족하였으며 추후 사용 의사 여부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들었다. 따라서 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제안 연구는 양육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조부모와 부모간 상이한 양육방식에 대한 갈등을 해소하고, 편안한 소통을 통해 정서적 지지를 주고받는 등 심리적·정서적 어려움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학문적으로는 손자녀 돌봄 어려움에 대한 실태파악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해소를 다룬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