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색각이상자를 위한 웹 접근성 개선 도구에 대한 연구

        강혜원 숭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색각이상자를 위한 웹 접근성 도구에 대한 연구 강혜원 IT경영학과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정보화 시대인 지금 현대인들은 대부분의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획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의 획득은 더욱 빨라졌고 손쉬워졌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 기술의 발전은 장애인이나 노인 등과 같은 정보 취약계층과의 정보 격차를 점점 더 벌어지게 한다. 각종 기관 및 단체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색각 이상자를 위한 대응 방안은 여전히 취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색각 이상자의 정보 획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필요 없이 웹 브라우저에서 바로 실행되는 웹 접근성 도구를 제안한다. 위 도구를 설계하기에 앞서 웹 접근성과 색각 이상자, 색체계(RGB) 그리고 도구 설계를 위한 웹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연구를 선행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JavaScript Plugin ‘html2canvas’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의 HTML 문서를 canvas에 담아 이미지화한 뒤, JavaScript와 HTML5를 이용하여 canvas에 담긴 RGBA 이미지 정보를 변형하는 이미지 보정 과정을 거쳤다. 그 후 JavaScript와 JavaScript Library ‘jQuery’, HTML5, CSS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 내 마우스 커서에 따라 해당하는 일정 영역의 보정된 이미지를 툴팁 형태로 출력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보정된 이미지가 색각 이상자가 구별하기 힘들었던 색상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설계된 코드를 다른 웹 사이트의 소스에 삽입하였을 때 문제없이 잘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더 나은 웹 접근성 환경이 조성될 것을 기대해본다. ABSTRACT A Study of WEB Accessibility Improvement Tool for Color Vision Defectives KANG, HYE-WON Department of IT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In the information age, modern people are getting most of their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As a result,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became faster and easier. However, these advances in modern technology further widen the digital divide with the vulnerable, such as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hile various agencies and organizations are working hard to solve these problems, they are still vulnerable in their response to the color vis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web accessibility tools that are implemented directly in web browsers without the need to install a separate program to improve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for people with color vision. Prior to designing the above tools, research was conducted on Web programming languages for web accessibility, color vision defectives, RGB color model, and tool design. During the design phase, the HTML document of the web page was put into the canvas using JavaScript Plugin ‘html 2 canvas’, and RGBA image data contained in the canvas was modified by using JavaScript and HTML5. JavaScript and JavaScript Library 'jQuery', HTML5, and CSS were then used to print a tool tip out calibrated image of the corresponding area according to the mouse cursor on the web page. Through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calibrated images improved color tha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color vision defectives and that the design code was transferred to other website sources. I look forward to creating a better web accessibility environment through this study.

      • 타투의 개념을 활용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강혜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타투의 개념을 이용, 확장하여 디지털 인터페이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디지털타투 기술의 발달에 따른 타투의 활용과 역할을 해석하는데 있어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것에 주목한다. 타투는 현재 나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미를 위한 치장이나 개성의 표현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타투는 역사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피부에 국한되던 전통적 타투의 영역에서 벗어나 의복, 제품, 가구 등과 같은 생활용품에 사용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대상에 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제품에까지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렇듯 확장되고 있는 타투는 비주얼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상호간에 소통하는 시각적 언어로서의 기능도 포함하며 보다 넓은 영역에 적용 가능한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타투는 디지털과의 매시업을 통하여 새로운 차원의 인터페이스를 가능케 할 수 있을 것이며 디지털 인터페이스 기술의 발전과 이들 기술의 응용을 통하여 인간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진화 할 것이다. 디지털 타투란 용어는 타투를 디지털화 한다는 의미로, 피부에 정보를 보관하고 활용할 수 있는 타투와 같은 디지털 형상을 말한다. 따라서 스킨타투란 큰 범위에서 보면 전통적인 문신에서부터 피부 위나 피부 밑에 인터페이스를 심거나 부착하는 형태, 가상현실형태 또는 전자적으로 표면에 나타나는 영역에 이르는 모든 것을 타투의 개념으로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첨단 기술을 통해 유용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피부디스플레이 기술개발로 쉽게 문신을 바꿀 수 있는 시대가 올 수 도 있을 것이다. 이는 곧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문신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발 중인 기술들은 건강상태 또는 감정 상태를 읽어낼 수 있고 그것을 피부표면에 나타내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이 같은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디지털타투 기술은 미래의 타투 인터페이스에 적용되고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증강현실 기술과 나노기술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어 피부에 직접 삽입하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와 연결돼 계속적으로 다이나믹하게 작동되도록 사용한다거나 피부와 밀착되어 개인에 최적화되는 형태의 마치 신체와 감각의 연장처럼 휴대폰 사용이 가능하여 확장된 정보의 교환과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한 타투인터페이스의 미래적용시나리오도 소개되고 있다. 비주얼 타투 개념의 인터페이스 적용은 타투의 디지털과의 결합을 통한 타투의 응용확장 및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구현의 가능성과 사람의 스킨을 적극 활용한 사람과 제품사이의 새로운 상호작용, 또한 사람간의 증강된 커뮤니케이션, 디지털 디스플레이로서의 확장된 개념의 속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타투개념을 활용한 디지털 인터페이스 개념은 계속 확산되고 확장되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인류 생활 편리성이나 활용 신속성 등을 위하여 디지털타투 이용에 대한 연구는 지속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이 분야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와 진전을 통하여 미래생활 활용 및 편의성 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focussed on the possibility of the digital interface for use and extension of a tattoo concept and on the supply of a new point in interpreting the application of the tattoo and its role in connection with the progress of digital tattoo technology. The tattoo is now used for expression of personality or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and also as a means of a decoration for beauty of human beings regardless of age and sex around the world. It has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ass of time, making a new territory in the area of household items such as clothes, products, furnitures and others by means of getting out of the frame of the traditional tattoo which was only restricted to the human skin, and extending its territory to the region of the digital technology products. The tattoo expending and expanding this way in the area has the function of a visual communication media including a visual language for mutual communication and it is also recognized as an object applicable to more wide areas. It is believed that the tattoo can have a new function of interface through mesh-up with digital technology giving the way to being useful to human beings by the progress and evolution of digital interface technology and also through with its application. The term digital tattoo which has the meaning of being digitalized for the tattoo concepts keeps the information on or under the surface of skin and makes use of it in the form of a tattoo image. Thus it can be expressed that the skin tattoo takes, in the context of scope in large scale, the form of the traditional tattoo images, the interfaces implanted under skin or attached on skin, virtual or electronic images and the other types of tattoo concepts on the surface of skin. The time when the tattoo may be changed with ease through the stream-lined development of skin interface technology will come up for performing the useful function with more deep study and research. In the other word, this means that the programmable tattoos might appear soon and be applied for expression of our speci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The new technology in this field may make it possible to read and recognize the state of health and emotion, and to have them expressed on the surface of skin, and will be applied and used to the tattoo interface for extension of its concept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augmented and nano technology will be applied to the mobile machines and be directly utilized into the skin by being implanted and connected to a digital information interface for continuously dynamical operation and also that technology will make it possible for the interface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skin just like extension of body or sense optimized to an individual, and for a mobile phone to exchange a lo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meantime, the tattoo interface in this area with those functions will come out soon. There is more or less meaning in the point that the tattoo is combined with digitals for its extension and realization of the new interface between human beings and products for a new interaction and augmented communication, and that it has the extended digital display characteristics through positive use of human skin adopting the visual tattoo concept.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pts of a digital interface in the process of the tattoo's role changing will be continuously extended and expanded toward useful use of it. The more wide study on this digital tattoo has to be done and undertaken by other students in the respect of application for human beings life convenience.

      • 문화유산 해설문 영문 번역 용례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 연구 : 국가지정문화재 및 등록문화재를 중심으로

        강혜원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유산 안내판의 영문 해설문에서 사용되는 번역 용례를 수집하여 그 사용 현황을 분석하고, 이러한 용례 데이터가 향후 문화 유산 영문 해설문 작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정보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유산 안내판은 문화유적지 또는 문화유산이 위치한 현장에서 해당 문화유산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 중에서도 영문 해설문은 우리나라의 문화유적지를 방문한 외국인들이 현장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지식정보이며,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을 확장시킬 수 있는 최초의 접근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문화유산 안내판의 영문 해설문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부적절한 번역어의 사용으로 인해 우리나라 문화유산의 특징과 의미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거나 왜곡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점은 개선이 시급한 부분이 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현재의 영문 해설문에서 공통적으로 발생 하는 ‘용어 사용’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근본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문화재청에서는 쉽고 평이한 언어와 내용으로 해설문을 작성할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문화유산의 특성을 설명하고 그 문화유산의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한정된 지면을 통하여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용어 혹은 외국인 관람객에게는 낯선 어휘의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가 있다. 그러 므로 단순히 ‘쉽고 평이한 언어’를 강조하기 보다는 실제로 영문 해설문에서 사용되는 어휘와 표현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가지정문화재 및 등록문화재 안내 판의 영문 해설문을 대상으로 다양한 한영 번역 용례를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2013년 문화재청에서 실시한 ‘전국 문화재 안내판 현황 및 안내문안 전수조사 사업’ 결과물에 포함된 총 1,860편의 문화재 영문 해설문을 XML 전자문서 형식으로 정보화하여 16,137건의 영문 번역 용례를 추출하였고, 추출된 용례의 분석을 통하여 7,039건의 ‘오류 사례’와 9,098건의 ‘유효한 번역 용례’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현행 영문 해설문에서 하나의 국문 용어가 매우 다양한 형태의 영문 용례로 표현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유형의 오류 사례도 발생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국문 용어에 대한 표준화된 번역어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영문 해설문 작성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번역어를 찾은 결과라고 할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문화유산 해설문에 쓰이는 여러 가지 용어들에 대해 정확한 의미 전달을 보장하는 영문 번역어가 일종의 표준안 또는 권고 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면 그것은 영문 해설문의 품질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 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유산 영문 번역 용례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이와 유사한 성격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고 효과적으로 분석·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문화유산 해설에 필요한 국문 용어 간의 의미적 관계와 각 용어의 다양한 번역 용례들이 체계적으로 기술될 수 있도록 정의하였다. 그리고 번역 용례의 출처 정보를 포함하여, 안내 판의 해설문뿐만 아니라 차후 다양한 자원의 용례를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Korean cultural heritages are progressively gaining interest from Koreans and non-Koreans alike, with 43 cultural heritages being registered with UNESCO since 1995. Texts found on interpretive panels at such cultural heritage sites are useful sources of key cultural and historical information about the heritage itself, as well as Korea at large. Interpretive texts in English, in particular, have great significance, as they are often the first and most easily obtained on-site information by non-Korean visitors. Through these interpretive texts, foreign visitors can learn about Korean history and culture, further expanding their interest in Korea. However, despite their importance, English interpretative texts of Korean cultural heritages have been frequently criticized in many regards. Of particular concern is the widespread use of inappropriate and incorrect terms, as they often cause misunderstanding and distortion of the authentic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Korean culture. In order to get to the root of such problems, this paper examines English terminology usage in interpretive panels, analyzing over 16,000 terms, with the objective of creating a means by which English terms can be more effectively utilized in writing or translating diverse texts related to Korean cultural heritage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CHA) has recommended that cultural heritage interpretations should be written with simple, basic expressions to help readers understand the texts with ease. Yet,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al heritages and their historical, cultural backgrounds, it is inevitable that there will be some terminology and words that are unfamiliar to foreign readers. Therefore, rather than the mere suggestion of easy words, the comprehensive research of the terms and expressions used in such interpretations is imperative.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involves the analysis of a wide variety of translated English terms, especially those used in the interpretations of the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and registered cultural heritages of Korea. In 2013, the CHA conducted a nationwide survey regarding the status of cultural heritage interpretive panels and the interpretive texts on them. The result of this survey, which included 1,860 interpretative texts, was used as the basis of this research. The texts were then turned into XML documents, and using the XML-enabl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a total of 16,137 English terms and expressions were compiled. The terms and expressions then underwent an additional validation assessment, which showed that there were 7,039 errors and 9,098 valid transla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addition to an individual Korean term being translated differently into multiple English terms, there are numerous types of errors, as well. This situ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current conditions of cultural heritage text translation, in which a lack of reliable glossaries and guidelines leads to terminology being absolutely dependent on the translators’ individual choices. Therefore, the quality of English interpretative texts could be improved effectively through a list of recommended, or standardized, English counterparts for Korean term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nglish terms found in the interpretive texts of Korean cultural heritages, a terminology database model was designed, which facilitates the continuous collection, analysis, and utilization of similar terminology data. The databas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systemically defines the semantic relations between Korean terms for describing cultural heritages, as well as diverse English-translated terms for each Korean term. The database also contains information on the sources of the English terms, so that the database can be expanded by adding many other terms from different sources in the future.

      • 팀 비서의 감성지능(EQ)이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강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many companies are focusing on maintaining an efficient organizational system meeting the environmental changes through slim structure. In this situation, effective team system management escaping from the hierarchy structure emphasizing traditional positions is essential (Jang Yeong-im, 2009). In order for a team to function well, communication between seniors and members is very important, and practice of emotional management needing emotional communication ability is being strongly required at sites (Gang In-ae, Bang No-yeong, and Park Jeong-yeong, 2011; Gang Seon-yeon and Jeong Jae-uk, 2011; Jo Kyeong-sik and Lee Yang-su, 2008). As a team assistant who plays not only a role as an efficient channel between seniors and members but greatly influences team performance and establishment of teamwork, he or she needs to be equipped with emotional quotient as well as intellectual capacity. Although emotional quotient, which is an ability to grasp emotions of self and others, think reasonably, and cope with environments, is considered to be a precondition of a team assistant that constantly interacts and communicates with others, there have been few related stud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play a role as a middle manager between seniors and memb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group cohesiveness. Specific research problems are as below: First, whether the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Second, whether the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group cohesivenes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a questionnaire was made by selecting analysis items through related preceding research. One hundred eighty seven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ecretaries working at domestic companies, and 103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team secretar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Specifically looking at the effects of the four sub-factors of emotional quotien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while relationship management ability had an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self-awareness ability, self-management ability, and social recognition ability had no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Second,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group cohesiveness. Emotional quotient, as the driving force to move charismatic leaders, gives an ability to create new visions and efficiently communicate with members. However, as a team assistant plays a greater role as a colleague than as a senior, he or she would not be able to charismatically criticize or advise team members. Thus, while a team assistant would not be able to induce cohesiveness from team members, emotional quotient of a senior would influence team memb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pecify the role of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It will provide the ground to grasp the influence of assistants in the areas of invisible performance such as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group cohesiveness, and be used as the baseline data for seeking measures to induce emotional quotient and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많은 기업들이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맞춰 조직개편의 기본 방향을 슬림화를 통한 효율적인 조직체계를 갖추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 기업은 전통적인 직급을 중시한 계층 구조에서 벗어난 효과적인 팀제 경영방법이 필수적이다(장영임, 2009). 팀이 잘 운용되기 위해서는 상사와 구성원들 사이의 소통이 매우 중요하며, 정서적 소통능력이 필요한 감성경영의 실천이 현장에서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강인애, 방노영, 박정영, 2011; 강성연, 정재욱, 2011; 조경식, 이양수, 2008). 팀 비서는 상사와 구성원들 사이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역할을 담당할 뿐 아니라 팀 성과와 팀워크 구축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적 능력 외에 감성지능이 더욱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자신과 타인의 감성을 잘 파악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능력인 감성지능은 조직 구성원들과 상호작용 하며 계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팀 비서의 역할에 아주 중요한 전제조건이라고 생각이 되지만, 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사와 구성원들 사이에서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팀 비서의 감성지능이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집단응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집단응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 항목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국내 기업에서 근무하는 비서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회수한 설문 응답지 187부 중 팀 비서로 응답한 103부를 추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감성지능의 4가지 하위요소가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감성지능의 4가지 하위요소 중 관계관리 능력이 팀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인식 능력이나 자기관리 능력, 사회적인식 능력은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집단응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 지능은 카리스마를 가진 리더를 움직이는 원동력으로서, 새로운 비전을 창조하고 구성원들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부여한다. 하지만 상사와 팀원들 사이의 중간관리자 역할을 맡고 있는 팀 비서는 상사보다는 팀원들의 동료의 역할이 강하기 때문에 팀원들에게 카리스마가 담긴 비판과 조언을 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팀원들의 응집력을 이끌어낼 수 없으나 상사의 감성지능은 팀원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팀 비서의 감성지능의 역할을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집단응집력 같은 비가시적인 성과에 있어서의 비서의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감성지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 모색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적 거리와 성별이 불법 촬영물 유포 범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상황 불편감과 상황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혜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distance and gender on perception of distribution illegal sexual image crime. Study 1 examine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istribution illegal sexual image crime depending on social distance between the perpetrator ‧ victim and participant, and mediating effect of situational distress, situational empathy,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need to belong. Study 2 examine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istribution illegal sexual image crime depending on participant’s gender, perpetrator’s gender, victim’s gender, and mediating effect of situational distress, situational empathy,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match between the perpetrator ‧ victim and participant. Social distance was divided into 2 categories: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participant, and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victim and the participant. Gender was divided into the 3 categories : gender of the participant,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A total of 16 scenarios were used by manipulating conditions that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participant(acquaintance/other), and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victim and the participant(acquaintance/other), perpetrator’s gender(male/female), the victim’s gender(male/female). A total of 668 participants responded to explored for perception of distribution illegal sexual image crime. As a result of Study 1, it was clarified that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participant influences the perpetrator’s moral judgment and the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and social distance between the victim and the participant influences the perpetrator’s behavior appropriateness and the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In addition,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situational distress in the perpetrator’s moral judgment and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according to social distance between perpetrator and the participant. And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situational empathy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need to belong in the perpetrator’s behavior appropriateness, perpetrator’s punitive judgment and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according to social distance between victim and the participant. As a result of Study 2, it was clarified that the participant’s gender influences the perpetrator’s moral judgment, the perpetrator’s behavior appropriateness, perpetrator’s punitive judgment, the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and perpetrator’s gender influences the perpetrator blaming, perpetrator’s punitive judgment, the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In addition,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situational distres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match between the victim and participant in the perpetrator’s moral judgment, the perpetrator’s behavior appropriateness, victim blaming, perpetrator’s punitive judgment and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according to participant’s gender.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situational distres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match between the victim and participant in the perpetrator blaming, victim’s s behavior appropriateness, victim blaming,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according to victim’s gender. And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situational empathy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match between the victim and participant in the victim’s moral judgment, victim’s s behavior appropriateness, victim blaming, perpetrator’s sentencing judgment according to victim’s gender. The finding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perpetrator ‧ victim and the participant, and the gender of participant. perpetrator, victim could vary perception of distribution illegal sexual image crime. Also the situational distress ‧ empathy plays a role in negatively perception of distribution illegal sexual image crime and positively perception of the victim. Finally, practical ap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연구 1과 연구 2로 나누어, 사회적 거리와 성별이 불법 촬영물 유포 범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유포자 ‧ 피해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에 따른 불법 촬영물 유포 범죄 인식의 차이와 상황 불편감 ‧ 상황 공감의 매개효과 및 소속 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연구 2에서는 판단자 ‧ 유포자 ‧ 피해자 성별에 따른 불법 촬영물 유포 범죄 인식의 차이와 상황 불편감 ‧ 상황 공감의 매개효과 및 유포자 ‧ 피해자와 판단자의 성별 일치 여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유포자 ‧ 피해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가 먼 조건(타인)과 유포자 ‧ 피해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조건(지인), 남성 유포자 조건, 여성 유포자 조건, 남성 피해자 조건, 여성 피해자 조건으로 조작하여 총 16개의 시나리오를 사용하였다. 연구 참가자 총 668명을 대상으로 불법 촬영물 유포 범죄 인식을 탐구하였다. 연구 1 결과, 유포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가 유포자 도덕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해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는 유포자 행동 적절성, 유포자 양형 판단에 영향을 미쳤다.또한 유포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와 유포자 도덕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에 대한 상황 불편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피해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와 유포자 도덕 판단, 유포자 행동 적절성, 유포자 처벌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에 대한 상황 불편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피해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와 유포자 행동 적절성, 유포자 처벌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에서 상황 공감의 매개효과 및 소속 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2 결과, 판단자 성별이 유포자 도덕 판단, 유포자 행동 적절성, 유포자 처벌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에 영향을 미쳤으며, 유포자 성별이 유포자 비난, 유포자 처벌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판단자 성별과 유포자 도덕 판단, 유포자 행동 적절성, 피해자 비난, 유포자 처벌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과의 관계에서 상황 불편감의 매개효과 및 피해자와 판단자의 성별 일치 여부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피해자 비난, 유포자 처벌 판단, 유포자 양형 판단과의 관계에서 상황 공감의 매개효과 및 피해자와 판단자의 성별 일치 여부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피해자 성별과 유포자 비난, 피해자 행동 적절성, 피해자 비난, 유포자 양형 판단의 관계에서 상황 불편감의 매개효과 및 피해자와 판단자의 성별 일치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피해자 도덕 판단, 피해자 행동 적절성, 피해자 비난, 유포자 양형 판단과의 관계에서 상황 공감의 매개효과 및 피해자와 판단자의 성별 일치 여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포자 ‧ 피해자와 판단자의 사회적 거리와 판단자 ‧ 유포자 ‧ 피해자 성별에 따라 불법 촬영물 유포 범죄 인식의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상황 불편감과 상황 공감이 유포 범죄를 무겁게 인식하며, 피해자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남녀 학업 우수 청소년의 부모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포부의 관계 비교

        강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기에 자신이 선택한 일을 통해 자신의 자아를 실현시켜나가는 것은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발달과업 중 하나이며, 특히 학업적으로 우수한 청소년들의 경우 일반 학생들과 다른 그들만의 독특한 특성으로 갈등을 겪는 경우가 있으므로 학업 우수 청소년이 진로를 탐색하고 자신의 능력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도록 돕는 체계가 필요하다. 또한 진로포부는 개인의 자아개념 및 미래의 교육 및 진로관련 선택이나 성취 등을 예측해줄 수 있는 개념이며, 우수한 여학생들이 우수한 남학생들 보다 더 낮은 진로 포부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들과 학업 우수 남학생들은 효능감과 장벽의 지각정도와 상관없이 여학생보다 높은 지위의 직업을 열망한다는 것이 밝혀져 학업 우수 청소년의 진로포부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의 구조관계가 남녀에 따라 달라지는지, 달라진다면 어떤 부분에 의한 차이인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또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부모님과의 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설정하였으며, Lent 등(1994)의 진로선택모형에 기초해 이 변인들의 구조관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부 애착과 모 애착 각각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진로포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부 애착, 모 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포부의 전체적 구조관계에서 남, 여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이다.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업적으로 우수한 남, 여학생 632명을 대상으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들을 비교 검증한 결과, 차이검증에서는 간명성의 원리에 의해 연구모형이 채택되었으며, 적합도 비교에서도 다른 경쟁모형들의 RMSEA가 보통의 적합도에 속하는 것과 달리 연구모형의 RMSEA=.050(90% 신뢰구간 .036-.064)으로 좋은 적합도 범위에 속하였으므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부모애착과 진로포부 사이를 완전히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최종 모형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각 변인 및 하위변인에 대해 학업 우수 남학생과 학업 우수 여학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부 애착의 신뢰(남학생 평균=2.98, 여학생 평균=3.09), 모 애착 총합(남학생 평균=2.97, 여학생 평균=3.07), 모 애착의 의사소통(남학생 평균=2.81, 여학생 평균=2.96),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과제수준선호(남학생 평균=4.31, 여학생 평균=4.15),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 효능감(남학생 평균=4.16, 여학생 평균=4.41)이었다. 따라서 학업 우수 여학생들이 학업 우수 남학생들에 비해 아버지가 자신들을 잘 이해해주시고 존중해주신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어머니와 애착관계를 잘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학업 우수 여학생들이 자기관찰, 자기 판단, 자기반응과 같은 자기 조절적 기제를 잘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효능기대가 학업 우수 남학생들에 비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학업 우수 남학생들은 학업 우수 여학생들에 비해 더 도전적이고 구체적인 목표를 선택하려 하고, 자신의 기술 수준을 뛰어넘으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조관계가 남녀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남녀 집단 간에 구조동일성이 성립되어, 부모애착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사이의 구조관계에서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간에 차이가 없음이 밝혀졌다. An important developmental task of adolescence is the growth and exploration of future aspirations and career goals (Ryan & Deci, 2001). Especially, Many gifted adolescents are in trouble because of their multipotentiality in various domains, and that may create uncertainty with choice of their future career (Kerr, 1994). Thus, it is important that educators, parents, and counselors aware of possibl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career development of gifted adolescents. The majority of current findings about SCCT’s choice model suggest that rather than relating directly choice outcomes, the primary role of environmental variables may be to strengthen or weaken self-efficacy beliefs, which, in turn, promote career choice (Lent, Brown, Nota, & Soresi, 2003; Lent, Brown, Schimidt, et al., 2003). Also Blustein, Presioso, & Schultheiss (1995) proposed attachment is significant to adolescents as a way of advancing the exploration the career world. The current study utilized ideas from self-determination, attachment, and career development theories to develop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ow families influence young adult career development and aspirations. Rather than directly influencing career decisions, the family was proposed to influence processes within individuals that directly influence successful career development. Also, Hwang & Ryu (2003) explored the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by examining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spiration, suggests that there is a sex difference in the career aspiration. Gender differences in self-efficacy help to explain male-female differences in occupational consideration (Bandura, 1997; Hackett & Lent, 1992; Swanson & Gore, 2000). Therefore, in this study following questions were examined. First, what is the structure of parental attach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s among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Second, is there a gender difference between academically talented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structure of parental attach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s? Research participants were 632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recognized for the high academic achievement. They were Korean adolescent students (male=307, female=325) residing across the country from Seoul to Goeng-gi province. For understanding how parents influence academically talented male and female students’ career aspirations, and investigating whether the academic self-efficacy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aspirations among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this study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s a result, proposed model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aspirations has the best model fit and simpleness in model competition. Contrary to some studies that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is significant to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this finding means that attachmen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xcellent adolescents’ career aspirations. This finding supports the idea that career counselors should assess family functioning when helping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in their career development journey. Also, because academic self-efficacy and parental attachment affects to excellent adolescents’ career aspirations only indirectly, Lent et al (1994)’s model was identified in the group of Korean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either. Thus the support from family can be viewed as a facilitator of actualizing human potential, which can manifest as the expression of oneself through a career choice.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career aspirations and the mediating model proposed. To study gender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parental attach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s, the multiple group analysis in the SEM was performed. Because configural invariance, metric invariance and structural invariance were accomplished, it is a possible interpretation that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career aspirations and the proposed mediating model.

      • Bach-Busoni Chaconne에 관한 분석 고찰 : 악기 특성을 중심으로

        강혜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조니(Ferrucio Benvenuto Busoni 1866-1924)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서 피아노곡에서부터 오페라, 관현악, 성악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는데 특히, 편곡자로서 더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였다. 이러한 그의 능력은 많은 편곡 작품들을 통해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J. S. 바흐의 편곡 작품들은 편곡의 차원을 넘어서 하나의 작품으로 승화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부조니의 피아노 편곡 작품인 「J. S. 바흐의 파르티타 2번의 5악장 샤콘느」는 이러한 부조니의 편곡 작품 중 대표적으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조니가 피아노 곡으로 편곡한 Bach-Bosoni Chaconne를 중심으로 J. S. 바흐의 원곡과 비교분석하였다. 부조니가 피아노의 악기주법과 음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시도한 현대적 화성과 선율의 첨가, 리듬의 변화, 음역의 극대화 등을 살펴보고 이러한 작곡기법별로 부조니의 샤콘느를 분석하였다. 「J. S. 바흐-부조니 샤콘느」는 조성이나 화성, 기본적 리듬의 변화에 있어서는 대체로 원곡에 충실하고 있다. 한편, 부조니는 뛰어난 피아노 연주자였던 자신의 장점을 살려 음역, 리듬, 속도, 다이나믹, 세밀한 악상 표현, 폭넓고 밀집된 화성 등을 부가시킴으로서 효과적인 편곡작품을 탄생시켰다. 또한, 편곡을 통하여 바이올린이 가진 악기의 음향적 한계를 극복하고 피아노만의 특성을 최대한 발휘하여 J. S. 바흐의 작품을 새롭게 재조명했다는 데 그 음악적 가치가 있다. As a pianist and composer, Ferrucio Benvenuto Busoni (1866-1924) has left numerous works throughout various music genres, not only confined to piano pieces but also vocal pieces, operas, and orchestral works. He has especially showed a remarkable performance in the field of arrangement, which has been highly praised ceaselessly until today. Among his arranged compositions, several works based on J. S. Bach's pieces are particularly regarded as an original recreation, reaching far beyond a mere arrangement.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J. S. Bach's Partita No. 2, 5th Movement, Chaconne arranged into a piano piece by Busoni, which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that fully demonstrates his talent as a brilliant arranger. In the text, it thoroughly deals with idiosyncratic features of Busoni's original compositions and his arranged works, as well as definition of Chaconne and its fundamental traits as a variation. Moreover,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his music, it is analytically compared with J. S. Bach's original Partita for the violin, in the aspects of rhythm, dynamic, and tempo changes. It also deals with general flow of the piece, based on the technical performing analysis. J. S. Bach-Busoni's Chaconne ordinarily remains similar tonal, harmonic and basic rhythm pattern with its authentic piece, Nevertheless, Busoni recreated a distinguished masterpiece through enlarging tonal range, intensifying rhythmical diversity and changes in dynamics, expressing his elaborate sensitivity, and displaying broad but densely constructed harmonic texture. This is partly ascribable to the fact that he himself was an excellent pianist, having rich technical knowledge about the instrument. Its additional musical value lies in the disengagement of certain acoustical limitation that violin intrinsically has, and optimizing the piece to the piano, thereby successfully regenerating J. S. Bach's work.

      • 간호사를 위한 호흡곤란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

        강혜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간호사를 위한 호흡곤란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기 위하여 호흡곤란 응급관리 알고리듬을 작성하고 작성된 알고리듬에 근거하여 호흡곤란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개발 과정은 호흡곤란 응급관리 알고리듬을 작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을 통한 예비 알고리듬 작성, 알고리듬 내용타당도, 임상타당도 단계를 거쳤으며,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하여 시나리오 양식 작성, 내용타당도, 임상 적용을 거쳐 최종 시나리오를 확정하는 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의 개발 절차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호흡곤란 응급관리 알고리듬 단계는 초기사정, 즉각적인 응급관리, 호흡곤란 재사정, 호흡부전 모니터, 호흡부전 시 심정지 여부 확인, 맥박이 없을 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거나 맥박이 촉지되면 기도삽관을 시행하는 단계와 호흡상태 완화 시 추가 사정을 시행하여 폐인성, 심인성, 기타원인으로 감별하는 7가지 단계로 구성되었다. 2. 알고리듬 단계 흐름은 초기사정과 즉각적인 응급관리 후 호흡 곤란을 재사정하여 완화 시 추가사정을 수행한 후 심인성으로 감별하는 흐름, 폐인성으로 감별하는 흐름, 기타원인으로 감별하는 흐름의 3가지 흐름과 호흡상태 악화 시 호흡부전을 모니터하고 호흡부전 시 맥박을 확인하여 맥박이 촉지되지 않을 경우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흐름과 맥박이 촉지 될 경우 기도삽관을 준비하는 흐름을 포함하여 총 5가지 흐름으로 구성되었다. 3.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는 시나리오 개요, 교과과정통합, 시나리오 서술의 세부분으로 구성하였으며 호흡곤란이 완화된 사례흐름과 호흡곤란이 악화된 사례흐름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호흡곤란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통해 호흡곤란 응급관리 지침을 제공하고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하여 간호사에게 간호지식, 수행기술을 향상시키고 비판적 사고 과정을 통한 간호를 제공하게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나리오를 이용한 교육을 적용하고 교육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