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편영화 〈저승사자 죽이기〉 제작보고서 : 연출을 중심으로

        강태훈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 논문은 2022년 1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제작한 단편 영화 <저승사자 죽이기>의 제작보고서로써 작품의 기획 및 제작 과정을 기획 개발, 프리 프로덕션과 프로덕션, 포스트 프로덕션의 단계로 나누어 연출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저승사자 죽이기>는 중년의 남자가 고독사 전에 꾸었던 악몽을 표현한 작품으로 남자의 꿈을 통해서 그의 삶을 되돌아보는 영화다. 기존의 노령과 빈곤 계층에 편중된 고독사 소재의 영화를 중년과 중산 계층의 주인공을 설정하여 사회구조적인 문제보다 인간의 관계를 통한 본질적인 고독과 고립의 초점을 두었다. 필자는 <저승사자 죽이기>를 제작하며 뜻깊은 성장을 할 수 있었다. 인간의 꿈을 영화로 묘사하기 위해서 꿈의 모호한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어떻게 시각화시키는지 환상적인 영상 기법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제작 단계에서 활용하였다. 또한 대사가 없는 영화를 표현하고자 오직 인물의 행동만으로 내러티브를 전달하는 이미지 중심의 영상 문법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논문을 통해 <저승사자 죽이기>의 장면들을 무슨 의도로 어떻게 표현했는지에 대해 최대한 상세히 기록하려고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저승사자 죽이기>는 혹한의 겨울 촬영 현장에서 스태프와 배우들의 헌신과 노력으로 탄생한 결과물이다. 작품을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스태프와 배우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 This research paper is a production report of Short film <To Kill a Grim Reaper> produced from November 2022 to January 2023, describes the process of planning and completion of the work stages of planning development, pre-production, production, post-production. <To Kill a Grim Reaper> deals with a nightmare that a middle-aged man had before dying alone. It is a film that looks back on his life through his dreams. By setting the main character of the middle-aged and middle-income class in a film about lonely death, which was concentrated on the old age and the poor, the focus was on essential solitude and isolation through human relationships rather than social structural problems. I was able to grow meaningfully while producing <To Kill a Grim Reaper>. In order to describe human dreams as a movie, the ambiguous characteristics of dreams were analyzed, and fantastic video techniques were studied on how to visualize them, which were used in the production stage. In addition, in order to express a movie without dialogue, it was possible to deeply consider the image-oriented video grammar that conveys a narrative only with the actions of characters. Through this research paper, I tried to record in detail as much as possible the intention and how the scenes of <To Kill a Grim Reaper> were expressed. Lastly, <To Kill a Grim Reaper> is the result of the dedication and effort of the staff and actors at the filming site in the harsh winter. I would like to express my sincere gratitude to the staff and actors who struggled to make this work.

      • 체크리스트로부터 테스트 스크립트 자동 생성 방안

        강태훈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임베디드 시스템 테스트를 위해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테스트 스크립트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수동 생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체크리스트로는 테스트하지 못하는 다양한 모드 조합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스크립트도 생성할 수 있다. 체크리스트에 있는 테스트 명령어는 테스트 명령어 사전에 정의된 신호 값을 참조하여 테스트 스크립트로 변환된다. 또한, 체크리스트를 정의된 일련의 연관된 동작의 집합인 모드들 간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순차적, Double permutation 및 무작위 방법으로 테스트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구현되었고, 실험을 통해 그 가능성을 보여준다.

      • 사회적 기업의 성공요인과 내부고객 만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강태훈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is a growing interest around the world in social enterprises as a potential means to deal with arising social problems like economic inequality, aging society and regional imbalance. Even though a project to create social jobs was undertaken in 2003 in Korea, it was unsuccessful in continuouslycreating jobs. What we learnt from this project for social jobs is that "it is important to create jobs, but it is more important to sustain them". In other words, since what makes it possible for social enterprises to continue on is not getting a subsidy or support fund, but securing competitiveness of the business through economic activities,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identify factors that will allow for such sustainable operation. While much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of external customers and performance, only a scant amoun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management of internal customers and its subsequent effects on firm performance. As such this study aims to examine some of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successful management of internal customers and how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in turn can influence corporate performance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Jeju region. For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from 18 enterprises(11 social enterprises and 7 preparatory social enterprises) in the Jeju region. The collected data was empirically analyzed to test the hypotheses of our conceptual model by using SPSS 12.0 program.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rategic factor, entrepreneurship, organizational factor and social network factor were shown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while business environment was shown to have no correlation. Second, reward satisfaction and job importance among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of social enterprises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profit-making performance. Third, job satisfaction, supervisory satisfaction and job importance among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of social enterprises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public interest performance. Fourth, business environment and social network factors of social enterprises had positive effect on profit-making performance. Fifth, strategic factor, entrepreneurship and social network factor of social enterprises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 on public interest performance. The present study has some important policy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irst, it is advisable to increase wages and provide internal custome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install strategic education settlement program and develop ways to promote social enterprises through differential budget support systems. As a managerial implication, the closeness of social enterprises should be increased by the development of corporate talent fostering program and internship linked progra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a creative and professional business mindset among Jeju-based social enterprises so that they can operate without having to overly depend on government finances.

      • 체육계열학과 입시준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강태훈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체육계열 입시학원에서 다양하게 경험한 입시생들을 분석하여 그들의 삶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체육계열 입시학원이란 특수한 환경에서 체험하고, 경험하여 개개인의 경험 속에서 나타난 과거, 현재, 미래에서 나타나는 사실을 통해 체육계열 입시 학원생들의 경험을 말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고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왜 체육계열 입시학원을 다니는가? 둘째, 체육계열 입시학원에서는 어떤 경험을 하게 되는가? 셋째, 체육계열 입시학원에서의 경험이 삶에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질적 연구방법인 내러티브 방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 맞게 연구 참여자로는 3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총 3번의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얻었다. 비구조화 된 면담을 통해 자신들의 이야기, 심층면담, 현장메모, 음성녹취로 자료수집을 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에게 연구 참여에 대해 사전 동의를 구했으며, 모든 자료는 가명 처리하여 각 참여자의 개인적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내러티브적 탐색 연구과정을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하기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 S군 이야기, K군 이야기, H양 이야기로 체육계열 입시학원에서 입시과정을 그대로 이야기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체육계열 입시학원을 가는 과정, 운동하는 과정, 대학선택을 이야기 하여 입시과정을 이야기하고 있다. 둘째, 다시 이야기하기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3차원적 이야기를 통하여 논의 하였다.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의 연속성으로 나타나는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현재 체육대학을 다니고 있거나 재수를 하고 있는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이 삶의 주는 의미를 이야기 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미래를 이야기하고 있고 자신들의 꿈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체육계열 입시학원의 경험들은 결코 무의미한 시간들이 아니였고, 그 경험으로 통해 그 안에서의 힘듦이 결국 연구 참여자들이 미래를 개척 할 수 있는 시간들이였음을 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s who have various experiences on physical education university preparatory school and understand their lives. From this, it is meant to show the experiences of the students going to preparatory school for physical education university through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individual students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the specific environment called the preparatory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se problems were set : First, why go to the preparatory school? Second, what people experience in preparatory school? Third, what are the life lessons from the experiences at the preparatory school? To solve these problems, the narrative studying method was chosen. This study is par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hre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resources were gained from their three interviews. Their research participation were agreed in the first place and from the unstructured interviews, the stories, field memos, voice records were gained. All the data are put in aliases and all the personal informations are protected. The result from this narrative study is : first, in the storytelling part, the stories of participant mr. S, mr. K, ms. H at the preparatory school are revealed, and the college admissions process of going to preparatory school, workouts, and choosing universities. Second, in the reviewing part,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re analyzed all the way round. In the continuum of past, present, and future, the life lessons from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ho are now going to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or studying one more year for the entrance exam are told. In those results, the participants are talking about their future in their positions and are making progress toward their goal. The experience at the preparatory school were not meaningless time and from the experience and the toughness in it were the driving force toward their future.

      • 모바일커머스의 서비스 특성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 폰 사용자를 중심으로

        강태훈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Smartphone is in everywhere. Wherever they go or whatever they do, people never let go of their smartphone. Now a day people do not need to carry their heavy lap-top on the shoulder and search for LAN cable hook wall-to-wall and corner-to-corner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net service. Instead, people can now just use their smartphone with few touches on the screen and start to enjoy e-entertainment or perform light office work. Mobile life where most works could be done by smartphone is a brand new field which is not even a decade old. At year 2009, Apple's i-Phone has been introduced to Korea, and it brought a mobile big-bang scaled complete environment change. i-Phone's free wireless Internet access feature was such an innovative move where previous Korean tele-communication companies restricted their mobile Internet connection method to expensive 3G data only. Now mobile phone users can enjoy free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with no limits or fear of data over charging fees. In addition, unlike the Korean tele-communication companies' old contract, Apple suggested 70% of net share from an Apple’s App Store sale. Such exceptional offer made application developers more pro-active. By the combination of free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with Apple’s high rate income share policy, with Google's Android market participation in later stage, it created a serious mobile commerce competition era. Smartphone mobile commerce industry is growing rapidly day by day. There are countless number of mobile applications are being updated even at this very moment, and smartphone users are living in the flood of applications. Too many applications are introduced and disappear without notice, and such short application life cycle cause commotion among smartphone application users. Such phenomenon could damage the application service company too, where hardly kept loyal customers could switch to other newly introduced competitive application service companies. This study is focus on which characteristics of mobile commerce application services provide positive customer loyalty flow in order to build a customer satisfaction and lead it to the intention to repurchase action.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commerce application services which influence the intention to repurchase action, the literature reviews on intention to repurchase and customer loyalty were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Cognitive-to-Action Loyalty Framework and the Delone and McLean's Success Model, a structural equation model has been developed. For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SPSS 22.0 is used for analyze the exploratory factors, reliability, and Common Method Bias. AMOS 22.0 and SmartPLS 2.0 are used to test fit statistics of the measurement model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alyz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Seven hypotheses are developed and five are adopted by testing the modified study model. The Price Expectation and the Brand Reputation positively affect the Customer Satisfaction. The Customer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s the Word of Mouth and the Intention to Repurchase. Finally the Word of mouth positively affects the Intention to Repurchase. By analyzing the moderating affect by groups. Significant results are discovered amo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mplica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applied the Cognitive-to-Action Loyalty Framework and the Delone and McLean's Success Model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commerce application services which influence the intention to repurchase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s result would provide meaningful data to both mobile commerce start-up companies and academia. Key Words: Mobile Commerce, Smart Phone, Smart Phone Application, Cognitive-to-Action Loyalty Framework, e-Commerce Success Model,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길을 걸어갈 때도, 지하철이나 버스를 탈 때도, 카페나 식당에서 밥을 먹을 때도, 사람들은 끊임없이 스마트 폰을 만지작댄다. 이제는 무거운 노트북을 들고 다니며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랜 케이블을 찾을 필요도 없이 언제 어디서나 간단한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으로 대부분의 온라인 여흥이나 사무작업을 대체할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 폰 하나로 대부분의 일을 처리할 수 있게 된 현재의 모바일 라이프는 불과 10년이 채 되지 않은 새로운 영역이다. 2009년 미국 애플 사의 아이폰이 국내에 도입되면서 한국의 휴대폰 생태계는 모바일 빅뱅이라는 완전한 변화를 체험하게 된다. 아이폰의 무료 무선인터넷 개방이라는 혁신적인 결단은 기존의 비싼 유료 3G 데이터를 사용해야만 접속 가능했던 휴대폰 인터넷 접속을 수많은 휴대폰 사용자들이 갈망하던 과금걱정 없는 무제한 휴대폰 인터넷 사용 환경으로 바꾸어놓았다. 또한 기존의 국내 통신사 정책과는 달리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 제작사에게 판매 수익의 70%를 분배하는 애플사의 앱 스토어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동기부여를 확실하게 제공하였다. 이렇듯 무료 무선인터넷 환경 개방과 높은 수익률을 약속하는 앱 스토어 수익분배 정책은 하나의 커다란 시너지 효과를 내게 되며, 이후 구글의 안드로이드 스마트 폰 시장까지 가세하여 한국에서도 본격적인 모바일커머스 어플리케이션 전국시대가 열리게 된다. 스마트 폰 모바일커머스 어플리케이션 시장은 해가 갈 수록 급 성장하고 있다. 지금도 셀 수 없을 정도의 다양한 모바일커머스 어플리케이션들이 꾸준히 업데이트 되고 있으며, 스마트 폰 사용자들은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너무나 많은 스마트 폰 모바일커머스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들이 재빠르게 등장하였다가 소리소문도 없이 사라지고 있으며, 비워진 틈은 곧바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로 메워지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폰 모바일커머스 어플리케이션들의 과열경쟁은 스마트 폰 사용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며, 스마트 폰을 통해 서비스 및 제품을 제공하는 모바일커머스 업체에게는 힘들게 유치한 기존의 고객들을 다른 유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업체에게 빼앗기는 사태가 유발될 수도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커머스 어플리케이션 이용 시 어플리케이션의 어떠한 서비스 요인들이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주어 긍정적인 충성도 흐름을 유도하고 제품 및 서비스의 재구매의도로 이어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모바일커머스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특성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모바일커머스 고객충성도 및 재구매의도를 검증한 선행 연구의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Cognitive-to-Action Loyalty Framework 와 Delone and McLean 의 Success Model을 바탕으로 하는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SPSS 22.0을 이용하여 각 변수 별 기술통계량 조사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동일방법편의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AMOS 22.0 과 SmartPLS 2.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연구모형 적합도,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 매개효과, 조절효과 등을 검정하였다. 수정된 연구모형을 통해 총 열한 개의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이 중 여덟 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편리성, 브랜드명성, 가격기대치가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가격기대치와 브랜드명성이 구매자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구매자만족도가 구전의도와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고, 구전의도가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준다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집단 별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육환경의 차이에서 일부 유의한 결과가 나왔으며, 성별의 차이에서는 집단 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이전에는 시도하지 않은 Cognitive-to-Action Loyalty Framework 와 Delone and McLean 의 Success Model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 모바일커머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특성에 대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모바일커머스를 준비중인 스타트 업 기업이나 소규모 업체들이 더욱 효율적으로 고객 충성도를 관리하여 수익 향상을 도모하는데 도움을 주고, 관련연구의 중요성을 학계에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모바일커머스, 스마트 폰,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 Cognitive-to-Action Loyalty Framework, e-Commerce Success Model,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 중학교 방과 후 골프교실 참여자의 스포츠 집중력 및 스포츠 자신감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강태훈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d on investigating an effect of sports concentration (attention, confidence, goal setting) and sports confidence (competence preparation, coaching leadership, social support)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golf classes, on the creative personality (endurance obsession, self-confidence, sense of humor, curiosity, imagination, openness, adventure, independence). For the investigation,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one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he study sampled 312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after school golf classes at A and B Middle School for more than 6 months as of 2012 and chose 288 valid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excluding 24 responses which were determined as false responses Using SPSS Package Ver. 18.0 for data proces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by statistical techniques lik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ve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 groups by a posteriori test using Scheffe method. With the significance level for all statistical values set to p< .05, the analysis result show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sports concentration, sports confidence and the difference of creative personality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the gender difference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orts concentration and the sports confidence. However, endurance obsession, openness, and adventure in the creative persona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differences of each variable according to the grade of the participant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around goal setting in the sports concentration, competency preparation, coaching and leadership in the sports confidence, and sense of humor and independence in the creative personality, respectively. Second, analyzing the effect of the sports concentration on the sports confidence showed that goal setting affected competency preparation, coaching 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and attention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coaching leadership. Third, analyzing the effect of the sports concentration on the creative personality showed that attention influenced sense of humor and curiosity, and goal setting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endurance obsession and sense of humor. Last, in analyzing the effect of the sports confidence on the creative personality, competency prepar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endurance obsession, self-confidence, sense of humor, openness, and independence, as well as coaching leadership on endurance obsession, curiosity, openness, in addition, social support on endurance obsession, self-confidence, sense of humor, imagination and openness. 본 연구는 방과 후 골프교실에 참가하고 있는 중학교 학생들의 스포츠 집중력과 스포츠 자신감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비확률적 표집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중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 방법을 사용하여, 2012년 현재 A중학교와 B중학교에서 방과 후 골프 교실에 6개월 이상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표집 하였고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로 판단된 24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88부의 설문지를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Package Ver.18.0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적 기법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한 결과에 대한 개별 집단 간의 차이검증은 Scheffe의 방법으로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때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p< .05로 설정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스포츠 집중력과 스포츠 자신감, 창의적 인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먼저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스포츠 집중력과 스포츠 자신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창의적 인성에서는 인내집착, 개방성, 모험심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참여자의 학년에 따른 각 변인들의 차이에서는 스포츠 집중력에서 목표설정, 스포츠 자신감에서는 능력준비, 코치지도력, 창의적 인성에서는 유머감, 독립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스포츠 집중력이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목표설정이 능력준비, 코치지도력, 사회적지지에 영향을 미치며, 주의집중이 코치지도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집중력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의집중이 유머감, 호기심에 영향을 미치며 목표설정이 인내집착, 유머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자신감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능력준비가 인내집착, 자기확신, 유머감, 호기심, 개방성, 독립성에 영향을 미치고 코치지도력이 인내집착, 호기심, 개방성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가 인내집착, 자기확신, 유머감, 호기심, 상상, 개방성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Efficacy of the Erector Spinae Plane Block with Sedation for Unilateral Biportal Endoscopic Spine Surgery and Comparison with Other Anesthetic Methods

        강태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Erector spinae plane block (ESPB) is a new regional anesthesia implemented in 2016. Unilateral biportal endoscopic (UBE) spine surgery, a minimal invasive technique, has been performed under not only general anesthesia (GA) but regional anesthesia including spinal anesthesia (SA). In this regard, ESPB with sedation for UBE can be an alternative to previous anesthetic method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ESPB with sedation for UBE lumbar decompression and compare it with GA and SA. Methods: A total of sixty patients who underwent UBE lumbar decompression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o compare perioperative results of ESPB with other anesthetic methods, a retrospective age matched case-control study design was performed. From October 2021 to July 2022, three groups (20 patients in each group) of patients who underwent UBE lumbar decompressions under each anesthetic method (GA, SA, or ESPB) were formed. The total anesthesia time excluding operation time, postoperative analgesia effects, hospital days and complications related to anesthetic methods were evaluated. Results: In the ESPB group, all the operations were performed without change of anesthetic methods and without anesthetic complications. But there were no anesthetic effects in the epidural space, which resulted in additional intravenous fentanyl us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or sur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hree groups except for sex ratio. The mean of time from initiation of anesthesia to completion of surgical preparation was 23.3±4.7 minutes in the ESPB group, which was shorter than 32.3±10.8 minutes in the GA (p-value=0.001) or 33.3±6.7 minutes in the SA group (p<0.001). The mean of total anesthesia time was 107.5±30.8 minutes in the ESPB group, which was shorter than 131.0±38.1 minutes in the GA (p=0.002) or 134.3±37.4 minutes in the SA group (p <0.001). The proportion of patients requiring first rescue analgesia within 30 minutes after surgeries was 30% in the ESPB group, which was lower than 85% in the GA (p<0.001) but no significant different with 10% in the SA (p=0.11). The proportion of the cases that additional opioid medications postoperatively were used was 20% in the ESPB group, which was lower than 55% in the GA (p=0.01) but no different with 25% in the SA group (p=0.35). The mean of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of back pain at the discharge day was 2.7±0.5 in the ESPB group, lower than 3.1±0.5 in the GA (p = 0.01) or 3.1±0.6 in the SA group (p = 0.04). The mean of total hospital days in the ESPB was 3.0±0.8, shorter than 3.7±1.8 in the GA (p = 0.02) or 3.8±1.1 in the SA group (p = 0.01). There was no case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the ESBB even without prophylactic antiemesis. Conclusion: ESPB with sedation is a viable anesthetic option for UBE lumbar decompression. It has strengths in comparison with GA and SA in terms of total anesthesia time,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and avoidance of complications related with GA or SA. 배경: 척추 기립근 면 마취는 2016년에 시작된 새로운 부위 마취법이다. 양방향 내시경은 미세 침습 척추 수술의 일환으로 전신 마취뿐만 아니라 부위 마취 하에도 시행되어 왔다. 척추 기립근 면 마취 하에 양방향 내시경을 시행하는 것은 기존의 마취방법과 다른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척추 기립근 면 마취 하에 양방향 내시경을 이용한 요추 감압술의 효용성을 분석하고 이를 전신 마취와 척추 마취와 비교하기로 하였다. 방법: 양방향 내시경을 이용한 요추 감압술을 받은 60례의 사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비교 연구를 위하여 연령이 유사한 후향적 환자 대조군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2021년 10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전신 마취와 척추 마취 그리고 척추 기립근 면 마취를 시행한 뒤 요추 감압술을 받은 각각 20례로 구성된 3개의 군을 비교하였다. 마취소요시간, 수술 후 진통효과, 입원 기간, 마취와 관련된 부작용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다. 결과: 척추 기립근 면 마취의 경우, 모든 수술은 다른 마취 방법으로 바꾸거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없이 종료되었다. 다만 경막외 공간은 마취효과가 없어서 추가적인 경정맥을 통한 펜타닐 사용이 필요하였다. 세 군 간에는 성별을 제외한 인구학적 그리고 수술 관련 인자들의 차이가 없었다. 마취를 시작한 뒤 수술준비가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보았을 때 척추 기립근 면 마취에서 23.3±4.7 분으로 32.3±10.8 분인 전신마취나 (p-value=0.001) 33.3±6.7 분인 척추 마취보다 (p<0.001) 짧았다. 수술장내 체류 시간 또한 척추 기립근 면 마취군에서 107.5±30.8 분으로 131.0±38.1 분인 전신마취 (p=0.002)나, 134.3±37.4 분인 척추마취보다 (p<0.001) 짧았다. 수술종료 후 30 분 이내에 진통제가 필요했던 경우가 척추 기립근 면 마취에서 30%로 이는 85%인 전신마취 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p<0.001), 10%인 척추마취와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p=0.11). 추가적인 마약성 진통제가 필요했던 경우가 척추 기립근 면 마취에서 20%로, 55%였던 전신마취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p=0.01), 25%였던 척추마취와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p=0.35). 척추 기립근 면 마취에서 퇴원 당일 요통의 통증사정 점수의 경우 2.7±0.5로 3.1±0.5 전신 마취나 (p=0.01) 3.1±0.6인 척추 마취 (p=0.04)보다 낮았다. 척추 기립근 면 마취의 경우 전체 입원 기간도 3.0±0.8 일로, 3.7±1.8 일인 전신 마취(p=0.02)나 3.8±1.1 일인 척추 마취보다 짧았다 (p=0.01). 예방적으로 항구토제를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척추 기립근 면 마취군 내에서는 수술 후 구역 및 구토감이 없었다. 또한 기도 삽관과 관련된 부작용이나 척추마취와 관련된 경막 손상과 같은 부작용 또한 없었다. 결론: 척추 기립근 면 마취 하에 양방향 내시경을 이용한 요추 감압술이 가능하였다. 전신마취와 척추마취와 비교하였을 때, 마취시간이 짧고, 수술 후 진통효과가 있으며, 이전 마취 방법과 관련된 부작용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경막외 공간이 마취되지 않는 점과, 엎드린 진정 상태이기에 기도유지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은 주의가 필요하다.

      • 좌우단락이 있는 선천성 심질환에 동반된 승모판 폐쇄부전에 대한 연구

        강태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evaluate the fate and causative factors of mitral regurgitation(MR) associated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s with left to right shunt, the presence and the severity of mitral regurgitation was examined with echocardiography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in 224 cases of congenital heart disease(131 cases of VSD, 42 cases of ASD and 51 cases of PDA). The ratio of left atrial dimension and aortic root dimension(LAD/AoD), shortening fraction(SF) and Qp/Qs were compared in each MR(+) and MR(-) gro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Preoperative MR were observed 25% of VSD, 7% of ASD and 18% of PDA patients. 2) About the VSD patients, LAD/AoD and Qp/Qs of preoperatively MR(+)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ter than those of MR(-) group. In the patients who have improved MR, LAD/AoD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operation. But in the patients who have aggravated MR, LAD/AoD was not changed and SF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preoperative study. The timing of operation was unremarkable between improved MR group and aggravated MR group. 3) In the ASD patients, LAD/AoD and Qp/Qs were not related to the presence or severity of mitral regurgitation, but SF of the patients who have aggravated MR was significantly reduced. 4) In PDA patients, LAD/AoD and Qp/Qs of the cases with MR were markedly higher than those of the patients without MR, and after ligation of the ductus, LAD/AoD and the degree of MR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conclusion, the left atrial dilatation due to increased pulmonary blood flow could be a major factor causing preoperative mitral regurgitation in VSD and PDA, and th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seems to be main factor related to postoperative MR.

      • 스윙야더에 의한 집재작업과 프로세서 및 체인톱에 의한 조재작업의 작업공정 및 비용 분석

        강태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llection of thinned trees by analyzing the productivity and cost of the yarding operation by swing-yarder and the bucking by processor and chain-saw in the line thinning which is being promoted to improve the existing qualitative-thinning for the promotion of thinning operation and the active collection of thinned tree. The result of the yarding performance in the whole-tree yarding by swing-yarder was 13.14 ㎥/day in the investigated location 1 and in the whole-stem yarding by swing-yarder was 67.02 ㎥/day in the investigated location 2. It showed that proportionally influenced by the volume of trees. Also, the result of the working cost was 62,687 won/㎥ and 12,290 won/㎥ in the each investigated location. It showed that influenced by the time of yarding operation. In case of the bucking process, the result of the bucking performance was 360.38 tree/day in the investigated location 1 by processor and 95.71 tree/day in the investigated location 2 by chain-saw and wood-grab. It wa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orking performance ability by bucking machinery. The average processing cost was 12,191 won/㎥ in the investigated location 1 and 13,464 won/㎥ in the investigated location 2. Considering the timber volume per one tree of the investigated location, it is judged that the bucking operation by the processor is more efficient.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line thinning to improve the qualitative-thinning has a great effect on the collection of thinned trees. In addition to the introduction of processor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the line thinning by improving the skill of oper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