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적응 벌칙함수와 집합체 혼합진화 기법의 결합 및 유역유출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에 대한 적용

        강태욱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Evolutionary algorithms commonly used for an automatic calibration of watershed runoff simulation models are unconstrained optimization algorithms. A watershed runoff phenomenon, on the other hand, is so complicated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calibrate a watershed runoff model only with a single objective function. Many researchers have used multiple objective functions for parameter estimation of watershed runoff simulation model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ingle objective functions. Application of the multiple objective functions, however, has some difficulties in determination of weights for objective functions and in selection of a solution from many optimal solutions such as the Pareto optim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ptimization modu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for the above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of the watershed runoff simulation models. An adaptive penalty function was used to impose constraints on the model calibration process and it was embedded in the shuffled complex evolution-University of Arizona (SCE-UA) optimization program. The adaptive penalty function is easily implemented, free of parameter tuning, and guaranteed to find a solution for any problem at every run. The modified SCE-UA was validated through the applications to the three constrained optimization problems. And then an automatic calibration module for the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was developed by linking the modified SCE-UA with the SWMM. The automatic calibration module was applied to the parameter estimations for watershed runoff event simulations and watershed runoff continuous simulations. Some limitations were revealed from the results of the automatic calibrations for the two types of simulations with a single objective function. The constraints were formula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watershed runoff simulation. Two constraints are imposed to diminish errors of peak flow and peak time on the watershed runoff event simulation. Reducing errors of high and low flow volumes formed two constraints to improve water balance on the watershed runoff continuous simulation. The automatic calibration results with those constraints showed great improvement in reducing errors of peak flow and peak flow occurrence time. The shape of the flood hydrograph was more similar to the observed hydrograph than that of automatic calibration results without the constraints. Water balance was also somewhat improved in the watershed runoff continuous simulation by including the constraints. The verification results from the automatic calibration imposing the constraints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automatic calibration without the constraints. The constrained optimization module developed by embedding the adaptive penalty function could help solving various constrained optimization problems in water resources engineering fields.

      •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CO 흡착 연구

        강태욱 경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소는 연료전지의 에너지원으로써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전극촉매로는 백금이 사용되고 있고 이는 CO에 피독이되어 성능이 저하된다. 수소를 대량생산하기 위해서는 PSA공정이 필수적이고 가격 저감을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흡착제의 사용량을 줄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흡착제의 개발과 선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PSA공정에 사용되는 CO흡착제의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흡착제로는 Zeolite 3A, 4A, 5A, 13X를 사용하였다. 흡착제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은 FE-SEM, XRD를 사용하였다. CO파과실험을 위한 장치는 GC를 개조하여 사용하였다. 유량과 온도의 변화에 따른 흡착파과곡선과 탈착파과곡선을 얻었으며, 이로부터 평균체류시간과 분산값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Zeolite 5A가 우수한 흡착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지연고정루프를 이용한 연속근사방식의 아날로그 디지털변환기

        강태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시간영역에서의 신호비교를 통한 데이터변환기를 구현하였다. 기존의 SAR(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구조, Flash 구조, Pipeline 구조 등의 A/D 변환기는 전압 비교기를 이용하여, 입력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데이터를 변환한다. 이러한 전압영역에서의 신호처리 방식의 A/D변환기는 최근 공정 scale이 감소함에 따른 supply voltage의 감소로 dynamic range가 작아지게 되어, 작은 차이의 전압을 비교하기 어렵다. 그리하여 전압신호를 시간신호로 바꾸는 방법이 등장하였지만, 이 또한 전압 신호를 시간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선형적인 구간을 사용하도록 따로 회로를 구성해야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그렇지 않으면 입력 전압에 따른 delay의 변화가 달라지기 때문에, 입력 전압에 따라 A/D변환기의 해상도가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한 Dynamic range가 작아짐을 극복하기 위해 기존에 voltage domain에서 비교하던 신호를 time domain 으로 전환하여 A/D 변환기를 구현하였다. 또한 전압 영역의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 시 선형적인 특성에 상관없고 단조성만 보장하면 제대로 동작하도록 SAR 구조로 설계하였다. 그 결과 비교적 고속의 처리속도와 낮은 전력소모와 높은 정확도를 가진 A/D 변환기를 만들 수 있었고, 이것은 A/D 변환기의 성능을 표시하는 FoM 값 계산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서해 주문도 연안 사질 조하대에서의 해사채취가 중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태욱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형저서동물(Meiobenthos)은 퇴적물 입자의 틈에서 살아가는 동물로서 간극동물(interstitial fauna)이라는 용어로도 사용이 되어지고 있다. 중형저서동물은 해양의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이 되어지고 있다. 해수나 담수에서 발견이 되어지고, 연안에서 심해까지 살아가며, 열대에서 극지까지 넓은 지역에 분포하여 살아가고 있다. 중형저서동물은 저서동물 내에서 상대적으로 몸의 크기가 작으며, 생활사(Life cycle)가 짧고, 저서성 유생 시기를 갖고, 높은 서식밀도로 살아가기에 밀도변화의 감지가 비교적 용이하며, 환경변화에 민감한 동물군이 많아 생태적인 연구에 매우 효율적인 생물 그룹이다. 이러한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특성 및 변동에 관한 연구는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많은 결과들이 보고되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서해 주문도 연안 사질 조하대에서의 해사채취로 인해 중형저서동물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 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해 연안 사질 퇴적물에서 중형저서동물의 군집 특성을 보면, 가장 먼저 계절 특성이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전체 서식밀도와 생체량이 하계에서 동계로 가면서 감소하는 특성을 뚜렷이 보인다. 우점 분류군으로는 선충류, 저서성 요각류, 갑각류 유생, 복모류 순서로 나타났고, 이들은 전체 서식밀도의 90 % 이상을 차지하였다. 중형저서동물의 수직 분포는 퇴적물 상층에 대부분 서식하고 있었으며, 조하대 지역 보다는 조간대 지역에서 서식밀도와 생체량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해사채취가 중형저서동물에 미치는 영향은, 퇴적물의 제거로 인하여 서식처 파괴가 이루어지고, 플럼의 영향으로 퇴적상의 변화가 주된 원인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중형저서동물의 경우 해사채취로 서식밀도와 생체량이 채취 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하지만 해사채취가 종료되고 약 1년 후에는 서식밀도와 생체량이 채취 전과 비슷한 값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형적으로 웅덩이 메워짐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환경을 지니고 있는 지역과 중형저서동물의 가입과 분산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라 생각되어진다. 셋째, 해사채취로 인한 영향을 좀 더 정밀하게 분석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자생물학적 종 동정을 하였다. 퇴적물 내에서 종 동정이 어려운 선충류 2개체를 분류하여, 현미경 사진을 통하여 종의 특징을 남기고 DNA를 추출하여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염기서열을 Genbank 사에 등록되어 있는 다른 염기서열과 비교를 하여 자매군을 찾을 수 있었으며, 미리 찍어둔 사진으로 형태학적 특징을 살펴 Thoracostomopsis spp. 로 일차로 동정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선충류의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고, 우점 분류군인 선충류의 Inventory 작성 및 신종 발표를 위한 기반을 마련 하고자 한다. The term "meiobenthos" is interstitial fauna that inhabit the spaces between individual sand grains. The term is often used synonymously with meiobenthos. Meiobenthos are most commonly encountered in sedimentary environments in both marine and fresh water environments, from the littoral to the deep-sea, and from the tropics to the polar regions. As a result of their ubiquitous distribution in nature, high abundance, intimate association with sediments, fast reproduction, benthic larva period, sensitivity to pollution and rapid life histories, meiobenthos are widely regarded as ideal organisms to study the potential ecological effects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impacts.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which deal with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meiobenthos. First, Character on meiobenthic community into coastal sandy zone of the Yellow Sea was showed as feature of seasonal variation. There was reduction in total abundance and biomass of meiobenthos from summer to winter. There appeared nematodes, harpacticoids, nauplius, gastrotricha in major taxa order. The study says major taxa more than 90 percent of total abundance. Vertical migration of the organisms also occurs. Most meiofaunal organisms are concentrated in the upper sediment layers. The total abundance and biomass of organisms at tidal zone is higher than subtidal zone. Second, The object of the surve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arine sand mining on community composition and rate of recolonization of the meiobenthos following cessation of mining. Sand mining often causes complete removal of the sediment and the damage to the habitats of meiobenthos. This study in the effect of sand mining of marine benthos show that sand mining resulted in a reduction in total abundance and biomass of meiobenthos in mining area. Study showed that inintial restoration of abundance and biomass within 1 year of the cessation of sand mining. It is though that the results are due to the topographical reasons. Third, In order to carefully analyze effect of sand mining, molecular identification technique applied to the study. Two individuals nematodes which is hard to identify were extracted from sediments. In order to remain species characters, it was to take pictures of two nematodes. DNA was extracted from two nematodes, and then the 18S rRNA gene from specimens was amplfied and sequencing. The results of the sequences were then compared with those of known 18S rRNA nematode sequences held online at Genbank. The results of the sequences showed similar sequence with known Genus Enoploides sequences held online at Genbank. So the nematodes were identified as Thoracostomopsis spp.. It must prepare a frame of study with the molecular identification technique.

      • Mid-Block상의 버스정류장과 橫斷步道 離隔距離를 考慮한 버스정류장 配置形態 基準 硏究

        강태욱 서울市立大學校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applicable to pedestrian-vehicle accidents at mid-block intersections, thereby, establishing the standards for the optimal bus stop design depending on its distances from crosswalks, which can minimize such accidents. The national standards for the installation of pedestrian crosswalks under 「Act No. 9 of The Road Traffic Act(Pedestrian Crosswalks Installation Warrants), 」prohibits installation of crosswalks within 200 meters of nearby overpasses, underpasses, or crosswalks. In the same respect, National Police Agency's 「The Guide for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under Act No. 7 (Pedestrian Crosswalks and Signal Installation Warrants)」applies the same guideline, but it allows exceptional installation in case the feasibility study has been thoroughly conducted. However, under current conditions,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the specific installation standards for types and locations of crosswalks are not clearly established. Particularly, not much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topic of establishing standards for crosswalk installation at mid-block intersections. Therefor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tandards for the optimal bus stop designs depending on its distances from crosswalks, which can minimize the pedestrian-vehicle accidents at mid-block intersections. In order to develop the table of optimal bus stop design standards depending on its distances from crosswalks,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mainly divided into two phases.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comprises of developing the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at mid-block intersections. In the second phase, the table of optimal bus stop design standards has been developed, which can serve as a simple and easy tool to improve the current bus stop designs. The bus stop design standards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s by which optimal location and design of crosswalks and bus stops under various geometric conditions can be referred to, thereby improving current design and location of bus stops and crosswalks. Key Word : 버스정류장 배치형태, 횡단보도 이격거리, 사고예측모형, 기준표 본 논문에서는 Mid-Block상의 차대보행자 사고예측 모형을 개발하였고, 보행교통사고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이격거리별 버스정류장 배치형태 기준을 제시하였다. 현재 국내의 횡단보도 설치 관련 기준은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9조(횡단보도의 설치기준)」에서 육교․지하차도 및 다른 횡단보도로부터 200m 이내는 중복설치 금하고 있고, 경찰청의 「교통안전시설 등 설치관리 지침 제7조(횡단보도 및 신호기 설치)에서 200m 중복설치 금지에도 불구하고 횡단보도를 설치하고자 할 때는 지방경찰청장은 그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도록 하고 있으나, 횡단보도의 설치형태와 세부기준은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Mid-Block상의 횡단보도 설치 기준은 아직까지 별도의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며, 본 연구에서는 Mid-Block상의 보행교통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이격거리별 버스정류장 배치형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id-Block상의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간 이격거리별 최적의 버스정류장 배치형태 기준표를 개발하기 위해 크게 2가지 단계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번째는 Mid-Block상의 횡단보도에서는 보행자 사고예측 모형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두번째는 기존 버스정류장 배치형태에 따른 횡단보도 위치를 검증하여 개선이 가능하도록 단순하고 적용하기 용이한 기준표를 개발하는 연구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간의 이격거리별 버스정류장 배치형태는 현재 여러 기하구조적인 현장 여건에 따라 설치된 횡단보도 위치를 버스정류장과의 이격거리별로 최적의 배치형태 검증하여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리좀(Rhizome)의 건축적 구현에 관한 연구

        강태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리좀(Rhizome)은 본래 식물학 용어로, 줄기가 변해서 생긴 땅속줄기를 뜻하며 뿌리줄기 혹은, 근경(根莖)이라고도 한다. 20세기 말에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가 이론화한 '리좀적 사유'는, 위계적으로 성층화된 나무 구조에 대립하여, 하나의 통일된 구조 혹은 시스템 내에 통합되지 않는 비위계적이고 수평적인 복수성을 의미한다. 수평적인 복수성은 모든 개체의 위치와 개체의 관계는 상대적이며 어느 것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위치의 상대성'과, 중심이 없이 접속되는 항이 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관계가 바뀌는 '관계의 가변성'의 의미를 포함한다. 현대 사회의 거대도시들은 다양한 사건과 행위요소들이 리좀적 구조로 연결되어 혼재하고 있다. 장(場)을 도시구조로 치환하였을 때 건축 행위는 사건들의 연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1970년대에 등장한 렘 쿨하스(Rem Koolhaas)는, 건축가들이 계획한 프로그램대로 도시가 성장하고 작동할 것이라는 근대건축의 건축 결정론적 사고를 비판하고, 장(場)의 불확정성을 인정한 채 '유목적 사유'를 통해 건축행위에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크게 '렘 콜하스' 이전과 이후로 시대를 구분한다면 콜하스 이전 시대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콜하스의 시대와 병행하여 해체주의와 미니멀리즘의 경향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콜하스의 '정신착란증의 뉴욕'을 계기로 그가 제안한 다양한 이론들이 건축적 제안으로 탄생하면서 리좀적 건축이 조명을 받기 시작하였다. 리좀적 사유가 구체적으로 건축화 된 프로세스를 파악하기 위해 '리좀적 사유'가 건축 언어를 공간구성, 프로그램, 경계, 동선의 네 가지로 카테고리화하고 관련 이론들을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만들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구현 방법들을 몇 가지의 모델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를 현대 건축에 대입하여 유형을 분류하는 시도를 해봄으로써, 막연한 공간적 담론에서 벗어나 어느 정도 체계적인 구현 시스템과 현실적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었다. 선별 비교한 건축물들은 '층'을 가진 도시적 마천루의 일부지만 건물 내부에서도 도시적 불확정성이 차단되지 않고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공간구성, 동선, 프로그램, 경계의 측면에서 구현된 '리좀적 건축 모델'들은 건물 안에서 불확정적으로 운동하는 사용자가 서로에게 접속하고 탈 영토화 하며 다양한 행위와 관계들을 만드는 데에 적합하였다. 최근 현대건축의 구조적, 재료적 기술이 첨단화되면서 20세기 말에는 제안에 불과했던 리좀의 개념들이 점차 실제 건축물로 구현 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다루었던 리좀적 건축의 모델들은 앞으로의 기술 발전에 따라 더욱 확장될 수 있을 것이며 건축적으로 구현 가능한 방법론의 범위 또한 지속적으로 넓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해양오염이 중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태욱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1.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 유출 사고가 조간대 중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 유출 사고 이후, 유류 오염이 사질 조간대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유류 유출 사고 이후 유류 오염의 영향이 있었던 신두리, 만리포 지역과 유류 오염의 영향이 없었던 몽산포 지역에서 사고 직후 6개월간 월별 모니터링과 5년간 계절별 모니터링 조사를 통해 중형저서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5년간의 조사기간 동안 중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각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사고 직후 2년간은 유류 오염 영향 지역인 신두리와 만리포 지역에서 서식밀도는 계절적 변동이 크게 나타났고, 서식밀도의 계절적 변동 특성이 없었으나 사고 3년 후인 2010년부터 서식밀도의 계절적 변동폭이 감소하고, 서식밀도의 계절적 변동 특성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또한 사고 직후 6개월 간 월별 모니터링 조사 결과,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는 유류 오염의 영향이 가장 심하였던 만리포 지역의 서식밀도가 신두리 지역보다 낮게 나타났다. 중형저서동물 우점 분류군인 선충류의 변화를 보면, 유류 사고 후, 선충류 서석밀도는 감소 경향은 없었으나 선충류 군집은 변화가 나타났다. 선충류 군집 조성을 MDS로 분석 한 결과, 유류 오염이 가장 심하였던 만리포 지역의 사고 직후 2008년 1월 선충류 군집은 2009년 이후 연간 1월 선충류 군집들과 차이가 있었으며, 월별 모니터링 결과에서도 사고 직후 2월 이후의 선충류 군집과는 차이를 보였다. 해양 오염이 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간의 모니터링 연구는 오염이 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과 생물 군집의 회복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분야이다. 2. 유류 유출 농도 차이가 중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현장 실험- 이 연구는 유류 오염이 조간대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었다. 이를 위해 태안 사질 조간대 환경에 실험구를 설치하고, 직접 원유를 실험구에 첨가하여 중형저서동물 군집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 유류 첨가 직후부터 4일 후까지, 각 실험구의 퇴적물 내 TPH 농도는 매우 높은 값을 보였으나, 이 기간 동안 퇴적물 내 TPH 농도는 빠르게 감소하였다. 퇴적물 내 TPH 농도가 높은 기간 동안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유류의 단기적인 독성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상관관계 분석에서 퇴적물 내 TPH 농도와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가 유의한 음의 상과관계를 보여주고 있는 것과 일치한다. 다변량 분석의 결과에서도 퇴적물 내 TPH 농도가 높은 시기의 시료들은 유류 첨가 전이나 퇴적물 내 TPH 농도가 낮은 시기의 시료들과 구분되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luster 분석에서 유류 첨가 8일 후, 실험구의 시료들은 유류 첨가 전의 시료들과 같은 그룹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중형저서동물 군집은 실험 8일 후 유류의 영향이 없어진 것을 보여주고 있다. 유류 첨가 1달 후, 실험구 내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및 군집 구조는 유류 첨가 전과 유사한 형태로 돌아왔다. 유류 첨가로 인한 영향은 실험 시작 직후 짧은 기간에만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형저서동물 군집은 서서히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유류 유출 농도 차이가 중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연구 -Microcosm 실험- 이 연구에서는 유류가 조간대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Microcosm을 통해 알아보기 위해 중형저서동물이 들어 있는 각 Microcosm에 TPH 농도가 다른 해수를 첨가하여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험 종료 후, 각 실험구 내의 TPH 농도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류 농도 0.5%, 1%, 2%, 4% 실험구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는 대조구 서식밀도 보다 높게 나타났고, 유류 농도 8%, 15%, 20% 실험구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는 대조구 서식밀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우점 분류군인 선충류의 서식밀도 변화는 전체 중형저서동물 변동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CLUSTER 분석을 통해 실험구들은 대조구, 0.5%, 1%, 2%, 4% 실험구 그룹과 8%, 15%, 20% 실험구 그룹으로 구분이 되어졌으나 SIMPROF 분석 결과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p > 0.05). 출현 한 선충류 중 Bolbolaimus spp. (37.1%)가 우점하여 나타났다. 선충류 군집의 CLUSTER 분석 결과는 전체 중형저서동물 군집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전체 중형저서동물 및 선충류 서식밀도, Bolbolaimus spp.의 서식밀도는 초기 TPH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5). 선충류 군집 내에서 선충류 섭식 형태는 epistrate feeders (2A)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이들의 서식밀도는 낮은 TPH 농도에서는 높은 값을 보였고, 높은 TPH 농도에서는 낮은 값을 보였다. 4. 중금속 오염이 중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연구 -Microcosm 실험- 이 연구는 중금속 (Cu, Zn)이 조간대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Microcosm을 통해 알아보기 위해 각 중금속 별로 3개씩의 농도 차이를 갖는 Microcosm을 설치하여 중형저서동물의 군집 변화를 확인하였다. 각 중금속의 농도는 Cu의 경우 50 ppm (L), 100 ppm (M), 200 ppm (H)으로 설정하였고, Zn의 경우 100 ppm (L), 200 ppm (M), 400 ppm으로 설정하여 30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중형저서동물 중 우점한 분류군은 저서성 요각류로 나타났고, 선충류는 두 번째로 우점한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는 실험 종료시까지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대부분 실험구의 서식밀도는 실험 종료시까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의 유의한 차이는 Cu-M과 Cu-H 실험구에서 나타났다. 저서성 요각류의 서식밀도 변동은 전체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변동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저서성 요각류의 유의한 차이도 역시 Cu-M과 Cu-H 실험구에서 나타났다. 실험기간 동안 출현한 선충류는 총 437 개체로 나타났다. 가장 우점한 선충류 종은 Eleutherolaimus spp.이고, 두 번째로 우점한 선충류 종은 Enoplolaimus spp.이다. 선충류 두 종의 c-p value는 2이며, 이들은 환경 스트레스에 내성이 강한 종으로 확인 되었다. 대조구와 실험구의 선충류 서식밀도는 대부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5.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중형저서동물 반응 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미세플라스틱이 선충류 체내에 흡입되어지는 것을 확인하고, 또한 미세플라스틱 크기에 따라 선충류 (Enoplolaimus spp.) 체내에 흡입되는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을 위해 채집 된 퇴적물은 만리포 조간대 사질에서 채집하였다. 실험은 4칸으로 구획이 있는 페트리디쉬를 사용하였으며, 각 칸에는 Enoplolaimus spp.를 20 개체씩 넣어준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미세플라스틱은 4개 다른 크기를 이용하였다 (10 ㎛, 5 ㎛, 1 ㎛, 0.5 ㎛). 각 미세플라스틱 크기별로 선충류가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 비율은 10 ㎛ 실험구에서 선충류의 미세플라스틱 섭취비율은 평균 27.5%로 나타났다. 5 ㎛ 실험구에서 선충류의 미세플라스틱 섭취비율은 평균 60.9%로 나타났다. 1 ㎛ 실험구에서 선충류의 미세플라스틱 섭취비율은 평균 67.9%로 나타났다. 0.5 ㎛ 실험구에서 선충류의 미세플라스틱 섭취비율은 평균 73.0%로 나타났다. 미세플라스틱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선충류들의 미세플라스틱 섭취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미세플라스틱 크기에 따른 섭취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 분석 결과 10 ㎛ 실험구의 선충류 섭취율은 다른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에서 나타난 선충류 섭취율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05).

      • 초경합금공구에 의한 선삭가공 시 가공 면 특성에 관한 연구

        강태욱 경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기계 산업에서는 첨단 분야의 정보화와 함께 다양한 신소재의 출현으로 기계, 항공기, 선박뿐만 아니라 전기, 전자, 통신기기 및 인공위성 등의 최첨단 산업에 과거와는 다른 고도의 정밀 부품이 요구됨에 따라 새로운 가공장치에 의한 정밀한 부품의 필요성이 절실해 지고 있다. 제품의 정도에는 절삭의 조건과 절삭조건의 선정, 피삭재, 공구의 형상, 공구의 재질, 공작기계의 기능 및 정도에 따라 좌우되고 있으며, 최적의 조건을 선정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절삭가공에서 발생하는 공구와 공작물과의 상대진동은 절삭가공면의 정밀도, 공작기계 및 공구의 수명과 생산성 등에 악영향을 주고 있으며, 공작기계의 부품설계 구성 및 가공의 제어 문제에 이 요소들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경합금공구(한국야금 CNMG-B25)를 이용, 기계구조용 탄소강(SM45C)을 CNC선반에 의한 선삭 가공 시 나타나는 표면조도에 대하여 절삭속도, 적삭깊이, 공구 윗면 경사각을 변화시키면서 표면 거칠기 측정값을 연구 검토한 결과 동일한 적삭조건에서는 절삭속도가 빠를수록, 절삭 깊이가 깊을수록 표면조도의 값이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공구 윗면 경사각이 있는 것이(6°C) 경사각이 없는 것보다.(0°C), 그리고 추가적으로 세라믹 공구의 사용이 초경 합급 공구의 사용보다 양호한 표면조도의 값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한계 절삭영역의 변화는 절삭속도, 절삭 깊이, 공구 윗면 경사각 등에 의해 좌우되는데, 가공면의 정밀도와 생산성을 고려하면 고속 날 끝이 발생하지 않는 절삭속도는 고속영역을, 절삭 깊이는 낮은 영역을, 그리고 공구 윗면 경사각을 가지고 있는 절삭공구의 선택이 바람직하다. In this study, when the carbon steel of machine structural use is being turned by using cemented carbide tool on a lathe, the value of the surface roughness from the range of vibration which is happened between tool and workpiece by changing cutting speed and depth of cutting, the front rake angle and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turning is represented as follows. 1. Can get the cutting dynamics in the cutting process which is suited chattering prevention get by geometrical characteristics experimentally. the value of the surface roughness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cutting speed and the depth of cutting and is decreased when the front rake angle is made. 2. In the front rake angle, I have reached the better surface roughness in tool rake angle 6° than 0°. According to the front rake angle, the value of the surface roughness is changed so rapidly in the cutting speed 50m/min and over 200m/min, especially, when the depth of cutting is increased gradually. 3. The change of the limited cutting width can be controlled by the cutting speed and the choice of the cutting speed which can be increased can get in the low speed area and high speed area. In considering of the surface roughness and productivity it is recommended that the high speed area where built-up edge is not happen be chos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