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GB 최대 주파수 인덱싱과 BW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콘텐츠 기반 영상검색

        강지영 조선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presents content based image retrieval (CBIR) using RGB maximum frequency indexing and BW clustering in order to improve the precision error of image retrieval algorithm that is using histograms. In first stage, RGB color image is segmented into R, G, and B components and their respective histograms are extracted. Each of these histograms are divided into 32 bins. The maximum pixel occurrence values are recorded in each bin's histogram, subsequently which are analyzed and compared. Hence, image retrieval using the maximum pixel value occurrences could be performed, and top 100 output results gathered. In second stage, the extracted 100 images are stored in a database, and are filtered once again using the number and the distributional rate of the clusters. After converting the query image from RGB to grayscale, this histogram is equalized in order to level the biased distributional rate. This equalized histogram is divided into 8 bins, and converted to binary. Then, total number of clusters and percent area of clusters with respect to image is computed. This result is compared with the similar features of the Top 100 matches drawn through the first step. Therefore, the number of bins is changed by applying the existing grayscale histogram algorithm in this research. Similar bin divisions are also performed over color histogram, that involves each of R, G and B components. Finally, The proposed algorithm is analyzed through performance tests and compared against existing methods. The tests verify that proposed algorithm demonstrates better results, and improves precision in the rate of search and priority. Hence, the proposed algorithm is better than the existing grayscale methods.

      •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 연구

        강지영 서울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관찰된 개별적인 사실들이 예상하지 못한, 혹은 자신의 인식 범주 내에서 설명할 수 없는 놀라운 것일 때 본능적으로 설명이 요구된다. 목격한 놀라운 것을 다른 증거들과 관련시킴으로써 연속성을 도입하는 설명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이때 작동하는 추측이 귀추(abduction)이다. 기존 국어사 교육은 시기별 특성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 왔는데, 이처럼 관련성을 모색할 수 없는 방식의 교육 내용 구성은 학습자의 인지 구조와도 맞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학습자의 이해뿐 아니라 흥미와 필요성마저 저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에 본고는 일상적 및 본능적으로 작동하는 사고이면서도, 개별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현대 국어와 과거 국어를 관련지을 수 있는 논리로도 작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귀추’를 국어사 탐구 교육에 도입하여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기존 국어사 교육을 반성적으로 검토하여 국어사 교육의 목표를 재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국어사 교육에 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포착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교사 32명, 학습자 479명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어사 교육의 목표를 재정립하였다. 또한, 국어사 탐구 교육의 관점에서 귀추의 정의와 유형에 대하여 검토한 후,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을 ‘학습자에게 낯설고 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자료들을 바탕으로 이를 관련시키는 추측을 모색하여 지식을 구성해 가는 탐구를 통하여 당사자적 지식의 성격을 지닌 국어사적 지식을 획득하게 하며, 현대 국어와 과거의 국어를 연결하여 그럴듯한 설명을 추론하는 귀추적인 특성을 지닌 국어사적 사고를 배양하게 하는 교육’으로 정의하고,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의 범위를 ‘현대 국어와 과거 국어에 대한 지식이 상호연관성을 지닐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자료를 통하여 인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지식’으로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국어사 귀추 탐구에서 나타나는 귀추적 추론의 양상을 살펴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에 참조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31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귀추적 추론을 유도하는 구조화된 탐구 과제를 제시하였고, Ⅱ장에서 검토한 귀추의 유형을 기준으로 학습자의 추론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찰을 수행하지 못한 ‘추론 양상 (가)’, 관찰만 수행한 ‘추론 양상 (나)’, 관찰 내용과 문법 지식을 관련지었으나 창조적 귀추로 나아가지는 못한 ‘추론 양상 (다)’, 창조적 귀추로 나아간 ‘추론 양상 (라)’가 도출되었다. 학습자의 양상은 ‘추론 양상 (나)’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추론 양상 (가)’의 경우에는 학습자들이 대부분 유형 1의 귀추를 잘 수행하는 양상을 보여 많이 발견되지 않았고, ‘추론 양상 (다)’의 경우에는 학습자들이 유형 2의 귀추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유형 3의 귀추가 동원되는 경향을 보였기에 그 수가 적게 발견되었으며, ‘추론 양상 (라)’의 경우에는 질문지 조사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으며 소집단 토의를 통하여 포착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어사 귀추 탐구의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대부분 유형 2의 귀추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교육적 비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만의 절차가 필요하다는 점도 양상 분석 결과 발견되었다. Ⅳ장에서는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 및 교수-학습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육의 설계 원리로 ‘탐구 주제 선정의 원리’, ‘탐구 절차 구조화의 원리’를 설정하였으며, 적합한 탐구 주제를 선정하고 탐구 절차를 구조화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상황에서 고려할 수 있는 ‘방법’ 및 ‘전략’의 차원을 교육 내용 구성에 반영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의 구성틀을 마련하고 탐구 주제별 내용 구성의 실제를 보였다. 본고는 교육적 당위성 제시 및 교육 내용 마련에 중점을 두던 기존 국어사 교육의 한계를 반성하고 거시적인 시각에서 국어사 교육의 방향성을 조망하였으며, ‘귀추’라는 관점을 도입하여 국어사 탐구 교육의 가능태를 논하였다는 점, 실제 학습자의 귀추적 추론 양상을 관찰하였다는 점,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상황에서 참고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의 구성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stinctual explanations are required when the individual facts observed were surprising things that had been unexpected or unexplainable within their perception. The act of abduction occurs to explain the continuity of the observed surprise by making a connection with other evidence.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had been structured in a way that lis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and such approaches which could not uncover the relevance do not comport with the cognitive structure of learners. Hence, it is problematic since it can inhibit the interest and necessity of learners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In this regard, this paper is based on the fact that abduction, which is thought to be an instinctive on a daily basis, can operate as a logic to associate the modern Korean language and past Korean language which were considered as individual factors originally. In chapter Ⅱ, the study examined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nd reestablished the concept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o identify what was required for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he curriculum was reviewed, and the cognitive survey on 32 teachers and 479 learners was conducted. In addition, after reviewing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abduction from Korean language history inquiry educational perspective, the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as defined ‘the education which could raise think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having abductive feature by deducing plausible explanations connecting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with past Korean language’ and ‘the education which can make students acquir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history having feature of ‘personal knowledge’ through seeking speculation to make relation between unfamiliar and irrelevant materials’. Also, the range of the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as delineated as ‘knowledge could correlate modern Korean language and past Korean language and widen of recognition through additional data’. In chapter Ⅲ,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 of abductive inference in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o draw implications which could be applied in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 structured inquiry task which was created to induce abductive inference was presented to 131 learners, and it was analyzed based on the type of abductive examined in chapter Ⅱ. As a result, four aspects -‘reasoning aspect (ga)’ which was referred as who could not conduct observationd, ‘reasoning aspect (na)’ which was referred as who can conduct only observation, ‘reasoning aspect (da)’which was referred as who could not conduct creative abduction, but connect observation to knowledge of grammar, and ‘reasoning aspect (ra)’which was reffered as who can conduct creative conduction - were derived. Since most of the learners to conduct typ3 1 of abduction well, ‘reasoning aspect (ga)’was uncommon. The number of‘reasoning aspect (da)’was small, because learners tend to conduct type 3 of abduction together when they solve the problem about type 2 of abduction. ‘reasoning aspect (da)’was rarely found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so it was captured through a small group discussion. Thus, ‘reasong aspect (na)’ was the most dominant factor among four aspects. Therefore, most cases of difficulties in performing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were mostly based on the occurrence of errors in type 2 of abudction,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scaffolding. Also, it was found out that the process of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is required as a result of aspect analysis. In chapter Ⅳ, the paper set the goals of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of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his allows us to compose the content of abductive inquiry learning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s a design principle of education, 'principles of inquiry topic selection', 'principles of inquiry procedure structuring' were established, and appropriate inquiry topics were selected and inquiry procedures were structured. Also, this study prepared constructive frame which can include the dimensions of ‘method’ and ‘strategy’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showed the actual contents composition by inquiry topic. This paper has an edcational significance in review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hich emphasized pedagogical justice and education contents. Also, it is meaningful since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from a macro perspective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history inquiry education by introducing ‘abd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 pedagogical meaning because it observes the learners’ abductive thinking, and prepares the actual education contents composition.

      •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과에서 고학년을 중심으로

        강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의 필요적 가치에 대한 인식은 인간의 본능적 욕구이다. 또한 이것은 경제적 발전에 힘입어 자연 발생적으로 높아졌다. 미술은 개성을 표현하려는 인간의 개인적 욕구 충족으로 생활의 조형적 측면의 성취를 계속 이루어주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가 어떻게 초등학교에서 바람직한 입체 표현 학습을 지도하느냐하는 것이 목적이다. 평면 위주의 수업에서 벗어나 단순한 것에서부터 끄집어내는 체계적인 입체 표현 학습을 통한 공간 지각 향상과 미적 체험을 전개해야 한다. 입체 표현 학습은 사고의 깨달음에 의해서만 얻어질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입체 표현 감각 습득을 위한 보다 나은 학습 방법을 연구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미술의 여러 분야 중 입체 표현 부분을 초등학교에서 연구해 봄으로서 기초 입체 교육의 기틀을 계획해 보려 한다. 평면에 대한 도식적 이해보다는 공간과의 이미지적 관계를 느끼며 흥미를 유발하는 입체 표현 활동을 놀이처럼 친숙하게 펼쳐 나가는 것은 아동이 입체 표현 작품과 친숙하게 되고 아동으로 하여금 작품에 상상력을 불어 넣어 만들려는 욕구가 솟아나게 할 것이다. 아동은 감각적 가능성을 증대시켜 만들어낸 자신의 품과 다른 아동의 작품을 보며 자신의 기호를 구별하며 자신이 만든 작품에 애착을 갖고 더 나은 창작에의 의지를 키워 나간다. 초등학교 고학년 단계의 입체 표현은 객관적인 대상의 관찰 정도가 점차 높아지고 느낀 것, 상상한 것 등에 대한 입체 표현의 세부적인 묘사에도 관심을 보이며 한 방향 또는 여러 방향에서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고 통일, 변화, 비례, 균형을 인식하고 연습해 보는 일을 즐기며 자연이나 주변에서 공간을 관찰하고 크기의 변화 등을 통하여 공간의 깊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에서 Ⅱ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조형 원리의 의의와 입체 표현의 이해 및 입체 표현에서 조형 원리의 이해를 Ⅲ장 초등미술의 입체 표현 지도의 조형 원리에 의한 문제점 및 지도 방안에서 교과서의 문제점, 지도 방향과 관점 및 초등학교에서 입체 표현의 조형 원리 지도 방안을 Ⅳ장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 방안의 실제 및 분석에서 지도의 실제Ⅰ과 지도의 실제Ⅱ로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효율적인 입체 표현 수업 방안의 실제를 모색하고자 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이에 본 연구가 기존 입체 표현 지도보다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 방안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독자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며 연구의 결과는 아동 미술 교육 과정과 관령된 몇 가지 전망을 제언 한다. 첫째, 조형 원리라는 용어 자체를 어렵지 않게 다루어 수업에 적용하게 된다. 둘째,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입체 표현 지도를 가능하게 한다. 셋째, 아동들의 표현 언어와도 같은 미술로서 시각적 입체 표현을 능숙하게 한다. 넷째, 조형 원리를 인식한 미적 체험으로 미적 안목을 높인다. 다섯째, 조형 원리에 의한 미술 활동이 생활 전반에 접목된다. 여섯째, 평면처럼 보이는 고 부조와 같은 작품도 입체 작품임을 알게 된다. 일곱째, 조형 요소의 미적 질서인 조형 원리에 대해 더욱 쉽게 이해하게 된다. 앞으로 조형 원리에 의한 입체 표현 지도 방안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심도 있는 연구로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 에센셜 오일이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강지영 숙명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비 무작위 실험 논문을 대상으로 에센셜 오일이 여드름 피부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는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그룹이 제시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보고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출간된 국내 연구를 대상으로 여드름 피부의 6가지 변인(모공, 홍반, 멜라닌 지수, KAGS, 유분량, 미생물수)을 선정하여 에센셜 오일이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효과크기를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연구문제이다. 국내 DB인 NDSL, KISS, RISS, 학술교육원을 통해 관련 문헌을 검색하였고, 부적합한 문헌 제거과정을 거쳐 최종 6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6편은 모두 비 무작위 실험연구(Non-RCTs)로, 비 무작위 실험 연구 평가도구인 RoBANS를 이용하여 문헌의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6편의 문헌을 대상자, 연구 목적 및 통계량을 입력하는 코딩표를 작성하여 메타분석 전문 프로그램인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ver.2 software 을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search to test the effects of essential oil on acne skin based on non-randomized experiment papers in the n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porting guidelines by the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roup. The research question was to examine the effect size of essential oil on acne skin with six variables of acne skin(pores, red spots, melanin index, KAGS, sebum, and number of microorganisms) based on papers published in the nation between 2000 and 2017. Related literature was searched in domestic databases such as NDSL, KISS, RISS, and e-article. Total six pieces of literature were chosen after the exclusion of improper ones. All of the six papers were based on a non-randomized experimentation(Non-RCTs) and assessed for their quality with RoBANS, an evaluation tool for non-randomized experiment studies. They were also put to meta-analysis with the professional meta-analysis program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Ver.2 software based on the coding table of subjects, research objectives, and statistics.

      • 이화여자대학교 기독학생 선교운동의 역사와 현황

        강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1886년 이화학당의 개교는 한국 여성들에게 기쁜 소식이었다. 당시 남존여비라는 인습의 속박 가운데 있던 여성들을 이화는 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회복하고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여 보다 가치있는 삶을 살도록 인도하였다. 그야말로 이것은 선교적 사건이었다. 이것을 가능케 한 힘은 하나님의 정의와 사랑에 바탕을 둔 기독교 정신으로 이화는 그 시작부터 선교적 사명을 가지고 출발했다. 하나님의 선교가 이화 안에서, 그리고 이화를 통해서 확장되어 갔다. 이화의 역사는 바로 선교의 역사였던 것이다. 115년 이화의 역사가 이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화는 하나님의 선교가 일어났던 선교현장이었을 뿐 아니라 이것을 확장해 나가는 선교공동체였다. 이화의 역사 속에서 일어났던 크고 작은 선교운동을 통해 이화가 하나님의 선교를 수행하는 선교공동체임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이화 선교역사의 중심에는 학생들이 있었다. 그들은 이화에서 진리를 체험했고 이를 다시 이웃에게 전하였다. 즉 이화의 학생들은 일찍부터 선교에 눈을 떴다. 초창기 학생들의 선교활동은 선교사들의 선교사업을 돕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이화학당과 함께 감리교 선교사업의 일환으로 설립된 보구여관과 정동교회 등을 중심으로 학생들은 이화의 선교사들을 도와 선교사업에 동참했다. 그러다가 1900년대 이후 학당 안에서 자발적인 학생단체들이 생겨났다. 1903년 러빙 소사이어티를 선두로 비슷한 시기에 계몽대, 공주회, 선교회 등 학생 단체들이 조직되었고, 1920년 이화전도대와 1922년 이화 YWCA의 창립을 계기로 학생들의 선교활동은 조직적으로 전개되었다. 일제라는 암울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이들의 선교활동은 민족운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이화의 학생들은 복음으로 민족을 깨우고 농촌을 계몽하는 데에 앞장섰다. 해방 후 이화 YWCA는 학생회로부터 분리되어 독자적인 운동을 전개해 나갔고, 1960년대와 1970년대의 학생들의 선교활동은 학생회안에 만들어진 계몽부와 선교부를 통해 전개되었다. 계몽부는 6·25 이후 폐허가 된 나라를 재건하기 위해 방학마다 교수와 학생들이 힘을 합쳐 전도와 의료봉사, 계몽활동을 전국적으로 전개하였고, 선교부는 1961년 한국 최초로 파키스탄에 선교사 3명을 파송하는 등 학생회를 통하여 적극적인 선교운동이 전개되었다. 한편 1970년대 이후 학원복음화를 기치로 내건 선교단체들이 학내에 등장하면서 학생들의 선교활동은 학생회 안에서의 운동과 학생회 밖에서의 운동으로 나뉘어졌다. 학생회 밖에서의 선교운동은 선교단체 외에도 다락방 전도협회의 전도운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는데, 다락방 전도운동은 이화여대에서 시작된 것으로 이화의 학생, 교수들이 여기에 많이 참여했음을 볼 수 있다. 1975년 학도호국단이 발족하면서 학생회 선교부는 해체되고 학내의 모든 기독학생 단체들을 종교부로 편입되었다. 80년대는 급격한 사회, 정치적 변화와 함께 학원자주화 투쟁이 표출된 시기로 종교부는 학생회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으로 인해 약화되기에 이르렀고, 학생들의 선교활동은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칼로 양극화되었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종교분과 안에서는 복음주의 기독 써클을 중심으로 연합의 움직임이 일어났으며, 교목실에서는 1986년에 이화학원선교회를 설립하게 되었다. 기독써클의 연합운동은 90년대에 들어 더 적극적으로 전개되어 1993년 이화기독학생연합이 출범하게 되었다. 이후로 지금까지 기독학생들은 양극화를 지양하고 협력의 필요성을 공감하면서 연합운동에 동참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1995년부터 시작된 기독학생들의 총학생회 선거운동은 연합의 획기적인 분기점이 되었다. 당시 양극화되고 개별화된 기독학생 선교운동에 대한 자성에서 비롯된 이 운동은 기독학생들의 선교관이 보다 통전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이 간접적인 계기가 되어 1998년부터 지금까지 새내기 신앙수련회가 실시되고 있는데, 이는 교수, 학생, 동창이 연합함으로써 학원선교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연합운동은 협력선교의 중요성을 보여줄 뿐 아니라 침체된 기독학생 선교운동의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된다. 또한 이외에도 1996년 학생처의 선교장학생 제도가 신설되었는데, 매년 선발된 학생들이 해외 단기선교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은 이러한 선교활동을 통해 미래의 세계선교를 준비하고 있다. 선교장학생 제도는 이화의 선교정신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서 앞으로 이화 기독학생 선교운동의 비젼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화의 선교역사는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이화의 선교정신이 살아있는 한 하나님의 선교역사는 이화를 통해서 확장될 것이다. 이화의 선교정신은 한마디로 받은 것을 나누어 주는 것이다. 이화의 선교운동은 115년 전 이화가 받은 하나님의 은혜를 내 이웃과 민족, 나아가 세계에 값없이 나누어 주는 운동이다. 이러한 선교정신이야말로 이화를 가장 이화답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선교정신을 계승하고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것이 선교공동체인 이화의 사명이며 비젼이라 하겠다. The opening of Ewha Hakdang in 1886 was truely a good news to Korean women. Especially in those days of harsh prejudicial treatment on women, the foundation of Ewha finally gave Korean women a chance to recover their self-respect as human being and discover their potentials for a further progress.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Christian values the school upheld from the very beginning; God's love and His justice. Ewha had a missionary vision from the start and shared the Gospel within and without. The History of Ewha was at the same time the history of the missionary work here in Korea. Ewha's 115 years of history attest us to this. Not only was Ewha the place where the missionary work took place but it also was the community that undertook it. We see this bearing truth from witnessing all small and large-scale missionary work done through this school. The students of Ewha had always been in the center of the school's missionary work. They have opened their eyes to truth early at Ewha and sought ways to spread it. Through Pokunyokwan(a service exclusively for women) and Chungdong church which were built together with the methodist missionaries, Ewha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arly efforts of helping foreign missionaries with their work. But after 1900, voluntary student organizations started to appear within the school. The Loving Society of 1903 as their predecessor the Kyemongdae(enlightment club), King's Daughter Club, Mission Club and others follow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Seven Women Mission of 1920 and Ewha YWCA of 1922 the students missionary efforts became increasingly systematic. In times of oppressive Japanese rule, these missionary efforts also reflected Korea's liberation movements. They took the lead with the Gospel in waking up the nation and enlightening farming villages. After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Ewha YWCA from the student council and much of its missionary activities of 60's and the 70's were undertaken by its subdivisions: the Department of Enlightment and of Mission. The Department of Enlightment did much to help rebuild then war-torn country through combined efforts of faculty and students in offering medical aids and enlightenment movements. The Department of Mission in 1961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 sent 3 missionaries to Pakistan and continued its efforts into the 70's. Also in the 70's was the introduction of missionary organizations(parachurch) with ' Campus Evangelization' as their slogan which brought about a change in Ewha and it divided the students's missionary activity into those focusing within student council and those focusing without. We can see that missionary efforts outside of student council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ose outside organizations like the Upperoom Evangelistic Association and many others. The movement of Upperoom began at Ewha women's college enjoying memberships from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With the establishment of Hakdohokukdan(student council organized by government) in 1975 the Department of Mission were officially disbanded and all other Christian student clubs and organizations were transferred and put under the guidance of the Department of Religion. The Korea in the 80's were marked by rapid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and due to severe college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s, conflicts were manifestative. The Department of Religion were weakened by the student council's ideological differences and the missionary activities of students were polarized between those upholding ideas of 'Evangelism and Ecumenism'. To counter this, many belonging to evangelical Christians clubs within the Department of Religion came together and formed an alliance in 1986 and the chaplain established Ewha Campus Ministry. Movements of Christian clubs alliance became more active into the 90's and it formed Ewha Christian Student Union in 1993. Since that time Christian students of Ewha disapprove of polarization and all are encourag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union movements. Especially the election campaign of general student association in which Christian students participated in 1995 became the epochal turning point for Christian alliance. This movement arose out of reflection upon our past polarized and individualized Christian club missionary activities and sheds light on how current Christian student's views on missionary work become holistic. Indirectly this movement also helped institute 'Freshmen Faith Retreat' every year since 1998. Not only did these combined efforts show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in any missionary work but also provided means to bring back vitality to the once stagnant missionary work. In the 90's, Ewha with the Missionary Scholarships started sending selected students abroad for short-term missionary efforts. Such scholarship programs directly reflects Ewha's profound interest in missionary and allows Christian students the chance to find vision in world missionary. Ewha's long missionary history continues even as we speak. As long as its spirit lives on, God's plan and work will continue to spread through Ewha. Our missionary efforts started by sharing that which we have graciously received from God 115 years ago, first with our neighbor and our nation; and further on sharing with the world. This is what makes Ewha beautiful and one can say that passing the spirit of Ewha on to our next generation of Ewha our common and yet the most important goal and vision for the many years to come.

      • 더빙활동이 대학생의 듣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강지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actual language use and English language environment on learner's listen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domain, and applicability of an actual class through the dubbing activity.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implemented dubbing activity and investigated the leaner's listen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domain. The followings are the questions considered for this study: First. 'Is dubbing activity effective on college student's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Second, 'What influence has the dubbing activity on college student's affective domain?'; Thir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improvement of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and change of affective domain by dubbing activity?' In this study, 3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dubbing activity in three times a week for over 6 weeks. This study implemented after the college language training programme. To find out the student's basic information and the change of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domain, this study conducted: Pre- and Post-questionnaires; Pre- and Post listening proficiency tests; Individual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 showed improvement in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It turned out the students recognize prosodic features and intonation patterns naturally in the process of dubbing activity and then such an activity contribute to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Second, dubbing activity has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ffective domain. Dubbing activity which utilizes drama and movie that reflect authentic language use makes students feel interest, and the interest leads students to connect their active learning and to improve their self-confidence. Students could listen to the dialogue naturally through the process of listening to the dialogue repeatedly many times, which connects to self-fulfillment and motivate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Third, through the dubbing activity, as the student's listening proficiency is increased, it has positive effect on the affective domain as well. Interesting dubbing activity promotes motivation on learning and which enables the student's to acquire the pronunciation features and helps to improve student's listening proficiency. As mentioned above, dubbing activity helped students to increase English listening proficiency and influenced interest, self-confidence, and motivation on affective domain.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because dubbing activity is utilized as effective materials in a situation that researches on dubbing activity are still unreleased in domestic researches. 본 연구는 실제적인 언어 사용과 영어에 자연스럽게 노출되는 환경이 학습자의 듣기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실제 수업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더빙활동을 시행하여 학습자의 듣기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더빙활동 수업이 대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가? 둘째, 더빙활동 수업이 대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더빙을 활용한 영어 듣기 능력의 향상과 정의적 영역의 변화와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실험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A대학교 어학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총 18차시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해당학교 어학교육 프로그램 수업이 끝난 후 시간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기초정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기초조사 설문을 실시하였고 영어 듣기능력에 대한 변화와 정의적 영역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및 사후 영어 듣기능력시험과 정의적 영역 설문을 진행하였다. 또한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충하기 위해 개별면담을 결과를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본 실험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더빙활동 수업은 학생들의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더빙을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운율사용과 억양에 대한 인지를 자연스럽게 하였고 더빙을 통한 이러한 학습이 학생들의 듣기능력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더빙활동 수업은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과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학생들은 생활의 실제언어 사용을 담은 드라마와 영화를 활용한 더빙활동을 통해 흥미를 느끼고, 그 흥미가 학생들의 능동적 학습 참여를 이끌어 자신감을 향상 시켰다. 더빙하는 과정에서 수차례 반복하여 대화를 듣는 과정은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집중하여 청취할 수 있게 하며, 이것이 곧 자아 성취감과 연결되어 향후 수업에 대한 동기를 자극시킨 것으로 분석되어 진다. 셋째, 더빙활동을 통해 듣기능력이 향상된 학생들은 정의적 영역도 함께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흥미로운 더빙활동이 학습동기를 고취시키면서 자연스럽게 발음의 특성을 습득할 수 있게 하여 학습자의 듣기능력에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더빙활동은 학생들의 영어 듣기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고 정의적 영역의 흥미와 자신감, 동기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에서 아직 더빙활동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발표되지 않은 상황에서 더빙활동이 영어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참고자료로써 제시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자기통제력 및 비행행동이 남자 고등학생의 위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지영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통제력 및 비행행동이 남자 고등학생의 위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변인들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경로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자 고등학생 307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및 숨은 비행행동 척도, 성비행 척도, 성적 위험 감수행위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 경쟁모형, 단순효과모형 이 세가지 모델을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부모양육태도가 자기통제력과 비행행동의 매개과정을 거쳐 위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이 낮고 비행행동을 보인 남자 고등학생들은 부모의 양육태도를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위험 성행동은 일반 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남자 고등학생의 위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특정 변인에 국한지어 설명하지 않고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자기통제력, 비행행동 등의 변인을 설정하여 위험 성행동에 이르는 순차적인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을 다룸에 있어서 가족과 개인적 특성 등 다양한 차원의 접근이 시도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study what relationship there was between cause and effect influenced on sexual risk behaviors of high-school boys by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self-control and delinquency. For th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among 307 high-school boys to figure out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self-control scale, latent delinquency questionnaire, sexual delinquency, and sexual risk-taking scale. The result was analyzed through channel analysis of model1, model2 and model3: the best fitted was model1, which parenting behavior influenced on sexual risk behavior through self-control and delinquency. It was found that high-school boys who had low self-control and delinquency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in the negative and they had significantly more sexual risk behaviors than average students. Without explaining specific causes that could influence on high-schoolboys' sexual risk behavior, this study inspected successively the mediation model setting up the diverse causes of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self-control, delinquency, and so on to reach sexual risk behavior. Then it was clear that in dealing with teenagers' sexual risk behavior a diversity of access such as family, personal trait and so forth would be tried. In conclusion the import and limit of this study was discussed.

      • 김영희 춤에 나타난 예술성향 연구

        강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급변하는 현대한국창작춤의 흐름 속에서 독자적인 예술스타일을 구축한 김영희의 춤을 통하여 극장예술로서의 현위치와 방향모색을 명백히 하고자 한 연구로써, 작품에 나타난 예술성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현대한국창작춤'이란 1970년대 중반 이후에 '한국춤의 현대화'란 미명 하에 신무용에 반대하여 형성된 개념이다. 이렇게 형성된 현대한국창작춤이란 용어는 1980년대 중반까지는 다소 일반적인 표현으로서 무용가나 평자들에 의해 쓰여지다가, 1987년을 전후해서 '하나의 독립된 춤의 장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확립되었다. 현대한국창작춤은 이 시기에 등장한 현대적인 무용단이나 무용가들에 의해 서로 조금씩 상이한 스타일을 갖는 예술춤의 한 장르로 떠올랐고, 일반적이고 상식적인 개념을 갖는 용어가 아니라 특정한 예술춤의 한 장르를 지칭하는 용어로 굳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무용가의 등장은 장르의 변혁을 가져오며, 동시대의 삶을 반영하는 주제와 새로운 안무기법을 작품에 적용하여 오늘날의 공연예술을 창출한다는 입장에서 무용가 개인의 작품세계에 대한 분석 작업은 미래의 무용창작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필수 과제인 것이다. 한국창작춤의 제2세대- 윤덕경, 김영희, 강미리, 김삼진 등- 를 대표하며 향후 창작춤의 미학적 방향설정에 중요한 계기가 된 김영희는 한국창작춤계의 단면을 읽어낼 수 있는 연구대상으로써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영희가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한 1980년대 창무회 활동시 배경과 함께 현대한국창작춤의 장르정착과 특성을 살피고, 1990년대 미학적 근거를 구축한 현대한국창작춤의 흐름을 무트댄스 창단 후 활동과 연계적으로 살펴 본 후, 김영희 춤에 나타난 예술성향을 분석하여 현대 한국창작춤의 정착화에 미친 영향과 앞으로 구현해야 할 방향 모색 및 과제 도출을 위한 연구에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론 제시로, 객관적인 문헌연구와 심층적 연구로써 인터뷰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김영희의 무용철학과 안무성향, 현대적 감각을 기반으로 한 춤작가로써의 자질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김영희의 작품세계를 분석해 본 결과, 주제적·움직임적·표현양식적 측면에서 주관적·상징적인 성향을 띠며 전통성을 중시하되 다소 표현주의적 경향을 내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독자적인 스타일을 구축한 김영희 안무성향은 4가지로 요약하였는데 첫째, 하나의 원형을 변주하는 안무 형식과 둘째, 춤언어 개발-호흡기본무-이라는 체계적인 방법론을 제시 셋째, 내면적 에너지 표출에 의한 표현적 움직임 연출 넷째, 세련미와 현대적인 감각의 무대연출이다. 김영희 춤에 나타난 이러한 특성은 전통성을 기반으로 새로움을 추구하려는 무용철학에 기초한 것으로써 독자적인 예술 스타일 구축의 당위성을 밝히고 현대한국창작춤의 장르정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규명하여 전통과 현대 사이에서 혼란을 겪고 있는 춤꾼들에게 하나의 해답을 제시할 것임을 시사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purposeful to analyze disposition of the art, which appeared from the work of the art, is by meaning of research that make the present situation and groping direction clearly through the dance of Young-Hee Kim, which performs independent art style in rapidly changing tendency of Korean creative dance. 'Korean creative dance' is the concept that is formed in opposition to the new dance in the name of 'modernization of Korean dance, after mid 1970's. The term called Korean creative dance, which is formed like this, is scatteredly used by either dancers or observers, is by somewhat general expression until mid 1980's and it is established to the concept that is designated 'one of the genre of independent dance'before and after 1987. Korean creative dance rose in the genre of the art dance that has each little bit different styles by modern trope of dance or dancers who are appeared in this period and turned out to the term that is designated the genre of specific art dance, which is not the term that having general and commonsensible concept. Therefore appearance of the new dancer brings the reform of the genre and also from the situation that is creating the public performance of the art in these days by applying the principal that is reflected contemporaneousness life and the new dance composition, analysis about dancer's individual world in the work is the necessary task to elicit concrete and substantial point of preview for the dance creation in the future. young-Hee Kim who represents the second generation of Korean creative dance and has became important opportunity to set up aesthetic direction, can be seen having enough worth to be the research target that can be read a slice of Korean creative dance. Therefore this research looks about genre fixation of Korean creative dance and special quality with the background when the Creative Dance Association in 80's, which Young-Hee Kim was in real movement, copulatively looks about tendency of Korean creative dance, which established the aesthetic base in 1990's with the movement after Mutdance was established, and is aimed researching for effect that is influenced to fixation and eliciting groping direction as well as the task as being that analyze disposition of the art, which is appeared from Young-Hee Kim's dance By presenting methodology to achieve this aim, apply the interview as objective research of literature. As the result, could grasp the talent to be the dance director who is based on philosophy of the dance, the disposition of dance composition and modern sensibility. In result that concretely has analyzed Young-Hee Kim's world in the work, subjective and symbolical disposition is appeared and attach great importance to tradition however it is grasped more or less expressionistic disposition is involved from thematic, active and expression formal side view, The disposition of Young-Hee Kim's dance composition, which is established independent style, is summarized to four kinds. First of all, form of the dance composition that varies a archetype. The second is presenting the method that is development of dance language, which is Respiratory Basics. The third is performing expressive motion by expressing the internal energy. The last is performing the stage of refined beauty and modern sensation. This special quality appeared from Young-Hee Kim's dance is with forming the foundation of dance philosophy that seeks novelty based on tradition, make right of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art style clear and examine how it influence to fixation of genre of Korean creative dance closely, so suggest presenting one solution to dancers who are confused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