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임스 터렐의 작품에 나타난 빛의 특성연구 : 관람자 입장의 지각현상을 중심으로

        강정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James Turrell(1943-) is a writer that worked with the property of light as working media from the latter of 1960 to the present time. Treating immaterial‘light’as a direct media of work, he presents the space only existed only by lights, and illusionary space of light image with practical properties no existed. And‘seeing’attracts spectator's act into the work. It is a process of perceptual phenomena. Turrell uses carefully induced light to treat the space, when the spectator becomes, as a part of work, a ‘participant’and has a mysterious experience. This thesis put its attention to 'light' appeared in Turrell's work and to 'perceptual phenomena' of spectator that is appeared in this 'light'. For this, this thesis is progressed as following. The chapterⅠ, as the previous studies of Turrell's world of art, intended to know how its work has been formed through his life. This research gave an important basis for how 'light' in his work has had the actual aspect. Also, it analyzed the whole tendency of American world of art in 1960 when he started working. Turrell's work and spectator's perceptual phenomena targeted by this thesis are associated with discussion of minimalism appeared in 1960. Here, it intended to know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New York's minimalism, the principal axis of minimalism and California's minimalism, the center of Los Angeles, and to identify that Turrell's work has been affected by its time and zone. Turrell's work is discussed whose essence lies in an emotional side of spectator's perceptual process immanent in minimalist work, and in order to identify this point the chapter Ⅱ intended to establish and remind of theoretical basis of‘light’and‘perceptual phenomena’. First, it observed in order how the meaning of 'light' and its role has been changed in the history of art. Next, it analyzed the property of‘light’, and inquired into the concept of?space?and its meaning in close relation to?light?. And it focused on spatial experience as a?concentration?felt by spectator in a space created by light and drew out the interpretation that his work includes immaterial reaction of light. Finally, the chapter Ⅲ analyzed the?light?appeared on the detailed work of Turrell and inquired into the perceptual phenomena of spectator. Observing a cooperative program of Art & Technology progressed in a team with Robert Irwin, it is possible for Turrell to observe the experimental procedure of perceptual ability of human being. Essentially, the initial work of Turrell was to penetrate the artificial light in a dark space and to create a cube or a new space of illusion, whose examples are <Projection Pieces>(1966-), <Wedge Works>(1969-). These works makes an efficient use of opposite image of darkness and light in a closed space to bring an illusionary phenomena to spectator's eyes. Next, Turrell did not use an artificial light in the space with 4 sided enclosed from the middle of 1970, but bored the ceiling to expand the space and attract the light of nature. This process can be identified as a series of <Sky Space>(1969-). It could analyze the spectator's aspect that detects the ethereal change of space and sky in harmony with interior light produced by Turrell. Finally, the spectator in <Roden Crater>(1976-) identified his personal experience of sunlight & moonlight, eclipse and a lunar eclipse, the vernal equinox and the autumnal equinox sunrise and sunset, and the rotation of the earth. The geographical scale sense of a large nature of crater with infinite orb expanded in front of his eyes, the spectator identified to experience a considerable scale that it was not possible for him to contact with the existing artwork. The modern art, apart from the area of modernism where art is stipulated only as art, penetrated to various things such as natural environment, society as a whole, and technical part and has become nothing stipulated with one character. The exhibition space of Turrell in this time is a large work, and at the same time it is meaningful as a place of interaction with spectator. To stimulate the warm sentiments of human being through this space is to ask what is in the deepest place of our existence, and to have answer. This researcher sees that the value of Turrell's work lies in modern people living in a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s a space of healing and contemplation, and reveals the needs of its research.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 1943-)은 196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빛의 속성을 작업 매체로 하여 활동하는 작가이다. 비물질적인‘빛’을 작품의 직접적인 매체로 다루어, 빛과 빛으로만 존재하는 공간, 실재적인 물성이 비어 있는 빛 이미지의 환영공간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본다(seeing)’는 관람자의 행위를 작품 안으로 끌어들인다. 이는 지각(perceptual)현상의 과정이다. 터렐은 신중하게 유도된 빛을 이용하여 공간을 다루는데, 이때 관람자는 작품의 일부로서‘참가자’가 되어 신비스러운 경험을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터렐의 작품에서 나타나는‘빛’과 이러한‘빛’의 공간 에서 일어나는 관람자의‘지각현상’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Ⅰ장에서는 터렐의 작품 세계에 대한 선행연구로 그의 생애를 통해 작업 형성 배경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그의 작품에서‘빛’이 어떻게 현재의 모습을 하게 되었는지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토대를 제공해 주었다. 또한, 그가 활동을 시작할 무렵인 1960-70년대 미국 미술계의 전반적인 경향에 대해 분석했다. 본 논문에서 논의의 대상이 되는 터렐의 작품과 관람자의 지각현상은 1960년대 일어난 미니멀리즘 논쟁과 중요한 연관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미니멀리즘의 주축이 되었던 뉴욕 미니멀리즘과 로스앤젤레스 중심의 캘리포니아 미니멀리즘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보며 터렐의 작업이 그 시대와 지역의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하고자 했다. 터렐의 작업은 그 본질이 미니멀한 형식의 작품에 내재하는 관람자의 지각 과정이라는 정서적인 측면에 있다고 논의되고 있는데, 이러한 지점을 확인하고자 Ⅱ장에서는‘빛’과‘지각현상’에 대한 이론적인 토대를 정립해 보고자 했다. 우선, 미술의 역사에서‘빛’의 의미와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여 가는지 순차적으로 살펴보며‘빛’의 특성을 분석하고,‘빛’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공간’의 개념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빛이 만들어 낸 공간에서 관람자가 느끼는‘몰입’으로서의 공간체험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작품이 빛의 비물질적인 반응을 포함하고 있다는 해석을 이끌어 내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Ⅲ장에서는 터렐의 구체적인 작품에 나타나는‘빛’을 분석하며 관람자의 지각현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로버트 어윈(Robert Irwin)과 함께 팀을 이루어 진행했던 <아트 앤 테크놀로지 Art & technology>의 협력 프로그램을 보면 터렐이 인간의 지각 능력에 대한 실험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본격적으로 터렐의 초창기 작업은 어두운 공간 안에 인공의 빛을 투과해서 입방체나 새로운 환영의 공간을 만들어 내는 작업으로 <투사 조각 Projection Pieces>(1966-), <쐐기 작업 Wedgeworks>(1969-)이 있다. 이러한 작업들은 폐쇄된 공간 안에서 어둠과 빛이라는 상반되는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해 관람자의 눈에 착각 현상을 가져오게 만든다. 이어서, 터렐은 1960년대 말부터 사방이 모두 막힌 공간에서 인공적인 빛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천장을 뚫어 공간을 확장하고 자연의 빛을 끌어들인다. 이러한 과정은 <하늘 공간 Skyspace>(1969-)시리즈로 확인할 수 있다. 터렐이 연출한 실내의 빛과 어우러지며 미묘한 공간과 하늘의 변화를 감지하는 관람자의 모습을 분석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로덴 분화구 Roden Crater>(1976-)에서 관람자는 더 나아가 햇빛과 달빛, 일출과 일몰, 일식과 월식, 춘분과 추분, 그리고 지구의 자전까지도 몸소 체험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분화구라는 거대한 자연 지형이 주는 규모감에 더해 무한한 천체가 눈앞에 펼쳐짐으로써, 관람자는 기존의 예술작품에서는 접할 수 없었던 광대한 스케일을 경험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현대미술은 예술이 예술로서만 규정 지워지는 모더니즘의 영역을 떠나서 자연환경, 사회 전반, 기술적인 부분 등 여러 가지 것에 침투하여 한 가지 성격으로 규정 지워질 수 없는 성격의 것이 되었다. 이러한 시대에 터렐의 전시공간은 그 공간 자체가 커다란 한 작품이면서 동시에 관람자와 상호작용하는 장소로서의 의미가 있다. 이러한 공간을 통해 인간의 따뜻한 정서를 자극하려는 것은 우리 존재의 가장 깊은 곳에 과연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물음을 묻고자 한 것이며, 또 한 대답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변하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치유와 사색의 공간으로서 터렐의 작품에 존재의 가치가 있다고 보며 연구의 필요성이 있음을 밝힌다.

      • 매튜 폭스의 창조영성에 근거한 생태신학

        강정하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매튜 폭스가 비판하는 아우구스티노의 반생태학적 사유(思惟)를 살펴보면서, 폭스가 전개하는 창조 영성의 특징과 창조 영성에 근거한 생태 신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매튜 폭스는 오늘날의 특징을 생태계의 위기, 영성의 몰락과 전례의 황폐화로 규정한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그리스도교 영성과 현대 과학의 대화 및 조화를 모색하기 위하여 창조 신학과 영성을 토대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성하고자 시도한다. 그는 현재의 서구적인 교육 모형에서는 생태학적 위기를 깊이 깨닫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종교에 대한 아우구스티노의 영향을 떨쳐버리고 교육에 대한 뉴턴과 데카르트의 영향을 떨쳐버릴 것을 요청하고 있다. 오늘날 생태학적 위기에 직면하여 교회가 타락·구속적 신학 전통에 집중함으로써 어떠한 결과를 빚어내고 있는지를 냉철하게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고 있다. 폭스는 창조 영성이 상호 의존적이고 생태적 정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변혁의 능력을 제시해 줄 것이라고 확신한다. 이러한 폭스의 신념은 예술가와 과학자와 세계 종교들로부터 지혜를 끌어낸 창조 영성이 근본적으로 새로운 사고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확신에 기인한다. 창조중심적 영성은 주어진 창조 세계 자체를 원축복이라고 믿기 때문에, 물성과 육체성에 대해 불신하고 경멸했던 교부신학의 금욕주의적 전통과는 구별된다. 창조 영성은 현실 세계를 하느님 손길이 닿아 있는 고양(高揚)된 존재의 세계로 직관하는 만유재신론적 신관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만물은 신성(神性)의 한 부분이며 상호 분리되어지지 않은 상호의존적인 유기체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유기체적 우주관을 지니고 있으며 모든 피조물과 전 우주에 스며 있는 우주적 지혜로서의 우주적 그리스도론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므로 폭스의 창조 영성적 사상은 서구 그리스도교의 신학적 사고와 틀 및 방법론에서 벗어나 새로운 신학적 구성을 시도한다. 이는 우주에 대한 경외심, 우주 만물의 상호 연관성, 창조된 모든 것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에 정향되어 있다. 폭스의 예언적 통찰이 직면해 있는 생태 위기에 대해 문제 의식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생태학적 의식에로의 전환을 시도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는 점에서 폭스의 신학적 진술의 과감성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획기적 시도로 평가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ecotheology based on creation spirituality and the peculiarity of creation spirituality by Fox, looking into anti-ecological thought of Augustinus which is criticized by Matthew Fox. Matthew Fox prescribes the peculiarity of today as the crisis of an ecological system, the fall of spirituality and the ruin of a ritual. To get over these realistic problems and to search for conversation and harmony between Christian spirituality and modern science, it is tried to compose new paradigm based on creative theology and spirituality. He points out there is a limit to deeply realize ecological crisis in the current Western educational model. He is making a demand for leaving Augustino's influence for religion and for leaving Newton and Decart's influence for education. These days it i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with a cool head what results are made by concentrating on the fall·redemption tradition of church in the face of ecological crisis. Fox believes firmly that creation spirituality will present renovative capacity to promote interdependent and ecological righteous. Fox's this faith is caused by confidence that the wisdom of creation spirituality which comes from artists, scientists and world religions is an alternative idea to basically provide new way of thinking. The spirituality centering around creation believes that the creative world itself is an original blessing,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 of asceticism of patristic theology that disbelieved and despised physical property and the flesh. Creation spirituality has the outlook on Panentheism which perceive intuitively the world of the enhanced existence touched by God's outstretched hand about realistic world simultaneously and has the organic vision of the universe which has interdependent and organic structure without separation as all creation is a part of divine nature, and it heads for Cosmic Christian theory as universal wisdom that exists in all creatures and the whole universe. Therefore, Fox's creation spirituality tries new theological construction, getting out of the theological thought of the Western Christianity, shape and methodology. It is fixed to reverence for the universe, mutual relevance of all universal creation and God's love for all creation. It could be an opportunity to try conversion into ecological consciousness to Christians who can not feel the sense of questions about ecological crisis faced with prophetic insight of Fox. From this point of view, Fox's theory could be appraised a great epoch attempt in spite of theological determination.

      • 온열요법과 냉·저온요법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강정하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용이란 얼굴이나 머리 등을 아름답게 매만지는 일이라 표현한다. 그중 피부의 아름다움을 중요하게 표현하는 이들도 많아졌고 흔히 성형으로 쉽게 관리하려하는 사람들도 많이 생겨나 미용성형 또한 성행하고 있다. 피부에 너무 심한자극을 주지 않고 관리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고객들은 피부 관리실과 홈 케어를 선호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피부관리실에 오는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면서 관리사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 주는 기회가 되고자 하며, 현재 병의원과 피부 관리실에서 사용하는 기기중 에서 피부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고 맞춤형 관리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다. 미용 기기중 냉·온이 피부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 유·수분, pH, 탄력도, 모공, 주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최근 3개월간 피부관리를 병의원에서의 어떠한 치료도 관리도 받지 않은 노화가 진행 중인 30 ∼ 40대 여성을 대상으로 1주일에 2번 총12회에 걸쳐서 대조군 11명과 실험군 10명을 대상으로 실험 전·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7.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래프는 EXCEL 2007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집단별 U-Zone과 T-Zone의 유분 상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실험 전에 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소 상승하였으나 비슷한 수준의 유분과 수분이 유지되었고, P.C.S system군의 경우의 3차 후 가장 많은 유분과 수분의 증가, 12차 후 실험 전에 비해 다소 유분과 수분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RF고주파군의 경우 3차 후 대조군이나 P.C.S system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유분과 수분의 상승과 이후 대조군이나 P.C.S system군에 비해 유분과 수분의 감소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나 RF고주파가 T-Zone의 유분 과 수분향상 및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U-Zone과 T-Zone 의 pH 상태를 살펴보면 대조군이나 P.C.S system군, RF고주파군 모두 정상범위 내에서 실험 전에 비해 다소 변화는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설문을 통해 모공, 탄력, 주름 변화,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두 관리 요법 중에서 모공, 탄력, 주름 변화에 대해 효과가 더 높았다고 생각하는 관리로는 P.C.S system요법의 효과가 더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F고주파와 P.C.S system요법을 실시한 실험군의 관리 효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먼저 세안 후 당김 현상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60.0%가 피부의 촉촉함과 잔주름의 개선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80.0% P.C.S system요법 만족도가 다소 높음을 알 수 있다. 이 외에 다음에 피부관리를 받는다면 선호하는 관리 요법으로는 80.0%가 P.C.S system요법, 20.0%가 RF고주파라고 하여 P.C.S system요법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리 만족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각 관리에 대한 만족도는 1부터 100 중 선택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두 관리 요법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P.C.S system요법의 만족도가 평균 87.80점으로 RF고주파 관리의 만족도인 77.50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유.수분 보습에 집중관리를 요하는 관리로는 RF고주파요법을 탄력, 주름, 모공관리로는 P.C.S system요법을 실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주파요법 (Radio Frequency High : RF고주파 )과 냉·저온 마사지요법(Porous Cryo Skin-Massage System : P.C.S systim)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좌·우 안면피부를 비교하여 안면피부의 유분, 수분, 탄력도, 주름의 개선정도를 측정하여 P.C.S system요법의 효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P.C.S system요법이 고주파관리와 같이 대중적인 관리로 사용이 되어 고객 피부상태에 따라 관리자의 선택에 폭을 넓혀 고객의 입장에서 다양한 혜택을 받을 기회가 되고자한다. 【주요어】RF고주파, P.C.S system 요법, 고주파, 냉·저온요법, 온열 요법, 냉동요법, 유·수분, pH, 탄력도, 모공, 기기관리

      • 간호사의 경험수용과 자기수용이 리더십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강정하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간호사는 보건 의료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많은 양의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소진이 높아지게 되며 간호의 질적 저하 및 간호 업무의 연속성과 전문성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많은 연구에서 유연성은 인지, 정서, 행동 측면에서 능동적인 변화와 적응의 활동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경험수용, 자기수용, 리더십 유연성의 상관관계와 영향 요인들을 파악하고 간호 프로그램 및 중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상관성 서술 연구로 경기도 소재 C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111명에게 편의 표집하였다. 간호사는 모바일 설문지로 간호사로 할당 표집하여 경험수용, 자기수용 및 리더십 유연성을 측정하였다. 자료는 t-test, ANOVA, Scheffe, 다중비교, Pearson 상관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 중 간호사의 연령, 직위, 간호직 선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수용은 간호사 연령 40세 이상에서 50세 미만에서 가장 높았고, 30세 이상 40세 미만에서 가장 낮았다. 직위는 리더십 유연성에서 간호관리자가 가장 높았고, 일반간호사에서 가장 낮았다. 간호직 선택에서 있어서 자기수용은 취직이 보장되어서가 가장 높고, 주변 권유로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간호관리자의 평균 연령이 40세 이상이 많다는 것으로 보았을 때, 일반 간호사보다 간호관리자의 직위에 있을 때 자기수용과 리더십 유연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둘째, 간호사의 경험수용과 자기수용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수용과 리더십 유연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경험수용과 리더십 유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간호사가 경험수용을 잘할수록 자기수용도 높아지고, 자기수용이 높을수록 리더십 유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자기수용 뿐 아니라 경험수용에 대한 리더십 유연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했으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수용이 클수록 리더십 유연성 수준이 유의하게 높아져 리더십 유연성 수준을 높이기 위해 경험수용을 촉진할 필요성이 있다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간호사에게 적용시켜 보았다.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수용전념치료에서 경험수용 과정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회피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여 심리적 유연성을 키우고 이는 리더십 유연성에 필요한 선행 변인임을 간호에도 적용해 보는 시도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사의 자기수용이 리더십 유연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간호관리자가 자기수용과 리더십 유연성이 높았다는 것에 착안하여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한 자기수용 및 경험수용과 관련한 리더십 종류에 따른 하위척도와의 관련성도 탐구해 보는 것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간호사의 자기수용을 높이고 리더십 유연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과 간호 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중학교 영어 수업에서 문화지도 방안 연구

        강정하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Language and culture are closely related, so it is necessary to learn culture in English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teaching culture in English education and suggests various techniques of teaching culture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Ⅰ introdu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Chapter Ⅱ describes background theories such as definitions of cultur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and definition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en it shows the importance of teaching culture. Chapter Ⅲ introduces the contents of teaching culture, and it presents previous studies on the analysis of cultural contents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and summarizes the study results. It also presents various techniques of teaching culture and suggests practical techniques of cultural education which can be applied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class. At the end of this chapter, it discusses effects of teaching culture. Chapter Ⅴ summarizes the study and makes a suggestion regarding the teaching of culture. In conclusion,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understanding in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develop the techniques how to teach foreign culture in a practical and effective way.

      • 차량 통신을 위한 WAVE 보안 시스템에 관한 연구

        강정하 한밭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Vehicles have developed into a convergence form to support safe and fast transportation, convenience, and entertainment from simple transportation. Therefore, the research and standardization for the intelligent vehicle communication services is actively conducted through network configuration of V2V (Vehicle to Vehicle),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and V2N (Vehicle to Nomadic devices). IEEE developing WAVE specifications are able to support V2V and V2I wireless communications, and these functionalities can be used to enhance vehicle operational safety. To overcome any security weaknesses that are inherent in wireless communications, WAVE specification should support message encryption and authentication functions. In this study, we have implemented WAVE security algorithms, security service primitives in IEEE P1609.2 with Openssl library and C language. We have verified the normal operation of implemented software, using the test vectors of related specifications, and measured their performance. The WAVE security systems implemented in this study is platform independent, and can be used for full implementation of WAVE OBU (On-Board Unit) and WAVE RSE (Road-Side Unit). In addition, the security algorithms can be modularized, and this security modular can be utilized in a variety security applications. 차량은 단순한 이동 수단에서 보다 안전하고 빠른 이동, 그리고 편의성과오락성까지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이동 수단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과 함께 차량 대 차량 간 (Vehicle-to-Vehicle, 이하 V2V), 차량 대 교통 인프라 (Vehicle-to-Infrastructure, 이하 V2I), 차량 대 모바일 기기 (Vehicle-to-Nomadic devices, 이하 V2N) 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하여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통신에 대한 연구와 표준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IEEE에서는 V2I, V2V 등의 V2X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여 차량 운행의 안전을 증대 시킬 수 있는 WAVE 규격을 정의하고 있다. WAVE 규격에서는 무선 통신이 갖는 보안의 취약성을 극복하고, 운전자 안전을 위한 보안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메시지의 암호화 및 인증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WAVE의 보안 규격은 2013년 4월에 표준화되어, 현재 시범서비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WAVE 시스템은 WAVE 보안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전체 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앞으로 차세대 ITS 통신 기술로서 WAVE 서비스가 시범서비스에서 상용화서비스로 확대되고, WAVE 기반의 ITS 서비스가 다양해지면, WAVE 보안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WAVE 보안 기능을 정의하고 있는 IEEE p1609.2 규격의 보안 관련 알고리즘, 보안 서비스 프리미티브, 인코더 및 디코더를 임베디드 시스템 형태의 WAVE 장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Openssl 라이브러리와 C 언어로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된 보안 기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관련 규격들에 정의되어 있는 테스트 벡터 값들을 이용하여 구현된 알고리즘들의 정상적인 동작을 검증하였고, 보안 기능의 동작 시간을 측정하여 구현된 보안 시스템의 성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WAVE 보안 시스템은 플랫폼에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WAVE용 차량 단말 장치 (On-Board Unit, 이하 OBU)와 노변 장치 (Road-Side Unit, 이하 RSU)의 연구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보안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암호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보안 모듈을 사용할 경우, 본 논문에서 구현한 인코더/디코더와 보안 서비스 프리미티브들만 모듈화 하여 활용될 수 있다.

      • 사할린 잔류 한인의 영주귀국을 둘러싼 한-일-러 교섭과정 연구

        강정하 한림대학교 국제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70~80년대 민간단체의 여러 촉구활동과 교섭에도 불구하고 결실을 보지 못한'사할린 잔류 한인'의 영주귀국 문제가 90년대를 기점으로 빠른 진전을 보인 점에 주목하여, 이 문제를 둘러싼 해당 한·일·러 삼국 정부의 정책과 그에 따른 각 국의 정부 및 민간 차원의 교섭과정을 분석하는데 잇다. '사할린 잔류 한인'의 문제를 둘러싼 한·일·러 삼국의 교섭과정은 세 단계의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단계는 《이슈의 제기와 공유의 시기》로 소련 국내에서 페레스트로이카(Perestroika)가 진행되고 있던 1989년 후반부터 사할린 잔류 한인들의 '1차 영주귀국'이 시행된 1992년 9월까지로 다수의 비정부 및 관변 단체들 발족하였고, 이 단체들을 주축으로 인도적 차원에서 '사할린 잔류 한인 귀환 문제'를 국제사회에 이슈화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냉전의 잔재로 교섭이 불가능했던 韓·蘇 관계에 일본정부가 중간자적 역할은 함으로써 이 문제를 삼국간의 공동 협상으로 이끌 수 있는 기반을 다졌으며, 韓·蘇 수교 이후, 급변한 국제적 환경의 변화로 인해 삼국에서 공히 '인도적 차원'에서의 여론을 불러 일으켜 이 문제를 삼국간의 협상의제로 부상(浮上)시켰다. 두 번째 단계는 《영주귀국을 둘러싼 교섭과정과 타결》의 시기로 1992년 10월부터 한·일·러 삼국의 실질적인 교섭으로 지원계획이 활발히 진행된 1994년 11월까지가 된다. 이 시기의 비정부 및 관변 단체들은 일본 정부측에 요구서 및 탄원서를 제출하는 등 한층 더 활발한 활동을 보이며 일본정부에 보상문제와 기타 요구 사항들을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1990년대 비정부 및 관변 단체들의 노력으로 '사할린 잔류 한인 문제'는 해당 삼국인 한국·일본·러시아 각국 정부로부터 공동적 관심을 모으게 했고, 귀국문제에 있어서도 일시귀국에서 영주귀국으로 폭을 넓히는 발전을 이루었다. 세 번째 단계는 《일본의 적극외교》가 주목되는 시기이다. 일본정부가 본격적으로 전후처리를 단행하는 시기로 일본 정부는 각국과의 외무회담의 결과를 토대로 본격적이고도 적극적인 자세로 구체적인 조치를 시행하였다. 한국 정부는 러시아의 협조를 요구하는 한편, 일본과는 '과거사 청산' 외교를 펼치면서, 사할린 한인 문제에 대한 수용국으로서의 실질적인 조치에 들어갔다. 또한 러시아 정부는 1995년 7월 17일에 사할린 잔류 한인의 영주 귀국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3국 협의 (한·일·러)'를 모스크바에서 개최해, 러시아가 더 이상 옵저버 자격이 아닌 동등한 교섭 당사국으로서 참가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 결과 한·일·러 삼국의 공동 합의하에 「사할린 한인 영주 귀국자를 위한 시범 사업」이 합의 되어 실시되었다. 이 '시범사업'의 결정은 본 문제를 한·일·러 삼국이 최초로 공동 협의한 결과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한편, 이 교섭과정은 여타 문제들의 양자간 교섭들과는 다른,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문제는 1990년 이후 정부간 교섭이 이루어지던 교섭 초기에는 한·일, 한·러, 러·일의 양국간 교섭의 형태로 양자간에 복합적인 합의점을 이루어냈다. 그러나 韓·蘇 수교 후에 한·소(러) 간 직접 협상으로 러시아의 협조를 모색하게 되어 교섭 형태상 불균형적인(unbalance) 형태에서 완전한 삼국간의 균형적인 교섭을 가져오게 되었다. 따라서 교섭은 일본에 대한 한국의 '지속적인 교섭 추구 및 대응'에 더해 러시아의 '적극적인 협조'로 비로소 본격화되었다. 또한, 교섭 성격상 '사할린 잔류 한인'의 귀환 문제는 '위안부 문제' 등과 같은 여타 한일간의 과거사 문제와는 달리 한일 양국의 국내 여론의 진공 속에서 교섭이 진행되어 왔다는 큰 특징도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할린 잔류 한인 문제'가 삼국 차원의 문제로 부상되고, 삼국간의 교섭의 해결점을 찾을 수 있었던 것은 다음의 영향 때문이었다. 첫째, 초기 단계의 한일 양국의 비정부 기구 및 관변 단체의 '은근한 아랫목' 역할이 컸다는 점, 둘째, 일본 정부의 적극적이며, 선도적인 역할이 본 문제를 '귀환'이라는 해결로 이끌었고, 삼국차원의 협상의제로 부상시키기까지 중간자적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는 점, 셋째, 소련 및 러시아 정부의 지속적인 '개방 정책'과 그로인한 국제적 '화해 무드'는 미온적이던 러시아 정부의 협조와 지원을 이끌어내 한·일·러 삼국간의 공동 관심과 교섭을 불러왔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자료문제와 관련하여 본고의 의미와 한계를 밝혀두고자 한다. 본고는 가능한 한 일본, 한국, 러시아의 자료를 두루 활용하고자 노력했다. 특히, 한국의 국회자료는 지금까지 어떠한 연구에서도 활용된 적이 없는 것으로, 이의 분석을 통해 한국 측의 對日, 對蘇(러) 정책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할린'의 현지 취재나 현지 조사가 미흡하다는 점, 그리고 본고가 다루고 있는 '사할린 잔류 한인'의 '영주귀국' 문제가 아직 미해결의 문제를 남기고 있는 진행형의 문제이며, 따라서 교섭자체가 아직은 미완의 교섭이라는 점에서 상황적 한계를 안고 있음 밝혀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ies of three countries-Korea, Japan, Russia-about the repatriation of 'Sakhalin Koreans' and to investigate the negotiatory process on the issue among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of each country. This issue, namely the repatriation of 'Sakhalin Koreans', bore no profit in the 70s and 80s, though there were urgings and negotiations b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rom the 1990s, there began to appear great progresses in this issue. The negotiatory process among three countries-Korea, Japan and Russia-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period of issue-proposing and -sharing", ranging from the late 1989 when Perestroika reached its highest peak to Sep. 1992 when "the first permanent settlement of 'Sakhalin Koreans' was accomplished. In this period, many non-governmental and official organizations was founded and these organizations, from a humanitarian point of view, played the main part of proposing the issue about 'the repatriation of Sakhalin Koreans' toward the international society, Also, with a cllanged attitude of the Russian side, who had been indifferent to the issue previously. and with the mediation of Japanese government in the Korea-Russia relations in which formerly there could be no negotiation, the issue invoked the public opin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ies involved and the issue itself became the agenda of negotiation. The second stage is "the period of negotiation and agreement on the repatriation of Sakhalin Koreans." It ranges from Sep. 1992 to Nov. 1994 when the supporting plans were processed actively by way of substantial negotiations among three countries. Non-governmental and official organizations brought forward letters of demand and petitions against Japanese government and began to demand compensations and claims. These actions drew a common attention to 'Sakhalin Koreans' and, as regards the nature of homecoming, the temporary method was replaced with the permanent one. The third stage is the period in which the focus could be set on the positive diplomacy of Japan. In this period, Japanese government assumed postwar treatments progressively and carried out positive and definite measures as the result of high level talks with each of countries involved. Korean government performed the so-called diplomacy of 'the settlement of the past history' with the cooperation of Russia and made an active treatment about 'Sakhalin Koreans.' In the tripartite conference which held at Moscow in Jul. 17th 1995, Russian government took the role of the part concerned, rather than the observer. As a result, the execution of 「The model project for permanent settlement of Sakhalin Koreans」 was agreed under the joint declaration. This 'pilot project' is the first case in which three countries came to an agreement about the issue. In this study, it appears that the negotiatory process of the repatriation of 'Sakhalin Koreans' has characters distinguished from the negotiation by two sides about the other issues. In the early stage, the negotiation was performed and reached the joint agreement, mainly through complex processes between two countries. (for example, Korea-Japan, Korea-Russia or Japan-Russia) After the amity of Korea and Russia, Russian government participated in direct negotiation and the unbalanced mode of negotiation was changed into the balanced one among three countries. To sum up, the negotiation about 'Sakhalin Koreans' was carried out by way of the financial support of Japan, the sustaining probing and dealings of Korea and the positive cooperation of Russia. Another finding is that the negotiations about the repatriation of 'Sakhalin Koreans' were different from those about the issues of the wartime military sex slavery(the so-called 'comfort women' issue). The former negotiations proceeded under vacuum of both countries' internal opinions. And this probably led to rather fruitful result. In the course of accomplishing the agreement about the repatriation of 'Sakhalin Koreans', the situations involved can be pointed out as follows.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cess, activities of non-governmental and official organizations played an important part as a reliable support. Japanese government showed a positive manner to the issue and this %vas useful to reach the definite agreement. Japan performed the mediating role sufficiently until the issue appeared as the agenda of the tripartite conference. The open-door policy of Russia which was connected to the amity with Korea, and internationl post-Cold-War mood both led Russia to adopt a positive position and made the issue common in the tripartite relationship. Finally, I would like to point out the meaning and limits of the present study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materials for study. The present study intended to include data of Japan, Korea and Russia as broadly as possible. Specifically, material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 was very useful to certify the policy of Korean government toward Japan and Russia. But the limit of this study is that it lacks data which could be collected from the field work. Also, the negotiation about the permanent settlement of 'Sakhalin Koreans' is under way at present so that the study on the negotiation has a situational limit in a meaning of being an unfinished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