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르누보(Art Nouveau) 양식의 조형적 특징을 응용한 헤어 디자인 연구

        강정아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의 흐름과 사회적 변화, 새로움을 추구하는 욕구에 따라 끊임없이 미적 창조활동을 하며 진보하였고, 그에 따라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시대사조와 관련하여 예술적 창조활동과 관련한 기법, 특징, 경향 등이 나타나고 있다. 오늘날 획일화되고 비인간화 되어가는 현대의 산업사회에서 부드럽게 흐르는 곡선의 자연미와 생명감을 주는 아르누보의 양식은 인간성 회복의 의미로 받아들여지며 여러 분야에 응용되며 표현되고 있다. 아르누보 양식을 반영한 건축, 회화, 의상 등의 디자인 연구는 다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용 관련 분야에서도 아르누보 양식을 반영한 학문적 해석은 ‘최경옥의 아르누보 문양 이미지를 응용한 바디 아트 연구’, ‘김정현의 아르누보 양식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등을 시작으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르누보와 관련된 헤어디자인을 다룬 연구는 아직까지 진행된 바가 없어 시대 예술사조와 관련한 작품창작을 함으로써 학문적 연구의 유용한 발판이 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르누보 양식을 중심으로 선행논문을 고찰하고, 그 조형적 특징을 응용하여 작품창작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르누보 양식의 정의와 시대적 배경, 조형적 특징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아르누보의 조형적 특징을 상징적, 구성적, 신비적 아르누보로 정의하였다. 둘째, 아르누보 양식의 조형적 특징이 응용된 헤어디자인을 업스타일, 헤어바이나이트, 디자인 커트로 한정하고 고찰하였다. 셋째, 헤어디자인의 요소와 원리에 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넷째, 상기의 이론적 내용을 토대로 아르누보의 조형적 특징을 모티브로 하여 상징성을 표현한 업스타일, 구성성을 표현한 헤어바이나이트, 신비성을 표현한 디자인 커트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의 제작내용에는 각 작품마다 아르누보의 조형적 특징, 디자인 의도, 제작과정, 일러스트와 도해도, 작품사진 등에 관해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예술 사조를 접목한 작품창작을 통해 헤어 디자인의 예술적 역역을 확장하는데 의의를 두며 앞으로도 헤어디자인과 예술사조와 관련된 후속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Humankind from the old age to the present has progressed doing aesthetic activity consistently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 to pursue novelty, trend of age and social change. Thus, we can observe in many areas various artistic technique, feature, and tendency which had been associated with the various trends of ages. The style of Art Nouveau, giving us the sense of liveliness and natural beauty of curve flowing smoothly, in the contemporary industrialized society with the distinctive feature of its force of uniform and dehumanization, is now applied to and used in many areas as considered to convey the meaning of recovery of humanity. The studies on the design of architecture, arts, and costumes embodying the style of Art Nouveau are being carried out in a number of areas. In the territory of beauty treatment, scholarly interpretations reflecting Art Nouveau style, since such theses as ‘A study on body art using Art Nouveau style symbolic image’by Choi Kyung Ok, and ‘Nail Art Design applying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style’ by Kim Jung Hyun, have been energetically presented as well. As there has been no study on hair design in this arena, however, I have examined previous theses paying attention to Art Nouveau and produced works applying the figurative feature of Art Nouveau (as the works created through research) in order to be a useful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art trend of age. The following has been conducted for this research. First, the definition of Art Nouveau style,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its figurative feature have been theoretically considered. Second, the scope of the study has been confined to the upstyle, hairbynight, and design cut in hair designs applying the figurative feature of Art Nouveau style. Third, the element and principle of hair design have been considered. Fourth, the upstyle, hairbynight, and design cut works have been produced, with the motif of figurative feature of Art Nouveau, on the basis of the aforementioned theoretical accounts. Each work accompanies the intention of design, producing process, figurative feature of Art Nouveau, illustration, diagram and work photos. The significance of the thesis can lie in its attempt to expand artistic scope of hair design through artwork cre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n an art trend) and the future researches on this area (hair design) are in need.

      • 음악과 연극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음악적 창의성과 표현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정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음악과 연극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중학생들의 음악적 창의성과 표현력, 음악적 흥미도,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음악적 창의성 및 표현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학습자의 음악적 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강북구에 있는 A, B 중학교 1학년 남자 21명, 여자 25명 총 46명을 대상으로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주 1회 90분(블록타임)으로 8차시의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전체 학생들의 결과와 학교별, 성별로 나누어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활동지를 수집하고 수업 촬영 자료와 교사의 관찰, 학생 면담 등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중학생들의 음악적 창의성과 표현력, 음악적 흥미도, 자기효능감이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별로 비교한 결과에서는 음악적 흥미도와 자기효능감이 B 중학교에서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비교한 결과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음악적 창의성과 표현력, 음악적 흥미도를 증가 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에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따른 S-HTP 반응특성 비교연구

        강정아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을 자아정체감에 따라 자아정체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S-HTP를 통해 두 집단간에 나타난 반응특성을 비교 연구하여 S-HTP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을 측정하는 보조적 도구로써 활용 가능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따.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 498명으로 자아정체감 검사와 S-HTP를 실시하였다. 각 검사 실시 후, 자아정체감 점수에 따라 상위 10%에 해당하는 50명은 자아정체감이 높은 집단, 하위 10%에 해당하는 50명은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HTP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 三上(1999)의 분석기준에 근거를 두고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결과처리는 SPSS 12-0 Window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S-HTP에 대한 각 항목에 대한 두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정체감이 높은 대학생 집단과 자아정체감이 낮은 대학생 집단의 S-HTP 전체적 평가에 따른 반응특성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통합성, 그림의 크기, 원근감, 부가물, 상호관계 항목에서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둘째, 자아정체감이 높은 대학생 집단과 자아정체감이 낮은 대학생 집단의 S-HTP 집 평가에 따른 반응특성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집의 형태, 안정감, 부속물, 문, 손잡이 항목에서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자아정체감이 높은 대학생 집단과 자아정체감이 낮은 대학생 집단의 S-HTP 나무 평가에 따른 반응특성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자연스러움, 자기, 뿌리, 줄기, 열매 항목에서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넷째, 자아정체감이 높은 대학생 집단과 자아정체감이 낮은 대학생 집단의 S-HTP 사람 평가에 따른 반응특성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성별, 움직임, 얼굴 표정, 간략화, 사람의 방향, 구체화 항목에서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자아정체감이 높은 대학생 집단과 자아정체감이 낮은 대학생 집단간의 S-HTP 반응특성 비교 연구를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기에 대학생의 심리적인 상태와 내면을 반영하므로 S-HTP가 자아정체감을 측정하는 보조적 도구로써의 활용 기능성을 시사하며 대학생의 학교생활에 상담의 기초자료로 제공되어 긍정적인 자아정체감 형성에 도움을 주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 폐경기 증후군의 한의학적 치료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에 대한 연구

        강정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annual socioeconomic costs of menopausal syndrome treated with oriental medicine in Korea 2008. Method : Study subjects selected were patients aged 40 years or older who had national health insurance(NHI) claims record with menopausal syndrome(KCDO codes: K04, K04.0, K04.2, K04.3, K04.4) for oriental medicine treatment in 2008. Direct medical cost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for menopausal syndrome were measured from NHI claims records. Direct non-medical costs were estimated as transportation costs incurred when visiting hospitals. Indirect costs were defined as patients' productivity loss associated with office visits or hospitalization. Also, the costs of unpaid-household chores were calculated. Result : The total cost for the oriental medicine treatment of menopausal syndrome in the nation was estimated to be 743,091,219 Korean won(KRW) which included direct costs at 442,971,637 KRW and indirect costs at 300,119,583 KRW. Conclusion : This study provides an important perspective of socioecnomic influence due to menopausal syndrome treated with oriental medicine. And this results can be used as elementary data for menopausal syndrome-related health policy of oriental medicine. key words: menopausal syndrome, oriental medicine, socioeconomic cost. 목적 : 본 연구는 2008년 한 해 동안 폐경기 증후군의 한의학적 치료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를 목적으로 한다. 방법 : 연구 대상은 한의학적 치료를 받은 40세 이상의 폐경기 증후군 환자로서 ICD-10을 기준으로 폐경기 증후군에 해당되는 ‘카04, 카04.0 카04.2, 카04.3, 카04.4’ 를 상병으로 2008년 한 해 동안 건강보험 청구건을 가진 자로 정의하였다. 사회경제적 비용을 측정하기 위해 비용을 크게 직접비용 및 간접비용으로 구분하여, 직접비용에는 총 진료비, 교통비를 고려하였으며, 간접비용은 입원 및 외래진료로 인한 작업손실비용 및 무급가사노동비를 추계하였다. 결과 및 고찰: 폐경기 증후군으로 인한 한방 의료이용자(입원 및 외래)의 연간 총 사회경제적 비용은 743,091,219 원이었으며, 직접비용이 442,971,637 원, 간접비용이 300,119,583 원이었다. 그 중 직접비용에 해당하는 직접의료비는 364,110,583 원, 총 교통비는 78,861,053 원이었으며, 간접비용에 해당하는 작업손실비용은 218,863,956 원, 총 가사노동비는 81,255,626 원으로 조사 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폐경기 증후군이 사회경제적으로 초래하는 영향력을 평가하고, 향후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한방 의료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주거용 건물에서의 데이터 측정 한계를 고려한 거주자 행태 프로필 도출

        강정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재실시간이 길어지며 주거용 건물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 절감 및 관리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거주자 행태는 실제와 가상 간의 불일치를 야기하는 주요 요소이기 때문에, 주거용 건물의 올바른 관리 기준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거주자의 행태가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하지만 거주자 행태 반영을 위한 주거용 건물에서의 측정은 프라이버시 및 비용문제로 인한 센서 사용의 제약이 있다. 따라서 신뢰성있는 거주자 행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한계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BEPS 툴은 건물의 물리적 특성을 반영하는 모델링 도구로써, 검증된 툴은 실제의 건물을 모사하여 건물에너지 관리기준 수립에 활용된다. 최근의 연구 동향은 기존의 BEPS 툴을 활용한 관리 기준 설정 뿐만 아니라 실시간 자동제어에 용이한 다양한 연구 방법론들이 제시되고 있고, 이에 따라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개별 데이터에 대한 한계 및 가용범위를 검토한 후, 건물의 특성을 반영하는 BEPS 툴을 통해 실측값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는 행태 데이터를 도출한다면 건물에너지의 관리기준 수립 뿐만 아니라 주거용 건물 관리의 여러 연구 분야로 확장될 수 있는 활용도 높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여주시에 위치한 신축 주거용 건물의 1층 거실을 대상으로, 2021년 2월 27일 ~ 3월 20일 22일간의 중간기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전함을 통해 전력사용량을 기록하는 HEMS에서 기기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개별로 설치한 HOBO® logger에서 재실 및 실내온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BEPS 툴 중 신뢰성이 검증된 EnergyPlus 9.3.0를 활용하였으며, 재실 및 기기 데이터가 입력값, 실내온도가 출력값으로써 실측 데이터와 비교되었다. 연구의 최종적인 목적은 신뢰성이 확보된 거주자 행태 데이터의 도출이다. 이를 위해 수행한 연구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주거용 건물의 특징 및 한계에 따른 행태 데이터 수집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의 전처리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재실 데이터의 경우 주거용 공간의 특성을 반영하여 사용된 센서의 감지 한계를 극복하여 데이터의 가용범위로 나타냈다. 기기 데이터의 경우 공간에 따라 분류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행태간 위계관계를 적용하여 재실데이터의 비율에 따라 통합수집되는 기기 데이터의 패턴을 분리하였다. 2) 전처리한 데이터를 BEPS 툴인 EnergyPlus에 입력하여 가용범위 적용에 따른 보정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3) 가용범위 기반 시뮬레이션 최적화를 통해 가장 실제에 가깝게 구현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도출하였다. 최적화는 GenOpt 툴을 활용하여, 실측 실내온도와 시뮬레이션 결과값 실내온도와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목적함수를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도출된 모델에는 가용범위로부터 가장 실제에 가깝게 설명할 수 있는 고정된 거주자 행태 프로필이 반영된 상태이므로, 이를 역으로 추적하여 거주자 행태 프로필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계점을 지닌 주거용 건물에서의 특성을 고려한 측정방법을 고안하였다. 일반적인 주거용 건물의 공간위계와 데이터 수집 환경을 고려한 데이터의 측정 및 전처리를 수행하였다. 둘째, 주거용 건물의 측정 한계를 고려하여, 활용 가능한 행태 데이터의 가용범위를 도출하였다. 셋째, 신뢰성있는 BEPS 툴 및 최적화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범위로 정의되었던 행태 데이터로부터 결정된 값의 거주자 행태 프로필을 도출하였다. 신뢰성 있는 BEPS 툴과 최적화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실제에 가깝게 설명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BEPS 툴을 활용한 M&V를 수립하는 과정에서의 입력값으로 활용될 수 있다. 혹은 정확도 높은 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데이터 기반의 연구 방법론에서의 활용도가 높을 것을 사료된다. As the occupancy time increases, the importance of residential buildings is increasing, and accordingly, the need for energy saving and management measures for residential buildings is emerging. Since occupant behavior is a major factor that causes inconsistency between real and virtual, the behavior of occupants must be reflected in order to establish proper management standards for residential buildings. However, measurement in residential buildings to reflect resident behavior has limitations in the use of sensors due to privacy and cost issues.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reliable resident behavior data, these limitations should be reviewed. The BEPS tool is a modeling tool that reflect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building, and the verified tool is used to establish building energy management standards by simulating an actual building. In recent research trends,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that are easy for real-time automatic control as well as management standard setting using the existing BEPS tool are presented, and the importance of reliable data is increasing accordingly. After reviewing the limits and usable range of individual data, if behavior data that more clearly explains the actual value is derived through the BEPS tool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not only the establishment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standards but also several studies of residential building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secure highly useful data that can be extended to the field. This study used interim period data for 22 days from February 27 to March 20, 2021, targeting the living room on the first floor of a new residential building located in Yeoju-si, Gyeonggi-do. Device usage data was collected from HEMS, which records power consumption through distribution boxes, and occupancy and room temperatur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ly installed HOBO® logger. Among the BEPS tools, EnergyPlus 9.3.0, whose reliability has been verified, was used, and the occupancy and device data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data as the input value and the room temperature as the output value. The ultimat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rive reliable resident behavior data. The steps of the research conducted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A method for collecting behavioral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residential buildings was devised, and the preprocessing process of the collected data was explained. In the case of occupancy data, the usable range of data was expressed by overcoming the detection limit of the used sensor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space. In the case of device data, there was a limit that could not be classified according to space. Accordingly, by applying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s, the pattern of the device data that is integrated and collected according to the ratio of occupancy data was separated. 2) By inputting the pre-processed data into EnergyPlus, a BEPS tool, the possibility of correc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usable range was reviewed. 3) A simulation model that is most realistically implemented was derived through the simulation optimization based on the available range. Optimization was performed by setting an objective function that minimi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indoor temperature and the simulated indoor temperature using the GenOpt tool. Since the derived model reflects the fixed resident behavior profile that can be explained most closely from the available range, the resident behavior profile was derived by tracing it backward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measurement method was devis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residential building with limitations. Data measurement and pre-processing were performed considering the spatial hierarchy of a general residential building and the data collection environment. Second, in consideration of the measurement limits of residential buildings, the usable range of usable behavior data was derived. Third, by utilizing reliable BEPS tools and optimization techniques, a resident behavior profile of a determined value was derived from behavioral data defined as a range. By utilizing reliable BEPS tools and optimization techniques, data that can be described close to reality wer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input value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V using the BEPS tool in the future. Or, it is thought that the utility of data-based research methodologies, where the importance of high-accuracy data is increasing, will be high. Keywords: Residential building, Occupant behavior, Measurement, BEPS (Building Energy Performance Simulation), EnergyPlus, Optimization

      • 대안적 지역사회복지관의 정체성 확립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강정아 서남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나라의 사회복지사업은 과거 요보호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용시설 중심의 사업들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 도시의 빈민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복지관과 같은 이용시설 중심의 사회복지사업이 활성화되었다. 정부는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해 80년대 후반부터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와 같은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을 설립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365개의 사회복지관이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특별히 지방화시대가 본격화되고 사회복지분야에서도 지방화와 사회복지의 보편화가 진행되면서 지역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최일선의 이용시설로서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은 점점 중요해 지고 있다. 지역사회복지관은 1880년대 영국과 미국의 인보관 운동으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1906년 외국인 선교사에 의해 처음 도입된 후 100여 년 동안 태동기와 형성기, 확대기를 거쳐 정착기에 들어 와 있는 상황이다. 발전과정에서 보면 우리나라 사회복지관 초기에는 여성과 빈민계층을 위한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주로 사회계몽과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성격이 강하였다. 형성기를 지나 확대기에는 정부의 지원으로 양적 팽창을 가져왔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복지관의 운영에 관련 된 문제점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또한 형성기에는 정부의 지원이 시작됨과 동시에 재정의 열악성을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사회복지관이 정부 지원에 의존적이게 되었다. 정착기에 들어선 지역사회복지관은 그 동안 민간 전달체계로서 지역사회복지관의 성과와 운영에 대한 평가를 받기 시작하였고 2000년에 처음으로 실시되었던 전국 사회복지관 평가는 확대기를 지나 지역사회복지관이 프로그램의 전문성과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자극이 되었다. 지역사회복지관은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한 기능과 역할을 가지고 있다. 첫 째, 문제를 지닌 개인이나 가정에 대한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과 사회화 또는 발달적 욕구충족을 위한 서비스센터로서의 역할, 특수한 문제나 욕구에 부응하여 구체적 서비스나 정보제공 및 의뢰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종합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 기능이 그것이다. 둘 째,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참여의 중심체로서의 역할과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주민 또는 기관간의 공동계획 및 조정의 역할, 그리고 특정집단의 이익대변 및 사회행동센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지역사회 문제 해결 및 조직화의 기능이다. 우리 나라의 사회복지관은 정착기에 들어 선 최근까지 종합적 사회복지서비스 전달 기능에 집중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요보호 대상자와 저소득층에 대해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민간복지전달체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왔으나 사회복지의 지방화와 보편화에 따른 다양한 사회복지 욕구와 급변하는 사회복지환경에 대한 대응으로 앞으로는 지역사회문제 해결과 조직화의 기능이 더욱 요구되어진다고 할 수 있겠다.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실태를 통해 사회복지관 내부적인 문제점들을 다음과 같이 찾을 수 있다. 인력상의 문제점에서는 사회복지관의 전문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적정인력이 채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다른 전문직종과 비교할 때 열악한 처우와 근무환경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재정상의 문제점으로서는 비현실적인 정부지원과 유료사업에 대한 의존성 그리고 지역사회 자원 동원의 부진 등을 들 수 있겠다. 프로그램상의 문제로는 프로그램의 계획성이나 수행과정은 전문화 되어있으나 평가의 체계성과 피드백은 잘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특성을 고려하고 지역주민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는 특화사업이 부족하였다. 또한 교육·문화사업분야에서는 유료화 된 사회교육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어 사회복지관의 학원화와 관련 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지역사회복지관 내부적인 개선방안으로 첫 번째, 인력상의 개선방안은 전문인력의 확보와 교육·훈련의 강화, 종사자의 근무환경과 처우 개선, 지역사회의 인력활용을 제시할 수 있겠으며, 두 번째는 재정상의 개선방안으로 정부지원금 확대의 필요성과 복지관 자원동원노력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상의 개선방안으로는 프로그램의 책임성과 전문성 확보의 노력과 프로그램 관리의 필요성,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을 제시할 수 있겠다. 급변하는 사회복지 환경 속에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운영 실태와 그 개선방안을 통해 내부적인 여건 개선에 대하여 논하였다. 연구의 결론을 맺으며 연구자는 이제 사회복지관 외부적인 환경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먼저 정부와의 관계설정이다. 2004년 7월 시범사회복지사무소가 전국 9개 지역에서 문을 열게 된다. 참여정부 시작과 함께 공공부조에 관한 예산은 증가하였으나 실제 국민의 사회복지 체감은 낮게 나타나고 있다. 공적복지전달체계의 비효율성과 비전문성, 사회복지욕구에 대해 민첩하게 대응하지 못해왔던 공적복지전달체계가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역사회에서 대표적인 민간복지전달체계로서 역할을 수행해 왔던 지역사회복지관은 정부의 지도 감독으로부터 보다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사회복지사업 수행으로 정부와의 대등한 협력관계를 가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진보적인 시민단체나 종교단체들의 사회복지 참여에 대해서도 경쟁적인 시각을 갖기보다는 시민단체의 자율성과 운동성 그리고 진보성을 전달받음으로서 지역사회의 취약계층에 대한 옹호와 사회 개혁적인 성격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제 지역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의 사회복지관은 새로운 기능과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의 다양한 복지 욕구에 대응하고 지역공동체와 연대감을 조성할 수 있는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 바로 그 곳에 지역사회복지관이 있어야 할 것이다. Previously, Korean social welfare was centered on the accommodation facility objectifying the persons who needed shelters. But, in 1880s, the policy changed into the social welfare centered on the facility for utilization like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centered on the poor zones in the urban . The government began to establish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centering on the poor zones like the permanent apartment area for lease from the latter half of 1980s so that it can promote citizen's welfare residing in the regional society and the regional citizens. As a result, 365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distributed in Korea. As the regional age begins in earnest and region-oriented progress and social welfare goes in the sphere of social welfare,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the regional welfare facility as the most essential facility for promotion of regional citizen's welfare are getting more important. Community welfare center originates from English and American Human Rights Protection Movement in 1880s. In Korea it was induced by the foreign missionary in 1906, and it experienced the beginning age, formative age, and expansive age for about 100 years, and now, it is in the process of fixation age. As for the developmental course, at the beginning, the Korean Community welfare center operates social education program for the woman and the poor class, and it has the traits, mostly, of social enlightenment and the organization of social education After the formative age, when in the expansive age, the governmental support made community welfare center increase in quality, and in these situations operation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began to have problems. In addition, in the formative age, the government began to support the center, and the most community welfare centers poor in finance were dependent on the government's suppor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n the fixation age began to be appreciated about the results and operation, the communicative system between citizens, and the national appreciation abou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began in 2000 for the first time experienced the expansion age. It stimulated the expertise of the program and the quality of service.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as the important functions and roles as followings. Firstly, it has the function as the transferor of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service which plays a role of offering supportive service to the persons or homes which have problems, which plays a role as the service center for socialization or satisfaction of developmental need, and which plays a role of offering concrete service or information as well as requested service. Secondly, it has the function as the solver of the regional problems and organization where citizens participate to solve regional problems as the central body, which makes a plan together with citizens and other organizations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and which solves the regional problems and speaks by proxy for a confined group or which plays a part as the center for social behavi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as concentrated on the function of transferring the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service till the recent time of fixation age, and played the role as the representative system which transferred the civil welfare offering comprehensive and expert service to the persons who needed protection and poor classes. But, in the future, when it has to cope with various needs of social welfare and rapidly changing social welfare circumstances, the function to solve the regional problems and to organize was demanded more. The internal problem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this thesis analysed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re as followings. As for the problems in the aspect of human power, the communty welfare center doesn't adapt the needful human power to propel the expert business, and, compared with other expert kind of job, it has had inferior treatment for the manpower and working circumstances. The financial problems are unrealistic governmental support, dependence on the government at the time of propelling the business with expenses, and insufficient mobilization of the regional resources. Problem of program is that planning of program and the course of conduct are expert, but systemization and feedback of appreciation is not reasonable. In addition, the specialized business which demands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itizen's requests was not sufficient. As for the sphere of educational and cultural business, the social education program which demanded expenses was activated, which exerted action on issues related to making community welfare centers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played an action negatively. The internal way to improve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s, firstly, that the expert human power should be recruited,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strengthened, employee's circumstances to work and treatment for them should be improved, and the human power residing in the region should be utilized. Secondly, the way to improve its finance is that the supported money from the government should be increased(actual governmental support in finance) and the hardship to mobilize the source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should be essential. In the end, as for the way to improve program, the program should be operated with liability, the expertise should be secured, the program should be managed, and the program for the region should be developed. This thesis discussed on the operational actuality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n the circumstances of social welfare and the internal conditions through the ways to improve them. In conclusion this thesis, this thesis intends to propose some ways to cope with the other circumstances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y. Firstly, the social welfare facility should establish the relation with the government. In July, 2004, the exemplary social welfare offices open in nine regions. When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began, the budget for public cooperation increased. But people didn't feel it so good. The public welfare transfer system which has not coped with ineffectiveness and non-expertise of the public welfare system, and needs to the social welfare tries to change. In this point of time,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has played a role as the representative civic welfare transfer system in the region should have equal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by conducting autonomous and independent social welfare program from the governmental supervision. In addition, the personnels concerned with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should endeavor to accept the poor class residing in the region and to have social reformational traits by accepting civic groups' spontaneity, movement, and advancement, not by having a comparative views to the participation of progressive civic group or religious group. In the end,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n the field of practicing welfare of the region is required to conduct new function and role. The regional welfare should be in the field of practicing the regional welfare where personnel concerned with social welfare can cope with needs of welfare of the regional citizen residing in the region, and establish feelings of solidity.

      • 중학생의 영재성과 성에 따른 행동특성, 심리적 가정환경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연구

        강정아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영재성과 성에 따른 행동특성 및 심리적 가정환경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영재성과 성에 따른 행동특성, 심리적 가정환경과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영재중학생은 일반중학생보다 자신의 행동특성,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조화’ 환경, 회복탄력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영재성에 따른 행동특성, 심리적 가정환경과 회복탄력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영재중학생은 행동특성의 ‘학습’·‘창의성’·‘동기’·‘리더십’ 특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조화’·‘관여’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일반중학생은 행동특성의 ‘학습’·‘동기’·‘리더십’ 특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조화’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영재성에 따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특성 및 심리적 가정환경을 분석한 결과, 영재중학생은 행동특성의 ‘동기’·‘창의성’·‘리더십’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조화’ 환경(통합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또한, ‘창의성’·‘동기’·‘학습’ 특성이 높을수록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회복탄력성을 보였다. ‘동기’·‘창의성’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조화’ 환경(통합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타인의 정서를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원인분석력’ 회복탄력성은 ‘동기’·‘학습’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일반중학생은 ‘창의성’·‘리더십’ 특성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고, ‘학습’·‘창의성’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관여’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는 회복탄력성은 ‘리더십’ 특성이 높고 ‘창의성’ 특성이 낮을수록, 그리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일반중학생의 ‘원인분석력’ 회복탄력성은 ‘학습’·‘동기’ 특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창의성’ 특성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성에 따른 행동특성 및 심리적 가정환경이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창의성’·‘리더십’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관여’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또한, ‘창의성’·‘리더십’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관여’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회복탄력성을 보였다. ‘리더십’ 특성이 높고 ‘창의성’ 특성이 낮을수록, 그리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타인의 정서를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원인분석력’ 회복탄력성은 ‘동기’·‘학습’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은 ‘창의성’·‘동기’·‘학습’ 특성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고, ‘리더십’·‘창의성’·‘동기’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는 회복탄력성은 ‘리더십’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관여’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한편, 여학생의 ‘원인분석력’ 회복탄력성은 ‘학습’·‘동기’ 특성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영재성과 성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긍정적인 행동특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긍정적인 심리적 가정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핵심 용어 : 영재성, 행동특성, 심리적 가정환경, 회복탄력성

      • 동화를 활용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강정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에게 동화를 활용하면 과학적 개념에 자연스럽고 흥미있게 접근할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동화를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동화를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장유에 소재하고 있는 H유치원의 만 5세반 2개학급 64명의 유아였다. 이 두 학급은 실험집단(3명)과 통제집단(32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처치 전에 두 집단간의 평균연령 및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동질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동질 집단임이 검증되었다. 과학적 탐구능력검사는 정정애(1996)가 개발한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를 배소정(2002)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과학적 문제해결력 검사는 Tegano, Saweyrs & Mora(1994)의 검사에 기초해 안경숙(1992), 정경혜(1994)등이 사용한 것으로 최은경(2001)연구에서 적용된 과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5주동안 주 2회씩 총 10회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ver 11.0)을 이용해 통계처리하고 t검증을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과학활동을 한 실험집단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이 관찰하기, 측정하기, 분류하기, 추리하기, 예측하기 모두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과학활동을 실시한 실험집ㄷ단이 시범위주의 통제집단에 비해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있어서 ‘문제의 발견 및 진술’, ‘유아의 문제해결에 대한 아이디어 제안 및 적용’, ‘문제해결에 대한 결론짓기’에 대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동화를 활용한 과학활동을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적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킨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에게 동화책의 의미있고 흥미로운 상황을 통해 과학과정을 탐색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일어난 결과로 보여진다. 교사는 유아에게 적합한 과학적 과정의 내용을 보는 안목을 기르고 유아를 위한 과학활동에 깊은 관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It is considered that we can provide an opportunity for children to get access to the scientific concept naturally and interestingly by use of story b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cientific activity Which uses story book on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problems were established: 1. How effects does science activities by using story book make on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2. How effects does science activities by using story book make on children's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As for the target subjects of this study, sixty-four children, of the two classes who are fully of five old ,attending the ''H kindergarten" which locates in Jang-u of Gim-hae. The children of these two classes were arbitrarily placed each into the experimental group (32 children) and a control group (32 children).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t-test for a homogeneity test was conducted about the children's average ages and their scientific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t could be assumed that they were homogeneous groups because any significant difference did not appear between these two groups. For the scientific process skill test, researcher modified an instrument for scientific process skill test which Bae so-jung had made in 2002 on the basis of Jung Jung-ae's scientific process skill test in 1996. As for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effects on children's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 test instrument which Ahn Kyung-suck, Jang Kyung-Hye used on the basis of the test originated by Tegano, Sawyers and Moran was employed in 1994.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arried out twice a week over 5 weeks which totaled ten times treated by using the SPSS(ver 11.0)program, and they were also compareed and analyzed by conducting the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experiencing and control one not experiencing scientific activity by using story book showed the important difference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such as observing, classifying, measuring, estimating and reasoning. Second, experimental group experiencing and control one not experiencing scientific activity by using story book showed the important difference in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such as problem finding and statement, children's suggestion of idea and application about problem solution, children's making conclusion about problem solution, which were the sub-areas of problem solving ability w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considered to suggest that children could improve their ability to search for scientific process, their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he meaningful and interesting situation in a story book.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an appreciative eyes which can find out the scientific fact of scientific process which suits children should be cultiv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