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초기 부흥운동에 나타난 청교도적 성격

        강승규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초기 부흥운동 안에 있는 창교도적 요소 즉 성서에 집중하듯 한국교회 부흥운동 안에도 철저히 성서 중심의 운동이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그 안에는 철저히 성서에 입각한 회개 중심이었다. 그리고 생활 가운데 기도도 항상 한국교회나 청교도 속에나 다 함께 하는 생활의 일부였다.

      •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의 설교 신학과 특징 연구

        강승규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18세기 조나단 에드워즈는 신학자요 목회자요 설교자다. 그의 설교는 오늘날에도 여전히-몇 가지만 보완한다면-모든 설교자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유럽에서 계몽주의와 합리주의로 인하여 이성의 절대성을 주장하고, 독일에서 시작된 경건주의로 인하여 개인적 신앙의 체험을 중시하고, 영국에서 일어난 복음주의로 인하여 부흥운동에 박차를 가하던 시대에 에드워즈는 청교도의 마지막 후예로서 미국에서 새로운 신앙 부흥을 이끌었던 지도자였다. 에드워즈는 목회자 가문에서 태어나 설교자로서 탁월한 훈련을 받고 마지막 죽음의 문턱에 이를 때까지 열정적으로 사역했던 설교자다. 그는 설교 사역에서 항상 청교도 신학을 포함했고, 하나님의 영광과 총체적 신앙을 최고로 중요시 여길 정도로 설교 신학을 견고히 했다. 이것은 역시 목회자였던 부친 티모디 에드워즈와 외조부 솔로몬 스토다드의 영향이었다. 또한 여러 선배 청교도 신학자들뿐만 아니라 특히 토머스 셰퍼드의 회심론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에드워즈의 설교는 신학적 특징과 전달의 특징이 있다. 신학적 특징에서는 체험적 신앙, 종말론적 신앙, 윤리적 신앙, 교리의 적용을 강조했다. 그는 신앙의 체험을 통해 부흥의 실제성을 강조했다. 또한 그의 종말론적 신앙은 현실 도피적인 삶이 아닌 최고의 윤리적인 신앙으로 살게 했다. 그리고 청교도 설교의 특징인 교리를 생활에 적용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전달의 특징에서는 표현의 명료성과 이미지의 강조와 지성과 감성의 조화를 이루었다. 단조롭거나 깊이가 없는 설교가 아니라 명료한 설교로 항상 청중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했다. 또한 예화를 많이 사용한 편은 아니었지만 직유, 은유와 같은 이미지를 많이 사용했다. 그리고 항상 신앙의 영적 균형을 강조하며 영적인 것이 지적인 것을 통제하도록 했다. 에드워즈는 균형 잡힌 설교, 경건의 능력이 나타나는 설교, 신학이 녹아든 설교를 했다. 신학과 삶, 지식과 체험, 지성과 감성의 균형을 항상 강조했다. 또한 거룩을 통해 경건의 능력을 추구하며 강조했다. 그리고 깊이 있는 신앙을 위해 성경에서 비롯된 신학을 설교에 녹아들게 함으로써 경박한 신앙을 탈피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에드워즈는 탁월한 설교자였지만 완벽한 설교자는 아니다. 역사 속에서 완벽한 신앙인이 없었듯이 완벽한 설교자도-예수 그리스도 외에는-없다. 그것은 에드워즈에게도 마찬가지다. 에드워즈를 현대 개혁주의 설교의 관점으로 보면 몇 가지 보완해야 할 점이 나타난다. 에드워즈의 설교는 실존적 고뇌가 미약하고 내러티브를 명제화시키는 약점이 있다. 그의 설교에는 항상 적용이 있었지만, 그 적용은 또 다른 교리나 확장된 교리의 나열이라고 볼 수 있다. 탁월한 설교자였지만 청중의 삶에 뿌리내리는 적용이 부족했다. 또한 성경의 모든 본문을 명제화시킨 약점이 있다. 심지어 신구약의 내러티브 본문조차도 명제화시켰다. 현대 설교학의 관심이 청중 분석을 통한 들리는 설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내러티브 설교에 대한 관심과 훈련이 필요하다. 결국 설교자가 에드워즈 설교에서 보완점을 개선하여 더욱 청중의 구체적인 실존을 고민하고 다양한 설교를 인정하고 훈련한다면,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새로운 설교자가 될 수 있다. 마침내 한국 교회는 그런 설교자를 통해 더욱 건강한 교회와 강단이 될 것이다.

      • 초등학교 5,6학년군 중심의 음악 창작수업 지도 연구

        강승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따라서 학습자의 창의성을 신장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음악성이 발달할 수 있도록 돕는 창작 활동은 초등학교 음악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그러나 오늘날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은 창작 활동을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로는 교사의 음악적 지식 부재나 창작 활동을 구현하는 것에 대한 교사의 두려움과 같이 교사로부터 기인한 것도 있겠으나, 무엇보다도 학생들이, 특히 고학년 학생들이 창작 활동에 대해 흥미를 가지지 않는 것이 창작 활동을 기피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5·6학년군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창작 활동을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교사들이 부담감과 두려움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활동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현행 6종 검정교과서에 들어있는 창작 활동 차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행 교과서에 어떤 창작 활동들이 들어가 있으며, 각 활동들이 어떤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분석을 할 때, 각 활동은 크게 8개 영역으로 나누어 분류한 후 분석하였으며, 각 영역은 ‘음악의 형식’, ‘악상기호’, ‘음색’, ‘조성’, ‘음계’, ‘화성’, ‘가락’, ‘리듬’이다. 둘째, 현행 6종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각 활동들에서 보완해야 할 점을 고찰해 보고, 고찰한 점을 토대로 연구 문제에 대한 새로운 활동을 구안하였다. 각 활동들은 크게 세 가지 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고찰하였는데, 첫째 활동적 측면 부분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둘째, 실제적인 창작 학습과의 연계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화음 진행에 대한 학습 측면에 대해 고찰하였다.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 구안한 새로운 창작 활동들은 ‘음의 길이 이해하기 수업’, ‘악상 기호 활용하여 간단한 창작 활동하기 수업’, ‘못갖춘마디를 활용하여 간단한 창작 활동하기 수업’, ‘AB 형식으로 간단한 창작 활동하기 수업’, ‘장음계와 단음계를 이해하고 편곡하기 수업’, ‘이어지는 느낌과 끝나는 느낌 이해하고 간단한 음악 만들기 수업’, ‘적절한 화성을 사용하여 간단한 2부 합창곡 만들기 수업’, ‘일상에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그림으로 표현하고 이를 활용하여 간단한 창작 활동하기 수업’으로 총 여덟 가지이다. 본 연구를 통해, 이전에는 음악을 소비하기만 하던 학생들이 음악을 스스로 생산함으로써 창작 활동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연구자의 학생들 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악을 제외한 서양음악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라는 제한점이 있지만 앞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후속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들과 초등학생들이 창작 수업에 더욱 적극적인 자세로 참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main purpose of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09 is nurturing learners who has creativity. Making music is very important in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because students can develop their creativity and musicality by making music. However, many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avoid teaching making music. There are so many reasons why they avoid teaching making music, but most important reason is elementary student, especially 5th and 6th graders don't have interest about making music.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deal with teaching method of making music which can induce 5th and 6th graders' interest.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s follows. First, all textbook by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09 are analyzed in this study. By this analysis, Teachers can know that which activities relating with making music are in textbook. Also they can know the activities focus on. When analyzing the activities, all activities are categorized in eight field. The eight field is formality, theme symbol, tone, key, scale, harmony, melody and rhythm. Second, by considering about this activities in textbook, new activities are designed. The activities in textbook are considered by three aspects. The activities in textbook are considered by aspects of active, aspects of practical and aspects of studying harmonic progress. The new activities are 'Understanding length of notes', 'Making simple music by theme symbol', 'Making simple music by incomplete bar', 'Making simple music by AB formality', 'Understanding major and minor scale and arranging music', 'Understanding cadence and making music', 'Making a simple duet by using suitable harmony', 'Representing sounds into drawing and making simple music by drawing'.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interest about making music are increased. Nevertheless, this study has restriction, by a follow-up study, it is anticipated for this study can be help teachers an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현풍지역 삼국시대 석곽묘 연구

        강승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현풍 지역 석곽묘의 구조 분석을 통한 전개 과정을 추적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현풍 지역에서 조사가 이루어진 삼국시대 고분군 중 5개소에서 ‘잔존 양상’을 주요 기준으로 하여 수혈식 석곽묘 192개, 횡구식 석곽묘 28개 총 220개의 석곽묘를 선별하였다. 석곽묘의 구조 분석은 가장 먼저 ‘수혈식’과 ‘횡구식’으로 구분한 후, 석곽묘의 ‘규모’, ‘평면 형태’, ‘벽석의 축조 방식’, ‘바닥 시설의 유형’, ‘유물 부장 유형’을 기준으로 각 속성의 점유율 변화를 분석하여 시간성을 가지는 속성과 변화의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석곽묘의 유형은 수혈식 석곽묘 8개, 횡구식 석곽묘 5개 총 13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석곽묘의 전개 과정은 ‘구조 변화’를 기준으로 ‘성립기’, ‘발전기’, ‘완성기’, ‘곽·실 전환기(쇠퇴기)’ 총 4단계를 설정할 수 있었다. 현재 현풍 지역의 수혈식 석곽묘는 5세기 2/4분기 무렵에는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횡구식 석곽묘는 6세기 1/4분기 무렵 출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횡구식 석곽묘는 수혈식 석곽묘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낙동강 중류 동안 지역의 석곽묘에서 ‘횡구부’의 출현 배경은 ‘효율성’의 시각에서 ‘성하리 1호분’의 축조 과정을 복원한 결과, 석곽묘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축조 과정이 어려워짐에 의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현풍 지역 횡구식 석곽묘의 출현 배경은 등장 시기와 구조적인 특징을 고려했을 때 인접한 창녕 지역 횡구식 석곽묘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즉, 낙동강 중류 동안 지역(특히 창녕)에서 대형 석곽묘를 효율적으로 축조하기 위한 방안으로 만들어진 횡구식 석곽묘는 ‘인접 집단 상호작용’에 의해 현풍 지역 상위 계층의 대형 고분을 효율적으로 축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입된다. 이후 횡구식 석곽은 석곽을 축조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자리 잡으며 중형 석곽묘에까지 확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의 자료 증가에 따라 본 연구의 내용이 변동될 수 있음을 언급해둔다. This thesis aims to trace the developments of stone-lined tombs in the Hyeonpung region via structural analysis. The study’s subjects were selected from five ancient tomb cluster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at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Hyeonpung region. Based on their ‘remaining conditions’, 220 stone-lined tombs have been selected, including 192 stone-lined tombs with a pit burial style and 28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For structural analysis, stone-lined tombs were firstly divided into the ‘pit burial style’ and ‘horizontal entrance style’. Next, they were analyzed by their ‘size,’ ‘type of plane’, ‘building method for stone wall’, ‘type of floor facility’ and ‘burying type of grave good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ratio of each property so as to confirm the temporal properties as well as the directionality of change. As a result, 13 types of stone-lined tombs have been identified : eight stone-lined tombs with a pit burial style and five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Based on ‘the structural change’, the developments of stone-lined tombs were defined by four stage : ‘the initial stage’, ‘the development stage’, ‘the completion stage’ and ‘the decline stage’. Until now, it has been confirmed that stone-lined tombs with a pit burial style emerged in the Hyeonpung region around the second quarter of the fifth century. As for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it is estimated that they appeared in the first quarter of the sixth century. In particular, it was identified that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were structurally based on stone-lined tombs with a pit burial style. The construction process of "Seongha-ri Tomb No.1" was restored from the perspective of "efficiency" so as to examine the background to which the "horizontal entrance style" had emerged in the region to the east of the midstream Nakdong-gang River. As a result, it could be estimated that the emergence of ‘horizontal entrance style’ might be caused by the difficulty of the construction process as stone-lined tombs became increasingly larger in size. Considering the time of appearance and structural features, it is highly likely that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in the Hyeonpung region were affected by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in the nearby Changnyeong region. In other words, the stone-lined tomb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was devised as an efficient method for constructing a large-size stone-lined tomb in the eastern part by the midstream of Nakdong-gang River(especially Changnyeong). And it was introduced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s of adjacent groups’ to efficiently construct a large-size ancient tomb for the upper class in the Hyeonpung region. Since then, it seems that the stone-lin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style were established as one of the construction methods for stone-lined tombs, and it is spread to a mid-size stone-lined tomb.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might be changed according to any increase of data in the future.

      • 컬러 정보를 이용한 자동차 번호판 인식에 관한 연구

        강승규 광운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컬러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 인식을 하였다. 기존의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을 보면, 주로 그레이 레벨의 영상에서 번호판의 테두리나 내부의 문자 윤곽을 이용하여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여 인식을 수행하였는데 훼손된 번호판이나 콘트라스트가 낮은 번호판에서는 정확히 추출을 하지 못함을 볼 수 있었다. 그래서 입력되는 RGB 컬러 정보를 YCbCr 값으로 변환하고 그 중 Cb와 Cr 값을 이용하여 번호판 영역을 검출하였다. 이 경우 검출하고자 하는 번호판의 색깔과 차량의 색깔이 같아서 검출이 안 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본 논문에서는 번호판의 가로, 세로 비를 이용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였다. 실험 결과, 내부가 훼손되거나 차량 주변의 장애물들로 인해서 가려진 번호판에서도 상당히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보였다. 기존에 나와 있던 HSI 방법에 비해서 약 4% 이상 번호판 추출률이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추출된 번호판 영역을 문자 인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정규화하고, 영역 분할 및 개별 문자 인식을 위하여 이치화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치화를 위하여 번호판 영역이 일정한 양의 배경영역과 문자영역으로 구분된다는 기존의 정보를 가지고 문턱치를 적용하였다. 전체 번호판 영역의 값을 정렬 알고리즘을 통하여 내림차순 정렬을 한 후, 20%가 되는 부분에서 문턱치를 적용하여 이치화를 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이치화된 영상에서 개별 문자 영역 분할을 하였다. 문자 인식 단계는 고유벡터와 고유치를 이용한 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인식을 하였다. In this thesis, color information is used for car license plate recognition. Plate boundary detection or character edge detection is conventionally used for plate recognition in the gray level image, but it is hard to detect plate region in low-contrast image or damaged image. After the RGB value of image is transformed to value model, plate region is detected using Cb and Cr information. In case of color similarity between the background region of plate and others, plate region is detected in verification step utilizing horizontal and vertical ratio information. The detected plate region is scaled to ease character recognition, and method of making binary image is applied for region segmentation and recognition. In this thesis, the threshold for making binary image is estimated using the fact that character region is approximately 20% of total plate region. Each character region segmentation is executed at the thresholded image. For character recognition, eigenvector and eigenvalue are used. It proves YCbCr method is good for plate region detection especially, for damaged or occluded images, and by comparing with conventional method, it is improved more than 4% in detection rati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