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방사선사의 초음파 선행경험이 심장초음파 교육 학습목표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

        강소미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radiological technologist's (RT’s) echocardiography education class goal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RT’s pre-experience on the learning goal difficul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 of RT’s and cardiac sonographer (CS) working at medical institu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 Likert 5-point scale by deriv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rom 4 questionnaires, pre-experiences ultrasound from 3 questionnaires (external ultrasound scan experience, registered diagnostic cardiac sonographer licence acquisition, advanced practical RT of clinic sonographer (echo) licence acquisition, and 45 sub-learning goals based on 8 concepts. As a statistical analysi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ultrasound pre-experiences were frequency -analysis. And the Mann-Whitney 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nonparametric 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target difficult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ultrasound pre-experience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using the Kruskal-Wallis 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OVA) for the ultrasound pre-experience group and the ultrasound non pre-experience group. As a post-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f the p-value was 0.05 or less using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LSD). As a result, as for the difficulty of the learning goal for echocardiography, the quality control proficiency was 3.42±1.29 points, the understanding of cardiac pathology was 3.35±1.08 points, and the deciphering ability of cardiac medical images was 3.35±1.30 points. As for the average learning goal difficulty of the‘ultrasound pre-experience group’, the report writing proficiency was 3.20 points, cardiac pathology understanding was 3.25 points, and quality control proficiency was 2.80 points. As for the average learning goal difficulty of the‘ultrasound non pre-experience group’ was 3.74 points, cardiac medical image decoding ability was 3.63 points, and cardiac pathology understanding was 3.52 points. The period of time it to perform the scan independently was‘the quality control proficience',‘the deciphering ability of cardiac medical images', ‘the understanding of cardiac pathology' were the highest at 6 months or more. Through the derived results, RT’s one of the CS beginners is an empirically required learning goal in the fields of quality control, cardiology pathology, and the deciphering ability of cardiac medical imag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field of echocardiography education by presenting learning goals suitable for the pre-experience of ultrasound for CS beginners. 본 연구는 방사선사의 심장초음파 교육 수업목표를 수립하고 방사선사의 초음파 선행경험이 학습목표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의료기관에 근무 중인 방사선사이면서 심장초음파사인 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내용은 인구학적 특성 4문항, 초음파 선행경험(심장 외 초음파 스캔 경험, 국제심장초음파 자격증 (Registered Diagnostic Cardiac Sonographer, RDCS) 취득 여부, 심장초음파 전문방사선사 자격 취득 여부) 3문항, 최종학습목표 8개의 개념에 따른 하위학습목표 45문항 도출하여 심장초음파 학습목표 난이도 분석도구를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Likert 5점 척도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은 인구학적 특성 및 초음파 선행경험을 빈도분석 하였고,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목표 난이도와 초음파 선행경험에 따른 학습목표 난이도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Mann-Whitne y test 독립표본 T-test 비모수 검정을 실시하였다. 초음파 선행경험 집단과 초음파 미선행경험 집단에 대해 Kruskal-wallis 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판단하였다. 이때 사후검정으로는 최소유의차(least significant difference, LSD)를 이용하여 p-value가 0.05 이하이면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정의하였다. 그 결과, 심장초음파 학습목표 난이도는 정도관리 숙련도가 3.42±1.29점, 심장병리학 이해도가 3.35± 1.08점, 심장의료영상 해독력이 3.35±1.30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초음파 선행경험’집단의 평균 학습목표 난이도는 레포트(reoprt) 작성 숙련도가 3.20점, 심장병리학 이해도가 3.15점, 정도관리 숙련도가 2.80점 순으로 높은 학습목표 난이도를 나타냈다.‘초음파 선행미경험’ 집단의 평균 학습목표 난이도는 정도관리 숙련도가 3.74점, 심장의료영상 해독력이 3.63점, 심장병리학 이해도가 3.52점 순으로 높은 학습목표 난이도를 나타냈다. 독립적으로 검사를 수행하기까지 걸린 기간은 정도관리 숙련도, 심장의료영상 해독력, 심장병리학 이해도 총 세 가지 학습목표가 6개월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를 통해 방사선사 심장초음파 입문자들은 정도관리와 심장병리학, 심장의료영상 해독 분야에 교육 활성화와 집중 학습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심장초음파 입문자들의 초음파 선행경험에 맞는 학습목표를 제시하고 심장초음파 교육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 들잔디에서 β-1,3-glucanase 유전자들의 클로닝 및 특성분석

        강소미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Rhizoctonia leaf blight (large patch) becomes a serious problem in Korean lawngrass, which is extremely hard to treat and develops mostly form the roots of lawngrass to wither it away. Rhizoctonia leaf blight (large patch) is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2-2(Ⅳ). To develop Zoysia japonica with strong disease tolerance against this pathogenic bacterium, β-1,3-glucanase which is one of the PR-proteins known to play a critical role in plant defense reaction was cloned from Zoysia japonica. β-1,3-glucanase is known to be generated within cells when plant tissues have hypersensitive reaction due to virus or bacterium infection and secreted outside the cells to play mainly the function of resistanc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in the space between cells. This study utilized the commonly preserved part in the sequence of corn, wheat, barley, and rice which had been researched for their disease tolerance among the β-1,3-glucanase mono-cotyledonous plants. Based on the part, degenerate PCR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sequence and full-length cDNA was cloned. E.coli over-expression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o mass purify target protein and implement in vitro activation measurement and antibacterial test. Also, to interpret the functions of ZJGlu1 gene, each gene-incorporating plant transformation vectors were generated to make lawngrass transformant. Based on ZjGlu1 protein, antibacterial activity test was conducted upon 9 strains. As a result, R. cerealis, F. culmorum, R.solani AG-1(1B), and T. atroviride were found to have antibacterial activity. The gene-specific expression amount in each organ showed no huge difference in every organ based upon the transformant and against 18s gene expression amount. 잔디의 병은 곰팡이, 바이러스 등에 의해 주로 발생하고, 특히 골프장 잔디는 곰팡이에 의한 발생이 대부분이다(김 등. 2013). 한국형 잔디에서는 다른 병에 비해 진전 속도가 빠르고 주로 뿌리에서부터 발병하여 잔디를 고사시키고 발병 후에는 구제가 매우 어려운 라이족토니아잎마름병(라지패취)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라이족토니아잎마름병(라지패취)은 Rhizoctonia solani AG2-2(Ⅳ)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 병원균에 강한 내병성 들잔디를 개발하기 위해 식물방어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PR-Protein 중 하나인 β-1,3-glucanase를 들잔디로부터 cloning 하였다. β-1,3-히ucanase는 바이러스나 균의 감염으로 인해 식물조직이 과민반응을 일으킬 때 세포내에서 생성되고 세포 외로 분비되어 세포 사이 공간에서 주로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laude 2001). 들잔디에서 β-1,3-glucanase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단자엽식물 중 β-1,3-glucanase 유전자의 내병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는 옥수수, 밀, 보리, 벼의 염기서열에서 공통으로 보존되어 있는 부분을 이용하여 degenerate PCR을 수행한 다음, 확보된 sequence를 통해 Full-length의 cDNA를 cloning 하였다. 분리한 들잔디 유래의 β-1,3-glucanase 유전자들의 기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E. coli 에서 ZjGlu1을 발현·정제하여 in vitro 활성 측정 및 항균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또한, ZjGlu1, ZjGlu2 유전자의 들잔디 식물 내에서의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각각의 유전자를 도입한 식물형질전환용 벡터를 제작하여 Agrobacterium 법으로 들잔디에 형질전환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들잔디를 성공적으로 제작하였다. 정제 단백질을 이용한 항균활성 테스트를 위해 ZjGlu1과 ZjGlu2 단백질을 대장균 발현계에서 발현·정제를 시도하였으나, ZjGlu2 단백질은 가용성으로 발현이 되지 않아 ZjGlu1 단백질만 정제하여 항균활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ZjGlu1 단백질을 이용하여 9개의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 테스트를 진행 한 결과 R. cerealis, F. culmorum, R. solani AG-1(1B), T. atroviride 에서 항균활성을 보였다. ZjGlu1과 ZjGlu2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체를 이용하여 잔디의 기관별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 각 유전자는 모든기관에서 발현하였으며 기관별 발현량에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제한 ZjGlu1 protein을 처리한 균주의 증식 양상을 매 시간 관찰한 결과, 더 높은 농도의 ZjGlu1 protein을 처리하면 다른 균주에 대해서도 활성을 가질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 정제한 들잔디 유래의 재조합 β-1,3-glucanase 는 fungi 균주 4개에 대해서 활성을 보였으며, 이는 β-1,3-glucanase 유전자를 도입한 형질전환 들잔디가 이들 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현재 ZjGlu1과 ZjGlu2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체를 각각 10개체 이상씩 확보하고 있으며, 향 후 이 형질전환 들잔디들의 항균활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 인적자원개발(HRD) 활동이 매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환경변화의 조절효과 분석

        강소미 부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ces on corporate sales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cha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ces and sales performance. To test these hypotheses,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data o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RIVET) were used from 2011 to 2015 and 456 compan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various HRD practices, education & training expenses had an significant impact on the sales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 greater the investment in education & training expenses for the members, the higher the sales performance of the corporation. In other words, among the various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practices implemented by companies, it was found that the investment in education & training expens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cha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actices and sales, on the contrary to hypothesis, the smaller the technological change, the stronge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ces and sales performance. In this study, investment in education & training expenses, which is objectively spent amo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ces, is effective in increasing sales performa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ces on sales performance is stronger when environmental change is low.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인적자원개발(HRD) 활동이 기업의 매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들 관계에서 외적 요인인 환경변화가 어떠한 조절작용을 하는지 실증분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HCCP) 2011년 - 2015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결측치를 포함한 기업들은 제외하여 456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이들 자료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다양한 인적자원개발(HRD) 활동 중 교육훈련비 투자 항목이 매출성과에 유의한 정의(+)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구성원에 대한 교육훈련비 투자가 많을수록 기업의 매출성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업이 촉진하는 다양한 인적자원개발(HRD) 활동 중에서 교육훈련비 투자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둘째, 인적자원개발(HRD) 활동과 매출성과의 관계에서 환경변화가 어떠한 조절작용을 하는지 검증한 결과 환경변화 중 기술변화가 조절작용을 하며, 기술변화가 작을수록 인적자원개발 활동과 매출성과의 정의 관계가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적자원개발활동(HRD) 중 객관적으로 지출되는 교육훈련비 투자가 매출성과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며 또한 환경변화가 낮을 때 인적자원개발 활동이 매출성과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 상징적 선 이미지의 중첩을 통한 소통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강소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rt has been reflected beyond centuries and live trough the time. Art is a medium used by people world wide to express their ideas, their fears, and their joys. Human are born with instinct to superficial, artificial that manipulates aesthetics for empty abstract, decorative effects, and the experiences of life and translates them into a visual object for the entire world to observe. Which lost identity as stander of art even attention from discharged affair of Aura, inner self breath trough abstraction for sensual standardized spoken as modern art. The symbols of art used throughout the previously mentioned pieces of work are not quite as obvious, but still contribute to the emotional impact of the message conveyed. Identity creates the dilemma of complex, embodying both changeable and unchangeable traits and outside and internal influences. However, objectives life of humanism turned out as subjective which bonded with another world of expression and that chain answers for meaning of being and that will change innocence terms. Art impacts individuals in numerous ways, and so doing directly impacts reality. I think Art is at the center of society and shapes how we live, see, think, and interpret the world definition of art is hardly based on the beauty of the work, rather focuses on the communicative qualities of the work namely, infectiousness, clarity and sincerity as artists from one concepts were exploring a certain idea that led to another either just for the sake of the curiosity or by sheer boredom deals with the evolution of different isms in state of mind. Knowing core subjective of realization could face to situation that will sustain multiple realities that will also becomes independent being as multiple inner spirit. I try to communicate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internal or external surrounding through repetitive suggestions of "Closing - opening"of symbolic line image representing inner self. One it is able to relive the feeling or experience trough canvas, it shows sense and sensibility of artist life style. If only for a brief moment in time and finding erases the barriers and the limits, and allows understanding and appraisal. Matter of detail sense branded with feminine sensibility to revealed into art itself. Likewise, human's basic principle experience steps depends situation triggers, misunderstanding generates self being characteristic reorganization of before pure being , patterned overlay of symbolic express line images has been opened up for new communication channel of pass way to different view point for furthermore passage space expressed inner self within form. And that make over layers process outer shell from the depth of inner description. By external surrounding becomes realistically trough repeated action combining with making visible meaning to life of art. Self-perception of this study has been barrier of communication expressed of conflict symbolized line image trough artificial language of art depends on bond of situation cross over passing meaning within canvas reflection of my inner self. Therefore, from eye of galleries to facing possibility of intended meeting point for emotional aspects of the work which processed by bonding of communication channel to molding artificial worlds being researched of studying. 예술(藝術)은 시대를 막론하고 그 시대의 사회와 함께 호흡하며 존재해 왔다. 인간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예술은 현시점에서 다양화와 모호함으로 주도적 기준을 상실하며 다원화와 대중화라는 이름으로 그 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다. 그러한 시대의 흐름 속에서 신의 구원을 간구했던 과거의 관심은 예술의 아우라(Aura)가 소멸되면서 인간내면과 생명의 가치로 그 중심을 돌리고 있으며, 내면의 감정세계를 표현하는 서정적 추상경향의 미술은 인간 제반 문제들에 대한 다면적 접근의 추세를 대표하는 양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인간은 자신의 감정이나 느낌, 의지를 타인과 소통하고자 하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통찰의 모호함과 복잡한 현대사회 속에서 존재에 대한 갈등을 겪고 소통의 부재를 경험하면서 실존(實存)을 형성해 나간다. 세계 속에서 존재하는 자아는 외부세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실존을 형성하면서, 삶에 의해 내부에 퇴적된 수많은 흔적들과 수많은 심미적 사유과정이 소통에 있어 모순을 일으키는 이중성의 딜레마(Dilemma)와 유착관계임을 어느 순간 인지하게 된다. 인간이 삶 속에서 부여한 그 무엇, 또는 누군가에 대한 의미는 그에게 결코 객관적일 수 없는 주관적 의미로서 존재한다. 그가 속한 세계는 또 다른 외부와 친밀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세계와 그 사이의 연결고리를 통하여 존재의 의미를 풀어내므로 그 무엇, 그 누군가의 순수한 존재는 변질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인식의 주체인 그의 정신이 인식하는 것은 상황에 따른 유동적이고 다의(多義)적인 현실이며, 그의 정신 또한 상황에 따른 다양한 내면을 가진 독립적 존재인 것이다. 이와 같이 인간에 내재한 경험의 흔적과 개개인의 차별적 감성으로 인하여 소통의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인정하고, 존재 자체의 다중성을 인식하며, 왜곡되기 이전의 실존 자체-순수한 존재-의 바라봄을 위해서 본인은 자아를 대변하는 상징적 선 이미지의 ‘닫기-열기’의 반복 제시를 통해 내부 또는 외부세계와의 직․간접적 대화를 작품에서 시도한다. 예술작품에는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작가의 생리와 성격, 습관은 물론 종이나 캔버스에 손을 대는 순간 자신의 체질에 의한 정서와 감각이 투사되기 마련이다. 소통에의 갈등을 표현하는 상징적 선 이미지와 그 외의 조형언어가 상호작용의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작용을 거쳐 캔버스 안에서 표현되는 과정은 본인의 내면을 성찰하고 바라보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정서와 감각의 투사는 경험을 주관화하고 관념을 상징화 하는 이러한 과정에서 섬세한 감각과 여성적 감수성의 발현으로 작품에 담겨진다. 개인의 문제이며 나아가 보편적 문제이기도 한 소통에의 상호작용을 새로운 시각으로 전해보고자하는 시도 아래, 패턴화 된 상징적 선 이미지는 자아내부의 공간으로 표현된 유기적 형태 내에서 중첩의 과정을 거쳐 평면에서 내면의 깊이를 창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반복의 행위를 통해 자아가 만나는 외부세계에 대한 인식을 조형화 하고, 그러한 관념을 가시화 한 본인의 작품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또한 ‘왜곡 없는 소통’의 의도와 작품에 의해 관람자에게 획득되어지는 감성의 맞물림, 그 동일화의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서 작품을 구성함에 있어 새로운 작업 방향과 시각을 탐색하는데 분석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리뷰가 소비자의 무료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의향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의 문화적 차이를 중심으로

        강소미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료 앱에 대한 이전 사용자들이 평점 및 평가가 소비자의 해당 앱 다운로드 의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력이 해당 앱에 대한 친구의 추천 유무 및 소비자의 국적(한국 vs. 중국)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Hofstede(1991)의 문화적 차원이론 및 집단동조성 이론을 토대로 무료 앱을 다운로드 의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리뷰의 두 유형인 평점 및 평가가 소비자가 앱의 다운로드 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것으로 예상이 되고, 한국인과 중국인에 따라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한국 소비자의 경우 무료 앱에 대한 평가를 확인할 때 평가 내용들 중 어떤 내용을 더 많이 고려할지는 친구 추천 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예상을 입증하기 위해 실험연구를 진행한 결과 중국 소비자의 경우 해당 앱에 대한 관여도만이 다운로드 의향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인의 경우 예상대로 평가가 평점에 비해 해당 앱의 다운로드 의향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친구의 추천이 있을 때 긍정적 평가를 통해서만 나타났다. 부정적 평가는 해당 앱 다운로드 의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친구의 추천이 없을 때는 중국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관여도만이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료 앱의 사용률이 높아짐으로써 간접적으로 기업의 매출 증가와 무료 앱을 관련 제품의 광고 플랫폼으로 사용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하는 것에 대해 시사한다. 즉, 중국인을 타켓으로 하는 무료 앱의 경우 해당 앱에 대한 관심을 높여 다운로드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고, 한국인의 경우 해당 앱에 대한 친구의 추천과 긍정적 평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한계점을 보완해서 더 정밀한 가설검증 및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필요하다.

      • 점성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소미 선문대학교 상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점성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성동구에 소재한 OO센터에 다니는 초등학생 4학년 남아 3명으로, 2016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사전-사후 검사를 포함한 총 14회기의 점성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의 처치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로 CBCL검사, 뇌기능검사, K-HTP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BCL 검사의 점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문제 행동이 감소하였다. 둘째, 학교부적응 아동의 뇌기능 지수의 하위영역인 자기조절지수가 증가하였다. 셋째, 학교부적응 아동의 K-HTP를 분석한 결과 아동의 문제행동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점성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문제행동과 문제행동의 하위영역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 2009 개정 수학교과서 구성 및 정의의 변화연구 : 미적분Ⅰ다항함수의 미분법단원을 중심으로

        강소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수학교과서의 미분법Ⅰ‘다항함수의 미분법’단원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학교 수학교과서의 구성 및 정의를 연구하였다. 변화하는 교육과정에 맞춰 수학교과서의 구성 및 내용도 변화하고 있다. 2009 개정 수학교과서는 조금씩 달랐던 교과서간의 목차의 순서가 통일되었으며, 기존의 2007 개정 수학교과서에서 보다 창의력·협동학습이 강화되었다. 고등학교 수학에서의 정의는 고정된 것이 아니며 학습자의 이해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변화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에서의 학교수학에서의 변화된 정의의 일부를 연구하였다. 기존정의의 문제점 지적 및 수업지도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교과서의 과정의 순서변화를 통하여 증명 방법 역시 변화함에 따른 연구와 수업지도방법을 제시한다. This thesis studies the frameworks and definitions in mathematics textbooks revised in 2009, mainly focusing on 'Differentiation of Polynomial Functions' Unit of DifferentiationⅠ. The order in the table of contents is unified on 2009 revised math textbooks. Also, creativity and cooperative learning are more strengthened on 2009 revised math textbooks compared to 2007 ones. Definitions used in high school mathematics have not been fixed to promote students understanding. However in 2009 revision efforts were made to present more standard definitions. In this thesis, some part of changed definitions of math textbooks are studied. It points out the problems in the existing definitions and suggests new teaching methods. As the order of presentation of mathematical concepts in textbooks are changed, different methods of proofs are needed, and accordingly new teaching methods are proposed.

      • 놀이치료의 모-치료자 관계가 놀이치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소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에서 모와 치료자의 관계가 놀이치료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치료관계 특성으로는 치료관계의 전반적 경향과 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료관계의 차이를 살펴보았고, 놀이치료 만족도 특성으로는 놀이치료 만족도의 전반적 경향과 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놀이치료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모-치료자 관계가 놀이치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놀이치료의 조기 종결을 방지하고, 보다 높은 치료 효과를 이끌어 내는데 필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현재 서울, 경기지역에서 놀이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의 어머니 중에서 놀이치료의 전후에 이루어지는 부모상담에 참여하는 어머니 164명이었다. 모-치료자 관계 척도와 놀이치료 만족도 척도는 선행연구자가 외국의 척도를 번안하여 타당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요인분석, Cronbach's α계수, t-test, 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모-치료자 관계에서는 모의 학력이 대졸이상인 경우 내담자로서의 협력관계와 긍정적 감정관계가 높았고, 전업주부인 모는 치료자와의 내담자로서의 협력관계를 보다 높게 형성하고, 취업모는 치료자와의 부정적 감정관계를 높게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기적으로 부모상담을 받는 경우에 조력자로서의 협력관계와 내담자로서의 협력관계, 긍정적 감정관계가 더 높았고, 비정기적으로 부모상담을 받는 경우에 부정적 감정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놀이치료에서 모와 치료자가 치료관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내담아동 모의 일반적 특성은 모의 학력, 취업여부, 정기적 부모상담 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모의 일반적인 특성이 놀이치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면, 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부모로서의 유능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기적으로 부모상담을 받는 모의 경우에 부모로서의 유능감과 부모의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 일반적 특성은 주호소문제의 감소와 부모로서의 좌절 및 불안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모-치료자 관계에서 조력자로서의 협력관계와 긍정적 감정관계가 잘 형성될수록 놀이치료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모와 치료자가 긍정적인 감정관계를 맺을 때, 주호소 문제가 더 많이 감소되고, 모와 치료자 사이에 조력자로서의 협력관계가 잘 형성될수록 부모로서의 유능감과 부모의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놀이치료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모와 치료자의 치료적 관계는 모가 자녀의 놀이치료에 대한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치료자와의 감정관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경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that the therapeutic relationships between mother and therapist in child playtherapy have on the playtherapy satisfaction by proving the related factors. The characteristics of therapeutic relationships were analys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 and therapist as the overall tendency of the therapeutic relationships and mot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playtherapy satisfaction was searched by the overall tendency of the playtherapy satisfaction and mot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ideas to prevent early termination of the playtherapy and can be used as data to draw better therapeutic effects. The study involved 164 mothers whose children were taking playtherapy and who participated in the parent counseling that held before and after the playtherapy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cale of parent-therapist relationships and the scale of playtherapy satisfaction were used as the instrum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Cronbach's ɑ.,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outcome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t showed that in mother-therapist relationships of the mot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university graduate mothers had stronger cooperative relationship as a client and more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 and the employed mothers had more negative emotional relationship, but the unemployed mothers had stronger cooperative relationship as a client. The mothers who got parent counseling regularly had stronger cooperative relationship as a helper and as a client and more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 but the mothers who got parent counseling irregularly had more negative emotional relationship. Therefore, the factors that effect to form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 and therapist in child playtherapy ar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 state of employment and the parent counseling.. Second, it revealed that the mothers who had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felt more capable as a parent and who got parent counseling regularly felt more capable as a parent and had more considerate of themselves and others in the effects of mot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playtherapy satisfaction. Thus, the mot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dn't have any effect on the decrease of major complaint and the frustration and anxiety as a parent. Third, it indicated that the stronger cooperative relationship as a helper and the more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therapist made the higher playtherapy satisfaction. Fourth, it showed that the more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therapist made the lower major complaint, the stronger cooperative relationship as a helper between mother and therapist had more capability as a parent and the stronger cooperative relationship as a helper got the higher consideration by oneself and others as a parent. Fifth, it revealed that the most effective therapeutic relationships between mother and therapist was when the mother played the role as a helper in the playtherapy and developed the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 well with playtherapist.

      • Inhibition of Progerin-Lamin A Binding Rejuvenates Premature Senescence Phenotypes of Hutchinson-Gilford Progeria Syndrome and Werner Syndrome

        강소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15

        소아조로증인 허친슨-길포드 프로제리아 신드롬 (Hutchinson-Gilford progerin syndrome, HGPS)은 LMNA 유전자 이상으로 생성된 프로제린에 의해 발생하는 희귀 유전 질환이다. 소아조로증 환자는 세포 수준에서 비정상적인 핵막 구조가 관찰되며, 병리학적으로 심각한 발육 지연, 급속한 노화 진행, 심장질환으로 인해 평균적으로 15세 이내의 나이에 사망한다. 소아조로증의 선행연구에서 프로제린은 라민 A와 강하게 결합하여, 주름지거나 찌그러진 형태의 비정상적인 핵막 구조를 형성하고, 조기노화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제린과 라민 A 사이의 결합을 막는 JH4 약물이 개발되었으며, 이 약물은 핵막 구조를 개선하고, 소아조로증 마우스 모델에서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검증하였다. 하지만 마우스에 JH4 약물 경구투여 시, 생체내에서 약물 분해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JH4 약물의 구조 변형을 통해 문제점이 개선된 SLC-D011을 개발하고, 소아조로증 환자 세포와 마우스 모델에서 항노화 효과를 관찰하였다. SLC-D011은 프로제린과 라민 A 사이의 결합을 막아, 비정상적인 핵막 구조를 정상화하고, 노화 현상을 억제시키며, in vivo에서 약물을 처리한 소아조로증 모델 마우스는 조직학적, 생리학적 향상 및 수명 증가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SLC-D011 약물은 기존 JH4 약물 보다 소아조로증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성인조로증인 베르너 신드롬 (Werner syndrome, WS)은 WRN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희귀 유전질환으로, 사춘기 이후부터 빨리 늙기 시작하여, 노인성 질환을 보이고, 결과적으로 이른 나이에 사망한다. 또한 성인조로증은 LMNA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소아조로증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공유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조로증이 소아조로증과 공통된 메커니즘을 통해 조기 노화를 유도하는지 확인하였다. 먼저, microarray 분석 결과를 통해, 정상인 세포 대비 성인조로증 및 소아조로증 환자 세포의 유전자 발현 변화가 매우 유사함을 관찰하였다. 또한 소아조로증에 비해 매우 적은 양이지만, 성인조로증 환자 세포에서도 소량의 프로제린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흥미롭게도 마우스 모델에서는 인간과 달리 Wrn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아도 조로증 현상을 보이지 않으며, 또한 프로제린을 발현하는 노화 마우스 모델에서 Wrn의 발현유무에 따른 노화 현상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간 WRN 유전자 서열과 마우스 Wrn 유전자 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인간 WRN의 경우 마우스와 달리 9번째 coding exon 서열이 중복되어 있으며, 인간 WRN의 중복서열은 프로제린과 강하게 결합하여 프로제린과 라민 A 사이의 비정상적인 결합을 방해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제로 소아조로증 환자 세포에 인간 WRN 단백질을 과발현 시켰을 때, 프로제린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노화현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인조로증 환자 세포에서 프로제린을 억제하였을 때 노화 현상이 개선되며 이러한 현상은 SLC-D011 약물 처리시 동일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통해 인간의 WRN 단백질은 노화과정에 있어 프로제린의 자연적 억제 역할을 나타내며, SLC-D011 약물은 소아조로증과 성인조로증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Hutchinson-Gilford progeria syndrome (HGPS) is a rare, autosomal-dominant, fatal, progressive, premature aging genetic disorder, which is caused by an aberrant spliced product of human LMNA gene. The truncated version of the lamin A protein, progerin, strongly binds to wild type lamin A and then the toxic heterodimer induces nuclear deformation. The initial candidate inhibitor for progerin-lamin A, JH4, restores the deformed structure of nuclear envelope and ameliorates aging phenotypes in HGPS mouse model. However, in vivo pharmacokinetic analysis has proven to be very low in the stability of this candidate inhibitor (JH4). In this study, it was intensively optimized for the stability through chemical modification and finally a target molecule, SLC-D011, was selected. Compared to JH4, SLC-D011 improved the reformation of nuclear envelope and the rejuvenation of senescence features in HGPS cells. Moreover, administration of SLC-D011 into the LmnaG609G progeroid model mouse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 of histological and physiological phenotypes with extended lifespan. Werner syndrome (WS) is a heritable autosomal recessive human disorder caused by a genetic mutation in the human WRN gen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premature onset of several age-associated patholog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mutations in LMNA gene are the other reasons of Werner syndrome. In this stud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human WS cells showed very similar aspects to that of human HGPS cells, suggesting that two distinct age-related syndromes may share a common pathological mechanism. It was confirmed that fibroblasts obtained from WS patients and normal old-aged persons expressed progerin more than normal young-aged ones. Interestingly, a Wrn-deficient mouse model does not show premature aging features or a short life span, implying that aging processes may be different between human and mouse. It was revealed that the human WRN protein had duplicated sequences from 9th coding exon to 10th coding exon, but the duplicated sequences were absent from mouse Wrn protein. The duplicated sequences from only human WRN contributed its strong binding to progerin and inhibited the interaction between lamin A and progerin. Overexpression of human WRN reduced progerin expression and restored senescence phenotypes in HGPS cells. Moreover, the elimination of progerin by siRNA or SLC-D011 ameliorated senescence phenotypes in WS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uman WRN protein is an intrinsic inhibitor of progerin accumulating in natural aging and that SLC-D011 can replace it under WRN-deficient conditions. Here, it is demonstrated that SLC-D011 can be an effective anti-aging treatment for HGPS and WS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