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방 안전성이 보장되는 로그 시스템 보안기법 비교분석

        강석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보안로그의 활용범위가 다양해짐에 따라 저장된 로그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저장된 로그 데이터는 시스템에 침입한 공격자들이 자신의 흔적을 없애기 위해 우선적으로 조작되는 대상이다. 키 정보가 노출이 된 이후의 로그 데이터의 안전성은 보장하지 못하지만, 그 이전에 축적된 로그 데이터 무결성의 전방 안전성을 보장하는 다양한 이론적 기법들이 소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기법들의 특성을 분석하며, 계산 효율적인 측면에서의 비교분석을 통해 적용될 운영환경에 적합한 기법들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 DTV에서의 포맷변환을 위한 효율적인 디인터레이싱 알고리즘 개발 및 구현

        강석규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보상을 이용하지 않는 No-MC ( Motion Compensation ) 방법으로 시간축 필터 와 EBMF ( Edge Based Median Filter ) 기반의 motion adaptive 디인터레이싱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No-MC (Motion Compensation) 방법에서 중요한 요소인 motion missing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4개의 reference 필드로부터 입력되는 화소 값을 이용하여 3개의 후보 화소차 중에서 최대 화소차를 움직임 값으로 정하여 움직임 영역을 판별 하였고, 정지영역에 사용될 시간축 필터의 보간을 위해 현재 보간 될 화소와 같은 위치에 있는 앞,뒤 필드의 평균을 구하였으며, moving diagonal edge와 움직임 영역에서의 효과적인 보간을 위하여 에지에 따라 가변적인 후보 화소를 선택하는 EBMF( Edge Based Median Filter )를 사용 하여 성능을 향상시켰다. ASIC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 설계를 위하여 VHDL로 프로그래밍 하였으며 모의 실험 환경은 Synopsys Vss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function 모의 실험과 Cadence사에서 제공하는 Verilog –XL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timing 모의 실험을 수행 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여러 영상에 대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모의 실험결과 기존의 보간 방법에 비해 성능이 우수함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tion-adaptive de-interlacing algorithm based on temporal filter and EBMF(Edge Based Median Filter). To compensate the motion-missing error, which is very important in the ways of No-MC methods, we distinguish the motion region by the motion degree using the maximum pixel difference of 3 candidate pixel differences of 4 reference field. For temporal interpolation in stationary region, we average the front and back field pixel which are same position with the interpolated pixel at present field.To efficiently interpolate the moving diagonal edge and moving region, we also used EBMF which selects a candidate pixel according to the edge information. For ASIC implementation, we designed using VHDL, and used Synopsys Vss simulator for function simulation and Verilog –XL simulator for timing simulation. Simulation results of various image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s provide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methods.

      • 휴식공간에 대한 공동주택 거주자의 만족도 분석

        강석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휴식공간을 근린공원 및 하천공원으로 구분하여 휴식공간에 대한 주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11월 18일부터 11월 21일 까지 조사대상 아파트단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총 240 가구 중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173개이다. 조사대상지는 양재천과 근린공원에서 500m 거리 내에 위치한 4개 공동주택단지이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휴식공간의 전체 만족도, 항목별 만족도, 이용실태, 거주민 개인특성의 네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전체 만족도 조사항목은 근린공원과 하천공원을 포함한 휴식공간 전체에 대한 만족도 이다. 근린공원과 하천공원 각각에 대하여 1:1 대응이 되도록 구성한 항목별 만족도 조사항목은 총만족, 거리, 횡단보도 및 육교의 개수, 공간규모, 산책로 길이, 산책로 폭, 휴게시설, 편의시설, 안내시설, 조명상태, 바닥포장의 총 11개이다.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린공원은 산책의 목적으로, 하천공원은 주로 운동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식공간의 평가요소별 만족도에 대한 분석결과 조사대상자의 하천공원에 대한 만족도가 근린공원에 대한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요소별 만족도간의 상관관계는 대체로 약하나, 근린공원에 대한 만족과 규모에 대한 만족이 높았고, 하천공원에 대한 만족과 접근을 방해하는 요소에 대한 만족이 높았다. 유의수준 5% 범위 내에서 볼 때, 가족수가 4명인 집단이 가족수가 3명인 집단보다 하천공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린공원의 경우 근린규모요인, 근린접근요인, 근린이용요인, 근린편의 요인이 근린공원에 대한 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천공원의 경우 하천환경요인, 하천규모요인, 하천시설요인이 하천공원에 대한 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근린공원과 하천공원을 포함하는 휴식공간에 대한 전체 만족도는 근린공원에 대한 만족이 47.1%, 하천공원에 대한 만족이 52.9%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휴식공간을 계획할 때 하천공원에 대한 고려 또는 근린공원 내에 수공간 요소를 도입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휴식공간에 대한 전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하천공원까지의 거리 및 접근방해요소, 안내시설 등의 하천환경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휴식공간 전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근린공원이나 하천공원 모두 거리, 접근방해 요소, 규모, 산책로 길이 등 휴식공간까지의 접근성과 규모에 대한 측면은 휴식공간에 대한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어 휴식공간 계획시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d the apartment residents'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the recreational spaces such as community parks and waterfront.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sidents who reside at the four large residential complexes within 500m from Yangjae stream and several community parks. The survey includes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with recreational space in one's community,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s by recreational space types, the frequency of visit to recreational spaces, and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The analysis shows that (1) It was discovered that while community parks were used for walks, waterfront were used mainly for the purpose of exercise. In the section exami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category, resi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waterfront than with community parks. Although were was not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each category,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regarding community parks and size of the park were high, while the satisfaction regarding waterfront and obstacles disturbing access were also high. Within a 5% significant level, families of 4 were more satisfied with waterfront than families of 3. (2) It was analyzed that in the case of community parks, the size, accessability, usage and convenience features affected the overall satisfaction. The environmental features, size, and facilities affecte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waterfront. Also, the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regarding recreational spaces including community parks and waterfront show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regarding community parks was 47.1%, and waterfront 52.9%. Therefore, when planning recreational spaces, waterfront should be considered, or an aquatic area should be implemented into community parks. (3) An analysis of the features which affect overall satisfaction regarding recreational spaces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features such as distance and obstacles to the accessability of waterfront, and information facilities had the largest affect on resident satisfaction, showing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overall satisfaction regarding recreational spaces, these features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In both the community parks and waterfront, it was analyzed that accessability and size factors such as distance, obstacles to accessability, size and promenade had a large effect of the overall satisfaction, showing that these features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planning recreational spaces.

      • 부모의 역할수행과 유아의 인성발달의 관계

        강석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역할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유치원 교육 및 운영에 도움을 주고 유치원 학부모 교육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유아의 인성발달과 어머니의 역할은 관계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인성발달과 아버지의 역할은 관계가 있는가? 셋째, 유아의 인성발달과 아버지의 역할 및 어머니의 역할과의 다중적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 5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5~7세 원아 301명(남 161명 여 140명)과 그들의 부모 301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한국아동인성검사(1997)지와 어머니의 역할에 관한 설문지, 아버지의 역할에 관한 설문지이다. 유아의 가정통신문과 함께 집으로 보내어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win 11.0에 의한 상관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연구 문제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인성발달과 어머니의 역할은 관계가 있다. 특히 어머니의 능력계발 역할 등 많은 부분에서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낸 반면 어머니의 일반적인 역할은 유아의 인성과는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유아의 인성발달과 아버지의 역할은 관계가 있다. 아버지의 역할은 어머니의 역할보다 대부분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아버지의 역할 중 사회전통 및 가치관 전달 역할, 훈육역할이 유아의 정신증과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낸다. 그것은 유아의 눈에는 강요나 금지의 형태로 비추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된다. 셋째, 유아의 인성발달과 아버지의 역할 및 어머니 역활과의 다중적 관계는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어머니와 아버지의 역할은 유아의 인성발달에 영향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유아기때 어머니가 유아의 능력을 개발시켜 자신감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여지는 반면 아버지의 건강관리 역할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아버지의 건강관리 역할은 오히려 잔소리나 꾸지람으로 비춰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방향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한다면 부모의 역할과 유아의 인성발달과의 상관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 모형을 연구, 개발하여 보급하고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이다. The influences of parents' role on young children's level of personality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get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and the role of mothers? 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and the role of fathers? 3. What is the multipl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and the role of fathers and mother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301 children(161 boys and 140 girls) aged five to seven and their parents from 5 kindergartens in Metro Taejon area. The research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a personality development inventory for Korean children and a set of questionnaire inquiring farther's and mother's role.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method and t-test using the SPSS PC 11.0 program for Window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general,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and the role of mothers. (2) In general,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and the role of fathers. However, the degree of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heir mothers. (3) There was a difference in terms of multipl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and the role of fathers and mothers. That i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ole of mothers and that of father's influenced differently on young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respect to further studies.

      • 체육시설의 복합화 유형에 관한 건축계획 연구

        강석규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due to the increase in people's income due to economic growth and the five-day work week, the need for leisure time and the need to meet the needs of a healthy life is increasing, and the interest in leisure activities is increasing. As a result, more time is spent on leisure activities such as leisure, sports, shopping, relaxation, entertainment, and health, and the role of related industries is also increasing. In particular, people's interest in and demand for physical activities continues to increase significantly. As health anxiety increases, the demand for sports facilities is expanding a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increases to maintain and promote health. Furthermore, the ultimate goal of improv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is changing into a complex sports facility through the integration of sports and cultural life. In the past, sports facilities functioned as the most fundamental function, exercise, but today, sports facilities are gradually expanding their concept and space as new functions such as various cultures, education, and sales are strengthened for people. Therefore, in line with the changing paradigm of the times, the spatial composition and role of complex meat facilities should be examined. Currently, many attempts are underway to change new functions and spaces through the complex of sports facilities.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sports facilities that will change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spac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sports facilities and cultural living facilities.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types of complexes of sports facilities and to propose an integrated spatial planning direction for complex functions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area of sports facilitie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20 cases of facilities that have been opened since the 2000s and whose scale is from 2 basement floors to 6 floors above ground, and analyzes the types according to the building type, the type according to the entrance and circulation type, the type according to the space zoning, and the typ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ports fac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tended to suggest a direction in the architectural plan regarding the type of complex construction of sports facilities in the future, and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follows. First,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data, we will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through the concept and types of sports facilities and the classification of sports facilities. Second, after examining the complexization of facilities, plan a specialized type of sports faciliti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and necessity of the complex space accordingly. Third, we will investigate the cases of complex meat facilities in Korea that have opened since the 2000s, analyze the spatial composition through relevant literature and drawings, and deri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ynthesis of the analysis. Analyze the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sports facilities, which are the main uses, and cultural living facilities, which are secondary uses, which are shown as the biggest characteristics. Fourth, based on the above research, the type analysis of the complex facility is planned through a total of four types of analysis: type according to building type, type according to entrance and circulation type, type according to space zoning, and typ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sports facilities. Fifth, the conclusion summarizes the research results and proposes the direction and construction plan of the complex sports facility required in the future planning of sports facilities. Starting from the increase in leisure life, we examined the concept of sports facilities and the specialized types of sports facilities through the complex of different facilities, and presented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mplex sports facilities in the future through prior research review and case analys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and planning direction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sports facilities in the futur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f the building type is a common type, the entrance also appears as a common type, and if the entrance is mixed type, as in some cases, it reflects the special site characteristic of the slope. When the building type is separate, the entrance is also shown to be separated, and when the building type is connected, the entrance is a mixed typ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ntrance and circulation form follow the building type. Second, when the location of the sports facility is horizontal-juxtaposed, spatial zoning also appeared horizontally, but when the building form was joint, space zoning appeared as horizontal-connected type, and when the building form was separate, it appeared as horizontal-separate. In the case of the vertical-lower or upper type of the sports facility, the spatial zoning appeared to be vertical-connected type,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related to the common building type. In the case of vertical-mixed type, spatial zoning appeared to be mixed-complex type, and was associated with the connecting type of building type.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ports facilities and complexization and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20 cases,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facilities with complex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building type, the types according to the entrance and circulation type, the types according to spatial zoning, and the typ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sports facilities.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patial planning of complex sports facilities that can meet social flows and needs for the type of complex sports facilities in the future. 오늘날 경제 성장에 따른 국민의 소득 증가와 주 5일 근무제로 인해 여가시간의 증가와 건강한 삶에 대한 필요 충족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레저, 스포츠, 쇼핑, 휴식, 오락, 건강 등 여가활동을 위해 소비하는 시간이 많아지고 있으며, 관련 산업의 역할 역시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나 체육활동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수요는 계속해서 크게 증가하고 있다. 건강에 대한 불안감이 증가할수록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 체육활동참여가 증가하면서 체육시설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나아가 건강과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는 궁극적인 목적은 스포츠와 문화생활의 접목을 통한 복합체육시설로서 변화하고 있다. 과거의 체육시설은 가장 근복적인 기능인 운동의 기능에서 오늘날 체육시설은 사람들을 위해 다양한 문화·교육·판매 등 새로운 기능이 강화되면서 그 개념과 공간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 패러다임에 맞춰 복합체육시설의 공간 구성과 역할이 검토되어야 한다. 현재 체육시설의 복합화를 통한 새로운 기능과 공간 변화에 대한 많은 시도가 진행 중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체육시설과 문화생활시설의 공간과 역할, 특징을 알아보면서 앞으로 변화될 복합체육시설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체육시설의 복합화 유형에 대한 특징과 공간 구성을 분석하여 체육시설의 영역이 확장된 복합화에 따른 복합기능의 통합적 공간 계획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개관한 시설이면서, 규모는 지하 2층에서 지상 6층 이하의 시설인 20개의 사례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건물형태에 따른 유형, 입구와 동선형태에 따른 유형, 공간조닝에 따른 유형, 체육시설 위치에 따른 유형을 분석하고 복합체육시설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있을 체육시설의 복합화 유형에 관한 건축계획에 있어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선행 연구 및 문헌 자료를 통해 체육시설의 개념 및 종류 그리고 체육시설의 분류를 통해 향후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예측해본다. 둘째, 시설의 복합화를 살펴본 뒤 이에 따른 복합공간의 특성 및 필요성을 통해 체육시설 특화형을 계획한다. 셋째, 2000년대 이후 개관한 국내의 복합체육시설 사례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관련 문헌자료와 도면을 통해 공간 구성을 분석하고, 분석의 종합에 따른 특징을 도출해 낸다. 가장 큰 특징으로 보여지고 있는 주 용도인 체육시설과 부 용도인 문화생활시설과 어떤 관계를 나타내고 있는지 유형을 분석한다. 넷째, 위에서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복합화시설의 유형 분석을 건물형태에 따른 유형, 입구와 동선형태에 따른 유형, 공간조닝에 따른 유형, 체육시설 위치에 따른 유형 총4가지의 분석을 통해 복합체육시설을 계획한다. 다섯째,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향후 체육시설의 계획에 있어 앞으로 요구되는 복합체육시설의 방향성과 건축계획을 제안한다. 여가생활의 증대로부터 출발하여 체육시설의 개념과 서로 다른 시설의 복합화를 통한 체육시설 특화형을 살펴본 후 앞으로의 체육시설의 공간구성의 특징과 계획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선행 연구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향후 복합체육시설의 방향 및 특징을 제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형태가 공동형인 경우 입구도 공동형으로 나타났으며, 사례 일부와 같이 입구 혼합형으로 나온 경우는 경사지라는 특수한 대지 특성이 반영된 사항이다. 건물유형이 분리형인 경우는 입구도 분리형을 ㅗ나타났으며, 건물형태가 연결형인 경우는 입구는 혼합형으로 입구와 동선형태가 건물유형에 따라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체육시설의 위치가 수평적-병치인 경우 공간조닝도 수평적으로 나타났는데 건물형태가 공동형인 경우는 공간조닝은 수평적-연결형으로 나타났으며, 건물형태가 분리형인 경우는 수평적-분리형으로 나타났다. 체육시설의 위치가 수직적-하부형 또는 상부형의 경우에는 공간조닝이 수직적-연결형으로 나타났으며, 공동형 건물형태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수직적-혼합형의 경우에는 공간조닝이 혼합식-복합형으로 나타났으며, 건물형태의 연결형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체육시설과 복합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20개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복합화 특성을 가진 체육시설의 건물형태에 따른 유형과 입구와 동선형태에 따른 유형, 공간조닝에 따른 유형, 체육시설의 위치에 따른 유형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 향후 체육시설의 복합화 유형에 대해 사회적 흐름 및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복합체육시설의 공간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