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푸드표현예술치료를 통한 중년여성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강민주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중년여성들은 경제성장과 생활 수준 향상으로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 삶 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방법을 찾고 있어 연구주제를 모색하게 되었 다.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푸드표현예술치료를 통한 중년여성 의 회복탄력성 경험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도출해 중년기를 긍정적으로 보내 고 노년을 준비할 수 있게 돕는데 의의를 둔다. 본 연구의 문제는 첫째, 푸드표현예술치료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회복탄력성 은 어떠한가? 둘째, 푸드표현예술치료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긍정성은 무엇인 가? 셋째, 푸드표현예술치료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자기조절능력은 어떠한가? 넷째, 푸드표현예술치료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대인관계능력은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은 참여자 개개인의 주관적 경험을 심도 있게 탐구 할 수 있어, 중년여성의 주관적 경험을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 분석하고 중년 여성들의 회복탄력성 본질과 의미를 밝히는데 가장 적합하여 연구를 채택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19년 9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였으며 참여자는 도서관 봉사 활동 경험이 있는 중년여성 중 9명을 선정하였다. 푸드표현예술치료 활동은 10 회기로 진행하여 31개의 의미 단어와 6개의 하위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첫째, 푸드표현예술치료 활동에 참여한 중년여성들은 스트레스를 대하는 반응이 유연하고, 상황을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 등으로 회복탄력성을 드러 냈다.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매체 활용은 자신을 표현하고 수용할 수 있어 스 트레스 상황을 삶의 과정으로 받아들여 스트레스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 고 해결 할 수 있었다. 중년여성들이 회복탄력성을 드러내는 데 있어 연령에 따른 차이는 표출되지 않았으며, 자기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태도에 따른 자 세에서 나타났다. 둘째, 푸드표현예술치료 활동에 참여한 중년여성들은 자신에 대한 만족감으 로 긍정성이 촉진되어 주변에 대한 감사와 자신의 삶을 수용하고 인정하는 모 습으로 긍정성을 드러냈다. 푸드표현예술치료 활동이 긍정적 정서 함양과 표출을 촉진시켰다. 중년여성들의 부모 역할 감소 및 신체적 감퇴에 따른 긍정 적 정서가 감소 상황에서 매체가 주는 생동감이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 경험으로 긍정성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중년여성이 긍정성을 드러내는 데 있어 연령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성을 드러내는 모습은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채워지 지 못해 스스로에 대한 믿음과 수용하는 태도에서 나타났다. 셋째, 푸드표현예술치료 활동에 참여한 중년여성들의 자기조절능력은 신체 적인 상황에 따라 조절의 어려움을 보였다. 푸드표현예술치료 활동 경험 과정 에서 자신을 만나 자기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경험은 현재 자신의 상황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여 자기 감정조절의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편안한 공간과 긍정 적 공감에도 자기조절능력 중 감정조절의 어려움은 중년여성 대부분이 경험하 는 갱년기 증상으로 인한 신체적인 변화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푸드표현예술치료 활동에 참여한 중년여성들의 대인관계능력이 확장되 거나 표출이 촉진되었다. 푸드표현예술치료 활동은 소통과 공감을 경험할 수 있 어 자신의 모습을 인정할 수 있어 삶에 대한 태도뿐만이 아닌 관계에 대한 태도 도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중년여성이 대인관계능력을 드러내는 데 있어 연령 에 따른 관계는 없었다. 대인관계능력을 드러내는 모습은 관계에서 인정과 관심 받고 싶은 욕구가 충족되지 못한 상황을 바라보는 태도와 가치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푸드표현예술치료 활동을 통해 회복탄력성이 중년여성의 일상적 인 스트레스 상황이나 역경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들이 사용하고 있었던 방법 들을 음식(Food) 재료를 관찰하고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을 통해 부정적 사건 의 경험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회복탄력성의 긍정성, 자기조 절능력, 대인관계능력 촉진을 이끌었다. 또한, 자기실현으로 가는 과정에 회 복탄력성이 선한 영향력을 주어 긍정적인 중년의 삶이 노년을 준비하는데 도 움이 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강민주 고려대학교 생명공학원[실은 대학원] 2009 국내박사
HuR increases the RNA stability or translation of several oncogenes and is upregulated in some human tumor types. We explored the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increased HuR expression in tumors and its role in gastric cancer progression. HuR expression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in normal and tumor tissues were determined by semi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immunoblot,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Its effect on tumor growth was characterized using flow cytometry,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eoxyuridine triphosphate nick-end labeling, and soft agar analyses. Luciferase reporter,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and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s were used to measure transcriptional activation by nuclear factor_(-k)B (NF_(-k)B) signaling. Compared with normal gastric tissues, HuR was expressed at higher levels in gastric tumors, particularly in advanced versus early tumors; this increas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cytoplasmic translocation of HuR. HuR overexpression increased proliferation of tumor cells, activating the G1 to S transition of the cell cycle, DNA synthesis, and anchorage-independent growth. Small interfering RNA-mediated knockdown of HuR expression reduced tumor cell proliferation and response to apoptotic stimuli. No genetic or epigenetic alterations of HuR were observed in gastric tumor cell lines or primary tumors; overexpression depended on phosphatidylinositol 3-kinase/AKT signaling and NF_(-k)B activity. AKT activation increased p65/RelA binding to a putative NF_(-k)B binding site in the HuR promoter, the stability of HuR target transcripts, and the cytoplasmic import of HuR. HuR is a direct transcription target of NF_(-k)B; its activation in gastric cancer cell lines depends on phosphatidylinositol 3-kinase/AKT signaling. HuR activation by this pathway has proliferative and antiapoptotic effects on gastric cancer cell lines. 종양의 발생과 악성화는 세포와 주변 조직이 다양한 stresses (nutrient starvation, infection, inflammation, hypoxia, several chemical damages, tissue invasion)의 지속적인 자극에 기인 한다. 정상조직에게 과도한 stresses가 genetic imbalance를 야기한다. 세포내의 다양한 유전자발현 조절기전들 중, 특히 mRNA의 양질조절 (quality control) 기전은 전사조절에 비해 단 시간 내에 단백질 발현 양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기 생성된 mRNA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의 가장 대표적인 작용기전" 이다. 또한, 전사과정 동안 RNA polymerase의 실수로 인해 생성되는 많은 mRNA의 질적 상태를 검증한다는 점에서 mRNA 수준에서의 유전자발현 조절의 중요성이 최근 급격히 부각되고 있다. mRNA decay rate에 critical point인 mRNA의 stability를 안정화시키는 조절 인자들 가운데 HuR (ELAVL1)은 target 유전자의 3'-UTR (untranslated region)의 ARE (AU-rich element)에 binding해서 mRNA stability와 translation을 조절한다. HuR은 다양한 기원의 종양에서 많은 oncogenes의 mRNA 안정성과 protein biosynthesis를 증가시킨다. HuR 유전자가 위치하는 19p13.2이 다양한 악성 종양에서 translocation과 oncogenic gain of function과 연관된 부위임을 고려할 때 HuR은 종양의 과발현 인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되어지므로 현재까지 위암에서 HuR의 과 발현의 분자적 기전과 종양 악성화 과정에서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종양부위의 HuR의 발현 및 subcellular localization이 정상조직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고 과발현 하는 HuR은 proliferation의 증가, G1-S transition을 촉진하고 DNA 합성과 anchorage-independent growth에 양성적 영향을 in vitro실험에서 관찰 할 수 있었다. 그리고, Small interfering RNA-HuR은 여러 세포사멸 자극의 민감도를 증가시켰다. 종양에서HuR 과 발현이 gene amplification이나 hypomethylation에 기인함이 아니라 PI3K-AKT signaling 과 NF_(-k)B activity 에 의해 야기되었다. AKT activation 은 p65/RelA의 HuR 전사 조절 부위의 접합으로 HuR transcriptional regulation 과 HuR 표적 유전자의 mRNA 안정성 그리고, 세포질 이동을 촉진함을 관찰하였다. HuR이 새로운 NF-_(-k) B의 직접적인 표적 유전자이고, PI3K-AKT signaling에 의해 activation 됨으로써 위암 생장 촉진과 다양한 사멸 신호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어 종양 악성화에 기여함을 위암 세포 주들에서 관찰하였다.
보험영업조직에서의 조직학습과 개인영업역량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민주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1 국내석사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달, 시장 및 경쟁의 전 세계적 확대, 높은 부가가치 창출에 기초한 사업전개 등은 오늘날 경영 환경을 대변해 주는 주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조직들은 이러한 경영 환경의 요구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조직의 역량 확보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역량연구는 분석의 수준이 개인 수준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으며, 역량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우수성과를 만드는 역량변인 개발에 중점을 두어 왔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개인역량과 함께 조직 수준의 역량으로서의 조직학습의 성공적인 수행의 준거인 직무성과(Job performance)와의 관련성을 입증함으로써 조직학습과정과 개인영업역량 모델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조직학습과정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개인영업역량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0년 10월 25일부터 2010년 11월 12일까지 4개 생명보험사의 보험영업사원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226부의 유효자료를 확보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으로 E-mail과 직접배부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예비조사(Pilot Test)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조직학습과정 조사도구 28문항, 개인영업역량 조사도구 37문항, 직무성과 조사도구 5문항, 인구통계학적 변인 5문항으로 총 75개 문항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12.0 한글버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절차를 거쳤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는 Cronbach α 계수를 분석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측정한 주요변인의 기초통계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조직학습과 직무성과와의 관계, 개인영업역량과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학습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 높은 정도의 설명력을 갖는다. 그러나, 조직학습의 하위변인 중 지식획득과 정보배분은 직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보해석과 조직기억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영업역량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 높은 정도의 설명력을 갖는다. 그러나 개인영업역량의 하위변인 중 성취지향성과 개념적사고, 기술적전문성은 직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보수집역량, 대인이해역량, 고객지향성, 영향력, 관계형성, 분석적사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험영업조직은 보험영업사원의 지식획득과 정보배분 활동을 지원하고 성취지향성 및 개념적사고, 기술적전문성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및 개발활동을 통해 영업사원 개인의 직무성과의 향상과 조직 전체의 성과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자녀를 둔 직장 여성의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양육 소진과 양육 열의의 매개효과
강민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를 둔 직장 여성의 현실을 반영한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경로에서 직무요구-자원 모형(JD-R)을 사용하여 양육 소진과 양육 열의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 중, 고등학생 자녀를 둔 직장 여성 27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여 척도의 신뢰도 확인과 기초통계 및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AMOS 21.0을 이용하여 척도의 타당성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를 둔 직장 여성의 요구변인인 양육 스트레스와 결과변인인 우울 간의 관계에서 양육 소진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인 양육 스트레스가 우울을 직접 유발하기보다는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소진을 높이고, 소진이 높아지면 우울감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녀를 둔 직장 여성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인식개선과 양육 소진을 낮추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제시한다. 둘째, 자녀를 둔 직장 여성의 자원변인인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양육 열의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를 직접 높이기보다는 사회적 지지가 양육 열의를 높이고, 열의는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다. 자녀를 둔 직장 여성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정책과 함께 양육 열의를 높이는 상담심리프로그램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양육 소진과 양육 열의의 매개효과와 양육 장면을 직무요구-자원 모형으로 검증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를 진행하는 데 있어 의미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인증제도의 개인정보보호 강화방안 연구
강민주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9 국내석사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발전은 정보의 효율적인 접근을 제공하였지만, 개인정보 보안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며 클라우드 산업의 확산을 저해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다양한 클라우드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클라우드 보안 인증제를 수행하고 있다. 국내 클라우드 보안 인증제의 경우, 클라우드발전법, 정보통신망법, 개인정보보호법 등 법률과의 관계는 다음에 근거한다. 클라우드발전법 제 4조(다른 법률과의 관계)에 의거,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과 이용촉진 및 이용자보호에 관해서는 클라우드발전법이 타 법률에 우선하여 적용된다. 다만, 개인정보 보호에 관해서는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관련 법령인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다루고 있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적 보호 조치 항목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기술적 보호 조치와 국내용 정보보호제품에 구현된 보안기능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증하는 제도인 국내용 CC평가 제품군과의 밀접도가 높음을 확인한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인정보의 기술적 보호조치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CC인증을 받은 제품군으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이란 클라우드 보안 인증제도의 평가ㆍ인증대상이며, 동법 시행령 제 3조에 따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 시스템의, 인프라, 응용프로그램, 개발환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보안서비스 구축 시 도입 인증 요건을 만족하는 제품 버전의 보안기능으로 서비스를 구축하여야 한다. 도입 인증 요건은 국내ㆍ외 CC 인증을 받은 제품이어야 하지만 국내ㆍ외 CC 인증의 경우 클라우드 환경은 인증 대상 범위로 포함하지 않는 한계가 있다. 국내 클라우드 보안 인증제에서 확인하고 있는 기술적보호조치의 세부 통제항목과 CC 인증제도의 보안인증제도의 항목과 비교하여 차이점을 도출한다. 도출한 차이점을 통해 CC인증제도의 운영환경에 클라우드 환경이 포함될 수 있도록 클라우드 보안 인증제도의 기술적보호조치 통제항목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하였고, 향후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령의 기술적 보호조치 사항을 만족하는 CC인증 제품의 보안요구사항 항목 중 클라우드 보안 인증제에서는 누락된 항목을 보완 시 이를 활용하여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공동체의식과 활동지속성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조절효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sense of community on the sustainability of activity and to understand how individual sense of community has a synergetic effect with learning agility in the sustainability of activity process based on Job characteristics theory. This study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 learning ag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Sustainability of activity. This study analyzed 170 of valid questionnaires from the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who are working in Seoul. The primary methods of data analyses wer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es through the SPSS 25.0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ense of commun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ustainability of activity. Specifically, among the sense of community dimensions, influence, reinforce of needs, and shared emotional connection have influences on sub-variable of the sustainability of activity which is the sustainability willingness. And, among the sense of community dimensions, influence, shared emotional connection have influences on sub-variable of the sustainability of activity which is the strength of commitment. Moreover, through moderated regression analyses, this study confirmed that no dimension of the learning agility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sustainability of activity. On the basis of these outcomes, this study proposes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It suggests that Korean lifelong learning cities have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sense of community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itivist for stable lifelong learning execution. In addition, it emphasizes the need to figure out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stainability of activity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운전자 연령과 운전환경에 따른 자율주행 제어권 인수, 운전수행 및 작업부하에서의 차이
본 연구는 운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3단계 자율주행 자동차의 제어권 인수 요청이 청년 및 고령운전자의 제어권 인수 시간, 운전수행, 주관적 작업부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3 X 2 X 2 반복측정 요인설계로, 운전자 64명은 운전환경(3: 맑은 날씨 vs. 야간 vs. 우천) X 비운전과제 수행 여부(2: 비운전과제 수행 안 함 vs. 수행) X 도로 혼잡도(2: 혼잡 vs. 비혼잡)로 이루어진 모든 조건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운전자 연령에 따른 제어권 인수 시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청년 운전자보다 고령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더 세게 밟고, 주행 속도가 느리고, 스티어링 휠 조작 변산성이 컸다. 둘째, 비운전과제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운전자 연령에 따른 제어권 인수 시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비운전과제를 수행하는 경우 청년 운전자보다 고령운전자의 제어권 인수 시간이 더 느렸다. 셋째, 비혼잡 도로 조건보다 혼잡 도로 조건에서 제어권 인수 시간이 더 느리고, 브레이크를 더 세게 밟고, 주행 속도가 느리고, 스티어링 휠 조작 변산성이 크며 주관적 작업부하가 더 높았다. 넷째, 제어권 인수 시간 및 운전수행은 세 가지 운전환경에 따라 일관되지 않은 양상을 보였는데, 주관적 작업부하 증가에 따른 두 종속변인의 트레이드 오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운전환경, 비운전과제 수행 여부, 도로 혼잡도가 운전자의 연령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과 운전자의 상호작용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고령운전자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제어권 인수를 위해 3단계 자율주행 차량 연구에서 다양한 연령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using driving simulator investigated the effect of takeover request on the takeover time, driving performance, and workload of young and old drivers in Conditional Driving Automation(level 3). Using 3 X 2 X 2 within-subjects design, 64 drivers were exposed to all manipulations that varied direction of driving environment(3: clear weather vs. night vs. rainy weather), non-driving related task(2: No-NDRT vs. NDRT), traffic density(2: Traffic jam vs. No traff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akeover time between young and older drivers, but older drivers braked harder, drove slower, and had greater variability of steering wheel than young drivers. Second, the difference in takeover time between age groups was not significant in the case of no-NDRT, whereas the older drivers' takeover time was slower than that of young drivers in the case of NDRT. Third, under traffic jam than under no traffic it took longer to takeover time, brakes were pressed harder, speed was slower, variability of steering wheel was greater, and workload was higher. Fourth, the driving environment showed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the dependent variable, but it could be expla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load. The workload increased and the quality of driving decreased in the order of clear, night, and rainy driv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riving environment, NDRT, and traffic density can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driver's interaction with the autonomous vehicle depending on the driver's age.
지구과학 해양 분야 학습을 위한 WBI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강민주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0 국내석사
For the change of educational environment by information-intensive society, the paradigm of our educational circle need to the changed from teacher-centered to learner-centered. One way to this goal is to employ the WBI in the class.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oceanography units in the common science and earth science for high schools in order to design and to develop WBI materials of oceanography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WBI is found to the effective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o promote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compared with the module i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