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쿨렐레를 활용한 아동기 음악교육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강민주 창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 교육의 목적은 아동의 삶의 질을 높이고 자신의 내재된 음악적 능력을 찾으며 긍정적이고 조화로운 인격 형성에 목적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우쿨렐레를 활용한 아동기 음악교육지도방안으로 첫째, 음악교육의 이해와 아동기 발달특성, 아동기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둘째, 우쿨렐레의 역사와 종류, 연주방법을 알아봄으로 우쿨렐레에 대해 알아보았다. 셋째, 아동이 직접 음악활동을 할 수 있는 곡들을 통해 구체적인 지도방안으로 수준에 따른 지도안을 연구하여 아동이 음악에 쉽고 가깝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움 되고자 하였다. 교사는 아동에게 효과적인 음악교육을 하기위해 끊임없이 연구하는 자세를 가져야 하며 악기수업을 통해 아동이 적극적으로 음악을 표현하고 창의성을 기르며 음악적 감수성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해야한다.

      • 비판적 영어 읽기 활동 기반 고등학교 2학년 영어교과서 분석 연구 : 2009년과 2015년 영어교과서 비교

        강민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공통으로 비판적 읽기를 도모하는 학습 내용과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비판적 읽기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인 ‘창의적 사고 역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자기관리 역량’,‘의사소통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을 함양하여 현시대의 학교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와 비교했을 때 비판적 읽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2009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영어Ⅱ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영어Ⅱ 내 비판적 글 읽기 활동에서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현직 영어교사(20명)와 고등학교 2학년 학생(100명)을 대상으로 비판적 글 읽기 활동에 대한 요구 조사를 하여 연구의 방향성을 확립하였다. 둘째, Lafene(1974)이 제시한 텍스트 유형을 응용한 분석 틀을 사용하여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영어Ⅱ 내 지문 유형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Grellet(1981)의 읽기 활동유형 이론과 Mclaughlin(2004)의 비판적 읽기 교수법을 통합하고 McLaughlin과 Devoogd(2004)가 제시한 관점을 추가한 분석 틀을 기준으로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영어Ⅱ 내 읽기 지문 유형에 따른 비판적 글 읽기 활동유형과 비율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적 글 읽기 활동 실태 및 요구조사 결과, 학생과 교사의 비판적 읽기 활동에 관한 높은 요구와 긍정적인 인식에 비해 실제 교실수업에서 비판적 읽기 활동은 낮은 빈도로 활용되고 있었다.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들의 비판적 사고 함양을 강조하고 있으나, 이에 비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비판적 읽기 활용 수업의 비율은 저조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비판적 읽기 교육 활성화를 위해 차기 영어 교과서 편찬에 있어서 교과서 개발 및 감수에 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지침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더 나아가 학생들이 사고를 확장할 수 있도록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교사의 전문성이 증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교과서 내 지문 유형 분석 결과 읽기 지문 유형이 다소 불균형적으로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09 개정 영어Ⅱ와 비교하여 2015 개정 영어Ⅱ 내 문학 지문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비판적 읽기에 적합한 문학 지문 유형인 서사문과 수필이 낮은 비율로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교과서 내 문학 지문이 높은 비율로 수록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교과서 내 수록된 읽기 지문 유형을 기준으로 독자의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는 읽기 활동의 유형 및 비율을 분석한 결과 2009 개정 영어Ⅱ와 비교했을 때 2015 개정 영어Ⅱ 내 비판적 읽기 활동 비율이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증가 폭이 매우 좁고 교과서 내 비판적 읽기 활동은 인지적 의미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읽기 활동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이는 비판적 읽기 활동을 수록하는 데에 있어서 다양한 양질의 활동이 양적으로 확대되어 도입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 중년기 초심상담자의 직업적응과정

        강민주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substantive theory that explains the Job Adaptation Process of Middle-aged Beginner Counselors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It was investigated what middle-aged beginner counselors experiences during job adaptation process, and which factors influence these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middle-aged beginner counselors. These interviews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developed by Strauss & Corbin (1998).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a total of 136 concepts, 52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rough open coding, and the central phenomenon was ‘Facing the imbalance between age and career'. The causal conditions for this central phenomenon included ‘Choosing a career as a job that can be done even after old age’, ‘Confronted with age prejudices and restrictions’.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influence the central phenomenon included ‘The burden of adaptation due to career break’, ‘The burden and pressure on competence’, ‘Unfamiliarity and confusion in the new work environment’. The intervening conditions which led to multiple variables included ‘The restrictions and limitations of middle age’, ‘Social treatment and reality that lower enthusiasm’, ‘Awareness of middle-aged strengths’. Actions and interactions associated with these conditions or situations, included ‘Consulting in a rigid attitude’, ‘Attributing to my fault’, ‘Realizing lack of competence’, ‘Adapting and coping with the institution through years of experience’, ‘Trying to build expertise proportional to age’, ‘Building up one's will’, ‘Utilizing and building support systems’, ‘Complementing the capacity of counseling lacking through life experience’, ‘Focusing on the present with a reflective attitude’. Through these processes,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Feeling rewarding as a middle-aged beginner counselor’, ‘As a middle-aged beginner counselor, counseling capacity has improved’, ‘Discovering the meaning of changing life and adapting to work’, ‘Looking for a way to become a middle-aged counselor in the future’. The jop adaption processes of middle-aged beginner counselors appear to be consist of 4 stages: ‘Challenge stage with anxiety’, ‘Confusion and conflict stage’, ‘Struggling stage’, ‘Awareness and acceptance stage’. Through the selective coding process, the core category was found to be ‘Build expertise in the imbalance of age and career and use middle-aged strengths to balance th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understanding the job adaptation process of middle-aged beginner counselors and preparing practical plans and support measures to help them adapt.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중년기 초심상담자의 직업적응과정을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중년기 초심상담자들이 직업적응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적응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중년기 초심상담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방코딩에서 136개의 개념과 52개의 하위범주, 2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중심현상은 ‘연령과 경력의 불균형을 마주함’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의 원인이 된 인과적 조건은 ‘노후에도 할 수 있는 직업으로 진로를 결정함’, ‘연령에 대한 편견과 제약에 부딪힘’으로 나타났으며,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경력단절로 인한 적응의 부담’, ‘역량에 대한 압박과 부담’, ‘새로운 업무환경의 낯설음과 혼란’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조절하는 중재적 조건은 ‘중년의 제약과 한계’, ‘열의를 저하시키는 사회적 처우와 현실’ ‘중년의 강점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경직된 자세로 상담하기’, ‘내 탓으로 귀인하기’, ‘역량부족을 실감하기’, ‘연륜과 경험으로 기관에 적응하고 대처하기’, ‘나이에 비례한 전문성을 쌓고자 노력하기’, ‘지지체계를 활용하고 구축하기’, ‘의지를 다지기’, ‘삶의 경륜으로 부족한 상담역량을 보완하기’, ‘성찰적 태도로 현재에 집중하기’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결과는 ‘중년 초심으로서 상담역량이 향상됨’, ‘중년 초심상담자로서 보람을 느낌’, ‘달라진 삶과 직업적응의 의미를 발견함’, ‘향후 중년 상담자로 나아갈 길을 모색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중년기 초심상담자의 직업적응과정은 ‘불안을 내재한 도전단계’, ‘혼란과 갈등단계’, ‘고군분투 단계’, ‘자각과 수용단계’의 4단계로 나타났으며 선택코딩 절차를 통해 핵심범주는 ‘연령과 경력의 불균형 속에서 전문성을 쌓아가고 중년의 강점을 활용하여 균형을 맞춰나감’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중년기 초심상담자의 직업적응과정을 이해하고, 그들이 적응하는데 필요한 실질적인 방안 및 지원책 마련을 위한 경험적 근거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지적장애인의 직업성공요인 분석

        강민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work environment and family factors to mentally-retarded people's successful employment.The subjects were 302 mentally-retarded people who commenced work via the supported employment program from th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KEPAD) from 2007-2008. The data were collected by 15 vocational evaluators from all over the country.The subjects were grouped into two clusters; 'employment success cluster'(152 persons) whose employment period exceeds 3months and 'employment failure cluster'(150 persons) which is vice versa.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s and logistic regression.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individual factor which had an effect on the Employment success of mentally-retarded people was the individual's will related to work.Second, the work environmental factors which were associated with employment success include type of occupation, wage level and the consideration for mentally-retarded people at the work place.Third, the family factors influenced mentally-retarded people's successful employment were found to be family income and family support. Family income was negatively and family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employment success.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직업성공 요인을 개인 요인, 근로환경 요인, 가족 요인으로 분류하여 각 요인이 직업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 1월 1일부터 2008년 6월 30일까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에서 지원고용을 실시한 지적장애인 3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 대한 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7 개 지사에서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중증장애인 지원고용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15명의 직업평가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302명의 연구 대상자 중 3개월 이상 취업한 경우는 「직업성공군」(152명)으로, 3개월 미만 취업한 경우 「직업실패군」(150명)으로 분류하였다.자료분석 방법은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지적장애인의 직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에 포함된 예측변인들 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확인하기 위한 상호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지적장애인의 직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은 개인의 직업관련의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적장애인의 직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근로환경 요인은 직종, 급여, 직장내 배려였다. 셋째, 지적장애인의 직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요인으로는 가족수입과 가족지지가 있었는데 가족수입은 부적 영향을, 가족지지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적으로 지적장애인의 직업성공에 있어 개인의 직업관련 의지뿐 아니라 근로환경, 가족의 지원은 서로 균형적으로 함께 지원되어져야 할 부분이며 이들의 유기적인 협력을 위한 사회적 지원과 직업재활서비스 기관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고 하겠다.

      • 플립 러닝을 활용한 음악코딩 창작수업 지도안 연구 : GI 집단탐구모형을 기반으로

        강민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한 4차 산업혁명의 도래는 삶에서의 다양한 변화를 가져온다. 교육 영역에서도 새로운 교육의 방향성과 다양한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친숙하고 편리한 매체인 소프트웨어(SW)를 활용한 음악코딩 창작수업을 연구하여 창작수업을 통한 창의성과 ‘코딩’을 활용한 사고력, 즉 창의·융합적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코딩은 컴퓨터 언어를 사용하여 컴퓨터에게 명령하는 행위를 말하며, 음악코딩은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드를 만들어 멜로디와 리듬, 화성 등의 음악을 창작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음악의 심미성과 과학의 창의성을 기르고 논리적 사고를 신장한다. 기존 어려움을 겪고 있던 전통적인 창작수업에서 벗어나 친숙하고 친밀한 소프트웨어(SW)를 활용하여 음악창작에 접목한다. 음악창작과 코딩 모두 단시간에 습득하여 결과를 도출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강의식 수업보다 학생 중심의 활동 위주의 수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여 플립 러닝을 기반으로 본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은 온라인을 통한 선행학습을 한 후 오프라인에서 활동 위주의 수업을 하는 ‘역진행 수업 방식’을 말한다. 플립 러닝 학습은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설계하였으며 모둠 활동 학습은 GI 집단탐구모형을 기반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 지도안의 활동 목표는 프로그램 ‘스크래치(Scratch)’를 활용하여 간단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것에 있으며, 음악창작은 리듬 창작을 중심으로 하여 진행한다. 온라인 수업 1차시와 오프라인 수업의 1차시가 한 세트로 이루어지며, 수업은 4주차에 걸쳐 총 8차시의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첫 주차인 1-2차시는 음악 학습을 중심으로 음악의 요소와 리듬을 익히고 직접 리듬을 체득하고 모방 창작하는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3-4차시는 스크래치 학습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각 기능을 익히고 직접 다뤄보는 시간을 갖는다. 5-8차시는 스크래치의 활용을 통한 모둠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며, 집단탐구를 통해 코딩과 음악을 접목하여 직접 창작물 제작하고 발표하는 수업으로 진행된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편리한 도구를 활용하여 음악을 매개체로 한 표현이 친숙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컴퓨터 사고를 이해하고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을 길러 디지털화된 언어를 이해하고 자신만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다양하고 폭넓은 음악 창작 활동 방법이 연구되기를 바란다. The com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brings various changes in life. Even in the field of education, unique directions and various methods of teaching are now required.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through creative and ‘coding’ class, using familiar and easy media, the software. The ‘coding’ here means to command a computer what to do using its language, while ‘musical coding’ means to create music composed of melody, rhythm, harmony, etc. using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s.This improves musical aesthetics, scientific creative thinking, and logical reasoning. This also combines familiar and easy software with music creation, away from the traditional creative class which is now experiencing the hard times. Both music creation and coding are hard to see the results with a short term of time. Therefore, from the idea tha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conduct student-centered activity classes than ordinary lecture-style classes, I developed a teaching guidance based on flipped learning. Flipped learning is one of the educational strategies of blended learning which allows students to be lectured online and then practice the activity-centered class offline. This strategy was designed based on ADDIE model while its group activities were studied based on GI group investigation model. The objective of this study’s teaching guidance is to make simple animation using the program ‘Scratch’, while proceeding the music creation with rhythm-based creation program. Each first sessions of both online and offline are considered as one set and there will be up to 8th sessions for 4 weeks (Online for odd sessions while offline for even sessions). The 3rd and 4th sessions are based on Scratch program and allow students to learn the functions and to control by their own. In the 5th to 8th sessions, group activities with Scratch program will be mainly conducted, and students will be asked to create and present their own work by combining coding with music through group discussions. Overall, students are expected to use music as one of the ways of expression through familiar tools by this study. They will also be expected to be able to understand computer logic and the digital language through developing log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to be able to interpret as their own perspectives. I hope more various and wide method of music creation activities to be studied through these experiences.

      • 암 경험자의 사회경제요인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 제 4, 5,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2007-2015) 분석

        강민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a National Cancer Registration Annual Report,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in Korea reached 217,057 in 2014 while it was 134,557 in 2004, which is a 61.3%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cancer patients for five years has been continuously improved since 1993–1995, and the necessity to take care of and pay attention to cancer patients (either those under medical care or survivors after treatments) is increasing every year. As cancer patients who have managed to survive for more than five years after treatments are at risk from recurrence and metastasis, it is essential to predict their death or survival period in managing cancer patients. Thus, out of several health indices, the evaluation index for self-reported health has been used as a significant index for forecasting the death of cancer patients. The evaluation of the self-reported health of people who have suffered from cancer not only to forecast their death but also to reflect on the effect of their illness on their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odds ratio of poor self-reported health answered by cancer patients who are unemployed was 2.17 (95%, CI=1.03–4.58) compared with cancer patients who are professional, manager, and administrator. The odds ratio of the lowest group of household monthly income was 2.53 (95%, CI=1.54–4.15) compared with that of the highest group, and the lower group odds ratio was 1.67 (95%, CI=1.07–2.60) while the higher group ratio was 1.64 (95%, CI=1.08–2.51),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more, the odds ratio of the poor self-reported health answered by male cancer patients was 0.56 (95%, CI=0.32–0.97) compared with that of the female cancer patients. The odds ratio of the low BMI was 1.96 (95%, CI=1.01–3.82) compared with the BMI normal group. On the other hand, the odds ratio of the high-risk drinker group was 0.31 (95%, CI=0.13–0.75) compared with that of the non-drinker group, while the odds ratio of those who do not have any physical activity at all within one week was 0.73 (95%, CI=0.54–0.99) compared with those who do a physical activity within one week,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regard stress, the odds ratio of those who had stress during their daily life was 2.45 (95%, CI=1.72–3.50) compared with those who do not had stres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self-reported health of cancer patients using the data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hile various potential confounders were adjusted.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elected its targets from all the cancer patients and not from those who suffered from a specific cancer. Considering the outcomes of this study, medical teams are required to pay more attention to cancer patients who are unemployed or have low monthly income when carrying out prognostics and predictions for cancer patients. In addition,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providing a base data for developing a policy to support cancer patients who are unemployed or have low income. 국가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 2014년 암 발생자수는 217,057명으로 2004년 134,557명에 비해 61.3% 증가하였으며 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1993-1995년 이후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어 암 경험자(치료 중 또는 치료 후 생존자)에 대한 관심과 관리의 필요성은 매년 커지고 있다. 치료 후 5년 이상 장기 생존한 암 경험자라 할지라도 재발과 전이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암 경험자 관리에 있어서 사망이나 생존기간 추정은 필수적이며 여러 건강상태 지표들 중 주관적 건강상태 평가지표는 사망 예측에 있어 유의한 지표로 활용되어 왔다. 사망 예측뿐만 아니라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차원들을 포함한 건강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는 주관적 건강상태 평가는 사회경제요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암 경험자의 사회경제요인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암 경험자의 관리를 위한 보건의료정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 4기, 5기, 6기(2007-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9개년도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의사에게 암을 진단받은 만 19세 이상의 암 경험자 1,867명 중 모른다고 응답하거나 무응답한 자에 대해 결측 처리를 한 후 1,46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SAS version 9.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기술분석 및 survey 특성을 반영한 Rao-Scott chi-square 검정, logistic regression 분석방법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회귀모형은 사회경제요인 외의 다른 변수를 보정하지 않은 1단계 모형, 사회경제요인과 인구요인을 보정한 2단계 모형, 사회경제요인, 인구요인, 건강행태요인을 보정한 3단계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암 경험자 1,461명 중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다고 응답한 군은 607명으로 전체 대상자의 41.5%를 차지하였다. Rao-Scott chi-square 분석 결과, 여성, 75세 이상인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 동거인수가 0명으로 혼자 살고 있는 경우, 교육수준이 초졸 이하인 경우, 직업 중 무직인 경우, 월평균 소득 최하위인 경우, 민간의료보험이 없는 경우, 저체중인 경우, 비음주자인 경우, 1주일간 신체활동을 전혀 하지 않은 경우, 일상생활 중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경우, 현재 치료중인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Survey 특성을 반영한 logistic regression 결과, 직업 중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에 비해 무직에서 주관적 건강상태를 낮게 응답할 교차비가 2.17(95% CI=1.03-4.58)이였고 월평균 소득수준 최상위군에 비해 최하위군의 교차비는 2.53(95% CI=1.54-4.15), 하위군의 교차비는 1.67(95% CI=1.07-2.60), 상위군의 교차비는 1.64(95% CI=1.08-2.5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여성에 비해 남성에서 주관적 건강상태를 낮게 응답할 교차비가 0.56(95% CI=0.32-0.97), BMI 정상군에 비해 저체중군의 교차비가 1.96(95% CI=1.01-3.82), 비음주자군에 비해 고위험 음주자군의 교차비가 0.31(95% CI=0.13-0.75), 1주일간 신체활동을 전혀 하지 않음으로 응답한 군에 비해 1일 이상 한다고 응답한 군의 교차비가 0.73(95% CI=0.54-0.99)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스트레스의 경우 일상생활 중에 스트레스를 거의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한 군에 비해 느낀다고 응답한 군의 교차비가 2.45(95% CI=1.72-3.50)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암 경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혼란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사회경제요인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이며, 기존 연구와는 달리 일반 성인이나 일부 특정 암이 아닌 모든 암 경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비추어 볼 때, 추후 의료진의 암 경험자에 대한 예후 예측에 있어 비경제활동 상태이거나 월평균 소득수준이 낮은 상태인 암 경험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향후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무직이거나 저소득층인 암 경험자를 위한 정책개발의 근거자료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온라인 참여에 미치는 영향-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강민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부차원에서의 차별 없는 정보 접근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시작한 정보화 정책으로 컴퓨터·인터넷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여 전 국민의 85.1%가 디지털 기기 및 인터넷 네트워크에 보편적으로 접근이 가능해진 시점에서, 디지털 디바이드 문제가 이용의 질적 차이에 의한 문제로 진화하고, 나아가 공적 참여나 정치사회적 관여와 같은 온라인 참여로의 문제까지 확대되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한편 인터넷의 발전과 새로운 스마트 기기의 빠른 보급으로 인해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이 증가하였고 이는 개인정보 유출 및 불법유통과 같은 사고의 증가를 필연적으로 수반한다. 이로 인해 우리 사회는 각종 개인정보 유출, 사이버 금융사기, 사생활 침해 등 정보화 역기능의 심화로 인한 피해가 속출되는 또 다른 사회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역기능으로 인해 우리 사회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더욱 증폭되고 있는 추세이다. 소셜 네트워크 시대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온라인 참여의 개념으로 확장 되었고, 이러한 온라인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문제가 대두된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배경을 가지고,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를 개인정보 유출 염려, 사생활 침해 염려로 구분하여 온라인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온라인참여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연령을 20대 미만, 20대 이상 40대 미만, 40대 이상 60대 미만, 60대 이상의 4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연령에 따른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온라인 참여의 관계도 분석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하위요인인 개인정보 유출 염려는 모든 온라인 참여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또 다른 하위요인인 사생활 침해 염려는 SNS활동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온라인 참여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라 정보 프라이버시와 온라인 참여 간의 영향은 대부분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연령대 별로 상이한 방향성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온라인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 정책이 선행되어야 하며 특히 연령별 맞춤형 정책 패키지 형태를 갖춰야 할 것을 시사한다. The study focused on the evolution of the issue of digital divide into the problem of qualitative difference in the usage of information, as well as its expansion into the issue of online participation including formal and sociopolitical participation, at a time when 85.1% of the Korean population has access to digital devices and Internet networks thanks to the informatiz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initiated to provide the public with indiscriminate access to in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necessary infrastructure such as computers and the Internet. Meanwhile, the increase in the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evitably involves the rise in its leakage and illegal distribu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rapid spread of new smart devices. Therefore, our society is suffering from an additional social problem of damages due to adverse effects of informatization such as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financial cyber fraud, and invasion of privacy. These adverse effects are leading to mounting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n our society. In the present age of social network services,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has expanded to incorporate online participation,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have emerged as a factor that inhibits online participation. Based on such a research background, the author examined the effect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n online participation by dividing it into concern over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concern over invasion of privacy. In addition, an analysis was made on the effect of the social demographic factor of 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online participation,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in four different age groups such as the group below the age of 20, the group aged between 20 and 40, the group aged between 40 and 60, and the group aged 60 or above.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rn over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a subfactor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kinds of online participation, whereas concern over invasion of privacy, another subfactor,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nline participation in general, excluding social network site activitie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privacy and online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 in most age groups, with disparate orientations in different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icies for information privacy protection should be introduced to promote online participation and that specialized policy packages should be developed for different age groups. Keywords: Online participatio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concern over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concern over invasion of privacy, age,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 양궁 지도자의 코칭요인 탐색

        강민주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양궁 지도자의 코칭요인 탐색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스포츠코칭학과 강 민 주 본 연구의 목적은 양궁 초임·경력지도자의 코칭요인을 탐색하고 경력 간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코칭경력 3년 미만의 초임지도자 4명과 코칭경력 10년 이상의 경력지도자 4명, 총 8명의 지도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분석과정에서 지속적인 전문가의 협의를 통해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성을 검증받았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초임·경력지도자의 코칭요인을 분석하고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지도자들은 인성, 체력을 주안점으로 코칭을 하였으며, 미흡한 선수파악과 학교, 학부모의 비협조를 어렵다고 하였다. 선수 중심의 코칭을 지향하였고, 비 훈련장에서 대화를 통한 소통, 선수를 직접 겪음으로써 선수를 파악하였으며, 선수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도록 유도 하였다. 유동적인 훈련계획을 수립하였고, 시범, 설명 그리고 영상을 통해 피드백을 하였으며, 새 장비와 간식으로 선수들에게 보상과 체력훈련으로 벌을 주었다. 또한 효과적인 코칭 스킬을 향상시키기 위해 영상, 서적을 찾아 공부를 하거나 멘토와 상담을 통하여 개인역량 증진을 위해 노력하였다. 둘째, 경력지도자들은 양궁선수로써 자긍심을 강조하여 코칭을 하였고 학부모의 비협조를 어려움으로 꼽았으며, 엄마같이 따뜻하고 선수와 대화가 잘 통하는 코칭을 지향하였다. 지도행동으로는 선수와 지속적인 대화를 통한 소통을 하였고 선수의 전 지도자, 학부모와 대화를 통해 선수의 전반적인 정보를 파악하였으며, 구체적이고 단순한 목표설정을 유도하였다. 일관성 있는 훈련계획으로 연습시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이해하기 쉬운 용어를 사용하여 피드백을 제공하고, 선수들이 주눅 들지 않도록 즐거운 시합상황을 유도하였으며, 칭찬으로 상, 체력훈련으로 벌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코칭 시 주안점, 선수파악, 피드백, 상, 더 좋은 코칭을 위한 노력, 즐거운 시합 분위기를 만드는 것으로 서로 간 코칭방법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주요어: 양궁, 초임지도자, 경력지도자, 코칭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